KR20070088692A - 고전압 스위치기어 - Google Patents

고전압 스위치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692A
KR20070088692A KR1020077013270A KR20077013270A KR20070088692A KR 20070088692 A KR20070088692 A KR 20070088692A KR 1020077013270 A KR1020077013270 A KR 1020077013270A KR 20077013270 A KR20077013270 A KR 20077013270A KR 20070088692 A KR20070088692 A KR 20070088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busbar
module
high voltage
voltage switch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9730B1 (ko
Inventor
토마스 베츠
카르로 그라나타
일앙고 그나나드한다바니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0961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8869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filed Critical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8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2Gas-insulated switchgear for three phase switchg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2Auxiliary contacts on to which the arc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ontacts
    • H01H33/121Load break switches
    • H01H33/122Load break switches both breaker and sectionaliser being enclosed, e.g. in SF6-filled contain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45Details of casing, e.g. gas t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상(three-phase) 전도체(L1,L2,L3)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를 포함하는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gas-insulated high voltage switchgear)에 관한 것이며, 이것에 의해 각 위상 전도체(L1,L2,L3)는 각각 제공된 버스바 섹션(11,21,31)의 입력 측에 연결된다. 이 위상 전도체(L1,L2,L3)와 버스바 섹션(11,21,31)은 분리된 전력 스위치 하우징(13,23,33) 내에 각각 배열된 세 개의 단상(single-phase) 전력 스위치(12,22,32)를 구비한 3상 버스바 모듈(40,41)에 배열되고, 각 버스바 섹션(11,21,31)은 출력 측에 있는 각각 제공된 전력 스위치(12,22,32)에 연결된다.

Description

고전압 스위치기어{HIGH-VOLTAGE SWITCHGEAR}
본 발명은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를 위한 모듈에 관한 것이다.
200kV 이상의 정격 전압을 갖는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단상으로 캡슐화된 시스템(single-phase-encapsulated)으로 설계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회로 차단기, 아이솔레이터 및 접지 스위치와 같은 스위칭 디바이스와 예컨대, 오버헤드 라인 연결과 같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는 예컨대, 단상이 되도록 설계되어 별개의 하우징에 배열된다.
또한, 버스바의 세 개의 위상 전도체는 분리된, 일반적으로 관식의(tubular) 하우징에 배열된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는 비교적 넓은 공간의 요건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줄어든 공간의 요건을 갖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를 상술하는 목적에 바탕을 둔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항에서 언급된 특징을 갖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는 세 개의 위상 전도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를 포함하며, 각각의 위상 전도체는 이와 조합되는 버스바 아이솔레이터 입력 측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위상 전도체와 버스바 아이솔레이터는 공동의 3상(three-phase) 버스바 모듈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는 분리된 회로 차단기 하우징에 각각 배열되는 세 개의 단상 회로 차단기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버스바 아이솔레이터는 (이 경우에) 출력 측 상에서, (각각의 경우에) 이와 조합되는 하나의 회로 차단기에 연결된다.
버스바의 세 개의 위상 전도체와 조합되는 버스바 아이솔레이터가 공동 하우징에 배열되는 이러한 배열로 인해서,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의 공간 요건은 종래의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와 비교해 볼 때 유리하게 줄어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7항에서 언급한 특징을 갖는 버스바 모듈에 의해 또한 달성된다.
따라서, 버스바 및 세 개의 버스바 아이솔레이터의 세 개의 위상 전도체가 배열되고 각각의 위상 전도체가 이와 조합되는 버스바 아이솔레이터의 입력 측에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모듈은 버스바 아이솔레이터와 각각 조합되는 세 개의 단상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이러한 버스바 모듈은 세 개의 단일-폴(single-pole) 회로 차단기의 직접적이고 비교적 간단한 연결을 허용한다. 추가적인 모듈을 삽입할 필요가 없다.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의 설계는 간단해지고, 이 실시예는 특히 공간 절약적(space-saving)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청구항 9항에서 언급한 특징을 갖는 분배기 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3상 인터페이스와 세 개의 단상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세 개의 위상 전도체는 3상 인터페이스에서 (각각의 경우에) 분배기 모듈 내의 단상 인터페이스로 유도된다.
이러한 분배기 모듈은 세 개의 단상 회로 차단기와의 3상 인터페이스를 갖는 버스바 모듈의 연결을 허용한다. 3상 인터페이스를 갖는 버스바 모듈은 특히, 100kV에서 200kV까지의 낮은 정격 전압을 갖는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용으로 알려져 있다. 이점으로, 알려진 버스바 모듈은 분배기 모듈의 도움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에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분배기 모듈은 세 개의 단상 회로 차단기가 3상 출중계 급전선(three-phase outgoing feeder unit) 유닛에 연결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의 더 유익한 구성이 독립 청구항에 제공된다.
본 발명, 발명의 유익한 구성 및 개선 그리고 추가적인 이점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어 서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의 제1 출중계 급전선 패널(first outgoing feeder panel)에 대한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의 제2 출중계 급전선 패 널(second outgoing feeder panel)에 대한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두 개의 버스바(busbar)와의 연결을 위한 분배기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출중계 급전선 유닛과의 연결을 위한 분배기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의 제3 출중계 급전선 패널에 대한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상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의 제1(first) 3상 출중계 급전선 패널(60)에 대한 회로도를 도시한다. 스위치기어 어셈블리는 대략 200kV에서 250kV까지의 정격 전압용으로 설계된다. 그러나, 예컨대, 100kV에서 200kV까지의 더 낮은 정격 전압 또는 250kV에서 400kV까지의 더 높은 정격 전압에서의 사용은 또한 본 발명의 개념 범위 내에 존재한다.
도시된 스위치기어 어셈블리는 금속-캡슐로 쌓인, 가스-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의 형태로 되어있다. 서퍼 헥사프루오리드(SF6)는 차단용 가스로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질소(N2) 또는 이산화탄소(CO2)는 차단용 가스로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기어 어셈블리는 3상 전도체(L1,L2,L3)를 갖는 버스바(busbar)를 갖는다. 이 3상 전도체(L1,L2,L3)는 제1 버스바 모듈(40) 내의 제1 출중계 급전선 패널(60)의 영역 안으로 유도되며, 더욱이 인접한 패널의 버스바 모듈(미 도시)로 유도된다.
제1 버스바 모듈(40)의 하우징은 원통형이며, 버스바의 위상 전도체(L1,L2,L3)는 제1 버스바 모듈(40)의 하우징에 대한 중간 축과 평행하게 유도된다.
제1 버스바 모듈(40)은 회로 차단기 하우징 또는 다른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세 개의 플랜지 전도체(118,128,138)를 갖는다. 이 플랜지 커넥터는 제1 버스바 모듈(40)의 원통형 하우징 밖에 배열되는데, 이는 방사적으로 돌출하고 표면 라인을 따라 서로에 인접하게 놓이기 위해서 이다.
더욱이, 제1 버스바 모듈(40)은 예컨대, 원통형 하우징의 각 단부 면에 있는 커버링 캡과 같은 하나의 추가적인 버스바 모듈 또는 또 다른 구성 요소를 각각의 경우에 연결시키기 위한 하나의 플랜지 커넥터(미 도시)를 각각의 경우에 갖는다.
제1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는 제1 위상 전도체(L1)와 조합되고 입력 측 상에서 제1 위상 전도체(L1)에 연결된다. 이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는 마찬가지로 제1 버스바 모듈(40) 내에 배열된다(이와 같은 경우). 대응하여, 제2 위상 전도체(L2)는 제2 버스바 아이솔레이터(21)에 연결되고, 제3 위상 전도체(L3)는 제3 버스바 아이솔레이터(31)에 연결된다.
더욱이, 각 경우에 한 개의 접지 스위치(미 도시)는 각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21,31)와 조합되고 각각의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21,31)의 출력 측에 연결된다(각각의 경우).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21,31)와 조합된 접지 스위치는 분리된 스위칭 디바이스(separate switching device) 또는 조합된 분리 및 접지 스위치(combined disconnecting and grounding switch)의 형태로 될 수 있다(이와 같은 경우).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21,31)는 슬라이딩-접촉 아이솔레이터의 형태로 존재하지만(특히 이와 같은 경우), 회전식 아이솔레이터로서의 구성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제1 회로 차단기(12)는 제1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와 조합되고, 상기 제1 버스바 아이솔레이터는 출력 측 상에 있는 상기 제1 회로 차단기에 연결된다. 제1 회로 차단기(12)는 제1 버스바 모듈(40)의 제1 플랜지 커넥터(118) 상에 고정된 분리된 제1 회로 차단기 하우징(13)에 배열된다(이와 같은 경우).
대응하여, 제2 회로 차단기(22)는 제2 버스바 아이솔레이터(21)와 조합된다. 이 경우에, 제2 회로 차단기(22)는 제1 버스바 모듈(40)의 제2 플랜지 커넥터(128)에 고정되는 분리된 제2 회로 차단기 하우징(23)에 배열된다. 제3 회로 차단기(32)는 제3 버스바 아이솔레이터(31)와 조합된다. 제3 회로 차단기(32)는 제1 버스바 모듈(40)의 제3 플랜지 커넥터(138)에 고정되는 분리된 제3 회로 차단기 하우징(33)에 배열된다.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21,31)와 회로 차단기(12,22,32) 사이에 연결하는 커넥터는 제1 버스바 모듈(40)의 세 개의 플랜지 커넥터 중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각각의 경우에) 분리되게 각각 유도된다(이와 같은 경우).
더욱이, 하나의 중간물(intermediate piece)은 제1 버스바 모듈(40)의 세 개의 플랜지 커넥터(118,128,138)와 회로 차단기 하우징(13,23,33)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물은 예컨대 브랜치(branch piece)의 형태로 존재하고, 그러므로 예컨대, 둘 이상의 버스바의 연결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회로 차단기는 복수의 버스바에 상당히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연속으로 연결된 복수의 세그먼트(미 도시)로 분리된 제1 출중계 급전선 하우징(14)은 제1 회로 차단기 하우징(13)과 접한다. 이와 같은 경우, 예컨대, 출중계 급전선 아이솔레이터와 출중계 급전선 접지 스위치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요소는 제1 출중계 급전선 하우징(14)의 세그먼트에 배열된다. 제1 출중계 급전선 하우징(14)은 고전압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제1 케이블 접점(15)을 갖는다.
대응하여, 제2 회로 차단기 하우징(23)은 제2 케이블 접점(25)을 갖는 제2 출중계 급전선 하우징(24)에 연결되고, 제3 회로 차단기 하우징(33)은 제3 케이블 접점(35)을 구비한 제3 출중계 급전선 하우징(34)에 연결된다.
전압 트랜스(transformer)(미 도시)는, 전압 트랜스(transformer)가 대응하는 위상 전도체(L1,L2,L3)에 연결되어 접지에 대한 이들의 전압을 측정하는 출중계 급전선 하우징(14,24,34) 상에 배열된다.
케이블 접점(15,25,35) 대신에, 오버헤드 라인의 케이블에 연결시키기 위한 옥외 투관(outdoor bushing)이 또한 쉽게 제공될 수 있다. 트랜스(transformer)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 또한 생각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개념 내에 존재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상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의 제2(second) 3상 출중계 급전선 패널(70)에 대한 회로도를 도시한다. 다음 본문에서, 도 1에서와 같은 참고 기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유사한 방법으로, 버스바의 3상 전도체(L1,L2,L3)는 중심축에 평행하는 제2 원통형 버스바 모듈(41) 내에 서 놓이고, 이 위상 전도체(L1,L2,L3)와 조합된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21,31)는 제2 버스바 모듈(41)의 하우징 내에 배열된다.
제2 버스바 모듈(41)은, 상기 제2 버스바 모듈의 하우징 바깥쪽에 배열되고 제1 분배기 모듈(42)이 고정되는 방사적으로 돌출하는 플랜지 커넥터(radially protruding flange connector)를 갖는다.
더욱이, 제2 버스바 모듈(41)은 예컨대, 원통형 하우징의 각 말단 면(end side)에 하나의 커버링 캡(covering cap)과 같은 하나의 추가적인 버스바 모듈(각 경우에) 또는 또 다른 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플랜지 커넥터(미 도시)를 갖는다(각 경우에).
제1 분배기 모듈(42)은 제1(first) 3상 인터페이스(51)를 구비하며, 제 3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분배기 모듈(42)이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21,31)의 출력 측에 연결된다. 제1 분배기 모듈(42)의 제1 3상 인터페이스(51)는 플랜지 커넥터를 또한 포함하고 플랜지 커넥터를 통해 제1 분배기 모듈은 예컨대, 제2 버스바 모듈(41)의 플랜지 커넥터에 나사로 고정된다.
제1 분배기 모듈(42)은, 하나의 단상(single-phase) 회로 차단기(12,22,32)가 연결되는 세 개의 단상 인터페이스(16,26,36)를 또한 갖는다. 제1 분배기 모듈(42)의 하우징과 회로 차단기 하우징(13,23,33) 간의 연결은 또한 플랜지 커넥터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회로 차단기(12,22,32),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21,31) 또는 접지 스위치와 같은 스위칭 디바이스 전부는 예컨대, 제1 분배기 모듈(42)의 하우징 바깥에 배열 된다. 오로지 강성 전기(rigid electrical) 전도체는 분배기 모듈(42)의 내부에서 단상 인터페이스(16,26,36)에서 제1 3상 인터페이스(51)로 유도된다.
출중계 급전선 면에 있어서, 제3 분배기 모듈(44)은 회로 차단기 하우징(13,23,33)에 연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3 분배기 모듈(44)이 회로 차단기 하우징(13,23,33) 중 하나의 하우징에 연결되게 하는(각각의 경우에) 세 개의 단상 인터페이스(18,28,38)를 상기 모듈(44)이 갖는다. 더욱이, 제3 분배기 모듈(44)은, 3상 출중계 급전선 유닛(46)이 연결되는 제2 3상 인터페이스(52)를 갖는다.
이 출중계 급전선 유닛(46)은, 연속으로 연결되고 세 개의 출중계 급전선 아이솔레이터, 세 개의 출중계 급전선 접지 스위치 그리고 세 개의 고속 접지 스위치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미 도시)가 예컨대, 배열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미 도시)로 분리된다. 서로에 관한 전도체의 전압 및/또는 접지에 관한 전도체의 전압을 측정하는 3상 전압 트랜스(transformer)(미 도시)는 출중계 급전선 유닛(46)에 고정된다.
더욱이, 출중계 급전선 유닛(46)은 출중계 급전선 면에서, 고전압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세 개의 케이블 접점을 갖는 3상 접점(미 도시)을 포함한다. 마친가지로, 오버헤드 라인의 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한 3상 옥외 투관 또는 트랜스(transformer)를 연결하기 위한 3상 연결 요소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출중계 급전선 면에 놓여 있는 3상 접점에 대한 대안으로서, 세 개의 단상 접점은 또한 예컨대, 고전압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실현될 수 있다.
회로 차단기(12,22,32), 출중계 급전선 아이솔레이터 또는 출중계 급전선 접지 스위치와 같은 스위칭 디바이스는 예컨대, 제3 분배기 모듈(44)의 하우징 바깥에 배열된다. 오로지 강성 전기(rigid electrical) 전도체는 제3 분배기 모듈(44)의 내부에서 단상 인터페이스(18,28,38)에서 제2 3상 인터페이스(52)로 유도된다(각각의 경우에).
도 3은 제3 3상 인터페이스(53)와 제4 3상 인터페이스(54)를 갖는 제2 분배기 모듈(43)을 도시한다. 3상 인터페이스(53,54)는 (각각의 경우에)하나의 버스바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같은 경우)제2 분배기 모듈(43)은 원통형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중간 축은 도면의 수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한다.
제3 3상 인터페이스(53)는 원통형 하우징의 외부 지시 면(outwardly pointing side)에 설치된다. 제3 3상 인터페이스(53)는 세 개의 전기 위상 전도체(L1,L2,L3)뿐만 아니라 이것을 제2 버스바 모듈{(41)(미 도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플랜지 커넥터를 포함한다. 세 개의 전기 위상 전도체(L1,L2,L3)는 제3 3상 인터페이스(53)의 플랜지 커넥터를 통과하여 버스바 모듈의 버스바 아이솔레이터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마찬가지로 세 개의 전기 위상 전도체(L1,L2,L3)뿐만 아니라 이것을 제2 버스바 모듈{(41)(미 도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플랜지 커넥터를 갖는 제4(forth) 3상 인터페이스(54)는 제2 분배기 모듈(43)의 원통형 하우징의 외부 지시 면(outwardly pointing side)에 부착된다. 세 개의 전기 위상 전도체(L1,L2,L3)는 제4 3상 인터페이스(54)의 플랜지 커넥터를 통과하여 버스바 모듈의 버스바 아이솔 레이터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제7 단상 인터페이스(116), 제8 단상 인터페이스 그리고 제9 단상 인터페이스는 제2 분배기 모듈(43)의 원통형 하우징의 대한 외부 지시 면에 위치하고, (일 예로) 제3 3상 인터페이스(53)와는 완전히 (diametrically) 정반대가 된다. 이러한 세 개의 단상 인터페이스 각각은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회로 차단기 하우징(미 도시)을 고정시키기 위한 플랜지 커넥터를 갖는다. 오직 제7 단상 인터페이스(116)만이 도시된 도면에서 볼 수 있으나, 제8 단상 인터페이스와 제9 단상 인터페이스는 제7 단상 인터페이스(116)에 의해 숨겨져 있다.
제1 전기 위상 전도체(L1)는 제7 단상 인터페이스(116)의 플랜지 커넥터를 통과하여 단상 회로 차단기에 연결될 수 있다.
대응하여, 제2 전기 위상 전도체(L2)는 제8 단상 인터페이스(미 도시)의 플랜지 커넥터를 통과하여 단상 회로 차단기에 연결될 수 있고, 제3 전기 위상 전도체(L3)는 제9 단상 인터페이스(미 도시)의 플랜지 커넥터를 통과하여 단상 회로 차단기에 이와 같이 연결될 수 있다.
제7 단상 인터페이스(116)에 근처에 제2 분배기 모듈(43)의 하우징 내에 배열되어 제1 위상 전도체(L1)를 둘러싸는 제7 전류 트랜스(117)는 제7 단상 인터페이스(116)와 관련된다.
대응하여, 제8 단상 인터페이스 근처에 제2 분배기 모듈(43)의 하우징 내에 배열되어 위상 전도체(L2)를 둘러싸는 제8 전류 트랜스는 제8 단상 인터페이스와 관련된다. 제9 단상 인터페이스에 근접해 있고 위상 전도체(L3)를 둘러싸는 제2 분 배기 모듈(43)의 하우징 내에 배열되는 제9 전류 트랜스는 제9 단상 인터페이스와 조합된다.
도시된 도면에서, 제8 및 9 단상 인터페이스를 통과하는 각각의 위상 전도체(L2,L3)의 해당 부분은 보여지지 않으며, 이는 제1 위상 전도체(L1)에 의해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8 및 9 전류 트랜스도 제7 전류 트랜스(117)에 의해 숨겨진다.
본 예에서, 제2 분배기 모듈(43)은 두 개의 3상 인터페이스(53,54)를 갖는다. 그러나, 하나의 분배기 모듈이 단지 하나 또는 셋 이상 예컨대, 세 개의 3상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이 또한 생각될 수 있다.
도 4는 출중계 급전선 유닛에 연결하기 위한 제3 분배기 모듈(44)을 도시한다. 제3 분배기 모듈(44)은 세 개의 전기 위상 전도체(L1,L2,L3)뿐만 아니라 출중계 급전선 유닛(미 도시)을 고정시키기 위한 플랜지 커넥터를 갖는 제2 3상 인터페이스(52)를 갖는다.
더욱이, 제3 분배기 모듈(44)은 제4 단상 인터페이스(18), 제5 단상 인터페이스(28) 그리고 제6 단상 인터페이스(38)를 갖는다. 세 개의 단상 인터페이스(18,28,38) 각각은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회로 차단기 하우징(미 도시)을 고정시키기 위한 플랜지 커넥터를 포함한다.
제1 위상 전도체(L1)의 커넥터 단면은 제2 3상 인터페이스(52)의 플랜지 커넥터를 통과하여 그것이 이와 같이 통과하는 제4 단상 인터페이스(18)로 제3 분배기 모듈(44)의 하우징의 내부를 통해 유도된다.
제2 위상 전도체(L2)의 커넥터 단면은 제2 3상 인터페이스(52)의 플랜지 커넥터를 통과하여 이와 같이 그것이 통과하는 제5 단상 인터페이스(28)로 제3 분배기 모듈(44)의 내부를 통해 유도된다. 대응하여, 제3 위상 전도체(L3)의 커넥터 단면은 제2 3상 인터페이스(52)의 플랜지 커넥터를 통과하여 이와 같이 통과하는 제6 단상 인터페이스(38)로 제3 분배기 모듈(44)의 하우징의 내부를 통해 유도된다.
제4 단상 인터페이스(18)와 관련되는 제4 전류 트랜스(19)는 제4 단상 인터페이스(18) 근처에 제3 분배기 모듈(44) 내에 배열되며 그리고 제1 위상 전도체(L1)를 둘러싼다.
대응하여, 위상 전도체(L2)를 둘러싸는 제5 전류 트랜스(29)는 제5 단상 인터페이스(28)와 조합하고, 위상 전도체(L3)를 둘러싸는 제6 전류 트랜스(39)는 제6 단상 인터페이스(38)와 조합된다.
도시되는 본 예에서, 제2 3상 인터페이스(52)는 완전히 직경방향에서 단상 인터페이스(18,28,38)와 반대로 놓여 있는 제3 분배기 모듈(44)의 하우징 면에 배열된다. 다른 배열도 또한 생각 할 수 있다. 예컨대, 3상 인터페이스(52)는, 중앙 축이 중간 축의 단상 인터페이스(18,28,38)의 중앙 축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상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의 제3 3상 출중계 급전선 패널(80)에 대한 회로도를 도시한다. 제3 3상 출중계 급전선 패널(80)은 (이 경우에) 제2 버스바 모듈(41)을 갖는다. 제1 분배기 모듈(42)은 제1 3상 인터페이스(51)의 플랜지 커넥터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방사적으로 돌출되는 플랜지 커넥 터(radially protruding flange connector)는 제2 버스바 모듈(41)의 원통형 하우징 바깥에 붙게 된다.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단상 회로 차단기(12,22,32)는 제1 분배기 모듈(42)의 단상 인터페이스(16,26,36)에 연결된다. 이때,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단상 출중계 급전선 하우징(14,24,34)은 단상 회로 차단기(12,22,32)의 회로 차단기 하우징(13,23,33)에 연결된다.
Figure 112007042699999-PCT00001
Figure 112007042699999-PCT0000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를 위한 모듈에 이용된다.

Claims (13)

  1.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로서,
    3상 전도체(L1,L2,L3)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를 가지며, 각 상의 전도체(L1,L2,L3)는 이와 관련되는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21,31)의 입력 측에 연결되고, 이 3상 전도체(L1,L2,L3)와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21,31)는 3상 버스바 모듈(40,41)에 배열되고 상기 어셈블리는 분리된 회로 차단기 하우징(13,23,33)에 각각 배열되는 세 개의 단상 회로 차단기(12,22,32)를 가지며, 이 각각의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21,31)는 (각각의 경우에) 이와 관련되는 입력 측 상에서 하나의 회로 차단기(12,22,32)에 연결되는,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버스바 모듈(40,41)내의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21,31)와 회로 차단기(12,22,32)는 버스바 브랜치(branch)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
  3. 제 1항 및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3상 인터페이스(51,52,53,54)와 세 개의 단상 인터페이스(16,26,36,18,28,38)와 세 개의 위상 전도체(L1,L2,L3)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 모듈을 가지며, (각각의 경우에) 상기 위상 전도체(L1,L2,L3) 중 하나의 위상 전도체는 (각각의 경우에) 단상 인터페이스(16,26,36,18,28,38) 중 하나의 단상 인터페이스로 적어도 하나의 3상 인터페이스(51,52,53,54)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분배기 모듈((42,43,44)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1 분배기 모듈은 버스바 모듈(41)과 회로 차단기(12,22,32)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
  5. 제 3항 및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배기 모듈((42,43,44)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2 분배기 모듈은 3상 출중계 급전선 유닛(46)과 회로 차단기(12,22,32)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
  6.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전류 트랜스는 각각의 회로 차단기(12,22,32)와 관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류 트랜스(17,27,37)는 입력 측에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전류 트랜스(19,29,39)는 각각의 회로 차단기(12,22,32)의 출력 측에 배열되는,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
  7.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를 위한 버스바 모듈(40)로서,
    공동 하우징에 배열되는 세 개의 위상 전도체(L1,L2,L3)와 세 개의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21,31)를 가지며, 각각의 위상 전도체(L1,L2,L3)는 이와 관련되는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21,31)의 입력 측에 연결되고, 단상 인터페이스가 출력 측 상의 각각의 버스바 아이솔레이터(11,21,31)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위상 전도체(L1,L2,L3)는 두 개의 추가적인 버스바 모듈(40,41)의 위상 전도체(L1,L2,L3)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모듈.
  9.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를 위한 분배기 모듈(42,43,44)로서,
    상기 모듈은 세 개의 위상 전도체(L1,L2,L3)를 가지며, 상기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3상 인터페이스(51,52,53,54)와 세 개의 단상 인터페이스(16,26,36,18,28,38)를 가지며, 위상 전도체(L1,L2,L3) 중 하나의 위상 전도체는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3상 인터페이스(51,52,53,54)로부터 각각의 경우에, 단상 인터페이스(16,26,36,18,28,38) 중 하나의 단상 인터페이스로 유도되는, 분배기 모듈.
  10. 제 9항에 있어서,
    스위칭 디바이스는 분배기 모듈(42,43,44)의 하우징 내부에서 회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모듈.
  11. 제 9항 및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류 트랜스(17,27,37,19,29,39)는 분배기 모듈(42,43,44)의 하우징 내부에서 각각의 위상 전도체(L1,L2,L3)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모듈.
  12. 제 11항에 있어서,
    전류 트랜스(17,27,37,19,29,39)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 트랜스는 각각의 위상 전도체(L1,L2,L3)를 위해 그것의 단상 인터페이스(16,26,36,18,28,38) 근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모듈.
  13. 제 9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배기 모듈(42,44)은 정확하게 하나의 3상 인터페이스(51,5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모듈.
KR1020077013270A 2004-12-21 2005-12-15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 버스바 모듈, 및 분할 모듈 KR101189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61358.3 2004-12-21
DE102004061358A DE102004061358B4 (de) 2004-12-21 2004-12-21 Hochspannungsschaltanlage
PCT/EP2005/013474 WO2006066785A1 (de) 2004-12-21 2005-12-15 Hochspannungsschalt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692A true KR20070088692A (ko) 2007-08-29
KR101189730B1 KR101189730B1 (ko) 2012-10-10

Family

ID=36096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270A KR101189730B1 (ko) 2004-12-21 2005-12-15 가스 절연되는 고전압 스위치기어 어셈블리, 버스바 모듈, 및 분할 모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027152B1 (ko)
EP (1) EP1829075B2 (ko)
JP (1) JP4490486B2 (ko)
KR (1) KR101189730B1 (ko)
CN (1) CN101084564B (ko)
AT (1) ATE424618T1 (ko)
DE (2) DE102004061358B4 (ko)
WO (1) WO20060667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47200A1 (de) * 2007-05-31 2008-12-04 Abb Technology Ag Hochspannungsschaltanlage
DE102010013877B4 (de) 2009-05-20 2014-07-17 Abb Technology Ag Elektrischer Leistungsschalter und Schaltfeld mit Leistungsschalter
BRPI1011772A2 (pt) * 2010-01-18 2018-03-13 Abb Technology Ag módulo de encapsulamento com chaves isolantes para um conjunto comutador.
DE102010004971A1 (de) * 2010-01-18 2011-07-21 Abb Technology Ag Vorrichtung für eine Schaltanlage
DE102010026014A1 (de) * 2010-06-29 2011-12-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Druckgasisoliertes mehrphasiges Schaltfeld
DE102011089398A1 (de) * 2011-12-21 2013-06-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hrphasige gasisolierte Schaltanlage
US11476647B1 (en) 2021-04-22 2022-10-18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aintenance grounding device in motor control center with integrated interlock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20376A (ko) * 1961-07-19
US4032820A (en) * 1974-05-06 1977-06-28 Hitachi, Ltd. Horizontal double plane high voltage switching assembly
NL160973C (nl) * 1976-07-23 1979-12-17 Coq Bv Meerfasen scheidingsschakelaar.
JPS596568B2 (ja) * 1979-02-02 1984-02-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3相一括形ガス絶縁母線
JP3020499B2 (ja) * 1988-01-11 2000-03-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828925B2 (ja) * 1988-03-11 1996-03-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2104703U (ko) * 1989-01-31 1990-08-21
JPH0799890B2 (ja) * 1989-09-18 1995-10-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DE4438787C1 (de) * 1994-10-19 1996-05-23 Siemens Ag Metallgekapselte Hochspannungsschaltanlage mit einer dreipolig gekapselten Sammelschiene
DE19606213A1 (de) * 1995-08-18 1997-02-20 Abb Patent Gmbh Schaltfeld in einer elektrischen, metallgekapselten, gasisolierten Hochspannungsschaltanlage
US5808258A (en) * 1995-12-26 1998-09-15 Amerace Corporation Encapsulated high voltage vacuum switches
KR19980059805A (ko) * 1996-12-31 1998-10-07 이종수 가스절연 개폐기의 접지장치
DE19732487C1 (de) * 1997-07-23 1998-11-26 Siemens Ag Mehrphasige gasisolierte Schaltanlage mit Trennschaltern für die Hochspannungstechnik
DE19807777C1 (de) * 1998-02-18 1999-11-11 Siemens Ag Schaltfeld für eine gasisolierte Schaltanlage mit liegenden Leistungsschaltern und einer einseitig zu einer vertikalen Strombahn angeordneten dreiphasig gekapselten Doppelsammelschiene
DE29816914U1 (de) * 1998-09-14 1999-10-21 Siemens Ag Gasisolierte Schaltanlage mit dreiphasig gekapselter Sammelschiene und einphasig gekapselten Leistungsschaltern
JP2001016721A (ja) * 1999-06-24 2001-01-19 Hitachi Ltd ガス絶縁電気機器
US6373015B1 (en) * 2000-01-03 2002-04-16 Eaton Corporation Integral load connector module
JP2003189430A (ja) * 2001-12-18 2003-07-04 Hitachi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3230208A (ja) * 2002-01-31 2003-08-15 Hitachi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TWI251847B (en) * 2003-12-26 2006-03-21 Hitachi Ltd Vacuum switchgear system and kit f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90486B2 (ja) 2010-06-23
WO2006066785A1 (de) 2006-06-29
KR101189730B1 (ko) 2012-10-10
DE102004061358A1 (de) 2006-07-06
DE102004061358B4 (de) 2012-07-05
DE502005006771D1 (de) 2009-04-16
ATE424618T1 (de) 2009-03-15
EP1829075B2 (de) 2013-06-19
CN101084564B (zh) 2013-04-24
EP1829075A1 (de) 2007-09-05
EP1829075B1 (de) 2009-03-04
CN101084564A (zh) 2007-12-05
US8027152B1 (en) 2011-09-27
JP2008524974A (ja) 2008-07-10
US8400759B2 (en) 2013-03-19
US20110286153A1 (en)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0759B2 (en) High-voltage switchgear assembly
US10643809B2 (en) Medium-voltage electric distribution cubicle
US7944680B2 (en) High-voltage switchgear
CN101540484B (zh) 开关机构
US9177730B2 (en) Terminal for an electrical switchgear
EP1705766A1 (en) Gas-insulated switchgear assembly
NZ569407A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individually isolatable functional zones
PL372441A1 (en) Switching installation provided with an electrically insulating barrier
EP3062403A1 (en) Gas-insulated switchgear
KR101580088B1 (ko) 복합절연 배전반
US9355792B2 (en) Gas insulated switchgear
KR101271146B1 (ko) 기체절연 개폐장치
US20130201607A1 (en) Pressurised gas-insulated multi-phase control panel
US6134101A (en) Gas-insulated, metal-enclosed switchgear assembly
KR20090106391A (ko) 고전압 개폐기
KR100974006B1 (ko) 진공차단기에 변류애자가 설치된 수배전반
US5841629A (en) High voltage hybrid design switchgear
EP1705767A1 (en) Combined disconnector-earthing switch device
US20110096468A1 (en) Medium-voltage switchgear
CN107431338B (zh) 气体绝缘开关装置
KR20150141051A (ko) 배전자동화용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KR20090106475A (ko) 고전압 개폐기
JP2011234463A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JP2012231576A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JP2003153407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