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620A - 제어 및 데이터 필드의 효과적인 파티셔닝 - Google Patents

제어 및 데이터 필드의 효과적인 파티셔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620A
KR20070088620A KR1020077008739A KR20077008739A KR20070088620A KR 20070088620 A KR20070088620 A KR 20070088620A KR 1020077008739 A KR1020077008739 A KR 1020077008739A KR 20077008739 A KR20077008739 A KR 20077008739A KR 20070088620 A KR20070088620 A KR 20070088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control field
request
decoding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846B1 (ko
Inventor
애쉬윈 삼파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8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3Formatting with frames or packets; Protocol or part of protocol for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실시형태는 지연과 프로세싱 시간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를 설명한다. 단일의 제어 필드는 하나의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을 트레이드 오프한다. 또한, 제어 필드는 2 개의 부분으로 스플릿될 수 있어, 스케쥴링, 인코딩 및 디코딩하는데 충분한 프로세싱 시간을 유지하며 양호한 지연 성능을 획득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하나의 홉 상의 ACK/NACK 필드는 다중 홉 시스템에서 다음 홉상에서 자원에 대한 요청이 되는 이중 목적을 서빙할 수 있다. 또한, 지연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함축 확인응답 모니터링이 설명된다.
지연, 확인응답

Description

제어 및 데이터 필드의 효과적인 파티셔닝{EFFICIENT PARTITIONING OF CONTROL AND DATA FIELD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이 출원은 본 명세서 전체에 참조로서 포함되고 발명의 명칭이 "제어 및 데이터 필드의 파티셔닝{PARTITIONING OF CONTROL AND DATA FIELDS}" 인 2005 년 11 월 16 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제 60/737,688 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배경
I. 분야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특히, 다중 홉 (multi-hop)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에 관한 것이다.
Ⅱ. 배경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사용자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예를 들어, 내부 또는 외부) 에 관계없이 및 사용자가 이동중인지 정지중인지에 관계없이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이동 디바이스를 통해 확립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지역적 범위 또는 셀을 커버하고, 이동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경우, 이동 디바이스는 이들 지역적 셀로 및 지역적 셀 밖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가상적으로 간섭되지 않은 통신을 획득하기 위해, 이동 디바이스에는 그 이동 디바이스가 입장하는 셀의 자원이 할당되고, 이동 디바이스가 나오는 셀의 자원이 해제된다.
다중 홉 토폴로지에서, 통신 또는 송신은 다수의 무선 홉 또는 세그멘트를 통해 공중 (예를 들어, 인터넷) 또는 개인 네트워크에 유선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로 전달된다. 전체적인 지연은 직접 관련된 홉 동안뿐만 아니라, 전체 통신 경로 (예를 들어, 소스로부터 목적지까지) 에 대해 고려되어야 하는 몇몇 이슈중 하나이다. 제어 필드가 자원을 요청 및/또는 자원을 승인하며 송신을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슬롯의 시작부의 단일의 위치에 배치된 제어 필드는 지연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 문제는 다중-홉 무선 네크워크에서 사용되는 경우, 두드러질 수 있다.
요약
다음은 개시된 실시형태의 일부 양태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간략화된 요약을 나타낸다. 이 요약은 광범위한 개관이 아니고, 중요하거나 결정적인 소자를 식별하지도 않고 이러한 실시형태의 범위를 정확히 서술하지도 않도록 의도된다. 이것의 유일한 목적은 개시된 실시형태의 일부 개념을 후술되는 더욱 상세한 설명에 대한 전조로서 간략한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 및 대응하는 상세한 설명에 따라, 프레임내에서 제어 및 데이터 필드를 파티셔닝하는 것에 대해 다양한 양태가 개시된다. 프레임내에서 제어 및 데이터 필드의 적당한 파티셔닝은 충분한 프로세싱 시간을 허용하며, 데이터 송신에서의 최소 지연을 보장하는데 중요하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데이터 통신에 대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에 시간 분할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시간 분할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의 프레임내에 제어 필드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방법은 필요한 디코딩 시간이 인코딩 시간보다 긴 경우, 슬롯 중앙의 우측에 제어 필드를 배치하는 단계 및 필요한 디코딩 시간이 인코딩 시간보다 짧은 경우, 슬롯 중앙의 좌측에 제어 필드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송신기에서의 인코딩 및 수신기에서의 디코딩 에 더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싱의 또 다른 양태는 스케쥴러가 어느 송신기에 자원이 승인되어야 하는지와 얼마나 많은 자원이 승인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에 사용가능한 시간이다. 스플릿 제어 필드 접근은 프레임 또는 지속 기간을 증가시키지 않고 스케쥴링하는데 가능한 많은 시간을 허용하는 것에 추가적인 유연성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데이터 통신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에 시간 파티션을 결정하는 시간 파티션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프레임 내에 제어 필드의 배치를 결정하는 슬롯 배치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는 또한 전송 노드로부터의 ACK/NACK 필드를 모니터링하고 ACK/NACK 필드를 자원에 대한 요청으로서 고려하는 함축 요청 모니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데이터 통신에 대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구비한다. 상기 방법은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에 시간의 파티션 을 설정하는 단계 및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에 설정된 시간을 획득하기 위해 데이터 프레임의 선택적인 위치에 제어 필드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데이터 통신용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가 존재한다. 프로세서는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에 시간 분할을 선택하고, 선택된 시간 분할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의 프레임 내에 제어 필드를 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분할을 확인하는 수단 및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에 확인된 분할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프레임 내에 제어 필드를 검색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제어 필드를 2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수단, 예측 요청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수단, 및 ACK 을 디코딩하고 이 ACK 를 자원에 대한 함축 요청으로서 사용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전술된 목적 및 관련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는 이하 상세히 설명되고 청구항에서 특별히 지적된 특징들을 포함한다. 다음의 설명 및 상세히 주어진 첨부된 도면은 설명적인 양태를 확인하고, 실시형태의 이론이 사용될 수도 있는 단지 몇몇의 방법을 나타낸다. 다른 이점 및 신규한 특징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고,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양태 및 이들의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여기서 개시된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라 다중 홉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 는 다중-홉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를 통신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 은 데이터 송신의 제어 및 데이터 필드를 선택적으로 파티셔닝하는 시스템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낸다.
도 4 는 송신 및 수신 시간 라인을 나타낸다.
도 5 는 여기서 개시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어 필드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6 은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필드의 스플릿 배치를 나타낸다.
도 7 은 데이터 및 제어 필드를 선택적으로 파티셔닝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 은 단일의 위치 배치에서 제어 필드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9 는 데이터 통신용 스플릿 배치 제어 필드를 사용하는 설계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0 은 여기서 개시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다중 통신 프로토콜 사이에 통신을 조정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1 은 다양한 양태에 따라 무선 통신 환경에서 통신을 조정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2 는 여기서 개시된 다양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환경을 나타낸다.
도 13 은 다중-홉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의 제어 및 데이터 필드를 선택적으로 파티셔닝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다양한 실시형태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이 하나 이상의 양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주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형태(들) 은 특정 세부사항 없이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또 다른 예에서, 이들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지된 구조 및 디바이스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이 출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부품", "모듈",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 중 하나인, 컴퓨터 관련 엔터티를 칭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부품은 프로세서상에서 동작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대상, 실행가능한 것, 실행의 흐름,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의 방법으로, 계산 디바이스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계산 디바이스 모두 부품이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부품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흐름내에 상주할 수 있고, 부품은는 하나의 컴퓨터상에 집중 및/또는 2 개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 분배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부품은 그 위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부품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 (예를 들어, 지역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의 또 다른 부품 및/또는 신 호의 방법으로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부품으로부터의 데이터) 을 갖는 신호 에 따르는 바와 같이 지역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의 방법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여기서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해서 설명된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또한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 국, 이동국, 이동 디바이스, 원격 국,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원격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 무선 단말기, 핸드셋, 호스트,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로 칭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셀룰러 전화기,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폰, 무선 가입자 회선 (wireless local loop: WLL) 국, PDA, 무선 접속 용량을 가진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양태 또는 특징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하는 제조의 방법, 장치, 또는 아티클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제조의 아티클" 은 임의의 컴퓨터 디바이스,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 디스크 (예를 들어, CD (compact disk), DVD (digital versatile disk)...), 스마트 카드,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드, 스틱, 키 디바이스...) 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형태가 다수의 부품,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는 시스템의 관점 에서 표현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은 추가적인 부품,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고/또는 도면과 연관되어 논의된 모든 부품, 모듈 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들 접근들의 조합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양태 및 실시형태가 시간 분할 듀플렉스 (Time Division Duplex; TDD) 와 연관하여 설명될 수도 있다. 이들 발명의 양태가 설명된 실시형태의 사용에 적합하지만, 마찬가지로 이들 창조적인 양태는 다양한 다른 시스템에서의 사용에 적합함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TDD 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단지 이 창조적인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발명의 양태는 광범위한 적용을 가진다.
도면을 참조하는 경우, 도 1 은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라 다중-홉 통신 시스템 (100) 의 표현이다. 액세스 포인트 노드 (102, 104, 106, 108, 110, 및 112) 는 나무형 구성으로 (예를 들어, 무선으로) 접속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 (102) 는 유일한 와이어드 액세스 포인트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인터넷에 배선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액세스 포인트 (104 내지 112)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가 배선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 (114, 116, 118 및 120) 는 필요한 경우, 다중 홉 (예를 들어, 액세스 노드 (104 내지 112)) 을 통해 배선될 액세스 노드 (102) 와 통신한다. 배선될 액세스 노드 (102) 가 액세스 단말기 (114 내지 120) 에 대해 의도된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 순방향 링크가 확립된다.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기 (114 내지 120) 가 배선 액세스 포인트 (102) 에 대해 의도된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 역방향 링크가 확립된 다. 다중 홉 무선 네트워크는 도시되고 설명된 홉보다 더 많거나 적은 홉을 가질 수 있고, 상이한 액세스 단말기들은 상이한 개수의 홉을 가질 수도 있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TDD 시스템이 설명될 것이고, 여기서 수신기는 송신기로부터의 수신 요청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을 스케쥴링한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노드는 동시에 송수신을 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설명의 목적을 위해, 컬러링 방식 또는 스트래티지가 설명되고, 대안적인 노드가 상이하게 컬러링되고 시간은 컬러링된 시간 슬롯으로 분할된다. 노드는 그것의 컬러에 대응하는 시간 슬롯에서 송신하고, 다른 컬러의 시간 슬롯 동안 리스닝한다. 다양한 다른 스트래티지가 대안적인 노드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컬러는 단지 여기서 설명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었다.
2 개의 컬러 스트래티지를 사용하는 경우, 액세스 노드 (104 및 106) 및 단말기 (116, 118 및 120) 은 하나의 컬러, 예를 들어, 그린이다. 배선 액세스 노드 (102), 액세스 노드 (108, 110 및 112) 및 단말기 (114) 는 제 2 컬러, 예를 들어, 레드이다. 그 결과, 나무에서의 접속된 노드는 이 방식에서 동일한 컬러에 의해 표현되지 않는다.
수신기 기반 스케쥴링 시스템에서, 송신은 대향하는 컬러 사이에서만 허용되어야 한다. 이 구성에서, 2 개의 컬러 사이에서 번갈아가면서, 노드는 동기화되고 시간 슬롯은 고정된 지속 기간이 된다. 각각의 시간 슬롯은 제어 및 데이터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시간 슬롯의 컬러에 대응하는 시간 슬롯에서, 송신기는 자원을 요구하는 수신기에 요청을 전송한다. 대향하는 컬러의 후 속하는 시간 슬롯에서, 수신기는 어느 사용자가 어느 자원을 송신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이 태스크는 통상적으로 스케쥴링으로 칭함). 다음 시간 슬롯에서, 승인 (GRANT) 을 수신한 송신기는 수신기가 데이터를 정확히 디코딩할 수 있었는지에 의존하여 송신기에 확인응답 (ACK; acknowledgment) 또는 부정 확인응답 (NACK; negative-acknowledgment) 를 차례로 전송할 수신기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물리층 패킷은 현재 홉에서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후에만, 다음 홉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한다.
시스템 (100) 에서의 데이터 송신은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제어 및 데이터 필드의 선택적인 파티셔닝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티셔닝은 데이터 송신에서 감소된 지연을 제공하고, 데이터 송신에 대해 충분한 프로세싱 시간을 허용한다. 또한, 선택적인 파티셔닝은 데이터 송신과 연관된 파라미터에 의존하여 데이터 송신에서의 지연과 프로세싱 시간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사용가능한 스케쥴링 시간, 사용가능한 디코딩 시간, 사용가능한 패킷 준비 시간 (또한 인코딩 시간으로도 칭함), 및/또는 제 1 송신 종료부터 재송신 시작까지 관리되는 지연 (패킷이 확인응답되지 않는 경우 (NACK)), 송신 종료부터 다음 홉 송신 시작까지인 홉 지연, 또는 필요한 인터레이스 (interlace)/HARQ 채널 (증가하는 인터레이스로 프로세싱 및 시그널링에 복잡성을 부가함)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는 다중 홉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를 통신하는 시스템 (200) 을 도시한다. 시스템 (200) 은 송신기 (204) 및 수신기 (206) 을 포함하고 전술된 무 선 시스템 (100) 에 유사한 무선 네트워크 (202) 를 포함한다. 다수의 송신기(들) (204) 및 수신기(들) (206) 이 무선 네트워크 (202) 에 포함될 수 있지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일의 수신기 (206) 에 통신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단일의 송신기 (204) 가 단순함의 목적을 위해 설명된다. 송신기 (204) 는 적당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OFDM, OFDMA, CDMA, TDMA, GSM, HSDPA,...) 에 따라 데이터 송신을 변조 및/또는 인코딩할 수 있는 인코더 부품 (208) 을 포함하고, 그 후, 신호가 수신기 (206) 에 송신될 수 있다. 인코더 부품 (208) 은 예를 들어 소스 인코더에 후속하는 채널 인코더일 수 있다. 채널 인코더는 콘볼루션, 터보 또는 LDPC (Low-Density Parity Check) 인코딩과 같은 방식에 기초할 수 있다.
수신기 (206) 는 수신된 데이터 송신을 디코딩할 수 있는 디코더 부품 (210) 을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의 성공적인 디코딩시, 확인응답 (ACK) 부품 (212) 은 데이터 송신이 수신되고 디코딩되었고, 따라서 재송신이 필요없다는 것을 송신기 (204) 에 통지하기 위해, 송신기 (204) 에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 송신의 성공적인 디코딩을 나타내는 확인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ACK 부품 (212) 은 ACK/NACK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확인응답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신의 성공적인 디코딩이 없는 경우, 확인응답 부품 (212) 은 부정 확인응답 (NACK) 을 송신할 수 있다. NACK 는 송신기 (204) 에 데이터 송신이 수신되지 않았고 및/또는 수신기 (206) 에 의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았다는 것을 통지하기 위해 송신기 (204) 에 전송될 수 있다. 그 결과, 이러한 데이터의 통신이 다시 송신되는 경우, 송신기 (204) 는 데이터 송신, 또는 데이터 통신의 일부를 재송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신에 대한 최적의 스케쥴링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스케쥴러 (214) 가 수신기 (206) 에 포함된다. 그 결과, 주요 프로세싱 횟수 또는 지연 (예를 들어, 인코딩, 디코딩, 및 스케쥴링) 은 개별 부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횟수가 동일한 부품에 의해 결정되고, 그 결과, 3 개의 개별 부품은 이들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신기 (206) 는 유사한 프로세스를 따르는 다음 수신기 (미도시) 에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이 의도된 수신자에 도달할 때까지 이 프로세스는 임의의 개수의 홉에 걸쳐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 A 는 노드 C 로 보내지도록 노드 B 에 통신을 전송하기 원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노드 B 는 일반적으로, 노드 B 가 노드 A 의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결정하기 전에는 노드 C 에 송신을 요구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일부 상황에서,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 특히 노드 B 가 노드 A 의 패킷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확률이 매우 높은 경우에는, 노드 B 는 노드 A 로부터 패킷의 디코딩을 완료하기 전에 노드 C 에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예측 요청이라 칭한다. 그러나, 예측 요청은 낭비 자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낭비 자원은 예를 들어, 노드 C 는 노드 B 에 자원을 승인하지만, 노드 B 는 노드 A 로부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기를 실패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스플릿 배치 제어 필드가 사용되는 경우, 수신기 (206) 는 예측 요청을 방지하기 위해 앞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ACK 를 리스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 (204) 는 또 다른 단말기 (미도시) 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가질 수도 있고, 이러한 데이터는 수신기 (206) 에 전송되도록 의도된다. 송신기 (204) 가 다른 단말기 (미도시) 로부터 송신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한 후에만, 송신기 (204) 는 수신기 (206) 에 전송하기 위해 다른 단말기 (미도시) 로부터 자원을 요청해야 한다. 그러나, 수신기 (206) 는 송신기 (204) 가 다른 단말기 (미도시) 에 전송한 ACK 를 리스닝한 경우, 그 후, 수신기 (206) 는 송신기 (204) 에 의한 자원에 대한 요청을 추론하기 위해 ACK 를 함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어 필드의 적당한 배치 및/또는 파티셔닝을 결정하기 위해, 오프 라인 태스크는 다양한 기준을 고려할 수 있다. 오프 라인 태스크는 적당한 배치 및/또는 파티셔닝을 결정하기 위해 정보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설계 모듈 (216) 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 시간이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에서 어떻게 분할되는지가 고려될 수 있다. 다른 기준은 예측 요청의 경감, 더 낮은 재송신 지연 등을 포함한다.
상이한 방식에 대한 제어 필드 파라미터의 예는 2 밀리초의 지속기간을 가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지속기간은 0.2 밀리초일 수 있고, 가드 주기는 0.01 밀리초일 수 있다. 단일의 위치 배치에 대해, 시작 포인트는 슬롯 길이의 0.75 프랙션일 수 있다. REQ/PILOT 필드를 가진 스플릿 필드에 대해, 시 작 포인트는 슬롯의 시작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ILOT 은 송신기에 의해 전송될 수 있고, 수신기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어 PILOT 품질에 기초하여 적당한 GRANT 를 생성할 수 있다. GRANT/ACK 필드를 가진 스플릿 필드에 대해, 시작 포인트는 슬롯 길이의 0.75 프랙션일 수 있다.
아래의 표는 상이한 방식에 대해 관련된 프로세싱 시간 및 지연의 예이다. 프로세싱 시간 및 지연은 밀리초 단위이다. "프론트 (front)" 는 슬롯의 프론트에서의 제어 필드의 단일의 배치를 칭한다. "중앙 (center)" 은 슬롯 중앙에서의 제어 필드의 단일의 배치 위치를 칭한다. "스플릿" 은 제어 필드의 스플릿 배치를 칭하고, "단일의 Loc/Off Center" 는 단일의 위치 배치를 칭한다. 이들 시간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다른 시간이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아래 표에 도시된 시간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측 REQ/자동 승인
프론트 중앙 스플릿 단일의 위치/ 오프중앙
사용가능한 스케쥴링 시간 1.81 1.81 3.31 1.81
사용가능한 "디코딩" 시간 4.23 0.91 1.51 1.51
사용가능한 "인코딩" 시간 2.01 0.91 0.31 0.31
제 1 Tx 종료에서 Retx 시작 6.24 2.02 2.02 2.02
홉 지연: Tx 종료에서 다음 홉 Tx 시작 4.23 4.03 4.03 4.03
필요한 인터레이스/HARQ Ch 2 1 1 1
표 1 을 참조하면, 인코딩 및 디코딩 사이의 시간의 합은 스플릿 배치 및 단일의 위치/오프 중앙 배치에 대해 동일하다. 이 위치에 의존하여,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의 분할은 양 설계에 대해 변할 수 있다. 그 결과, 중앙 배치와 달리, 분할은 인코딩과 디코딩 사이에서 동일하지 않게 스플릿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디코딩 시간은 인코딩 시간보다 더 길고, 그 결과, 시간이 적당히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스플릿 배치 및 단일의 위치/오프 중앙 배치는 중앙 배치보다 양호한 이점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오프 라인 설계 태스크 또는 모듈 (216) 은 슬롯 내에서 인코딩 시간/디코딩 시간을 최적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시간 파티션 모듈 (218) 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환경에서 디코딩 시간은 인코딩 시간보다 더 길어야 하지만, 다른 환경에서는 더 긴 인코딩 시간이 존재해야 한다. 시간 파티션 모듈 (218) 은 제어 필드를 배치하기 위한 각각의 슬롯의 최상의 부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인코딩 시간/디코딩 시간 트레이드 오프를 획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오프 라인 설계 태스크와 연관된 슬롯 배치 모듈 (220) 또는 모듈 (216) 은 슬롯 내의 최적의 위치에 제어 필드를 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롯 배치 모듈 (220) 은 제어 필드를 2 개의 부분으로 파티셔닝하고 각 부분을 슬롯 내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딩 시간이 인코딩 시간보다 더 길어야 하는 경우, 단일의 제어 필드는 슬롯 중앙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인코딩 시간이 디코딩 시간보다 더 길어야 하는 경우, 슬롯 배치 모듈은 제어 필드를 슬롯 중앙의 좌측에 배치할 수 있다.
2 개의 부분의 결합된 길이는 대략 하나의 슬롯 길이가 되어야 한다. REQUEST 및 PILOT 는 분할된 제어 필드의 하나의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GRANT 및 ACK/NACK 는 분할된 제어 필드의 다른 부분에 배치될 수 있어, 이러한 배치는 예를 들어, 시간 파티션 모듈 (220) 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 은 데이터 송신의 제어 및 데이터 필드를 선택적으로 파티셔닝하는 시스템 (300) 의 일 실시형태이다. 시스템 (300) 은 이전의 도면과 연관하여 설명된 네트워크에 유사한 무선 네트워크 (302) 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302) 는 단일의 송신기 (304) 및 단일의 수신기 (306) 로 설명되지만, 복수의 송신기 및 수신기가 시스템 (300) 에서 사용될 수 있다. 송신기 (304) 는 네트워크 (302) 에 의해 사용되는 변조 방식에 따라 외부로 나가는 신호를 인코딩할 수 있는 인코더 부품 (308) 을 포함한다. 이러한 신호는 수신기 (306) 에 의해 수신되어 디코더 부품 (310) 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확인응답 (ACK) 부품 (312) 은 신호에서 송신된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데이터 패킷 또는 계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을 생성할 수 있고 송신기 (304) 에 확인응답을 리턴할 수 있다. ACK 부품 (312) 은 신호를 수신하는데 문제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 (cyclic redundancy check) 가 매칭하지 않음) , 부정 확인응답 (NACK) 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306) 는 데이터 통신의 적당한 스케쥴링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스케쥴러 (314) 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신기 (306) 에 포함된 요청 모니터 (316) 전송 노드 (예를 들어, 송신기 (304)) 로부터 ACK/NACK 필드를 모니터링하고 ACK/NACK 필드를 자원에 대한 함축 요청으로서 취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함축 요청 모니터 (316) 는 송신기 (304) 에 의해 전송된 ACK 를 듣는것에 기초하여 함축 요청을 모니터링하거나 리스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K 가 검출된 경우, 수신기 (306) 는 ACK 를 자원에 대한 함축 요청으로서 고려할 수 있다. 이전 홉에서 노드에 의해 전송된 ACK 는 함축 요청 모니터 (304) 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고, 이 디코딩된 ACK 는 이전 홉에서 노드에 의한 자원에 대한 함축 요청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3 개의 노드 (A, B 및 C) 가 존재하고, A 는 B 를 통해 C 로 데이터를 전송하기를 원한다. 우선 B 는 A 의 데이터를 올바르게 수신하여 A 에 포지티브 ACK 를 전송할 것이다. C 는 이 ACK 를 듣고 이것을 B 로부터 자원에 대한 요청으로 함축적으로 사용한다. 함축 요청 모니터 (316) 를 사용하는 것은 제어 필드의 제 2 부분에 부가적인 요청 필드의 포함을 경감시킬 수 있다.
송신기 (304), 수신기 (306), 또는 양자는 직렬 포트, 유니버설 직렬 버스 (USB), 병렬 포트, 및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 같은 인프레어드 (infrared) 프로토콜, 짧은 범위의 무선 프로토콜/기술, 블루투스® 기술, ZigBee® 프로토콜, UWB (ultra wide band) 프로토콜, HomeRF (home radio frequency),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WECA (wireless Ethernet compatibility alliance) 와 같은 광대역 기술, Wi-Fi Alliance (wireless fidelity alliance), 802.11 네트워크 기술, 공중 스위칭 전화 네트워크 기술, 인터넷과 같은 공중 혼합 통신 네트워크 기술, 개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 지상 이동 무선 네트워크, 코드 분할 다중 접속 (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WCDMA),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UMTS), 향상된 이동 폰 서비스 (AMPS), 시간 분할 다중 접속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OFDMA), 전 지구적 이동 통신 시스템 (GSM), 싱글 캐리어 (1X) 무선 송신 기술 (RTT), EV-DO (evolution data only) 기술,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EDGE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PDA (high speed downlink data packet access), 아날로그 및 디지털 위성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기술/프로토콜과 같은 통신 프로토콜/표준을 구현하는 배선 및/또는 인터페이스 부품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 부품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설계 모듈 (318) 은 네트워크 (302) 에 포함될 수 있고, 시간 파티션 모듈 및 슬롯 배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설계 모듈(들) (318) 은 설계 모듈 (318) 에 동작적으로 결합된 메모리 (324) 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324) 는 통신 네트워크 (302) 에서의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된 적합한 정보뿐 아니라, 스케쥴링,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충분한 프로세싱 시간을 제공하는 동안 데이터 통신에서의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 (326) 는 통신 네트워크 (302) 에서의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된 정보의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계 모듈 (318) (및/또는 메모리 (324)) 에 동작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프로세서 (326) 는 수신기 (306) 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 및/또는 생성하도록 전용된 프로세서, 시스템 (300) 의 하나 이상의 부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설계 모듈 (318) 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 및 생성 모두를 하며, 시스템 (300) 의 하나 이상의 부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메모리 (324) 는 제어 필드의 배치 또는 수신기 (306) 와 송신기 (304) 사이의 제어 필드의 파티셔닝과 연관된 프로토콜을 저장할 수 있어, 시스템 (300) 은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개선된 통신을 획득하기 위해 저장된 프로토콜 및/또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데이터 저장 부품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인 방법으로,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 (ROM), 프로그래밍가능 ROM (P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가능한 ROM (EPROM), 전기적으로 삭제가능한 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작동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인 방법으로, RAM 은 동기식 RAM (DRAM), 동적 RAM (DRAM), 동기식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SDRAM (DDR SDRAM), 향상된 SDRAM (ESDRAM), 동기링크 DRAM (SLDRAM), 및 DRRAM (direct Rambus RAM) 과 같은 다수의 형태로 사용가능하다. 개시된 실시형태의 메모리 (324) 는 이들 및 다른 적당한 형태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도록 의도된다.
도 4 를 참조하여, 송신 및 수신 시간 라인 (400) 이 도시된다. 402 (제 1 레드 시간 슬롯), 404 (제 2 레드 시간 슬롯), 및 406 (제 3 레드 시간 슬롯) 으로 라벨링된 제 1 컬러 (예를 들어, 레드) 의 접속 포인트에 대한 접속 포인트 (또는 단말기) 송신 주기를 나타내는 3 개의 시간 슬롯이 도시된다. 또한, 408 (제 1 블루 시간 슬롯), 410 (제 2 블루 시간 슬롯), 및 412 (제 3 블루 시간 슬롯) 으로 명칭이 붙여진 제 2 컬러 (예를 들어, 블루) 의 접속 포인트에 대한 접속 포인트 (또는 단말기) 송신 주기를 나타내는 3 개의 시간 슬롯이 도시된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개별 접속 포인트는 레드 및 블루로 칭한다. 그러나, 또 다른 기술이 접속 포인트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컬러는 여기서 간단함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어 필드 (414 내지 424) 는 각각의 시간 슬롯 (402 내지 412) 의 프론트에서 단일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관련 시간 주기는 수평 라인 (426) 으로 나타낼 수 있고, 시간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해당 주기는 시간 라인 (426) 상에서, "REQUEST" (428); "GRANT" (430); "Tx START" (432) 로 라벨링된 데이터 송신 시작; "Tx ENDS" (434) 로 명칭이 붙여진 데이터 송신 종료; "ACK/NACK SENT" (436) 로 나타낸다. 관련 지연은 428 로부터 440 까지의 요청/승인 지연, 428 로부터 442 까지의 요청/승인 지연, 및 444 로부터 446 까지의 ACK/NACK 지연이다.
제 1 레드 스롯 (402) 의 제어 부분 (414) 동안, 요청이 전송된다 (448). 블루 노드에 데이터를 전송하기를 원하는 다른 레드 노드 (미도시) 가 존재하는 경우, 다른 레드 노드는 제 1 레드 시간 슬롯 (402) 의 제어 주기 (414) 또는 요청 동안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수신기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다중 요청을 수신하고 디코딩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해야 한다. 가드 시간 (guard time) 은 450 에서 설명된다.
블루 접속 포인트는 요청(들)을 고려하고 이 요청(들)을 어떻게 승인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GRANT 메시지는 제 1 블루 시간 슬롯 (408) 의 제어 부분 (420) 에서 반송된다. GRANT 를 수신한 레드 접속 포인트는 제 2 레드 시간 슬롯 (404) 에서 송신한다. 디코딩 시간은 통상적으로 가드 시간보다 길기 때문에, 수신 블루 접속 포인트는 제 3 블루 시간 슬롯 (412) 에서 ACK 또는 NACK 를 할 수 있지만, 제 2 시간 슬롯 (410) 에서는 ACK 또는 NACK 를 할 수 없다. 점유된 (occupied) 채널을 유지하기 위해, 2 개의 Hybrid ARQ 인터레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짝수개의 시간 슬롯은 제 1 HARQ 인터레이스 (또는 프로세스) 에 대응할 수 있고, 홀수개의 시간 슬롯은 제 2 HARQ 인터레이스 (또는 프로세스) 에 대응할 수 있다.
관련 지연은 송신 지연, 재송신 지연 및 홉 지연일 수 있다. 송신 지연은 요청을 전송하는 것과 데이터를 송신하기를 시작하는 것 사이의 최소 시간이다. 재송신 지연은 제 1 송신의 종료와 재송신의 시작 사이의 시간이다. 원래의 송신이 수신기에서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은 경우, 재송신이 적절할 수도 있다. 홉 지연은 홉 상의 데이터 송신의 종료에서 다음 홉 상의 동일한 데이터의 송신의 시작 사이의 시간이다.
획득 가능한 지연 (송신, 재송신 및 홉) 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간은 디코딩 시간, 인코딩 시간, 및 스케쥴링 시간이다. 디코딩 시간은 데이터 송신을 완료하는 것과 ACK 또는 NACK 를 수신하는 것 사이의 시간이다. 디코딩 시간은 송신을 디코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콘볼루션, Tubo 또는 LDPC 기반 디코딩) 수신기에서 사용가능한 시간을 나타낸다. 인코딩 시간은 GRANT 를 수신하는 것과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하는 것 사이의 시간이다. 인코딩 시간은 송신기가 GRANT 에 따라 데이터를 준비하는데 (예를 들어, Turbo 또는 LDPC 인코딩 및/또는 HARQ 서브 패킷 형성) 사용가능한 시간이다. 스케쥴링 시간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것과 이들 요청중 하나 이상의 서브 세트에 응답하여 GRANT 를 전송하는 것 사이의 시간이다. 스케쥴링 시간은 수신기가 요청을 프로세싱하고, 스케쥴링 알고리즘을 동작시키며, 어느 사용자가 GRANT 할지와 어떤 자원인지를 결정하는데 사용가능한 시간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필드는 슬롯의 프론트에서 단일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위치의 제어 필드에서, 송신 지연은 대략 2 개의 슬롯이고, 재송신 지연은 대략 3 개의 슬롯이다 (NACK 는 자율 승인과 함께 수반되고, 이 승인은 반드시 요청을 획득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아님을 가정함). 지연 노드는 수신 프로세스에 있어서, 순방향상의 패킷을 지연시기기 위한 요청을 할 수 있지만, 정확히 디코딩할지는 모르는 경우 (여기서 예측 요청으로 칭함) , 홉 지연은 대략 2 개의 슬롯이다. 슬롯의 프론트에 배치된 제어 필드에 대응하는 프로세싱 시간은, 디코딩 시간은 대략 2 개의 슬롯이 걸리고, 인코딩 시간은 대략 하나의 슬롯이 걸리며, 스케쥴링 시간은 대략 하나의 슬롯이 걸린다.
일단 슬롯 사이즈가 고정되거나 설정된 경우에, 지연은 고정되며, 하나의 지연과 또 다른 지연간의 더 이상의 트레이드 오프는 없다. 슬롯 사이즈 자체는 물리 층 패킷 사이즈, 지연 요청, 채널 다이나믹, 페어니스 (fairness)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제한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하나의 슬롯인 스케쥴링 시간은 적당할 수 있지만, 인코딩 및 디코딩 시간은 과도하게 준비될 수도 있다. 슬롯의 프론트에서의 단일의 위치에 제어 필드를 배치하는 것은 인코딩 및 디코딩 시간을 감소하는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지연 매트릭 (metrics) 을 감소시킨다.
도 5 는 여기서 개시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라 제어 필드의 배치를 도시한다. 제 1 접속 포인트 (예를 들어, 레드 접속 포인트; 502) 에 대한 송신 주기 및 제 2 접속 포인트 (예를 들어, 블루 접속 포인트; 504) 에 대한 송신 주기를 도시한다. 송신 주기 (502 및 504) 는 각각의 시간 슬롯 (502 및 504) 의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각각의 제어 필드 (506 및 508) 을 가진다. 제어 필드 (506 및 508) 가 각각의 시간 슬롯 (502 및 504) 의 중간에 도시되었지만, 제어 필드 (506 및 508) 는 시간 슬롯 (502 및 504) 내에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배치는 여기서 "단일의 위치 배치" 로 칭한다.
단일의 위치 배치는 지연 노드가 패킷을 정확히 디코딩하는 데 실패한 경우에 있어서 낭비된 자원을 유발할 수 있는 예측 요청에 대한 필요를 경감할 수 있다. 더 낮은 재송신 지연은 제어 필드 (506) 의 단일의 위치 배치로 획득될 수 있다. 전체 지연 요청을 만족시키기 위해 홉 당 지연은 작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더 낮은 재송신 지연은 다중 홉 콘텍스트에서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이다. 제어 필드가 단일의 위치 배치에 존재하는 경우, 단일의 HARQ 인터레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는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간의 트레이드 오프를 원하는 바데로 허용하고, 시간의 합은 약 하나의 슬롯이다.
제어 필드의 단일의 위치 배치를 사용하는 것은 하나의 슬롯인 스케쥴링 시간 및 하나의 슬롯 미만인 디코딩 시간을 제공한다. 이것은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경우에 적당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들 시간은 너무 짧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슬롯 지속기간은 증가되어 스케쥴링 시간 및/또는 디코딩 시간의 타이밍을 길게할 수 있다.
수평 시간 라인 (508) 은 "REQUEST" (510) 및 대응하는 "GRANT" (512) 의 타이밍으로 도시된다. 스케쥴링 시간 또는 스케쥴링 지연 (514) 은 슬롯 내의 제어 필드 (506, 508) 의 위치에 관계없이 대략 하나의 슬롯이다. 인코딩 시간 (516) 및 디코딩 시간 (518) 의 합은 대략 하나의 슬롯의 시간 지속기간이다. 그러나, 제어 필드 (508) 의 배치는 인코딩 시간 (516) 과 디코딩 시간 (518) 사이에서 하나의 슬롯 시간 주기를 어떻게 분할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통상적으로 디코딩 시간 (518) 은 인코딩 시간 (516) 보다 더 길고, 따라서, 제어 필드 (518) 은 슬롯 (504) 중앙의 우측에 배치될 수도 있어 더 긴 디코딩 시간 (518) 을 허용한다.
제어 필드가 슬롯 중앙의 우측에 배치된 경우, 제어 필드 (508) 가 슬롯 (504) 의 시작에 대해 배치된 곳에 의존하여, 송신 지연은 하나 이상의 슬롯일 수 있다. 재송신 지연은 약 하나의 슬롯일 수 있고 홉 지연은 약 2 개의 슬롯일 수 있지만, 예측 요청은 필요하지 않다.
도 6 을 참조하는 경우,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라 제어 필드 (600) 의 스플릿 배치가 도시된다. 제어 필드 (602) 를 갖는 레드 접속 포인트 송신 주기 및 제어 필드 (604) 를 갖는 블루 접속 포인트 송신 주기가 도시된다. 제어 필드 (602, 604) 를 2 개의 부분으로 스플릿하는 것은 지연과 프로세싱 시간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에 추가적인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단일의 위치/오프 중앙 배치와 스플릿 배치 모두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에 유사한 형태의 트레이드 오프를 허용한다. 그러나, 스플릿 배치는 또한 추가적인 스케쥴링 시간을 허용할 수 있다. 제어 필드 (602, 604) 의 제 1 부분 (606, 610) 은 "REQUEST" 필드 및 옵션적으로 "PILOT" 또는 스케쥴링 태스크에 유용한 다른 제어 정보 (예를 들어, 요청된 자원, 서비스 품질 (QoS), 제한 등) 을 전달할 수 있다. 제어 필드 (608, 612) 의 제 2 부분은 "GRANT", "ACK/NACK", 및 자원의 할당 또는 디코딩 출력에 적당한 다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 필드의 스플릿 배치의 사용은 2 개의 슬롯의 송신 지연, 하나의 슬롯의 재송신 지연, 및 예측 요청을 가진 2 개의 슬롯의 홉 지연을 제공할 수 있다. 디코딩 시간은 하나의 슬롯 미만일 수 있고, 인코딩 시간은 하나의 슬롯 미만일 수 있어,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의 합은 하나의 슬롯 길이이다. 스케쥴링 시간 (614) 은 제어 필드간의 분리에 의존하여 하나의 슬롯과 2 개의 슬롯 사이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단일의 배치 경우와 유사하게, 스플릿 배치는 시간의 합을 하나의 슬롯으로 유지하는 동안, 인코딩 시간 (616) 과 디코딩 시간 (618)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를 허용한다. 그러나, 스플릿 배치는 슬롯 사이즈를 증가하지 않고 더 많은 스케쥴링 시간을 허용한다. 단일의 위치 배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가능한 스케쥴링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슬롯 사이즈는 증가되어야 한다. 송신 지연에 대한 요청은 620 에서 도시되고 가드 시간은 622 에서 도시된다.
단일의 배치 방식이 이들 요청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 스플릿 배치는 예측 요청을 사용한다. 그러나, 제 2 제어 필드 ("GRANT" 및 "ACK/NACK" 을 포함하는 것) 의 부분으로서 추가적인 요청 필드를 제공하는 것은 예측 요청에 대한 필요를 경감시킨다. 통상적인 HARQ 동작 모드 (예를 들어, 패킷이 통상적으로 성공하는 HARQ 재송신 시도 및 재송신시도의 성공시 재송신 시도에서의 관련 변화성) 에 의존하여, 이것은 예측 요청을 가지는 것보다 더욱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예측 요청을 경감시키기 위해, 다음 홉에서의 수신 노드는 전송되는 ACK 를 리스닝할 수 있고, ACK 는 자원에 대한 함축 예측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노드 A 에서 노드 B 를 거쳐 노드 C 로 전송된다. 노드 B 가 노드 A 로부터의 송신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한 경우, 노드 B 는 노드 C 에 전송하기 위해 자원을 요청할 수도 있다. 그러나, 노드 C 가 노드 B 가 노드 A 에 전송한 ACK 를 리스닝한 경우, 노드 C 는 노드 B 에 의한 자원에 대한 요청을 추론하기 위해 노드 B 로부터 노드 A 로의 ACK 를 함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되고 전술된 예시적인 시스템의 보기에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실시형태의 양태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는 방법은 도 7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더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설명의 간단함의 목적을 위해, 이 방법은 일련의 블록으로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방법은 블록의 순서에 제한되지 않고, 이들 방법에 따른 일부 블록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된 것으로부터 다른 블록들과 함께 상이한 순서로 및/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라 방법을 구현하는데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요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 다양한 블록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이들의 조합 또는 블록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적당한 수단 (예를 들어, 디바이스, 시스템, 프로세스, 부품)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들은 여기에 제공된 특정 양태를 간단한 형태로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이들 양태는 더 적은 및/또는 더 많은 개수의 블록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방법은 상태도와 같은 일련의 상호관련된 상태 또는 이벤트로 표현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7 은 데이터 및 제어 필드를 선택적으로 파티셔닝하는 방법 (700) 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702 에서,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의 시간 분할이 결정된다. 결정된 시간 분할에 기초하여, 704 에서 제어 필드가 프레임 내에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선택적인 배치는 슬롯의 시작 단계에서 배치된 전체 제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슬롯 사이즈 및 지연은 고정되고 하나의 지연과 다른 지연과의 트레이드 오프는 불가능하다. 감축되지 않을 수도 있는, 인코딩 및 디코딩 시간과의 과도한 준비가 존재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지연 메트릭을 감소시킨다.
또 다른 선택적인 배치는 슬롯 내에 단일의 위치에 제어 필드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배치는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과의 트레이드 오프를 허용하여, 양 시간의 합은 하나의 슬롯이 되게 한다. 스케쥴링 시간이 하나의 슬롯이고 하나 미만의 디코딩 시간은 일부 케이스에서 너무 짧을 수도 있어 디코딩 시간을 길게 하기 위해, 슬롯 지속기간은 길어져야 한다.
제어 필드를 2 개의 부분으로 스플릿하는 것과 각각의 부분을 슬롯 내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은 또 다른 유형의 선택적 배치이다. 제어 필드를 스플릿하는 것은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의 합을 하나의 슬롯으로 유지하면서,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에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 유형의 배치는 슬롯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 더 긴 스케쥴링 시간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2 개의 부분 제어 필드는 예측 요청을 포함할 수 있지만, 제 2 부분에 추가적인 요청 필드를 배치하는 것은 예측 요청에 대한 필요를 경감시킨다. 대안적으로 또는 이에 더하여, 함축 요청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예측 요청 및/또는 추가적인 요청 필드에 대한 필요를 경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8 은 단일의 위치 배치에 제어 필드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방법 (800) 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802 에서, 스롯내에 제어 필드의 단일의 위치 배치가 설계된다. 이 설계는 지연과 프로세싱 시간과의 트레이드 오프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예측 요청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및/또는 재송신 지연이 짧아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로 단일의 HARQ 가 사용된다.
804 에서, 디코딩 시간이 인코딩 시간보다 길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806 에서, 디코딩 시간이 인코딩 시간보다 길어야 아는 경우 ("예"), 제어 필드는 슬롯 중앙의 우측에 배치된다. 808 에서, 인코딩 시간이 디코딩 시간보다 길어야 하는 경우 ("아니오"), 제어 필드는 슬롯 중앙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어 필드가 단일의 배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는 약 하나의 슬롯 길이가 되어야 한다.
도 9 는 데이터 통신에 대한 스플릿 배치 제어 필드를 사용하는 설계 방법 (900) 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902 에서, 제어 필드의 스플릿 배치가 선택된다. 이 선택은 데이터 송신에서 지연과 프로세싱 시간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준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충분한 프로세싱 시간을 제공하면서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 트레이드 오프는 최적화될 수 있다. 904 에서, 제어 필드는 2 개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제 1 부분은 "REQUEST" 필드 또는 옵션적으로 "PILOT" 또는 스케쥴링 태스크 (예를 들어, 요청된 자원, QoS, 제한 등) 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제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 필드의 제 2 부분은 "GRANT", "ACK/NACK" 및 자원의 할당 또는 디코딩 출력에 적당한 다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906 에서, 예측 요청을 수용가능한지를 결정한다. 예측 요청은 지연 노드가 패킷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지 않는 상황에서 자원을 낭비할 수 있다. 예측 요청을 포함하는 것이 수용가능한 경우 ("예"), 방법 900 은 908 로 진행하고 예측 요청은 송신 노드에 의해 프레임에 부가된다. 906 에서, 예측 요청이 수용가능하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 ("아니오"), 910 에서, 제어 필드의 제 2 부분에 부가 요청 필드가 포함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제어 필드의 제 2 부분이 부가적 요청 필드를 포함할 수 있는 경우 ("예"), 912 에서 송신 노드에 의해 필드가 부가된다. 부가 요청 필드가 포함되어서는 안되는 경우 ("아니오"), 방법 910 은 914 로 진행하여, 수신 노드에 의해 함축 요청은 모니터링된다.
예측 요청 또는 부가 요청 필드가 포함되는 경우, 송신 노드는 이러한 요청을 포함한다. 예측 요청 또는 부가 요청 필드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함축 요청의 모니터링은 수신기 노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914 에서, 예측 요청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전송될 ACK (예를 들어, 자원에 대한 함축 요청) 를 리스닝하고 모니터링하는 다음 홉상에서 노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ACK 는 자원에 대한 함축 요청으로서 디코딩되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 개의 노드 (노드 A, 노드 B, 노드 C) 가 존재한다. 데이터는 노드 A 로부터 노드 B 를 거쳐 노드 C 로 전송된다. 노드 A 는 제 1 시간 슬롯에서 노드 B 에 요청을 전송한다. 다음 슬롯에서, 노드 B 는 요청을 승인한다. 일반적으로, 노드 B 가 패킷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지 않은 경우, 패킷은 노드 C 에 전송될 수 없기 때문에, 노드 B 는 패킷이 노드 C 에 전송되기 전에 이러한 패킷을 우선 디코딩해야 한다. 그러나, 노드 B 는 매번 다른 시간 슬롯으로 송신하기 때문에, 일부 실시형태에서 노드 B 는 노드 A 에 승인을 전송하는 시간 슬롯 동안 노드 C 에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예측 요청으로 칭함). 이러한 상황은 노드 B 가 노드 A 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승인이 노드 A 에 전송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노드 C 에 예측 요청을 전송하는 것은 노드 A 와 노드 C 사이의 지연을 감소시킨다. 부가 요청 필드가 포함된 경우, 노드 B 가 노드 C 에 요청을 전송하는 동일한 시간 동안, 노드 B 는 패킷을 디코딩하고 노드 A 에 ACK 를 전송한다.
제공된 예에서, 예측 요청 및 부가 요청 모두 노드 B (송신기) 에 의해 수행된다. 그 결과, 노드 C (수신기) 는 함축 ACK 를 탐색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부가 요청 또는 예측 요청은 제공되지 않는 경우, 노드 C 는 노드 B 에 의해 노드 A 에 전송된 ACK 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ACK 를 검출시 데이터에 대한 함축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0 을 참조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개시된 실시형태에 따라 무선 통신 환경에서 다중 통신 프로토콜간의 조정된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100) 이 도시된다. 시스템 (1000) 은 접속 포인트 및/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 (1000) 은 예를 들어, 수신기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 (1002) 를 포함한다. 수신기 (1002) 는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 증폭, 다운컨버팅 등과 같은 통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1002) 는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을 획득한다. 복조기 (1004) 는 프로세서 (1006) 에 수신된 심볼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 심볼 주기 동안 수신된 심볼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6) 는 수신기 부품 (1002) 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및/또는 송신기 (1016) 에 의한 송신용 정보를 생성하는데 전용된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 (1006) 는 사용자 디바이스 (1000) 의 하나 이상의 부품을 제어할 수 있고, 및/또는 프로세서 (1006) 는 수신기 (1002) 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송신기 (1016) 에 의한 송신용 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 디바이스 (1000) 의 하나 이상의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6) 는 추가적인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조정할 수 있는 제어기 부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 (1000) 는 프로세서 (1006) 에 동작적으로 결합되고 조정 통신과 관련된 정보 및 임의의 다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1008) 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메모리 (1008) 는 조정 통신과 관련된 프로토콜을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된 데이터 저장 (예를 들어, 메모리) 부품은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설명의 방법으로,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 (ROM), 프로그래밍가능 ROM (P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가능 ROM (EPROM), 전기적으로 삭제가능 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와 같이 동작하는 막 기억 장치 (RAM) 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설명의 방법으로, RAM 은 동기식 RAM (DRAM), 동적 RAM (DRAM), 동기식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SDRAM (DDR SDRAM), 향상된 SDRAM (ESDRAM), 동기링크 DRAM (SLDRAM), 및 DRRAM (direct Rambus RAM) 과 같은 다수의 형태로 사용가능하다. 목적 시스템 및/또는 방법의 메모리 (1008) 는 이들 및 다른 적당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 (1000) 는 심볼 변조기 (1010) 및 변조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1012) 를 더 포함한다.
도 11 은 다양한 양태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1100) 의 도시이다. 시스템 (1100) 은 기지국 또는 접속 포인트 (1102) 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1102) 은 수신 안테나 (1106) 에 의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1104) 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 안테나 (1108) 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 (1104) 에 송신한다.
기지국 (1102) 은 수신 안테나 (1106) 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복조하는 복조기 (1112) 와 동작적으로 연관된 수신기 (1110) 를 포함한다. 복조된 심볼은 코드 클러스터, 사용자 디바이스 할당, 이에 관련된 룩업 테이블, 고유 스크램블 시퀀스 등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1116) 에 결합된 프로세서 (1114) 에 의해 분석된다. 변조기 (1118) 는 사용자 디바이스 (1104) 에 송신 안테나 (1108) 를 통해 송신기 (1120) 에 의한 송신용 신호를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도 12 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1200) 을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1200) 은 간단함의 목적을 위해, 하나의 기지국 및 하나의 단말기를 도시한다. 그러나, 시스템 (1200) 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또는 접속 포인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인 기지국 및/또는 단말기는 아래에 설명된 예시적인 기지국 및 단말기에 대해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및/또는 단말기는 둘 사이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2 를 참조하는 경우, 다운링크시, 접속 포인트 (1205) 에서, 송신 (TX) 데이터 프로세서 (1210) 는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 포맷, 부호화, 인터리빙, 및 변조 (또는 심볼 맵핑) 하여 변조 심볼 ("데이터 심볼") 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 (1215) 는 데이터 심볼 및 파일롯 심볼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여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 (1215) 는 데이터 및 파일롯 심볼을 다중화하여 N 개의 송신 심볼의 세트를 획득한다. 각각의 송신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롯 심볼, 또는 0 의 신호값일 수도 있다. 파일롯 심볼을 각각의 심볼 주기마다 연속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파일롯 심볼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FDM), 시간 분할 다중화 (TDM),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또는 코드 분할 다중화될 수 있다.
송신기 유닛 (TMTR) (1220) 은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며, 이 아날로그 신호를 조정하여 (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업변환함) 무선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그 후, 다운링크 신호는 단말기에 안테나 (1225) 를 통해 송신된다. 단말기 (1230) 에서, 안테나 (1235) 는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기 유닛 (RCVR) (1240) 에 수신된 신호를 제공한다. 수신기 유닛 (1240) 은 수신된 신호를 조정하고 (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다운변환함)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을 획득한다. 심볼 복조기 (1245) 는 N 개의 수신된 심볼을 획득하여 채널 추정을 위해 프로세서 (1250) 에 수신된 파일롯 심볼을 제공한다. 또한, 심볼 복조기 (1245) 는 프로세서 (1250) 로부터 다운링크를 위해 주파수 응답 추정치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심볼상에 데이터 복조를 수행하여, 데이터 심볼 추정치 (송신된 데이터 심볼의 추정치임) 를 획득하고,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복조하고 (예를 들어, 심볼 디맵핑), 디인터리빙하고, 디코딩하는 RX 데이터 프로세서 (1255) 에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제공하여, 송신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심볼 복조기 (1245) 및 RX 데이터 프로세서 (1255) 에 의한 프로세싱은 접속 포인트 (1205) 에서의 심볼 변조기 (1215)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 (1210) 각각의 프로세싱에 상보적이다.
업링크시, TX 데이터 프로세서 (1260) 는 트래픽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데이터 심볼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 (1265) 는 데이터 심볼을 수신하여 파일롯 심볼로 다중화하여, 복조를 수행하고, 심볼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그 후, 송신기 유닛 (1270) 은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여 접속 포인트 (1205) 에 안테나 (1235) 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접속 포인트 (1205) 에서, 단말기 (1230) 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는 안테나 (1225) 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 유닛 (1275) 에 의해 프로세싱되어 샘플을 획득한다. 그 후, 심볼 복조기 (1280) 는 샘플을 프로세싱하고 수신된 파일롯 심볼 및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업링크에 제공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 (1285) 는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프로세싱하여 단말기 (1230) 에 의해 송신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프로세서 (1290) 는 업링크시 송신하는 각각의 동작 단말기에 대해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프로세서 (1290 및 1250) 은 접속 포인트 (1205) 및 단말기 (1230) 동작을 각각 명령 (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등) 한다. 각각의 프로세서 (1290 및 1250) 은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 (미도시) 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1290 및 1250) 는 또한 계산을 수행하여, 업링크 및 다운링크 각각에 대해 주파수 및 임펄스 응답을 유도할 수 있다.
다중 접속 시스템 (예를 들어, FDMA, OFDMA, CDMA, TDMA 등) 에 대해, 복수의 단말기가 업링크시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대해, 파일롯 서브대역은 상이한 단말기들에 중에 공유될 수도 있다. 채널 추정 기술은 각 단말기에 대한 파일롯 서브대역이 전체 동작 대역 (가능한 대역 에지를 제외함) 에 걸쳐있는 케이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파일롯 서브대역 구조는 각각의 단말기에 대해 주파수 다양성을 획득하는데 바람직하다. 여기서 개시된 기술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기술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대해, 채널 추정에 대해 사용된 프로세싱 유닛은 주문형 집적 회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DSPD),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여기서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의 하나 이상의 적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에 관해, 구현은 여기서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 (예를 들어, 경과, 기능 등) 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 (1290 및 1250) 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도 13 은 다중 홉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송신의 제어 및 데이터 필드를 선택적으로 파티셔닝하는 시스템 (1300) 을 도시한다. 시스템 (1300) 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적인 블록일 수 있고, 무선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는 기능 블록으로서 나타낸다.
시스템 (1300) 은 인코딩 시간 및 디코딩 시간 분할을 확인하는 로직 모듈 (1302) 을 포함한다. 하나의 프레임내에 제어 필드를 위치시키는 로직 모듈 (1304) 은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의 확인된 분할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제어 필드의 위치는 슬롯의 프론트, 슬롯 중앙, 슬롯 중앙으로부터의 오프셋 (좌측 또는 우측) 일 수 있고, 제어 필드는 분할되고 슬롯내에 2 개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시스템 (1300) 은 제어 필드를 2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로직 모듈 (1306) 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필드를 2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것은 스케쥴링,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충분한 프로세싱 시간을 제공하면서, 더 양호한 지연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측 요청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로직 모듈 (1308) 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예측 요청이 분할된 또는 스플릿 제어 필드의 제 2 부분에 포함되는 경우, 예측 요청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 (1300) 은 ACK 를 디코딩하고 ACK 를 자원에 대한 함축 요청으로서 사용하는 로직 모듈 (1310) 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장치는 로직 모듈 (1302) 일 수 있는, 인코딩 시간 및 디코딩 시간 분할을 확인하는 수단 및 로직 모듈 (1304) 일 수 있는,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의 확인된 분할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의 프레임 내에 제어 필드를 위치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에서, 무선 장치는 로직 모듈 (1306) 일 수 있는, 제어 필드를 2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직 모듈 (1308) 일 수 있는, 예측 요청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수단, 및 로직 모듈 (1310) 일 수 있는, ACK 를 디코딩하고 ACK 를 자원에 대한 함축 요청으로서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 및/또는 방법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멘트로 구현되는 경우, 그들은 저장 부품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코드 세그멘트는 경과, 기능,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들의 임의의 조합, 데이터 구조 또는 프로그램 세그멘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코드 세그멘트는 정보, 데이터, 아규먼트, 파라미터 또는 메모리 콘텐츠를 패싱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또 다른 세그멘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정보, 아규먼트, 파라미터,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패싱, 토큰 패싱, 네트워크 송신 등을 포함하는 적당한 수단을 사용하여 패싱되고, 포워드되고 또는 송신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대해, 여기서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 (예를 들어, 경과, 기능 등) 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 유닛은 이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것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의 예를 포함한다. 물론, 앞선 실시형태의 설명의 목적을 위한 부품 또는 방법의 모든 인식가능한 조합을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당업자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더 많은 조합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첨부된 청구항의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이러한 변경물, 수정물 및 변화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용어 "포함한다 (include)" 가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범위까지, 이러한 용어는 용어 "포함한다 (comprising)" 에 유사한 방법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며, "포함한다 (comprising)" 는 청구항에서 전통적인 단어로 사용되는 경우에 해석된다.

Claims (21)

  1. 데이터 통신 방법으로서,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의 시간 분할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시간 분할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의 프레임 내에 제어 필드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필드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디코딩 시간이 상기 인코딩 시간보다 더 긴 경우에는, 상기 제어 필드를 슬롯 중앙의 우측에 배치하는 단계 또는 상기 디코딩 시간이 상기 인코딩 시간보다 더 짧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 필드를 슬롯 중앙의 좌측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필드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필드를 2 개 이상의 부분으로 스플릿하는 단계; 및
    요청 필드를 상기 제어 필드의 2 개 이상의 부분 중 하나의 일부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필드를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어 필드의 제 1 부분에 REQUEST, PILOT, 및 제어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필드의 제 2 부분에 GRANT, ACK/NACK 및 자원의 할당 또는 디코딩 결과에 관련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이전 홉의 노드에 의해 전송된 확인응답을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확인응답을 자원에 대한 함축 요청으로서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필드는 요청 필드, 승인 필드, 및 확인응답/부정 확인응답 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예측 요청을 배치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요청 결정에 기초하여 송신 노드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상기 예측 요청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이 상기 예측 요청이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지 않아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방법은,
    추가적인 요청 필드를 상기 제어 필드의 제 2 부분에 배치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적인 요청 필드 결정에 기초하여 송신 노드에 의해 상기 추가적인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이 상기 추가적인 요청 필드가 상기 제어 필드의 제 2 부분에 배치되지 않아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방법은,
    수신 노드에 의한 함축 요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0. 데이터 통신 장치로서,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의 시간 파티션을 결정하는 시간 파티션 모듈; 및
    상기 결정된 시간 파티션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의 프레임 내에 상기 제어 필드의 배치를 결정하는 슬롯 배치 모듈을 구비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배치 모듈은 상기 디코딩 시간이 상기 인코딩 시간보다 더 긴 경우, 단일의 제어 필드를 슬롯 중앙의 우측에 배치하거나, 상기 디코딩 시간이 상기 인코딩 시간보다 더 짧은 경우, 단일의 제어 필드를 슬롯 중앙의 좌측에 배치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전송 노드로부터 ACK/NACK 필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ACK/NACK 필드를 자원에 대한 요청으로서 간주하는 함축 요청 모니터를 더 구비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파티션 모듈은 상기 제어 필드를 2 개의 부분으로 스플릿하고, 요청 필드를 상기 2 개의 부분 중 하나에 위치시키는, 데이터 통신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파티션 모듈은 REQUEST 및 PILOT 을 상기 분할된 제어 필드의 제 1 부분에 배치하고, GRANT 및 ACK/NACK 를 상기 분할된 제어 필드의 제 2 부분에 배치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15. 그 위에 데이터 통신용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은,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의 시간 분할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간 분할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의 프레임 내에 제어 필드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상기 디코딩 시간이 상기 인코딩 시간보다 더 긴 경우, 상기 제어 필드를 슬롯 중앙의 우측에 배치하고, 상기 디코딩 시간이 상기 인코딩 시간보다 더 짧은 경우, 상기 제어 필드를 상기 슬롯 중앙의 좌측에 배치하도록 더 구성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상기 제어 필드를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으로 분할하고,
    요청 필드를 상기 제어 필드의 상기 제 1 부분의 일부로서 제공하는 것;
    이전 홉의 노드에 의해 전송된 확인응답을 디코딩하는 것; 및
    상기 디코딩된 확인응답을 자원에 대한 함축 요청으로서 사용하는 것 중 하 나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8.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의 시간 분할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간 분할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의 프레임 내에 제어 필드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필드를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어 필드의 제 1 부분에 REQUEST, PILOT, 및 제어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배치하며;
    상기 제어 필드의 제 2 부분에 GRANT, ACK/NACK, 및 자원의 할당 또는 디코딩 결과와 관련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배치하도록 더 구성된. 데이터 통신 프로세서.
  20. 데이터 통신 장치로서,
    인코딩 시간과 디코딩 시간 사이의 시간 분할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결정된 시간 분할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의 프레임 내에 제어 필 드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통신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필드를 2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수단; 및
    예측 요청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수단; 및
    ACK 를 디코딩하고 상기 ACK 를 자원에 대한 함축 요청으로서 사용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KR1020077008739A 2005-11-16 2006-06-30 제어 및 데이터 필드의 효과적인 파티셔닝 KR100907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768805P 2005-11-16 2005-11-16
US60/737,688 2005-11-16
US11/449,218 2006-06-07
US11/449,218 US7940687B2 (en) 2005-11-16 2006-06-07 Efficient partitioning of control and data fields
PCT/US2006/025932 WO2007058682A1 (en) 2005-11-16 2006-06-30 Efficient partitioning of control and data fiel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620A true KR20070088620A (ko) 2007-08-29
KR100907846B1 KR100907846B1 (ko) 2009-07-14

Family

ID=3804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739A KR100907846B1 (ko) 2005-11-16 2006-06-30 제어 및 데이터 필드의 효과적인 파티셔닝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940687B2 (ko)
EP (1) EP1949563A1 (ko)
JP (1) JP4537459B2 (ko)
KR (1) KR100907846B1 (ko)
AU (1) AU2006287245A1 (ko)
BR (1) BRPI0605927A2 (ko)
CA (1) CA2580204A1 (ko)
DE (1) DE112006000675T5 (ko)
GB (1) GB2435752B (ko)
IL (1) IL181996A0 (ko)
RU (1) RU2007114300A (ko)
WO (1) WO2007058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2702B2 (en) * 2007-07-17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indications for slotted wireless communication
CN101378304A (zh) * 2007-08-28 2009-03-04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低密度校验码的重传传输方法及传输设备
KR101253534B1 (ko) * 2008-02-19 2013-04-1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가능한 타임라인을 이용한 제어 정보의 송신
KR101631394B1 (ko) 2008-04-21 2016-06-16 애플 인크. Harq 프로토콜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638772B2 (en) * 2009-03-10 2014-0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granting a transmission opportunity in a wireless LAN system that uses a combined channel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subchannels, and station supporting the method
US8885479B2 (en) * 2009-05-07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rrier retransmission feedback
US20110205980A1 (en) 2009-08-10 2011-08-25 Qualcomm Incorporated Multi-node resource request pipelining
WO2011080832A1 (ja) * 2009-12-28 2011-07-07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ES2593638T3 (es) 2010-06-29 2016-12-12 Lg Electronics Inc. Método y aparato para transmitir una trama de datos en un sistema WLAN
EP2818017B1 (en) * 2012-02-21 2018-04-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ocessing-time dependent control of data block transmission
CN104620529B (zh) * 2012-08-03 2017-12-05 诺基亚通信公司 涉及用于ul‑dl共存场景的增强型tdd ul harq时间线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US9386062B2 (en) * 2012-12-28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Elastic response time to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requests
US9379848B2 (en) * 2013-06-10 2016-06-28 Broadcom Corporation Cyclic redundancy check (CRC) and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for ranging within communication systems
US10547415B2 (en) * 2015-03-15 2020-01-28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TTI with advanced pilot and control
US20220132306A1 (en) * 2020-10-23 2022-04-28 Apple Inc. Protected High-Throughput Control Subfiel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3541A (en) 1991-09-13 1993-06-29 Mcneilab, Inc. Tramadol n-oxide material, enantiomers and compositions thereof, and their use
TW496058B (en) 1997-07-08 2002-07-21 Ericsson Telefon Ab L M Technique for providing a secure link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574211B2 (en) * 1997-11-03 2003-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ate packet data transmission
DE10021820A1 (de) 2000-05-04 2001-11-15 Siemens Ag Verfahren zur Signalübertragung in einem Funk-Kommunikationssystem
US7120134B2 (en) * 2001-02-15 2006-10-10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channel architectur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30128B1 (ko) 2002-03-23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전력 제어를 위한 파일럿 신호필드 위치정보 결정장치 및 방법
AU2003260005A1 (en) 2002-08-23 2004-03-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 data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050405B2 (en) * 2002-08-23 2006-05-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 data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015584B2 (en) 2002-10-18 2011-09-06 Seachange International, Inc. Delivering interactive content to a remote subscriber
US20040190485A1 (en) * 2003-03-24 2004-09-30 Khan Farooq Ullah Method of scheduling gran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339917B2 (en) 2003-05-30 2008-03-04 Motorola, Inc. Method for selectively allocating a limited number of bits to support multiple signaling types on a low bit rate channel
US7738413B2 (en) * 2003-12-08 2010-06-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system for a sensor networks using time slots for n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37459B2 (ja) 2010-09-01
DE112006000675T5 (de) 2008-02-28
CA2580204A1 (en) 2007-05-16
RU2007114300A (ru) 2008-10-27
IL181996A0 (en) 2007-07-24
GB2435752A (en) 2007-09-05
GB0706306D0 (en) 2007-05-09
BRPI0605927A2 (pt) 2009-05-26
AU2006287245A1 (en) 2007-06-07
JP2008524938A (ja) 2008-07-10
GB2435752B (en) 2011-03-02
US7940687B2 (en) 2011-05-10
WO2007058682A1 (en) 2007-05-24
US20070109988A1 (en) 2007-05-17
EP1949563A1 (en) 2008-07-30
KR100907846B1 (ko) 2009-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846B1 (ko) 제어 및 데이터 필드의 효과적인 파티셔닝
JP682622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イドリンクにおいて、グループキャストのためのフィードバックリソース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2911719B (zh) 处理不含物理侧链路反馈信道的设备到设备资源池的方法和装置
JP6917709B2 (ja) フレキシブル・サブフレームを用いるフレキシブルなtddアップリンク/ダウンリンク構成
EP3996454A1 (en) Sidelink resource determination and sidelink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308506B2 (ja) Tddのアップリンク/ダウンリンク再構成メカニズム
WO2021087134A1 (en) Feedback reporting for sidelink
CN113228767B (zh) 用于确定用于免授权通信的配置简档的方法和系统
KR2024006075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을 고려하여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리소스 선택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8660107B2 (en) Uplink HARQ feedback channel design for carrier aggregation in OFDMA systems
KR1025847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대역의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KR1024022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시간 식별 방법 및 장치
JP5180100B2 (ja) ハイブリッド自動反復要求のための装置と方法
KR2020001224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20417976A1 (en) Processing time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of terminal in wireless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JP2014512743A (ja) フィードバック情報のタイミング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KR2020005083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6481988B2 (ja) 集積回路
CN115943591A (zh) 用于多播通信的组反馈
KR20200116303A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1008822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데이터의 재전송 방법 및 장치
MX2007004567A (es) Particion eficiente de campos de control y dat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