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543A -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543A
KR20070088543A KR1020077007098A KR20077007098A KR20070088543A KR 20070088543 A KR20070088543 A KR 20070088543A KR 1020077007098 A KR1020077007098 A KR 1020077007098A KR 20077007098 A KR20077007098 A KR 20077007098A KR 20070088543 A KR20070088543 A KR 20070088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car
call
distance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2444B1 (ko
Inventor
시로 히키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7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444B1/ko
Publication of KR20070088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07Setting or modification of parameters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로서, 각 엘리베이터 칸이 현재 위치에서부터 승강장 호출이 발생한 층까지 도착할 수 있는 도착 시간을 예측하는 예측 연산 수단과, 상기 각 엘리베이터 칸이 각각 맡은 모든 호출에 응답하여 현재 위치에서부터 정지하기까지의 주행 거리를 예측하는 주행 거리 예측 수단과, 상기 예측 연산 수단에 의해 예측된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승강장 호출에 대한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대기 시간을 평가 지표로서 제1의 평가 함수를 이용하여 대기 시간 평가의 연산을 실시하는 동시에, 상기 주행 거리 예측 수단에 의해 예측된 주행 거리를 평가 지표로서 제2의 평가 함수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 평가의 연산을 실시하는 평가 연산 수단과, 상기 각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대기 시간 평가 및 상기 주행 거리 평가를 포함하는 총합 평가 함수의 연산을 실시하고,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상기 총합 평가 함수의 값이 최소로 되는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하는 할당 수단을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엘리베이터가 빌딩내에 취역하는 경우, 통상 그룹 관리 제어가 행해진다. 그룹 관리 제어 장치는 자신이 통괄하는 엘리베이터 그룹을 유기적으로 운용함으로써 대기 시간의 감소 등을 도모하고 있다. 이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목적 중 하나로 에너지 절약을 들 수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서는 각 층마다 허용 접수 호출 수를 미리 설정하고, 이 허용 접수 호출 수 이상의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할당을 제한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것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이용을 제한하여 에너지 절약을 도모하고 있다.
또, 종래의 다른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서는 한산할 때의 대기 제어에 있어서, 각 층의 승강장 호출 발생 확률을 예측하고, 이 승강장 호출 발생 확률이 소정 범위내의 층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이들 층 중에서 탔다가 내린 엘리베이터에 가까운 층을 우선하여 대기층으로서 대기시키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 헌 2 참조). 이것에 의해서, 대기층 고정 방식보다 대기층으로 향하기까지의 엘리베이터 주행 거리를 감소시키고, 에너지 절약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하면, 각 엘리베이터 칸이 목적층 도착까지의 에너지 예측값을 계산하고, 이 에너지 예측값으로부터 계산한 평가값을, 신규 승강장 호출에 대한 할당 엘리베이터 칸 결정의 평가값에 가산함으로써 에너지 절약을 도모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2-16712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 10-36019호 공보
특허 문헌 3 : 국제 공개 제05/009880호 팜플렛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서는 승강장 호출이 미리 설정한 허용 접수 호출 수보다 많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승객은 해당층으로부터 엘리베이터에 승차하지 못하여 매우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승강장 호출이 미리 설정한 허용 접수 호출 수보다 적게 발생했을 경우에는 통상의 제어와 그다지 다른 결과로 되지 못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다른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서는 주행 거리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확실하게 있으나, 대기 제어가 행해지는 빈도는 매우 적고, 또 대기층으로의 주행 거리도 별로 길지는 않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에너지 절약 효과는 근소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다른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서는 호출 할당을 실시하면서 에너지 절약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 에너지 절약에 대한 평가를 크게 하면, 수송 효율이 악화되는 경우, 즉 대기 시간이 악화되는 경우가 우려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유기적으로 운용하고, 대기 시간을 악화시키는 일 없이, 에너지 절약 효과를 내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로서, 각 엘리베이터 칸이 현재 위치에서부터 승강장 호출이 발생한 층까지 도착할 수 있는 도착 시간을 예측하는 예측 연산 수단과, 상기 각 엘리베이터 칸이 각각 맡은 모든 호출에 응답하여 현재 위치에서부터 정지하기까지의 주행 거리를 예측하는 주행 거리 예측 수단과, 상기 예측 연산 수단에 의해 예측된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승강장 호출에 대한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대기 시간을 평가 지표로서 제1의 평가 함수를 이용하여 대기 시간 평가의 연산을 실시하는 동시에, 상기 주행 거리 예측 수단에 의해 예측된 주행 거리를 평가 지표로서 제2의 평가 함수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 평가의 연산을 실시하는 평가 연산 수단과, 상기 각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대기 시간 평가 및 상기 주행 거리 평가를 포함하는 총합 평가 함수의 연산을 실시하고,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상기 총합 평가 함수의 값이 최소로 되는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하는 할당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주행 거리 예측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후보 엘리베이터 칸 선택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해당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대하여 도 1에서 도 3까지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 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도시하지 않음)을 효율적으로 관리(할당) 제어하고, 복수의 각 대 제어 장치(20)는 각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제어한다. 복수의 각 대 제어 장치(20)는 그룹 관리 제어 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다.
또, 그룹 관리 제어 장치(100)에는 통신 수단(11)과, 예측 연산 수단(12)과, 주행 거리 예측 수단(13)과, 평가 연산 수단(14)과, 할당 수단(15)과, 운전 제어 수단(16)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각 수단(11 ~ 16)은 마이크로 컴퓨터상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신 수단(11)은 각 대 제어 장치(20) 등과의 정보 통신을 실시한다. 예측 연산 수단(12)은 각 엘리베이터가 각 층에 몇 초 후에 도착할 수 있는지 등의 예측 연산을 실시한다. 주행 거리 예측 수단(13)은 각 엘리베이터가 각각 맡은 모든 호출에 응답하여 정지하기까지의 주행 거리를 예측한다. 평가 연산 수단(14)은 예측 연산 수단(12)이나 주행 거리 예측 수단(13)의 계산 결과에 근거하여, 대기 시간 평가나 주행 거리 평가 등의 각종 평가 항목의 연산을 실시한다. 할당 수단(15)은 평가 연산 수단(14)의 평가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총합적인 평가를 실시하고, 신규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적절한 엘리베이터(엘리베이터 칸)를 할당한다. 운전 제어 수단(16)은 할당 결과에 따라 각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한다.
다음에, 이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 룹 관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주행 거리 예측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단계 S100에서 승강장 호출이 신규로 등록되면, 단계 S101에서 예측 연산 수단(12)은 각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예측 연산을 실시한다. 이 예측 연산은 각 엘리베이터 칸이 각 층에 몇 초 후에 도착할 수 있는지라고 하는 도착 시간 예측이나, 각 층에서의 승강 인원수 예측과 이에 수반하는 엘리베이터 칸내 인원수 예측 등을 실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54-102745호 공보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 등이 있다. 이 예측 연산은 지금까지도 널리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시스템에서 채용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생략한다.
다음에, 단계 S102에서 주행 거리 예측 수단(13)은 주행 거리의 예측 연산을 실시한다. 이 주행 거리의 예측 연산에 대하여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a)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0)이 10F(10층 : 최상층)에서부터 다운(Down)(하강) 방향으로 주행중에, 1F(1층 : 최하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 표)과, 6F(6층 : 중간층)에 다운 승강장 호출(▽ 표)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30)은 10F에서부터 6F를 거쳐서 1F까지 확정적으로 주행하고, 엘리베이터 칸(30)이 다른 호출에 할당되지 않으면 이 1F에서 운전을 종료한다. 따라서, 10층에서부터 1층까지(10F → 1F)의 거리가 이 엘리베이터 칸(30)의 주행 거리로서 예측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방향 등이 상기와 반대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주행 거리 예측 수단(13)은 엘리베이터 칸이 최하층(1층)에서부터 상승 방향으로 주 행중에, 최상층(10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과, 최하층과 최상층의 사이의 중간층(6층)에 상승 승강장 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최하층에서부터 최상층까지의 거리를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거리로서 예측한다.
도 3(b)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0)이 10F에서부터 다운 방향으로 주행중에, 1F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 표)과, 6F에 업(Up)(상승) 승강장 호출(△ 표)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0)은 10F에서부터 1F까지 주행하고, 1F에서 반전한 후, 적어도 6F까지는 주행한다. 6F의 업 승강장 호출에 응답한 후, 여기(6F)에서의 승차객이 7F(7층) ~ 10F 중 어느 층을 행선지층으로 하는가는 이 시점에서 불명확하기 때문에 예측이 필요하게 된다. 이 예측의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최상층에서부터 승차층(이 경우는 6F)까지의 하차 확률, 즉 하차 인원수를 최상층에서부터 적산하고, 50 퍼센트(%)가 되는 층을 행선지층으로서 예측하는 방법이 있다. 이 하차 확률(하차 인원수)은 매일의 수송량을 통계 처리하여 학습해 두면 구할 수 있다. 어떤 시점의 최상층에서부터 승차층(6F)까지 각각의 층의 하차 인원수와, 최상층에서부터 승차층까지의 하차 인원수의 합계를 구하고, 최상층에서부터 하강 방향으로 차례로 하차 인원수를 적산하고, 이 적산값이 하차 인원수의 합계에 대하여 50 퍼센트(%)가 되는 층을 행선지층으로 예측한다.
또,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서, 최상층과 승차층의 한가운데 층을 행선지층으로 예측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도 3(b)에서는 이 한가운데 층인 8F(8층)를 행선지층(엘리베이터 칸 호출(○ 표))로 예측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미응답의 각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행선지층의 예측을 실시하면, 엘리베이터 칸 의 주행 루트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여 주행 거리를 예측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3(b)에서는 10F → 1F → 6F → 8F 의 거리가 주행 거리의 예측값으로서 산출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방향 등이 상기와 반대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주행 거리 예측 수단(13)은 엘리베이터 칸이 최하층(1층)에서부터 상승 방향으로 주행중에, 최상층(10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과, 최하층과 최상층의 사이의 중간층(6층)에 하강 승강장 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이 하강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행선지층을 예측하고, 최하층에서부터 최상층을 경유하여 행선지층까지의 거리를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거리로서 예측한다.
또한, 상기 주행 거리 예측 수단(13)은 하강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행선지층을 예측하는 경우, 최하층에서부터 중간층까지 각각의 하차 확률을 최하층에서부터 적산하고, 50 퍼센트가 되는 층을 행선지층으로서 예측한다. 또는 주행 거리 예측 수단(13)은 최하층과 중간층의 한가운데 층을 행선지층으로 예측한다.
단계 S101의 예측 연산과 단계 S102의 주행 거리 예측은 각 엘리베이터 칸마다 신규 승강장 호출을 가할당했을 경우로 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행해지고, 이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단계 S102의 출구에서부터 단계 S101의 입구로 되돌아가는 선이 그려져 있다.
또, 단계 S103에서는 단계 S101, S102에서 행한 예측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평가 연산 수단(14)에 의해 대기 시간, 주행 거리 등의 각종 평가 지표의 평가 계산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도 3(a)의 예에서, 엘리베이터 칸(30)이 현재 위치인 10F에서부터 승강장 호출 발생층인 6F까지의 도착 예측 시간이 10초 후이고, 이 6F의 승강장 호출이 발생하고 나서 현재까지 이미 15초가 경과하고 있다면, 이 승강장 호출에 대한 대기 시간은 10초 + 15초 = 25초 와 같이 계산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 대기 시간 25초에 대한 평가는 소정의 평가 함수 f를 이용하여 v(값) = f(25초) 와 같이 하여 실시된다. 또한, 그룹 관리 제어에 사용되는 평가 지표는 대기 시간뿐만 아니라, 예보가 빗나갈 확률, 인원이 만원일 확률 등 다수 있으나, 이들은 종래부터 넓게 채용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의 단계 S101 ~ S103의 순서는 각 엘리베이터 칸마다 행해진다. 즉, 예측 연산에서부터 평가 연산까지는 각 엘리베이터 칸마다 행해지고, 이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단계 S103의 출구에서부터 단계 S101의 입구로 되돌아가는 선이 그려져 있다. 또한, 단계 S101와 S102의 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규 승강장 호출을 각 엘리베이터 칸에 할당한 경우와, 할당하지 않은 경우의 양쪽에 대하여 실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각종 평가값의 계산이 종료하면, 단계 S104에서 할당 수단(15)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의 총합적인 평가를 한다. 이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이하의 총합 평가 함수 J(i)를 이용한다.
J(i) = w1E1(i) + w2E2(i) + w3E3(i) + w4E4(i) (1)
W1, W2, W3, W4 : 웨이트(중량),
E1(i) : 엘리베이터 칸 i를 신규 승강장 호출에 할당한 경우의, 발생중의 각 엘리베이터 칸 각 호출에 대한 대기 시간 평가의 총합,
E2(i) : 엘리베이터 칸 i를 신규 승강장 호출에 할당한 경우의, 발생중의 각 엘리베이터 칸 각 호출에 대한 예보가 빗나갈 확률 평가의 총합,
E3(i) : 엘리베이터 칸 i를 신규 승강장 호출에 할당한 경우의, 발생중의 각 엘리베이터 칸 각 호출에 대한 인원이 만원일 확률 평가의 총합,
E4(i) : 엘리베이터 칸 i를 신규 승강장 호출에 할당한 경우의, 각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거리 평가의 총합.
다음에, 단계 S105에서는 할당 수단(15)은 상기의 단계 S104에서 계산한 총합 평가 함수 J(i)의 값이 최선, 즉 최소로 되는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 엘리베이터 칸으로서 결정한다.
그리고, 단계 S106에서 운전 제어 수단(16)은 통신 수단(11)과 각 대 제어 장치(20)를 통과하여 해당 할당 엘리베이터 칸에 할당 지령을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주행 거리를 감소하는 일이 생긴다. 그 결과, 에너지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또, 간접적인 효과로서, 각 엘리베이터의 쓸데없는 주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대기 시간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대하여 도 4에서부터 도 6까지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도시하지 않음)을 효율적으로 관리(할당) 제어하고, 복수의 각 대 제어 장치(20)는 각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제어한다. 복수의 각 대 제어 장치(20)는 그룹 관리 제어 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다.
또, 그룹 관리 제어 장치(100)에는 통신 수단(11)과, 예측 연산 수단(12)과, 평가 연산 수단(14)과, 할당 수단(15)과, 운전 제어 수단(16)과, 후보 엘리베이터 칸 선택 수단(17)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각 수단(11, 12, 14 ~ 17)은 마이크로 컴퓨터상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통신 수단(11)은 각 대 제어 장치(20) 등과의 정보 통신을 실시한다. 예측 연산 수단(12)은 각 엘리베이터가 각 층에 몇 초 후에 도착할 수 있는지 등의 예측 연산을 실시한다. 후보 엘리베이터 칸 선택 수단(17)은 각 엘리베이터의 위치ㆍ방향 및 맡은 모든 호출과 신규 승강장 호출에 따라 신규 승강장 호출에 대한 할당 후보 엘리베이터 칸을 선택한다. 평가 연산 수단(14)은 예측 연산 수단(12)의 계산 결과에 근거하여, 후보 엘리베이터 칸 선택 수단(17)이 선택한 후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대기 시간 평가 등의 각종 평가 항목의 연산을 실시한다. 할당 수단(15)은 평가 연산 수단(14)의 평가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총합적인 평가를 실시하고, 신규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적절한 엘리베이터(엘리베이터 칸)를 할당한다. 운전 제어 수단(16)은 할당 결과에 따라 각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한다.
다음에, 이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후보 엘리베이터 칸 선택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단계 S200에서 승강장 호출이 신규로 등록되면, 단계 S201에서 예측 연산 수단(12)은 각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예측 연산을 실시한다. 이 예측 연산은 도 2의 단계 S101의 순서와 동일하다. 예측 연산은 각 엘리베이터 칸마다 신규 승강장 호출을 가할당한 경우로 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행해지고, 이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단계 S201의 출구에서부터 입구로 되돌아가는 선이 그려져 있다.
다음에, 단계 S202에서 후보 엘리베이터 칸 선택 수단(17)은 신규 승강장 호출에 대한 할당 후보 엘리베이터 칸의 선택을 실시한다. 이 순서에 대하여 도 6의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a)의 예에서는 1 호기(#1)의 엘리베이터 칸(30)은 6F(6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 표)을 가지고, 1F(1층)에서부터 출발을 개시하는 곳이고, 2 호기(#2)의 엘리베이터 칸(30)은 7F(7층)에 대기중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4F(4층)에 업(상승)의 신규 승강장 호출(◆ 표)이 생겼을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 4F의 업 승강장 호출에는 1 호기, 또는 2 호기의 엘리베이터 칸(30)의 어느 쪽을 할당해도 거의 동시에 도착 가능하다. 그러나, 주행 거리의 합계는 1 호기의 엘리베이터 칸(30)을 할당한 경우가 짧아지는 것은 분명하다. 즉, 4F의 업 승강장 호출에, 1 호기의 엘리베이터 칸(30)을 할당한 경우에는 1F → 4F → 6F 의 주행 루트가 예측되고, 또한 2 호기의 엘리베이터 칸(30)을 할당한 경우에는 7F → 4F → 7F(예를 들면,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최상층(10F)에서부터 승차층(4F)까지의 한가운데 층을 행선지층으로 예측하는 방법으로 예측했을 경우)의 주행 루트가 예 측되고, 주행 거리의 합계는 전자의 쪽이 짧다.
도 6(b)의 예에서 엘리베이터 칸(30)은 6F에 할당이 끝난 승강장 호출(△ 표)을 가지고, 1F에서부터 출발을 개시하는 곳이고, 4F에 업의 신규 승강장 호출(◆ 표)가 생겼을 경우이다. 이와 같이, 도 6(a)의 1 호기의 예, 또는 도 6(b)의 예와 같이, 신규 승강장 호출과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중 또는 주행 예정인 엘리베이터 칸에 할당하면 주행 거리도 단축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와 같은 상태에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우선하여 할당 후보로서 선택하고, 주행 거리의 감소를 도모한다. 이 때문에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이하의 제1의 룰을 이용한다.
IF ((신규 승강장 호출 발생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갖는 엘리베이터 칸) or (신규 승강장 호출이 자신의 층 할당으로 되는 엘리베이터 칸)) or
((신규 승강장 호출과 동일 방향으로 주행중 또는 주행 예정인 엘리베이터 칸) and (신규 승강장 호출과 동일 방향이면서 전방으로 호출을 하나만 갖는 엘리베이터 칸))
THEN (해당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 후보 엘리베이터 칸으로 함)
상기의 룰 중에서, 최초의 or 조건의 전반 부분과 후반 부분은 도 6(c)와(d)의 예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가지고 정지 예정의 층(4F)에 신규 승강장 호출이 발생했을 경우와, 자신의 층 할당(현재 엘리베이터 칸(30)이 정지하고 있는 층(4F)에 신규 승강장 호출이 발생)의 경우에,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칸에 신규 승강장 호출을 할당하면 모든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거리의 합계가 짧아지는 것은 분명하다.
또, and 조건의 전반 부분은 도 6(a)나 도 6(b)에 해당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단, 신규 승강장 호출과 동일 방향이면서 전방으로 호출을 갖는 엘리베이터 칸이어도, 이미 다수의 호출을 할당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할당하면 긴 대기(예를 들면, 60초 이상,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40초 이상, 50초 이상이나, 70초 이상, 80초 이상에서도 관계 없음)가 발생하고, 빌딩 전체의 수송 효율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and 조건의 후반 부분은 수송 효율의 악화를 막기 위해서, 정지 예정 회수가 소정 회수 이내의 엘리베이터 칸을 선택하기 위한 조건이다.
또, 동일한 의미로, and 조건의 후반 부분을 변경한 하기의 제2의 룰을 이용해도 된다.
IF ((신규 승강장 호출 발생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갖는 엘리베이터 칸) or (신규 승강장 호출이 자신의 층 할당으로 되는 엘리베이터 칸)) or
((신규 승강장 호출과 동일 방향으로 주행중 또는 주행 예정인 엘리베이터 칸) and (신규 승강장 호출을 할당해도 긴 대기를 발생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칸))
THEN (해당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 후보 엘리베이터 칸으로 함)
단계 S202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1의 룰이나, 제2의 룰을 이용하여 신규 승강장 호출에 대한 할당 후보 엘리베이터 칸을 선택하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의 제1의 룰이나, 제2의 룰의 조건을 만족하는 엘리베이터 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는 재차 모든 엘리베이터 칸을 후보 엘리베이터 칸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경우이어도 적어도 종래와 동일한 순서로 할당 엘리베이터 칸의 결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단계 S203에서는 단계 S202에서 선택된 후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도 2의 단계 S103와 동일한 각종 평가값의 계산을 실시한다. 단, 이 실시예 2에서는 주행 거리에 관해서는 실시하지 않는다. 평가 연산은 각 후보 엘리베이터 칸마다 행해지고, 이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단계 S203의 출구에서 입구로 되돌아가는 선이 그려져 있다.
다음에, 단계 S204에서는 할당 수단(15)은 상기의 후보 엘리베이터 칸에 선택된 각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예를 들면 이하의 식 (2)에 나타내는 총합 평가 함수 J(i)를 이용하여 총합적인 평가를 행한다.
J(i) = w1E1(i) + w2E2(i) + w3E3(i) (2)
W1, W2, W3 : 웨이트(중량),
EI(i) : 엘리베이터 칸 i를 신규 승강장 호출에 할당한 경우의, 발생중의 각 엘리베이터 칸 각 호출에 대한 대기 시간 평가의 총합,
E2(i) : 엘리베이터 칸 i를 신규 승강장 호출에 할당한 경우의, 발생중의 각 엘리베이터 칸 각 호출에 대한 예보가 빗나갈 확률 평가의 총합,
E3(i) : 엘리베이터 칸 i를 신규 승강장 호출에 할당한 경우의, 발생중의 각 엘리베이터 칸 각 호출에 대한 인원이 만원일 확률 평가의 총합.
상기의 식 (2)은 주행 거리에 관한 평가 항목이 생략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식 (1)과 동일하다.
다음에, 단계 S205에서는 상기의 단계 S204에서 계산한 총합 평가 함수 J(i) 의 값이 최선, 즉 최소로 되는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 엘리베이터 칸으로서 결정하고, 단계 S206에서 해당 할당 엘리베이터 칸에 할당 지령을 실시한다.
이 실시예 2에 의하면, 복수의 엘리베이터가 취역하는 빌딩에 있어서, 승강장 호출이 발생했을 경우에, 신규 승강장 호출과 동일 방향으로 주행중인 엘리베이터를 우선적으로 할당 수단을 설치했으므로, 각 엘리베이터의 주행 거리를 감소할 수 있고, 대기 시간을 악화시키는 일 없이 에너지 절약 효과를 낸다. 또, 승강장 호출이 발생했을 경우에, 신규 승강장 호출을 할당해도 긴 대기는 발생하지 않고, 또 신규 승강장 호출과 동일 방향으로 주행중인 엘리베이터를 우선적으로 할당 수단을 설치했으므로, 수송 효율을 유지한 다음 각 엘리베이터의 주행 거리를 감소할 수 있고, 대기 시간을 악화시키는 일 없이 에너지 절약 효과를 낸다. 또한, 승강장 호출이 발생했을 경우에, 정지 예정 회수가 소정 회수 이내에서, 또 신규 승강장 호출과 동일 방향으로 주행중인 엘리베이터를 우선적으로 할당 수단을 설치했으므로, 수송 효율을 유지한 다음 각 엘리베이터의 주행 거리를 감소할 수 있고, 대기 시간을 악화시키는 일 없이 에너지 절약 효과를 낸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가 취역하는 빌딩에 있어서, 승강장 호출이 발생했을 경우에, 적어도 각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한 경우의 주행 거리 합계를 평가하여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결정하는 수단을 설치했으므로, 각 엘리베이터의 주행 거리를 감소할 수 있고, 대기 시간을 악화시키는 일 없이 에너지 절약을 가져오는 효과를 낸다.

Claims (16)

  1.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이 현재 위치에서부터 승강장 호출이 발생한 층까지 도착할 수 있는 도착 시간을 예측하는 예측 연산 수단과,
    상기 각 엘리베이터 칸이 각각 맡은 모든 호출에 응답하여 현재 위치에서부터 정지하기까지의 주행 거리를 예측하는 주행 거리 예측 수단과,
    상기 예측 연산 수단에 의해 예측된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승강장 호출에 대한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대기 시간을 평가 지표로서 제1의 평가 함수를 이용하여 대기 시간 평가의 연산을 실시하는 동시에, 상기 주행 거리 예측 수단에 의해 예측된 주행 거리를 평가 지표로서 제2의 평가 함수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 평가의 연산을 실시하는 평가 연산 수단과,
    상기 각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대기 시간 평가 및 상기 주행 거리 평가를 포함하는 총합 평가 함수의 연산을 실시하고,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상기 총합 평가 함수의 값이 최소로 되는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하는 할당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거리 예측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이 제1의 층에서부터 하강 방향으 로 주행중에, 제2의 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과, 상기 제1의 층과 상기 제2의 층의 사이의 중간층에 하강 승강장 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층에서부터 상기 제2의 층까지의 거리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거리로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거리 예측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이 최상층에서부터 하강 방향으로 주행중에, 최하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과, 상기 최상층과 상기 최하층의 사이의 중간층에 하강 승강장 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최상층에서부터 상기 최하층까지의 거리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거리로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거리 예측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이 제2의 층에서부터 상승 방향으로 주행중에, 제1의 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과, 상기 제2의 층과 상기 제1의 층의 사이의 중간층에 상승 승강장 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의 층에서부터 상기 제1의 층까지의 거리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거리로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거리 예측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 방향으로 주행중에, 최상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과, 상기 최하층과 상기 최상층의 사이의 중간층에 상승 승강장 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최하층에서부터 상기 최상층까지의 거리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거리로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거리 예측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이 제1의 층에서부터 하강 방향으로 주행중에, 제2의 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과, 상기 제1의 층과 상기 제2의 층의 사이의 중간층에 상승 승강장 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승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행선지층을 예측하고, 상기 최 제1의 에서부터 상기 제2의 층을 경유하여 상기 행선지층까지의 거리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거리로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거리 예측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이 최상층에서부터 하강 방향으로 주행중에, 최하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과, 상기 최상층과 상기 최하층의 사이의 중간층에 상승 승강장 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승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행선지층을 예측하고, 상기 최상층에서부터 상기 최하층을 경유하여 상기 행선지층까지의 거리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거리로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 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거리 예측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이 제2의 층에서부터 상승 방향으로 주행중에, 제1의 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과, 상기 제2의 층과 상기 제1의 층의 사이의 중간층에 하강 승강장 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하강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행선지층을 예측하고, 상기 제2의 에서부터 상기 제1의 층을 경유하여 상기 행선지층까지의 거리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거리로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거리 예측 수단은 엘리베이터 칸이 최하층에서부터 상승 방향으로 주행중에, 최상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과, 상기 최하층과 상기 최상층의 사이의 중간층에 하강 승강장 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하강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행선지층을 예측하고, 상기 최하층에서부터 상기 최상층을 경유하여 상기 행선지층까지의 거리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거리로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거리 예측 수단은 상기 상승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행선지층을 예 측하는 경우, 상기 제1의 층 또는 상기 최상층에서부터 상기 중간층까지의 각각의 하차 확률을 상기 제1의 층 또는 상기 최상층에서부터 적산하고, 50 퍼센트가 되는 층을 행선지층으로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거리 예측 수단은 상기 상승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행선지층을 예측하는 경우, 상기 제1의 층 또는 최상층과 상기 중간층의 한가운데 층을 행선지층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거리 예측 수단은 상기 하강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행선지층을 예측하는 경우, 상기 제2의 층 또는 상기 최하층에서부터 상기 중간층까지의 각각의 하차 확률을 상기 제2의 층 또는 상기 최하층에서부터 적산하고, 50 퍼센트가 되는 층을 행선지층으로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거리 예측 수단은 상기 하강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행선지층을 예측하는 경우, 상기 제2의 층 또는 최하층과 상기 중간층의 한가운데 층을 행선지층 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14.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이 현재 위치에서부터 승강장 호출이 발생한 층까지 도착할 수 있는 도착 시간을 예측하는 예측 연산 수단과,
    상기 각 엘리베이터 칸이 각각 맡은 모든 호출에 응답하여 현재 위치에서부터 정지하기까지의 주행 거리를 예측하고, 예측한 주행 거리가 짧은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의 후보 엘리베이터 칸으로서 선택하는 후보 엘리베이터 칸 선택 수단과,
    상기 예측 연산 수단에 의해 예측된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승강장 호출에 대한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대기 시간을 평가 지표로서 소정의 평가 함수를 이용하여 대기 시간 평가의 연산을 실시하는 평가 연산 수단과,
    상기 후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대기 시간 평가를 포함하는 총합 평가 함수의 연산을 행하고,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상기 총합 평가 함수의 값이 최소로 되는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하는 할당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엘리베이터 칸 선택 수단은
    「IF ((신규 승강장 호출 발생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갖는 엘리베이터 칸) or (신규 승강장 호출이 자신의 층 할당으로 되는 엘리베이터 칸)) or
    ((신규 승강장 호출과 동일 방향으로 주행중 또는 주행 예정인 엘리베이터 칸) and (신규 승강장 호출과 동일 방향이면서 전방으로 호출을 하나만 갖는 엘리베이터 칸))
    THEN (해당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 후보 엘리베이터 칸으로 함)」
    이라고 하는 룰로 할당의 후보 엘리베이터 칸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엘리베이터 칸 선택 수단은
    「IF ((신규 승강장 호출 발생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갖는 엘리베이터 칸) or (신규 승강장 호출이 자신의 층 할당으로 되는 엘리베이터 칸)) or
    ((신규 승강장 호출과 동일 방향으로 주행중 또는 주행 예정인 엘리베이터 칸) and (신규 승강장 호출을 할당해도 긴 대기를 발생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칸))
    THEN (해당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 후보 엘리베이터 칸으로 함)」
    이라고 하는 룰로 할당의 후보 엘리베이터 칸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KR1020077007098A 2007-03-28 2005-10-26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KR100902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7098A KR100902444B1 (ko) 2007-03-28 2005-10-26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7098A KR100902444B1 (ko) 2007-03-28 2005-10-26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543A true KR20070088543A (ko) 2007-08-29
KR100902444B1 KR100902444B1 (ko) 2009-06-11

Family

ID=3861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098A KR100902444B1 (ko) 2007-03-28 2005-10-26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44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2830B2 (ko) * 1974-08-16 1981-12-15
JPS54159955A (en) * 1978-06-06 1979-12-18 Mitsubishi Electric Corp Group controller for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444B1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7049342A1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JP5230749B2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装置
KR920011080B1 (ko) 엘리베이터의 군(群)관리장치
US8978833B2 (en) Double-deck elevator group controller
JP4505901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83877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on of destination calls in elevator system
JP2509727B2 (ja) エレベ―タの群管理装置及び群管理方法
CN101054141B (zh) 电梯群管理控制方法和电梯群管理控制系统
KR101088283B1 (ko)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90159374A1 (en) Elevator system
JP4784509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920001299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JP2014094820A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KR930004754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및 그 군관리방법
JP2019142694A (ja) 群管理制御装置および群管理制御方法
JP2008529922A (ja) 一方のかごに強いられる遅れ時間を最小にするように昇降路内にある2基のかごのうちの1基に割当てるかご呼び
US6419051B2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reassigning the cars of a double-deck elevator
JP2014005130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及び群管理制御方法
KR20070045305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5159794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KR100902444B1 (ko)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WO2010055563A1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システム
JPH08198529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7532609B1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および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2020019626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