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850A -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 - Google Patents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850A
KR20070087850A KR1020050133362A KR20050133362A KR20070087850A KR 20070087850 A KR20070087850 A KR 20070087850A KR 1020050133362 A KR1020050133362 A KR 1020050133362A KR 20050133362 A KR20050133362 A KR 20050133362A KR 20070087850 A KR20070087850 A KR 20070087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oad
resonance
circuit
ampl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직
Original Assignee
이광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직 filed Critical 이광직
Priority to KR102005013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7850A/ko
Priority to JP2008548421A priority patent/JP2009522996A/ja
Priority to PCT/KR2006/005801 priority patent/WO2007075058A1/en
Priority to BRPI0621153-4A priority patent/BRPI0621153A2/pt
Priority to US12/158,665 priority patent/US8077485B2/en
Priority to RU2008128887/09A priority patent/RU2402135C2/ru
Priority to CN2006800486085A priority patent/CN101346870B/zh
Priority to DE112006003499T priority patent/DE112006003499T5/de
Publication of KR20070087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impedances
    • H02M5/0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impedances using capacitor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1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 H02M5/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for conversion of voltage or current amplitude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증폭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전력공급 장치에 직렬공진 또는 병렬공진을 이용하여, 공진 시 인덕터에 증폭된 공진전력을 기존의 변압기를 통하여 고정 부하에 공급할 수 있는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전압 또는 전류를 발생하여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이용하여 증폭된 공진전력을 발생하는 전력증폭부와, 상기 전력증폭부로부터 증폭된 공진전력을 변압기를 이용하여 부하에 전달하는 전력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력, 부하, 증폭

Description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transmitting circuit to load amplipied resonant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렬공진을 이용한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일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동기 발전기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렬공진과 병렬공진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렬공진 시 부하가 있는 변압기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변압기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전력 증폭 및 전달 실험 회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험에 사용된 회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험에 따른 전원전압과 부하가 직결된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험에 따른 전력 전달용 최종 변압기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험에 따른 전력 전달 공진형 전압원 등가 회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험에 따른 전력 전달 공진형 전류원 등가 회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험에 따른 가정용 전기 기구 전력전달 변압기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험에 따른 부하 소비전력 감소를 위한 가정용 전기 기구 전력전달 공진형 전류원 등가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전력 증폭 회로와 그 전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전력공급 장치에 직렬공진 또는 병렬공진을 이용하여, 공진 시 인덕터에 증폭된 공진전력을 기존의 변압기를 통하여 고정 부하에 공급할 수 있는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생산된 전력을 부하에 직접 연결하여 공급하는 전력공급원 장치로서, 발전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경우는 발전된 전력을 단순히 변압기를 통하여 부하에 알맞은 전압 또는 전류로 변환하여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지금까지는 독립전원의 전력이 부하에 직접 전력을 공급하는 주공급원으로 간주되어, 부하에서 요구되는 소비전력은 독립전원에 의하여 공급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이, 현 시점에서는 독립전원이 직접적으로 부하에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하고 있을 뿐, 독립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증폭하여, 증폭된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소개되지 않고 있다.
즉, 전력 측면에서 볼 때,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전에, 소정의 독립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증폭하여 부하측에 전달할 수 있다면, 산업적으로 획기적인 발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기존의 전력공급 장치에 직렬공진 또는 병렬공진을 이용하여, 공진 시 인덕터에 Q배로 증폭된 공진전력을 기존의 변압기를 통하여 고정부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재 사용되는 전력공급 장치의 단순한 기능을 뛰어넘어 보다 많은 전력을 부하에 공급 할 수 있는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전압 또는 전류를 발생하여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이용하여 증폭된 공진전력을 발생하는 전력증폭부와, 상기 전력증폭부로부터 증폭된 공진전력을 변 압기를 이용하여 부하에 전달하는 전력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교류전압전원, 교류전류전원, 직류전압전원 및 직류전류전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증폭부는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인덕터와, 상기 1차측 인덕터에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는 콘덴서로 구성되되,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공진 증폭하여 상기 인덕터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압기의 1차측 반사임피던스는 상기 전력증폭부에서 공진이 유지될 수 있도록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인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에 관한 작용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전력을 발생하여 공급하는 전원부(10)와, 상기 전원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력을 공진시켜 증폭된 공진전력을 발생/저장하는 전력증폭부(20)와, 상기 전력증폭부(20)로부터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40)에 전달하는 전력전달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0)는 일반적인 독립 전원을 의미하고, 이와 같은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독립 전원은 변압기 등을 이용하여 부하측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승압 또는 강압되어 부하에 전달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전원부(10)는 후 술할 전력증폭부(20)에서 전력을 증폭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하는 보조회로에 해당할 뿐, 부하측에 필요한 전력을 직접적으로 발생하거나 공급하지 않는다.
상기 전원부(10)로서의 독립전원은 교류전원 및 직류전원이 모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교류전원은 교류전압전원 및 교류전류전원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직류전원은 직류전압전원 및 직류전류전원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독립전원이 직류전원일 경우에는 이를 인버터를 통하여 교류로 변환 시킬 수 있다.
상기 전원부(10)에 연결되는 전력증폭부(20)는 상기 전원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이용하여 증폭된 공진전력을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증폭된 공진전력은 변압기를 통하여 부하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전력증폭부(20)는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인덕터를 이용하여 증폭된 공진전력을 발생하고, 증폭된 공진전력을 상기 1차측 인덕터에 저장시킨다.
즉, 상기 전력증폭부(20)는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인덕터와, 상기 1차측 인덕터에 병력 또는 직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로 구성되되, 상기 전원부(10)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공진 증폭하여 상기 인덕터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전력증폭부(20)는 상기 전원부(10)에 에너지 축적 소자인 L(인덕터)과 C(콘덴서)를 부가하고 이를 전원 주파수에 동기하여 직렬공진, 또는 병렬공진을 발생시켜 L 및 C 에 Q배의 전원 전력을 증폭하여 축적시킨다. 전원전압이 Vg 인 직렬공진 시는 인덕터에 Q배의 전원전압, 즉 Q * Vg [V]가 인가되고, 인덕터를 흐르는 공진전류 I0에 의해 직렬 공진전력 Ps는, Ps= Q Vg * I0[W]가 발생된다.
병렬공진 시는 입력 전류원 Ig 의 Q배의 전류, 즉 Q * Ig [A]가 인덕터에 인가되고, 인덕터 양단의 전압 Vp에 의해 병렬 공진전력 Pp는, Pp= Q Ig * Vp[W]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직렬공진 또는 병렬공진을 이용하면 공진용 인덕터에는 입력전력 P에 비해 Q배의 전력이 증폭되어 축적된다. 설계의 목적에 따라 공진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인덕터에서 발생되는 전력은 무효전력이나, 편의상 전력 Ps 또는 Pp로 표시한다.
상기 전력증폭부(20)에 의하여 증폭된 공진전력은 보통의 변압기로 구성되는 전력전달부(30)에 의하여 부하(40)에 전달된다.
상기 전력전달부(30)는 변압기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증폭부(20)에서 Q배 증폭된 전력을 부하에 전달한다. 최대한 많은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결합계수 k는 1에 가깝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렬공진 시 변압기의 2차 측 전압 V2는 2차 측 전류 I2가 I2=0 일 때 변압기 원리에 의해 아래와 같은 수식이 성립된다.
V2 = k * V1/n = k * Q * Vg/n = (Q/n) * k * Vg
(Q ; 회로의 퀄리티 팩터, n ; 변압기 권선비, k ; 결합계수, Vg ; 전원 전압, V1 ; 직렬공진 시 인덕터 양단의 전압)
그런데, 변압기가 동작 시는 변압기의 2차 측에 2차 전류 I2가 흐르고 이로 인해 변압기의 2차 측에서 1차 측으로 반사 임피던스 Z21이 반사되어 1차 측의 공진 발생을 억제시킨다.
따라서, 상기 변압기의 1차측 반사임피던스는 상기 전력증폭부(20)에서 공진이 유지될 수 있도록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서는 위의 공진에 의한 2차 측 전압 전달식과 반사임피던스 Z21을 조절할 수 있는 식을 유도하여 설계에 사용함으로서 증폭된 공진 전력을 일반적인 변압기 원리에 의해 그대로 부하에 전달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증폭된 공진전력을 변압기 원리에 의해 공급받는 부하(40)는 변압기 1차 측 인덕터에서 Q배로 증폭된 전력을 공급받는 회로이며, 이때 2차 전류 I2 가 0 이 아닐 경우는 변압기 반사 임피던스에 의해서 변압기 1차 측의 공진이 흐트러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반사 임피던스 Z21의 조절은 필수적이며 또한 1차 측의 공진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부하 저항값 R0를 최적으로 선정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의 일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회로로서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는 교류전압전원 Vg와 내부 저항 Rg로 이루어진 전원부(10)와, 변압기의 1차측 인덕터 L1과, 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콘덴서 C1으로 이루어진 전력증폭부(20)와, 변압기로 이루어진 전력전달부(30)와, 상기 전력전달부(30)에 의하여 증폭된 공진전력을 제공받는 부하 R0를 포함하여 이루 어질 수 있다.
도 3은 3상 동기 발전기의 등가 회로이다. 여기서 jxs는 발전기의 리액턴스이며 R1은 인덕터의 저항이다. 본 발명은 단상 발전 등가 회로를 적용하여 회로에 콘덴서를 첨가하고 공진을 이용하여 전력을 증폭시킨 후, 그 공진 전력을 변압기 원리를 이용하여 직접 부하에 공급하는 방안으로 부하를 전원에 직접 연결하는 종래의 방법보다는 배가된 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방법이다.
도 4는 발전기의 단상 등가회로에 직렬공진 또는 병렬공진을 적용하여 전력을 증폭하는 회로도로서, 본 발명의 전원부(10)와 전력증폭부(20)가 결합된 회로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공진을 적용한 회로에서, 퀄리티 팩터 Qs는 코일의 저항 R1을 무시하면, Qs = WL1/ Rg(Rg 는 전원의 내부저항, R1 은 코일의 손실 저항)로 표현된다. 이때 회로의 Qs는 통상적으로 10 이상이다. 또한 직렬공진 시 인덕터 L1 양단의 전압 V1은 V1 = Qs * Vg를 만족하고, 이때 , 인덕터 L1에 축적되는 전력 P1은 아래의 식과 같다.
P1 = V1 * I0 = Qs * Vg * I0 = Qs * Vg2 /Rg
단, 여기서 I0 = Vg / Rg (I0 는 공진전류)
또한 직렬공진 시 전원전력 Pg는 Pg = Vg * I0 = Vg2 / Rg를 만족한다. 따라 서 P1 = Qs * Pg 이다. 위 식은 직렬공진 시 인덕터 L1 양단에 입력전력의 Qs 배의 전력이 인가됨을 보여주고 있다. 도 4의 (b)는 병렬 공진을 적용한 회로인데, 병렬공진 시도 직렬공진 시와 같이 인덕터 양단에 Q배의 전력증폭이 이루어지며, 이의 설명은 상기 직렬공진을 적용한 회로에서 증명된 일반 사항이므로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력전달부(30)에서 사용하는 변압기의 등가회로이다.
전력전달부(30)로서 변압기는 이상적일 경우 입력전력 P1이 2차 측으로 손실 없이 전달되기 때문에 2차 측 전력 P2는 P1과 같다. 그러나 결합계수 k 와 권선비 n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단, 코일의 저항이 무시된 경우이다.
V2 = k * V1 / n
I2 = k * n * I1
P2 = V2 * I2 = k2 * P1
그러나 전원의 내부저항 Rg가 있고 2차 측에 부하저항 R0가 연결되어 2차 측의 전류 I2가 0이 아니면 반사 임피던스 Z21이 1차 측에 결합 되며 반사 임피던스 Z21은 Z21 = -(SM)2 / Z22 = R21 +jX21 [Ω] 로 표현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직렬공진에 의해 증폭된 공진 전력을 도 5에 도시된 변압기 원리로 변압기의 2차 측에 증폭된 공진전력을 전달하는 경우,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의 등가 회로이다.
도 6의 (b)에 도시된 변압기 2차 측 등가회로에서 I1은 1차 측 전류, 그리고 Z12는 상호 인덕턴스이다.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측 전원회로를 직렬공진 회로로 구성하고, 2차 측 회로에 부하를 연결하면, 반사 임피던스 Z21이 1차 측 공진회로에 나타난다. 여기서 상기 반사 임피던스 Z21이 1차 측 공진회로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계하면 1차 측 공진회로는 지속적으로 공진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공진에 의해 증폭된 전력은 변압기 원리에 의해 2차 측 회로에 전달되고 부하에 증가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을 증명하기 위한 실험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실제 실험에 사용된 변압기의 실물이다. 페라이트 코아에 권선을 감아 348mH를 1차 측 및 2차 측에 사용하므로 권선비 n을 1로 유지하도록 설계하고 직렬 공진을 이용하였다. 이 때 코일의 DC 저항은 2.8Ω이고 결합계수 k = 0.742 이다.
그리고 도 7의 실험용 변압기에 내부 임피던스가 50Ω인 Tektronix CFG 280 신호발생기를 교류전원으로 사용하였으며, 직렬공진주파수는 304KHz 하였다. 전압측정기는 Tektronix TDS 220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원전력 증폭 및 전달 실험 회로의 등가회로이고, 도 9는 상기 도 8의 실험에 사용된 등가회로를 1차 측 등가회로와 2차 측 등가회로로 구분하여 도시된 것이다.
도 9의 (a)의 1차 측 등가 회로에서 등가저항 RT는 Rg+R1+R21 로 표현될 수 있다. 이 때 부하 R0가 연결될 때 회로의 퀄리티 팩터 Qs는 Qs = XL1 / RT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반사 임피던스 R21이 작을수록 전력 증폭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회로 설계 시 1차 측 회로에 반사 임피던스 Z21을 최소화하여 공진을 유지하면 증폭된 공진 전력은 2차 측의 전압 및 전류로 변압기 원리에 의해 2차 측에 그대로 전달된다. 따라서 직렬공진에 따른 1차 측의 증폭된 전압은 Qs * Vg 이고, 2차 측 전압 V2 는 V2 = (Qs/n) * k * Vg로 표현된다. 그리고 결합계수 k가 1이고, 권선비 n이 1이라면, 2차 측 전압 V2 는 전원전압 Vg의 Qs 배로 증폭되어 2차 측에 인가된다.
2차 측 전류 I2 는, I2 = k * n * I1이므로, n=1, k=1 이라면, I2= I1 이다. 이때 I1 은 1차 측의 공진 전류로서 2차 측에 그대로 전달된다.
따라서 2차 측에 전달된 전력 P2는 아래와 같은 수식을 만족한다.
P2 = V2 * I2 = (Qs/n) * k * Vg * k * n * I1 = Qs * k2 * Vg * I1 = Qs * k2 * P1
상기 식의 의미는 회로의 2차 측에 전달되는 전력 P2는 k =1 일 때 공진 시 입력 전력의 Qs배에 해당되는 전력이 2차 측에 전달됨을 의미하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공급원은 전력증폭부에 의하여 증폭된 공진전력이 되고, 전원부는 공진을 유지하기 위한 트리거(보조) 회로로 간주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실험 회로에서 부하저항를 R0를 170K[Ω]로 가정하면 반사 임피던스 Z21은 아래 식을 만족한다.
Z21 = -(SM)2 / Z22 = 1.43 - j 5.6 * (10)-3 [Ω] = R21 +j X21 [Ω]
여기서, Rg = 50 [Ω], R0 = 170 [KΩ], XL1= 665 [Ω], XL2 = 665 [Ω], k =0.742, n = 1로 가정한다.
상기 식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반사저항 R21=1.43[Ω]으로 내부저항 Rg=50[Ω] 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회로의 Qs에 주는 영향이 적고 반사되는 용량성 리액턴스 X21도 5.6 * (10)-3[Ω] 으로 1차 측 회로의 유도성 리액턴스 665[Ω]보다 매우 작기 때문에 공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내부저항 Rg = 50[Ω]과 1V의 크기를 갖는 전원 전압의 공진회로를 이용하여 부하 R0 에 공급되는 가용전력을 실측한 표이다. 이 때 결합계수는 k=0.742를 적용한 실측치이다. 그러나 결합계수 k가 1인 경우에는 V2 = V1 이 되며, 부하의 공급전력은 아래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다. 단, 부하의 공급전력 산출 시 R0>> XL2이므로 XL2는 무시하였다.
<표 1> 도 8에 도시된 등가회로의 부하 변화에 따른 실측치
부하 R0 [Ω] 퀄리티 팩타 QS 1차측전압 V1 [V] 2차측전압 V2= 0.742V1 [V] 부하가용전력 P0= V2 2 /R0 [uW] 반사저항 R21 [Ω]
1M 170K 10K 1.2K 870 8.97 8.80 6.56 2.40 1.93 8.97 8.80 6.56 2.40 1.93 6.65 6.55 4.92 1.72 1.34 42.9 252.3 2420.6 2465.3 2063.9 0.24 1.43 24.34 202.89 279.85
(여기서, Vg = 1V , k=0.742 , n=1)
상기 <표 1>에서 전원전압 Vg가 1V 이므로 회로의 Qs 값과 1차 측 인덕터 L1에 인가되는 전압 V1과의 크기는 같다. 따라서 2차 측에 전달되는 전압 V2는 V2=k * V1 이다.
그리고 I2=0 일 때, 1차 회로의 퀄리티 팩터 Qs는, Qs = XL1 / ( Rg + R1 ) = 665[Ω] / 52.8[Ω] = 12.59를 만족한다. 단, Rg는 전원의 내부저항 50[Ω]이고, R1은 1차 코일의 직류저항 2.8[Ω]이다.
이 때 부하저항 R0가 1M[Ω] 일 때는 I2=0 인 경우와 비슷하므로 Qs가 이론치와 같이 12.59이어야 하나 실측치는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8.97로 나타난다. 이는 코일의 직류저항 값 이외에도 코일의 고주파에 의한 저항값이 인가되어 Qs 값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를 1차 회로의 유효저항, Reff로 취급하고 그 값을 계산하면, Reff = XL1 / Qs = 665[Ω] / 8.97 = 74.1[Ω]이다. 그러므로 실험 회로는 전원의 내부저항 Rg = 50[Ω]에서 Reff = 74.1[Ω]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 1>에서 부하저항 R0의 변화에 따른 Qs는 Qs = XL1 / (Reff +R21)와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부하저항 R0가 1.2K[Ω]일 때 반사저항 R21은 202.89[Ω]이고 전압 증폭도는 약 2.4배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설계된 회로에서 부하저항 R0를 크게 하면 반사 임피던스 Z21은, 반사저항 R21이 적어지기 때문에 줄어들고, 퀄리티 팩터 Qs는 증가하게 됨을 <표 1>의 실측치로부터 알 수 있다.
아래 <표 2>는 도 8의 공진형 등가회로에서 결합계수 k를, k=1로 했을 경우의 값을 계산식으로 산정하여 표시하였다.
<표 2> 도 9에 도시된 등가회로의 k=1때 이론치
부하 R0 [Ω] 퀄리티 팩타 QS 1차측전압 V1 [V] 2차측전압 V2 [V] 부하가용전력 P0= V2 2 /R0 [uW] 반사저항 R21 [Ω]
1M 170K 10K 1.2K 870 8.93 8.67 5.62 1.50 1.14 8.93 8.67 5.62 0.83 0.75 8.93 8.80 5.62 0.83 0.75 79.7 442 3158 577 651 0.44 2.6 44.21 368.51 508.30
(여기서, Vg = 1V , k=1, n=1)
상기 <표2>에서 결합계수 k=1일 때 부하저항 R0의 변화에 따라 반사저항 R21이 변하기 때문에, <표 1>과 <표 2>에서 R0가 각 각 1.2[KΩ], 또 870[Ω]의 경우에는 k=0.742인 경우보다 부하 R0에 공급되는 가용전력이 감소됨을 보이고 있다. 이는 공진전력을 전달하는 회로의 설계기법에 있어, 반사 임피던스 Z21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인, 결합계수 k, 부하저항 R0, 권선비 n, 그리고 회로의 리액턴스 XL1이 관여하는데 그 원인이 있다.
아래 <표 3>은 전원전압에 R0를 직접 연결하였을 경우와, 동일한 1V 전원전압에 도 8에 도시된 실험회로의 증폭전력에 부하를 연결하였을 경우 부하 R0에 공급되는 가용전력의 크기를 비교한 것이다. 도 10은 전원전압에 부하를 직접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 때 R0>>Rg 이므로 전원의 내부저항 Rg는 무시하였다.
<표 3> 직결방식과 전원전력 증폭 연결방식의 부하가용전력 비교표
부하 R0 [Ω] ①직결방식 P0=Vg2/R0[uW] 전력증폭연결방식 부하가용 전력비율 ②/① 부하가용 전력비율 ③/①
P0=V2 2/R0[uW]
②k=0.742 ③k=1
1M 170K 10K 1.2K 870 1.0 5.9 100.0 833.3 1149.4 42.9 252.3 2420.6 2465.3 2063.9 79.7 442 3158 577 651 42.9 42.76 24.20 2.95 1.79 79.7 74.91 31.58 0.69 0.56
<표 1>에서 직렬공진 시 QS가 6.56으로 유지되는 회로는 부하저항 R0가 10K[Ω]인 경우 부하에 공급되는 가용전력은 전원에 직접 연결한 경우보다 <표 3>에서와 같이 k=0.742 일 경우는 24.2배이고, k = 1일 경우에는 31.58배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부하에 공급 전력이 증폭된 것으로 기존의 전력 공급 방식에 비해 공급전력은 QS 2배 이상으로 증가된다.
다음은, 병렬공진을 활용한 전원전력 증폭 공급 회로에 대하여 실험 결과를 가지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은 가장 가까운 변압기의 의해서 6.6[KV]가 인가되고, 이 전압이 다시 가정용 단상 220[V]로 강압되어 가정용 부하에 전력이 공급된다.
도 11은 이에 대한 등가회로를 표현한 것이다. 부하저항 R0는 1[Ω]옴으로 목표하고 회로의 Qp는 8.58로 선정하여 설계하였다. 그리고 전원 저항은 무시하였다.
여기서 변압기의 1차 측 전압은 6.6[KV]이고 2차 측 전압은 220[V]이다. 그리고, 이 때 변압기의 결합계수 k를 1로 가정하면 권선비 n 은, n = V1 / V2 = 6.6[KV] / 220[V] = 30이다. 그리고 댁내에서 사용하는 부하 저항을 1[Ω]으로 취급하였다.
이때 부하에 220[V]를 인가하기 위해서 도 11의 2차 측 리액턴스의 크기를 부하저항 값의 1%, 즉 0.0105[Ω]으로 채택하여야 부하저항에 220[V]가 인가된다. 그리고 1차 측 리액턴스 XL1 과 2차 측 리액턴스 XL2는 권선비 제곱에 비례하므로 XL1 = n2 XL2 = 302 (0.0105) = 9.44[Ω]이다. 이때 반사 임피던스 Z21은, Z21 = -(SM)2 / Z22 = 0.1 - j 0.01[Ω] 으로 1차 측 회로에 주는 영향은 거의 없다.
따라서 1차 측에 전력 증폭 용도로 병렬공진 회로를 도 12와 같이 병렬공진을 이용한 전력증폭 회로에 적용하여 증폭된 공진전력을 2차 측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1차 측 코일의 저항 RL1을 1[Ω]으로 가정하면 회로의 Qp 는, Qp = XL1 / Reff = 9.44[Ω] / 1.1[Ω] = 8.58이다. 단, Reff = RL1 +R21이다. 그리고 병렬공진에 의해 표현되는 저항 R1은, R1 = Reff Q2 = 1.1[Ω] * (8.58)2 = 81[Ω]이다. 이때 전원의 내부 저항은 무시하였다.
도 13은 도 12의 전압원 등가회로를 전류원 등가회로로 변경한 회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등가회로에서 공진 시 회로의 공진전류 I0는, I0 = V1 / R1 = 6.6[KV] / 81[Ω] = 0.0815[KA]이고, 1차 리액턴스 XL1에 흐르는 전류는 전류원 I0, 0.0815[KA]의 QP배에 해당되는 0.699[KA]의 순환 전류가 흐르며, 1차 리액턴스 양단에는 6.6[KV] 인가된다. 따라서 이때의 병렬공진 전력 P1R은, P1R = V1 * QP * I0 = 6.6[KV] * 0.699[KA] = 4,613.4[KW]이다.
그러나 도 11의 등가회로에서 변압기 1차 측 리액턴스 XL1에 인가되는 전류 는 코일의 저항, RL1을 무시하면 I1 = V1 / XL1 = 6.6[KV] / 9.44[Ω] = 0.699[KA]이다. 따라서 1차 측 리액턴스 XL1에 인가되는 전력 P1은, P1 = V1 * I1 = 6.6[KV] * 0.699[KA] = 4,613.4[KW]이다.
따라서 병렬공진 시 공진전력 P1R, 4,613.4[KW]와 비 공진 시 전력 P1, 4,613.4[KW]는 크기가 동일하고 변압기에 의해 부하 쪽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전원전력 측에서 살펴보면 비공진시 전원전력은 P1 = 4.613.4[KW]의 전력을 발생시켜야 하지만, 도 13의 등가회로에서 병렬 공진 시 전원전력 Pg는, Pg = V1 * I0 = 6.6[KV] * 0.0815[A] = 0.54[KW]로, 비공진시 전원전력 P1 전력의 1/Qs을 발생시켜도 되기 때문에 발전기의 용량을 감안하면 그만큼 전력이 증폭된 것이다. 이 경우 직렬공진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이 적용되면, 부하의 소비 전력을 기존 방식보다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댁내에서 사용되는 전기기기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분야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예를 이론적으로 제시하여 실험 결과를 토대로 설명한다.
일반적인 전기기구는 댁내의 220[V]에 변압기를 이용하여 1차 측의 220[V]를 원하는 전압으로 강압시킨 후 이를 AC 또는 DC로 전환하여 부하에 공급한다. 예로서 정격출력이 6[V]에 0.3[A]의 출력을 갖는 기기를 선정하였다.
이 때 부하의 등가저항 R0는 R0 = V2 / I2 = 6[V] / 0.3[A] = 20[Ω]이다. 부하 R0에 99%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XL2는 0.2[Ω]으로 선정되었다. 이 때 권 선비 n은, n = V1 / V2 = 220[V] / 6[V] = 36.7이고, 1차 측 리액턴스 XL1 은 XL1 = n2 * XL2 = 36.72 * 0.2[Ω] = 269[Ω]이다.
또 반사 임피던스 Z21은 Z21 = -(SM)2 / Z22 = 2.7 - j0.027 [Ω]이고, 1차 측 코일, L1의 저항 RL1을 40[Ω]으로 채택하면 반사 임피던스, Z21이 1차 회로에 주는 영향은 미미하다. 이와 같은 변압기의 등가회로를 도 14에 도시하였으며, 전원의 내부저항은 무시하였다.
도 14에서 부하저항 R0, 20[Ω]에 6[V]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소요되는 1차 측 전류 I1은 1차 코일의 저항, RL1을 무시하면, I1 = V1 / XL1 = 220[V] / 269[Ω] ≒ 818 [mA]이다.
따라서 부하저항 R0를 동작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소비 전력은 도 14에 도시된 변압기 1차 측의 전압 220[V]와 전류 818[mA]로 결정된다. 도 14에 도시된 등가회로를 전류원 등가회로로 변경하고 병렬공진 형태로 구성한 것을 도 15에서 보여주고 있다.
도 15에서 전원의 내부 저항은 무시하였다. 병렬공진을 이용하여 제시한 위의 등가회로에서 Qp는 Qp = XL1 / (RL1+R21) = 269[Ω] / (40 + 2.7)[Ω] ≒ 6.3이다. 또한 1차 측 회로저항 R1은, R1 = (RL1 + R21) * Qp2 = 42.7 * 6.32 ≒ 1694.7[ Ω]이다.
따라서 이 때 1차 측 전류 I1은 공진전류 I0와 동일하며 I0 = V1 / R1 = 220[V] / 1694.7[Ω] ≒ 129.8[mA]이다. 따라서 공진시 1차 측 리액턴스, XL1에 흐르는 전류 IQ는, IQ = Qp * I0 = 6.3 * 129.8[mA] ≒ 818 [mA]이다.
그러므로 변압기 2차 측에 전달되는 전압 V2와 전류 I2는 변압기의 결합계수 k =1 이고 권선비 n=36.7 이므로, V2 = V1 / n = 220[V] / 36.7 ≒ 6[V]이고, I2 = n * IQ = 36.7 * 818[mA] ≒ 30 [A]로 부하에 전달되기 때문에 부하가 요구하는 정격전압과 전류로 동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부하가 사용하는 소비 전력은 변압기 1차 측에 유도되는 전력에 기인 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적인 소모 전력은 변압기 1차 측에서 사용되는 전압과 전류에 기인한다. 따라서 도 14의 등가회로와 같이 공진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변압기 1차 측에 흐르는 전류, I1은 약 818[mA]이고 도 15의 병렬공진 시 1차 측에 흐르는 전류, I0는 약 129.8[mA]로, 이때에 회로에는 220[V]의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고 있기 때문에 병렬공진을 사용하여 전력을 부하에 공급할 경우에는 공진을 이용하지 않고 전달한 경우 보다 약 6,3배, 즉 Qp배 만큼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인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에 의하면, 발전 전력보다 Q배 높은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전력공급원 측에 반드시 공진이 유도되도록 하고, 부하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변압기 회로는 그 반사 임피던스가 공진을 유지할 수 있는 값 이내로 설정함으로써, 부하의 주전력 공급원이 발전기가 아니고, 공진전력이 주 전력공급원으로 작용하여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전력 공급 장치인 전원(발전기 등)은 공진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보조회로로 간주되고, 실제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은 병렬 또는 직렬 공진 회로에 의하여 증폭된 공진전력이기 때문에, 부하의 유일한 직접 전력 공급원인 발전기를 이용하는 방식보다 획기적으로 증폭된 공진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부하 측면에서 고려할 때는 부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력 응용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에 있어서,
    전압 또는 전류를 발생하여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이용하여 증폭된 공진전력을 발생하는 전력증폭부와;
    상기 전력증폭부로부터 증폭된 공진전력을 변압기를 이용하여 부하에 전달하는 전력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교류전압전원, 교류전류전원, 직류전압전원 및 직류전류전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증폭부는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인덕터와, 상기 1차측 인덕터에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되는 콘덴서로 구성되되,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공진 증폭하여 상기 인덕터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 에 전달하는 회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의 1차측 반사임피던스는 상기 전력증폭부에서 공진이 유지될 수 있도록 작은 값을 가지되, 반사 임피던스 Z21의 구성 내용인 반사저항성분 R21의 크기가 공진전력 전달 변압기 1차측의 등가 유도성 리액턴스 XL1의 값 이하이고 동시에 반사 리액턴스 성분인 X21의 크기는 공진전력 전달 변압기 1차측의 유도성 리액턴스 XL1 값의 0.5 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는 부하의 소비전력을 감소하기 위하여 병렬공진을 이용하여 전력을 증폭하고 이를 부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
KR1020050133362A 2005-12-29 2005-12-29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 KR20070087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362A KR20070087850A (ko) 2005-12-29 2005-12-29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
JP2008548421A JP2009522996A (ja) 2005-12-29 2006-12-28 増幅された共振電力を負荷に伝達する回路
PCT/KR2006/005801 WO2007075058A1 (en) 2005-12-29 2006-12-28 Circuit for transmitting an amplified resonant power to load
BRPI0621153-4A BRPI0621153A2 (pt) 2005-12-29 2006-12-28 circuito para transferir potência ressonante amplificada a uma carga
US12/158,665 US8077485B2 (en) 2005-12-29 2006-12-28 Circuit for transmitting an amplified resonant power to load
RU2008128887/09A RU2402135C2 (ru) 2005-12-29 2006-12-28 Схема для передачи усиленной резонансной мощности на нагрузку
CN2006800486085A CN101346870B (zh) 2005-12-29 2006-12-28 向负载传输放大了的谐振功率的电路
DE112006003499T DE112006003499T5 (de) 2005-12-29 2006-12-28 Schaltkreis zum Übertragen einer verstärkten Schwingleistung an eine La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362A KR20070087850A (ko) 2005-12-29 2005-12-29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209A Division KR100867647B1 (ko) 2008-01-02 2008-01-02 공진회로를 이용한 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850A true KR20070087850A (ko) 2007-08-29

Family

ID=38218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362A KR20070087850A (ko) 2005-12-29 2005-12-29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77485B2 (ko)
JP (1) JP2009522996A (ko)
KR (1) KR20070087850A (ko)
CN (1) CN101346870B (ko)
BR (1) BRPI0621153A2 (ko)
DE (1) DE112006003499T5 (ko)
RU (1) RU2402135C2 (ko)
WO (1) WO20070750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5543B2 (en) 2005-07-12 2010-11-0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Wireless energy transfer
CA2615123C (en) 2005-07-12 2014-11-0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Wireless non-radiative energy transfer
CN101893682B (zh) * 2010-06-25 2012-12-05 珠海和佳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谐振功率放大电路的测试方法
US9438129B2 (en) * 2011-10-06 2016-09-06 Cesar Ladron de Guevara Input/output power and signal transfer isolator device
US9774239B2 (en) 2011-12-23 2017-09-26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RU2522728C2 (ru) * 2011-12-29 2014-07-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центр "Полюс" Автономная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CN106160503A (zh) * 2016-07-11 2016-11-23 无锡市宝来电池有限公司 一种环保绿色电源装置
EP3639359A4 (en) * 2017-06-16 2021-06-30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Inc. ALTERNATIVE-CONTINUOUS RESONANCE CONVERTER
US11462943B2 (en) 2018-01-30 2022-10-04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Llc DC link charging of capacitor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pad
US11437854B2 (en) 2018-02-12 2022-09-06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Llc Variabl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8620B2 (ko) 1972-01-27 1975-09-17
JPH0355811A (ja) 1989-07-25 1991-03-11 Shinko Electric Co Ltd 高周波変圧器
US5646835A (en) * 1995-11-20 1997-07-08 General Electric Company Series resonant converter
JP3391999B2 (ja) * 1996-12-24 2003-03-31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源回路
JPH11136945A (ja) 1997-10-31 1999-05-21 Hitachi Ltd 変圧器およびその運用方法
JP3247328B2 (ja) * 1997-12-09 2002-01-15 浩 坂本 非接触電力伝達装置
US6147881A (en) 1999-09-29 2000-11-14 Hua-In Co., Ltd. Resonant switching power supply
JP2001218456A (ja) * 2000-01-28 2001-08-10 Densei Lambda Kk 同期整流方式を用いた共振型電源装置
JP2001359279A (ja) * 2000-06-12 2001-12-26 Sony Corp ブリッジ型dc−dcコンバータ
JP2005160215A (ja) 2003-11-26 2005-06-16 Saburo Tanaka 電力増倍器
JP2005210759A (ja) * 2004-01-19 2005-08-04 Sanken Electric Co Ltd 共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21153A2 (pt) 2011-11-29
JP2009522996A (ja) 2009-06-11
DE112006003499T5 (de) 2008-10-02
CN101346870A (zh) 2009-01-14
WO2007075058A1 (en) 2007-07-05
CN101346870B (zh) 2012-04-11
US8077485B2 (en) 2011-12-13
RU2008128887A (ru) 2010-02-10
US20080297134A1 (en) 2008-12-04
RU2402135C2 (ru)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7850A (ko) 증폭된 공진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
KR101851995B1 (ko) 무선 충전기용 공진 컨버터 및 그 구현방법
US86745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less power transfer
US201101579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isolation transmission
EP3624149B1 (en) Ferroresonant transformer for use in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US20100097830A1 (en) Induction power system
CN103270562B (zh) 补偿变压器铁芯中的单向磁通的装置和方法
CN103283120A (zh) 用于无线功率传输的系统
CN106787924B (zh) 一种高电压长脉宽准方波脉冲发生器
US7317301B2 (en) Auxiliary power supply
US5343381A (en) Electrical dampening circuit for dampening resonance of a power signal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CN102130595B (zh) 一种后置预稳压dc/dc变换器
EP2984736A1 (en) Resonant wireless power driver with adjustable power
CN104345234A (zh) 一种谐波电源特性试验系统及方法
CN109212293B (zh) 一种具有电压计量功能的供电型电压互感器及使用方法
Xia et al. LCL/LCC resonant topology of WPT system for constant current, stable frequency and high-quality power transmission
KR100867647B1 (ko) 공진회로를 이용한 전력을 부하에 전달하는 회로
KR101761571B1 (ko) 전류 주입형 공진형 컨버터
Sinha et al. Optimized design of high-efficiency immittance matching networks for capacitiv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JPH11103526A (ja) 電力分配回路
US20190036348A1 (en) Resonant power transfer
Wang et al. Advanced self-oscillating control for domino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with quasi-load-independent outputs
Wang et al. Multiphase interleaved IPT based current-source converter for high-current application
CN206850431U (zh) 一种即插即用集成模块化有源谐波隔离器
CN204166067U (zh) 一种谐波电源特性试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