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7490A - 복수 공정의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 공정의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7490A
KR20070087490A KR1020070003742A KR20070003742A KR20070087490A KR 20070087490 A KR20070087490 A KR 20070087490A KR 1020070003742 A KR1020070003742 A KR 1020070003742A KR 20070003742 A KR20070003742 A KR 20070003742A KR 20070087490 A KR20070087490 A KR 20070087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attribute
machining
order constraint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009B1 (ko
Inventor
타카유키 요시즈미
토시유키 하마
히로유키 오카노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87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263Afo products, their components to be manufactured, lot selectiv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306Rules to make scheduling decis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332Expert schedu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의 가공 효율을 최대화하는 가공 공정의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개의 가공 공정 사이에는 각 가공 공정의 제1 속성에 기초하는 제1 순서 제약 및 각 가공 공정의 제2 속성에 기초하는 제2 순서 제약이 정해져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제1 속성의 속성치가 같고 또한 클러스터내에서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도록 배열한 적어도 하나의 가공 공정을 클러스터로서 선택한다. 그리고, 제1 순서 제약을 복수의 클러스터간의 순서 제약으로 간주하고, 가공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복수의 클러스터를 배열한다. 그리고, 제1 클러스터의 말미 가공 공정과 제1 클러스터의 다음에 배열된 제2 클러스터의 선두 가공 공정과의 사이에서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말미의 가공 공정 및 상기 선두의 가공 공정 각각과의 사이에서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다른 가공 공정을 탐색하고, 제1 클러스터의 다음 그리고 제2 클러스터의 앞에 배열한다.

Description

복수 공정의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시스템{SYSTEM FOR DETERMINING ARRAY SEQUENCE OF PLURALITY OF PROCESSING OPERATIONS}
도 1은 강판 가공 장치(1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속성 기록부(150)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문제 기록부(160)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가공 공정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순서 결정 시스템(14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분류부(5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상세 스케줄부(53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1 라운드를 구성하는 복수 블록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복수의 클러스터를 복수 블록에 할당하는 처리의 개념도.
도 10은 클러스터간의 제약을 만족시키도록 상세 스케줄을 작성하는 처리의 개념도.
도 11은 가공 공정을 클러스터에 분류하여 배열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S1000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S1030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순서 결정 시스템(140)으로서 기능하는 정보 처리 장치(4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순서 결정 시스템(140)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강판 가공 장치 100, 200 : 두꺼운 판
110 : 압연 롤러 120 : 박판
130 : 선택 장치 140 : 순서 결정 시스템
150 : 속성 기록부 160 : 문제 기록부
210 : 속성 라벨 400 : 정보 처리 장치
500 : 분류부 510 : 조스케줄부
520 : 판단부 530 : 상세 스케줄부
540 : 국소 탐색부 550 : 출력부
600 : 그룹 생성부 610 : 클러스터 생성부
700 : 초기 탐색부 710 : 충족 판단부
720 : 재귀탐색부
본 발명은 복수 공정의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순서 제약의 낮은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복수 공정의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철소에서는 열간 압연 공정에 의해서 여러가지 두께나 크기의 강판을 생산하고 있다. 열간 압연 공정이란 슬래브라고 불리는 강판의 두꺼운 판을 압연 롤러에 의해서 상하로부터 사이에 끼워 잡아늘여서 코일이라고 불리는 박판을 생성하는 공정이다. 생산되는 코일의 표면 품질은 압연 롤러의 표면 상태에 의존한다. 또한, 어떤 압연 롤러로 잇달아 복수의 두꺼운 판을 압연하면 그 압연 롤러의 표면 상태는 서서히 악화해 간다. 이 때문에 고품질이 요구되는 강판은 압연 롤러가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압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떤 폭의 강판이 압연되면 압연 롤러의 표면에는 그 폭과 같은 홈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폭이 좁은 강판을 먼저 압연해 버리면 나중에 압연되는 폭이 넓은 강판에는 홈에 의해서 상처가 생겨 버리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연속하여 압연하는 2개 강판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 그 두께의 차분값은 압연 설비의 사양 등에 의해서 일정 범위내로 제한된다. 또한, 압연 롤러의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특히 얇은 강판은 연속하고 다수 압연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강판의 품질을 유지하고 또한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강판의 압연 순서에 대한 여러가지 제약을 충족해야 한다.
[특허문헌 1] 특허공개2000-16761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2004-209495호 공보
소정의 제약하에서 컴퓨터에 의해서 대상물의 순서를 결정하는 문제는 스케줄링 문제로서 종래부터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열간 압연 공정에서는 문제의 규모가 크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제약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스케줄링 문제의 틀로 파악하는 것은 어렵다. 또, 대규모인 문제를 현실적인 시간으로 푸는 방법으로서, 종래 제약을 만족시키지만 알맞지 않은 실행 가능해(解)를 하나 구하고, 그것을 서서히 개선해 나가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열간 압연 공정에서는 실행 가능해를 구하는 것 자체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즉, 연속하여 압연하는 강판의 관계를 정하는 국소적인 제약이나, 압연 롤러의 내구성에 따른 강판의 압연 순서 등의 대역적인 제약 등 성질이 전혀 다른 다수의 제약을 충족하는 해(解)는, 비록 최적해가 아니더라도 구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특허 청구 범위의 독립항에 기재된 특징의 조합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종속항은 본 발명의 한층 더 유리한 구체예를 규정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강판을 가공하는 복수의 가공 공정의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가공 공정과 다른 각각의 가공 공정 사이에는, 각각의 가공 공정의 제1 속성에 기초하는 제1 순서 제약 및 각각의 가공 공정의 제2 속성에 기초하는 제2 순서 제약이 정해져 있고, 복수의 가공 공정을 제1 속성의 속성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로 분류하여, 클 러스터내에서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도록 클러스터내의 가공 공정을 배열하는 분류부와, 제1 순서 제약을 복수의 클러스터간의 순서 제약으로 간주하고, 강판의 가공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복수의 클러스터를 배열하는 조(粗)스케줄부와, 제1 클러스터의 말미에 배열된 가공 공정과, 제1 클러스터의 다음에 배열된 제2 클러스터의 선두에 배열된 가공 공정 사이에서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제1 클러스터의 말미 가공 공정 및 제2 클러스터의 선두 가공 공정의 각각 사이에서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다른 가공 공정을 탐색하여, 제l 클러스터의 다음 그리고 제2 클러스터의 앞에 배열하는 상세 스케줄부를 구비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 의해서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상기 시스템으로서 정보 처리 장치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발명의 개요는 본 발명이 필요한 특징 모두를 열거한 것이 아니라, 이들 특징군의 서브 콤비네이션도 역시 발명이 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예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실시예 중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라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강판 가공 장치(1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강판 가공 장치(10)는 복수 강판의 두꺼운 판을 이용자의 지정에 따라서 순차 가공하여 복수 강판의 박판을 생산하는 장치이다. 강판 가공 장치(10)는 압연 롤러(110)와 선택 장치(130)와 순서 결정 시스템(140)과 속성 기록부(150)와 문제 기록부(160)를 갖는다. 압연 롤러(110)는 두꺼운 판(100)을 상하로부터 사이에 끼워 압연함으로써 가공하여 박판(120)을 생산한다. 선택 장치(130)는 복수의 두꺼운 판(200) 중에서 순서 결정 시스템(140)에 의해서 결정된 순서에 따라서 순차 두꺼운 판(100)을 선택하여 압연 롤러(110)에 의한 압연의 대상으로 삼는다.
복수의 두꺼운 판(200)을 가공하는 복수 가공 공정의 각각은 복수의 속성을 갖는다. 속성이란, 예컨대 가공후의 강판의 두께나 폭, 강판의 표면 품질 등이다. 각 속성의 속성치는, 예컨대 두꺼운 판(200)에 첨부된 속성 라벨(210)에 기록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함께, 속성 기록부(150)는 복수 가공 공정의 각각에 대응시켜서, 상기 가공 공정의 각 속성의 속성치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가공 공정과 다른 각각의 가공 공정 사이에는 각각의 가공 공정의 속성에 기초하는 순서 제약이 정해져 있다. 문제 기록부(160)는 그 순서 제약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문제 기록부(160)는 강판의 가공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치를 산출하기위한 함수를 기록하고 있다. 이 함수는 가공 공정의 배열 순서를 결정할 때에 최대화하여야 할 지표를 산출하는 목적 함수가 된다. 순서 결정 시스템(140)은 문제 기록부(160)에 기록된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고, 또한 목적 함수의 값을 최대화하도록 복수의 가공 공정을 배열한다. 순서 결정 시스템(140)은 가공 공정의 배열 순서를 선택 장치(l30)에 출력한다.
도 2는 속성 기록부(150)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속성 기록부(150)는 복수의 가공 공정의 각각에 대응시켜서, 그 가공 공정의 식별 정보(공정 ID)와, 그 가공 공정의 각 속성의 속성치를 기록하고 있다. 가공 공정의 속성은 예컨대, 강판의 종류별, 강판의 폭, 강판의 두께, 강판의 길이 및 강판의 장력 등 압연후의 강판의 속성을 포함한다. 강판의 두께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속성의 일례이며, 대응하는 가공 공정에 의해서 압연하는 강판의 압연후의 두께를 속성치로서 나타낸다. 또한, 강판의 폭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속성의 일례이며, 대응하는 가공 공정에서 압연되는 강판의 압연후의 폭을 속성치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가공 공정의 속성은 압연후의 강판을 검사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검사코드, 강판의 납기 및 가공 공정에 요구되는 품질의 카테고리를 포함해도 좋다. 제1 속성의 일례인 품질 카테고리는 대응하는 가공 공정이 압연 롤러(110)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난공정(D), 압연 롤러(110)의 내구성을 회복시키는 회복 공정(R),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높은 강판의 품질이 요구되는 고품질 공정(S) 및 그 밖의 가공 공정(0)의 어느 것인가를 속성치로서 나타낸다. 또한, 품질 카테고리 그 자체는 속성 기록부(150)에 기록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강판의 두께나 장력, 검사 코드 등 그 밖의 속성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것이라도 좋다.
도 3은 문제 기록부(160)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문제 기록부(160)는 각각의 가공 공정과 다른 각각의 가공 공정 사이에 정해진 각 속성에 기초하는 순서 제약을 기록하고 있다. 예컨대, 문제 기록부(160)는 제3 속성에 기초하는 제3 순서 제약으로서 폭 이행 제약을 기록하고 있다. 이 폭 이행 제약은 보다 뒤에 배열되는 가공 공정에서 압연되는 강판의 폭이 보다 먼저 배열되는 가공 공정에서 압연되는 강판의 폭보다도 좁은 것으로 하는 제약이다. 이 제약에 의해 압연 롤러(l10)에 생긴 홈으로 강판을 상처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3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약의 의미를 나타내는 명칭을 부기했지만, 실제로는 문제 기록부(160)는 가공 공정의 배열이 이 제약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함수 등을 기록하고 있어도 좋다.
문제 기록부(160)는 제2 속성에 기초하는 제2 순서 제약으로서 두께 이행 제약을 기록하고 있다. 이 두께 이행 제약은 연속하는 2개의 가공 공정에서 압연하는 강판 두께의 차분값이 미리 정해진 범위내인 것으로 한 제약이다. 이 제약에 의해 두께 조정에 필요한 시간을 짧게 하여 복수의 가공 공정을 연속하여 신속히 처리시킬 수 있다. 또한, 문제 기록부(160)는 제1 속성에 기초하는 제1 순서 제약으로서 난제조 슬래브간 제약, 회복 슬래브 제약 및 고품질 슬래브 제약을 기록하고 있다. 이 난제조 슬래브간 제약은 난공정을 미리 정해진 수 이상 연속하여 처리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약이다. 또한, 회복 슬래브 제약은 2개의 난공정 사이에 회복 공정을 처리해야 할 것으로 하는 제약이다. 또한, 고품질 슬래브 제약은 고품질 공정은 미리 정해진 블록으로 처리해야 할 것으로 한 제약이다. 블록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나중에 설명한다.
문제 기록부(160)는 목적 함수를 기록하고 있다. 이 목적 함수는 강판의 가공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치를 산출하는 함수이다. 예컨대, 이 목적 함수는 하나의 압연 롤러(110)로 압연되는 강판의 길이를 효율 높이로서 평가해도 좋다. 또한, 이 목적 함수는 하나의 압연 롤러(110)로 처리되는 난공정의 많음을 효율의 높이로서 평가해도 좋다. 또한, 이 목적 함수는 하나의 압연 롤러(110)로 처리되는 회복 공정의 적음을 효율의 높이로서 평가해도 좋다. 또한, 이 목적 함수는 각각의 강 판에 대응하여 정해진 납기를 기준으로 한 실제의 납품 기일의 지연이 적음을 효율의 높이로서 평가해도 좋다.
도 4는 가공 공정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면 중에 도시하는 각각의 구형 영역은 압연후의 강판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면 중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각 강판의 압연후의 폭을 도시하고, 도면 중의 우측 방향은 시간의 경과를 도시한다. 가령 압연 롤러의 교환후 얼마 되지 않은 기간(웜업 보디라고 불린다)에서는, 압연후의 폭이 서서히 커지도록 복수의 강판이 압연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압연 롤러의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켜, 고품질의 강판을 압연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연 롤러의 교환후 일정한 압연을 끝낸 후의 기간(컴다운 기간)에서는 압연후의 폭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복수의 강판이 압연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보다 뒤에 압연되는 강판의 표면에 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연 롤러에 의한 압연을 시작하고 나서 그 압연 롤러를 교환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압연하는 강판의 폭의 추이는 관형(coffin shape)인 것이 바람직한 것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순서 결정 시스템(140)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은 강판의 폭의 추이를 비롯하여 여러가지 제약을 만족시키면서, 강판의 가공효율을 최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도 5는 순서 결정 시스템(14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다. 순서 결정 시스템(140)은 분류부(500)와 조스케줄부(510)와 판단부(520)와 상세 스케줄부(530)와 국소 탐색부(540)와 출력부(550)를 갖는다. 분류부(500)는 복수의 가공 공정을 복수의 클러스터로 분류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가공 공정을 클러스터로서 순차 선택한다. 이 클러스터 나눔은 제1 속성의 속성치에 기초한다. 예컨대, 클러스터내의 가공 공정은 제1 속성의 속성치가 서로 같다. 또한, 클러스터내의 가공 공정은 클러스터내에서 제2 순서 제약 및 제3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도록 배열되어 있다. 예컨대, 클러스터내의 품질 카테고리는 서로 같고 또한 클러스터내의 가공 공정은 폭 이행 제약 및 두께 이행 제약을 만족시킨다.
조스케줄부(510)는 제1 순서 제약 및 제3 순서 제약을 복수의 클러스터간의 제약으로 간주하고, 강판의 가공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복수의 가공 공정을 배열한다. 가공 공정의 배열은 정수 계획 문제를 푸는 것에 따라 실현되어도 좋다. 예컨대, 압연 롤러(110)가 강판의 압연을 시작하고 나서 순차 복수의 강판을 압연하여 압연 롤러를 교환하기까지의 기간을 분할한 복수 블록의 각각에 있어서 어느 클러스터의 가공 공정을 처리시킬 것인가를 결정하는 문제를 정수 계획 문제로 하고, 조스케줄부(510)는 이 정수 계획 문제를 풀더라도 좋다. 압연 롤러(1l0)가 강판의 압연을 시작하고 나서 순차 복수의 강판을 연장하여 압연 롤러를 교환하기까지의 기간을 라운드라고 부른다. 또한, 라운드를 분할한 복수 블록의 예를 도 8에 도시한다.
도 8은 1 라운드를 구성하는 복수 블록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이 라운드의 컴다운 기간은 도면 중에서 구형으로서 도시한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복수 블록의 각각에는 식별자를 대응시켜서 도시한다. 예컨대, 복수의 블록은 블록 SQ와 블록 D1과 블록 R1과 블록 D2와 블록 R2와 블록 D3과 블록 R3과 블록 D4로 구성되다. 블록 SQ에서는 압연 롤러(110)의 표면 상태가 좋고 고품질의 강판을 압연할 수 있다. 블록 D1, D2, D3 및 D4로 난공정을 처리시키자면, 블록 Rl, R2 및 R3에서는 회복 공정을 처리시켜야 한다.
또한, 도 9는 복수의 클러스터를 복수의 블록으로 나누는 처리의 개념도이다. 도면의 좌측에는 분류부(500)에 의해서 분류된 복수의 클러스터를 도시한다. 조스케줄부(510)는 이들 클러스터 중에서 가공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일부의 클러스터를 선택하고, 복수의 압연 롤러 중 어느 압연 롤러의 어느 블록에 있어서 어느 클러스터의 가공 공정을 처리시킬 것인가를 결정한다. 분류된 모든 클러스터가 어느 블록에 할당되지 않더라도 좋다. 할당되지 않은 클러스터군은 다음에 분류부(500)에 의해서 분류되는 다른 클러스터군과 함께 다음 기회에 있어서 할당의 대상이 된다. 이와 같이 모든 클러스터를 반드시 할당하지 않는 것으로 함으로써 순서 결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할당의 대상이 되는 라운드는 하나가 아니고 복수로 함으로써 순서 결정의 자유도를 높여서 가공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도 5로 되돌아간다. 판단부(520)는 제1 클러스터의 말미에 배열된 가공 공정과, 제1 클러스터의 다음에 배열된 제2 클러스터의 선두에 배열된 가공 공정 사이에서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한다.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상세 스케줄부(530)는 제1 클러스터의 말미 가공 공정 및 제2 클러스터의 선두 가공 공정의 각각 사이에서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다른 가공 공정을 탐색하여, 제1 클러스터의 다음 그리고 제2 클러스터의 앞에 배열한다.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된 것을 조건으로, 국소 탐색부(540)는 가공 효율을 더 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공 공정의 배열 변경을 시도한다. 예컨대, 국소 탐색부(540)는 조스케줄부(510) 및 상세 스케줄부(530)에 의해서 배열된 복수의 가공 공정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가공 공정에 대한 배열을 변경하기 위한 복수의 수단을 적용한 경우의 목적 함수의 값의 변화를 판단한다. 배열을 변경하기 위한 복수의 수단이란 가공 공정의 삽입, 삭제 또는 변경 등이다. 즉 예컨대, 국소 탐색부(540)는 이미 배열되어 있는 가공 공정에 관해서, 그 가공 공정을 삭제하더라도 순서 제약이 만족되고, 또한 목적 함수의 값이 증가하는지를 판단한다. 순서 제약이 만족되고, 또한 목적 함수의 값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국소 탐색부(540)는 그 가공 공정을 삭제한다. 국소 탐색부(540)는 이상과 같은 처리를 각각의 가공 공정 및 각각의 수단에 대해서 반복한다. 단, 이들 처리에 소요하는 시간은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계산 시간이 미리 정해진 상한에 달한 시점에서 처리를 종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부(550)는 각각의 클러스터에 있어서 배열된 복수의 가공 공정 및 상세 스케줄부(530)에 의해 배열된 가공 공정의 배열 순서를 출력한다. 이 순서는 상세 스케줄부(530)에 의해 배열된 클러스터의 순서, 상세 스케줄부(530)에 의해 배열된 가공 공정의 순서 및 국소 탐색부(540)에 의해서 변경된 순서에 따른다.
도 6은 분류부(5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다. 분류부(500)는 그룹 생성부(600)와 클러스터 생성부(610)를 갖는다. 그룹 생성부(600)는 속성 기록부(150)로부터 제1 속성의 속성치를 순차 판독하고, 제1 속성의 속성치가 서로 같은 복수의 가공 공정을 그룹에 분류한다. 즉, 어떤 그룹에는 난공정만이 분류되고, 그 그 룹에 다른 가공 공정은 분류되지 않는다. 한편으로, 복수의 난공정은 복수의 그룹에 분류되더라도 좋다.
클러스터 생성부(610)는 어떤 그룹에 분류된 복수 가공 공정의 각각에 관하여 제2 속성의 속성치 및 제3 속성의 속성치를 속성 기록부(150)로부터 판독하고, 제2 순서 제약 및 제3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순서로 상기 복수의 가공 공정을 연속해서 한다. 즉 예컨대, 속성 기록부(150)는 복수 강판의 각각을 가공후의 강판의 폭이 좁은 순으로 연속하고, 연속된 복수 가공 공정의 각각이 제3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가를 판단한다. 제3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예컨대 특히 두께가 다른 가공 공정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가공 공정은 연속된 열에서 제외해도 좋다. 그리고, 클러스터 생성부(610)는 연속된 상기 복수 가공 공정의 일부씩을 클러스터로서 선택한다. 제3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해서 제외된 가공 공정은 그 자체로 또는 두께가 가까운 다른 가공 공정과 함께 다른 클러스터를 형성해도 좋다.
도 7은 상세 스케줄부(53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다. 상세 스케줄부(530)는 초기 탐색부(700)와 충족 판단부(710)와 재귀탐색부(720)를 갖는다. 초기 탐색부(700)는 제1 클러스터의 말미 가공 공정 및 제1 클러스터의 다음에 배열된 제2 클러스터의 선두 가공 공정의 한쪽과의 사이에서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다른 가공 공정을 탐색한다. 예컨대, 초기 탐색부(700)는 이러한 가공 공정을 복수의 두꺼운 판(200)을 가공하는 것으로 하여 이용자로 지정된 복수의 가공 공정 중 조스케줄부(510)에 따라서는 배열의 대상이 되지 않은 클러스터에 포함되는 가공 공 정 중에서 탐색해도 좋다. 또한, 탐색의 대상이 되는 가공 공정은 상기 한쪽 가공 공정과의 사이에서 다른 모든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클러스터간의 제약을 만족시키도록 상세 스케줄을 작성하는 처리의 개념도이다. 블록의 경계에 배열된 2개의 가공 공정은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가 있다(도면의 사선 부분). 초기 탐색부(700)는 블록 경계의 각각을 주사하여 각각의 경계에 배열된 제1 클러스터 및 제2 클러스터가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삽입하여야 할 가공 공정을 순차 탐색해 간다. 각각의 경계 부분에 관해서 계속해서 설명하는 충족 판단부(710) 및 재귀탐색부(720)에 의한 처리가 행하여진다.
도 7로 되돌아간다. 충족 판단부(710)는 탐색된 가공 공정이 제1 클러스터의 말미 가공 공정 및 제2 클러스터의 선두 가공 공정의 다른 쪽 사이에서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가를 판단한다.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탐색된 이 가공 공정 사이에서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또 다른 가공 공정을 탐색하여 충족 판단부(710)에 건네준다. 이것을 받아 충족 판단부(710)는 그 가공 공정 사이에서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가공 공정을 다시 탐색한다.
충족 판단부(7l0)에 의해서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상세 스케쥴부(530)는 초기 탐색부(700) 및 재귀탐색부(720)에 의해서 순차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가공 공정을 제1 클러스터의 다음 그리고 제2 클러스터의 앞에 배열한다.
도 11은 가공 공정을 클러스터에 분류하여 배열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다. 분류부(500)는 복수의 가공 공정을 복수의 클러스터에 분류한다(S1000). 클러스터내의 복수의 가공 공정은 제1 속성으로서 서로 같은 속성치를 갖는다. 분류된 클러스터의 집합을 C로 한다. 난공정을 포함하는 클러스터의 집합을 CD로 한다. 회복 공정을 포함하는 클러스터의 집합을 CR로 한다. 고품질 공정을 포함하는 클러스터의 집합을 CSQ로 한다. 집합 C 중 어디에도 적합하지 않은 클러스터의 집합을 C0 로 한다.
조스케줄부(5l0)는 제1 순서 제약 및 제3 순서 제약을 복수의 클러스터간의 제약으로 간주하고, 정수 계획 문제를 푸는 것에 의해 강판의 가공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복수의 가공 공정을 배열한다(S1010). 이 정수 계획 문제는 복수의 클러스터 각각을 어느 라운드의 어느 블록에 할당하는지를 구하는 문제가 된다. 할당하는 대상의 라운드 집합을 R로 한다. 또한, 블록의 집합을 S로 한다.
이 정수 계획 문제의 변수는 블록마다 또한 클러스터마다 상기 블록에서 상기 클러스터에 포함되는 가공 공정을 처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치를 저장한다. 이 변수를 xi , j, k 로 한다. 이 변수는 클러스터 k∈C가 라운드 i∈R의 블록 j∈S에 할당되는 경우에 1을 채용하고, 할당되지 않는 경우에 0을 채용한다.
이 정수 계획 문제는 클러스터간의 제약이라고 간주한 제1 순서 제약을 포함한다. 제1 순서 제약은 예컨대, 제1 속성의 속성마다 상기 속성치의 가공 공정을 포함하는 클러스터가 각각의 블록에 할당되는 수의 범위를 변수의 선형 부등식으로 서 나타낸다. 식 (1)에 제1 순서 제약의 하나인 난제조 슬래브간 제약을 나타낸다. 이 제약은 각각의 난제조 블록(D1∼D3)에는 난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스터를 할당하거나 또는 그 밖의 클러스터를 할당하는 취지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03271374-PAT00001
식 (1)
또한, 난제조 슬래브간 제약은 식 (2)의 부등식으로서 추가로 나타내어도 좋다. 이 제약은 제1 그룹(Gx)의 난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스터는 제2 그룹(Gy)의 난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스터보다 앞의 블록에 할당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가공 공정의 성질에 따라서는 이러한 제약을 설치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7003271374-PAT00002
식 (2)
또한, 난제조 슬래브간 제약은 식 (3)의 부등식으로서 나타내어도 좋다. 이 제약은 제1 그룹(Gx)의 난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스터는 제2 그룹(Gy)의 난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스터와 동일 라운드에 할당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가공 공정의 성질에 따라서는 이러한 제약을 설치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7003271374-PAT00003
식 (3)
단, 식 (3)에 있어서 L은 충분히 큰 플러스의 정수이며, z1 및 z2의 각각은 0 또는 1을 채용하는 2치 변수이다.
또한, 식 (4)에 제1 순서 제약의 하나인 고품질 슬래브 제약을 나타낸다. 이 제약은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도 높은 강판의 품질이 요구되는 고품질 공정은 블록 SQ에서 처리되어야 되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03271374-PAT00004
식 (4)
또한, 식 (5) 및 식 (6)에 제1 순서 제약의 하나인 회복 슬래브 제약을 나타낸다.
이 제약은 난공정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클러스터 사이에는 회복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스터를 처리시켜야만 하는 취지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03271374-PAT00005
식 (5)
Figure 112007003271374-PAT00006
식 (6)
또한, 이 정수 계획 문제는 각각의 블록에는 기껏 하나의 클러스터밖에 할당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제약을 갖는다. 이 제약은 예컨대 식 (7)과 같이 나타낸다.
Figure 112007003271374-PAT00007
식 (7)
또한, 이 정수 계획 문제는 클러스터간의 제약이라고 간주한 제3 순서 제약을 갖는다. 예컨대, 조스케줄부(510)는 제3 순서 제약을 보다 먼저 배열되는 클러스터의 말미 가공 공정이 보다 뒤에 배열되는 클러스터의 선두의 가공 공정과 비교하여, 압연후의 강판으로서 보다 넓은 폭을 갖고 있는 제약이라고 간주하고, 복수의 클러스터를 배열한다. 클러스터간의 제약이라고 간주한 제3 순서 제약은 이하의 식 (8)과 같이 나타낸다.
Figure 112007003271374-PAT00008
식 (8)
단, WidthF(k)는 클러스터(k)의 선두에 배열된 가공 공정에 의해서 압연되는 강판의 압연후의 폭을 나타내고, WidthL(k)는 클러스터(k)의 말미에 배열된 가공 공정에 의해서 압연되는 강판의 압연후의 폭을 나타낸다.
이상의 정수 계획 문제를 푸는 것에 따라 복수의 클러스터가 배열되면 계속해서, 판단부(520)는 제1 클러스터의 말미에 배열된 가공 공정과, 제1 클러스터의 다음에 배열된 제2 클러스터의 선두에 배열된 가공 공정 사이에서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0).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S1020 : NO), 상세 스케줄부(530)는 제1 클러스터의 말미 및 제2 클러스터의 선두 가공 공정의 각각 사이에서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가공 공정을 탐색한다(S1030). 그리고, 상세 스케줄부(530)는 탐색된 가공 공정을 제1 클러스터의 다음 그리고 제2 클러스터의 앞에 배열한다. 또한, 상세 스케줄부(530)는 도 10에 도시하는 웜업 보디와 테일파트로 배열하여야 할 가공 공정을 조스케줄부(510)에 의해서 배열되어 있지 않은 클러스터 중에서 탐색해도 좋다.
조스케줄부(510) 및/또는 상세 스케줄부(530)에 의해서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된 것을 조건으로, 국소 탐색부(540)는 가공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가공 공정의 배열 변경을 시도한다(S1040). 예컨대, 국소 탐색부(540)는 조스케줄부(510) 및 상세 스케줄부(530)에 의해서 배열된 복수 가공 공정의 각각에 관하여, 상기 가공 공정을 삭제한 경우나, 상기 가공 공정을 다른 가공 공정과 교환한 경우에 관해 서 목적 함수의 값의 변화를 판단한다. 순서 제약이 만족되는 범위내에서 목적 함수의 값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주소 탐색부(540)는 상기 가공 공정의 삭제나 교환을 행하는 것에 의해 가공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12는 S1000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도시한다. 그룹 생성부(600)는 속성 기록부(150)로부터 제1 속성의 속성치를 순차 판독하고, 제1 속성의 속성치가 상호 같은 복수의 가공 공정을 그룹에 분류한다(S1100). 즉, 예컨대 어떤 그룹에는 난공정만이 분류되고, 그 그룹에 다른 가공 공정은 분류되지 않는다. 한편으로, 복수의 난공정은 복수의 그룹에 분류되어도 좋다.
다음에, 클러스터 생성부(610)는 각각의 그룹에 포함되는 가공 공정을 복수의 클러스터에 분류한다(S1l10). 이 클러스터는 클러스터내에서 제2 순서 제약 및 제3 순서 제약을 만족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클러스터 생성부(610)는 어떤 그룹에 분류된 복수의 가공 공정의 각각에 관하여 제2 속성의 속성치 및 제3 속성의 속성치를 속성 기록부(150)로부터 판독하고, 제2 순서 제약 및 제3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순서로 상기 복수의 가공 공정을 연속한다. 즉 예컨대, 속성 기록부(150)는 복수 강판의 각각을 가공후의 강판의 폭이 좁은 순으로 연속하고, 연속된 복수의 가공 공정의 각각이 제3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지를 판단한다. 제3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예컨대, 특히 두께가 다른 가공 공정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가공 공정은 연속된 열에서 제외해도 좋다. 그리고, 클러스터 생성부(610)는 연속된 상기 복수 가공 공정의 일부씩을 클러스터로서 선택한다. 제3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해서 제외된 가공 공정은 그 자체로 또는 두 께가 가까운 다른 가공 공정과 함께 다른 클러스터를 형성해도 좋다.
도 l3은 S1030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도시한다. 초기 탐색부(700)는 제1 클러스터의 말미 가공 공정 및 제1 클러스터의 다음에 배열된 제2 클러스터의 선두 가공 공정의 한쪽과의 사이에서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다른 가공 공정을 탐색한다(S1200). 예컨대, 초기 탐색부(700)는 이러한 가공 공정을 복수의 두꺼운 판(200)을 가공함으로써 이용자로 지정된 복수의 가공 공정 중 조스케줄부(510)에 따라서는 배열의 대상이 되지 않은 클러스터에 포함되는 가공 공정 중에서 탐색해도 좋다.
충족 판단부(710)는 탐색된 가공 공정이 제1 클러스터의 말미 가공 공정 및 제2 클러스터의 선두 가공 공정의 다른 쪽과의 사이에서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가를 판단한다(S1210).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S1210:아니오), 재귀탐색부(720)는 탐색된 이 가공 공정과의 사이에서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추가로 다른 가공 공정을 탐색하고(S1220), S1210에 처리를 복귀한다.
충족 판단부(710)에 의해서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하면, 상세 스케줄부(530)는 도 13의 처리를 종료하고, 초기 탐색부(700) 및 재귀탐색부(720)에 의해서 순차 탐색된 적어도 하나의 가공 공정을 제1 클러스터의 다음 그리고 제2 클러스터의 앞에 배열한다.
도 14는 순서 결정 시스템(140)으로서 기능하는 정보 처리 장치(4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정보 처리 장치(400)는 호스트 컨트롤러(1082)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CPU(1000), RAM(l020) 및 그래픽 컨트롤러(1075)를 갖는 CPU 주변부와, 입출력 컨트롤러(1084)에 의해 호스트 컨트롤러(1082)에 접속되는 통신 인터페이스(1030),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40) 및 CD-ROM 드라이브(l060)를 갖는 입출력부와, 입출력 컨트롤러(1084)에 접속되는 BIOS(1010), 플렉시블 디스크 드라이브(1050), 및 입출력 칩(1070)을 갖는 레가시 입출력부를 구비한다.
호스트 컨트롤러(1082)는 RAM(l020)과 높은 전송 속도로 RAM(l020)을 액세스하는 CPU(1000) 및 그래픽 컨트롤러(1075)를 접속한다. CPU(1000)는 BIOS(1010) 및 RAM(l02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각부의 제어를 행한다. 그래픽 컨트롤러(1075)는 CPU(1000) 등이 RAM(l020)내에 설치한 프레임 버퍼상에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표시 장치(1080)상에 표시시킨다. 이 대신에, 그래픽 컨트롤러(1075)는 CPU(1000) 등이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를 내부에 포함해도 좋다.
입출력 컨트롤러(1084)는 호스트 컨트롤러(1082)와 비교적 고속인 입출력 장치인 통신 인터페이스(1030),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40) 및 CD-ROM 드라이브(1060)를 접속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0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장치와 통신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40)는 정보 처리 장치(400)가 사용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CD-ROM 드라이브(1060)는 CD-ROM(1095)으로부터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RAM(l020)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40)에 제공한다.
또한, 입출력 컨트롤러(1084)에는 BIOS(1010)과, 플렉시블 디스크 드라이브(1050)나 입출력 칩(1070) 등의 비교적 저속인 입출력 장치가 접속된다. BlOS1010는 정보 처리 장치(400)의 기동시에 CPU(l000)가 실행하는 부트 프로그램이나, 정보 처리 장치(400)의 하드웨어에 의존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플렉시블 디스크 드라이브(1050)는 플렉시블 디스크(1090)로부터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입출력 칩(1070)을 통해 RAM(l020)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l040)에 제공한다. 입출력 칩(1070)은 플렉시블 디스크(1090)나, 예컨대 파라렐 포트, 시리얼 포트, 키보드 포트, 마우스 포트 등을 통해 각종의 입출력 장치를 접속한다.
정보 처리 장치(400)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은 플렉시블 디스크(1090), CD-ROM(l095) 또는 IC 카드 등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이용자에 의해서 제공된다. 프로그램은 입출력 칩(1070) 및/또는 입출력 컨트롤러(1084)를 통해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되어 정보 처리 장치(400)에 설치되어 실행된다. 프로그램이 정보 처리 장치(400) 등에 작용하여 행하게 하는 동작은 도 1에서부터 도 13에서 설명한 순서 결정 시스템(140)에 있어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으로 도시한 프로그램은 외부의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도 좋다. 기억 매체로서는 플렉시블 디스크(1090), CD-ROM(l095) 외에, DVD나 PD 등의 광학 기록 매체, MD 등의 광자기 기록 매체, 테이프 매체, IC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용 통신 네트워크나 인터넷에 접속된 서버 시스템에 설치한 하드디스크 또는 RAM 등의 기억 장치를 기록 매체로서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정보 처리 장치(400)에 제공해도 좋다.
도 15는 순서 결정 시스템(140)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 방법의 일 례를 도시한다. 순서 결정 시스템(140)에 따르면, 강판의 가공 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예컨대, 엔지니어는 순서 결정 시스템(140)을 제철소에 실장한다(S1500). 순서 결정 시스템(140)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분류부(500)와 조스케줄부(510)와 판단부(520)와 상세 스케줄부(530)와 국소 탐색부(540)와 출력부(550)를 갖는다. 그리고, 엔지니어는 가공 효율 사이의 배열 순서를 정하는 각종의 순서 제약 또는 목적 함수를 제철소의 관리자의 요구에 따라서 변경한다(S1510). 이것은 문제 기록부(160)에 기록된 내용을 변경함으로써 실현된다.
이상과 같이, 제철소의 관리자의 요망에 따라서 순서 제약 등을 조정하면, 순서 결정 시스템(140)을 다양한 고객에게 대응시켜, 가공 효율의 향상에 유용하게쓸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로부터 분명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판의 가공 효율을 최대화하는 가공 공정의 배열 순서를 지금까지보다도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Claims (10)

  1. 복수의 강판을 가공하는 복수의 가공 공정의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가공 공정과 다른 각각의 가공 공정 사이에는 각각의 가공 공정의 제1 속성에 기초하는 제1 순서 제약 및 각각의 가공 공정의 제2 속성에 기초하는 제2 순서 제약이 정해져 있고,
    상기 복수의 가공 공정을 상기 제1 속성의 속성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로 분류하고, 클러스터내에서 상기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도록 클러스터내의 가공 공정을 배열하는 분류부와,
    상기 복수의 가공 공정을 복수의 클러스터에 분류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속성의 속성치가 서로 같고 또한 클러스터내에서 상기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도록 배열한 적어도 하나의 가공 공정을 클러스터로서 선택하는 분류부와,
    상기 제1 순서 제약을 복수의 클러스터간의 순서 제약으로 간주하고, 강판의 가공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복수의 클러스터를 배열하는 조(粗)스케줄부와,
    제1 클러스터의 말미에 배열된 가공 공정과, 상기 제1 클러스터의 다음에 배열된 제2 클러스터의 선두에 배열된 가공 공정 사이에서 상기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제l 클러스터의 말미 가공 공정 및 상기 제2 클러스터의 선두 가공 공정의 각각 사이에서 상기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다른 가공 공정을 탐색하고, 상기 제1 클러스터의 다음 및 상기 제2 클러스터 앞에 배열하는 상세 스케줄부를 구비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복수의 가공 공정을 복수의 클러스터로 분류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속성의 속성치가 서로 같고 또한 클러스터내에서 상기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도록 배열한 적어도 하나의 가공 공정을 클러스터로서 선택하는 것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공 공정의 각각에 대응시켜서, 상기 가공 공정의 상기 제1 속성의 속성치 및 상기 제2 속성의 속성치를 기록한 속성 기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류부는,
    상기 속성 기록부에서 상기 제1 속성의 속성치를 순차 판독하고, 상기 제1 속성의 속성치가 서로 같은 복수의 가공 공정을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 생성부와,
    어떤 그룹에 분류된 복수의 가공 공정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2 속성의 속성치를 상기 속성 기록부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순서로 상기 복수의 가공 공정을 연속하고, 연속된 상기 복수 가공 공정의 일부씩을 클러스터로서 선택하는 클러스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러스터에 있어서 배열된 복수의 가공 공정 및 상 기 상세 스케줄부에 의해 배열된 가공 공정을 상기 조(粗)스케줄부에 의해 배열된 클러스터의 순서 및 상기 상세 스케줄부에 의해 배열된 가공 공정의 순서에 따라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공정은 압연 롤러에 의해서 강판을 압연하는 공정이며,
    상기 조스케줄부는 정수 계획 문제를 푸는 것에 따라, 상기 압연 롤러가 강판의 압연을 시작하고 나서 순차 복수의 강판을 압연하여 압연 롤러를 교환하기까지의 기간을 분할한 복수의 블록 각각에 있어서 어느 클러스터의 가공 공정을 처리시킬 것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정수 계획 문제는,
    블록마다 그리고 클러스터마다 상기 블록에서 상기 클러스터에 포함되는 가공 공정을 처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치를 저장하는 변수와,
    상기 제1 속성의 속성치마다 상기 속성치의 가공 공정을 포함하는 클러스터가 각각의 블록에 할당되는 수의 범위를 상기 변수의 선형 부등식으로서 나타낸 상기 제1 순서 제약과,
    상기 변수의 값에 기초하여 강판의 가공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치를 산출할 목적 함수를 갖는 것인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스케줄부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압연 롤러 중 어느 압연 롤러의 어느 블록에 있어서 어느 클러스터의 가공 공정을 처리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인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속성은 대응하는 가공 공정이 상기 압연 롤러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난공정, 상기 압연 롤러의 내구성을 회복시키는 회복 공정,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높은 강판의 품질이 요구되는 고품질 공정 및 다른 종류의 공정의 어느 것인가를 속성치로서 나타내고,
    상기 제2 속성은 대응하는 가공 공정에 의해서 압연하는 강판의 압연후의 두께를 속성치로서 나타내고,
    상기 제1 순서 제약은 난공정을 미리 정해진 수 이상 연속하여 처리하는 것을 금지하고, 2개의 난공정 사이에 회복 공정을 처리해야 할 것으로 하고, 또한, 고품질 공정은 미리 정해진 블록으로 처리해야 할 것으로 한 제약이며,
    상기 제2 순서 제약은 연속하는 2개의 가공 공정에서 압연하는 강판 두께의 차분값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인 것으로 한 제약이며,
    각각의 가공 공정은 상기 가공 공정에서 압연되는 강판의 압연후의 폭을 속성치로 하는 제3 속성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가공 공정과 다른 각각의 가공 공정 사이에는, 보다 뒤에 배열되는 가공 공정에서 압연되는 강판의 폭이, 보다 먼저 배열되는 가공 공정에서 압연되는 강판의 폭보다도 좁은 것으로 하는 제3 순서 제약이 추가로 정해져 있고,
    상기 분류부는 상기 제3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상기 복수의 가공 공정을 클러스터로서 추가로 선택하고,
    상기 조스케줄부는, 상기 제3 순서 제약을 보다 먼저 배열되는 클러스터의 말미 가공 공정이 보다 뒤에 배열되는 클러스터의 선두 가공 공정과 비교하여, 압연후의 강판으로서 보다 넓은 폭을 갖고 있는 제약으로 간주하고, 복수의 클러스터를 배열하는 것인 시스템.
  8. 복수의 강판을 가공하는 복수의 가공 공정의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가공 공정과 다른 각각의 가공 공정 사이에는 각각의 가공 공정의 제1 속성에 기초하는 제1 순서 제약 및 각각의 가공 공정의 제2 속성에 기초하는 제2순서 제약이 정해져 있고,
    상기 복수의 가공 공정을 상기 제1 속성의 속성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로 분류하고, 클러스터내에서 상기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도록 클러스터내의 가공 공정을 배열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순서 제약을 복수의 클러스터간의 순서 제약으로 간주하고, 강판의 가공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복수의 클러스터를 배열하는 단계와,
    제1 클러스터의 말미에 배열된 가공 공정과, 상기 제1 클러스터의 다음에 배열된 제2 클러스터의 선두에 배열된 가공 공정 사이에서 상기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제1 클러스터의 말미 가공 공정 및 상기 제2 클러스터의 선두 가공 공정의 각각의 사이에서 상기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다른 가공 공정을 탐색하고, 상기 제1 클러스터의 다음 및 상기 제2 클러스터 앞에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공 공정의 배열 순서의 결정 방법.
  9. 복수의 강판을 가공하는 복수의 가공 공정의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시스템으로서, 정보 처리 장치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각각의 가공 공정과 다른 각각의 가공 공정 사이에는 각각의 가공 공정의 제1 속성에 기초하는 제1 순서 제약 및 각각의 가공 공정의 제2 속성에 기초하는 제2 순서 제약이 정해져 있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상기 복수의 가공 공정을 상기 제1 속성의 속성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로 분류하고, 클러스터내에서 상기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도록 클러스터내의 가공 공정을 배열하는 분류부와,
    상기 제1 순서 제약을 복수의 클러스터간의 순서 제약으로 간주하고, 강판의 가공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복수의 클러스터를 배열하는 조스케줄부와,
    제1 클러스터의 말미에 배열된 가공 공정과, 상기 제1 클러스터의 다음에 배열된 제2 클러스터의 선두에 배열된 가공 공정 사이에서 상기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제1 클러스터의 말미 가공 공정 및 상기 제2 클러스터의 선두 가공 공정의 각각 사이에서 상기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다른 가공 공정을 탐색하고, 상기 제l 클러스터의 다음 및 상기 제2 클러스터의 앞에 배열하는 상세 스케줄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인 프로그램.
  10. 복수의 강판을 가공하는 복수의 가공 공정의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서비스의 제공 방법으로서,
    각각의 가공 공정과 다른 각각의 가공 공정 사이에는, 각각의 가공 공정의 제1 속성에 기초하는 제1 순서 제약 및 각각의 가공 공정의 제2 속성에 기초하는 제2 순서 제약이 정해져 있고,
    상기 복수의 가공 공정을 상기 제1 속성의 속성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로 분류하고, 클러스터내에서 상기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도록 클러스터내의 가공 공정을 배열하는 분류부와,
    상기 제1 순서 제약을 복수의 클러스터간의 순서 제약으로 간주하고, 강판의 가공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치를 산출하는 목적 함수의 값을 최대화하도록 복수의 클러스터를 배열하는 조스케줄부와,
    제1 클러스터의 말미에 배열된 가공 공정과, 상기 제1 클러스터의 다음에 배열된 제2 클러스터의 선두에 배열된 가공 공정 사이에서 상기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제2 순서 제약이 만족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제1 클러스터의 말미 가공 공정 및 상기 제2 클러스터의 선두 가공 공정의 각각 사이에서 상기 제2 순서 제약을 만족시키는 다른 가공 공정을 탐색하고, 상기 제1 클러스터의 다음 및 상기 제2 클러스터의 앞에 배열하는 상세 스케줄부를 갖는 시스템을 실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순서 제약, 상기 제2 순서 제약 및 상기 목적 함수의 적어도 한쪽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70003742A 2006-02-23 2007-01-12 복수 공정의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시스템 KR101020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47330 2006-02-23
JP2006047330A JP4162249B2 (ja) 2006-02-23 2006-02-23 複数の工程の配列順序を決定する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490A true KR20070087490A (ko) 2007-08-28
KR101020009B1 KR101020009B1 (ko) 2011-03-09

Family

ID=3854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742A KR101020009B1 (ko) 2006-02-23 2007-01-12 복수 공정의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567852B2 (ko)
JP (1) JP4162249B2 (ko)
KR (1) KR101020009B1 (ko)
CN (1) CN10048970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1543B (zh) * 2009-05-13 2014-04-09 国际商业机器公司 处理调度系统和方法
CN102360616A (zh) * 2011-10-14 2012-02-22 河北华通线缆集团有限公司 大截面橡皮填充防水电力电缆
JP5627625B2 (ja) * 2012-03-22 2014-11-19 株式会社東芝 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およびそ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3215A (ja) * 1986-08-25 1988-03-07 Nippon Steel Corp 熱間圧延のための圧延材の加熱炉装入順制御方法
US5292052A (en) * 1990-08-02 1994-03-08 Kawasaki Steel Corporation Continous hot rolling method and joining method of sheet bar
JPH07118763A (ja) * 1993-10-20 1995-05-09 Nippon Steel Corp 鋼材処理の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JPH07118673A (ja) 1993-10-22 1995-05-09 Seki Shoten:Kk 再生プラスチック燃料
US6109776A (en) * 1998-04-21 2000-08-29 Gene Logic,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putationally identifying clusters within a set of sequences
JP3320665B2 (ja) 1998-12-03 2002-09-03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熱間圧延における圧延順決定方法および圧延順決定装置
US7293090B1 (en) * 1999-01-15 2007-11-06 Cisco Technology, Inc. Resource management protocol for a configurable network router
US7003509B2 (en) * 2003-07-21 2006-02-21 Leonid Andreev High-dimensional data clustering with the use of hybrid similarity matrices
JP3567878B2 (ja) * 2000-10-02 2004-09-22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ケット交換装置
JP4272420B2 (ja) 2002-12-27 2009-06-0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熱間圧延における電力コストを加味した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US7280986B2 (en) * 2004-02-09 2007-10-0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for optimizing problem clust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89708C (zh) 2009-05-20
KR101020009B1 (ko) 2011-03-09
CN101025617A (zh) 2007-08-29
US20080082199A1 (en) 2008-04-03
JP4162249B2 (ja) 2008-10-08
US20080320480A1 (en) 2008-12-25
US7567852B2 (en) 2009-07-28
US7574281B2 (en) 2009-08-11
JP2007222911A (ja)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2058A (en) Scalable system for K-means clustering of large databases
US66547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tegorizing information, and a computer product
EP1062590B1 (en) A scalable system for clustering of large databases
US7890205B2 (en) Technique for determining processing sequence of steel plates
US8379939B1 (en) Efficient and scalable face recognition in photo albums
US7640516B2 (en) Arranging graphic objects on pages
CN110457577B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01361358B (zh) 影集制作系统和影集制作方法
CA234257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cheduling work
JP2001067187A (ja) ストレージサブ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020009B1 (ko) 복수 공정의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시스템
EP1636703A2 (en) Evaluating storage options
CN111612519B (zh) 一种识别金融产品潜在客户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9684536A (zh) 一种基于物品k-最近邻算法的图书推荐方法和系统
US6678229B1 (en) Methods for optimizing recording order of data files to optical media
US7266517B2 (en) Method to create an inventory file with the application of warehouse management system
CN108710620A (zh) 一种基于用户的k-最近邻算法的图书推荐方法与系统
CN117853824B (zh) 一种基于大数据的3d沙盘投影分析方法
JP2003101752A (ja) 画像レイアウト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817354A (zh) 面向海量数据的TopK查询方法、系统及电子设备
CN115293253A (zh) 一种基于改进向量空间模型的电子产品cto订单聚类方法
Bohlin et al. Enhancing Association Rule Mining for Solving the Storage Location Assignment Problem
US20100070467A1 (en) Database management computer product
CN117591852A (zh) 基于特征构建算法自动生成银行风控业务特征的方法
CN118015333A (zh) 一种用于古钱币的细粒度图像分类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