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6011A - 금지된 광자 밴드 안테나의 최적화 - Google Patents

금지된 광자 밴드 안테나의 최적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6011A
KR20070086011A KR1020077013103A KR20077013103A KR20070086011A KR 20070086011 A KR20070086011 A KR 20070086011A KR 1020077013103 A KR1020077013103 A KR 1020077013103A KR 20077013103 A KR20077013103 A KR 20077013103A KR 20070086011 A KR20070086011 A KR 20070086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band gap
photon band
bars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라스 보이스보우비에르
알리 로우지르
프랑스와 르 볼제르
아네-끌로드 타로트
코우로치 마흐드조우비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70086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44Resonant antennas with a plurality of divergent straight elements, e.g. V-dipole, X-antenna; with a plurality of elements having mutually inclined substantially straight por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00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 H01Q15/006Selective devices having photonic band gap materials or materials of which the material properties are frequency dependent, e.g. perforated substrates, high-impedance surfaces
    • H01Q15/0066Selective devices having photonic band gap materials or materials of which the material properties are frequency dependent, e.g. perforated substrates, high-impedance surfaces said selective devices being reconfigurable, tunable or controllable, e.g. u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자 밴드 갭형 안테나에 대한 것이다. 이 안테나는 방향(x, y)의 평면에 따라, 상기 평면에 수직인 평행 금속 막대에 의해 구성된 방사 소스(10) 및 광자 밴드 갭을 포함하고, 상기 막대는 방향(y)에서 ny배 및 방향(x)에서 nx배 자신을 반복한다. 상기 방사 소스로부터 보여진 막대의 높이는 증가한다.
안테나, 광자, 밴드, 다이폴, 패턴

Description

금지된 광자 밴드 안테나의 최적화{OPTIMISATION OF FORBIDDEN PHOTON BAND ANTENNAE}
본 발명은 광자 밴드 갭(photonic band gap)형 안테나에 대한 것이다.
광자 밴드 갭 구조{PBG(Photonic Band Gap) 구조로 알려짐}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폭에 대하여 전파 전파(wave propagation)를 금지하는 주기적 구조이다. 이 구조는 광학 분야에서 먼저 사용되었지만, 최근에, 이들의 응용은 다른 주파수 범위까지 확장되고 있다. 광자 밴드 갭 구조는 필터, 안테나 또는 유사 디바이스와 같은 초고주파 디바이스에서 특히 사용된다.
광자 밴드 갭 구조 중에서, 우리는 유전성 구성요소의 주기적 분포(periodic distribution) 이외에도 금속-유전성 구조인 금속성 구성요소의 주기적 분포를 사용하는 금속성 구조를 발견한다.
본 발명은 금속 원소를 사용하는 광자 밴드 갭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주기적으로 배열되고 완전한 전도성인 평행 막대에 관한 것이다.
병렬 금속 막대와 같은 금속 원소를 사용하는 광자 밴드 갭 안테나는 이미 연구가 되어왔다. 즉, Lin Qien, FU-Jian, HE Sai-Ling, Zhang Jian-Wu의 "Metal Photonic Band Gap Resonant Antenna with High Directivity and High Radiation Resistance"라고 표제되고, Chin. Phys.Lett. Vol 19, no.6(2002) 804에서 발행된 논문은 방향(Z)에 따라 무한히 긴 평행 금속막대에 의해 형성된 MPBG(Metal Photonic Band Gap) 공명구조를 연구한다.
특히, 이러한 논문은 평행 금속막대에 의해 형성된 금속 광자 구조에서 구성된 공동 및 선형 방사 소스 안테나를 포함하는 공명형 안테나(MPBG)의 일정 주파수 범위에 대하여 지향성 및 방사 저항을 연구하며, 이 공동(空洞)은 소스 안테나 주변의 일부 막대를 제거함으로써 획득된다. 이러한 유형의 광자 밴드 갭 안테나에 관한 연구는 무한 또는 무한한 것으로 가정되는 금속 막대로 수행되었다.
본 발명은 유한 길이의 금속막대에 의해 실현되는 PBG(Photonic Band Gap) 안테나에 대한 것으로서, 방사 소스를 수신하는 기판에 대하여 막대의 높이는 수직 평면에서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제어하기 위해 통제된다.
본 발명은 PBG(Photonic Band Gap) 안테나에 대한 것으로서, 이 안테나는 방향(x, y)의 평면에 따라, 이 평면에 수직이고, 평행 금속막대에 의해 구성된 광자 밴드 갭 구조 및 방사 소스를 포함하고, 이 직경(d)의 막대는 방향(x)에서 기간(ax)과 nx배 및 방향(y)에서 기간(ay)과 ny배 자신을 반복하며, 이 방사 소스로부터 보여지는 막대의 높이가 증가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우선하는 실시예에 따라, 소스와 최외각 막대 사이에서 막대의 높이는 kh/n보다 더 크도록 선택되며, 여기서 n은 소스로부터 보여진 막대의 개수와 동일하고, h는 최외각 막대의 높이고 k는 1과 n사이에서 변하는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소스에 의해 보여지는 첫 번째 금속 막대의 높이는 3 x L보다 더 크도록 선택되고, 여기서 L는 방사 소스의 높이가 된다. 이 값에서, MPBG 효과가 얻어지며, 즉 대역폭 및 밴드갭은 소정의 주파수에서 기간에 의존하여 획득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스와 최외각 막대 사이의 막대 높이는 단조 증가 함수를 따른다. 바람직하게는, 각 방향(x 또는 y)에 따라, 막대의 개수는 동일하다. 이들 막대는 n≥3이 되도록 선택된다. 그러나, 소스로부터 보여진 막대의 개수는 상이하며, 이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막대의 개수(nx 및 ny)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방향(x와 y)에 따라 금속 막대의 재생기간(ax 및 ay)은 동일하게 선택된다. 이들 기간(ax 및 ay)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막대는 구리(5.9.107 S/m), 은(4.1.107 S/m), 알루미늄(3.5.107 S/m) 또는 유사물과 같은, 10-7보다 큰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다른 한편, 소스는 그라운드 평면을 형성하는 기판에 고정된 다이폴(dipole) 또는 수직 모노폴(monopole)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소스는 금속 막대들 중 하나의 장소에 위치되거나, 또는 금속 막대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 및 이점은 상이한 우선적 실시예의 설명을 읽으면 드러나게 될 것이며, 이러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A)에서 막대는 동일한 높이(h)(h=8L, 여기서 L는 소스의 높이)이고, (B)에서 3개 축(x, y, z)에 따른 방사 패턴을 가지는 광자 밴드 갭 안테나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평면 θ = 90°(a) 및 평면 φ = 0°(b)에서 각각 단일형 다이폴의 방사 패턴과의 비교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자 밴드 갭의 방사 패턴을 나타내며, 금속막대의 높이는 h=4.5L이고, 여기서 L는 소스의 높이이다.
도 3은 동작 주파수 및 주기의 함수로서 광자 밴드 갭 안테나의 대역폭과 밴드갭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자 밴드 갭 안테나를 (B)에서는 평면도 및 (A)에서는 3D도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각 구성에 대하여, 고도(elevation) 방사 패턴과 3D 방사 패턴의 시야에 따른 상이한 높이의 금속 막대로 이루어진 광자 밴드 갭 안테나의 3가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기술되는 예는 비제한적인 도식적 실시예이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로 획득되는 결과 및 실행 가능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실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다이폴(dipole)보다는 모노폴(monopole)이 상기 평면에 그 자신도 고정된 막대와 접지 평면 상에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유한 높이의 금속막대(11)(MPBG 구조로 언급됨)에 의해 형성되고, 광자 밴드 갭(PBG: Photonic Band Gap) 구조의 중간에 위치하는 다이폴(10)에 의해 구성된 안테나(1)를 도시한다. 이 금속 막대는 구리, 은, 알루미늄 또는 유사한 것과 같은 10-7 보다 더 큰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막대(11)는 7개 소자의 7 행으로 배열되고, 행과 구성요소는 광자 밴드 갭 구조의 스텝 또는 주기를 발생시키는 거리(a)에서 서로로부터 간격을 두고 놓이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MPBG 구조는 사각형 패턴의 형태를 가지며, 여기서 방향(x 및 y)에 따른 동일한 nx = ny = 7이고 주기 ax = ay = a이다. 그러나, 방향(x 및 y)에 따른 상이한 주기(ax 및 ay)뿐만 아니라 숫자(nx 및 ny)를 가지는 MPBG 구조가 본 발명의 토대 내에서 고려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도 1의 (A)에 도시된 안테나는 주파수 f0 = 5.25 GHz에서 동작하도록 필요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이 구조의 중앙에 놓인 방사 구성요소 또는 소스(10)에 의해 보여지는 막대의 개수(n)는 n = 3과 같고, 반면에 주기는 17.5mm와 같으 며, 금속 막대는 1mm의 직경과 8xL와 같은 높이(h)를 가지며, 여기서 L은 유선 소스, 즉 다이폴의 높이가 된다.
도 1의 (B)는 3차원에 따른 안테나 방사의 특성 표면을 보여주며, 반면에 도 2의 a) 및 b)는 평면 θ = 90° 및 평면 φ = 0 에서 표면 절개에 따른 다이폴 단독 및 도 1의 (A)에서와 같은 MPBG 구조의 중간에 있고, 금속 막대의 높이가 h=4.5*L(여기서, L은 소스의 높이)인 다이폴의 방사 패턴을 보여준다.
방사 패턴은 다이폴에 의해 형성된 안테나의 방사 패턴에 대한 MPBG 구조에 의해 얻어진 효과를 증명한다. 실제로, 금속 PBG 구조의 존재는 0°, 90°, 180° 및 270°에서의 방사 및 45°, 135°, 225°, 315°에서 최소 방사의 방향이 선호하는 동작 주파수에서 나타나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도 3은 금속(PBG)의 주기()에 따른 소스로부터 보여진 n = 3인 금속막대에 의해 구성된 금속 광자 밴드 갭 구조의 밴드 패턴을 보여준다. 이러한 유형의 도해 또는 원주판이, 동작 주파수에서, 요구되는 방사를 얻기 위해 사용되어야 하는 주기()의 값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도 3의 도면을 사용함으로써, f0 = 5.25 GHz의 동작 주파수에서, 주기는 a = 17.5 mm인 것이 보여진다. 결과적으로, 주기 a = 17.5에 따른 7 x 7배열의 막대로 형성된 금속 PBG 구조의 중앙에 위치하는 소스는, 방향(0°, 90°, 180° 및 270°)에 따른 밴드의 대역폭의 특징과 일치하는 방사 로브(lobe)를 갖는다. 이는 도 1의 (B) 및 도 2의 방사 패턴에 의해 도시되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은 이제 도 1의 (B)에 도시된 구조의 방사 패 턴, 특히 고도(elevation) 패턴(평면 φ = 0°)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금속 광자 밴드 갭 안테나로 주어질 것이다. 각각 도 4의 (A)에 있는 투시도 및 도 4의 (B)에서 평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A)의 금속 막대의 높이는 소스로부터, 막대의 높이가 증가되도록 변형되었다.
이하 기술되는 바와 같이, 가변 높이 조절 막대의 사용은 고도 방사 패턴이, 아지무스(azimuth)에서 동일한 패턴을 유지하면서, 제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5에서, 광자 밴드 갭 안테나가 도시되며, 여기서 소스(10)는 높이(h)의 3개 유한하고 동일한 금속 막대를 보여준다. 이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도 방사 패턴은 고려되는 방향에서 명백한 주기를 위한 광자 밴드 갭 구조의 통과 또는 차단 작용으로 인해 몇개의 최소값을 갖는다. 이러한 도면은 도 2의 (B) 도면과 유사하다. 더욱이, 3D 방사 패턴은 z 축에 따른 방사 로브를 보여준다. 실제로, 막대가 일정한 높이(h)인 경우, 방사 패턴은 평면 xOy에서 유지되지만 h 함수로서 평면 xOz에서 변한다. 본 케이스에서, 도 1의 (B)의 패턴은 h=8*L(L은 소스의 높이)의 경우에 대해 주어지고 정확히 도 2(h=4.5*L)의 2D 표현에 대응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10)에 의해 보여진 3개의 금속 막대의 높이는 막대마다 상이하며, H3 < H2 < H1이 되도록 증가한다. 이 경우, 금속 PBG 구조의 작용으로 인해 두 번째 로브는 더 약해지게 되며, 이는 또한 3D 패턴에서도 목격되는 것을 고도 패턴에 관해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높이(H3, H2, H1)는 단조 증가 함수를 가질 수 있다. 바람 직하게는, 소스와 최외각 막대(H1) 사이의 막대(H3, H2, H1)의 높이는 kH1/n 보다 크도록 선택되며, 여기서 n은 소스로부터 보여지는 막대의 갯수(도시된 실시예에서 3)와 같고, H1은 외곽쪽 막대의 높이이고 k'는 1과 n사이에서 가변되는 정수이다. 다른 한편, PBG 효과를 얻기 위하여, 높이(H3)는 3 x L과 동일하며, 여기서 L은 방사 소스의 높이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조는 도 5의 (C)부분에서 도시된다. 이 경우, 소스(10)는 소스로부터 외곽쪽 막대(H'1)까지 증가하는 높이를 가지는 3개의 금속 막대를 가지며, 여기서 H'3 < H'2 < H'1이다. 이 실시예에서, 금속 막대의 크기는 두드러지게 위에 주어진 공식을 따른다. 이 경우, 도 5의 (C)의 고도 패턴은 금속 PBG의 특정 구조로 인해 두 번째 로브의 상당한 감소를 보여주며, 또한 이는 3D 패턴에 관해 보여진다.
본 발명은 소스가 금속 PBG 구조의 중간에 있는 금속 막대의 장소에 위치하는 안테나를 참조함으로써 기술되었다. 그러나, 막대 사이에 소스를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소스는 금속 광자 밴드 갭 구조에서 중앙에서 벗어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사용된 소스는 다이폴이다. 그러나, 실제 실시예에서, 수직 모노폴은 MPBG 구조의 금속 막대가 또한 고정되는 접지 평면을 형성하는 기판상에 탑재된다. 방향(x)에서 막대의 개수는 방향(y)에서 막대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더욱이, 방향(x 또는 y)에 따라 막대 사이의 주기성(ax 및 ay)는 동일할 수 있거나, 기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또는 다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 원소를 사용하는 광자 밴드 갭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주기적으로 배열되고 완전한 전도성인 평행 막대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0)

  1. 광자 밴드 갭(PBG: Photonic Band Gap)형 안테나로서,
    방향(x, y)의 평면에 따라, 상기 평면에 수직인 평행 금속 막대에 의해 구성된 방사 소스(10) 및 광자 밴드 갭 구조물을 포함하고, 직경(d)의 상기 막대는 방향(y)에서 주기(ay)와 ny배 및 방향(x)에서 주기(ax)와 nx배 자신을 반복하는 광자 밴드 갭형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방사 소스로부터 보여진 막대의 높이(H3,H2,H1; H'3,H'2,H'1)는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 밴드 갭형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스와 최외각 막대 사이의 막대의 높이(H'3, H'2, H'1)는 k h/n보다 더 큰것으로 선택되되, n은 소스로부터 보여진 막대의 개수와 동일하고, h는 최외각 막대의 높이가 되고, k는 1과 n사이에 변하는 정수인, 광자 밴드 갭형 안테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소스와 최외각 막대사이의 막대 높이는 단조 증가 함수를 따르는, 광자 밴드 갭형 안테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x 및 y)에서 막대의 총개수(nx 및 ny)는 동일한, 광자 밴드 갭형 안테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스로부터 보여진 막대의 개수(n)는 n ≥ 3이 되도록 선택되는, 광자 밴드 갭형 안테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x 및 y)에서 주기(ax 및 ay)는 동일한, 광자 밴드 갭형 안테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는 구리, 은, 알루미늄과 같은 10-7 보다 더 큰 전도성을 제공하는 금속 물질로 만들어지는, 광자 밴드 갭형 안테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스로부터 보여지는 첫 번째 막대의 높이(H3,H'3)는 H ≥ 3*L이 되도록 선택되며, 상기 L은 방사 소스의 높이가 되는, 광자 밴드 갭형 안테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스(10)는 기판위에 놓이는 다이폴 또는 수직 모노폴에 의해 구성되는, 광자 밴드 갭형 안테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스(10)는 막대들 사이 또는 하나의 막대의 장소에 위치되는, 광자 밴드 갭형 안테나.
KR1020077013103A 2004-12-13 2005-11-24 금지된 광자 밴드 안테나의 최적화 KR200700860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52947 2004-12-13
FR0452947A FR2879356A1 (fr) 2004-12-13 2004-12-13 Perfectionnement aux antennes a bandes interdites photoniqu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011A true KR20070086011A (ko) 2007-08-27

Family

ID=3495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103A KR20070086011A (ko) 2004-12-13 2005-11-24 금지된 광자 밴드 안테나의 최적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19478B2 (ko)
EP (1) EP1825565B1 (ko)
JP (1) JP2008523676A (ko)
KR (1) KR20070086011A (ko)
CN (1) CN101073183A (ko)
DE (1) DE602005016147D1 (ko)
FR (1) FR2879356A1 (ko)
WO (1) WO2006064140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39223A (en) * 1984-07-02 1988-07-12 Robert Milne Adaptive array antenna
US5689275A (en) * 1995-05-16 1997-11-18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Electromagnetic antenna and transmission line utilizing photonic bandgap material
US6483640B1 (en) * 1997-04-08 2002-11-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Optical notch filters based on two-dimensional photonic band-gap materials
GB0015895D0 (en) * 2000-06-28 2000-08-23 Plasma Antennas Limited An antenna
US7117133B2 (en) * 2001-06-15 2006-10-0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hotonic band gap structure simulator
FR2863109B1 (fr) * 2003-11-27 2006-05-19 Centre Nat Rech Scient Antenne a diagramme de rayonnement d'emission/reception configurable et orientable, station de base corresponda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91962A1 (en) 2008-08-14
CN101073183A (zh) 2007-11-14
DE602005016147D1 (de) 2009-10-01
US7719478B2 (en) 2010-05-18
JP2008523676A (ja) 2008-07-03
WO2006064140A1 (fr) 2006-06-22
FR2879356A1 (fr) 2006-06-16
EP1825565A1 (fr) 2007-08-29
EP1825565B1 (fr)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2994B2 (en) Three-dimensional H-fractal bandgap materials and antennas
JP4736658B2 (ja) 漏れ波アンテナ
Hussain et al. Design of a wide-gain-bandwidth metasurface antenna at terahertz frequency
US8144068B2 (en) To planar antennas comprising at least one radiating element of the longitudinal radiation slot type
GB2346486A (en) Antenna with fine wire dielectric
Abdulhameed et al. Review of radiation pattern control characteristics for the microstrip antenna based on electromagnetic band gap (EBG)
KR100866566B1 (ko) 지향성 배열 안테나
KR101756816B1 (ko) 소형화된 단위구조의 반복 배열을 가지는 대역 저지 동작 주파수 선택 표면구조
JP2006229337A (ja) 多周波共用アンテナ
CN105990648B (zh) 一种天线及通信设备
JP7425868B2 (ja) 電磁バンドギャップ構造物
KR20070086011A (ko) 금지된 광자 밴드 안테나의 최적화
WO2023152394A1 (en) Multiband antenna and antenna system
Samaddar et al. Study on dual wide band frequency selective surface for different incident angles
Kampeephat et al. Enhancement of monopole antenna gain with additional vertical wire medium structure
JP5473737B2 (ja) 平面アンテナ
US7864132B2 (en) Active photonic forbidden band antennae
KR100803560B1 (ko) 다중 대역 안테나
JP5698394B2 (ja) 平面アンテナ
KR20070017178A (ko) 상보적인 안테나를 사용하는 광대역 어레이 안테나
Ceccuzzi et al. Directive propagation in two EBG structures: a comparison
Ge et al. Wideband high-gain low-profile 1D Fabry-Perot resonator antenna
KR102562995B1 (ko) 부엽 억압과 이득 개선을 위한 도파관 안테나
Feresidis et al. Multiband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surfaces
Iigusa et al. A horizontally polarized slot-array antenna on a coaxial cyl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