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981A - 동기 시스템 및 동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동기 시스템 및 동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981A
KR20070083981A KR1020077010204A KR20077010204A KR20070083981A KR 20070083981 A KR20070083981 A KR 20070083981A KR 1020077010204 A KR1020077010204 A KR 1020077010204A KR 20077010204 A KR20077010204 A KR 20077010204A KR 20070083981 A KR20070083981 A KR 20070083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t
content
computer terminal
guest
side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가와끼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싱크 플러스
준 가와끼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싱크 플러스, 준 가와끼따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싱크 플러스
Priority to KR1020077010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3981A/ko
Publication of KR20070083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2 이상의 컴퓨터 단말기에서 동기 처리를 행할 때에, 웹 서버에서 어느 단말기에서 콘텐츠의 송신을 선택했는지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동기 시스템 및 동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콘텐츠 표시 요구가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송신 요구를 웹 서버에 송신하고,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의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고, 콘텐츠를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고, 수신한 콘텐츠를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 송신하는 호스트측 동기 수단을 갖고 있고,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를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게스트측 동기 수단을 갖는 동기 시스템이다.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동기 처리, 웹 서버, 콘텐츠 표시 요구, 콘텐츠 송신 요구

Description

동기 시스템 및 동기 프로그램{SYNCHRONIZING SYSTEM, AND SYNCHRONIZING PROGRAM}
본 발명은, 적어도 2 이상의 컴퓨터 단말기에서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는 동기 처리를 실행할 때에, 웹 서버측에서 어느 단말기에서 콘텐츠의 송신을 선택했는지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동기 시스템 및 동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웹 브라우저 등에서 표시되는 텍스트나 화상 등의 콘텐츠를, 복수의 컴퓨터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하여 표시를 행하는 동기 프로그램이, 하기 특허 문헌1에 개시한 바와 같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동기 프로그램의 경우, 호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가 세션 서버를 통하여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고, 호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를 행함과 함께, 취득한 콘텐츠를 게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가 호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취득함으로써, 호스트측 및 게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에서 콘텐츠의 동기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컴퓨터 단말기(게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 대신에, 호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대행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허 문헌1]: 국제 공개 WO/2004/070616호 팜플렛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전술한 바와 같은 동기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우,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는 것은, 항상 호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이다. 이와 같이 하면, 웹 서버측에서는 호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밖에 인식할 수 없고, 예를 들면 게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가, 어떤 링크를 클릭했다고 하더라도, 게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가 호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에 콘텐츠의 취득 요구를 송신하고, 그것을 받아서 호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가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기 때문에, 웹 서버는 게스트측의 존재나 그 조작을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동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콜 센터를 운영하는 경우에, 콜 센터의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컴퓨터 단말기를 호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 유저가 조작하는 컴퓨터 단말기를 게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로 하여, 웹 페이지로부터 유저가 구입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상품 구입의 대행 입력을 콜 센터의 오퍼레이터가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웹 서버에서는 항상 호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에서 처리가 행하여졌다고 인식하여, 상품 구입을 결정하기 위한 버튼을 호스트측(오퍼레이터)의 컴퓨터 단말기가 누른 것으로 인식을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품 구입의 최종 결정을 유저가 행해야 하는데도, 웹 서버에서는 오퍼레이터가 행한 것으로 인식되어 버리므로, 트러블의 원인이 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따라서 본 발명자는, 호스트측의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웹 브라우저에 대하여 콘텐츠의 송신 요구(HTTP 리퀘스트)를 송신할 때에, 어느 컴퓨터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느 컴퓨터 단말기가 콘텐츠의 표시 요구를 행했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콘텐츠의 송신 요구(HTTP 리퀘스트)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기 시스템, 동기 프로그램을 발명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발명은, 적어도 1 이상의 세션 서버를 통하여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와 적어도 1 이상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사이에서, 웹 서버에 기억하는 콘텐츠의 동기 처리를 실행하는 동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를 컴퓨터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는 요구인 콘텐츠 표시 요구가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상기 웹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고,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상기 세션 서버를 통하여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 송신하는 호스트측 동기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상기 세션 서버를 통하여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게스트측 동기 수단을 갖는 동기 시스템이다.
본 발명과 같이,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웹 서버에 콘텐츠 송신 요구를 송신할 때에,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콘텐츠 표시 요구가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도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웹 서버에서는 어느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요구된 처리인지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발명은, 상기 호스트측 동기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동기 시스템이다.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같이, 컴퓨터 단말기 혹은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이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른 발명은, 상기 호스트측 동기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와,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의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는 동기 시스템이다.
어느 컴퓨터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를 웹 서버에서 관리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같이,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제4 양상에 따른 발명은, 적어도 1 이상의 세션 서버를 통하여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와 적어도 1 이상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사이에서, 웹 서버에 기억하는 콘텐츠의 동기 처리를 실행하는 동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를 기억하는 호스트측 기억 수단과,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과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과 호스트측 갱신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호스트측 동기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를 기억하는 게스트측 기억 수단과,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과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과 게스트측 갱신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게스트측 동기 수단을 갖고 있으며,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은, 상기 콘텐츠를 컴퓨터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는 요구인 콘텐츠 표시 요구가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상기 웹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게스트측 동기 수단에 송신하는 수단이고, 상기 호스트측 갱신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한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게스트측 동기 수단에 통지하는 수단이고,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은, 상기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한 콘텐츠를 취득하여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수단이고, 상기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동기 수단으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게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수단이고, 상기 게스트측 갱신 수단은, 상기 게스트측 기억 수단에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한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상기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에 통지하는 수단이며, 상기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은, 상기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게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한 콘텐츠를 취득하여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수단인 동기 시스템이다.
본 발명과 같이 구성함으로써도,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발명과 마찬가지의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상에 따른 발명은,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동기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제4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같이, 컴퓨터 단말기 혹은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이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제6 양상에 따른 발명은,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와,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의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는 동기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제4 또는 제5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 어느 컴퓨터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를 웹 서버에서 관리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같이,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제7 양상에 따른 발명은, 적어도 1 이상의 세션 서버를 통하여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와 적어도 1 이상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사이에서, 웹 서버에 기억하는 콘텐츠의 동기 처리를 실행하는 동기 시스템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를 컴퓨터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는 요구인 콘텐츠 표시 요구가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상기 웹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고,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상기 세션 서버를 통하여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 송신하는 호스트측 동기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의 표시가 행해지는 동기 시스템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이다.
본 발명과 같이 구성함으로써도,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의 동기 시스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고, 마찬가지의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양상에 따른 발명은, 상기 호스트측 동기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동기 시스템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제7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같이, 컴퓨터 단말기 혹은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이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제9 양상에 따른 발명은, 상기 호스트측 동기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와,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의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는 동기 시스템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제7 또는 제8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 어느 컴퓨터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를 웹 서버에서 관리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같이,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제10 양상에 따른 발명은, 적어도 1 이상의 세션 서버를 통하여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와 적어도 1 이상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사이에서, 웹 서버에 기억하는 콘텐츠의 동기 처리를 실행하는 동기 시스템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를 기억하는 호스트측 기억 수단과,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과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과 호스트측 갱신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호스트측 동기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은, 상기 콘텐츠를 컴퓨터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는 요구인 콘텐츠 표시 요구가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상기 웹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게스트측 동기 수단에 송신하는 수단이고, 상기 호스트측 갱신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한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게스트측 동기 수단에 통지하는 수단이고,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은, 상기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한 콘텐츠를 취득하여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수단이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의 표시가 행해지는 동기 시스템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이다.
본 발명과 같이 구성함으로써도, 본 발명의 제4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의 동기 시스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고, 마찬가지의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동기 시스템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제10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같이, 컴퓨터 단말기 혹은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이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제12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와,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의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는 동기 시스템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제10 또는 제11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 어느 컴퓨터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를 웹 서버에서 관리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같이,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제13 양상에 따른 발명은, 적어도 1 이상의 세션 서버를 통하여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와 적어도 1 이상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사이에서, 웹 서버에 기억하는 콘텐츠의 동기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과 게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동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를 기억하는 호스트측 기억 수단과, 상기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처리 연산을 실행하는 호스트측 처리 연산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를 기억하는 게스트측 기억 수단과, 상기 게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처리 연산을 실행하는 게스트측 처리 연산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은, 상기 호스트측 처리 연산부에 읽어들여지는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과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기능과 호스트측 갱신 기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게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은, 상기 게스트측 처리 연산부에 읽어들여지는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과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과 게스트측 갱신 기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은, 상기 콘텐츠를 컴퓨터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는 요구인 콘텐츠 표시 요구가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상기 웹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 송신하는 기능이고, 상기 호스트측 갱신 기능은,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한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기능과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 통지하는 기능이고,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기능은, 상기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한 콘텐츠를 취득하여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게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기능이고, 상기 게스트측 갱신 기능은, 상기 게스트측 기억 수단에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한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상기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기능에 통지하는 기능이고, 상기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기능은, 상기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게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한 콘텐츠를 취득하여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기능인, 동기 프로그램이다.
전술한 동기 시스템은, 본 발명과 같이 프로그램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기 시스템은,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처리 연산을 실행하는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과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처리 연산을 실행하는 게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다.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 및 게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은, 각각 별도의 컴퓨터 단말기에서 처리 연산됨으로써, 각각의 컴퓨터 단말기를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동일한 컴퓨터 단말기에서 처리 연산시킴으로써, 그 컴퓨터 단말기를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및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쌍방으로서 기능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어떤 동기 처리의 세션에서는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서 기능하고, 다른 동기 처리의 세션에서는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서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선택은, 세션 서버에 로그인할 때에 선택할 수 있게 해도 된다.
또한, 이 동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단말기에 미리 설치된, 웹 브라우저 등의 공지의 표시 수단에 플러그인됨으로써, 기능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4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동기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제13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같이, 컴퓨터 단말기 혹은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이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제15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와,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의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는 동기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제13 또는 제14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 어느 컴퓨터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를 웹 서버에서 관리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같이,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제16 양상에 따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3 내지 제15 양상 중 어느 하나의 동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이다.
이와 같이 해당 동기 프로그램은, 소정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등에 의해 각 컴퓨터 단말기의 CPU 등의 처리 연산 수단에 읽어들여지는 외에, CD나 DVD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고, 거기로부터 각 컴퓨터 단말기의 CPU 등의 처리 연산 수단에 읽어들여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7 양상에 따른 발명은, 적어도 1 이상의 세션 서버를 통하여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와 적어도 1 이상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사이에서, 웹 서버에 기억하는 콘텐츠의 동기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를 기능시키기 위한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를 기억하는 호스트측 기억 수단과, 상기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처리 연산을 실행하는 호스트측 처리 연산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은, 상기 호스트측 처리 연산부에 읽어들여지는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과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기능과 호스트측 갱신 기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은, 상기 콘텐츠를 컴퓨터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는 요구인 콘텐츠 표시 요구가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상기 웹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 송신하는 기능이고, 상기 호스트측 갱신 기능은,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한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기능과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 통지하는 기능이고,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기능은, 상기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한 콘텐츠를 취득하여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게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기능이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의 표시가 행해지는,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과 같이 구성함으로써도, 본 발명의 제13 양상에 따른 발명의 동기 프로그램에서,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를 기능시키는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고, 마찬가지의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8 양상에 따른 발명은,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제17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같이, 컴퓨터 단말기 혹은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이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제19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와,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의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는,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제17 또는 제18 양상에 따른 발명에서, 어느 컴퓨터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행하고 있는지를 웹 서버에서 관리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같이,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제20 양상에 따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7 내지 제19 양상 중 어느 하나의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이다.
전술한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은, 소정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등에 의해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CPU 등의 처리 연산 수단에 읽어들여질뿐만 아니라, CD나 DVD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고, 거기로부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CPU 등의 처리 연산 수단에 읽어들여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웹 서버에서는, 어느 컴퓨터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느 컴퓨터 단말기가 콘텐츠의 표시 요구를 행했는지를 구별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동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콜 센터를 실현하고 있는 경우에,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품 구입의 최종 결정을 했는지를 판별할 수 있어, 트러블의 방지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웹 서버에서는, 콘텐츠를 참조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마다의 이력을 기록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개개인의 기호성을 파악하여, 추천 상품의 안내 등, 다음의 상품 구입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처리 공정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처리 공정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는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동기 처리를 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 콘텐츠 표시 요구를 송신한 컴퓨터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의 개념도.
도 5는 동기 처리를 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 콘텐츠 표시 요구를 송신한 컴퓨터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송신 요구의 일례의 도면.
도 6은 동기 처리를 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 콘텐츠 표시 요구를 송신한 컴퓨터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 콘텐츠 송신 요구의 일례의 도면.
<부호의 설명>
1: 동기 시스템
1a: 호스트측 동기 수단
1b: 게스트측 동기 수단
2: 웹 서버
3: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4: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
5: 세션 서버
5a: 제1 세션 서버
5b: 제2 세션 서버
6: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
7: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
8: 호스트측 갱신 수단
9: 호스트측 기억 수단
10: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
11: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
12: 게스트측 갱신 수단
13: 게스트측 기억 수단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동기 시스템(1)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 1의 시스템 구성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동기 시스템(1)은, 세션 서버(5)를 통하여 동기 처리를 실행하는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서의 호스트측 동기 수단(1a)과,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서의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호스트측 동기 수단(1a))란, 동기 처리에서 웹 서버(2)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컴퓨터 단말기이고,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게스트측 동기 수단(1b))란, 동기 처리에서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호스트측 동기 수단(1a))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컴퓨터 단말기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가 하나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복수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이어도 된다.
웹 서버(2)는,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으로부터의 콘텐츠 송신 요구에 대하여, 대응하는 콘텐츠를 송신하는 서버이다. 이 콘텐츠에는, 텍스트 데이터,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가 포함된다. 콘텐츠의 일례로서 웹 사이트의 콘텐츠가 있다.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및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는, 각 세션 서버(5)를 통하여 동기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 단말기로서, 호스트측 동기 수 단(1a)/게스트측 동기 수단(1b)을 갖고 있다.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서의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은, 웹 서버(2)에 대하여 콘텐츠 송신 요구를 송신하고, 웹 서버(2)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콘텐츠를 세션 서버(5)를 통하여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 송신한다.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서의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은,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서 기억·표시를 행한 콘텐츠를 세션 서버(5)를 통하여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로부터 수신하고,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서 표시함으로써 동기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호스트측 동기 수단(1a)과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의 각 수단, 처리 공정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각각 별도의 시스템으로서 각 수단을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동기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단말기에는, 호스트측 동기 수단(1a) 및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의 각 수단을 모두 구비해 놓고, 호스트측, 게스트측의 어느 것도 양태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게 하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호스트측 동기 수단(1a),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에서 중복되는 기능을 갖는 수단을 하나로 통합해도 된다. 또한, 호스트측 동기 수단(1a),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은,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 미리 설치된 웹 브라우저 등의 공지의 표시 수단에 플러그인되어 기능해도 된다.
세션 서버(5)는, 호스트측 동기 수단(1a) 및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으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받고, 각각 로그인한 후에,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와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 사이의 세션을 확립하는 컴퓨터 단말기이다(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세션 서버(5)라고 칭하고 있지만, 서버가 아니더라도 통상의 컴퓨터 단말기 나 컴퓨터 기기(라우터, 허브 등)이어도 됨). 본 명세서에서는,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와 세션을 확립하는 세션 서버(5)를 제1 세션 서버(5a),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와 세션을 확립하는 세션 서버(5)를 제2 세션 서버(5b)로 하고, 제1 세션 서버(5a)와 제2 세션 서버(5b)에서 세션을 더 확립함으로써,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와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사이에서 세션을 확립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와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가 동일한 세션 서버(5) 상에서 세션을 확립해도 된다.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는, 호스트측 기억 수단(9)과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을 갖고 있다.
호스트측 기억 수단(9)은, 캐쉬나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에,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6)(후술)에서 수신한 콘텐츠를 기억하는 수단이고,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은,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과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6)과 호스트측 갱신 수단(8)으로 이루어진다.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은,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의 유저로부터 콘텐츠 표시 요구(예를 들면, URL의 입력이나 링크의 선택 등에 의해 콘텐츠를 컴퓨터 단말기에 표시하는 요구)를 받았을 때에, 호스트측 기억 수단(9)으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취득하고, 웹 브라우저 등의 공지의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의 표시를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서 행하는 수단이다.
또한,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은, 호스트측 갱신 수단(8)(후술)으로부터 콘텐츠 갱신 이벤트(후술)를 수신한 때에, 호스트측 기억 수단(9)으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취득하고, 웹 브라우저 등의 공지의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의 표시를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서 행하는 수단이다.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6)은,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이 요구한 콘텐츠가 호스트측 기억 수단(9)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웹 서버(2)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기 위한 콘텐츠 송신 요구를 웹 서버(2)에 송신하고, 해당 콘텐츠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웹 서버(2)로부터 수신하여, 호스트측 기억 수단(9)에 기억하는 수단이다.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6)은, 웹 서버(2)에 콘텐츠 송신 요구를 송신할 때에, 어느 컴퓨터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느 컴퓨터 단말기가 콘텐츠의 표시 요구를 행했는지를 식별하는 정보(예를 들면 컴퓨터 단말기에 관한 하드웨어의 식별자, 세션 서버(5)에 로그인할 때의 컴퓨터 단말기나 유저가 이용하는 ID, 메일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등의 어떠한 것이어도 됨)를, 콘텐츠 송신 요구(HTTP 리퀘스트)에 포함시켜 송신한다. 이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정보를 도 4에 도시한다. 또한, 전술한 식별 정보는, 컴퓨터 단말기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취득하거나, 유저에게 세션 서버(5)에 로그인할 때에 입력을 재촉하고, 거기로부터 입력을 접수한 정보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이하의 본 실시예에서는, 세션 서버(5)에 로그인할 때의 ID인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는,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를 취득한 후에, 세션 서버(5)를 통하여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 송신하여 이용해도 되고, 세션을 확립하고 있는 세션 서버(5)에서 기억하고 있는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세션 서버(5)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도 4의 정보에 있어서, 「SBR-Host-User」의 우측에는 해당 동기 처리를 실행하는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를 식별하는 정보가 기재되고, 「SBR-Guest-User」의 우측에는 해당 동기 처리를 실행하는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를 식별하는 정보가 기재된다. 「SBR-Guest-User」의 란은, 복수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복수가 있어도 된다. 「Request-SBR-User」의 우측에는 콘텐츠의 표시 요구를 행한 컴퓨터 단말기, 즉,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또는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이고, 유저가 콘텐츠를 열람하기 위해서 URL의 입력이나 링크의 선택의 입력을 접수한 컴퓨터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가 기재된다. 따라서,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의 유저가 콘텐츠 표시 요구를 행한 경우에는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를 식별하는 정보가,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유저가 콘텐츠 표시 요구를 행한 경우에는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를 식별하는 정보가, 「Request-SBR-User」의 우측에 기재된다. 또한, 전술한 식별 정보는, 그 우측에 컴퓨터 단말기 또는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웹 서버(2)는,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되는 전술한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어느 컴퓨터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지, 어느 컴퓨터 단말기가 콘텐츠의 표시 요구를 행했는지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BR-Host-User」의 우측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웹 서버(2)는, 동기 처리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또는 그 유저를 인식하고, 「SBR-Guest-User」의 우측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웹 서버(2)는, 그 동기 처리에서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 또는 그 유저를 인식하고, 「Request-SBR-User」의 우측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콘텐츠 표시 요구를 행한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할 수 있다.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6)은,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으로부터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해당 콘텐츠를 호스트측 기억 수단(9)으로부터 추출하여,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송신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호스트측 갱신 수단(8)은, 호스트측 기억 수단(9)이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한 경우에,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에 대하여, 새로운 콘텐츠가 기억된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통지하는 수단이다. 또한,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으로부터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수신하고, 그것을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에 대하여 통지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콘텐츠 갱신 이벤트에는, 콘텐츠가 갱신된 것 외에, URL이나 파일의 소재지 등의 콘텐츠의 소재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좋다.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는, 게스트측 기억 수단(13)과 게스트측 동기 수 단(1b)을 갖고 있다.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은, 캐쉬나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에,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10)(후술)에서 수신한 콘텐츠를 기억하는 수단이고,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은,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과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10)과 게스트측 갱신 수단(12)으로 이루어진다.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은,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의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과 마찬가지로,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유저로부터 콘텐츠 표시 요구(예를 들면, URL의 입력이나 링크의 선택 등)를 받았을 때에, 게스트측 기억 수단(13)(후술)으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취득하고, 웹 브라우저 등의 공지의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의 표시를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서 행하는 수단이다.
또한,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은, 게스트측 갱신 수단(12)(후술)으로부터 콘텐츠 갱신 이벤트(후술)를 수신한 때에,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으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취득하고, 웹 브라우저 등의 공지의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의 표시를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서 행하는 수단이다.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10)은,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이 요구한 콘텐츠가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그 세션에서의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에 대하여,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해당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송신하고,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이 웹 서버(2)로부터 수신하여 호스트측 기억 수단(9)에 기억한 해당 콘텐츠를, 호스 트측 동기 수단(1a)으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콘텐츠를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에 기억하는 수단이다.
게스트측 갱신 수단(12)은,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이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한 경우에,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에 대하여, 새로운 콘텐츠가 기억된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통지하는 수단이다. 또한,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으로부터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수신하고, 그것을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에 대하여 통지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실시예 1)
다음으로 본 발명의 동기 시스템(1)의 처리 공정의 흐름을 도 2 및 도 3의 플로우차트, 도 1의 시스템 구성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호스트측 동기 수단(1a)과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의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으로부터 콘텐츠의 표시 요구를 웹 서버(2)에 송신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동기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각 유저는, 각각의 동기 시스템(1)(호스트측 동기 수단(1a),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으로부터 세션 서버(5)에 로그인하고,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를 동기 처리의 호스트측,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를 동기 처리의 게스트측으로 하여, 세션 서버(5)와의 사이에서 세션을 확립한다(S100). 즉,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는 제1 세션 서버(5a)와의 사이에서 세션을 확립하고,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는 제2 세션 서버(5b)와의 사이에서 세션을 확립하고, 제1 세션 서버(5a)와 제2 세션 서버(5b)의 사이에서 세션을 더 확립함으로써,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와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사이에서 세션이 확립되게 된다.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의 유저가, 예를 들면 URL을 입력하거나, 혹은 링크를 선택하는 등을 행함으로써, 해당 URL이나 링크의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에서 접수한다(S110). 이 콘텐츠 표시 요구에 의해,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의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이, 해당 URL이나 링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의 호스트측 기억 수단(9)에 기억하고 있는지의 확인을 행한다(S120).
호스트측 기억 수단(9)에 해당 콘텐츠를 기억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S130),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으로부터 해당 URL이나 링크의 해당하는 웹 서버(2)에 대하여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의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6)이, 콘텐츠 송신 요구(콘텐츠가 HTTP 형식인 경우에는 HTTP 리퀘스트)를 송신한다(S140). 이 콘텐츠 송신 요구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컴퓨터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느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가 콘텐츠의 표시 요구를 행했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콘텐츠의 송신 요구(HTTP 리퀘스트)에 포함시켜 송신한다.
도 4에 도시한 각 정보에 있어서,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를 식별하는 정보가 「User1@mvp.jp」이고,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를 식별하는 정보가 「User2@mvp.jp」이고, 콘텐츠 표시 요구를 행한 단말기가 「User1@mvp.jp」인 경우에, URL이 「http://www.mvp.jp/index.html」인 콘텐츠를 웹 서버(2)로부터 호스트 측 컴퓨터 단말기(3)에 송신하는 콘텐츠 송신 요구인 경우를 도 5에 도시한다.
S140에서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으로부터 송신된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수신한 웹 서버(2)는, 해당 콘텐츠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추출하여,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콘텐츠 송신 요구를 수신할 때에, 웹 서버(2)는, 어느 컴퓨터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지, 어느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가 콘텐츠 표시 요구를 행했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기억한다. 이에 의해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 어느 콘텐츠를 송신했는지, 그리고 그 콘텐츠 표시 요구는 어느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서 요구된 것인지를 관리할 수 있다.
도 5의 콘텐츠 송신 요구인 경우, 웹 서버(2)는, 「SBR-Host-User」의 우측에 「User1@mvp.jp」라고 기재되어 있으므로, 동기 처리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또는 그 유저가 「User1@mvp.jp」라고 식별할 수 있고, 「SBR-Guest-User」의 우측에 「User2@mvp.jp」라고 기재되어 있으므로, 동기 처리에서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 또는 그 유저가 「User2@mvp.jp」라고 식별할 수 있고, 「Request-SBR-User」의 우측에 「User1@mvp.jp」라고 기재되어 있으므로,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 접수가 행해진 것은, 해당 동기 처리에서의 「User1@mvp.jp」라고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동기 처리의 대상으로 된 콘텐츠가, 「http://www.mvp.jp/index.html」인 것을 식별한다. 그리고 웹 서버(2)는 이와 같이 해서 식별한 정보를 기억한다.
웹 서버(2)로부터 송신된 콘텐츠를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의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6)에서 수신하면(S150),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6)은, 그 콘텐츠를 호스트측 기억 수단(9)에 기억한다.
호스트측 기억 수단(9)이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했으므로, 호스트측 갱신 수단(8)은,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에 대하여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통지하고, 그것을 수신한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은, 해당 콘텐츠를 호스트측 기억 수단(9)으로부터 취득하고 해당 콘텐츠를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서 웹 브라우저 등의 공지의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한다(S160). 또한, 호스트측 갱신 수단(8)은,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에 대하여,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통지한다(S170).
한편, S120의 확인 결과, 해당 콘텐츠를 호스트측 기억 수단(9)에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는,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은, 호스트측 기억 수단(9)으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취득하고,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서 웹 브라우저 등의 공지의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한다(S160). 또한, 이 때 호스트측 갱신 수단(8)은,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에 대하여,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통지한다(S170).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로부터 송신된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의 게스트측 갱신 수단(12)에서 수신하면, 게스트측 갱신 수단(12)은,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의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에 대하여 통지한 다.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은,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에 해당 콘텐츠 갱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기억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확인을 행하는데, 기억하고 있지 않으므로(통상은 기억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 확인을 행하지 않아도 됨),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10)이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에 대하여, 해당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행한다(S180).
이 콘텐츠 송신 요구를 수신한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6)은, 호스트측 기억 수단(9)에 기억하는 콘텐츠를 취득하고,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에 대하여 콘텐츠를 송신한다(S190).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으로부터 송신된 콘텐츠를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10)에서 수신하면, 그 콘텐츠를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에 기억한다(S200).
게스트측 갱신 수단(12)은,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에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했으므로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에 통지하고,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은,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으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취득하고, 웹 브라우저 등의 공지의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서 해당 콘텐츠를 표시한다(S210).
이상과 같은 처리 공정을 실행함으로써,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와 게스 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사이에서, 콘텐츠의 동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으로부터 웹 서버(2)에 콘텐츠 송신 요구를 송신할 때에, 동기 처리를 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 콘텐츠 표시 요구를 송신한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종래와 달리, 웹 서버(2)에서,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 콘텐츠를 송신하고 있는 것인지, 어느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표시 요구가 행하여졌는지를 구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웹 서버(2)는, 「http://www.mvp.jp/index.html」의 콘텐츠 표시 요구를 한 단말기가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User1@mvp.jp」)이고,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User1@mvp.jp」와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User2@mvp.jp」의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것을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호스트측 동기 수단(1a)과 게스트측 동기 수단(1b)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으로부터 콘텐츠의 표시 요구를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에 송신하고, 거기에 기초하여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이 콘텐츠 송신 요구를 웹 서버(2)에 송신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동기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각 유저는, 각각의 동기 시스템(1)(호스트측 동기 수단(1a),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으로부터 세션 서버(5)에 로그인하고,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를 동기 처리의 호스트측,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를 동기 처리의 게스트측으로 하 여, 세션 서버(5)와의 사이에서 세션을 확립한다(S300). 즉,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는 제1 세션 서버(5a)와의 사이에서 세션을 확립하고,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는 제2 세션 서버(5b)와의 사이에서 세션을 확립하고, 제1 세션 서버(5a)와 제2 세션 서버(5b)의 사이에서 세션을 더 확립함으로써,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와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사이에서 세션이 확립되게 된다.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유저가, 예를 들면 URL을 입력하거나, 혹은 링크를 선택하는 등을 행함으로써, 해당 URL이나 링크의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에서 접수한다(S310). 이 콘텐츠 표시 요구에 의해,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의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이, 해당 URL이나 링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에 기억하고 있는지의 확인을 행한다(S320).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에 해당 콘텐츠를 기억하고 있었을 경우에는(S330),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이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으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취득하고, 웹 브라우저 등의 공지의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서 표시한다(S340). 또한, 게스트측 갱신 수단(12)은,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에 통지한다(S350).
이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호스트측 갱신 수단(8)에서 수신하면,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은, 해당 콘텐츠를 호스트측 기억 수단(9)으로부터 취득하고(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와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사이에서는 콘텐츠의 동 기가 행해지고 있으므로,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서 기억하는 콘텐츠는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서도 기억하고 있음), 웹 브라우저 등의 공지의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서 표시한다(S360).
한편, S320에서의 확인 결과,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에 해당 콘텐츠를 기억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S330),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10)이,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에 대하여 해당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송신한다(S370). 이 때 해당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에서 콘텐츠의 표시 요구가 행하여졌다는 것도 송신한다.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으로부터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6)에서 수신하면,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은, 호스트측 기억 수단(9)에 해당 콘텐츠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기억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확인을 행한다(S380).
호스트측 기억 수단(9)에 해당 콘텐츠를 기억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S390),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으로부터 해당 URL이나 링크의 해당하는 웹 서버(2)에 대하여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의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6)이, 콘텐츠 송신 요구(콘텐츠가 HTTP 형식인 경우에는 HTTP 리퀘스트)를 송신한다(S400). 이 콘텐츠 송신 요구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컴퓨터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느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가 콘텐츠의 표시 요구를 행했는지(S370에서 게 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로부터 수신한,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에서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것의 정보에 기초하여 판별함)를 식별하는 정보를, 콘텐츠의 송신 요구(HTTP 리퀘스트)에 포함시켜 송신한다.
도 4에 도시한 각 정보에 있어서,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를 식별하는 정보가 「User1@mvp.jp」이고,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를 식별하는 정보가 「User2@mvp.jp」이고, 콘텐츠 표시 요구를 행한 단말기가 「User2@mvp.jp」이고, URL이 「http://www.mvp.jp/index.html」인 콘텐츠를 웹 서버(2)로부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 송신하는 콘텐츠 송신 요구인 경우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의 콘텐츠 송신 요구인 경우, 웹 서버(2)는, 「SBR-Host-User」의 우측에 「User1@mvp.jp」라고 기재되어 있으므로, 동기 처리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또는 그 유저가 「User1@mvp.jp」라고 식별할 수 있고, 「SBR-Guest-User」의 우측에 「User2@mvp.jp」라고 기재되어 있으므로, 동기 처리에서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 또는 그 유저가 「User2@mvp.jp」라고 식별할 수 있고, 「Request-SBR-User」의 우측에 「User2@mvp.jp」라고 기재되어 있으므로,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 접수가 행해진 것은, 해당 동기 처리에서의 「User2@mvp.jp」라고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동기 처리의 대상으로 된 콘텐츠가, 「http://www.mvp.jp/index.html」인 것을 식별한다. 그리고 웹 서버(2)는 이와 같이 해서 식별한 정보를 기억한다.
S400에서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으로부터 송신된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수신한 웹 서버(2)는, 해당 콘텐츠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추출하고, 호스트 측 동기 수단(1a)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콘텐츠 송신 요구를 수신할 때에, 웹 서버(2)는, 어느 컴퓨터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지, 어느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가 콘텐츠의 표시 요구를 행했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기억한다. 이에 의해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 어느 콘텐츠를 송신했는지, 그리고 그 콘텐츠 표시 요구는 어느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서 요구된 것인지를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웹 서버(2)로부터 송신된 콘텐츠를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의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6)에서 수신하면(S410), 그 콘텐츠를 호스트측 기억 수단(9)에 기억한다.
호스트측 기억 수단(9)이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했으므로, 호스트측 갱신 수단(8)은,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에 대하여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통지하고, 그것을 수신한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은, 해당 콘텐츠를 호스트측 기억 수단(9)으로부터 취득하고 해당 콘텐츠를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에서 웹 브라우저 등의 공지의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표시한다(S420). 또한, 호스트측 갱신 수단(8)은,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에 대하여,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통지한다(S430).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으로부터 송신된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의 게스트측 갱신 수단(12)에서 수신하면, 게스트측 갱신 수단(12)은, 콘텐츠 갱신 이 벤트를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의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에 대하여 통지한다.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은,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에 해당 콘텐츠 갱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기억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확인을 행하는데, 기억하고 있지 않으므로(기억하고 있지 않는다는 것은 S320에서 확인 완료하였으므로 확인을 행하지 않아도 됨),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10)이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에 대하여, 해당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행한다(S440).
이 콘텐츠 송신 요구를 수신한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6)은, 호스트측 기억 수단(9)에 기억하는 콘텐츠를 취득하고,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에 대하여 콘텐츠를 송신한다(S450).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으로부터 송신된 콘텐츠를 세션 서버(5)(제1 세션 서버(5a), 제2 세션 서버(5b))를 통하여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10)에서 수신하면, 그 콘텐츠를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에 기억한다(S460).
게스트측 갱신 수단(12)은,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에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했으므로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에 통지하고,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은, 게스트측 기억 수단(13)으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취득하고, 웹 브라우저 등의 공지의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서 해당 콘텐츠를 표시한다(S470).
이상과 같은 처리 공정을 실행함으로써,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와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사이에서, 콘텐츠의 동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로부터 웹 서버(2)에 콘텐츠 송신 요구를 송신할 때에, 동기 처리를 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 콘텐츠 표시 요구를 송신한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웹 서버(2)에서, 종래와 달리,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 콘텐츠를 송신하고 있는 것인지, 어느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표시 요구가 행하여졌는지를 구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웹 서버(2)는, 「http://www.mvp.jp/index.html」의 콘텐츠 표시 요구를 한 단말기가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User2@mvp.jp」)이고,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User1@mvp.jp」와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User2@mvp.jp」의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것을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으로부터 웹 서버(2)에 대하여 송신한 콘텐츠 송신 요구(HTTP 리퀘스트)에, 동기 처리를 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 콘텐츠 표시 요구를 송신한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시킨 경우에, 웹 서버(2)에서 이들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의 송신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콜 센터 등에서 이용하는, 온라인을 통한 상품 신청 등을 행하는 콘텐츠인 경우, 웹 서버(2)는, 콘텐츠로서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에, 상품 신청을 결정하는 결정 버튼 등이 설정된 콘텐츠를 송신하게 된다. 이 결정 버튼 등이 설정된 콘텐츠는, 동기 처리가 실행되고 있기 때문에,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및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쌍방에서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콜 센터의 경우, 상품 신청의 결정 버튼 등은, 상품 구입자에 의해 선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품 구입자가 이용하는 컴퓨터 단말기(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서 결정 버튼 등이 선택된 것에 의해, 그 선택 확인의 콘텐츠 표시 요구가 세션 서버(5)를 통하여 콜 센터의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 송신되게 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로부터 웹 서버(2)에 대하여 송신하는 콘텐츠의 송신 요구에, 동기 처리를 콜 센터의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와 상품 구입자가 이용하는 컴퓨터 단말기(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사이에서 실행하고 있고, 또한 콘텐츠 표시 요구가 상품 구입자가 이용하는 컴퓨터 단말기(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로부터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송신 요구를 수신한 웹 서버(2)는, 콘텐츠 송신 요구의 상기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콘텐츠 표시 요구가 상품 구입자가 이용하는 컴퓨터 단말기(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로부터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정당한 상품 신청으로 판단하여, 콘텐츠로서 신청 확인의 콘텐츠를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 송신한다. 콘텐츠 표시 요구가, 그 이외, 즉 오퍼레이터가 조작하 는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로부터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부정한 상품 신청으로 하여, 콘텐츠로서 오퍼레이터의 조작 금지의 콘텐츠를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되는 콘텐츠 표시 요구를 행한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를 식별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권한을 갖는 것이 콘텐츠의 표시 요구를 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을 웹 서버(2)에 설치함으로써, 동기 처리에 의한 부정 신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동기 처리에서 상품의 구입 신청을 행한,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웹 서버(2)에서 구별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그 이력을 웹 서버(2) 등에서 기록해 놓고, 그 이력의 내용(어떠한 상품을 언제 구입했는지, 어느 분야의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가 많은지 등)을 공지의 마케팅 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개개인의 기호성을 웹 서버(2)에서 파악하고, 웹 서버(2)로부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의 유저,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유저에 대하여, 추천 상품의 안내가 기재된 콘텐츠 등을, 콘텐츠 송신 요구에서 요구된 콘텐츠와 더불어 송신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다음의 새로운 상품 구입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는 다른 웹 서버(2)에서의 이용으로서, 동기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유저의 쌍 방의 의사가 합치한 시점에서 특정한 콘텐츠를 송신하거나, 한쪽의 유저가 선택한 것을 다른 쪽의 유저에게 통지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으로부터 웹 서버(2)에 송신되는 콘텐츠 송신 요구에, 최초로 콘텐츠 표시 요구를 행한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한다. 이것을 수신한 웹 서버(2)는,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를 행한 컴퓨터 단말기의 동기 처리 대상으로 되는 다른 쪽의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표시 요구가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송신 요구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하고, 이 다른 쪽의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표시 요구가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송신 요구를 수신하고서야 비로소, 해당 콘텐츠를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 송신하는 수단을 웹 서버(2)에 설치한다.
혹은, 호스트측 동기 수단(1a)으로부터 웹 서버(2)에 송신되는 콘텐츠 송신 요구에, 최초로 콘텐츠 표시 요구를 행한 컴퓨터 단말기(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한 콘텐츠 송신 요구를 웹 서버(2)에서 수신 후, 대기하는 것이 아니라, 「A씨는 이 상품의 구입에 찬성했습니다. B씨는 어떻습니까?」 라고 하는 다른 쪽의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에 대하여, 한쪽의 유저가 선택했음을 통지하는 콘텐츠를 송신하는 수단을 웹 서버(2)에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웹 서버(2)에서는 쌍방의 의사의 합치가 이루어진 다음에, 혹은 쌍방의 유저로부터의 의사를 파악한 다음에, 이들에 해당하는 콘 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 5)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호스트측 동기 수단(1a),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을 실현하는 기능을 동기 프로그램으로서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 읽어들이게 함으로써, 호스트측 동기 수단(1a),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을 구성해도 된다.
즉, 호스트측 동기 수단(1a),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의 처리의 내용을 기록한 각 동기 프로그램이 CD나 DVD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그것이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 읽어들여짐으로써, 호스트측 동기 수단(1a), 게스트측 동기 수단(1b)을 실현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한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은,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6)을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서 실행하는 기능(모듈이나 프로그램. 이하 마찬가지)과,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을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서 실행하는 기능과, 호스트측 갱신 수단(8)을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서 실행하는 기능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는, 콘텐츠를 기억하는 호스트측 기억 수단(9)(메모리나 캐쉬,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과,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의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연산 수단(CPU나 레지스터 등의 연산 장치)을 갖고 있다.
또한, 게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은,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10)을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서 실행하는 기능과,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을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서 실행하는 기능과, 게스트측 갱신 수단(12)을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서 실행하는 기능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는, 콘텐츠를 기억하는 게스트측 기억 수단(13)(메모리나 캐쉬,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과, 게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의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연산 수단(CPU나 레지스터 등의 연산 장치)을 갖고 있다.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 세트되고, 그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로부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에 읽어들여짐으로써,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6),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7), 호스트측 갱신 수단(8)을 실행하는 각 기능이,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의 처리 연산 수단에 읽어들여진다.
게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 세트되고, 그 게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로부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 읽어들여짐으로써,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10),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11), 게스트측 갱신 수단(12)을 실행하는 각 기능이,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처리 연산 수단에 읽어들여진다.
그리고 처리 연산 수단에 읽어들여진 각 수단은,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의 유저가 콘텐츠 표시 요구를 행한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 1,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유저가 콘텐츠 표시 요구를 행한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 2의 처리 공 정을 실행함으로써,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와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의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실행한다.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 게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정의 서버로부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 다운로드되어 읽어들여져도 되며,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기능한다.
또한,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 게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은,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3),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4)에 미리 설치된 웹 브라우저 등의 공지의 표시 수단에 플러그인됨으로써 실현되도 된다.
본 발명에서의 각 수단은, 그 기능이 논리적으로 구별되어 있을 뿐이며, 물리 상 혹은 사실 상은 동일한 영역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또한, 컴퓨터 단말기가 판독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실시 양태의 기능이 실현될 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 단말기 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상기한 실시 양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이, 컴퓨터 단말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 단말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불휘발성 혹은 휘발성의 기억 수단에 기입된 후, 그 프로그램의 지시에 기초하여, 기능 확장 보드 혹은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되는 연산 처리 장치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혹은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상기한 실시 양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 은 당연하다.
본 발명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웹 서버(2)에서는, 어느 컴퓨터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느 컴퓨터 단말기가 콘텐츠의 표시 요구를 행했는지를 구별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동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콜 센터를 실현하고 있는 경우에,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품 구입의 최종 결정을 했는지를 판별할 수 있어, 트러블의 방지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웹 서버(2)에서는, 콘텐츠를 참조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마다의 이력을 기록하고, 그 내용을 분석해서 개개인의 기호성을 파악하여, 추천 상품의 안내 등, 다음의 새로운 상품 구입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Claims (20)

  1. 적어도 1 이상의 세션 서버를 통하여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와 적어도 1 이상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사이에서, 웹 서버에 기억하는 콘텐츠의 동기 처리를 실행하는 동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를 컴퓨터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는 요구인 콘텐츠 표시 요구가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상기 웹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고,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상기 세션 서버를 통하여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 송신하는 호스트측 동기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상기 세션 서버를 통하여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게스트측 동기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측 동기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측 동기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와,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의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시스템.
  4. 적어도 1 이상의 세션 서버를 통하여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와 적어도 1 이상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사이에서, 웹 서버에 기억하는 콘텐츠의 동기 처리를 실행하는 동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를 기억하는 호스트측 기억 수단과,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과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과 호스트측 갱신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호스트측 동기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를 기억하는 게스트측 기억 수단과,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과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과 게스트측 갱신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게스트측 동기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은,
    상기 콘텐츠를 컴퓨터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는 요구인 콘텐츠 표시 요구가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상기 웹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게스트측 동기 수단에 송신하는 수단이고,
    상기 호스트측 갱신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한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게스트측 동기 수단에 통지하는 수단이고,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은,
    상기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한 콘텐츠를 취득하여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수단이고,
    상기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동기 수단으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게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수단이고,
    상기 게스트측 갱신 수단은,
    상기 게스트측 기억 수단에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한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상기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에 통지하는 수단이고,
    상기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은,
    상기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게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한 콘텐츠를 취득하여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와,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의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시스템.
  7. 적어도 1 이상의 세션 서버를 통하여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와 적어도 1 이상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사이에서, 웹 서버에 기억하는 콘텐츠의 동기 처리를 실행하는 동기 시스템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를 컴퓨터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는 요구인 콘텐츠 표시 요구가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상기 웹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고, 상기 수신한 콘텐츠를 상기 세션 서버를 통하여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 송신하는 호스트측 동기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수신 한 상기 콘텐츠의 표시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시스템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측 동기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시스템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측 동기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와,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의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시스템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10. 적어도 1 이상의 세션 서버를 통하여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와 적어도 1 이상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사이에서, 웹 서버에 기억하는 콘텐츠의 동기 처리를 실행하는 동기 시스템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를 기억하는 호스트측 기억 수단과,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과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과 호스트측 갱신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호스트측 동기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은,
    상기 콘텐츠를 컴퓨터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는 요구인 콘텐츠 표시 요구가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상기 웹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게스트측 동기 수단에 송신하는 수단이고,
    상기 호스트측 갱신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한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과 상기 게스트측 동기 수단에 통지하는 수단이고,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수단은,
    상기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한 콘 텐츠를 취득하여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수단이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의 표시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시스템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시스템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수단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와, 상기 게스트 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의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시스템에서의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13. 적어도 1 이상의 세션 서버를 통하여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와 적어도 1 이상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사이에서, 웹 서버에 기억하는 콘텐츠의 동기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과 게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동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를 기억하는 호스트측 기억 수단과, 상기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처리 연산을 실행하는 호스트측 처리 연산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를 기억하는 게스트측 기억 수단과, 상기 게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처리 연산을 실행하는 게스트측 처리 연산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은, 상기 호스트측 처리 연산부에 읽어들여지는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과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기능과 호스트측 갱신 기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게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은, 상기 게스트측 처리 연산부에 읽어들여지는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과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과 게스트측 갱신 기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은,
    상기 콘텐츠를 컴퓨터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는 요구인 콘텐츠 표시 요구가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상기 웹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 송신하는 기능이고,
    상기 호스트측 갱신 기능은,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한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기능과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 통지하는 기능이고,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기능은,
    상기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한 콘텐츠를 취득하여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게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기능이고,
    상기 게스트측 갱신 기능은,
    상기 게스트측 기억 수단에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한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상기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기능에 통지하는 기능이고,
    상기 게스트측 콘텐츠 취득 기능은,
    상기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게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한 콘텐츠를 취득하여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프로그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프로그램.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와,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 퓨터 단말기의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프로그램.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동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7. 적어도 1 이상의 세션 서버를 통하여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와 적어도 1 이상의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사이에서, 웹 서버에 기억하는 콘텐츠의 동기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를 기능시키기 위한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를 기억하는 호스트측 기억 수단과, 상기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처리 연산을 실행하는 호스트측 처리 연산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은, 상기 호스트측 처리 연산부에 읽어들여지는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과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기능과 호스트측 갱신 기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은,
    상기 콘텐츠를 컴퓨터 단말기 상에서 표시하는 요구인 콘텐츠 표시 요구가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상기 웹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송신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콘텐 츠를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 송신하는 기능이고,
    상기 호스트측 갱신 기능은,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새로운 콘텐츠를 기억한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기능과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 통지하는 기능이고,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취득 기능은,
    상기 콘텐츠 갱신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호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한 콘텐츠를 취득하여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표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게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게스트측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기능이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콘텐츠의 표시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 로 하고,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요구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어느 컴퓨터 단말기에서 행하여졌는지를 식별하는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측 콘텐츠 송수신 기능은,
    상기 호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와, 상기 게스트측 컴퓨터 단말기 또는 그 유저를 식별하는 정보를, 동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 단말기의 정보로 하여, 상기 콘텐츠 송신 요구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호스트측 동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77010204A 2007-05-04 2004-10-06 동기 시스템 및 동기 프로그램 KR20070083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0204A KR20070083981A (ko) 2007-05-04 2004-10-06 동기 시스템 및 동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0204A KR20070083981A (ko) 2007-05-04 2004-10-06 동기 시스템 및 동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981A true KR20070083981A (ko) 2007-08-24

Family

ID=3861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204A KR20070083981A (ko) 2007-05-04 2004-10-06 동기 시스템 및 동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39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6768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ем контента, терминал, программа и система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содержимого
RU2595761C2 (ru) Управляющая информация, связанная с сетевыми ресурсами
JP6293269B2 (ja) コンテンツ視聴確認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1238022A (ja) 端末、コンテンツの利用の把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の利用システム
US1077644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niversal deep linking across web and mobile applications
JP2011134252A (ja) 不正利用判定サーバ及び方法
US2021029486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custom content using universal deep linking across web and mobile applications
US1110675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hyperlinking user-specific content on a website or mobile applications
CN101978665B (zh) 对网络通信请求的选择性过滤
JP5628571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7512991B2 (en) Methods, systems, signals and media for encouraging users of computer readable content to register
JP4815481B2 (ja) ネットワーク中継機器、ユーザ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情報管理方法
US20070061475A1 (en) Methods and systems to enhance publication information with a communication feature
JP689868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82038B2 (ja) 通信システム、情報記録装置、提供装置及び通信方法
JP6747826B2 (ja) レシートサーバー、そのプログラム及びレシートデータ処理方法
US20100138777A1 (en)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ile accessing method, and data structure
JPWO2006038287A1 (ja) 同期システム及び同期プログラム
US9348992B2 (en) Linked identities
JP202018758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83981A (ko) 동기 시스템 및 동기 프로그램
JP2015046818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システム、携帯端末、サーバコンピュータ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8147333A (ja) 個人情報保護システム、及び個人情報保護方法
JP2001117995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電子商取引方法、識別情報付加装置及び識別情報付加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取引情報提供装置及び取引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決済情報提供装置及び決済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決済処理装置及び決済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電子商取引端末及び電子商取引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6873343B1 (ja) 不正クリック防止システム、不正クリック防止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