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467A - 안내유로를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안내유로를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467A
KR20070082467A KR1020060024668A KR20060024668A KR20070082467A KR 20070082467 A KR20070082467 A KR 20070082467A KR 1020060024668 A KR1020060024668 A KR 1020060024668A KR 20060024668 A KR20060024668 A KR 20060024668A KR 20070082467 A KR20070082467 A KR 20070082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guide vane
air
tub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이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형 filed Critical 이재형
Priority to KR1020060024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2467A/ko
Publication of KR20070082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28D1/03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1/03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51Massive connectors, e.g. blocks; Plate-like connectors
    • F28F9/0253Massive connectors, e.g. blocks; Plate-like connectors with multiple channels, e.g. with combined inflow and outflow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28F2009/222Particular guide plates, baffles or deflectors, e.g. having particular orientation relative to an elongated casing or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식 드라이어 A-R 열교환기(5)의 타공망 형태의 가이드 베인(9)이 장착한 고효율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열교환기 냉매 유입구(1)와 튜브(3)측 입구 부분(①)에 형성된 가이드 베인; 상기 가이드 베인(9)이 A-R 열교환기 전면 튜브(3)측 입구 부분(①)에 구멍크기가 7mm용 타공망 형태를 가지는 가이드 베인(9); 상기 가이드 베인(9)이 열교환기 내부 튜브(3) 입구측과 용접되어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가이드 베인(9)을 통해 A-R 열교환기 튜브(3)내의 박리유동과 균등분배의 유동을 형성하는 타공망 형태의 가이드 베인(9)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식 드라이어 A-R 열교환기 장치이다.
기존의 냉동식 드라이어 A-R 열교환기 성능에 비하여 효율을 2배 가까이 향상시켜 최적의 열교환기 조건이 되도록 하므로서 유동의 손실을 크게 감소시키는데 가능하며, 열교환기내 전체 튜브에 균일한 유동이 흐를수 있게 하고, 이로 인하여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열교환기 유동손실을 크게 줄여 열교환기내의 유동조건에 따른 최적의 냉동식 드라이어 A-R 열교환기의 효율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셀, 튜브, 열교환기, 냉매, 타공망, 가이드 베인

Description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Air to Refrigerant Heat Exchanger of High Efficiency Refrigerated Air Dryer with Guide Vane}
도 1은 일반적인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A-R 열교환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일반적인 A-R 열교환기의 상부에서 본 그림(좌·우)으로 열교환기 전체 내부 유동장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A-R 열교환기 전면부에 7mm용 가이드 베인이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의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 A-R 열교환기 전면 튜브(3)측 입구 부분(①)에 설치된 가이드 베인의 부분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매 유입구 2 : 냉매 유출구 3 : 튜브(tube)
4 : 셀(Shell) 5 : 열교환기 6 : 플랜지
7 : Air 유입구 8 : Air 유출구 9 : 가이드 베인
QR1 : 저온 냉매 유체 QR2 : 고온 냉매 유체
OA1 : 고온 Air 유체 OA2 : 저온 Air 유체
A : 7mm용 구멍 크기의 가이드 베인 A-1 : 가이드 베인의 타공망 크기(7mm)
A-2 : 가이드 베인의 타공망 크기(3.5mm)
[1] : A-R 열교환기 상부 [2] : A-R 열교환기 하부
본 발명은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Air to Refrigerant Heat Exchang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R 열교환기 전면 튜브측 입구 부분(①)에 구멍크기가 7mm용 타공망 형태의 가이드 베인을 설치함으로써 유동분배의 불균일성 또는 유동이 일부분에만 편중되는 채널유동(Channel Flow)과 박리영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즉 열교환기 내부의 유동을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도 4, 5]에서와 같이 균일하게 흐르게 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의 경우 열교환기 입구를 지나는 유동은 급격한 단면적 증가로 인하여 좌·우부에서 매우 큰 박리유동을 형성한다. 좌·우부에 발생한 이 박리 유동에 의하여 유동은 열교환기내 좌·우부로 흐르지 못하고 중심부분에만 흐르게 되는 채널유동(Channel Flow)이 형성된다. 이 냉동식 드라이어의 열교환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동의 박리 및 유동분배의 불균일성에 의하여 에너지 손실이 크게 발생하게 되며, 열교환기 효율이 많이 저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기하학적 형상이 간단하고, 액체, 기체 어느 것에도 두 유체들 사이에 열교환 적용이 가능하며, 대부분 산업 현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적용범위 또한 매우 넓고, 신뢰성이 높으며, 설치 또는 제작이 쉽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산업용 열교환기로서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열교환기 내부의 유동이 흐르지 않는 데드존(Dead Zone)이 발생함으로써 냉동식 드라이어의 열교환 성능이 크게 저하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현재 냉동식 드라이이의 열교환기는 한계점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된 타공망 형태의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냉동식 드라이어 A-R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성능에 비하여 열교환 효율을 2배 가까이 향상시켰다. 이것은 유동이 균일한 흐름으로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열교환기 전면 튜브측 입구 부분(①)에 구멍크기가 7mm용 타공망 형태의 가이드 베인을 구성하여 유동의 박리영역을 크게 감소시킴으로써, 기존의 열교환기 열교환 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이로 인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의 효율을 높이고자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식 에어드라이어(Refrigerated Air Dryer)는 압축공기가 이용되는 곳에서 수분의 발생방지를 위해 사용된다. 보통 공기는 습도가 높으면 수분을 다량 포함하게 되고, 습도가 낮으면 기체로서 존재할 수 있는 수분량이 작아지는 성질을 갖고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를 응축하여 수분을 냉각시키는 장치이며, 주로 반도체 제조 공정·전자·의료·제약·식품·화학 반응 산업 등에 사용된다. 그리고 냉동식 드라이어의 냉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열교환기 방식이 이용되며, 이 열교환기는 예열 교환기(Air to Air Heat Exchanger), 본열 교환기(Air to Water or Air to Refrigerant Heat Exchanger)로 나뉘어진다. 여기서 고온다습한 압축공기가 제일 먼저 예열 교환기(Air to Air Heat Exchanger)를 통하여 드라이어로 들어오면, 이 공기는 배출되는 건조된 차가운 공기와의 열 교환으로 예냉 되어서 응축수가 되어 드레인 된다. 이러한 예냉효과는 흡입공기를 미리 제습하여 다음 단계인 본열 교환기(Air to Water or Air to Refrigerant Heat Exchanger)에서 이루어지는 제습효과를 증폭시키므로써 드라이어가 높은 효율로 지속적으로 작동한다. 즉 예열 교환기(Air to Air Heat Exchanger)는 셀(Shell)과 튜브(Tube) 방식으로서 입구를 통하여 튜브 안으로 고온다습한 압축공기가 들어와서 특수 설계된 튜브를 통과한 후 튜브 외측의 셀을 통하여 냉각 건조된 압축공기가 출구로 나가도록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Heat Exchanger)는 고온의 유체(流體)가 가진 열에너지를 저온유체로 보내는 장치이며, 가열기·냉각기·증발기·응축기 등에 사용된다. 유체로는 기체나 액체가 사용되며 고체와 유체를 함께 사용하는 특수한 경우도 있 다. 형식에는 두 유체 사이에 격판(隔板)이 있는 격판식, 축열기를 장치하여 열을 전하는 축열식(재생식), 두 유체가 직접접촉하는 직접 접촉식 등 3종류가 있다. 격판식은 두 유체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화학공업·식품공업 등에서와 같이 유체의 혼합을 피해야 하는 경우나 연소 가스로 가열하는 보일러 등에 쓰인다. 전열면(傳熱面)은 대체로 금속관이 쓰이며, 이중관식(二重管式)·다관식(또는 shell and tube type) 등이 보급되어 있다. 금속관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핀(fin)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물결모양의 판을 겹쳐서 격판으로 사용할 때도 많다. 격판식은 단위면적당 전열량에 한계가 있고 전열량에 비해 대형이 된다. 축열식의 가장 일반적인 형식은 다공성 재질이나 물결모양의 금속판을 겹친 회전축열체를 두 유체 속으로 교대로 통과시켜 열을 교환하는 방식이다. 장치의 규모에 비하여 전열량은 크지만 두 유체가 혼합되는 결점이 있다. 직접접촉식은 가장 효과적으로 열교환이 되지만 두 유체가 혼합되기 때문에 기체와 액체처럼 분리 가능한 유체 사이에서만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산업용 열교환기는 기하학적 형상이 간단하고, 액체(물, 냉매 등), 기체 어느 것에도 두 유체들 사이에 열교환 적용이 가능하며, 대부분 산업 현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적용범위 또한 매우 넓고, 신뢰성이 높으며, 설치 또는 제작이 쉽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산업용 열교환기로서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5) 장치의 가장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게 열교환기 냉매 유입구(1) 및 Air 유 입구(7), 두 유체들(Air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 작용이 일어나는 셀(4)과 튜브(3)측, 그리고 냉매 유출구(2) 및 Air 유출구(8)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저온 냉매 유체(QR1)가 열교환기(5)의 냉매 유입구(1)로 들어와 열교환기 내의 튜브(3)로 흐르게 되며, 이 저온 냉매 유체(QR1)는 셀(4)에서의 다른 유체(Air)와 열교환 작용을 하여 셀(4)측의 유체 온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저온 냉매 유체(QR1)는 열교환 작용을 한 후 열교환기 냉매 유출구(2)를 향하여 고온 냉매 유체(QR2)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열교환을 목적으로 한 고온 유체(QA1)는 열교환기의 Air 유입구(7)로 열교환기 내의 셀(4)로 흐르게 되며, 이 고온 유체(QA1)는 튜브(3)에 흐르는 냉매에 의해 열전달 작용이 이루어 진후 저온 유체(QA2)로 열교환기의 Air 유출구(8)로 유출된다.
도 2는 일반적인 A-R 열교환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2의 (가)는 A-R 열교환기 정면에서 본 그림으로 A-R 열교환기 상부[1]와 하부[2]를 구분 표시하였다. (나)그림은 A-R 열교환기 상부[1] 부분만 도시하였으며, 열교환기 상·하, 좌·우 방향을 표시하였다. 그리고 열교환기 냉매 유입구(1)와 냉매 유출구(2)가 있는 부분이 열교환기 전면이 되고 그 반대편이 열교환기 후면이 된다. 도 2의 (다)는 냉매의 흐름 순서(① → ⑧)를 표시(4pass 구조)하였다. 그림과 같이 흐름 순서는 냉매 유입구(1)에서 냉매가 유입된 후 튜브(3)측 입구 부분(①)의 열교환기 튜브(3)를 지나 ②→③→④→⑤→⑥→⑦까지 냉매가 순환된 후 마지막 ⑧인 냉매 유출구(2)로 냉매가 유출된다. 도 2의 (라)는 A-R 열교환기 튜브(3)의 4pass 중 1pass 부분(①→②)만을 적용하여 도 3과 같이 A-R 열교환기 전체 유동장을 나타내었다.
한편 A-R 열교환기 특징중 다른 열교환기(Air to Air and Air to Water)와는 달리 냉매가 열교환기 상부[1]와 하부[2]로 동일하게 각각 흐르게 된다. 이것은 냉동식 드라이어의 장착되어 있는 냉동 압축기(a freezing compressor) 2개가 냉매의 특성 및 효율등을 고려하여 각각 열교환기 상부[1]와 하부[2]로 냉매를 동일 순환시키게 되고, 열교환을 하려는 Air의 부하에 따라 25%, 50%, 75%, 100%로 Step별로 냉매를 순환시켜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킨 것이다. 그리고 A-R 열교환기 특성상 중요한 점은 냉매 유입구(1)로 들어와 냉매 유출구(2)로 바로 관통하는 1pass가 아닌 4pass로 구성되어 있어 냉매의 열접촉 면적을 축소시켜 열교환을 극대화 시키고자 한 점이다.
도 3은 일반적인 A-R 열교환기의 정면에서 본 그림(상·하)이 아닌 상부에서 본 그림(좌·우)으로 열교환기 전체 내부 유동장을 나타내는 구성도를 도시하였다. 내부 유동장 그림에서 보듯이 냉매 유입구(1)에서 유입된 냉매는 A-R 열교환기 튜브(3) 입구부분(①)에서 유동 박리가 일어나며, 튜브(3) 중심부분에만 흐르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좌·우부에서는 유동이 흐르지 않는 상태가 발생하며, 박리가 크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열교환기 장치의 가장 주된 목적은 셀(4)과 튜브(3)측 유체들간의 열교환 작용으로 인하여 폭넓은 범위의 열전달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 만 A-R 열교환기 입구를 지나는 유동은 급격한 단면적 증가로 인하여 좌·우부에서 매우 큰 박리영역이 발생하여 에너지 손실이 크게 발생되는 현상이 생기는 중요한 원인으로 된다. 또한 좌·우부에 발생한 이 박리 유동에 의하여 유동은 열교환기내 좌·우부로 흐르지 못하고 중심부분에만 흐르게 되며, 좌·우부에는 유동이 흐르지 않게 되는 데드존(Dead Zone)이 발생하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A-R 냉동식 드라이어의 열교환기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제시되고 있고, 전체 시스템상의 효율을 크게 감소시키는 문제가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는 열교환기 전면 튜브측 입구 부분(①)에 구멍크기가 7mm용 타공망 형태의 가이드 베인을 설치함으로써 유동분배의 불균일성 또는 유동이 일부분에만 편중되는 채널유동(Channel Flow)과 박리 영역을 최소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튜브(3)내의 데드존(Dead Zone) 부분을 감소시키고, 열교환기 내부 유동을 균일하게 흐르게 하여 냉동식 드라이어 A-R 열교환기에 있어서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며, 도 5는 A-R 열교환기 전면부에 7mm용 가이드 베인이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 A-R 열교환기 전면 튜브(3)측 입구 부분(①)에 설치된 가이드 베인의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의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게 열교환기 냉매 유입구(1), 두 유체들 사이의 열교환 작용이 일어나는 셀(6)과 튜브(3)측, 그리고 냉매 유출구(2)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 열교환기(5) 내부의 튜브(3)측 입구 부분(①)에 7mm용 타공망 형태의 가이드 베인(9)이 설치된다. 이 가이드 베인(9)은 열교환기 내부 튜브(3) 입구측과 용접되어 일체형으로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저온 냉매 유체(QR1)가 열교환기(5)의 유입구(1)로 들어와 가이드 베인(9)을 통해서 열교환기 내의 전체 튜브(3)로 유동이 균일하게 흐르게 되며, 이 저온 냉매 유체(QR1)는 셀(6)측에서의 다른 유체와 열교환 작용을 하여 셀(6)측의 유체온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이 저온 냉매 유체(QR1)는 열교환 작용을 한 후 열교환기 유출구(2)를 향하여 고온 냉매 유체(QR2)로 흐르게 된다.
상기의 열교환기 유입구(1)와 튜브(3)사이에 타공망 형태의 가이드 베인(9)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튜브(3)측 좌·우부에서 발생하는 박리유동을 해소하고, 열전달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유동분배의 불균일한 흐름을 균일하게 하여 최적의 냉동식 드라이어 A-R 열교환기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는 A-R 열교환기 전면부에 7mm용 가이드 베인이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A-R 열교환기 상부[1]에 대해 7mm용 구멍 크기의 가이드 베인 1개(A-R 열교환기 전면 1개)는 냉매가 유입되는 튜브(3) 입구부분(①)에만 단독으로 설치하였다. 그리고 A-R 열교환기 하부[2]에도 상부[1]와 같이 가이드 베인(9)을 동일하게 설치하였다.
상기의 7mm용 가이드 베인 1개(상부)를 A-R 열교환기 전면에 최초로 유입되는 냉매 유입구(1)인 튜브(3) 입구 부분(①)에만 장착시킨 이유는 냉매의 열적 특성, 유량 크기, 상태 변화(액체 및 기체상태)와 열교환기 구조 및 냉동식 드라이어 운전 조건 등을 고려하여 가이드 베인을 형성시켰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 A-R 열교환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열교환기 상류로부터 저온 냉매 유체(QR1)가 유입되어 가이드 베인(9, 7mm용)을 지나 전체 튜브(3)내를 통과하게 되며, 이 가이드 베인(9, 7mm용)에 의하여 튜브(3)측 좌·우부에서 발생하는 박리유동의 규모를 크게 저감시키게 된다. 여기서 A-R 열교환기 전면에 최초로 유입되는 냉매 유입구에 장착하는 7mm용 가이드 베인의 경우 A-R 열교환기 유체(냉매)의 성질을 고려하여 타공망 크기를 튜브 직경비 조건과 고려하여 중심부분(3.5mm 구멍 크기)과 중심 이외의 부분(7mm 구멍 크기)을 일정 비율로 다르게 하였다. 즉, 중심부분의 유동은 가이드 베인의 타공망 크기가 제일 작은 중심 부분 (3.5mm, A-2)에 도달하여 A-2에 해당되는 구멍크기 만큼 유동이 빠져나가고 나머지 빠져나가지 못한 유동은 타공망 크기가 큰(7mm, A-1) 부분으로 흘러들어 가게 되어 전체 튜브(3)내를 따라 유동분배가 균일하게 진행되어 A-R 열교환기 냉매 유출구(2)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 베인에 편중되어 있던 유동은 열교환기 전체 튜브내로 고루 분포됨으로서 에너지 효율을 크게 높힐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가이드 베인(9)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A-R 열교환기 전면에만 7mm용 가이드 베인(A) 2개(상·하부)가 장착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A-R 열교환기 전면에만 장착되어 있는 7mm용 가이드 베인(A)은 타공망 크기를 달리 하였다. 즉 중심 부분(A-2)에는 타공망 크기를 3.5mm로 하였으며, 중심 부분이외(A-1)에는 타공망 크기를 7mm로 구성하였다. 이것은 A-R 열교환기 구조인 4pass에 맞게 튜브(3)내로 전체 균일한 유동 분포를 얻기 위함이다.
위 내용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 손실은 가이드 베인(9) 장치에 의해 확실히 감소 될 수 있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가이드 베인(9)에 의하여 튜브(3) 입구측 좌·우부에서 발생하는 박리유동이 감소되고, 유동이 튜브 전체로 균일하게 흐르게 되어 열교환기 효율을 크게 향상시켰기 때문이다. 위에서 언급되어진 바와 같이 기존의 열교환기 내부에 가이드 베인(9)을 설치할 경우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의 성능 향상이 크게 기여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 A-R 열교환기는 열교환기 전면 튜브측 입구 부분(①)에 구멍크기가 7mm용 타공망 형태의 가이드 베인을 설치하여, 튜브입구측 좌·우부에서 발생하는 주위 유동의 박리와 유동분배의 불균일성을 최소화 시키므로서, 에너지 손실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 기존의 냉동식 드라이어 A-R 열교환기 성능에 비하여 효율을 2배 가까이 향상시켜 최적의 열교환기 조건이 되도록 하므로서 유동의 손실을 크게 감소시키는 데 가능하며, 열교환기내 전체 튜브에 균일한 유동이 흐를수 있게 하고, 이로 인하여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열교환기 유동손실을 크게 줄여 열교환기내의 유동조건에 따른 최적의 냉동식 드라이어 A-R 열교환기의 효율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냉동식 드라이어 A-R 열교환기(5)의 타공망 형태의 가이드 베인(9)이 장착한 고효율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A-R 열교환기 냉매 유입구(1)와 튜브(3)측 입구 부분(①)에 형성된 가이드 베인;
    상기 가이드 베인(9)이 A-R 열교환기 전면 튜브(3)측 입구 부분(①)에 구멍 크기가 7mm용 타공망 형태를 가지는 가이드 베인(9);
    상기 가이드 베인(9)이 열교환기 내부 튜브(3) 입구측과 용접되어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가이드 베인(9)을 통해 A-R 열교환기 튜브(3)내의 박리유동과 균등분배의 유동을 형성하는 타공망 형태의 가이드 베인(9)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식 드라이어 A-R 열교환기.
KR1020060024668A 2006-03-15 2006-03-15 안내유로를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 KR20070082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668A KR20070082467A (ko) 2006-03-15 2006-03-15 안내유로를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668A KR20070082467A (ko) 2006-03-15 2006-03-15 안내유로를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330U Division KR200438626Y1 (ko) 2006-02-06 2006-02-16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467A true KR20070082467A (ko) 2007-08-21

Family

ID=3861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668A KR20070082467A (ko) 2006-03-15 2006-03-15 안내유로를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24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124B1 (ko) * 2012-12-04 2014-12-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곡관부를 구비한 열회수장치
CN107166882A (zh) * 2017-07-07 2017-09-15 银川利智信知识产权咨询服务有限公司 真空冷冻干燥仓制冷剂分配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124B1 (ko) * 2012-12-04 2014-12-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곡관부를 구비한 열회수장치
CN107166882A (zh) * 2017-07-07 2017-09-15 银川利智信知识产权咨询服务有限公司 真空冷冻干燥仓制冷剂分配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557B1 (ko) 열교환기
CN104515328A (zh) 压缩式制冷机用冷凝器
US11988452B2 (en) Heat exchanger
KR200371015Y1 (ko)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a열교환기
KR20070082467A (ko) 안내유로를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
KR102402382B1 (ko) 냉동컴프레셔용 공냉식 가스냉각기
CN108826479A (zh) 翅片扁管一体结构的冷风机
KR100665895B1 (ko)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a열교환기
KR200371016Y1 (ko)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w열교환기
KR200438626Y1 (ko)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r 열교환기
KR100665894B1 (ko)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냉동식 드라이어의 a-w열교환기
CN211625782U (zh) 用于冷水机组的液滴蒸发装置及冷水机组
CN208735753U (zh) 翅片扁管一体结构的冷风机
CN108474624A (zh) 椭圆翅片式热交换器的热容量改进
KR100220725B1 (ko)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의 냉매 분배 구조
WO2020140211A1 (zh) 换热器、换热组件及空调设备
WO2019006887A1 (zh) 一种高效率冷凝器
TWM522328U (zh) 製冷裝置
JP2005337688A (ja) 冷凍装置
KR100344993B1 (ko) 열교환기용 콘덴서
KR101547964B1 (ko) 건조 시스템
CN217737991U (zh) 一种新型多流体箱套复合式换热器
CN220893064U (zh) 带有并行换热管的换热装置、热水器、余热回收系统
CN108679883A (zh) 整体翅片圆管冷风机
CN218627372U (zh) 换热器及空调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