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095A - 카메라 모듈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095A
KR20070082095A KR1020060014405A KR20060014405A KR20070082095A KR 20070082095 A KR20070082095 A KR 20070082095A KR 1020060014405 A KR1020060014405 A KR 1020060014405A KR 20060014405 A KR20060014405 A KR 20060014405A KR 20070082095 A KR20070082095 A KR 20070082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ens barrel
image sensor
sensor chip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2102B1 (ko
Inventor
전자경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4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102B1/ko
Publication of KR2007008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형상기억합금의 높이방향 변형을 이용하여 렌즈와 이미지 센서 칩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싱부를 갖는 이미지 센서 칩, 상기 이미지 센서 칩이 실장되고 회로 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이미지 센서 칩 상에 위치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 칩으로 광을 집광시키는 렌즈를 내장한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면을 지지하는 탄성체 및, 상기 렌즈 배럴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 형상기억합금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이의 구동 방법{Camera modu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 카메라 모듈의 구조 및 포커스 조정을 위한 구동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를 갖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형상기억합금으로 된 플레이트가 설치된 카메라 모듈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b은 도 3a와 같이 카메라 모듈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형상기억합금으로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형상기억합금으로 된 플레이트가 설치된 카메라 모듈에 전압이 인가되어 초점 변환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b은 도 4a와 같이 카메라 모듈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형상기억합금으로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 : 카메라 모듈 11, 110 : 인쇄회로기판
15, 150 : 렌즈 16, 160 : 렌즈 배럴
12, 120 : 이미지 센서 칩 190 : 플레이트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렌즈와 이미지 센서 칩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 포커스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은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기, PDA 등과 같은 휴대성이 요구되고 경박단소한 전자부품에 주로 내장되며, 장착된 전자 장비를 통하여 화상의 촬영, 저장 및 전송을 가능케 한다.
특히 최근에는 전자제품에 기본적으로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고 이러한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소비자들은 디지털 카메라에서 구현할 수 있는 고기능 고화소 고화질 이미지를 촬영하고 싶어한다.
그러나, 휴대 전자 부품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에서는 자동초점(AF), 광학줌 등 부가기능의 구현이 어렵기 때문에 카메라 폰으로 동영상을 촬영할 경우 자동초점 기능이 없어 선명한 화질을 얻기가 어려웠다.
이에 따라, 렌즈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조정하여 초점을 잡아주는 자동 초점 및 광학줌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원은 피에조(piezo-압전 초음파),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음성코일모터(VCM), 액체렌즈(liquid lens) 등 광학 줌을 구현하는 모든 액추에이터(Actuator, 이하 구동원)를 채택하게 되었고, 그 일 예로서,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구동원이 설치된다.
도 1a와 같이,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10)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칩(12)과, 상기 이미지 센서 칩(12)으로 광을 집광시키는 렌즈(15)와 IR(infrared ray) 필터(13) 및,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처리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15)는 이를 고정하는 렌즈 배럴(16) 내부에 부착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 칩(12) 상에 위치되며, 상기 렌즈 배럴(16)을 상기 이미지 센서 칩(12)으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원으로 음성코일모터(17, VCM: voice coil motor)가 설치되어있다.
상기 음성코일모터(17)는 이동 코일이 반원형 영구자석 사이에서 작동하여 선형 운동을 하는 운동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음성코일모터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이 적용되는 것으로서, 전기와 자석의 상호 작용으로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인력에 의해서 움직임이 발생하고 이러한 선형적인 힘은 전류값에 비례해서 도출된다.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음성코일모터(17)는 일반적으로 4개의 자석과 두개의 원형 코일 타입 및 두개의 볼 베어링,샤프트와 커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원인 음성코일모터(17)에 전압을 인가하면, 도 1b와 같이, 상기 렌즈 배럴이 상기 이미지 센서 칩(12)으로부터 상/하 이동된다.
이에 따라, 피사체의 한 지점에서부터 많은 양의 빛을 끌어들여 한 지점으로 모일 수 있도록 빛을 굴절시키는 상기 렌즈(15)가 상기 렌즈 배럴(16)과 함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렌즈(15)가 이동되면 상이 맺히는 이미지 센서 칩(12)의 이미지 센싱부와 상기 렌즈(15)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어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변화된 초점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음성코일모터, 피에조 모터와 같은 구동원은 상기 렌즈 배럴(16) 주변에 배치하여야 하며, 이러한 구동원은 기계/전자적인 매커니즘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이므로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고는 하나 일정 체적이 있다. 즉, 이러한 구동원 때문에 이를 장착한 카메라 모듈의 부피가 기존보다 커진다.
무선 단말기의 특정 위치에 장착하는 형태로 제작되는 카메라 모듈은 경박단소화의 요구에 따라 제작되는 무선 단말기의 사이즈에 따라 그 부피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카메라 모듈의 부피가 커지고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을 초소형으로 제작할 수 없다.
그리고, 기계적으로 복잡한 구성 때문에 구동원의 생산성이 높지 않으며 가격도 비싸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의 하부면에 위치되어 그 높이 변화에 따라 렌즈 배럴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형상기억합금으로된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초점거리를 변환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동원의 사용 없이 초점거리의 변환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제작하여 박형화 및 경량화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싱부를 갖는 이미지 센서 칩, 상기 이미지 센서 칩이 실장되고 회로 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이미지 센서 칩 상에 위치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 칩으로 광을 집광시키는 렌즈를 내장한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면을 지지하는 탄성체 및, 상기 렌즈 배럴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렌즈 배럴을 지지하는 상기 탄성체와 상기 플레이트는 서로 대향되는 힘을 상기 렌즈 배럴에 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길이방향으로 변화에 의하여 그 축방향 두께 변화에 의해 상기 렌즈 및 상기 렌즈 배럴을 상기 이미지 센서 칩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은 렌즈 배럴의 하부면에 압축상태로 예변형된 플레이트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가 변형 회복되어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된 상기 렌즈 배럴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렌즈와 이미지 센서 칩 사이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예변형된 상태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가 예변형 상태로 변환됨에 따라 상기 렌즈 배럴의 상부면에 압입력을 가하는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렌즈 배럴의 위치가 하강하여 상기 렌즈와 이미지 센서 칩 사이의 초점 거리가 초기화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초점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의 구조와 구동 방법에 관한 실시예 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를 갖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싱부(124)와 전극 패드를 갖는 이미지 센서 칩(120)과, 상기 이미지 센서 칩(120)에서 발생한 영상신호를 전달받는 회로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센서 칩(120)의 상부에 IR 필터(140)가 위치되도록 상기 IR 필터(140)를 내부에 고정한 IR 필터 하우징(130)이 상기 이미지 센서 칩(120) 상에 위치되며, 그 상부에는 렌즈(150)를 구비한 렌즈 배럴(16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싱부(124)와 상기 렌즈(150) 사이로 유입되는 영상의 광경로를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180)은 상기 렌즈 배럴(160)과 상기 IR 필터 하우징(140)을 내장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상에 위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에 상기 이미지 센서 칩(120)에 대하여 렌즈(15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렌즈(150)가 내장되는 렌즈 배럴(160)의 길이방향 이동을 위하여, 상기 렌즈 배럴(160)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플레이트(19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90)에 의하여 상기 렌즈 배럴(160)에 가해지는 힘과 대향된 힘이 상기 렌즈 배럴에 가해지도록 탄성체의 일 예로서, 판스프링(170)이 구비되며, 상기 판 스프링(170)이 상기 렌즈 배럴(160)의 상부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18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판스프링(170)은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 배럴(160)을 중심에 두고 그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판스프링은 그 겹친 개수에 따라 스프링력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축방향으로 변위를 갖고 있으므로 상기 렌즈 배럴(160)이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렌즈 배럴(160)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그 이동량을 조절해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판스프링(170)은 상기 렌즈 배럴(16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플레이트(190)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렌즈 배럴(160)이 상기 두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지점에 위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190)는 예변형(pre-strain)된 형상기억합금으로서, 예를 들어, Ti 50%, Ni 50%(원자비)가 함유된 얇은 박막의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상기 플레이트(190)가 압축 상태로 예변형되어 있다면, 상기 플레이트(190)에 전류가 인가되면 그 형상이 회복되며, 형상 회복시 그 두께는 상기 렌즈 배럴(160)을 이미지 센서 칩(120) 측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도록 축방향 두께가 두꺼워진다.
즉, 상기 플레이트(190)는 어떤 형상을 기억하면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변형되어도 있어도 전류가 인가되어 가열되면 변형 전의 형상으로 형상변형되어 회복되 며, 그 예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 배럴을 들어올려야 하므로 그 이동 거리에 적합한 변형량을 갖도록 예변형량이 결정된다.
이러한 플레이트(190)를 이루는 형상기억합금은 2방향 형상기억합금으로서, 가열과 냉각을 통해 두 형상이 반복되는 가역적인 동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90)는 8% 이내에서 원상태로 회복 가능한 변형 길이 및 두께로 제작되며, 와셔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얇은 박막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판스프링(170)은 상기 플레이트(190)에 의하여 들어올려지는 상기 렌즈 배럴(160)의 길이방향 이동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플레이트(190)에 대한 대향되는 힘을 갖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플레이트가 설치된 카메라 모듈의 조립 과정과 구동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형상기억합금으로 된 상기 플레이트가 설치된 카메라 모듈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b은 도 3a와 같이 카메라 모듈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형상기억합금으로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회로기판(110)의 상면에 에폭시(epoxy)를 도포하고 그 상부에 이미지 센서 칩(120)을 실장한 후, 상기 이미지 센서 칩의 전극과 상기 회로 기판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센서 칩(120)의 상부에 IR 필터(140)가 위치되도록 IR 필터(140)를 내부에 장착한 IR 필터 하우징(130)을 인쇄회로기판(110)상에 고정한다.
한편, 렌즈 배럴(160) 내부에 상기 렌즈(150)를 고정한 후, 상기 렌즈 배럴(160)의 하부면에 플레이트(190)를 위치시키고 그 상부면에 판스프링(170)을 위치시켜 상기 외부 하우징(180)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조립한다.
이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170)이 상기 렌즈 배럴(160)에 가하는 스프링력이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플레이트(190)가 상기 렌즈 배럴(160)에 가하는 힘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렌즈 배럴(160)은 이미지 센서 칩(120) 측에 인접하여 상기 외부 하우징(180) 내에서 위치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190)는 압축상태로 예변형되어 소정 두께(A)를 갖고, 상기 판스프링(170)은 고유 스프링력에 의하여 상기 렌즈 배럴(160)을 상기 이미지 센서 칩(120) 측으로 밀어낸다.
한편, 초점거리의 조정 필요성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190)로 전류가 인가되면,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압축상태에 있는 상기 플레이트(190)가 전압이 인가되면 형상기억합금이 그 형태를 회복하여 그 두께(A)가 0.2cm두꺼워진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초점 이동 거리를 0.2cm로 설정한 것으로서, 상기 렌즈 배럴(160)의 무게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90)에 요구되는 길이방향 변 형량에 따른 두께 방향 변형량과 변형 응력이 도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90) 상에 위치된 상기 렌즈 배럴(160)이 상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밀려올라간다.
예를 들어, 200만 화소를 갖는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 설치되는 렌즈가 내장된 렌즈 배럴은 0.1g 정도의 무게를 갖고 있으므로 이를 이동시켜 초점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초당 0.5g/force 정도의 힘이 요구된다.
즉, 압축상태에 있는 상기 플레이트(190)가 전압이 인가되면 형상기억합금이 그 형태를 회복하여 그 두께가 A+0.2cm 만큼 두꺼워진 것이다.
이러한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플레이트(190)을 이용하여 렌즈 배럴을 길이방향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모터 등의 구동원을 카메라 모듈에 부가적으로 설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100)에 있어서, 어떤 한 점에서부터 일직선으로 달려온 빛들이 렌즈를 통과하면서 한 곳으로 모이게 되고 그 빛들이 모여 하나의 상을 맺게 되는데, 이때 렌즈와 상이 맺히는 이미지 센서 칩(120)의 이미지 센싱부(124) 면과의 거리인 초점거리가 형성된다.
이러한 초점거리는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90)가 변형됨에 따라 상기 렌즈 배럴(160)이 이동되어 변화된다.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3a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렌즈(150)와 상기 이미지 센서 칩(120)의 이미지 센싱부(124)사이의 초점거리는 고정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수득된 광은 렌즈(150)를 통해 상기 이미지 센서 칩(120)의 이미지 센싱부(124)상에 결상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이러한 영상신호는 회로 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10)을 통해 단말기 등의 본체에서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피사체의 거리가 이동되거나 변화되면 렌즈(150)에서 집속된 광이 모여 하나의 상을 맺게 되는 거리가 일정하기 때문에 초점거리를 변화시킬 수 없는 경우, 피사체와 렌즈 사이의 초점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미지 센서 칩 상에 흐릿한 이미지가 결상된다.
이에 따라, 렌즈(150)를 피사체의 이동 거리만큼 앞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상기 플레이트(190)에 3V의 전압을 인가한다.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플레이트(190)의 길이가 선형적으로 변화하면서 그 길이방향 폭인 두께도 변화되어, 상기 렌즈 배럴(160)이 이미지 센서 칩(120)으로부터 들어올려진다.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 칩의 넓은 부분의 이미지를 결상시키기 위해서는 렌즈(150)와 이미지 센서 칩(120) 사이의 초점거리가 길어져서, 일정한 크기가 넓이를 가진 이미지 센서 칩 상에 모든 이미지를 결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90)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으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예변형된 길이로 선형적으로 변화하여, 원래의 초점거리를 유지하는 위치로 늘어나므로, 이에 고정된 상기 렌즈 배럴(160)과 렌즈(150)도 함께 이동된다.
본 발명은 다른 예로서, 플레이트(190)를 렌즈배럴 상부에 위치시키고, 탄성체인 탄성 스프링(170)을 렌즈배럴 하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탄성체로서 다 른 탄성 부재인 고무 등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의 탄성 스프링은 판 형상으로 하나로 형성하거나 복수개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은 길이방향 변형이 가능한 소정 형상을 갖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부가적인 모터 등의 구동원을 부착한 제품에 비교하여 매우 제작 방법이 간단하고, 카메라 모듈의 전체 크기 및 부피도 박형화·소형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에 사용되는 부품을 그대로 적용함에 따라 추가되는 부품의 증대를 제거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추가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은 기구적인 부품으로 이루어진 구동원을 배제시킬 수 있으므로 그 무게를 경량화시켜 충격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은 경박단소한 전자 부품에 제한된 설치 위치에 무난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 효율이 향상된다.

Claims (10)

  1.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싱부를 갖는 이미지 센서 칩, 상기 이미지 센서 칩이 실장되고 회로 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이미지 센서 칩 상에 위치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 칩으로 광을 집광시키는 렌즈를 내장한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상면을 지지하는 탄성체 및, 상기 렌즈 배럴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와 상기 플레이트는 서로 대향되는 힘을 상기 렌즈 배럴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길이방향으로 형상변형되어 상기 렌즈 및 상기 렌즈 배럴을 상기 이미지 센서 칩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기계가공 후의 형상기억합금 재료를 형상기억온도 범위 내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하여 예변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카메라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형상기억합금의 예변형(pre-strain)시 예변형량이 상기 형상기억합금이 초탄성을 유지하는 변형량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예변형량은 상기 렌즈 배럴을 이동시키는 길이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전류가 인가되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렌즈 배럴의 하부면에 압축상태로 예변형된 플레이트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가 형상변형 회복되어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된 상기 렌즈 배럴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렌즈와 이미지 센서 칩사이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예변형된 상태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가 예변형 상태로 변환됨에 따라 상기 렌즈 배럴의 상부면에 압입력을 가하는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렌즈 배럴의 위치가 하강하여 상기 렌즈와 이미지 센서 칩 사이의 초점 거리가 초기화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길이방향으로 형상변형되어 상기 렌즈 및 상기 렌즈 배럴을 상기 이미지 센서 칩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와 상기 플레이트는 서로 대향되는 힘을 상기 렌즈 배럴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구동 방법.
KR1020060014405A 2006-02-15 2006-02-15 카메라 모듈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172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405A KR101172102B1 (ko) 2006-02-15 2006-02-15 카메라 모듈 및 이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405A KR101172102B1 (ko) 2006-02-15 2006-02-15 카메라 모듈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095A true KR20070082095A (ko) 2007-08-21
KR101172102B1 KR101172102B1 (ko) 2012-08-20

Family

ID=3861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405A KR101172102B1 (ko) 2006-02-15 2006-02-15 카메라 모듈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1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196B1 (ko) * 2013-01-23 2014-08-12 (주)옵티스 카메라 모듈
CN109194860A (zh) * 2018-11-06 2019-01-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成像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KR20200118391A (ko) * 2014-04-11 2020-10-1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209663B2 (en) 2014-04-11 2021-12-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20220150112A (ko) * 2021-05-03 2022-11-10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의 카메라 장치 및 온도별 초점 거리 보상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4079B2 (ja) * 1998-09-04 2008-09-03 株式会社デンソー 可変焦点レンズ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196B1 (ko) * 2013-01-23 2014-08-12 (주)옵티스 카메라 모듈
KR20200118391A (ko) * 2014-04-11 2020-10-1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209663B2 (en) 2014-04-11 2021-12-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11947132B2 (en) 2014-04-11 2024-04-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CN109194860A (zh) * 2018-11-06 2019-01-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成像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CN109194860B (zh) * 2018-11-06 2024-05-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成像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KR20220150112A (ko) * 2021-05-03 2022-11-10 삼성전기주식회사 차량의 카메라 장치 및 온도별 초점 거리 보상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102B1 (ko) 201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260B1 (ko) 카메라 모듈
US7978421B2 (en) Camera module
US20060228099A1 (en) Digital camera with electromagnetic focusing module
US7499231B2 (en) Auto-focus lens module
KR101172102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0760544B1 (ko) 기계적 조리개 및 셔터를 구비한 초소형 카메라 모듈
KR100919117B1 (ko)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CN111856694A (zh) 一种可变焦镜头组件及应用其的电子设备
KR101181645B1 (ko) 자동 포커싱 기능을 가진 카메라 모듈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0748243B1 (ko) 렌즈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JP200609860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CN212321957U (zh) 一种可变焦镜头组件及应用其的电子设备
KR20100062657A (ko)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JP5500179B2 (ja) 光学ユニット、および撮像ユニット
KR101181536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1206376A (zh) 装配机械光圈与快门的超小型照相机模块
CN215453078U (zh) 一种基于传感器位移技术的定焦马达结构
CN216291117U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N103207499B (zh) 小型成像装置及其制作方法
KR20100068701A (ko) 렌즈 액츄에이터용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액츄에이터
CN103217775B (zh) 用于变焦透镜的镜头定位结构
JP200610161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駆動用ピエゾ素子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CN217932225U (zh) 镜头模组、摄像头模组以及电子设备
KR20070097159A (ko) 예압 수단을 구비한 화상 촬영 장치
CN113691699B (zh) 成像芯片组件、摄像模组及其对焦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