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017A - 채염용 소금포대 및 이를 이용한 채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채염용 소금포대 및 이를 이용한 채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017A
KR20070081017A KR1020060012683A KR20060012683A KR20070081017A KR 20070081017 A KR20070081017 A KR 20070081017A KR 1020060012683 A KR1020060012683 A KR 1020060012683A KR 20060012683 A KR20060012683 A KR 20060012683A KR 20070081017 A KR20070081017 A KR 20070081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burlap
bag
out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4545B1 (ko
Inventor
최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안메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안메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안메이드
Priority to KR1020060012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545B1/ko
Publication of KR20070081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65D29/04Net-like container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금을 담을 수 있는 소금포대를 이송 및 적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금이 충만되었을 때의 소금포대의 외형이 염전에서의 이송용 대차의 내부형상에 일치되도록 하고, 소금포대의 상면부에 견인띠를 일체로 고정시켜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견인 및 적재가 가능하도록 한 채염용 소금포대 및 이를 이용한 채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지되, 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대차의 내부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측면부(11)와 상면부(12) 및 저면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면부(12)의 일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입구체결끈(122)을 포함하는 입구부(121)와; 저면부(13)의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출구체결끈(132)을 포함하는 출구부(131); 및 상기 상면부(12) 또는 하면부(13)에 고정된 견인띠(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채염, 염전, 결정지, 이송, 적치, 포장, 성력화, 포대, 견인띠

Description

채염용 소금포대 및 이를 이용한 채염 이송장치 {Salt burlap for carrying harvested salt and carrying apparatus of harvested salt using the salt burlap}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육면체형의 채염용 소금포대를 소금을 담기 전의 펼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육면체형의 채염용 소금포대에 소금이 담긴 상태에서 입구부와 출구부가 체결된 상태로서 적재상태의 모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육면체형의 채염용 소금포대를 사용하여 수확된 소금을 이송시키기 위한 채염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염전에 채염 이송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의 채염용 소금포대를 소금이 담긴 상태로 입구부와 출구부가 체결된 상태로서 적재상태의 모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육면체형 소금포대 11 : 측벽부
12 : 상면부 13 : 저면부
14 : 보강띠 15 : 견인띠
121 : 입구부 122 : 입구체결끈
131 : 출구부 132 : 출구체결끈
141 : 띠고정부
20 : 대차 21 : 차체
22 : 배수공 23 : 바퀴
30 : 레일 40 : 원통형 소금포대
41 : 측벽부 42 : 상면부
43 : 저면부 44 : 보강띠
45 : 견인띠
421 : 입구부 422 : 입구체결끈
441 : 띠고정부
본 발명은 채염용 소금포대 및 이를 이용한 채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금을 담을 수 있는 소금포대를 이송 및 적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금이 충만되었을 때의 소금포대의 외형이 염전에서의 이송용 대차의 내부형상에 일치되도록 하고, 소금포대의 상면부에 견인띠를 일체로 고정시켜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견인 및 적재가 가능하도록 한 채염용 소금포대 및 이를 이용한 채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천일염전은 저수지, 증발지(蒸發池), 결정지(結晶池), 염퇴장로(鹽堆場路) 등이 부설되어 있고, 방조제방과 육수침입방지용 내제방에 의하여 외수(外水)와 단절되어 있으며 보통 증발지 옆 수로에 난치(비가 올 때 염도가 높아진 함수를 가두어 놓는 얕은 집)가 있고 결정지 가까운 곳에 소금저장을 위한 창고가 있다.
현재는 결정지로부터 수확된 소금을 매일 사람이 인력에 의해 일일이 외발수레 등을 이용하여 소금저장용 창고까지 이동시킨 후, 삽으로 퍼서 내리거나, 지게를 이용하여 소금저장용 창고까지 가서 소금더미 위로 올라가 쏟아붓는 방법을 통해 하역 보관한 다음 간수가 어느 정도 빠진 상태에서 1 내지 20㎏의 다양한 소포장용 부대에 담아 포장하여 출고시킨다. 이때 창고 가장 밑바닥에 있는 소금은 간수가 덜 빠져 쓴맛이 강하고, 직업장의 여건 조건상 각종 이물질들이 혼합되어 있어 제품의 품질이 좋지 않음에도 이러한 상태에서 포장되어 판매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결정지로부터 창고까지는 직선거리로 최하 100m 정도로, 결정지와 결정지 사이에 형성된 좁은 길로 소금을 운반하는 작업과, 이를 창고에 삽을 이용하여 저장하는 작업 그리고 저장된 소금을 다시 포장하는 작업이 천일제염 작업 중에서도 가장 중노동에 해당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3-76488호에는 염전의 채염이송방법 및 그 이송장치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결정지 주변에 설치된 염퇴장도로부터 소금창고까지 설치된 이송콘베이어와 결정지 구간의 이송컨베이어 상에 설치된 대차를 이용하여 결정지에서 수확된 소금을 창고까지 전동이송시켜 성 력화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컨베이어벨트의 특성 상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 설치되어야 하는데, 염전이 바닷가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또한 소금을 단지 대차에 실어 옮겨서 창고에 적치하는 것만 가능할 뿐 창고 내에서 다시 통상의 소금포장용 부대에 담아야 하는 과정이 더 요구되고, 여전히 창고 가장 밑바닥에 있는 소금은 간수가 덜 빠져 쓴맛이 강하고, 직업장의 여건 조건상 각종 이물질들이 혼합될 수 있다는 점 등에서는 전혀 개선된 효과를 내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채염과정에서 결정지에서부터 쉽게 수확된 소금을 이송 및 저장하기 용이하게 하여 작업을 단순화시키고, 노동력을 절감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결정지에서의 채염단계에서부터 이송 및 저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소금포대를 소금이 충만되었을 때의 소금포대의 외형이 염전에서의 이송용 대차의 내부형상에 일치되도록 성형하고, 소금포대의 상면부에 견인띠를 일체로 고정시켜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견인 및 적재가 가능하도록 한 채염용 소금포대 및 이를 이용한 채염 이송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염용 소금포대는,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지되, 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대차의 내부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측면부와 상면부 및 저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면부의 일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입구체결끈을 포함하는 입구부와; 저면부의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출구체결끈을 포함하는 출구부; 및 상기 상면부 또는 하면부에 고정된 견인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소금포대에는 소금포대의 외면에 고정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보강띠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구부를 포함하는 상면부와 상기 출구부를 포함하는 저면부는 서로 동일하게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 이상의 견인띠가 상기 상면부 또는 하면부에 고정되되, 견인띠들이 서로에 대해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염용 소금포대를 이용한 채염 이송장치는, 레일 또는 궤도와 이들 레일 또는 궤도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대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가 그 내부형상이 수확된 소금을 담을 수 있는 소금포대의 외형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대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대차의 바닥면에는 수분 또는 간수를 배출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염용 소금포대는,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지되, 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대차의 내부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측면부(11)와 상면부(12) 및 저면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면부(12)의 일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입구체결끈(122)을 포함하는 입구부(121)와; 저면부(13)의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출구체결끈(132)을 포함하는 출구부(131); 및 상기 상면부(12) 또는 하면부(13)에 고정된 견인띠(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결정지에서 채염 즉, 결정화된 소금을 수확하는 단계에서 수확과 동시에 이송을 위해 종래의 인력에 의한 이송수단으로 사용되던 지게나 외발수레 등에 삽 등을 이용하여 퍼서 담는 대신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레일(3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대차(20)의 내부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외형을 갖도록 성형된 본 발명에 따른 소금포대(10)를 투입하고, 상기 소금포대(10)의 출구부(131)를 출구체결끈(132)으로 체결하여 폐쇄시키고, 상기 소금포대(10)의 입구부(12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직접 상기 소금포대(10) 내로 소금을 퍼 담게 되면, 작은 결정 알갱이들의 형상을 갖는 소금이 어느 정도 자유흐름을 갖기 때문에 상기 소금포대(10)가 담긴 상기 대차(20)의 내부형상에 따라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대차(20)의 내부형상과 상기 소금포대(10)의 외형이 동일 또는 유사하기 때문에 상기 소금포대(10)의 내부를 소금으로 고르게 채워넣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소금포대(10)에는 소금포대(10)의 외면에 고정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보강띠(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보강띠(14)는 소금포대(10) 자체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소금의 중량에 의해 터지거나 어느 한 쪽으로 쏠리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보강띠(14)는 상기 소금포대(10)의 외면에 고정되되,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고정부(141)를 형성하여 상기 띠고정부(141)에서 상기 보강띠(14)와 소금포대(10)를 함께 바느질이나 와이어고정 등에 의해 긴밀하게 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소금포대(10)의 출구부(131)는 상기 소금포대(10)의 저면부(13)의 일부를 연장시켜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소금포대(10) 내부에 수용된 소금을 용이하게 방출시키도록 기능한다. 즉, 소금이 수용되어 있는 소금포대(10)를 상기 견인띠(15)를 이용하여 지게차의 포크 등을 사용하여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출구부(131)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출구체결끈(132)의 매듭을 풀면 중력에 의해 소금포대(10) 내부의 소금이 소금포대(10) 하방으로 인출되게 된다. 따라서 정제 또는 소분 등을 위해 소금을 인출하고자 할 때 소금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구부를 포함하는 상면부와 상기 출구부를 포함하는 저면부는 서로 동일하게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소금포대(10) 자체를 사용함에 있어 별도로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상, 하의 구별없이 쉽게 소금포대(10)를 대차(20)에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견인띠(15)는 상기 상면부(12) 또는 상기 하면부(13)들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그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하여 하나의 견인띠(15)가 취부될 수도 있으며, 달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견인띠(15)가 상기 상면부(12) 또는 하면부(13)에 고정되되, 견인띠(15)들이 서로에 대해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게차 등을 사용함에 있어 포크 에 상기 견인띠(15)를 걸어 이송 또는 적치작업을 할 때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금포대(10)는 특히 소금의 하중 등을 고려하여 소금포대(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특히 측면부와 저면부를 이중으로 형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금포대(10)는 부직포나 직물 또는 망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적치 동안에도 간수 등이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쓴맛이 적은 양질의 소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염용 소금포대를 이용한 채염 이송장치는, 레일 또는 궤도와 이들 레일 또는 궤도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대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가 그 내부형상이 수확된 소금을 담을 수 있는 소금포대의 외형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대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정지에서 수확된 소금을 담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포대(10)가 수용된 대차(20)를 그대로 레일(30)을 따라 이송시켜 소금을 저장하는 창고에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이후,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상기 소금포대(10)를 창고 내에 적절히 적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게차를 사용하는 경우, 지게차의 포크를 상기 소금포대(10)의 상면부(12)에 고정된 견인띠(15)와 상면부(12) 사이에로 삽입하고,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상기 대차(20)로부터 들어낼 수 있으며, 계속해서 원하는 장소에 적치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용화된 파렛트에 올려놓은 채로 적치할 수도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대 차(20)는 차체(21)에 고정된 바퀴(23)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공지된 레일(30)과 상기 레일(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대차(2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컨베이어벨트와 이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대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장치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레일(30)을 따라 움직이거나 또는 컨베이어벨트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대차(20)를 전동구동시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달리 인력에 의해서도 대차(20)를 이송시킬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대차(20)의 차체(21)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포대(10)의 외형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의 내부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며, 그 바닥면에는 수분 또는 간수를 배출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공(2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배출공(22)들을 통하여 덜 빠진 바닷물이나 간수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금포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의 대차(20)의 내부형상과 동일한 육면체형으로 성형되나, 달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성형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대차 역시 그 내부공간이 원통형이 되도록 일치시킬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금포대는, 부직포 또는 망과 같은 직물로 이루어지되, 원통형의 외형을 갖도록 측면부(41)와 상면부(42) 및 저면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금포대의 상면부(42)의 일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입구체결끈(422)을 포함하는 입구부(421)와; 소금포대 의 저면부(43)의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출구체결끈(432)을 포함하는 출구부(431); 및 상기 상면부(42)에 그 양단부가 고정된 견인띠(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소금포대(40)은 그 형상만 상이할 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소금포대(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금을 담을 수 있는 소금포대를 이송 및 적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금이 충만되었을 때의 소금포대의 외형이 염전에서의 이송용 대차의 내부형상에 일치되도록 하고, 소금포대의 상면부에 견인띠를 일체로 고정시켜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견인 및 적재가 가능하도록 한 채염용 소금포대 및 이를 이용한 채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그에 따라 천일염의 제조에서 가장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부분에서의 성력화(省力化) 즉, 노동력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거기에 더해 수확된 소금이 결정지에서부터 포장된 상태로 이송 및 보관되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고, 오염이 덜 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6)

  1.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지되, 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대차의 내부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측면부와 상면부 및 저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면부의 일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입구체결끈을 포함하는 입구부와; 저면부의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출구체결끈을 포함하는 출구부; 및 상기 상면부 또는 하면부에 고정된 견인띠;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채염용 소금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포대가 소금포대의 외면에 고정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보강띠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채염용 소금포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를 포함하는 상면부와 상기 출구부를 포함하는 저면부가 동일하게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채염용 소금포대.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견인띠가 상기 상면부 또는 하면부에 고정되되, 견인띠들이 서로에 대해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고정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채염용 소금포대.
  5. 레일 또는 궤도와 이들 레일 또는 궤도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대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가 그 내부형상이 수확된 소금을 담을 수 있는 소금포대의 외형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대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채염용 소금포대를 이용한 채염 이송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바닥면에 수분 또는 간수를 배출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채염용 소금포대를 이용한 채염 이송장치.
KR1020060012683A 2006-02-09 2006-02-09 채염용 소금포대 KR100854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683A KR100854545B1 (ko) 2006-02-09 2006-02-09 채염용 소금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683A KR100854545B1 (ko) 2006-02-09 2006-02-09 채염용 소금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017A true KR20070081017A (ko) 2007-08-14
KR100854545B1 KR100854545B1 (ko) 2008-08-26

Family

ID=3860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683A KR100854545B1 (ko) 2006-02-09 2006-02-09 채염용 소금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853B1 (ko) * 2007-08-03 2009-08-26 주식회사 신안메이드 소금운반용포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01078D0 (en) * 1994-01-20 1994-03-16 Mulox Ibc Ltd Container ba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853B1 (ko) * 2007-08-03 2009-08-26 주식회사 신안메이드 소금운반용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545B1 (ko) 200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7824A (en) Collapsible bulk container
KR101232758B1 (ko) 농산물 저장용 포대
US5257893A (en) Portable dispenser apparatus for bulk bags
US9120620B2 (en) Flexible bulk container and detachable support structure therefor
US5073035A (en) Bulk carrying bag
KR101594160B1 (ko) 저장용 포대
US11072490B2 (en) Packaging assembly for the transport and storing of roasted coffee and method for packaging roasted coffee beans
JP2015182787A (ja) 自立型フレコン
KR100854545B1 (ko) 채염용 소금포대
WO2011144912A2 (en) Bulk handling system
AU2009100871A4 (en) Bulk bag
KR100913853B1 (ko) 소금운반용포대
ES2363403B1 (es) Adicion a la solicitud de patente numero p 200802705, titulada "equipo modular autoportante de recogida de olivas y procedimiento de recogida"
KR20200075842A (ko) 플렉시블 컨테이너
US20120055932A1 (en) Flexible container for packag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s in bulk, and use thereof
FI65401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transportering av granulerat eler pulverartat material
KR102053797B1 (ko) 상하개방형 톤백
CN106879721A (zh) 一种水果蔬菜保鲜包装方法
KR200194948Y1 (ko) 벨트부대
EP3353089B1 (en) Packaging assembly for the transport and storing of roasted coffee and method for packaging roasted coffee beans
KR100446475B1 (ko) 근채용플렉시블컨테이너
JP4499377B2 (ja) 穀粒運搬用のコンテナにおける残留穀粒の排出装置
RU202948U1 (ru) Мягки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легких сыпучих грузов
KR20100023125A (ko) 개방형 기능성 톤백
KR100540363B1 (ko) 포리백을 이용한 간이 저장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