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959A -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959A
KR20070080959A KR1020060012539A KR20060012539A KR20070080959A KR 20070080959 A KR20070080959 A KR 20070080959A KR 1020060012539 A KR1020060012539 A KR 1020060012539A KR 20060012539 A KR20060012539 A KR 20060012539A KR 20070080959 A KR20070080959 A KR 20070080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plant
information
monitoring server
wea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6124B1 (ko
Inventor
차인수
윤정필
Original Assignee
차인수
윤정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인수, 윤정필 filed Critical 차인수
Priority to KR1020060012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124B1/ko
Publication of KR20070080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8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in which the pencils or leads are sharpened mainly by rotational movement against cutting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0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cils

Landscapes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격지에 위치된 태양광에너지, 수소 에너지, 파력 에너지, 풍력 에너지, 바이오 매스 에너지, 조류 에너지의 발전장치에 풍력, 조도, 습도, 온도, 조류량, 조속을 감지하는 기상센서를 부가하고, 발전량을 감지하는 전력계를 부가하며,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원격의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고, 자동으로 과거의 기상정보와 발전량 정보를 체크하며, 이상 발생시 경보를 구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원격지에 각각 설치된 발전장치를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 발전체계에 따라 대체 에너지 발전을 행하는 태양광 발전소(1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20), 파력발전소(30), 풍력발전소(40), 바이오매스 발전소(50), 조류발전소(6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태양광 발전소(1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20), 파력발전소(30), 풍력발전소(40), 바이오매스 발전소(50), 조류발전소(60)로부터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 발전소 고유코드값을 제공받는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와;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 (120)로부터 각 발전소별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 발전소 고유코드값을 수집하여 통합데이터를 일정 시간주기로 전송받아 기저장된 기상정보별 발전량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발전소의 고장유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원격지인 외지에 각각 떨어진 다수의 발전소를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별도의 관리자가 각 발전소별로 상주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하며, 과거의 기상과 발전량을 전송받은 실시간 데이터와 비교하여 자동으로 발전기의 이상유무를 체크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므로 다수의 발전기를 동시에 모니터링 하면서 관리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REMOTE WATCHING SYSTEM FOR A MULTI-POWER PLANT AND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 다수 발전소에 대한 데이터 통합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에 적용된 발전소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에 적용된 통합 모니터링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태양광발전소, 20:수소연료전지 발전소,
30:파력발전소, 40:풍력발전소,
50:바이오매스 발전소, 60:조류발전소,
200:통합모니터링 서버.
본 발명은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원격지에 위치된 태양광에너지, 수소 에너지, 파력 에너지, 풍력 에너지, 바이오 매스 에너지, 조류 에너지의 발전장치에 풍력, 조도, 습도, 온도, 조류량, 조속을 감지하는 기상센서를 부가하고, 발전량을 감지하는 전력계를 부가하며,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원격의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고, 자동으로 과거의 기상정보와 발전량 정보를 체크하며, 이상 발생시 경보를 구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원격지에 각각 설치된 발전장치를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이상의 호스트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메모리 확장기술 등 주변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기술 및 압축기술이 개발중이며, 이를 통한 각종 콘텐츠 및 그 솔루션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유가 급등에 의한 화력발전의 원가 상승으로 비 산유국들의 발전 원가가 상승함에 따라 다양한 대체 에너지의 개발에 국가의 사활을 걸고 주력하고 있는 바, 일반적인 대체 에너지는 태양광에너지, 수소 에너지, 파력 에너지, 풍력 에너지, 바이오 매스 에너지, 조류 에너지 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장치가 개발되어 그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 주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대체 에너지 발전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하면, 먼저 태양광 발전은 반도체 접합으로 구성된 태양전지에 태양광이 조사되면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며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축전지에 축전 또는 필요한 부하에 따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 하는 것을 일컫는다.
기본 원리는 반도체 접합으로 구성된 태양 전지(solar cell)에 태양광이 조사되면 광에너지에 의한 전자-양공 쌍이 여기되고, 전子와 양공이 이동하여 n층과 p층을 가로질러 전류가 흐르게 되는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여 외부에 접속된 부하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태양 전지는 필요한 단위 용량으로 직로상으로 연결하여 내후성과 신뢰성을 가진 재료와 구조의 용기내에 봉입된 태양전지 모듈(solar cell module)로 상품화된다.
그러나, 태양전지는 비, 눈 또는 구름에 의해 햇빛이 비치지 않는 날과 밤에는 전기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사량의 강도에 따라 불균일한 직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수요자에게 항상 필요한 전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모듈을 직렬로 연결한 태양전지 어레이(array)와 전력 저장용 축전지(storage battery), 전력 조정기(power controller) 및 직로상 변환 장치 (inverter)등의 주변장치로 구성되며, 기상에 따라 매우 민감한 발전량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수소 연료전지에 대해 기술하면, 수소(H)는 우주에 존재하는 가장 단순한 원소의 하나로 양성자 하나와 전자로 이루어져 있다. 우주는 90% 이상이 수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가 사는 지구에는 탄소(C), 질소(N) 다음의 3번째로 풍부한 원소로 대부분이 물(H2O)에서 발견된다. 수소는 연소할 때 미량의 질소 산화물만이 발생하는 깨끗한 에너지원이므로 최근 온실가스(CO2)나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공해문제가 대두되면서 미래의 에너지원으로서 연구개발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를 이용해 전기를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면 수소를 얻을 수 있는데, 고압용기에 기체 혹은 액체상태(동일 무게 기체 부피의 1/700)로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가스 연소기, 수소자동차나 연료전지를 가동하여 열, 힘이나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이용하면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경제성이 확보되고 인프라가 구축된다면 거의 공해가 없는 청정 대체에너지 공급쪽 이용체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파력 발전이란 바닷가에 가면 파도가 쉴사이 없이 육지쪽으로 밀려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파도 때문에 수면은 주기적으로 상하 운동을 하며, 물입자는 전후로 움직인다. 이 운동을 에너지 변환장치를 통하여 기계적인 회전운동 또는 축방향 운동으로 변환시킨 후,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것을 파력발전이라 한다.
파력발전의 방식은 파랑의 운동에너지를 1차 변환하는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나, 중요한 것으로는 수면에 떠있는 부체가 파랑의 운동에 의하여 상하 또는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여 발전기를 회전시키는 가동물체형 방식과, 파랑의 작용에 의하여 공기실 내의 수위가 변동함에 따라 공기실 내의 공기가 압축, 팽창될 때 노즐을 통하여 발생하는 공기흐름으로 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진동수주방식이 있다. 이러한 파력발전 역시도 파랑으로 인한 수면 높낮이 등의 기상 조건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상기 풍력발전은 공기의 유동이 가진 운동 에너지의 공기력학적(aerodynamic) 특성을 이용하여 회전자(rotor)를 회전시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 기계적 에너지로 전기를 얻는 기술이다. 풍력 발전기는 지면에 대한 회전축의 방향에 따라 수평형 및 수직형으로 분류되고, 주요 구성 요소로는 날개(blade)와 허브(hub)로 구성된 회전자와 회전을 증속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증속 장치(gear box), 발전기 및 각종 안전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유압 브레이크 장치와 전력 제어 장치 및 철탑 등으로 구성된다.
풍력발전은 어느 곳에나 산재되어 있는 무공해, 무한정의 바람을 이용하므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고,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대규모 발전 단지의 경우에는 발전 단가도 기존의 발전 방식과 경쟁 가능한 수준의 신 에너지 발전 기술이다. 또한 풍력 발전 단지의 면적 중에서 실제로 이용되는 면적은 풍력 발전기의 기초부, 도로, 계측 및 중앙 제어실 등으로 전체 단지 면적의 1%에 불과하며, 나머지 99%의 면적은 목축, 농업 등의 다른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일반 적으로 발전 방식에 따른 소요 면적은 풍력 1,335 m2/GWh, 석탄 3,642 m2/GWh, 태양열 3,561 m2/GWh 그리고 태양광 발전 3,237 m2/GWh로서 풍력 발전이 가장 작은 면적을 필요로 한다.
풍력 발전은 공해 물질 저감 효과도 매우 커서 200 kW급 풍력 발전기 1대가 1년간 운전하여 400,000 kWh의 전력을 생산한다면 약 120-200 톤의 석탄을 대체하게 되며, 줄어드는 공해 물질의 배출량은 연간 SO2는 2-3.2 톤, NOx는 1.2-2.4 톤, CO2는 300-500 톤, 슬래그(slag)와 분진(ash)은 16-28 톤에 달하며, 부유 물질은 연간 약 160 - 280 kg 정도 배출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풍력발전은 마땅히 블래이드(Blade)에 가해지는 풍량과 풍속 등의 기상여건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한편, 상기 바이오 매스 발전은 식물이나 미생물 등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생물체이다. 바이오매스에 들어 있는 석유 성분을 추출하거나, 사람이나 동물의 배설물을 메탄 발효시키거나, 특수한 해조나 폐기물 바이오매스를 메탄발효 또는 알코올발효 등에 의하여 연료로 만드는 것 등이 바이오매스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전세계에 서식하는 식물을 조사한 바에 의하면 육상에서 새롭게 성장하는 식물의 양은 매년 시들어 죽는 양인 1.5x1011톤과 같다고 한다. 이 모든 것을 연소하거나 바이오매스에너지원과 같은 용도로 사용한다면, 매년 세계 에너지 사용량의 9배에 가까운 에너지가 생산될 것이다.
또한, 상기 조류 발전이란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조류(潮流)발전이 본격 추진된다. 조류발전은 유속이 빠른 곳에 수차발전기(터빈)를 설치해 전기 를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자연적인 조류 흐름을 그대로 이용한다는 점에서, 댐에 바닷물을 가뒀다가 흘려보내면서 낙차를 이용해 터빈을 돌려 전기를 만드는 조력발전과 구분된다.
조류발전은 저수지(조지)를 확보하기 위해 댐을 막을 필요가 없고, 선박 다니기가 자유로우며 어류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주변 생태계에 영향을 주지 않는 환경친화적 대체에너지 시스템이다. 이러한 조류발전 시스템도 마땅히 밀물과 썰물의 흐름 등 기상조건에 그 발전량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태양광에너지, 수소 에너지, 파력 에너지, 풍력 에너지, 바이오 매스 에너지, 조류 에너지 등을 이용한 소규모 발전소는 에너지의 특성상 바닷가 근처나, 인구 밀집 지역이 아닌 외진 곳에 위치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소규모 발전을 행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아무리 소규모 발전시스템이라 할지라도 이러한 발전소를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한 관리직원이 최소한 1명 이상 필요하고 외진 곳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관리직원은 해당 발전소에 상주하여야만 정상적인 발전 시스템의 콘트롤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관리 시스템하에서는 그 발전 용량을 고려할 때 경제적으로 매우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단지 경제성만을 고려하게 되면 대체 에너지 개발에 적극적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원격지에 위치된 태양광에너지, 수소 에너지, 파력 에너지, 풍력 에너지, 바이오 매스 에너지, 조류 에너지의 발전장치에 풍력, 조도, 습도, 온도, 조류량, 조속을 감지하는 기상센서를 부가하고, 발전량을 감지하는 전력계를 부가하며,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원격의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고, 자동으로 과거의 기상정보와 발전량 정보를 체크하며, 이상 발생시 경보를 구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원격지에 각각 설치된 발전장치를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발전체계에 따라 대체 에너지 발전을 행하는 태양광 발전소(1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20), 파력발전소(30), 풍력발전소(40), 바이오매스 발전소(50), 조류발전소(6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태양광 발전소(1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20), 파력발전소(30), 풍력발전소(40), 바이오매스 발전소(50), 조류발전소(60)로부터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 발전소 고유코드값을 제공받는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와;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각 발전소별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 발전소 고유코드값을 수집하여 통합데이터를 일정 시간주기로 전송받아 기저장된 기상정보별 발전량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발전소의 고장유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태양광 발전소(1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20), 파력발전소(30), 풍력발전소(40), 바이오매스 발전소(50), 조류발전소(60)는 그 내부에 내부에 각 태양광 및 수소연료전지, 파력, 풍력, 바이오 매스, 조류로부터 인가된 에너지를 터빈을 매개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공지의 발전기(11)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발전기(11)에 +, -단자가 결합된 변압기(12)가 부가되어져 있으며, 그 변압기(12)를 통해 강하된 전력을 통해 전력량을 검침하기 위한 전력량계(P)가 변압기(12)에 접속되어져 있으며, 해당 위치의 통상 풍력, 조도, 습도, 온도, 조류량, 조속을 감지하는 기상감지센서(13)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변압기(12)와 기상감지센서(13)에 각각 접속되어 그 변압기(12)아 기상감지센서(13)로부터 전력량 데이터와, 기상 감지신호를 전송받는 데이터 수집부(14)가 구비되고, 상기 발전기(11)에는 외부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발전기(11)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발전제어부(16)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데이터 수집부(14)와, 기상감지센서(13), 발전제어부(16)와 신호 접속되어져 데이터 수집부(14)로부터 인가된 전력량 데이터와 기상감지신호를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고, 원격의 서버로부터 상기 발전기(11)와 기상감지센서(13)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각 발전기(11)와 기상감지센서(13)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송/수신부(15)가 구비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는 그 내부에 인터넷망을 매개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 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 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와 각각 접속된 상태에서, 각 서버로부터 기상정보 및 전력량 정보, 발전소 고유코드 정보를 전송받으며, 고장 체크를 위한 구동신호를 각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202)과; 각 발전소의 위치정보 및 고유코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발전소 정보관리부(204)와; 각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기상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고, 각 발전소에서의 기존 기상정보를 관리하는 발전소별 기상정보 관리부(206)와; 상기 발전소별 기상정보 관리부(206)와 연계되어 과거의 기상데이터 및 발전량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상별 발전용량 관리부(208)와; 각 발전소별 발전량에 대한 관리를 행하는 수단이고, 상기 경보 발생부(212)는 발전소별 전력량의 이상이 검출되면 경보를 발생하는 발전데이터 관리부(210)와; 각 발전소의 위치정보 및 고유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발전소 정보 DB(214a)와; 각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기상정보를 등록하며, 각 발전소에서의 기존 기상정보를 저장하는 발전소별 기상정보 DB(214b)와; 과거의 기상데이터별 발전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상별 발전용량 DB(214c)와; 각 발전소별 발전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발전데이터 DB(214d)와; 발전소별 전력량의 이상이 검출되어 경보가 구동된 시간 및 발전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경보정보 DB(214e)와; 상기 통신모듈(202)을 매개하여 각 발전 모니터링 서버(70∼120)로부터 기상정보 및 전력량 정보, 발전소 고유코드 정보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기상정보별 발전량 데이터를 각 발전소별로 추출하여, 비교함으로써 발전기의 이상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이상 발생시 발전기와 센서의 전원을 재부팅시켜 고장여부를 체크하고 자동으로 경보를 발생하여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가 태양광 발전소(1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20), 파력발전소(30), 풍력발전소(40), 바이오매스 발전소(50), 조류발전소(60)의 발전소로부터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를 매개하여 기상정보 및 전력량 정보, 발전소 고유코드 정보를 전송받는 과정과;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가 전송된 데이터중 발전소의 고유코드를 분리시켜 어떤 발전소의 데이터인지를 확인하고, 전송받은 데이터를 등록시키는 과정과;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가 전송받은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미리 저장된 과거의 기상정보 데이터별 발전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받은 발전량 데이터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가 동일 기상대비 발전용량이 설정범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비교한 동일 기상대비 과거의 발전량에 비해 현재의 발전량이 설정범위 이하인 경우라면, 해당 발전소의 데이터 송수신부(15)에 발전기 전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발전기(11)를 재부팅시키도록 하여 발전기(11)의 이상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발전기(11)의 재부팅 후에는 동일하게,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5)를 매개하여 갱신된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전송받아 체크하고, 이상시 고장신호를 발생시키고, 해당 발전소의 고장정보를 등록시키는 과정과;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체크한 발전기(11)가 이상없이 동작한다면, 해당 발전소의 데이터 송수신부(15)에 센서 전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기상감지센서(13)를 재부팅시키도록 하여 기상감지센서(13)의 이상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기상감지센서의 이상시 고장신호를 발생시키고, 해당 발전소의 고장정보를 등록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상감지센서(13)도 이상무인 경우라면,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가 기타 고장으로 정보를 등록하고, 각 고장정보 등록시마다 경보를 발생시켜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각 발전소는 전력량계(P)와 기상감지센서(13)를 통해 현재 발전소가 위치된 장소의 기상상태를 감지하고, 발전기(11)를 통해 발전되는 발전량 데이터를 수집하며, 데이터 수집부(14)에서 해당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발전소별로 미리 설정된 고유코드와 함께 조합하여 데이터 송수신부(15)를 통해 각 모니터링 서버(70∼120)로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 다수 발전소에 대한 데이터 통합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은 원격지에 위치된 태양광에너지, 수소 에너지, 파력 에너지, 풍력 에너지, 바이오 매스 에너지, 조류 에너지의 발전장치에 풍력, 조도, 습도, 온도, 조류량, 조속을 감지하는 기상센서를 부가하고, 발전량을 감지하는 전력계를 부가하며,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원격의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고, 자동으로 과거의 기상정보와 발전량 정보를 체크하며, 이상 발생시 경보를 구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원격지에 각각 설치된 발전장치를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은 다수의 태양광 에너지 발전소(10: 발전장치)로부터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다수의 수소 연료 전지 발전소(20: 발전장치)로부터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다수의 파력 발전소(30: 발전장치)로부터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파력 발전 모니터링 서버(90)와; 다수의 풍력발전소(40: 발전장치)로부터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풍력 발전 모니터링 서버(100)와; 다수의 바이오 매스 발전소(50: 발전장치)로부터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바이오 매스 발전 모니터링 서버(110)와; 다수의 조류 발전소(60: 발전장치)로부터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조류 발전 모니터링 서버(120)가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에는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 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어 그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 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각 발전소별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제공받아, 과거의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발전소의 이상여부를 체크하고, 이상 여부 발생시 경보 구동을 통해 이상 여부상태를 인지하고, 발전소의 발전기 고장여부와 센서 고장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태양광 발전소(1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20), 파력발전소(30), 풍력발전소(40), 바이오 매스 발전소(50), 조류발전소(60)는 각각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 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어 각 발전소별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전송하고, 별도의 발전소 체크 신호를 전송받는다.
또한, 상기 태양광 발전소(1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20), 파력발전소(30), 풍력발전소(40), 바이오 매스 발전소(50), 조류발전소(60)에는 각각 발전소별 고유코드가 설정되어져 있으므로 데이터 송수신시 해당 고유코드를 첨부한 데이터 패킷을 원격의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 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로 전송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 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는 각 발전소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어떤 발전소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에 적용된 발전소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에 적용된 상기 태양광 발전소(1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20), 파력발전소(30), 풍력발전소(40), 바이오매스 발전소(50), 조류발전소(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발전소(10∼60)는 내부에 각 태양광 및 수소연료전지, 파력, 풍력, 바이오 매스, 조류로부터 인가된 에너지를 터빈을 매개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공지의 발전기(11)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발전기(11)에 +, -단자가 결합된 변압기(12)가 부가되어져 있으며, 그 변압기(12)를 통해 강하된 전력을 통해 전력량을 검침하기 위한 전력량계(P)가 변압기(12)에 접속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발전소(10∼60)의 내부에는 해당 위치의 기상여건을 검출하기 위한 기상감지센서(13)가 구비되는 바, 상기 기상감지센서(13)는 통상 풍력, 조도, 습도, 온도, 조류량, 조속을 감지하는 공지의 센서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변압기(12)와 기상감지센서(13)에 각각 접속되어 그 변압기(12)아 기상감지센서(13)로부터 전력량 데이터와, 기상 감지신호를 전송받는 데이터 수집 부(14)가 구비되고, 상기 발전기(11)에는 외부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발전기(11)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발전제어부(16)가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수집부(14)와, 기상감지센서(13), 발전제어부(16)와 신호 접속되어져 데이터 수집부(14)로부터 인가된 전력량 데이터와 기상감지신호를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고, 원격의 서버로부터 상기 발전기(11)와 기상감지센서(13)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각 발전기(11)와 기상감지센서(13)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송/수신부(15)가 구비되어져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에 적용된 통합 모니터링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에 적용된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는 기저장된 기상정보 및 각 발전시스템별 기상정보와 연동된 전력량 데이터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 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전송된 각 발전소(10∼60)의 기상정보 및 전력량 정보를 과거의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와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원격 고장 체크를 행하기 위한 서버이다.
원격 고장체크는 비정상적인 전력량이 감지되는 발전소(10∼60)에 대해 발전기(11)의 전원 오프/온 구동제어, 기상감지센서(13)에 대한 전원 오프/온 구동제어를 원격으로 실행하여 갱신 기상감지신호 및 전력량을 체크하여 이상여부를 확인하 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는 그 내부에 통신모듈(202)과, 발전소 정보관리부(204), 발전소별 기상정보 관리부(206), 기상별 발전용량 관리부(208), 발전데이터 관리부(210), 경보 발생부(212), 발전소 정보 DB(214a), 발전소별 기상정보 DB(214b), 기상별 발전용량 DB(214c), 발전데이터 DB(214d), 경보정보 DB(214e), 제어부(216)로 구성된다.
상기 통신모듈(202)은 인터넷망을 매개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 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와 각각 접속된 상태에서, 각 서버로부터 기상정보 및 전력량 정보, 발전소 고유코드 정보를 전송받으며, 고장 체크를 위한 구동신호를 각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이다.
또한, 상기 발전소 정보관리부(204)는 각 발전소의 위치정보 및 고유코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며, 상기 발전소별 기상정보 관리부(206)는 각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기상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고, 각 발전소에서의 기존 기상정보를 관리하는 수단이다.
상기 기상별 발전용량 관리부(208)는 상기 발전소별 기상정보 관리부(206)와 연계되어 과거의 기상데이터 및 발전량 데이터를 관리하는 수단이며, 상기 발전데이터 관리부(210)는 각 발전소별 발전량에 대한 관리를 행하는 수단이고, 상기 경보 발생부(212)는 발전소별 전력량의 이상이 검출되면 경보를 발생하는 수단이다.
상기 발전소 정보 DB(214a)는 각 발전소의 위치정보 및 고유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DB이며, 상기 발전소별 기상정보 DB(214b)는 각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기상정보를 등록하며, 각 발전소에서의 기존 기상정보를 저장하는 DB이며, 상기 기상별 발전용량 DB(214c)는 과거의 기상데이터별 발전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DB이고, 상기 발전데이터 DB(214d)는 각 발전소별 발전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DB이며, 상기 경보정보 DB(214e)는 발전소별 전력량의 이상이 검출되어 경보가 구동된 시간 및 발전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DB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216)는 상기 통신모듈(202)을 매개하여 각 발전 모니터링 서버(70∼120)로부터 기상정보 및 전력량 정보, 발전소 고유코드 정보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기상정보별 발전량 데이터를 각 발전소별로 추출하여, 비교함으로써 발전기의 이상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이상 발생시 발전기와 센서의 전원을 재부팅시켜 고장여부를 체크하고 자동으로 경보를 발생하여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수단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는 상기 태양광 발전소(1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20), 파력발전소(30), 풍력발전소(40), 바이오매스 발전소(50), 조류발전소 (60)의 발전소로부터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를 매개하여 기상정보 및 전력량 정보, 발전소 고유코드 정보를 전송받는다.
이때, 각 발전소에는 전력량계(P)와 기상감지센서(13)가 부가되어져 현재 발전소가 위치된 장소의 기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발전기(11)를 통해 발전되는 발전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데이터 수집부(14)에서 해당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발전소별로 미리 설정된 고유코드와 함께 조합하여 데이터 송수신부(15)를 통해 각 모니터링 서버(70∼120)로 전송하며, 그 모니터링 서버(70∼120)는 수집된 발전소별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 발전소별 고유코드를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는 전송된 데이터중 발전소의 고유코드를 분리시켜 어떤 발전소의 데이터인지를 확인하고, 전송받은 데이터를 등록시킨다.
또한,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는 전송받은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미리 저장된 과거의 기상정보 데이터별 발전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받은 발전량 데이터와 비교한다. 즉, 태양광 발전의 경우 20룩스(lux)의 조도에서 과거 발전량 데이터가 10000kw 였으나, 신규로 전송된 데이터가 동일 20룩스(lux)의 조도에서 발전량 데이터가 8000kw라면 발전기의 고장이거나, 조도센서의 고장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는 동일 기상대비 발전용량이 설정범 위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설정범위는 오차를 감안하여 설정한 발전용량의 허용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만약,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비교한 동일 기상대비 과거의 발전량에 비해 현재의 발전량이 설정범위 이하인 경우라면, 해당 발전소의 데이터 송수신부(15)에 발전기 전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발전기(11)를 재부팅시키도록 하여 발전기(11)의 이상여부를 체크한다.
발전기(11)의 재부팅 후에는 동일하게,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5)를 매개하여 갱신된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전송받아 체크하고, 이상시 고장신호를 발생시키고, 해당 발전소의 고장정보를 등록시킨다.
만약,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체크한 발전기(11)가 이상없이 동작한다면, 해당 발전소의 데이터 송수신부(15)에 센서 전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기상감지센서(13)를 재부팅시키도록 하여 기상감지센서(13)의 이상여부를 체크하고, 이상시 고장신호를 발생시키고, 해당 발전소의 고장정보를 등록시킨다.
한편, 상기 기상감지센서(13)도 이상무인 경우라면,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는 기타 고장으로 정보를 등록하고, 각 고장정보 등록시마다 경보를 발생시켜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은 원격지인 외지에 각각 떨어진 다수의 발전소를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별도의 관리자가 각 발전소별로 상주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하며, 기존에 수작업으로 상주 직원이 근무하는 경우라도 수작업으로 과거의 기상대비 발전량을 현재의 기상과 대비하여 발전기의 이상유무를 체크하였으므로 매우 불편하고 신속하게 발전기의 이상유무를 알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원격지인 외지에 각각 떨어진 다수의 발전소를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별도의 관리자가 각 발전소별로 상주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하며, 과거의 기상과 발전량을 전송받은 실시간 데이터와 비교하여 자동으로 발전기의 이상유무를 체크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므로 다수의 발전기를 동시에 모니터링 하면서 관리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각 발전체계에 따라 대체 에너지 발전을 행하는 태양광 발전소(1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20), 파력발전소(30), 풍력발전소(40), 바이오매스 발전소(50), 조류발전소(6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태양광 발전소(1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20), 파력발전소(30), 풍력발전소(40), 바이오매스 발전소(50), 조류발전소(60)로부터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 발전소 고유코드값을 제공받는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와;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각 발전소별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 발전소 고유코드값을 수집하여 통합데이터를 일정 시간주기로 전송받아 기저장된 기상정보별 발전량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발전소의 고장유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소(1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20), 파력발전소(30), 풍력발전소(40), 바이오매스 발전소(50), 조류발전소(60)는 그 내부에 내부에 각 태양광 및 수소연료전지, 파력, 풍력, 바이오 매스, 조류로부터 인가된 에너지를 터빈을 매개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공지의 발전기(11)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발전기(11)에 +, -단자가 결합된 변압기(12)가 부가되어져 있으며, 그 변압기(12)를 통해 강하된 전력을 통해 전력량을 검침하기 위한 전력량계(P)가 변압기(12)에 접속되어져 있으며, 해당 위치의 통상 풍력, 조도, 습도, 온도, 조류량, 조속을 감지하는 기상감지센서(13)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변압기(12)와 기상감지센서(13)에 각각 접속되어 그 변압기(12)아 기상감지센서(13)로부터 전력량 데이터와, 기상 감지신호를 전송받는 데이터 수집부(14)가 구비되고, 상기 발전기(11)에는 외부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발전기(11)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발전제어부(16)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데이터 수집부(14)와, 기상감지센서(13), 발전제어부(16)와 신호 접속되어져 데이터 수집부(14)로부터 인가된 전력량 데이터와 기상감지신호를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고, 원격의 서버로부터 상기 발전기(11)와 기상감지센서(13)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각 발전기(11)와 기상감지센서(13)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송/수신부(15)가 구비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는 그 내부에 인터넷망을 매개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 매 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와 각각 접속된 상태에서, 각 서버로부터 기상정보 및 전력량 정보, 발전소 고유코드 정보를 전송받으며, 고장 체크를 위한 구동신호를 각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202)과; 각 발전소의 위치정보 및 고유코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발전소 정보관리부(204)와; 각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기상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고, 각 발전소에서의 기존 기상정보를 관리하는 발전소별 기상정보 관리부(206)와; 상기 발전소별 기상정보 관리부(206)와 연계되어 과거의 기상데이터 및 발전량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상별 발전용량 관리부(208)와; 각 발전소별 발전량에 대한 관리를 행하는 수단이고, 상기 경보 발생부(212)는 발전소별 전력량의 이상이 검출되면 경보를 발생하는 발전데이터 관리부(210)와; 각 발전소의 위치정보 및 고유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발전소 정보 DB(214a)와; 각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기상정보를 등록하며, 각 발전소에서의 기존 기상정보를 저장하는 발전소별 기상정보 DB(214b)와; 과거의 기상데이터별 발전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상별 발전용량 DB(214c)와; 각 발전소별 발전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발전데이터 DB(214d)와; 발전소별 전력량의 이상이 검출되어 경보가 구동된 시간 및 발전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경보정보 DB(214e)와; 상기 통신모듈(202)을 매개하여 각 발전 모니터링 서버(70∼120)로부터 기상정보 및 전력량 정보, 발전소 고유코드 정보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기상정보별 발전량 데이터를 각 발전소별로 추출하여, 비교함으로써 발전기의 이상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이상 발생시 발전기와 센서의 전원을 재부팅시켜 고장여부를 체크하고 자동으로 경보를 발생하여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4.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가 태양광 발전소(1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20), 파력발전소(30), 풍력발전소(40), 바이오매스 발전소(50), 조류발전소(60)의 발전소로부터 상기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서버(70)와, 수소 연료전지 발전 모니터링 서버(80)와, 파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풍력발전 모니터링 서버(100), 바이오매스 모니터링 서버(110), 조류발전 모니터링 서버(120)를 매개하여 기상정보 및 전력량 정보, 발전소 고유코드 정보를 전송받는 과정과;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가 전송된 데이터중 발전소의 고유코드를 분리시켜 어떤 발전소의 데이터인지를 확인하고, 전송받은 데이터를 등록시키는 과정과;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가 전송받은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미리 저장된 과거의 기상정보 데이터별 발전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받은 발전량 데이터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가 동일 기상대비 발전용량이 설정범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비교한 동일 기상대비 과거의 발전량에 비해 현재의 발전량이 설정범위 이하인 경우라면, 해당 발전소의 데이터 송수신부(15)에 발전기 전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발전기(11)를 재부팅시키도록 하여 발전기(11)의 이상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발전기(11)의 재부팅 후에는 동일하게,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5)를 매개하여 갱신된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전송받아 체크하고, 이상시 고장신호를 발생시키고, 해당 발전소의 고장정보를 등록시키는 과정과;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에서 체크한 발전기(11)가 이상없이 동작한다면, 해당 발전소의 데이터 송수신부(15)에 센서 전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기상감지센서(13)를 재부팅시키도록 하여 기상감지센서(13)의 이상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기상감지센서의 이상시 고장신호를 발생시키고, 해당 발전소의 고장정보를 등록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상감지센서(13)도 이상무인 경우라면,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200)가 기타 고장으로 정보를 등록하고, 각 고장정보 등록시마다 경보를 발생시켜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각 발전소는 전력량계(P)와 기상감지센서(13)를 통해 현재 발전소가 위치된 장소의 기상상태를 감지하고, 발전기(11)를 통해 발전되는 발전량 데이터를 수집하며, 데이터 수집부(14)에서 해당 기상정보 및 발전량 정보를 발전소별로 미리 설정된 고유코드와 함께 조합하여 데이터 송수신부(15)를 통해 각 모니터링 서버(70∼120)로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방법.
KR1020060012539A 2006-02-09 2006-02-09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6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539A KR100786124B1 (ko) 2006-02-09 2006-02-09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539A KR100786124B1 (ko) 2006-02-09 2006-02-09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959A true KR20070080959A (ko) 2007-08-14
KR100786124B1 KR100786124B1 (ko) 2007-12-18

Family

ID=3860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539A KR100786124B1 (ko) 2006-02-09 2006-02-09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124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892B1 (ko) * 2008-04-21 2009-08-20 서울마린 (주) 태양광 발전장치 원격 자가진단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시스템
KR101048413B1 (ko) * 2010-12-30 2011-07-11 재단법인 광양만권 유아이티연구소 통합 에너지 관리 클라이언트용 엠씨유
WO2012070754A1 (ko) * 2010-11-22 2012-05-31 (주)대은 태양광 모듈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WO2012099348A1 (en) * 2011-01-20 2012-07-26 Samchully Co., Ltd. System for processing and utilizing power generated by fuel cell power generation
KR101222084B1 (ko) * 2010-12-29 2013-01-16 주식회사 케이티이엔지 신재생에너지 모니터링 실습 시스템
KR101516603B1 (ko) * 2013-11-11 2015-05-04 (주) 파이시스네트웍스 저전력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플러그-인 타입의 상황인지 기반 태양광 설비 통합 감시 시스템
CN107885156A (zh) * 2017-12-01 2018-04-06 上海发电设备成套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用于精益监测电站设备的智能前端多媒体信息采集系统
KR20200018873A (ko) * 2018-08-13 2020-02-21 (주)위 에너지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
KR20200021496A (ko) * 2020-02-20 2020-0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CN111882173A (zh) * 2020-07-07 2020-11-03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杭州供电公司 基于气象信息的电网静态安全风险评估系统及评估方法
KR102239721B1 (ko) * 2019-10-28 2021-04-14 주식회사 하나티이씨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발전소의 최적 제어 시스템
US20210333770A1 (en) * 2019-10-07 2021-10-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site building managemen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423B1 (ko) * 2010-12-21 2016-09-12 주식회사 케이티 증강현실 기반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3576628A (zh) * 2012-08-03 2014-02-12 杭州华创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热水系统远程监测平台
KR101994353B1 (ko) * 2017-03-23 2019-06-28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신재생 에너지 생산 장치에 대한 메타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03889B1 (ko) * 2017-11-03 2020-05-29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신재생 에너지 모니터링을 위한 메타 모델 기반 데이터 자동 생성 방법
KR102077646B1 (ko) * 2018-07-02 2020-02-14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신재생 발전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864A (ko) * 1998-06-24 2000-01-15 최수현 다중 태양광발전 시스템 원격 감시 및 제어체제 방법
KR100584903B1 (ko) * 2004-07-27 2006-05-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발전소 운전정보 실시간 관리 시스템
KR100697338B1 (ko) * 2004-07-29 2007-03-20 주식회사 에스에너지 인터넷을 활용한 태양광발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892B1 (ko) * 2008-04-21 2009-08-20 서울마린 (주) 태양광 발전장치 원격 자가진단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시스템
WO2012070754A1 (ko) * 2010-11-22 2012-05-31 (주)대은 태양광 모듈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222084B1 (ko) * 2010-12-29 2013-01-16 주식회사 케이티이엔지 신재생에너지 모니터링 실습 시스템
KR101048413B1 (ko) * 2010-12-30 2011-07-11 재단법인 광양만권 유아이티연구소 통합 에너지 관리 클라이언트용 엠씨유
WO2012099348A1 (en) * 2011-01-20 2012-07-26 Samchully Co., Ltd. System for processing and utilizing power generated by fuel cell power generation
KR101516603B1 (ko) * 2013-11-11 2015-05-04 (주) 파이시스네트웍스 저전력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플러그-인 타입의 상황인지 기반 태양광 설비 통합 감시 시스템
CN107885156A (zh) * 2017-12-01 2018-04-06 上海发电设备成套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用于精益监测电站设备的智能前端多媒体信息采集系统
KR20200018873A (ko) * 2018-08-13 2020-02-21 (주)위 에너지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
US20210333770A1 (en) * 2019-10-07 2021-10-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site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11714392B2 (en) * 2019-10-07 2023-08-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site building management system
KR102239721B1 (ko) * 2019-10-28 2021-04-14 주식회사 하나티이씨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발전소의 최적 제어 시스템
KR20200021496A (ko) * 2020-02-20 2020-0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CN111882173A (zh) * 2020-07-07 2020-11-03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杭州供电公司 基于气象信息的电网静态安全风险评估系统及评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124B1 (ko) 200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124B1 (ko)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acobson Review of solutions to global warming, air pollution, and energy security
Al Zohbi et al. Wind characteristics and wind energy potential analysis in five sites in Lebanon
WO2013000474A2 (en) Energy arbitage using energy price forecast and wind power forecast
CN103590975A (zh) 一种环境友好型的风电机组控制系统及方法
KR101665872B1 (ko)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US200802239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wind generated electricity
US8820074B2 (en) System and method to generate environment-friendly power by tapping solar energy
US20150300196A1 (en) Solar Panel Based Electrical Power Generating System Utilizing Man-Made Wind from High Performance Compressor Fans to Compress Air within a Nacelle that Spins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Wind Turbine Connected to a Gearing System to Rotate an Electrical Generator for Grid Scale Applications with a Self-Sustaining Capability
Wang et al. A wind-solar energy harvester based on airflow enhancement mechanism for rail-side devices
CN104113271A (zh) 风光互补发电装置及控制方法
CN208431097U (zh) 一种风力发电液压传动储能装置
Kao et al. Renewable and clean energy for data centers
Mohammed Renewable Energy: Sources, Integration and Application
Mazumder et al. Prospects of wind energy in Chittagong
Ochieng et al. Augmenting climate-resilient energy infrastructure through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ndards for Renewables
Roby A supplementary dictionary of renewable energy and sustainability
Genish et al. Biomass Renewable Energy: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AI and IoT
CN201582060U (zh) 双头风力发电机
Goffman Capturing the Wind: Power for the 21 st Century
Schock ENERGY TECHNOLOGIES FOR THE 21ST CENTURY: THE ROLES OF RENEWABLE ENERGY
Parvez et al. Role of Renewable Energy Resources in Meeting Global Energy Demand
Ajewole et al. Conceptual perspective of renewable energy resources
Chernykh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in Europe
Tietjen Electric Supply System: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