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872B1 -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872B1
KR101665872B1 KR1020150068646A KR20150068646A KR101665872B1 KR 101665872 B1 KR101665872 B1 KR 101665872B1 KR 1020150068646 A KR1020150068646 A KR 1020150068646A KR 20150068646 A KR20150068646 A KR 20150068646A KR 101665872 B1 KR101665872 B1 KR 101665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ructural frame
power
renewable energy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희
심판식
Original Assignee
이태희
심판식
진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희, 심판식, 진현태 filed Critical 이태희
Priority to KR102015006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007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the wind motor being combined with means for converting solar radiation into useful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1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 F05B2240/213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of the Savoniu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 F05B2240/91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already existing for a prior purpose
    • F05B2240/9112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already existing for a prior purpose which is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 F05B2240/912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on a t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조용 프레임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에 설치되어 신재생에너지로부터 전력을 발생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수단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에 설치되어 빗물을 구조용 프레임의 하부로 안내하는 빗물받이와, 상기 빗물받이를 통해 안내되는 빗물이 집수되는 빗물저장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는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과 풍력 에너지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면서도 비가올때 빗물을 집수하여 저장한 후 필요한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A New Recycle Energy Generation Equipment With Rainwater Coll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태양광 및 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을 생산하면서도 빗물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빗물을 집수 및 저장하는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화석연료사용으로 인한 CO2가스가 방출되면서 환경문제가 커다란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태양광 및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아파트나 빌라 등의 집합건물이나 소형 주택의 옥상 등 비활용 공간을 이용하는 소용량의 태양에너지 발전시스템의 보급 및 설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산간 벽지나 도서지방 등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에는 풍력발전기의 설치 역시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가정내 설치가능한 태양광 발전의 일 예로 참고문헌 1(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2868호)가 제안된 바 있고, 풍력 발전의 일 예로 참고문헌 2(공개특허 제10-2011-0083788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위 참고문헌 1의 경우 태양광모듈의 각도를 조절하여 집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야간에는 집광이 불가능하고, 참고문헌 2의 경우 주야간에 언제든지 풍력 발전이 가능하지만 바람이 거의 불지 않는 도심지 내에서 효율이 낮아 산지나 바닷가 등에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장소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상의 참고문헌 1의 태양광발전과 참고문헌 2의 풍력발전을 함께 하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는 참고문헌 3(등록특허 제10-0993224호)에 그 일 예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이상의 참고문한 1 내지 3에 제안된 바와 같은 종래의 태양광 및 풍력 발전장치 또는 시스템들은 실외에 노출설치됨에 따라 빗물에 노출되더라도 빗물을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집수 구조를 전혀 채용하고 있지 않다.
특히 최근에는 지구촌의 기후 이상으로 지역에 따라 잦은 가뭄이나 홍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극심한 가뭄으로 인한 물부족으로 인해 식수난의 우려와 함께 산불 발생의 우려또한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태양광 및 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을 생산하면서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빗물을 집수 및 저장하는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산간이나 오지 등에 설치하여 생활에 필요한 전력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빗물을 집수 및 저장하여 식수 또는 소방수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조용 프레임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에 설치되어 신재생에너지로부터 전력을 발생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수단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에 설치되어 빗물을 구조용 프레임의 하부로 안내하는 빗물받이와, 상기 빗물받이를 통해 안내되는 빗물이 집수되는 빗물저장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수단은 상기 구조용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어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수단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에 설치되어 풍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출력하는 풍력 발전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조용 프레임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계단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은 수평으로 설치되되 후측부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배치되는 복수의 제1 태양광모듈과, 수직으로 설치되되 하측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배치되는 복수의 제2 태양광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구조용 프레임의 상측에는 풍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출력하는 풍력 발전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제1전력변환모듈을 통해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되어 충전모듈에 저장되고, 상기 풍력 발전수단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교류전원으로 이는 전력변환부를 통해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전력변환모듈을 통해 변환되어 충전모듈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빗물저장수단은 상기 구조용 프레임의 설치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빗물받이로 유입되는 빗물을 집수용 배관을 통해 집수되는 고정식 빗물탱크와, 상기 구조용 프레임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식 빗물탱크에 집수된 빗물을 펌프의 작동에 의해 회수하는 이동식 빗물탱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식 빗물탱크에는 집수되는 빗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상한 수위감지센서와 하한 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식 빗물탱크와 이동식 빗물탱크는 공급용 배관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용 배관에는 제어모듈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펌프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모듈은 상한 수위감지센서와 하한 수위감지센서의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공급용 배관을 통해 고정식 빗물탱크의 빗물을 이동식 빗물탱크로 이송되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어모듈은 상한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수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공급용 배관을 통해 고정식 빗물탱크의 빗물을 이동식 빗물탱크로 강제 이송하고, 상기 하한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수위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펌프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는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과 풍력 에너지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면서도 비가올때 빗물을 집수하여 저장한 후 필요한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태양광과 풍력 에너지를 전력으로 전환하여 충전할 수 있어 에너지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설치환경의 제약을 상당부분 완화하여 도심지는 물론 도사 산간 지역 등에도 폭넓게 설치 및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 구조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의 시스템 제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의 다른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는,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과 풍력 에너지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면서도 야외에 설치하여 빗물을 집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때, 태양광 발전(Solar Photovoltaic, 太陽光發電)은 발전기의 도움없이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빛을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방식으로서, 태양전지, 축전지,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된다. 즉, 빛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태양전지에 쪼여지면, 빛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 의해 태양전지에 정공(Hole)과 전자(Electron)가 발생하며, 이때 정공은 P형 반도체 쪽으로, 전자는 N형 반도체 쪽으로 모이게 되어 전위차가 발생하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태양전지(Solar Battery)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를 바꾸는 것으로, 이를 이루는 셀은 전기를 일으키는 최소 단위이며, 셀이 조립되어 전기를 출력해내는 최소 단위인 모듈이 되고, 직, 병렬로 연결된 어레이(Array) 형태의 태양광 모듈이다.
한편, 풍력 발전은 바람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꿔주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풍력 발전기의 날개를 회전시켜 이때 생긴 날개의 회전력으로 전기를 생산한다.
이와 같은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100)는 구조용 프레임(110)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에 설치되어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수단(120)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풍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출력하는 풍력 발전수단(130)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빗물을 구조용 프레임(110)의 하부로 안내하는 빗물받이(140)와, 상기 빗물받이(140)를 통해 안내되는 빗물이 집수되는 빗물저장수단(15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120)과 풍력 발전수단(130)은 태양광 및 풍력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수단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구조용 프레임(110)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계단식으로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조용 프레임(110)은 복수의 수평바(112)와 수직바(114)가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것으로, 하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수평바(112)는 전방측 수평바와 후방측 수평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바(114)는 전방측 수직바와 후방측 수직바로 이루어져, 각각의 수평바 및 수직바들을 일체로 용접하여 계단식의 구조용 프레임(110)을 제작한다.
이와 같은 구조용 프레임(110)의 전방에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수단(120)이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120)은 수평으로 설치되되 후측부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배치되는 복수의 제1 태양광모듈(122)과, 수직으로 설치되되 하측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배치되는 복수의 제2 태양광모듈(12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태양광모듈(122)과 제2 태양광모듈(124)을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서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태양광모듈(122)과 제2 태양광모듈(124)은 복수를 설치하되 쉐브론(chevron) 형상으로 설치함으로서 집광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조용 프레임(110)의 상측에는 풍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출력하는 풍력 발전수단(13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풍력 발전수단(130)은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132)와, 상기 블레이드(132)의 회전력에 의해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부(134)로 이루어진다.
통상 풍력발전기는 회전축의 방향에 따라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평축 풍력발전기와,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직축 풍력발전기로 구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풍력 발전수단(130)을 수평축 또는 수직축 풍력발전기를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들 풍력 발전수단(130)은 공지의 구성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태양광 발전수단(120)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제1전력변환모듈(125)을 통해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되어 충전모듈(160)에 저장되며, 상기 풍력 발전수단(130)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교류전원으로 이는 전력변환부를 통해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전력변환모듈(135)을 통해 변환되어 충전모듈(16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제1전력변환모듈(125)은 MPPT Boost Converter로 구성하고, 상기 제2전력변환모듈(135)은 AC/DC정류부와 MPPT Boost Converter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충전모듈(160)의 충전전원을 감시하며 상기 충전모듈(160)의 전원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70)이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구조용 프레임(110)에는 상기 제1 태양광모듈(122)과 제2 태양광모듈(124)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을 모으는 빗물받이(140)가 설치되며, 상기 구조용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상기 빗물받이(140)를 통해 안내되는 빗물이 집수되는 집수저장수단(15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빗물저장수단(150)은 상기 구조용 프레임(110)의 설치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빗물받이(140)로 유입되는 빗물을 집수용 배관(142)을 통해 집수되는 고정식 빗물탱크(152)와, 상기 구조용 프레임(11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식 빗물탱크(152)에 집수된 빗물을 펌프(153)의 작동에 의해 회수하는 이동식 빗물탱크(15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식 빗물탱크(152)는 일 예로 지하에 설치가능한 것으로, 상기 고정식 빗물탱크(152)내에는 상한 수위감지센서(180)와 하한 수위감지센서(18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한 수위감지센서(180)와 하한 수위감지센서(18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식 빗물탱크(152)와 이동식 빗물탱크(154)는 공급용 배관(158)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용 배관(158)에는 펌프(15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고정식 빗물탱크(152)에 빗물이 집수되면 상기 상한 수위감지센서(180)와 하한 수위감지센서(182)는 집수되는 빗물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며 그와 같은 수위감지신호는 제어모듈(170)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70)은 상한 수위감지센서(180)로부터 수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펌프(153)를 구동시켜 상기 공급용 배관(158)을 통해 고정식 빗물탱크(152)의 빗물을 이동식 빗물탱크(154)로 강제 이송한다. 이후 하한 수위감지센서(182)로부터 수위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펌프(153)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의 운영 예를 설명한다.
우선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100)는 집합건물의 옥상 또는 산간, 무인도 등에 설치 운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100)를 설치하면 주간에는 태양광 발전수단(120)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이 제1전력변환모듈(125)을 통해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되어 충전모듈(160)에 충전되며, 바람이 불면 풍력 발전수단(130)에서 생성되는 전력이 제2전력변환모듈(135)을 통해 변환되어 충전모듈(16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충전모듈(160)에 저장된 충전전원은 제어모듈(170)의 구동전원으로 사용함은 물론 전력 사용을 요하는 전등과 같은 각종 부하(200)의 구동을 위한 전원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산에 설치되는 경우 연기감지센서, 불꽃감지센서 등의 화재감지수단을 설치하여 화재를 감시할 수 있으며, 장거리통신모듈을 구비하여 화재발생시 원격지의 관제센터로 전송하도록 함도 바람직하다.
한편, 비가 오게 되면 빗물은 빗물받이(140)를 따라 모이게 되어 집수용 배관(158)을 통해 고정식 빗물탱크(152)로 모이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식 빗물탱크(152) 내에 집수되는 빗물의 수위는 상승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제어모듈(170)에 상한 수위감지센서(180)로부터 수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펌프(153)를 구동시켜 공급용 배관(158)을 통해 고정식 빗물탱크(152)의 빗물을 이동식 빗물탱크(154)로 강제 이송한다.
이와 같이 고정식 빗물탱크(152) 내에 집수되는 빗물의 강제 이송을 통해 고정식 빗물탱크(152) 내에 집수되는 빗물의 수위가 하강하게 되어 하한 수위감지센서(182)로부터 수위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수위가 낮아진 것으로 판단하여 펌프(153)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이동식 빗물탱크(154)에 빗물이 채워지면 필요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집합건물의 경우에는 이동식 빗물탱크(154)를 이동시켜 옥상 청소 또는 화장실 세척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동식 빗물탱크(154)의 하부에 캐스터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서 산간지역에 설치하는 경우 빗물이 채워진 이동식 빗물탱크(154)의 물을 화재진압용으로 사용하거나, 빗물을 정수필터 등을 이용해 정수한 상태로 식수로 사용함도 가능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100)를 집합건물(1)의 옥상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빗물을 고정식 빗물탱크(152) 및 이동식 빗물탱크(154)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옥상 바닥 청소용 또는 화장실 세척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100)를 산간 특히 산간에 설치되어 특고압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송전탑(2)에 일체로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빗물을 고정식 빗물탱크(152) 및 이동식 빗물탱크(154)에 저장한 후 가뭄이나 산불이 발생한 경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전탑(2)에는 하단을 따라 안내홈(22)이 형성되는 빗물안내판(20)을 더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100)의 고정식 빗물탱크(152)로의 집수효율을 높여 줄 수 있다.
아울러 송전탑(2)의 일측에는 별도의 풍력 발전수단(130')을 하나 이상 더 설치운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풍력 발전수단(130')은 전술한 풍력 발전수단(130)과 동일하게 블레이드와 발전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생산되는 전력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100)의 충전모듈에 저장하여 전력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00: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110: 구조용 프레임
120: 태양광 발전수단 130: 풍력 발전수단
140: 빗물받이 150: 빗물저장수단
152: 고정식 빗물탱크 153: 펌프
154: 이동식 빗물탱크 160: 충전모듈
170: 제어모듈 180: 상한 수위감지센서
182: 하한 수위감지센서 200: 부하

Claims (7)

  1. 구조용 프레임(110)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에 설치되어 신재생에너지로부터 전력을 발생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수단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빗물을 구조용 프레임(110)의 하부로 안내하는 빗물받이(140)와, 상기 빗물받이(140)를 통해 안내되는 빗물이 집수되는 빗물저장수단(150)으로 구성되되;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수단은 상기 구조용 프레임(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수단(120)과, 상기 구조용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풍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출력하는 풍력 발전수단(130)이고;
    상기 구조용 프레임(110)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계단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120)은 수평으로 설치되되 후측부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배치되는 복수의 제1 태양광모듈(122)과, 수직으로 설치되되 하측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배치되는 복수의 제2 태양광모듈(1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프레임(110)의 상측에는 풍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출력하는 풍력 발전수단(1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120)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제1전력변환모듈(125)을 통해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되어 충전모듈(160)에 저장되고,
    상기 풍력 발전수단(130)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교류전원으로 이는 전력변환부를 통해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전력변환모듈(135)을 통해 변환되어 충전모듈(16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장수단(150)은 상기 구조용 프레임(110)의 설치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빗물받이(140)로 유입되는 빗물을 집수용 배관(142)을 통해 집수되는 고정식 빗물탱크(152)와, 상기 구조용 프레임(11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식 빗물탱크(152)에 집수된 빗물을 펌프(153)의 작동에 의해 회수하는 이동식 빗물탱크(15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빗물탱크(152)에는 집수되는 빗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상한 수위감지센서(180)와 하한 수위감지센서(182)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식 빗물탱크(152)와 이동식 빗물탱크(154)는 공급용 배관(158)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용 배관(158)에는 제어모듈(17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펌프(153)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모듈(170)은 상한 수위감지센서(180)와 하한 수위감지센서(182)의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공급용 배관(158)을 통해 고정식 빗물탱크(152)의 빗물을 이동식 빗물탱크(154)로 이송되도록 상기 펌프(153)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170)은 상한 수위감지센서(180)로부터 수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펌프(153)를 구동시켜 상기 공급용 배관(158)을 통해 고정식 빗물탱크(152)의 빗물을 이동식 빗물탱크(154)로 강제 이송하고, 상기 하한 수위감지센서(182)로부터 수위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펌프(153)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7. 삭제
KR1020150068646A 2015-05-18 2015-05-18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KR101665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646A KR101665872B1 (ko) 2015-05-18 2015-05-18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646A KR101665872B1 (ko) 2015-05-18 2015-05-18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872B1 true KR101665872B1 (ko) 2016-10-12

Family

ID=57173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646A KR101665872B1 (ko) 2015-05-18 2015-05-18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8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6483A (zh) * 2019-03-30 2019-07-26 杨凯 风力发电机的多重变桨发电方法
KR102146373B1 (ko) * 2019-02-15 2020-08-20 주식회사 선앤윈드에너지 풍력 및 수력을 이용한 복합발전장치
KR20210122954A (ko) * 2020-04-01 2021-10-13 케이피씨이 주식회사 풍력 내저항성 지지대 기반의 도시시설용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장치
KR102671842B1 (ko) * 2022-11-30 2024-06-04 한국전력공사 송전철탑을 이용한 산불진화용 우수 저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421B1 (ko) * 2005-10-07 2006-12-08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우수의 집수시설
JP2011007165A (ja) * 2009-06-23 2011-01-13 Minoru Iwabuchi 風力発電支柱を用いた多段式太陽電池パネルの設置工法
JP2011122348A (ja) * 2009-12-10 2011-06-23 Jfe Engineering Corp 雨水集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421B1 (ko) * 2005-10-07 2006-12-08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우수의 집수시설
JP2011007165A (ja) * 2009-06-23 2011-01-13 Minoru Iwabuchi 風力発電支柱を用いた多段式太陽電池パネルの設置工法
JP2011122348A (ja) * 2009-12-10 2011-06-23 Jfe Engineering Corp 雨水集水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373B1 (ko) * 2019-02-15 2020-08-20 주식회사 선앤윈드에너지 풍력 및 수력을 이용한 복합발전장치
CN110056483A (zh) * 2019-03-30 2019-07-26 杨凯 风力发电机的多重变桨发电方法
KR20210122954A (ko) * 2020-04-01 2021-10-13 케이피씨이 주식회사 풍력 내저항성 지지대 기반의 도시시설용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장치
KR102388772B1 (ko) * 2020-04-01 2022-04-26 케이피씨이 주식회사 풍력 내저항성 지지대 기반의 도시시설용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장치
KR102671842B1 (ko) * 2022-11-30 2024-06-04 한국전력공사 송전철탑을 이용한 산불진화용 우수 저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ha Solar cell technology and applications
KR100786124B1 (ko)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095339A1 (en) Roof Based Energy Conversion System
KR101665872B1 (ko) 빗물 집수구조를 갖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
Sharma et al. Photovoltaic technology: basic concepts, sizing of a stand alone photovoltaic system for domestic applications and preliminary economic analysis
KR20180122071A (ko) 컨테이너 계통연계형 ess 태양광발전 시스템
CN105862612A (zh) 一种风光并网供交通设施及电动汽车充电的公路棚架系统
CN204886274U (zh) 一种太阳能光伏车棚智能充电站
CN108081985A (zh) 利用太阳能、风能的一体化充电桩
CN108462429B (zh) 一种离网型新能源智能供电系统
CN107905952A (zh) 一种风、光和水混合式风力机
KR101625594B1 (ko) 도로 태양광 지붕
KR102345578B1 (ko) 자가발전형 무배전 구조물
CN112054588B (zh) 一种风光互补发电系统
KR20080027092A (ko) 피라미드형 태양광발전소
KR101594001B1 (ko) 발코니 난간에 설치된 태양열집열장치
KR101586783B1 (ko) 태양광 발전식 조립형 한식 담장
KR101010452B1 (ko) 태양 광 발전 탑
CN107947687B (zh) 一种基于风光互补系统的太阳能光伏发电装置及其光伏板调节方法
KR101200844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우수집수시스템이 구축된 디자인 공동건물 구조.
KR200357241Y1 (ko) 이동식 태양광 발전설비
Khalvati et al. Estimating potential solar energy with three different architecture designs using crystalline silicon modules
KR101133774B1 (ko) 자가발전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ratheesh et al. Intermittent renewable energy sources for green and sustainable environment–a study
CN215411693U (zh) 一种基于多种能源发电的路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