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496A -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496A
KR20200021496A KR1020200021217A KR20200021217A KR20200021496A KR 20200021496 A KR20200021496 A KR 20200021496A KR 1020200021217 A KR1020200021217 A KR 1020200021217A KR 20200021217 A KR20200021217 A KR 20200021217A KR 20200021496 A KR20200021496 A KR 20200021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generating device
output
energy genera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4012B1 (ko
Inventor
손상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1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01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2Energy audits or management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ind Motor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재생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장치,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로부터 출력량 정보를 전송받는 수신부,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와 동일한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에너지를 발생시킨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전력량 정보와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의 예상수명, 고장 또는 수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감시서버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감시 서버로부터 판단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는,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사용기간에 따른 출력량의 변화, 사용조건에 따른 출력량의 변화 및 사용시간에 따른 출력량의 변화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력량 정보에서 시간에 따른 출력량 변화 추이와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에서 시간에 따른 출력량 변화 추이를 비교하여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의 예상 수명을 판단하는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REMOTE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RENEWABLE ENERGY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 사용된 유사한 종류나 유사한 환경의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중인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의 상태 등을 원격에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재생 에너지는 사전적 의미로는 태양열, 태양광, 풍력, 조력, 지열과 같이 자연 상태에서 만들어진 에너지를 일컫는 것으로, 신재생 에너지의 기술적 범위는 태양 에너지, 풍력, 수력 발전, 바이오 연료로 매우 범위가 넓으며, 기후변화 문제의 심화와 화석연료의 고갈 등으로 신재생 에너지의 중요성과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은, 예를 들면 일정 두께의 판넬상에 여러개의 솔라셀(Solar-cell)이 형성된 집광판을 통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발생장치, 오목한 반사판의 중앙에 집열구를 형성하여 태양광에 의한 열을 집열시키는 태양열 활용장치, 낙하되는 물에 의해 터빈이 회전되고 터빈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수력 발생장치, 바람에 의해 터빈이 회전되고 터빈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풍력 발생장치, 발산되는 증기에 의해 터빈이 회전되고 터빈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지열 발생장치, 수소와 산소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를 활용하는 수소 발생장치 등이 제안되었다.
한편, 도 1에는 종래의 신재생 에너지로 사용되는 태양광과 풍속 등에 대한 기상 관측기의 전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상 관측기에는 태양광셀(10), 배터리(20), 풍속계(30), 온도계(40) 등이 구비된다.
하지만 종래의 기상 관측기 등 풍속 등을 사용하는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의 경우 각종 센서를 설치하고, 센서를 통해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의 수명이나 고장 유무 등을 판단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다수개의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개의 센서를 설치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구성시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 사용된 유사한 종류나 유사한 환경의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중인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의 상태 등을 원격에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은, 신재생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장치,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로부터 출력량 정보를 전송받는 수신부,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와 동일한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에너지를 발생시킨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전력량 정보와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의 예상수명, 고장 또는 수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감시서버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감시 서버로부터 판단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는,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사용기간에 따른 출력량의 변화, 사용조건에 따른 출력량의 변화 및 사용시간에 따른 출력량의 변화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력량 정보에서 시간에 따른 출력량 변화 추이와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에서 시간에 따른 출력량 변화 추이를 비교하여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의 예상 수명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이 동일조건하에서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대비 절반 미만이면 고장으로 판단하고, 절반 이상 2/3 미만이면 수리로 판단하며, 2/3 이상 출력량 미만이면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가 이상, 고장 또는 수리로 판단하면, 판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력량 정보에서 시간에 따른 출력량 변화 추이와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에서 시간에 따른 출력량 변화 추이를 비교하고, 출력량 변화 추이의 차이값을 기반으로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의 예상 수명을 예측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가 이상, 고장 또는 수리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고장판단항목,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의 형상을 나타내는 에너지 발생장치 표시항목 및 시간에 따른 출력량 변화, 출력량 변화에 따른 출력량 곡선 및 예상 수명으로 구성된 예상수명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 및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는, 제품 정보 또는 환경 정보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품 정보는, 제조년원일 및 설치일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일사량, 강우량, 풍량 및 풍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은, 신재생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에너지 발생장치 및 상기 각 에너지 발생장치로부터 출력량 정보를 전송받는 수신부와, 상기 각 에너지 발생장치와 기 사용된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전송받은 출력량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출력량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각 에너지 발생장치의 예상수명, 고장 또는 수리여부 등을 판단하는 판단부로 구성된 감시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은, 태앙광이나 풍력 또는 수력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로부터 출력량 정보를 전송받고, 출력량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중인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의 상태를 판단하기 때문에 별도의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에너지 발생장치의 전체구조가 단순해지고, 설치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은, 사용중인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를 전송받아 유사한 종류 또는 유사한 환경에서 사용된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의 상태를 별도로 조사할 필요없이 그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중인 에너지 발생장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량 곡선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받게 함으로써 감시중인 에너지 발생장치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신재생 에너지로 사용되는 태양광과 풍속 등을 이용한 기상 관측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감시 시스템의 감시서버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터페이스의 화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감시 시스템의 감시서버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터페이스의 화면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은 에너지 발생장치(100), 감시서버(200), 인터페이스(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100)와 상기 감시서버(200) 및 상기 인터페이스(300)는 인터넷 망(400)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데,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된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란 개인용 컴퓨터나 기업의 서버에 개별적으로 저장해 두었던 프로그램이나 문서에 대한 정보 등을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대형 컴퓨터에 저장하고, 개인 컴퓨터는 물론이고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단말기로 웹 브라우저 등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용자 중심의 컴퓨터 환경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감시서버(200)에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 망(400)을 통해 상기 감시서버(200)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통해 연결된 상기 각 구성요소 중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100)는 태양광이나 풍력 또는 수력 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생장치이며, 태양광셀이나 풍차 또는 수력 발전기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한다.
상기 감시서버(200)는 상기 각 에너지 발생장치(100)로부터 발생된 출력량 정보를 전송받아 기 저장된 상기 각 에너지 발생장치(미도시)와 동일한 종류 또는 동일한 환경에서 사용된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출력량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각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진단한다.
이때 동일한 종류로는 태양광 에너지, 수력 에너지, 풍력 에너지 등이 있다.
또한 동일한 환경은 각 에너지 발생장치(100)와 동일한 생산지역, 단지 등이 해당될 수 있고, 각 에너지 발생장치(100)와 기 저장된 에너지 발생장치의 제품정보와 환경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해당 될 수 있다.
이때 제품정보는 제조년월일, 설치일시 등이 해당되며, 환경정보는 일사량, 강우량, 풍량, 풍속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감시서버(200)는 기 저장된 에너지 발생장치 중 각 에너지 발생장치(100)와 제품정보 또는 환경정보가 동일한 에너지 발생장치와 출력량을 비교하여 각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게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300)는 개인용 컴퓨터(Personl computer)나 스마트 폰 단말기(Smart phone terminal)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화면상에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시서버(200)는 수신부(210), 저장부(220), 판단부(230), 송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신부(210)는 상기 각 에너지 발생장치(100)로부터 발생된 출력량 정보를 전송받는다.
상기 저장부(220)는 상기 각 에너지 발생장치(100)와 유사한 종류 또는 유사한 환경(유사한 지역, 유사한 단지)에서 기 사용된 에너지 발생장치에 대한 출력량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판단부(230)는 상기 수신부(210)를 통해 전송받은 출력량 정보와 상기 저장부(220)에 기 저장된 출력량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각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예상수명, 예상 생산량, 고장 또는 수리여부 등을 판단한다.
이때 기 저장된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는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사용기간에 따른 출력량의 변화, 사용조건에 따른 출력량의 변화, 사용시간에 따른 출력량의 변화 등이다.
하지만, 상기 출력량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중인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가 기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출력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여부, 큰 출력량이 일정단위로 발생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240)는 상기 판단부(230)를 통해 판단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30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각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판단부(230)는 기 저장된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와 사용중인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출력량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중인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상태를 진단한다.
즉, 사용중인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이 동일조건 하에서 기 저장된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의 절반 미만이면 고장으로 판단하고, 절반 이상 2/3 미만이면 수리로 판단하며, 2/3 이상 출력량 미만이면 이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상태를 진단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230)는 사용중인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출력량 정보를 전송받아 시간에 따른 출력량 변화와 기 저장된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의 시간에 따른 출력량 변화를 비교하여 사용중인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예상수명을 판단한다.
즉, 기 사용된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의 변화 추이와 사용중인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출력량 변화 추이를 비교하여 사용중인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예상 수명을 판단할 수 있는데, 만일 사용중인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출력량 변화추이가 유사한 종류의 기 저장된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변화추이보다 1/2 정도 낮은 값으로 출력량 변화추이가 나타난다면 사용중인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수명은 유사한 종류의 기 저장된 에너지 발생장치의 수명의 1/2로 예측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판단부(230)는 사용중인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출력량 정보와 기 저장된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출력량 정보를 비교하여 이상, 고장 또는 수리여부를 판단하면, 판단된 정보를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나 스마트폰 단말기 또는 개인 휴대기기에 문자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30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제공된 정보를 통해 사용중인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100)에 대한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인터페이스(300)의 화면에는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형상을 나타내는 에너지 발생장치 표시항목(310), 사용중인 상기 각 에너지 발생장치(100)가 이상(321), 고장(323) 또는 수리(325)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고장판단항목(320), 시간에 따른 출력량 변화(335), 출력량 변화에 따른 출력량 곡선(333) 및 예상수명(331) 등으로 구성된 예상수명 항목(330)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고장판단항목(320) 중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고유번호를 제공하는 표시화면(340)과, 상기 출력량 곡선과 시간에 따른 출력량 변화를 나타내는 표시화면(350)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고장판단항목(320) 중 수리(325)를 선택하면 화면에 수리를 요하는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고유번호가 표시화면(340)에 제공되고, 해당장치가 없다면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출력량 곡선(333)을 선택하면 표시화면(350)에 출력량 곡선(333)을 표시하는데, 유사한 종류의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곡선(미도시)과 사용중인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출력량 곡선(333)을 모두 화면에 제공받을 수도 있으며, 출력량 곡선(333)을 통해 예상수명(331)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경우 태앙광이나 풍력 또는 수력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100)로부터 출력량 정보를 전송받고, 출력량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중인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상태를 파악하기 때문에 별도의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전체구조가 단순해지고, 설치비용이 절감되게 된다.
또한 사용중인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출력량 정보를 전송받아 유사한 종류 또는 유사한 환경에서 사용된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출력량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상태를 별도로 조사할 필요없이 그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사용중인 에너지 발생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출력량 곡선(333)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받게 함으로써 감시중인 에너지 발생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태양광셀 20: 배터리
30: 풍속계 40: 온도계
100: 에너지 발생장치 200: 감시서버
210: 수신부 220: 저장부
230: 판단부 240: 송신부
250: 제어부 300: 인터페이스
310: 에너지 발생장치 표시항목 320: 고장판단항목
321: 이상 323: 고장
325: 수리 330: 예상수명 항목
331: 예상수명 333: 출력량 곡선
335: 출력량 변화 340, 350: 표시화면
400: 인터넷 망

Claims (9)

  1. 신재생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장치;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로부터 출력량 정보를 전송받는 수신부,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와 동일한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에너지를 발생시킨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전력량 정보와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의 예상수명, 고장 또는 수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감시서버;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감시 서버로부터 판단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는,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사용기간에 따른 출력량의 변화, 사용조건에 따른 출력량의 변화 및 사용시간에 따른 출력량의 변화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력량 정보에서 시간에 따른 출력량 변화 추이와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에서 시간에 따른 출력량 변화 추이를 비교하여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의 예상 수명을 판단하는,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이 동일조건하에서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대비 절반 미만이면 고장으로 판단하고, 절반 이상 2/3 미만이면 수리로 판단하며, 2/3 이상 출력량 미만이면 이상으로 판단하는,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에너지 발생 장치가 이상, 고장 또는 수리로 판단하면, 판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는,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력량 정보에서 시간에 따른 출력량 변화 추이와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에서 시간에 따른 출력량 변화 추이를 비교하고, 출력량 변화 추이의 차이값을 기반으로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의 예상 수명을 예측 판단하는,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가 이상, 고장 또는 수리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고장판단항목,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의 형상을 나타내는 에너지 발생장치 표시항목 및 시간에 따른 출력량 변화, 출력량 변화에 따른 출력량 곡선 및 예상 수명으로 구성된 예상수명 항목을 제공하는,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장치 및 상기 다른 에너지 발생장치는,
    제품 정보 또는 환경 정보가 서로 동일한,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정보는,
    제조년원일 및 설치일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한,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일사량, 강우량, 풍량 및 풍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일한,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9. 신재생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에너지 발생장치; 및
    상기 각 에너지 발생장치로부터 출력량 정보를 전송받는 수신부와, 상기 각 에너지 발생장치와 기 사용된 에너지 발생장치의 출력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전송받은 출력량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출력량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각 에너지 발생장치의 예상수명, 고장 또는 수리여부 등을 판단하는 판단부로 구성된 감시서버를 포함하는,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KR1020200021217A 2020-02-20 2020-02-20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KR102204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17A KR102204012B1 (ko) 2020-02-20 2020-02-20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17A KR102204012B1 (ko) 2020-02-20 2020-02-20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821A Division KR20170013743A (ko) 2015-07-28 2015-07-28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496A true KR20200021496A (ko) 2020-02-28
KR102204012B1 KR102204012B1 (ko) 2021-01-18

Family

ID=6963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217A KR102204012B1 (ko) 2020-02-20 2020-02-20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0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959A (ko) * 2006-02-09 2007-08-14 차인수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67942A (ko) * 2013-12-11 2015-06-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고장 검출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959A (ko) * 2006-02-09 2007-08-14 차인수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67942A (ko) * 2013-12-11 2015-06-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고장 검출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012B1 (ko)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51851B (zh) 一种基于灰关联回归支持向量机的风电机组状态预测模型建立方法
Wagh et al. Review on wind-solar hybrid power system
KR102220331B1 (ko) 안전 진단 기능을 구비한 IoT 기반 태양광 발전 구조물 및 이의 안전 진단 방법
Ayodele et al. Wind energy resource,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 modelling and integration: a survey
Allafi et al. Low‐Cost SCADA System Using Arduino and Reliance SCADA for a Stand‐Alone Photovoltaic System
JP6307122B2 (ja) 再生可能エネルギー発生装置を監視するための遠隔監視システム
Hemmati Stochastic energy investment in off‐grid renewable energy hub for autonomous building
KR20210083985A (ko)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마을단위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Ramu et al. An IoT‐based smart monitoring scheme for solar PV applications
Shiroudi et al. Efficiency analysis of a solar photovoltaic array coupled with an electrolyser power unit: a case study
Tyagi et al. Advance monitoring of electrical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of PV system: a review
Nasserddine et al. Internet of things integration in renewable energy Systems
KR102204012B1 (ko) 신재생 에너지 발생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Igbinovia et al. The prospect of the internet of renewable energy (IoRE) in electricity networks
US8407111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rrelating information and location
Duair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oT-based SCADA for a multi microgrid system
Bahrami et al. Predictive based reliability analysis of electrical hybrid distributed generation
JP2017060375A (ja) 再生可能エネルギーによる発電電力の電力供給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Catelani et al. Reliability improvement of wind turbine control system based on standby redundancy
Saheb-Koussa et al. Prospects of Wind‐Diesel Generator‐Battery Hybrid Power System: A Feasibility Study in Algeria
Tawfiq et al. Analysis the impact of renewable energy based-wind farms installed with electrical power generation system on reliability assessment
Choi et al. Modeling of management system for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from water flow
Jemeï et al. Optimization and economic analysis of an hybrid fuel cell, photovoltaic and battery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EP42494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ilient hydrogen production
Makhsoos et al. Evaluation of High-Efficiency Hydrogen Production from Solar Energ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t the Université du Québec à Trois-Riviè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