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873A -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 - Google Patents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873A
KR20200018873A KR1020180094230A KR20180094230A KR20200018873A KR 20200018873 A KR20200018873 A KR 20200018873A KR 1020180094230 A KR1020180094230 A KR 1020180094230A KR 20180094230 A KR20180094230 A KR 20180094230A KR 20200018873 A KR20200018873 A KR 20200018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generator
power generation
iot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677B1 (ko
Inventor
한운기
Original Assignee
(주)위 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 에너지 filed Critical (주)위 에너지
Priority to KR1020180094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6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1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03B11/008Measu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03B13/083The generator rotor being mounted as turbine rotor ri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5/00Contro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식장 방출수가 유입되는 유입 밸브와 지하의 관을 따라 방출수를 방출시키는 방출 밸브를 포함하는 방출수 파이프; 상기 방출수 파이프 내부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방출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터빈; 상기 터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기 터빈의 회전력에 대응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시간대별 발전량 데이터와 방출수 데이터를 중앙관리센터로 전송하는 RF 통신 모듈; 상기 발전기에 연결되어 생성된 전력을 외부 전력 계통에 송전하는 송전 계통; 상기 방출수 파이프와 터빈과 발전기와 RF 통신 모듈에 설치되는 IoT 센서; 상기 IoT 센서의 실시간 데이터를 관리하는 실시간 계측 시스템;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통합하여 관리하고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으로부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IoT 센서들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중앙관리센터;를 포함하는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Small-scal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emission from the farm and the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식장 방출수가 유입되는 유입 밸브와 지하의 관을 따라 방출수를 방출시키는 방출 밸브를 포함하는 방출수 파이프; 상기 방출수 파이프 내부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방출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터빈; 상기 터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기 터빈의 회전력에 대응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시간대별 발전량 데이터와 방출수 데이터를 중앙관리센터로 전송하는 RF 통신 모듈; 상기 발전기에 연결되어 생성된 전력을 외부 전력 계통에 송전하는 송전 계통; 상기 방출수 파이프와 터빈과 발전기와 RF 통신 모듈에 설치되는 IoT 센서; 상기 IoT 센서의 실시간 데이터를 관리하는 실시간 계측 시스템;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통합하여 관리하고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으로부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IoT 센서들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중앙관리센터;를 포함하는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력발전은 높은 위치에 있는 하천이나 저수지의 유량(Q)을 유도하여 위치에너지인 낙차(H)를 이용, 수차에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수차와 직결되어 있는 발전기에 의해서 회전 운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방식이다. 낙차(H)는 이용 가능한 최대 수직 거리이며, 손실로 인하여 감속한 낙차를 정격낙차(Net Head)라 하고, 유량(Q)은 초당 지나가는 물의 양(㎥/sec)으로 수차를 회전시키는 물의 유량이 많고, 낙차가 클수록 발전 설비용량이 커지고 전력량도 그만큼 증가한다. 즉, 수력발전의 출력은 수력출력[kW]=9.8(중력가속도)×유량(㎥/s)×낙차(m)×수차 발전기효율(%)로 산출될 수 있다.
소수력발전은 주로 산과 계곡이 많은 지역에서 댐이나 소하천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발전방식이다. 이러한 소수력발전은 개발 주변지역의 각종 민원 제기와 강우량의 계절별 편중에 따른 가동율이 35% 정도로 경제성이 부족하여 소수력발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에 따른 지역에너지 보급사업,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로 소수력발전의 필요성이 증폭되면서 공공기관에서 민원 발생의 우려가 없는 기존 시설물인 조정지 댐이나 양수발전소의 하부댐, 농업용 저수지, 하수처리장, 수도용 관로, 하수종말처리장, 화력발전소의 냉각수 등을 이용한 소규모 소수력발전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소수력발전에 사용되는 수차는 튜브수차(Tube turbine), 횡류형 수차(Crossflow turbine), 저낙차용 수차, 카프란수차(Kaplan turbine), 입축 프로펠러수차(Vertical axis propeller turbine), 프란시스 수차(Francis turbine) 등이 있다.
튜브수차는 저낙차의 소수력발전소에 적용이 가능한 수차이며, 유량과 낙차가 일정한 소수력발전소에 효과적이고, 횡류형 수차는 저낙차 및 중낙차의 소수력발전소에 적용이 가능하며, 유량변동이 심한 소수력발전소에 효과적이고, 저낙차용 수차는 저낙차의 소수력발전소에 적용이 가능한 수차이고, 카프란수차는 저낙차의 소수력발전소에 적용이 가능한 수차이며, 특히 유량과 낙차의 변화가 심한 소수력발전소에 효과적이고, 입축프로펠러수차는 튜브수차와 같이 저낙차의 소수력발전소에 적용이 가능하고 유량과 낙차가 일정한 소수력발전소에 효과적이며, 회전축이 지면에 수직인 것이 특징이고, 프란시스 수차는 중·저낙차에 알맞는 수차로서 국내에 산재한 농업용저수지 및 대댐을 이용한 소수력발전에 적용이 가능한 수차이다.
이러한 소수력발전을 어폐류의 바다양식장 또는 육상양식장에 적용하면 어패류를 양식하고 바다로 버려지는 물을 이용하여 소수력발전이 가능한데, 양식장에서 버려지는 물을 이용하여 소수력발전용 수차 및 발전시스템(장치)을 설치하여 소수력발전효과를 기대하였으나, 기존의 유체의 유동에너지로부터 기복이 심한 부하를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회전체의 회전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제조된 소수력발전 장치를 환경이 다른 양식장의 수로에 설치하여 효과적인 소수력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864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4275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6508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343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식장 방출수를 모아 지하로 내보내는 관에 터빈을 설치하는 소수력 발전기를 실시간 계측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식 방지를 위한 터빈의 재질을 개선하고, 터빈의 수명 예측을 통한 회전체의 변경이 용이하도록, 발전량 체크에 따른 교체 시기를 진단하고,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식장 방출수가 유입되는 유입 밸브와 지하의 관을 따라 방출수를 방출시키는 방출 밸브를 포함하는 방출수 파이프; 상기 방출수 파이프 내부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방출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터빈; 상기 터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기 터빈의 회전력에 대응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시간대별 발전량 데이터와 방출수 데이터를 중앙관리센터로 전송하는 RF 통신 모듈; 상기 발전기에 연결되어 생성된 전력을 외부 전력 계통에 송전하는 송전 계통; 상기 방출수 파이프와 터빈과 발전기와 RF 통신 모듈에 설치되는 IoT 센서; 상기 IoT 센서의 실시간 데이터를 관리하는 실시간 계측 시스템;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통합하여 관리하고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으로부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IoT 센서들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중앙관리센터;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은, 시간대별로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관리하는 실시간 계측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여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관리센터가 상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발전기의 최대 발전량을 100%로 보고 현재 발전량이 90% 이상인지, 80% ~ 90% 인지, 80% 이하인지 확인하고, 이 때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가 80% ~ 90% 이면 관리자에 경고 알람을 전달하고, 발전량 데이터가 80% 이하이면 관리자에 터빈 수차의 교체 알람을 전달한다.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은, 시간대별로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관리하는 실시간 계측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기준범위 이하인지 확인하고, 미리 입력받은 패널 수명 데이터를 현재 시간으로 환산하여 패널 수명이 초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여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관리센터가 상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가 기준범위 이하이거나 패널 수명이 초과하였는지 확인하여 관리자에 교체 알람을 전송한다.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은, 시간대별로 상기 IoT 센서의 방출 수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방출수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상기 방출수량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여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관리센터가 상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달받아 방출수량 데이터가 기준범위 이상인지 확인하고, 유입 밸브의 유입량을 일정치로 조절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방출수량이 기준범위 이상이면 관리자에 해당 구역 위치 및 알람을 전송한다.
본 발명은 양식장 방출수를 모으는 유입 밸브와 지하의 관을 따라 방출수를 내보내는 방출 밸브를 포함하는 방출수파이프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방출수의 흐름에 따라 터빈이 회전하는 단계; 발전기를 통해 상기 터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터빈의 회전력에 대응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단계; RF 통신 모듈이 상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시간대별 발전량 데이터와 방출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송전 계통이 상기 발전기에 연결되어 생성된 전력을 외부 전력 계통에 송전하는 단계; 실시간 계측 시스템이 상기 방출수파이프와 터빈과 발전기와 RF 통신 모듈에 IoT 센서를 설치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단계;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상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중앙관리센터로 전송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이 시간대별로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관리하는 실시간 계측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통합하여 관리하는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관리센터가 상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발전기의 최대 발전량을 100%로 보고 현재 발전량이 90% 이상인지, 80% ~ 90% 인지, 80% 이하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센터는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가 80% ~ 90% 이면 관리자에 경고 알람을 전달하고, 발전량 데이터가 80% 이하이면 관리자에 터빈 수차의 교체 알람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이 시간대별로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관리하는 실시간 계측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상기 발전량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는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관리센터가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달받아 기준범위 이하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센터가 미리 입력받은 패널 수명 데이터를 현재 시간으로 환산하여 패널 수명이 초과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센터가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가 기준범위 이하이거나 패널 수명이 초과하였는지 확인하여 관리자에 교체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은 시간대별로 상기 IoT 센서의 방출 수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방출수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관리센터는 상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방출수량 데이터가 기준범위인지 확인하는 단계; 중앙관리센터가 상기 방출수량 데이터가 기준범위가 아닌 경우 유입 밸브의 유입량을 일정치로 조절하는 단계; 중앙관리센터가상기 유입 밸브의 유입량을 일정치로 조절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방출수량이 기준범위 이상이면 관리자에 해당 구역 위치 및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소수력 발전기를 실시간 계측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어 효율적인 발전량을 생산하는 소수력 발전 관리 및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식 방지를 위한 터빈의 재질을 개선하고, 터빈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량 체크에 따른 교체 시기를 진단하고, 터빈 수차를 적절한 시기에 교체할 수 있도록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RF 통신 모듈을 통해 방출수파이프, 터빈, 발전기, PCS, 계통 전원의 고장 상태 등을 IoT를 통한 실시간 현황 및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염분, 부식 등 안전 관리 예방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화 운전이 가능한 제어 시스템(장치 온/오프 및 상태 확인 가능)을 이용해서 관리하는 기술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관리센터가 RF 통신 모듈을 통해 시간대별 발전량 데이터와 방출수 데이터를 전송받음과 동시에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으로부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송받아 IoT 센서들의 동작 상태를 비교 모니터링할 수 있어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의 실제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소수력 발전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의 방출수에 따른 관리자 전달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방출수 파이프(10), 터빈(22), 발전기(24), RF 통신 모듈(45), 송전 계통(40), IoT 센서(11), PCS(전력변환장치; 26), 실시간 계측 시스템(35),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30), 중앙관리센터(50)로 구성된다.
방출수 파이프(10)는 양식장 방출수가 유입되는 유입 밸브와 지하의 관을 따라 방출수를 방출시키는 방출 밸브를 포함한다.
터빈(22)은 상기 방출수 파이프(10) 내부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방출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장치로서, 부식 개선을 위한 스테인레스와 카본 합금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전기(24)는 상기 터빈(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기 터빈의 회전력에 대응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RF 통신 모듈(45)은 상기 발전기(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시간대별 발전량 데이터와 방출수 데이터를 중앙관리센터(50)에 전송하는 모듈로서, 예를 들어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와 IoT 센서량 데이터와 관리자 알람 정보 등을 전송한다.
송전 계통(40)은 상기 발전기(24)에 연결되어 생성된 전력을 외부 전력 계통에 송전하는 장치이다.
IoT 센서(11)는 상기 방출수파이프(10)와 터빈과 발전기와 RF 통신 모듈(45)에 설치되는 모듈로서, IoT 센서로 관리되는 항목으로는 유량, 진동, 온도, 제어 상태 등이다.
실시간 계측 시스템(35)은 상기 IoT 센서(11)의 실시간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여 그 데이터를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30)에 전송하는 장치이다.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30)은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통합하여 관리하고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상기 중앙관리센터(50)는 상기 RF 통신 모듈(45)과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30)으로부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달받아 설정값과 비교 모니터링하여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상기 중앙관리센터(50)의 제어 방법으로는 발전기의 발전량과 IoT 센서량 데이터로 표현되는 제어 수치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관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체 상태를 파악하고 관리자 알람 전송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중앙관리센터(50)의 관리 시스템 항목으로는 터빈, 발전기, 축, 베어링 등의 진동 정보, 터빈, 발전기, 계통, 유량 등의 효율, 베어링, 축, 회전 부분의 온도 정보, 배관 밸브, 터빈, 계통분리의 제어 상태, 기계적 안전, 전기 안전 등의 관리 상태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시간대별로 상기 발전기(24)의 발전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중앙관리센터(5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발전기(24)의 발전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관리하는 실시간 계측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30)이 상기 발전기의 최대 발전량을 100%로 보고 현재 발전량이 90% 이상인지, 80% ~ 90% 인지, 80% 이하인지 확인한다.
이 때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가 80% ~ 90% 이면 관리자에 경고 알람을 전달하고, 발전량 데이터가 80% 이하이면 관리자에 터빈 수차의 교체 알람을 전달하여 적절한 교체시기를 알려줌으로써, 발전량 효율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35)은 시간대별로 상기 발전기(24)의 발전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관리하는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30)을 통하여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달받은 상기 중앙관리센터(50)는 상기 IoT 센서들의 동작 상태가 기준범위 이하인지 확인하고, 미리 입력받은 패널 수명 데이터를 현재 시간으로 환산하여 패널 수명이 초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상기 중앙관리센터(50)이 상기 발전기(24)의 발전량 데이터가 기준범위 이하이거나 패널 수명이 초과하였는지 확인하여 관리자에 교체 알람을 전송한다.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35)은 시간대별로 상기 IoT 센서(11)의 방출 수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방출수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30)이 통합하여 관리하고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중앙관리센터(50)가 상기 방출수량 데이터가 기준범위 이상인지 확인하고, 유입 밸브의 유입량을 일정치로 조절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방출수량이 기준범위 이상이면 관리자에 해당 구역 위치 및 알람을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기 중앙관리센터(50)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염분, 부식 등 안전 관리 예방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중앙관리센터(50)는 무인화 운전이 가능한 제어 시스템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30)은 무인화 운전이 가능한 제어 시스템의 온/오프 및 상태 확인이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RF 통신 모듈(45)을 통해 방출수 파이프, 터빈, 발전기, PCS, 계통 전원의 고장 상태 등을 IoT 센서(11)를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각 기기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계측 시스템(35)이 상기 방출수 파이프와 터빈과 발전기와 RF 통신 모듈(45)에 IoT 센서(11)를 설치한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의 실시간 데이터를 통합 관리한다.
상기 중앙관리센터(50)는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30)의 통합 관리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시간 영상(50-1), 데이터베이스(50-2), 서버 프로그램(50-3)를 통해 중앙 집중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양식장 방출수를 모으는 유입 밸브와 지하의 관을 따라 방출수를 내보내는 방출 밸브를 포함하는 방출수파이프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방출수파이프의 방출수 흐름에 따라 터빈이 회전한다.
계속하여 발전기를 통해 상기 터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터빈에 대응하는 전력을 생성한다.
그리고 RF 통신 모듈(45)이 상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시간대별 발전량 데이터와 방출수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통신 모듈(45)이 시간대별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 데이터를 중앙관리센터로 전송한다(S101).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 데이터가 기준 범위 이하인 경우(S102), 터빈 수차의 수명이 초과되었는지 확인한 후(S103), 발전량 데이터가 기준 범위 이하이거나 터빈 수차의 수명이 초과된 경우 관리자에 교체 알람 정보를 전송한다(S104).
이 외에도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된 전력은 외부 전력 계통(예 : 한전 전력계통)에 송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이 시간대별로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301).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관리하는 실시간 계측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관리센터는 상기 발전기의 최대 발전량을 100%로 보고 현재 발전량이 90% 이상인지, 80% ~ 90% 인지, 80% 이하인지 확인한다(S302, S303, S304).
상기 중앙관리센터는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가 80% ~ 90% 이면 관리자에 경고 알람을 전달한다. 그리고, 발전량 데이터가 80% 이하이면 관리자에 터빈 수차의 교체 알람을 전달한다(S305, S306).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먼저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이 시간대별로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관리하는 실시간 계측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기준범위 이하인지 확인한다.
미리 입력받은 패널 수명 데이터를 현재 시간으로 환산하여 태양광 패널 수명이 초과하였는지 확인한다.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가 기준범위 이하이거나 패널 수명이 초과하였는지 확인하여 관리자에 교체 알람을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이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은, 시간대별로 상기 IoT 센서의 방출 수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01).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방출수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달받아 중앙관리센터가 상기 방출수량 데이터가 기준범위 이상인지 확인한다(S202).
상기 중앙관리센터가 양식장 방출수가 유입되는 유입 밸브의 유입량을 일정치로 조절한다(S203).
왜냐하면 과도한 유입량에 따라 터빈 등의 과부하에 따른 고장을 미리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관리센터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방출수량이 기준범위 이상이면 관리자에 해당 구역 위치 및 알람을 전송한다(S204 ~ S206).
10 : 방출수 파이프
11 : IoT 센서
22 : 터빈
24 : 발전기
26 : PCS
30 :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
35 : 실시간 계측 시스템
40 : 송전 계통
45 : RF 통신 모듈
50 : 중앙관리센터

Claims (8)

  1. 양식장 방출수가 유입되는 유입 밸브와 지하의 관을 따라 방출수를 방출시키는 방출 밸브를 포함하는 방출수 파이프;
    상기 방출수 파이프 내부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방출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터빈;
    상기 터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기 터빈의 회전력에 대응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시간대별 발전량 데이터와 방출수 데이터를 중앙관리센터로 전송하는 RF 통신 모듈;
    상기 발전기에 연결되어 생성된 전력을 외부 전력 계통에 송전하는 송전 계통;
    상기 방출수 파이프와 터빈과 발전기와 RF 통신 모듈에 설치되는 IoT 센서;
    상기 IoT 센서의 실시간 데이터를 관리하는 실시간 계측 시스템;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통합하여 관리하고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으로부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IoT 센서들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중앙관리센터;를 포함하는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은,
    시간대별로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관리하는 실시간 계측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여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관리센터가 상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발전기의 최대 발전량을 100%로 보고 현재 발전량이 90% 이상인지, 80% ~ 90% 인지, 80% 이하인지 확인하고, 이 때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가 80% ~ 90% 이면 관리자에 경고 알람을 전달하고, 발전량 데이터가 80% 이하이면 관리자에 터빈 수차의 교체 알람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은,
    시간대별로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관리하는 실시간 계측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기준범위 이하인지 확인하고, 미리 입력받은 패널 수명 데이터를 현재 시간으로 환산하여 패널 수명이 초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여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관리센터가 상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가 기준범위 이하이거나 패널 수명이 초과하였는지 확인하여 관리자에 교체 알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은, 시간대별로 상기 IoT 센서의 방출 수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방출수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상기 방출수량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여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관리센터가 상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달받아 방출수량 데이터가 기준범위 이상인지 확인하고, 유입 밸브의 유입량을 일정치로 조절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방출수량이 기준범위 이상이면 관리자에 해당 구역 위치 및 알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5. 양식장 방출수를 모으는 유입 밸브와 지하의 관을 따라 방출수를 내보내는 방출 밸브를 포함하는 방출수파이프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방출수의 흐름에 따라 터빈이 회전하는 단계;
    발전기를 통해 상기 터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터빈의 회전력에 대응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단계;
    RF 통신 모듈이 상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시간대별 발전량 데이터와 방출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송전 계통이 상기 발전기에 연결되어 생성된 전력을 외부 전력 계통에 송전하는 단계;
    실시간 계측 시스템이 상기 방출수파이프와 터빈과 발전기와 RF 통신 모듈에 IoT 센서를 설치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단계;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상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중앙관리센터로 전송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이 시간대별로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관리하는 실시간 계측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통합하여 관리하는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관리센터가 상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발전기의 최대 발전량을 100%로 보고 현재 발전량이 90% 이상인지, 80% ~ 90% 인지, 80% 이하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센터는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가 80% ~ 90% 이면 관리자에 경고 알람을 전달하고, 발전량 데이터가 80% 이하이면 관리자에 터빈 수차의 교체 알람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이 시간대별로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관리하는 실시간 계측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상기 발전량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는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관리센터가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달받아 기준범위 이하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센터가 미리 입력받은 패널 수명 데이터를 현재 시간으로 환산하여 패널 수명이 초과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센터가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데이터가 기준범위 이하이거나 패널 수명이 초과하였는지 확인하여 관리자에 교체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계측 시스템은 시간대별로 상기 IoT 센서의 방출 수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방출수량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사물인터넷 통합 시스템이 통합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관리센터는 상기 통합 관리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방출수량 데이터가 기준범위인지 확인하는 단계;
    중앙관리센터가 상기 방출수량 데이터가 기준범위가 아닌 경우 유입 밸브의 유입량을 일정치로 조절하는 단계;
    중앙관리센터가상기 유입 밸브의 유입량을 일정치로 조절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방출수량이 기준범위 이상이면 관리자에 해당 구역 위치 및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방법.
KR1020180094230A 2018-08-13 2018-08-13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 KR10208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230A KR102089677B1 (ko) 2018-08-13 2018-08-13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230A KR102089677B1 (ko) 2018-08-13 2018-08-13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873A true KR20200018873A (ko) 2020-02-21
KR102089677B1 KR102089677B1 (ko) 2020-03-16

Family

ID=6967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230A KR102089677B1 (ko) 2018-08-13 2018-08-13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6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430A (ko) 2020-07-13 2022-01-2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수면 양식장용 에너지 자립형 발전 시스템
CN114704418A (zh) * 2021-12-22 2022-07-05 黄河水利水电开发集团有限公司 水轮发电机状态监测系统及其调速器协联关系优化方法
KR20230032103A (ko) * 2021-08-30 2023-03-07 주식회사 신진테크해양 수조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조 모니터링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959A (ko) * 2006-02-09 2007-08-14 차인수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39362Y1 (ko) * 2008-01-10 2008-04-08 하정수 소수력발전기가 구비된 육상 양식장
KR20120086413A (ko) 2011-01-26 2012-08-03 신영산 수압및 유량조절 소수력발전기와 제어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234325B1 (ko) 2010-12-24 2013-02-1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소수력 발전설비
KR101565082B1 (ko) 2015-01-26 2015-11-02 원광산전 주식회사 어패류 양식용 해수 공급 시스템
KR101734221B1 (ko) * 2016-07-14 2017-05-11 (주)세진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지능형 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742750B1 (ko) 2016-12-02 2017-06-09 (주)스틸포커스 소수력발전 층류 레벨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959A (ko) * 2006-02-09 2007-08-14 차인수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39362Y1 (ko) * 2008-01-10 2008-04-08 하정수 소수력발전기가 구비된 육상 양식장
KR101234325B1 (ko) 2010-12-24 2013-02-1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소수력 발전설비
KR20120086413A (ko) 2011-01-26 2012-08-03 신영산 수압및 유량조절 소수력발전기와 제어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565082B1 (ko) 2015-01-26 2015-11-02 원광산전 주식회사 어패류 양식용 해수 공급 시스템
KR101734221B1 (ko) * 2016-07-14 2017-05-11 (주)세진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지능형 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742750B1 (ko) 2016-12-02 2017-06-09 (주)스틸포커스 소수력발전 층류 레벨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430A (ko) 2020-07-13 2022-01-2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수면 양식장용 에너지 자립형 발전 시스템
KR20230032103A (ko) * 2021-08-30 2023-03-07 주식회사 신진테크해양 수조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조 모니터링 방법
CN114704418A (zh) * 2021-12-22 2022-07-05 黄河水利水电开发集团有限公司 水轮发电机状态监测系统及其调速器协联关系优化方法
CN114704418B (zh) * 2021-12-22 2024-05-10 黄河水利水电开发集团有限公司 水轮发电机状态监测系统及其调速器协联关系优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677B1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8873A (ko) 양식장 방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
Park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power curve monitoring method for wind turbines and its field tests
KR100786124B1 (ko) 멀티발전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US8121739B2 (en) Reactive power management for wind power plant internal grid
KR102127283B1 (ko) 에너지 하베스팅을 적용한 선박의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WO2013000474A2 (en) Energy arbitage using energy price forecast and wind power forecast
KR101742750B1 (ko) 소수력발전 층류 레벨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CN108374747B (zh) 一种调配新能源发电系统的抽水蓄能控制方法
CN105182880A (zh) 一种用于水利的自动化控制系统
CN105141928A (zh) 一种水利信息自动化及安全化控制系统
KR101704937B1 (ko)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한 풍력설비의 정비방법 및 정비시스템
EP2896821B1 (en) Mixed pumped-storage power plant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storing energy
CN113530769A (zh) 风力发电机组防甩冰控制方法及其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954190A (zh) 一种常规能源与新能源协调控制安全检验系统
Dickeson et al. Ramp rate control for PV plant integration: Experience from Karratha Airport’s hybrid power station
CN117474250A (zh) 一种新能源多功能集成智能应用系统
US20190181640A1 (en) Technology for the Decentralized Storage of Energy
Mbele et al. Overview of conduit hydropower in South Africa: Status and applications
Kabir et al. Wind energy and its link to sustainability in developing countries
JP2013525893A (ja) タービン用高度警報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8099373A (ja) 水力発電システム
CN108054788B (zh) 一种削峰填谷装置控制方法
CN208431097U (zh) 一种风力发电液压传动储能装置
Krishna Preventive maintenance of wind turbines using Remote Instrument Monitoring System
Gao et al. Techno-economic assessment of developing combined offshore wind and wave energy in Austral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