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900A - 티켓 발행 시스템, 기록 매체 및 전자 티켓 발행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티켓 발행 시스템, 기록 매체 및 전자 티켓 발행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9900A
KR20070079900A KR1020060097125A KR20060097125A KR20070079900A KR 20070079900 A KR20070079900 A KR 20070079900A KR 1020060097125 A KR1020060097125 A KR 1020060097125A KR 20060097125 A KR20060097125 A KR 20060097125A KR 20070079900 A KR20070079900 A KR 20070079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electronic ticket
side system
request
issu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8376B1 (ko
Inventor
다카노리 나카노와타리
미츠히사 가메이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9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chnology Law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티켓 발행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의 요구를 받은 경우, 사용자 단말(20)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을 조사하고, 그 조사 결과에 의거하여, 사용자 단말(20)에 대해서 그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의 발행을 허가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티켓 발행 서버, 발행 룰 기억부, IO 인터페이스

Description

티켓 발행 시스템, 기록 매체 및 전자 티켓 발행 관리 방법{TICKET ISSUING SYSTEM,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TICKET ISSUING AND MANAGING METHOD}
도 1은 실시예의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발행 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실시예의 시스템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는 변형예의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발행 이력 관리부가 관리하는 이력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변형예의 시스템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7은 발행 룰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발행 룰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발행 룰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발행 룰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발행 룰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발행 룰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티켓 발행 서버 12 : 티켓 발행부
14 : 조건 판정부 16 : 발행 룰 기억부
18 : 발행 이력 관리부 20 : 사용자 단말
22 : 토큰 24 : 티켓 보유부
30 : 네트워크 40 : CPU
42 : 메모리 44 : IO 인터페이스
48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의 권리 보호를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티켓의 발행 관리를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 문서 데이터, 음악 데이터, 게임 프로그램 그 밖의 프로그램 등, 각종 디지털 콘텐츠가 여러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콘텐츠의 제공시에는, 콘텐츠 제공자의 저작권 등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서, DRM(디지털 저작권 관리)의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DRM 기술의 대표적인 것에 전자 티켓을 이용한 시스템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콘텐츠는 암호화 등에 의해 이용 제한이 걸린 상태로 사용자에게 배포된다. 이러한 이용 제한은 「캡슐화」라고도 불린다. 사용자는 캡슐화된 콘텐츠(이하 간단히 캡슐이라고 함)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용 제한 해제를 위해서 필요한 키(key) 등의 정보를 포함한 전자 티켓을 별도로 입수한다. 전자 티켓은 라이센스 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전자 티켓의 발행 관리 방식의 하나로서, 액세스 컨트롤 리스트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에서는, 액세스 컨트롤 리스트에 각 사용자의 각 콘텐츠에 대한 이용 조건을 등록해 둔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의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그 사용자의 그 콘텐츠에 대한 이용 조건을 액세스 컨트롤 리스트로부터 구하여, 그 이용 조건에 합치한 전자 티켓을 발행한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2004-302931호 공보(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US 2004/0193546 A1)에는,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 요구에 대해서, 각 사용자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 것인지를 나타낸 그룹 리스트를 참조함으로써 그 요구를 행한 요구자가 속하는 그룹을 판별하여, 액세스 컨트롤 리스트에서 그 그룹에 대해서 허락 가능한 권리를 나타낸 전자 티켓을 그 사용자에 대해서 발행하는 발행 시스템이 표시된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2003-157334호 공보에는, 콘텐츠의 제공처의 단말의 능력에 따른 이용 조건을 나타내는 전자 티켓을 발행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여기서, 콘텐츠의 판매 촉진이나 고객 만족도의 향상을 고려한 경우, 과거에서의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권리를 확대하는 등, 각종 우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된다.
이러한 요망에 대해서, 액세스 컨트롤 리스트를 이용한 티켓 발행 관리는 일본국 공개특허 2004-302931호 공보(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US 2004/0193546 A1)의 방식도 포함하여, 유효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액세스 컨트롤 리스트는 어디까지나 정적인 것으로, 리스트의 관리자가 그 등록 내용을 변경하지 않는 한, 사용자나 그룹에 대해서 발행되는 전자 티켓에 표시되는 이용 조건은 변화되지 않는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2003-157334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도, 상술한 요망에 대해서 부응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전자 티켓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측 시스템에 대해서,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을 발행하는 발행측 시스템으로서, 전자 티켓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측 시스템으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의 요구를 받아들이는 수단, 상기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에 의거하여, 상기 이용측 시스템에 대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발행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발행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발행측 시스템은 상기 이용측 시스템에 대한 전자 티켓의 발행 이력을 기억하는 이력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발행 제어 수단은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을,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을 참조하여 조사한다.
다른 형태에서는, 발행측 시스템은 상기 발행 제어 수단이 이용측 시스템에 대해서 전자 티켓을 발행한 경우에, 전자 티켓의 발행 이력을 관리하는 이력 관리 장치에 대해서, 상기 이용측 시스템에 대해서 상기 전자 티켓을 발행한 취지를 등록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발행 제어 수단은 상기 이력 관리 장치에 조회를 행함으로써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을 조사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발행 제어 수단은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그 요구의 대상인 제 1 전자 티켓을 발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2 전자 티켓을 갖고 있는 경우에만, 제 1 전자 티켓을 발행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발행 제어 수단은 상기 전자 티켓의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과, 그 전자 티켓의 이용 이력에 의거하여, 요구된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발행 제어 수단은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그 요구의 대상인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의 세트 중의 소정수 이상의 전자 티켓을 갖고 있는 경우에, 요구된 전자 티켓을 발행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발행 제어 수단은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그 요구의 대상인 제 1 전자 티켓을 발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2 전자 티켓을 갖고 있고, 또한 상기 요구가 그 제 2 전자 티켓의 발행 일시로부터 소정 기간 이내에 이루어진 것인 경우에만, 그 전자 티켓을 발행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발행 제어 수단은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그 요구의 대상인 제 1 전자 티켓의 선행 발행의 조건이 되는 제 2 전자 티켓을 갖고 있는 경우에, 제 1 전자 티켓을 선행 발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전자 티켓의 발행을 위한 이하의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처리는 이용측 시스템으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의 요구를 받아들이는 스텝과, 상기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에 의거하여, 상기 이용측 시스템에 대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상기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그 요구의 대상인 제 1 전자 티켓을 발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2 전자 티켓을 갖고 있는 경우에만, 제 1 전자 티켓을 발행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전자 티켓의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과, 그 전자 티켓의 이용 이력에 의거하여, 요구된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그 요구의 대상인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의 세트 중 소정수 이상의 전자 티켓을 갖고 있는 경우에, 요구된 전자 티켓을 발행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그 요구의 대상인 제 1 전자 티켓을 발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2 전자 티켓을 갖고 있고, 또한 상기 요구가 그 제 2 전자 티켓의 발행 일시로부터 소정 기간 이내에 이루어진 것인 경우에만, 그 전자 티켓을 발행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그 요구의 대상인 제 1 전자 티켓의 선행 발행의 조건이 되는 제 2 전자 티켓을 갖고 있는 경우에, 제 1 전자 티켓을 선행 발행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나타내는 상기 처리는 이용측 시스템에 대한 전자 티켓의 발행 이력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을 조사하는 스텝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나타내는 상기 처리는 이용측 시스템에 대해서 전자 티켓을 발행한 경우에, 전자 티켓의 발행 이력을 관리하는 이력 관리 장치에 대해서, 상기 이용측 시스템에 대해서 상기 전자 티켓을 발행한 취지를 등록하는 스텝과, 상기 이력 관리 장치에 조회를 행함으로써,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을 조사하는 스텝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전자 티켓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측 시스템에 대해서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을 발행하는 발행측 시스템에서의 전자 티켓 발행 관리 방법으로서, 이용측 시스템으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의 요구를 받아들이고, 상기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에 의거하여, 상기 이용측 시스템에 대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전자 티켓 발행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티켓 발행 서버(10)와, 퍼스널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20)이 LAN(근거리 통신망)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30)에 접속되어 있다.
티켓 발행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전자 티켓을 발행한다. 전자 티켓은 네트워크(30)상에 존재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도시 생략)가 사용자 단말(20)에 대해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이용 제한을 해제하기 위한 키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로서, 라이센스 정보라고도 불린다. 콘텐츠가 암호화 등의 수법에 의해 캡슐화되어 있는 경우, 전자 티켓은 그 캡슐화된 콘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키, 또는 그 키를 생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구비한다. 또한, 전자 티켓에는, 그 콘텐츠의 이용 조건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콘텐츠의 이용 조건에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허가되는 그 콘텐츠에 대한 조작(예를 들면, 「열람만 허가」, 「열람과 기입을 허가」등), 그 전자 티켓으로 허가되는 콘텐츠의 이용 회수, 또는 그 전자 티켓의 유효 기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물론 그들 중 2이상의 조합이라도 좋다.
티켓 발행 서버(10)는 티켓 발행부(12), 조건 판정부(14) 및 발행 룰 기억부(16)를 구비한다. 티켓 발행부(12)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전자 티켓의 발행 요구를 받아들이고, 그 요구에 대해서 전자 티켓을 발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발행해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전자 티켓을 요구원(元)의 사용자 단말(20)에 발행한다. 또한, 발행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 발행할 수 없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사전에 정해진 에러 정보를 사용자 단말(20)에 돌려보낸다.
요구에 대해서 전자 티켓을 발행할지의 여부의 판정은 콘텐츠 또는 전자 티켓을 판매하는 시스템의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을 조작하는 사용자가 콘텐츠 이용을 위한 요금을 결제했는지의 여부에 의거하여 행해진다. 또한, 사내 문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와 같이, 사전에 등록된 한정된 사용자에 대해서 그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컨트롤 리스트(ACL)에 등록된 사용자의 권한의 정보에 의거하여, 요구원의 사용자에 대해서 요구 대상의 전자 티켓을 발행해도 좋은지의 여부, 또는 발행하는 전자 티켓에 표시되는 이용 조건이 판정된다. 이러한 종래로부터 있는 판정 방식 대신에, 또는 그들 종래 방식에 추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요구원의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전자 티켓의 정보를 그 판정의 기초가 되는 정보로서 이용한다. 발행 룰 기억부(16)는 1이상의 발행 룰을 기억한다. 발행 룰은 사용자가 요구한 전자 티켓의 발행 가부(可否), 또는 발행하는 전자 티켓의 이용 조건 중의 적어도 1개를 판정하기 위한 룰이다. 발행 룰은 판정을 위한 기초가 되는 정보로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전자 티켓의 정보를 이용한다. 조건 판정부(14)는 그 발행 룰에 의거하여 전자 티켓의 발행 가부 또는 이용 조건의 내용, 또는 그 양쪽을 판정한다.
하나의 예에서는, 발행 룰 기억부(16)에 기억되는 발행 룰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이다. 이 예에서는, 사용자가 이용을 요구하는 콘텐츠의 식별 정보(「콘텐츠 ID」)에 대응시켜서, 그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전자 티켓을 발행할 때에 그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어야 할 다른 전자 티켓의 식별 정보(「필요 티켓 ID」)가 등록되어 있다. 이 발행 룰은 전자 티켓의 발행 가부에 관한 룰이다. 도 2의 룰에서는, 예를 들면, 콘텐츠 ID 「C001」의 콘텐츠를 위한 전자 티켓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요구원의 사용자는 티켓 ID「T001」 또는 「T002」의 전자 티켓을 사용자 단말(20) 내에 갖고 있을 필요가 있다.
도 1의 시스템에서는, 티켓 발행부(12)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전자 티켓의 발행 요구를 받은 경우, 그 사용자 단말(20)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에 대해서 조회한다. 그리고, 그에 대한 사용자 단말(20)의 회답을 조건 판정부(14)에 넘기고, 요구된 전자 티켓이 발행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시킨다.
사용자 단말(20)은 퍼스널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의 컴퓨터로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각종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다. 인스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중에는, 콘텐츠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도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전자 티켓을 관리하기 위한 토큰(token ; 22)을 구비한다. 토큰(22)은 티켓 발행 서버(10)로부터 수취한 전자 티켓을 관리하고, 사용자로부터 콘텐츠의 이용이 지시되었을 때에, 그 이용을 승인할지의 여부(또는 어떠한 이용 조건으로 이용을 승인할 것인가)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 토큰(22)은 내(耐)탬퍼링(tampering)화되고 있어, 소프트웨어로서 실장하거나, 하드웨어로서 실장할 수도 있다. 토큰(22)은 티켓 발행 서버(10)로부터 수취한 전자 티켓을 보관하는 티켓 보유부(24)와, 티켓 발행부(12)로부터의 조회에 따라서, 티켓 보유부(24)에 보유되는 전자 티켓의 정보를 응답하는 응답 처리부(26)를 구비한다.
또한, 전자 티켓을 이용한 시스템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공개특허 평10-247905호 공보 또는 일본국 공개특허 평11-031105호 공보에 개시된 액세스 티켓 방식을 채용한 경우, 토큰(22)은 사용자 단말마다 할당된 개별 키 정보를 보유 한다. 사용자 단말(20)은 전자 티켓에 포함되는 정보와 토큰에 포함되는 개별 키 정보를 조합시킨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캡슐화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암호 키를 복호하고, 복호된 콘텐츠 암호 키를 이용하여 캡슐화 콘텐츠를 복호한다. 또한, 이 시스템의 경우, 티켓 발행 서버(10)에는, 사용자 단말(20)의 토큰 ID와 개별 키 정보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다. 티켓 발행 서버(10)는 이들의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의 토큰(22)에 대응한 적절한 티켓을 발행한다.
다음에, 도 1의 시스템에서의 전자 티켓의 발행 처리의 순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순서에서는, 우선 사용자 단말(20)이 티켓 발행 서버(10)에 대해서 전자 티켓의 발행을 요구한다(S11). 여기서는,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가 이용을 희망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포함한 요구를 티켓 발행 서버(10)에 보낸다. 또한, 사용자가 콘텐츠 제공 서버(이것은 예를 들면, 웹 서버로서 구축됨)에 액세스해서 원하는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에 다운로드하는 경우, 그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티켓 발행 서버(10)에 대해서 그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의 발행 요구를 행해도 좋다(이 경우, 그 요구에는 사용자 단말(20)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됨).
전자 티켓의 발행 요구를 받아들인 티켓 발행 서버(10)는 발행 룰 기억부(16)를 참조하여, 그 요구의 대상인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필요 전자 티켓 ID를 구한다(S21). 그리고, 티켓 발행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에 대해서, 필요 티켓 ID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을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회한다(S22).
예를 들면, 도 2의 발행 룰의 경우, 대상이 되는 콘텐츠가 「C002」이면, 필요 전자 티켓 ID는 「T001」, 「T002」, 또는 「T003」이 된다. 그래서, 티켓 발행 서버(10)는 그들 3개의 티켓에 대해서, 그 보유의 유무를 사용자 단말(20)에 조회한다.
조회를 받은 사용자 단말(20)에서는, 토큰(22)의 응답 처리부(26)가 티켓 보유부(24)를 조사하고, 각 필요 티켓 ID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의 유무를 조사하여(S12), 그들 각 ID에 대응하는 조사 결과(즉, 「있음」또는 「없음」)를 티켓 발행 서버(10)에 응답한다(S13).
이 응답을 받은 티켓 발행 서버(10)는 그 응답과 발행 룰을 대조하여, 대상이 되는 콘텐츠의 전자 티켓을 발행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3). 예를 들면, 대상이 되는 콘텐츠가 「C002」이라면, 사용자 단말(20)로부터 「T001」, 「T002」, 또는 「T003」중 적어도 1개를 보유하고 있는 취지의 회답이 있으면, 그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을 발행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스텝 S23의 판정의 결과를 조사하여(S24), 발행 불가라는 판정 결과이면, 티켓 발행 서버(10)는 발행 불가의 취지의 회답을 사용자 단말(20)에 돌려보낸다(S25). 이것을 받은 사용자 단말(20)은 전자 티켓을 취득할 수 없는 취지의 메시지를 화면 표시하는 등의, 소정의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S14). 반대로 발행 가능이라는 판정 결과이면, 대상이 되는 콘텐츠에 대응한 전자 티켓을 작성하여, 사용자 단말(20)에 송신한다(S26). 이것을 받아들인 사용자 단말(20)에서는, 토큰(22)이 그 전자 티켓을 티켓 보유부(24)에 등록한다(S15).
이상에 설명한 도 1의 시스템 구성에서는, 티켓 발행 서버(10)는 티켓 발행 요구원의 사용자 단말(20)에 대해서, 그 사용자 단말(20)이 갖는 전자 티켓을 조회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필수 사항은 아니다. 그래서, 다른 시스템 구성예를, 도 4∼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 및 도 6에서, 도 1 및 도 3의 각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낸 시스템 구성에서는, 티켓 발행 서버(10)에 발행 이력 관리부(18)가 설치된다. 발행 이력 관리부(18)는 티켓 발행 서버(10)가 각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 발행한 전자 티켓의 이력을 기록한다.
도 5에, 발행 이력 관리부(18)가 관리하는 데이터 내용의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발행 이력 관리부(18)에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인 사용자 ID에 대응시켜서, 그 사용자에게 발행한 전자 티켓의 티켓 ID와, 그 발행 일시가 기록된다. 또한, 사용자 ID 대신에, 사용자 단말(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해도 좋고, 토큰(22)의 식별 정보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발행 일시 이외에, 그 전자 티켓의 유효 기한, 이용 회수의 상한, 콘텐츠에 대한 조작 권한 등과 같은 이용 조건의 정보를 아울러 기록해도 좋다.
도 4의 시스템의 처리 순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순서에서는, 사용자 단말(20)이 전자 티켓의 발행을 요구하면, 티켓 발행 서버(10)는 발행 룰을 참조하여 필요 티켓 ID를 조사하고(S21), 그들 필요 티켓 ID를, 요구원의 사용자 단말(20)이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발행 이력 관리부(18)를 참조하여 조사한다(S31). 발행 이력 관리부(18)에는, 각 사용자 단말(20)에 대해서 발행한 전자 티켓의 이력이 있으므로, 그들 이력 정보로부터, 요구원의 사용자 단말(20)이 각 필요 티켓 ID의 티켓을 갖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티켓 발행 서버(10)는 스텝 S31의 조사 결과와 발행 룰을 대조함으로써, 요구원의 사용자 단말(20)에 대해서, 요구된 전자 티켓의 발행을 허가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3, S24). 그리고, 전자 티켓을 발행한 경우에는, 그 발행의 이력(발행처의 사용자 ID와, 발행한 티켓 ID의 정보 등)을 발행 이력 관리부(18)에 등록한다(S32).
도 4의 예에서는, 발행 이력 관리부(18)가 티켓 발행 서버(10) 내에 설치되었지만, 그 대신에, 네트워크(30) 위에 발행 이력 관리부(18)의 역할을 하는 서버를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티켓 발행 서버(10)는 그 서버에 필요 티켓 ID의 전자 티켓의 유무를 조회하는 동시에, 전자 티켓을 발행한 경우에는, 그 발행 이력의 정보를 그 서버에 등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예에서 사용한 발행 룰(도 2 참조)은 어디까지나 일례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도 2의 예에서는 콘텐츠 ID에 대해서 복수의 필요 티켓 ID가 OR조건으로서 기술되어 있었지만, 그 대신에, 또는 그것에 추가하여, 복수의 필요 티켓 ID를 AND조건으로 조합시킨 룰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콘텐츠「CO10」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은 사용자 단말(20)에 티켓 「T002」와 「T003」의 양쪽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행한다는 것과 같은 조건을 기술할 수 있다. 또한, 더 일반적으로 논리식의 형태로 발행 조건을 기술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에 티켓 「T002」와 「T003」의 양쪽이 존재하고, 또한 「T004」의 티켓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콘텐츠 「CO10」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의 발행을 허가하는 등의 조건을 기술할 수 있다.
또한, 발행 룰의 다른 예로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을 사용해도 좋다. 이 예에서는, 도 2와 동일한 콘텐츠 ID와 필요 티켓 ID의 쌍에 추가하여, 그들의 쌍에 합치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20)에 허가하는 권리가 발행 룰에 등록되어 있다. 도 7의 발행 룰의 경우, 예를 들면, 「CO01」의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을 발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이 「T001」밖에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R(판독 가능)과 W(기입 가능)의 조작 권한을 나타낸 전자 티켓이 발행된다. 한편, 같은 「CO01」에 대한 전자 티켓을 발행하는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20)이 「T002」의 티켓밖에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전자 티켓에 표시되는 조작 권한은 R만으로 된다. 또한, 요구원의 사용자 단말(20)이 「T001」과 「T002」의 양쪽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다 유리한 권리가 되는 쪽이 적용되도록 하면 좋다.
또한, 도 7의 예에서는, 「허가하는 권리」로서, 콘텐츠에 대한 조작 권한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발행하는 전자 티켓의 유효 기간이나 이용 회수의 상한 등을 기술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발행 룰의 또 다른 예로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콘텐츠 ID」와 「대응 티켓 ID」의 쌍에 대응시켜서, 「발행 조건」과 「허가하는 권리」가 등록되어 있다. 즉, 이 예에서는, 「콘텐츠 ID」가 나타내는 콘텐츠의 전자 티켓이 요구된 경우, 요구원의 사용자 단말(20)이 「대응 티켓 ID」의 전자 티켓을 보유하고 있고, 또한 그 「대응 티켓 ID」의 티켓 의 이용 상황이 「발행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허가하는 권리」에 나타내는 이용 조건을 표시한 전자 티켓을 발행한다. 도 8의 룰에 의하면, 예를 들면, 「C009」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을 요구한 사용자 단말(20)이 「T002」는 갖고 있지 않고, 「T008」의 전자 티켓을 갖고 있고, 또한 사용자 단말(20)에서 그 「T008」의 티켓이 3회 이상 이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C009」의 콘텐츠를 5회 이용할 수 있는 전자 티켓이 발행된다.
또한, 이러한 발행 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1의 시스템 구성의 경우, 사용자 단말(20)은 도 3의 스텝 S22에서의 티켓 발행 서버(10)로부터의 조회에 대해서, 보유하고 있는 전자 티켓의 이용 회수의 정보도 응답한다(S13). 개개의 전자 티켓의 이용 회수는 토큰(22)이 기록한다. 또한, 도 4의 시스템 구성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20)이 전자 티켓을 이용할 때마다, 그 이용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어느 전자 티켓의 티켓 ID)를 발행 이력 관리부(18)에 등록하면 된다. 이에 따라, 발행 이력 관리부(18)에 조회함으로써, 전자 티켓의 이용 회수를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발행 룰의 예로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도 고려된다. 이 예는 대상이 되는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대응 티켓 ID」의 티켓을 사용자 단말(20)이 갖고 있지 않은 경우와, 갖고 있는 경우에서, 「허가하는 권리」가 다른 전자 티켓을 발행하는 것이다. 즉, 도 9의 예에서는, 「C010」의 콘텐츠를 위한 티켓이 요구된 경우, 티켓 발행 서버(10)는 요구원의 사용자 단말(20)이 「T001∼T009」의 9개의 티켓 중 1개 이상을 갖고 있으면, 「C010」의 콘텐츠에 대해서 R 및 W의 조작 권한을 허가하는 전자 티켓을 발행한다. 한편, 「T001∼T009」중 1개 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C010」의 콘텐츠에 대해서 R의 조작 권한을 허가하는 전자 티켓을 발행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20)이 대응 티켓 ID의 티켓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소정의 권리를 나타내는 전자 티켓을 발행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대응 티켓 ID의 티켓을 갖고 있으면, 갖고 있지 않은 경우보다도 유리한 권리를 나타내는 전자 티켓을 발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9와 같은 발행 룰은 계간(季刊) 콘텐츠나 주간(週刊) 콘텐츠 등과 같이, 시리즈 구성이 되는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전자 티켓을 발행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이 발행 룰에 의하면, 시리즈 중 콘텐츠의 티켓을 사용자 단말(20)이 갖고 있는 경우에는, 갖고 있지 않은 경우보다도 우대한 조건의 전자 티켓을 발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콘텐츠 ID」와 「대응 티켓 ID」의 쌍에 대해서, 「발행 조건」을 다양하게 바꾸어, 「발행 조건」마다 「허가하는 권리」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의 예에서는, 동일한 「CO10」의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을 발행할 때에, 사용자 단말(20)이 「T001∼T009」의 티켓 중의 1∼3개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3회 이용 가능한 전자 티켓을 발행하고, 4∼9개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5회 이용 가능이라는 식으로 보다 유리한 권리 내용의 전자 티켓을 발행한다.
또 다른 발행 룰의 예로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도 고려된다. 이 예에서는, 「발행 조건」으로서, 사용자 단말이 「대응 티켓 ID」의 전자 티켓을 보유하고 있는 기간을 고려하고 있다. 이 룰에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로부터 「C010」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의 요구가 있었던 경우, 그 단말(20)이 「T001」의 티켓을 보유하고 있고, 또한 그 요구가 「T001」의 티켓의 발행일로부터 보아 3개월 이내이면, 「C010」용의 전자 티켓의 발행을 허가한다. 또한, 이 경우, 단말(20)이 「T001」의 티켓을 보유하고 있어도, 요구가 그 발행일로부터 3개월 이내가 아닌 경우에는, 「CO10」용의 전자 티켓의 발행은 허가하지 않는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발행 룰은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전자 티켓의 선행 발행을, 사용자 단말(20)이 보유하고 있는 전자 티켓에 따라서 제어하기 위한 룰이다. 선행 발행은 전자 티켓에 관한 통상의 발행 개시일보다도 이전에 설정된 선행 발행 기간에 그 전자 티켓을 발행하는 것이다. 도 12의 예에서는, 요구원의 사용자 단말(20)에 「T001」 또는 「T002」의 전자 티켓이 보유되어 있는 경우에, 「C010」의 콘텐츠를 위한 전자 티켓의 선행 발행을 허가한다. 이 경우, 티켓 발행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요구가 선행 발행 기간 내 또는 그 이후이면, 요구된 「CO10」의 콘텐츠를 위한 전자 티켓을 발행한다. 이러한 룰을 사용함으로써, 특정한 전자 티켓을 갖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거기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전자 티켓의 선행 발행을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20)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에 따라서, 티켓 발행 서버(10)가 새로운 전자 티켓을 발행할지의 여부, 또는 발행하는 전자 티켓의 권리 내용(이용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전자 티켓의 취득 상황이나 이용 상황에 따라서, 새로운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함으로써, 계속적으로 이용하는 사용자에게는 부가 가치가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20)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의 정보에 의거하여, 새로운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도록 하면, 사용자 단말(20)이 각 시점에서 갖고 있는 전자 티켓이나, 그 전자 티켓의 이용 상황 등과 같은, 동적인 사용자의 상황에 의거하여 티켓 발행을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액세스 컨트롤 리스트를 이용한 종래의 티켓 발행 제어의 경우, 액세스 컨트롤 리스트는 관리자가 그 내용을 갱신하지 않는 한 그 내용은 고정적이므로, 그러한 동적인 상황에 따른 티켓 발행 제어는 곤란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전자 티켓을 발행할 때에, 콘텐츠가 동일하면, 어느 사용자에 대해서도 동일한 티켓 ID를 갖는 전자 티켓을 발행하도록 하는 것도 적합하다. 즉, 동일한 콘텐츠라도, 사용자마다 허가되는 권리가 다른 경우, 전자 티켓에 나타내는 권리가 달라지지만, 이 예에서는, 그와 같이 다른 내용을 나타낸 전자 티켓에 대해서 동일한 티켓 ID의 전자 티켓을 발행하는 것이다. 전자 티켓에 표시되는 권리마다 티켓 ID를 다르게 하면, 발행 룰에 기술하는 「필요 티켓 ID」 또는 「대응 티켓 ID」가 번잡해지는(예를 들면, 동일한 콘텐츠에 대한 티켓을 복수 기술할 필요가 나온다) 것에 대해서, 대상이 되는 콘텐츠가 동일하면 동일 티켓 ID의 전자 티켓을 발행하도록 하면, 그러 한 번잡함은 경감된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20)에 인스톨되어 있는 전자 티켓의 정보로서, 전자 티켓의 유무, 이용 회수, 발행일로부터의 경과 기간을 고려한 발행 룰을 예시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스톨되어 있는 전자 티켓의 그 밖의 정보를 고려한 발행 룰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20)에 인스톨되어 있는 전자 티켓의 정보에 의거하여, 새로운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했지만, 사용자 단말의 동적인 상황으로서, 인스톨되어 있는 전자 티켓의 정보 이외의 정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이 티켓 발행 서버(10)에 액세스해 왔을 때의 사용자 단말(20)의 어드레스 정보(예를 들면, 글로벌 IP 어드레스)에 의거하는 발행 룰을 사용하는 것 등이다. 즉, 액세스해 온 사용자 단말(20)의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사전에 등록된 범위인 경우에만, 요구된 전자 티켓의 발행을 승인하는 등의 발행 룰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룰을 사용함으로써, 전자 티켓의 발행 범위를 적절히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이 모바일 단말인 경우에, 사용자 단말(20)이 예를 들면, 사외(社外)에 있을 때에는, 전자 티켓의 발행을 허가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티켓 발행 서버(10)는 전형적으로는, 범용의 컴퓨터로 각 요소의 기능 또는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컴퓨터는 하드웨어로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중앙 연산 장치)(40), 메모리(1차 기억)(42), 각종 I/O(입출력) 인터페이스(44) 등이 버스(46)를 통해서 접속된 회로 구성을 갖는다. 또한, 그 버스(46)에 대해서, 예를 들면, I/O 인터페이스(44) 경유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48)나 CD나 DVD, 플래시 메모리 등의 각종 규격의 휴대용의 불휘발성 기록 매체를 판독하기 위한 디스크 드라이브(50)가 접속된다. 이러한 드라이브(48, 50)는 메모리에 대한 외부 기억 장치로서 기능한다. 실시예의 처리 내용이 기술된 프로그램이 CD나 DVD 등의 기록 매체를 경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경유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48) 등의 고정 기억 장치에 보존되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고정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판독되어 CPU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실시예의 처리가 실현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도 마찬가지로 범용의 컴퓨터로 각 요소의 기능 또는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티켓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측 시스템에 대해서,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을 발행하는 발행측 시스템으로서, 전자 티켓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측 시스템으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의 요구를 받아들이는 수단, 상기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에 의거하여, 상기 이용측 시스템에 대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발행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발행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전자 티켓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측 시스템에 대해서,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을 발행하는 발행측 시스템으로서,
    전자 티켓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측 시스템으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의 요구를 받아들이는 수단,
    상기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에 의거하여, 상기 이용측 시스템에 대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발행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발행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측 시스템에 대한 전자 티켓의 발행 이력을 기억하는 이력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발행 제어 수단은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을, 상기 이력 기억 수단을 참조하여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행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 제어 수단이 이용측 시스템에 대해서 전자 티켓을 발행한 경우에, 전자 티켓의 발행 이력을 관리하는 이력 관리 장치에 대해서, 상기 이용측 시스템 에 대해서 상기 전자 티켓을 발행한 취지를 등록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발행 제어 수단은 상기 이력 관리 장치에 조회를 행함으로써,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행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 제어 수단은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그 요구의 대상인 제 1 전자 티켓을 발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2 전자 티켓을 갖고 있는 경우에만, 제 1 전자 티켓을 발행하도록 제어하는 발행측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 제어 수단은 상기 전자 티켓의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과, 그 전자 티켓의 이용 이력에 의거하여, 요구된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발행측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 제어 수단은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그 요구의 대상인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의 세트 중의 소정수 이상의 전자 티켓을 갖고 있는 경우에, 요구된 전자 티켓을 발행하도록 제어하는 발행측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 제어 수단은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그 요구의 대상인 제 1 전자 티켓을 발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2 전자 티켓을 갖고 있고, 또한 상기 요구가 그 제 2 전자 티켓의 발행 일시로부터 소정 기간 이내에 이루어진 것인 경우에만, 그 전자 티켓을 발행하도록 제어하는 발행측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 제어 수단은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그 요구의 대상인 제 1 전자 티켓의 선행 발행의 조건이 되는 제 2 전자 티켓을 갖고 있는 경우에, 제 1 전자 티켓을 선행 발행하도록 제어하는 발행측 시스템.
  9. 전자 티켓의 발행을 위한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처리는 이용측 시스템으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의 요구를 받아들이고,
    상기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에 의거하여, 상기 이용측 시스템에 대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스텝은,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그 요구의 대상인 제 1 전자 티켓을 발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2 전자 티켓을 갖고 있는 경우에만, 제 1 전자 티켓을 발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스텝은,
    상기 전자 티켓의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과, 그 전자 티켓의 이용 이력에 의거하여, 요구된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스텝은,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그 요구의 대상인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의 세트 중의 소정수 이상의 전자 티켓을 갖고 있는 경우에, 요구된 전자 티켓을 발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스텝은,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그 요구의 대상인 제 1 전자 티켓을 발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 2 전자 티켓을 갖고 있고, 또한 상기 요구가 그 제 2 전자 티켓의 발행 일시로부터 소정 기간 이내에 이루어진 것인 경우에만, 그 전자 티켓을 발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스텝은,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그 요구의 대상인 제 1 전자 티켓의 선행 발행의 조건이 되는 제 2 전자 티켓을 갖고 있는 경우에, 제 1 전자 티켓을 선행 발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이용측 시스템에 대한 전자 티켓의 발행 이력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을 조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기록 매체.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이용측 시스템에 대해서 전자 티켓을 발행한 경우에, 전자 티켓의 발행 이력을 관리하는 이력 관리 장치에 대해서, 상기 이용측 시스템에 대해서 상기 전자 티 켓을 발행한 취지를 등록하고,
    상기 이력 관리 장치에 조회를 행함으로써, 상기 요구를 내보낸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을 조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기록 매체.
  17. 전자 티켓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측 시스템에 대해서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을 발행하는 발행측 시스템에서의 전자 티켓 발행 관리 방법으로서,
    이용측 시스템으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전자 티켓의 요구를 받아들이고,
    상기 이용측 시스템이 보유하는 전자 티켓에 의거하여, 상기 이용측 시스템에 대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전자 티켓의 발행을 제어하는 전자 티켓 발행 관리 방법.
KR1020060097125A 2006-02-03 2006-10-02 발행측 시스템, 기록 매체 및 전자 티켓 발행 관리 방법 KR100898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27044A JP4826270B2 (ja) 2006-02-03 2006-02-03 電子チケット発行管理システム、発行側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JP-P-2006-00027044 2006-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900A true KR20070079900A (ko) 2007-08-08
KR100898376B1 KR100898376B1 (ko) 2009-05-21

Family

ID=3833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125A KR100898376B1 (ko) 2006-02-03 2006-10-02 발행측 시스템, 기록 매체 및 전자 티켓 발행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11053B2 (ko)
JP (1) JP4826270B2 (ko)
KR (1) KR100898376B1 (ko)
CN (1) CN1010134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5710B2 (en) 2006-03-14 2009-04-07 Divx, Inc. Federated digital rights management scheme including trusted systems
US8131592B2 (en) * 2007-04-27 2012-03-06 Sojern,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rgeted content with verification information
US8150731B1 (en) 2008-04-25 2012-04-03 Sojern, Inc. Method and system presenting and distributing customiz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verification information
US8510303B2 (en) 2009-01-07 2013-08-13 Divx, Llc Singular, collective and automated creation of a media guide for online content
US20100268649A1 (en) * 2009-04-17 2010-10-21 Johan Roos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Ticket Processing
CN101964953A (zh) * 2009-07-24 2011-02-02 广州盛华信息技术有限公司 获取电子票证的通信系统
JP5723888B2 (ja) 2009-12-04 2015-05-27 ソニック アイピ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基本ビットストリーム暗号材料伝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247312B2 (en) 2011-01-05 2016-01-26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source media in matroska container files for adaptive bitrate streaming usin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US9467708B2 (en) 2011-08-30 2016-10-11 Sonic Ip, Inc. Selection of resolutions for seamless resolution switching of multimedia content
US8964977B2 (en) 2011-09-01 2015-02-24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aving encoded media streamed using adaptive bitrate streaming
US8909922B2 (en) 2011-09-01 2014-12-09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laying back alternative streams of protected content protected using common cryptographic information
US8918908B2 (en) * 2012-01-06 2014-12-23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digital content using electronic tickets and ticket tokens
US8997254B2 (en) 2012-09-28 2015-03-31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startup streaming of encrypted multimedia content
US9313510B2 (en) 2012-12-31 2016-04-12 Sonic Ip, Inc. Use of objective quality measures of streamed content to reduce streaming bandwidth
US9191457B2 (en) 2012-12-31 2015-11-17 Sonic Ip, In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controlling delivery of content
US10397292B2 (en) 2013-03-15 2019-08-27 Divx, Ll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delivery of content
US9906785B2 (en) 2013-03-15 2018-02-27 Sonic Ip, In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transcoding video data according to encoding parameters indicated by received metadata
US9094737B2 (en) 2013-05-30 2015-07-28 Sonic Ip, Inc. Network video streaming with trick play based on separate trick play files
US9967305B2 (en) 2013-06-28 2018-05-08 Divx, Ll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streaming media content
CN104637192B (zh) * 2013-11-07 2018-08-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钱包及其使用方法、移动终端和电子票交易系统
US9866878B2 (en) 2014-04-05 2018-01-09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playing back video at different frame rates using enhancement layers
WO2015175426A1 (en) * 2014-05-12 2015-11-19 Google Inc. Managing nic-encrypted flows for migrating guests or tasks
US10075292B2 (en) 2016-03-30 2018-09-11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quick start-up of playback
JP6840942B2 (ja) * 2016-05-31 2021-03-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不正申込防止システム、申込登録サーバー、不正申込防止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498795B2 (en) 2017-02-17 2019-12-03 Div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switching between multiple content delivery networks during adaptive bitrate streaming
US10275605B2 (en) 2017-06-19 2019-04-30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secure document tags for use in traditionally unsupported workflow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1131B2 (ja) * 1997-07-14 2006-06-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チケットシステム
US6216227B1 (en) * 1998-06-29 2001-04-10 Sun Microsystems, Inc. Multi-venue ticketing using smart cards
JP4503143B2 (ja) * 1999-07-14 2010-07-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チケットシステムとサービスサーバとモバイル端末
JP2001034673A (ja) * 1999-07-22 2001-02-09 Axle Linkage Labo Inc 電子流通方法及び電子流通システム
JP2002008291A (ja) 2000-06-23 2002-01-11 Fujitsu Ten Ltd ディスク装置
JP3848127B2 (ja) * 2000-11-02 2006-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チケット入力装置、チケット入力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555361B2 (en) * 2000-12-25 2009-06-30 Sony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ticket management and electronic ticket distribution authentication
KR20010067759A (ko) 2001-03-20 2001-07-13 남충희 일회용식별코드를 이용한 통합개인인증 방법
JP4826025B2 (ja) * 2001-04-25 2011-11-30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子チケット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を用いた電子チケットの利用方法
JP4530583B2 (ja) * 2001-06-22 2010-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電子クーポン管理装置、電子クーポン管理方法、電子クーポン管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および電子クーポン表示プログラム
JP2003157334A (ja) 2001-07-31 2003-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3085321A (ja) 2001-09-11 2003-03-20 Sony Corp コンテンツ利用権限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利用権限管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196414A (ja) 2001-12-27 2003-07-11 Seiko Instruments Inc 電子公証システム及び電子公証方法
JP2003346061A (ja) * 2002-05-27 2003-12-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特典ポイントサービスシステム、特典ポイント管理装置、特典ポイントサービスの提供方法および特典ポイント管理方法
JP2004015665A (ja) * 2002-06-10 2004-01-15 Takeshi Sakamura 電子チケット流通システムにおける認証方法およびicカード
JP4553565B2 (ja) * 2002-08-26 2010-09-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バリューの認証方式と認証システムと装置
JP4510484B2 (ja) * 2003-02-28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特典配布システム
JP4676703B2 (ja) * 2003-03-20 2011-04-27 株式会社リコー ユーザ認証装置、ユーザ認証方法、ユーザ認証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4295197A (ja) * 2003-03-25 2004-10-21 Nec Corp 電子チケット販売システムおよび販売方法
JP2004302931A (ja) 2003-03-31 2004-10-28 Fujitsu Ltd 機密コンテンツ管理方法
JPWO2004099998A1 (ja) * 2003-05-09 2006-07-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ジタル情報の流通制御方法および流通制御システム
JP4281476B2 (ja) * 2003-09-03 2009-06-1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チケット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電子チケット販売装置及び携帯電話機
JP4429747B2 (ja) * 2004-01-23 2010-03-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316992A (ja) * 2004-04-02 2005-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ードアプリケーション間の連携処理を行うセキュアデバイスと携帯端末
US20060161446A1 (en) * 2005-01-19 2006-07-20 Sabre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ccessing electronic tickets by paper-based travel service provider
US7690044B2 (en) * 2005-02-18 2010-03-30 Fuji Xerox Co., Ltd. Medium storing program selecting electronic ticket, electronic ticket processing apparatus and electronic ticket selection method
JP4742682B2 (ja) * 2005-06-01 2011-08-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コンテンツ保護装置及びコンテンツ保護解除装置
US20070017979A1 (en) * 2005-07-25 2007-01-25 Chunghwa Telecom Co., Ltd. Mobile ticketing via information hi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376B1 (ko) 2009-05-21
US7611053B2 (en) 2009-11-03
US20070185982A1 (en) 2007-08-09
JP2007207087A (ja) 2007-08-16
CN101013455A (zh) 2007-08-08
JP4826270B2 (ja)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376B1 (ko) 발행측 시스템, 기록 매체 및 전자 티켓 발행 관리 방법
JP4835167B2 (ja) ライセンス管理のためのプログラム、システム及び方法
US7890428B2 (en) Flexible licensing architecture for licensing digital application
JP4534226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をクライアントに提供する方法
TWI492085B (zh) 用於根據使用者識別符增強產品功能的方法、設備及電腦儲存媒體
US9898621B2 (en) Automatic application dependent anonymization
US200900314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ed Distribution of Digitalized Sensitive Information
US20090320145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use of a content
KR100888594B1 (ko) 라이센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040039705A1 (en) Distributing a software product activation key
KR20120017035A (ko) 상태와 데이터의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상호작용 모델
JP2016129052A (ja) 機能判定装置
JP4462343B2 (ja) 情報利用制御システム、情報利用制御装置、および情報利用制御プログラム
US7607176B2 (en) Trainable rule-based computer file usage auditing system
JP4784319B2 (ja) コンテンツ利用権管理システム及び電子チケット発行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7233690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窓口側の装置及び要求処理方法、サービス提供側の装置及び要求処理方法
JP5239702B2 (ja) 情報利用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4951518B2 (ja) 権利表現の発行が許可されていることを確認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2022084349A (ja) 計算機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資産の処分方法
JP2003519419A (ja) デジタル・メンバシップ・カード・システム
JP5296120B2 (ja) 権利表現チェーンを判断する方法及び装置
KR20030004163A (ko) 유료 웹사이트 아이디 대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