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420A -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동시에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동시에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9420A
KR20070079420A KR1020060010074A KR20060010074A KR20070079420A KR 20070079420 A KR20070079420 A KR 20070079420A KR 1020060010074 A KR1020060010074 A KR 1020060010074A KR 20060010074 A KR20060010074 A KR 20060010074A KR 20070079420 A KR20070079420 A KR 20070079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data rate
video streams
program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6324B1 (ko
Inventor
황석민
김경호
권윤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324B1/ko
Publication of KR20070079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하나의 방송 채널을 통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로 서비스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을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낮은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하는 과정과, 상기 인코딩된 비디오 스트림들을 다중화하여 상기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방송 프로그램, 디지털 방송, 인코딩, 비디오 스트림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providing a plurality of broadcasting programs through a single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을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표시하는 표시부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들에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할당 테이블 및 프로그램 매핑 테이블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들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기에 수신된 TS들의 디코딩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장치를 내장하는 휴대 단말기를 의미한다. 현재 이러한 디지털 방송에 대한 표준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방식과 유럽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 이하 "DVB"라 칭함) 방식이 있다.
상기 DMB 서비스는 아날로그(Analog) 방식의 라디오를 디지털(Digital) 방식으로 바꾸려고 시도함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이하 "DAB"라 칭함)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런데, 상기 DAB를 개발하면서 그 영역을 오디오(Audio)에 한정시키지 않고 비디오(Video)의 영역으로 확장시킬 수 있게 되었고, 이동 중에도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오디오 서비스만을 포함하던 상기 DAB에서 오디오는 물론이고 비디오 서비스까지 포함하는 상기 DMB로 바뀌게 되었다. 이 때의 상기 DMB 서비스는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k)급 고품질의 오디오 및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디지털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상기 DMB 서비스는 전송 수단에 따라 2개의 DMB 서비스 즉, 제 1 및 제 2 DMB 서비스로 분류될 수 있다. 하기에서 제 1 DMB 서비스는 위성(Satellite) DMB 서비스를, 그리고 제 2 DMB 서비스는 지상파(Territorial) DMB 서비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위성 DMB 서비스는 방송 또는 통신위성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오디오 및 동영상을 비롯한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상기 위성 DMB 서비스는 위성 DAB 규격 중 'SYSTEM E' 방식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이 서비스를 위해 코드분할 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CDM"이라 칭함) 변조 방식이 사용되며, 64비트 월시부호(Walsh Code)가 이용된다. 상기 위성 DMB 서비스에는 30여개의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인 CDM 채널이 사용될 수 있고, 각 CDM 채널당 256 초당 킬로비트(Kbps)의 데이터 전송율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지상파 DMB 서비스는 지상파 TV(Television)의 방송 서비스를 디지털화하여 고품질의 오디오 및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한국의 지상파 DMB 시스템은 유럽의 Eureka-147 DAB 시스템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기본적인 전송방식은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차등 직각위상 시프트키잉(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지상파 DMB 서비스는 예를 들어 공중파 VHF 8, 12번 채널을 통해 제공되고, 하나의 채널에서 약 750 Kbps의 데이터 전송율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에서 사용하는 방송은 비디오 채널의 경우 약 300Kbps 또는 400Kbps 정도의 데이터 전송율로 전송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성 DMB의 경우에는 하나의 CDM 채널이 256Kbps의 데이터 전송율을 지원하기 때문에 상기 비디오 채널의 데이터 전송율을 지원하는 방송의 경우엔 두 개의 CDM 채널들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달리 지상 DMB의 경우에는 하나의 채널로 약 750Kbps를 지원하기 때문에 하나의 방송을 하나의 채널로 이용 가능하지만, 두 개 이상의 채널을 동시에 이용할 수는 없다.
즉, 하나의 화면에 두 개 이상의 방송을 동시에 출력하기 위해서 위성 DMB의 경우에는 4개 이상의 CDM 채널, 지상 DMB의 경우에는 두 개의 채널을 이용해야 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에서 여러 방송 프로그램들을 한번에 보고자 하는 경우를 상술한 종래의 기술로는 만족시키기 힘들다.
다른 한편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복수 개의 방송 채널들을 통해 복수개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현재 우리나라의 위성 DMB의 경우 29개의 방송 채널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채널의 수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수도 있다. 또한, 그에 따라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들의 수도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공되는 모든 방송 프로그램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채널을 검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상당히 소요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견지에 따르면,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하나의 방송 채널을 통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로 서비스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을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낮은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하는 과정과, 상기 인코딩된 비디오 스트림들을 다중화하여 상기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하나의 방송 채널을 통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로 서비스하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을 수신하는 방법은 상기 방송 채널을 위해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낮은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디코딩하여 동시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 들을 하나의 방송 채널을 통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로 서비스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을 전송하는 장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낮은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하는 방송 인코딩부와, 상기 인코딩된 비디오 스트림들을 다중화하여 상기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하나의 방송 채널을 통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로 서비스하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을 수신하는 장치는 상기 방송 채널을 위해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낮은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디코딩하는 방송 디코딩부와, 상기 디코딩된 방송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방송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개시된 개념 및 구체적인 실시예가 변경 또는 변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잘 인식할 것이다. 또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개시하는 개념 및 구조와 균등한 개념들 및 구조들이 본 발명의 가장 넓은 형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잘 인식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을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송신기(100)는 위성 DMB 방송 및 지상파 DMB 방송을 송출하는 위성 또는 지상파 방송 서비스 제공자이며, 상기 위성 또는 지상파 방송 서비스 제공자의 세부적인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에서 필요한 구성요소만을 개략하여 설명한다. 또한, 위성 DMB 방송의 경우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자는 위성 DMB 방송을 송출하는 위성 DMB 방송 센터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로부터 송출된 방송 신호는 위성을 거쳐서 단말기에 수신될 것이다. 필요하다면 단말기에 최종적으로 수신되기 전에 위성 이외에 다른 곳도 거쳐서 방송 신호가 전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상파 DMB 방송의 경우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자는 지상파 DMB 방송을 송출하는 지상파 DMB 방송 센터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지상파 DMB 방송 센터로부터 송출된 방송 신호는 지상파 DMB 방송을 위한 기지국을 거쳐서 단말기에 수신될 것이다. 상기 위상 DMB 방송 신호와 같이, 상기 지상파 DMB 방송 신호 역시 단말기에 최종적으로 수신되기 전에 상기에서 언급한 기지국 이외의 다른 곳도 거쳐 수신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자와 단말기사이의 과정은 편의상 생략하고 방송 서비스 제공자와 단말기만을 언급할 것이나,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자와 단말기 사이에 상술한 여러 곳을 거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방송 신호 인코딩부(105)는 전송할 방송을 포함한 신호를 인코딩하고 부호화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송 신호 인코딩부(105)는 방송 스트림을 인코딩할 때, 낮은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을 함으로써 하나의 화면에 여러 개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낮은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을 하면 할수록, 방송 프로그램의 화질은 떨어지지만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늘어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나의 화면에 여러 개의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하므로 고화질의 화면을 필요로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낮은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비디오 채널을 128 kbps의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을 한다면, 위성 DMB의 경우 256 kbps 데이터 전송율의 물리채널 하나에 두 개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128 kbps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 딩할 때, 지상파 DMB의 경우 700 kbps의 데이터 전송율인 하나의 물리채널에 5개정도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보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여러 개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표시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인코딩부(115)는 시스템 정보,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들인 채널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낮은 데이터 전송율(예를 들어, 128 kpbs)로 인코딩한다. 상기 채널 정보는 서비스되고 있는 모든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채널 정보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다운받아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다. 그리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각 방송 채널별로 각 채널에 포함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이다. 상기 시스템 정보를 의미하는 채널 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각각에 대해서는 도면을 들어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송신부(130)는 상기 인코딩된 방송 신호를 요청하는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수신기(150)는 상기 송신기(1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장치로서, 휴대 단말기, 예를 들어, 노트북, 개인용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송신기(100)에서와 같이 수신기(150)도 또한 본 발명에 필요한 구성요소만을 개략하여 설명할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수신기를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부적인 구성요소는 도 2와 함께 후술될 것이다. 상기 수신기(150)는 후술될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50)에 해당할 수 있다. 방송 신호 디코딩부(155)는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한 신호를 복호화하고 디코딩한다. 방송 프로그램 신호를 복호화하고 디코딩하는 상기 방송 신호 디코딩부(155)는 수신 신호를 복호화와 디코딩하는 도 2의 모뎀(220)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송 신호 디코딩부(155)는 도2의 모뎀(220)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도 1에서와 같이 도 2의 제어부(250)에 해당하는 수신기(150)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시스템 정보 디코딩부(165)는 수신된 시스템 정보,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들인 채널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송신기(100)에서 인코딩된 데이터 전송율로 디코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채널 정보는 서비스되고 있는 모든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채널 정보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다운받아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다. 그리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각 방송 채널별로 각 채널에 포함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이다. 상기 시스템 정보를 의미하는 채널 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각각에 대해서는 도면을 들어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시스템 정보인 채널 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들은 시스템 정보 테이블(175)에 저장되고, 방송 출력 제어부(18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정보 테이블(175)로부터 상기 정보들이 제공된다. 방송 출력 제어부(185)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수신부(140)는 송신기(100)로부터 제공된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를 방송 신호 디코딩부(155)와 시스템 정보 디코딩부(165)로 보낸다. 표시부(190)는 상기 방송 출력 제어부(185)의 제어 하에 채널 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 등을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RF(Radio Frequency:이하 "RF"라 칭함)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ulator-DEModulator)(2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인코딩(Encoding)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Decoding)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방송 신호 디코딩부(155)가 상기 수신되는 신호 중 방송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한다. 따라서, 도 1의 방송 신호 디코딩부(155)는 도 2의 모뎀(22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어부(25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30)는 코덱(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30)는 상기 모뎀(220)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 (SPK)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2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상기 오디오 처리부(230)와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제어부(250)에 포함될 수 있다.
키입력부(24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250)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240)는 카메라 모드 실행키, 동영상 촬영키 및 종료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단말기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제어 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메모리(260)는 도 1의 시스템 정보 테이블(175)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25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모뎀(220)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도 1의 수신기(150)가 상기 제어부(250)에 대응될 수 있다.
카메라부(27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 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280)는 상기 카메라부(27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신호처리부(28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즉, 직렬 아날로그 적녹청(RED, GREEN, BLUE: 이하 "RGB"라 칭함) 신호)는 상기 신호처리부(280)의 AFE(Analog Front End) 칩을 디지털 변환되고, 이를 통하여 디지털 변환된 12비트의 RGB 신호는 8비트의 YUV 데이터로 출력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YUV 데이터는 영상의 색을 밝기인 Y 성분과 색인 U 및 V 성분으로 구분된다.
영상처리부(290)는 상기 카메라부(27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290)는 상기 카메라부(27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9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29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90)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정지영상(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코덱, 동영상(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코덱, 웨이브렛(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290)는 온스크린 표시(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250)가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90)는 상기 영상처리부(29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 시하며, 상기 제어부(250)에서 출력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9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함)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90)는 LCD 제어부,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190)는 입력부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90)는 상기 도 1의 표시부(190)에서 설명하였듯이, 방송 출력 제어부(185)의 제어 하에 채널 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표시하는 표시부의 예시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 1의 표시부(190)에서 하나의 화면에 4개의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경우가 예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128 kbps의 데이터 전송율로 데이터를 인코딩하면, 하나의 물리채널로 700 kbps의 데이터 전송율을 지원할 수 있는 지상파 DMB의 경우 5개정도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보낼 수 있다. 이런 경우, 송신측에서는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할 방송 프로그램의 개수를 4로 맞추어서 인코딩해서 전송한다. 그리고, 수신측에서는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상기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4개의 방송 프로그램은 도 3에 도시된 화면과 같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예시는 일예일 뿐, 세로로 분할된 화면, 가로로 분할된 화면 등 여러 가지로 변형가능하다. 그리고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표시하는 경우 방송 프로그램의 제목, 방송 시간 정보 등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들도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들에 포함된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채널 정보는 프로그램 할당 테이블(Program Association Table)을 포함하고 있는 정보로, 각각의 채널 번호, 각각의 채널에 대한 패킷 식별자(Packet IDentification, 이하 "PID"라 칭함), 상기 각각의 채널에서 지원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채널 정보에서 각각의 항목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1. table_id : PSI 섹션 정보(예를 들어, PAT, PMT, CAT, NIT 등의 ID)
2. section_syntax_indicator : '1'
3. section_length : section_length 이후 부터 섹션 끝까지의 길이
4. transport_stream_id : 네트워크에서 TS를 알아 보기 위한 레벨의 역할 및 사용자에 대한 정의
5. version_number : PAT의 버전 값, PAT가 한 번 바뀔 때마다 1씩 증가
6. current_next_indicator
'1' : 현재 PAT가 유효 -> 현재 PAT 버전 넘버가 유효 값임을 가리킴
'0' : 다음 PAT가 유효 -> 다음 PAT 버전 넘버가 유효 값임을 가리킴
7. section_number : 현재 섹션의 번호, 첫째 섹션의 번호는 '0', 섹션 당 1씩 증가
8. last_section_number : 마지막 섹션 번호
9. program_number : program_map_PID, 즉, 프로그램 번호를 가리킴
10. number_of_program :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 종래에서는 reserved로 미사용 중이던 상기 필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화면에 몇 개의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이 필드에 추가하여 전송한다.
11. network_PID : NIT 정보를 담고 있는 TS 패킷의 PID를 가리킴
12. program_map_PID : program_map_section을 포함하는 TS 패킷의 PID를 나타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방송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 매핑 테이블(Program Mapping Table)을 포함하고 있는 정보로, 상기 프로그램 할당 테이블로부터 선택된 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서 각각의 항목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1. table_id : PSI 섹션 정보(PAT, PMT, CAT, NIT 등의 ID)
2. section_syntax_indicator : '1'
3. section_length : section_length 이후부터 섹션 끝까지의 길이
4. program_number :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한 구성은 하나의 TS_program_map_section에서 전송되는데, 현재 TS_program_map_section을 나타내는 program_number를 가리킴
5. version_number : PMT의 버전 값, PMT가 한 번 바뀔 때마다 1씩 증가
6. current_next_indicator
'1' : 현재 PMT가 유효 -> 현재 PAT 버전 넘버가 유효 값임을 가리킴
'0' : 다음 PMT가 유효 -> 다음 PAT 버전 넘버가 유효 값임을 가리킴
7. section_number : 현 섹션의 번호, 첫째 섹션의 번호는 '0', 섹션 당 1씩 증가
8. last_section_number : 마지막 섹션 번호
9. PCR_PID : program_number가 가리키는 프로그램에서 쓰는 유효 PCR을 갖고 있는 TS 패킷의 PID 값
10. program_info_length : program_info_length 바로 뒤에 나오는 descriptor 길이의 바이크(byte) 수를 나타냄
11. stream_type : elementary_PID에서 표시된 PID 값을 갖는 패킷에 들어있는 program_element의 type을 가리킴
12. elementary_PID : program element 들이 들어있는 TS 패킷의 PID 값
13. ES_Info_length : ES_Info_length 바로 뒤에 있는 descriptor 길이의 바이트 수를 나타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할당 테이블 및 프로그램 매핑 테이블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프로그램 항당 테이블(610)은 상기 도 4의 채널 정보의 항목들 중에서 'program_number', 'program_map_PID', 'number of program'의 값들로 구성한 예이다. 상기 'program_number' 항목의 값들은 제공되고 있는 채널 들의 번호(예: 5, 6, ..., 10)를 나타낸다. 상기 'program_map_PID' 항목의 값들은 제공되고 있는 채널들을 식별할 수 있는 패킷 식별자(예: 0x300, 0x400, ..., 0x800)를 나타낸다. 상기 'number of program' 항목의 값들은 각 채널들에서 제공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들의 수(예: 4, 1)를 표시한다.
프로그램 매핑 테이블(620)은 상기 도 5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항목들 중에서 'stream_type', 'elementary_PID'의 값들로 구성한 예이다. 상기 프로그램 매핑 테이블(620)은 선택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를 보여주는 테이블로써, 상기 'stream_type'항목의 값들은 선택된 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스트림이 비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스트림인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스트림인지를 나타낸다. 상기 'elementary_PID' 항목의 값들은 상기 스트림들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정보 및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이하 "TS"라 칭함)들의 예시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모든 채널들이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PAT TS는 식별자 PID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PAT TS는 프로그램들 각각에 대한 세부사항, 즉, 각각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TS이다. 상기 각 방송프로그램들은 식별자 PID100, PID200, PID300, PID900을 갖는다. 상기 PID0에서 '0'은 PAT를 포함하고 있는 스트림임을 식별하는 식별자인데, 시 PAT의 정보 시작을 알리는 PID0 식별자와 함께 PAT 정보를 포함하는 PAT stream이 반복적으로 전송된다. 도 7에 도시된 PID0 스트림을 살펴보면, 각 채널들이 제공하는 방 송 프로그램들에는 '영웅본색', '마지막황제', '셜록홈즈', '검색채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program number 1', 'program number 2', 'program number 3', 'program number 9'는 프로그램의 번호가 각각 1, 2, 3, 9라는 의미이며, 'PMT_PID=100', 'PMT_PID=200', 'PMT_PID=300', 'PMT_PID=900'은 각각의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PMT의 PID가 각각 100, 200, 300, 900이라는 의미이다. 그리고, 'number of program=1', 'number of program=4'는 각 채널들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가 1개, 4개임을 의미한다.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수가 복수가 아닌 1의 경우는 통상적으로 보내지는 하나의 화면에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경우이다. 그리고,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경우는 상기의 'number of program=4'라고 표시된 '검색채널'의 경우이다. 여기에서 '채널'이란 용어는 방송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물리채널을 의미하는 용어로써,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란 용어와 비슷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방송 프로그램'이란 용어는 상기 각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각각의 방송들을 의미한다.
상기 PID0 TS에서 '영웅본색'이 선택된다면, PMT_PID=100이므로 PID100인 PMT4를 다운받고, '마지막 황제'가 선택된다면, PMT_PID=200이므로 PID200인 PMT3을 다운받고, '셜록홈즈'가 선택된다면, PMT_PID=300이므로 PID300인 PMT2를 다운받으며, '검색채널'이 선택된다면, PMT_PID=900이므로 PID900인 PMT1을 다운받는다. 상기 PMT TS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ream type', 'elementary stream','PID'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stream type'은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이 오디오 스트림인지 비디오 스트림인지를 나타내고, 'elementary stream'은 TS의 해당 프로그램 엘리먼트(element)를 포함하는 패킷을 나타내며, 'PID'는 해당 프로그램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TS의 식별자이다. 도 7에 도시된 예들 중에서 하나의 화면에서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제공하는 PID900인 경우를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ID900이란 TS에서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는 모두 4개이므로, 하나의 화면에서 4개의 방송 프로그램들이 표시된다. 그리고, 'elementary type'이 모두 'Video'이므로 비디오만을 제공하는 스트림들이고, 각각의 방송 프로그램들인 'video1'은 'PID901'이라 표시된 TS에, 'video2'는 'PID902'이라 표시된 TS에, 'video3'은 'PID903'이라 표시된 TS에, 'video4'는 'PID904'이라 표시된 TS에 각각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화면에 4개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도 3에 도시된 화면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기에 수신된 TS들의 디코딩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의 디코딩 과정의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도 7에 도시된 예들을 일부 이용한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810 단계에서 상기 도 1의 수신부(140)는 PAT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측으로부터 수신하고, 방송 신호 디코딩부(155)와 시스템 정보 디코딩부(165)로 상기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PAT를 포함한 신호는 상기 방송 신호 디코딩부(155)와 시스템 정보 디코딩부(165)에서 복조되고 디코딩된다. 820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 디코딩부(165)는 상기 복조되고 디코딩된 PAT를 분석한다. 분석된 PAT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예들을 이용하면 825 단계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830 단계에서는 상기 825 단계에 도시된 테이블 정보 중에서 프로그램이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이 선택된다면, 840 단계에서 수신부(140)는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PMT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신호 디코딩부(155)와 시스템 정보 디코딩부(165)로 상기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PMT를 포함한 신호는 상기 방송 신호 디코딩부(155)와 시스템 정보 디코딩부(165)에서 복조되고 디코딩된다. 850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 디코딩부(165)는 상기 복조되고 디코딩된 PMT를 분석한다. 분석된 PMT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예들을 이용하면 855 단계에서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860 단계에서 시스템 정보 디코딩부(165)는 상기 PAT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의 'number of program'(방송 프로그램의 수) 값을 확인하고, 상기 PMT에서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를 확인한다. 상기 860 단계에서 확인한 PAT의 방송 프로그램 수와 PMT의 방송 프로그램 수를 870 단계에서 비교하여, 만약 상기 PAT와 PMT의 방송 프로그램 수가 일치한다면 880 단계도 진행된다. 상기 880단계에서 상기 PMT에 표시된 방송 프로그램 모두를 디코딩한다. 이렇게 하여 855 단계에 도시된 방송 프로그램들 모두가 방송 출력 제어부(185)의 제어 하에 하나의 화면에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 870 단계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수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면, 89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 디코딩부(165)는 PMT에서 'descriptor()' 항목을 분석한다. 895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정보 디코딩부(165)는 상기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escriptor()'에 지정된 방송 프로그램의 수만큼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디코딩한다. 이렇게 디코딩된 방송 프로그램들은 방송 출력 제어부(185)의 제어 하에 방송 프로그램들이 표시부에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채널을 통해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화면에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모든 채널들이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들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8)

  1.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하나의 방송 채널을 통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로 서비스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낮은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하는 과정과,
    상기 인코딩된 비디오 스트림들을 다중화하여 상기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스트림들의 수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로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낮은 데이터 전송율은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정수배 낮은 데이터 전송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전송 방법.
  4.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하나의 방송 채널을 통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로 서비스하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낮은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디코딩하여 동시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스트림들의 수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로서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시스템 정보가 상기 디코딩 및 표시 과정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낮은 데이터 전송율은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정수배 낮은 데이터 전송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 방법.
  7.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하나의 방송 채널을 통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로 서비스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낮은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인코딩된 비디오 스트림들을 다중화하여 상기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낮은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디코딩하여 동시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스트림들의 수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로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스트림들의 수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로서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시스템 정보가 상기 디코딩 및 표시 과정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낮은 데이터 전송율은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정수배 낮은 데이터 전송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방법.
  10.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하나의 방송 채널을 통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로 서비스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을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낮은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하는 방송 인코딩부와,
    상기 인코딩된 비디오 스트림들을 다중화하여 상기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전송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스트림들의 수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로서 더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전송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낮은 데이터 전송율은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정수배 낮은 데이터 전송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전송 장치.
  13.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하나의 방송 채널을 통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로 서비스하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을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된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낮은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디코딩하는 방송 디코딩부와,
    상기 디코딩된 방송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방송 출력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스트림들의 수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로서 더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신된 시스템 정보가 상기 디코딩부 및 상기 방송 출력 제어부로 제공되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낮은 데이터 전송율은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정수배 낮은 데이터 전송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 장치.
  16. 방송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하나의 방송 채널을 통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로 서비스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낮은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하고, 상기 인코딩된 비디오 스트림들을 다중화하여 상기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낮은 데이터 전송율로 인코딩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비디오 스트림들을 디코딩하여 동시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스트림들의 수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로서 더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스트림들의 수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로서 더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신된 시스템 정보가 상기 디코딩부 및 상기 방송 출력 제어부로 제공되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낮은 데이터 전송율은 상기 정해진 데이터 전송율보다 정수배 낮은 데이터 전송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제공 장치.
KR1020060010074A 2006-02-02 2006-02-02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 KR101226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074A KR101226324B1 (ko) 2006-02-02 2006-02-02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074A KR101226324B1 (ko) 2006-02-02 2006-02-02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420A true KR20070079420A (ko) 2007-08-07
KR101226324B1 KR101226324B1 (ko) 2013-01-24

Family

ID=3860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074A KR101226324B1 (ko) 2006-02-02 2006-02-02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3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297A (ko) * 2013-08-22 2021-03-15 인터디지털 씨이 페이튼트 홀딩스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물리적 계층 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138A (ko) * 1998-07-10 2000-02-07 윤종용 디지털 영상 수신 기기의 피아이피 제어회로
JP3974712B2 (ja) * 1998-08-31 2007-09-12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用送信・受信再生方法及びディジタル放送用送信・受信再生システム並びにディジタル放送用送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放送用受信再生装置
JP2002232792A (ja) 2001-01-31 2002-08-16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送信機及び受信機
BRPI0406991A (pt) * 2003-01-28 2006-01-10 Thomson Licensing Difusão alternada de modo robust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297A (ko) * 2013-08-22 2021-03-15 인터디지털 씨이 페이튼트 홀딩스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물리적 계층 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324B1 (ko)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26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시스템에서 광역방송과 지역방송을 동시에 서비스하는 장치 및 방법과 그 방송 수신 단말기
KR100454959B1 (ko) 디지털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셋탑박스 시스템 및 그시청방법
JP4971692B2 (ja) 受信装置
US76266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implified power scan for remote control
US20070003217A1 (en) Broadcast transmitter, broadcast receiver, method of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of performing reservation-recording of broadcast signal
KR20050036526A (ko) 채널 전환 대기 시간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송스트림, 장치,방법 및 그 방송 수신 단말기
US7692727B2 (en) Channel switch control method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US20080055488A1 (en) Video channel changing
EP1761061A2 (en) Digital television signal, method of processing the same in transmitter and receiver,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digital broadcast transmitter
KR101226324B1 (ko)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
EP103975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digital broadcast signal to a second digital broadcast signal,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is signal and medium for providing a computer readable programme for processing the signal
KR100727171B1 (ko)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 정보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멀티미디어 방송 자동 접속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 및멀티미디어 방송 자동 접속 방법
KR0184052B1 (ko) 위성방송의 방송프로그램 안내방법
JP2001211441A (ja) 放送受信装置
KR100763399B1 (ko)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코덱 방법
JP2004135170A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放送コンテンツ送信方法、伝送路切換方法
KR100672319B1 (ko)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H11275546A (ja) 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並びに提供媒体
KR100900422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76257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KR100900423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00428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00427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900424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812329B1 (ko)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