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419A -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419A
KR20070078419A KR20070069573A KR20070069573A KR20070078419A KR 20070078419 A KR20070078419 A KR 20070078419A KR 20070069573 A KR20070069573 A KR 20070069573A KR 20070069573 A KR20070069573 A KR 20070069573A KR 20070078419 A KR20070078419 A KR 20070078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nveyor
organic waste
air
combust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69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1534B1 (ko
Inventor
김장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텍
Priority to KR20070069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534B1/ko
Publication of KR20070078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03B4/02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swinging or shak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8Recycling of wood or furniture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순 매립 및 소각처리되는 생활폐기물을 종류별(불연성, 가연성, 크기별, 비산무게별)로 분류하여 재활용재 및 RDF(Refused Drived Fuel; 신재생 에너지 고형 연료) 제조용으로 분류하고 나머지만 매립 또는 소각토록 함으로써 생활폐기물에 의한 매립면적이나 소각대상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토양 및 대기 환경오염을 방지토록 한 생활폐기물 분류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유기성폐기물과 비유기성폐기물로 이루어진 생활폐기물의 매립 또는 소각전에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생활폐기물을 공급하는 진동호퍼(11)와, 이 진동호퍼(11)로부터 공급받은 생활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트롬멜스크린(12)으로 이루어진 1차선별수단(1)과; 1차선별수단(1)으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폐기물을 송풍분류하여 가연물과 유기성폐기물로 분류하고,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송풍분류에 사용된 공기 일부를 가열하여 바이오처리수단(4)에 이송하는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2)과; 상기 1차 선별수단(1)에서 공급받은 비유기성폐기물을 싸이크론송풍수단(31)과 에어콘베어(32)를 이용 재차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송풍을 이용 비산무게 및 형태별로 분류후, 다단계의 선별콘베어로 분류 이송하여, R.D.F.제조수단(5)과 톱밥 및 칩제조수단(6)으로 공급하고,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송풍분류에 사용된 일부 공기를 가열하여 바이오처리수단(4)에 공급하는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 리수단(3)과; 상기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2)으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폐기물을,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2)과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으로부터 온풍을 공급받아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밀폐구조의 바이오처리수단(4)과; 상기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으로부터 공급된 R.D.F재료로 R.D.F를 제조하는 R.D.F.제조수단(5)과; 상기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으로부터 공급된 목재류를 가공하여 톱밥이나 목재칩을 제조하는 톱밥 및 칩 제조수단(6)을 포함하여 구성된 생활폐기물 전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처리방법을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생활페기물, 음압, 유기성페기물, 비유기성폐기물, 매립, 소각

Description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과 그 장치{Pre-treatment method of living wastes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단순매립 또는 소각되는 생활폐기물 등을 매립이나 소각전에 다단계 처리과정을 거쳐 종류별로 바이오에너지, 신재생에너지(R.D.F) 및 기타 재생자원으로 재차 분류하는 전처리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폐기물은 매립이나 소각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그 대부분이 처리되고 있다.
매립은 초창기에는 환경에 관한 별다른 대책 없이 단순매립에 그쳤는데, 이로인해 매립지 인근에는 악취가 확산되고, 해충이나 조류, 들쥐들이 창궐하며, 침출수로 인해 지하수와 지표수오염이 극에 달하게 되었다.
점차로 이러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매립지 바닥에는 차수 층이나 차수 막을 설치하여 침출수의 누출을 막고, 매일복토와 중간복토 등을 통해 악취의 확산을 막거나 좀 더 진전되면 매립가스를 강제적으로 추출하여 소각하는 정도로 조치가 취해졌다.
또한 소각에 의한 방법은 초창기에는 매립장 인근에서 단순 소각하였는데, 이로 인해 소각장 주변의 악취와 대기 환경의 오염문공해 문제가 발생함으로 인해 점차로 대기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병합발전소 등에서 소각하는 추세이다.
생활폐기물을 매립하는 경우 많은 량의 폐기물을 일시에 처리하기 위한 대규모의 부지가 확보 및 매립 비용 그리고 안정화되기 전까지 침출수 등으로 인한 토양환경 문제 등이 있고,
소각 처리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적은 부지 내에서의 생활폐기물 처리가 가능하나 과도한 설비비용은 물론 소각 잔재의 처리도 매립에 의존해야 하고, 소각에 따른 대기 환경의 문제 등이 있다.
하지만, 현재 매립이나 소각방법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무엇보다도 매립지나 소각장 인근 주민들의 민원 때문에 더 이상 추가적인 매립지나 열병합발전소와 같은 소각장 부지를 확보하기가 힘들다는데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최종 처분되는 폐기물의 양을 줄이고 폐기물 중에서 재활용 가능한 자원을 회수할 수 있는 전(前)처리시설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매립량을 줄이거나 소각량을 줄여야 하는데, 이러한 생활쓰레기가 대부분 집에서 분류됨으로써 각 가정의 생활폐기물 저감 노력이나 정확한 분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그와 같은 목적이 달성되기 어렵게 된다.
결국 매립지나 소각장에서 최종 매립이나 소각 전에 생활폐기물을 다시 한번 분류처리해야 하나, 이를 기계적으로 처리하기가 어려워 손에 의한 선택분류 정도만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그냥 매립하거나 소각할수 밖에 없어 효율적인 분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생활폐기물 속에는 RDF(Refused Drived Fuel; 신재생 에너지 고형 연료)로 활용될 수 있는 비닐이나 플라스틱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철재류 등의 재활용재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더더욱 매립이나 소각전의 전처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RDF는 무연탄보다 열량이 높고, 값도 저렴해 산업체나 공공기관의 대체연료와 난방연료로도 손색이 없는 자원이다. 이에 따라 최근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RDF를 이용한 난방연료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어서 그 시장성 또한 매우 밝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생활폐기물 연료화 시설에 공급될 비닐이나 플라스틱의 분류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나 아직까지 체계적인 분류 시설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 매립 및 소각처리되는 생활폐기물을 종류별(불연성, 가연성, 크기별, 비산무게별)로 분류하여 재활용재 및 RDF(Refused Drived Fuel; 신재생 에너지 고형 연료) 제조용으로 분류하고 나머지만 매립 또는 소각토록 함으로써 생활폐기물에 의한 매립면적이나 소각대상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토양 및 대기 환경오염을 방지토록 한 생활폐기물 분류 방 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생활쓰레기를 전처리하면서 발생되는 악취문제와 유기성 폐기물의 속성발효를 위해 생활쓰레기를 송풍 분류하면서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도록 순환하는 일부 공기를 가열후 밀폐구조의 바이오처리공정에 공급함으로써, 생활쓰레기를 송풍분류시 발생하는 악취발생을 방지하고,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를 촉진하도록 하는 생활폐기물 분류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유기성폐기물과 비유기성폐기물로 이루어진 생활폐기물의 매립 또는 소각전에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생활폐기물을 공급하는 진동호퍼와, 이 진동호퍼로부터 공급받은 생활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트롬멜스크린으로 이루어진 1차선별수단과;
1차선별수단으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폐기물을 송풍분류하여 가연물과 유기성폐기물로 분류하고,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송풍분류에 사용된 공기 일부를 가열하여 밀페된 구조의 바이오처리수단에 이송하는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과;
상기 1차 선별수단에서 공급받은 비유기성폐기물을 싸이크론송풍수단과 에어 콘베어를 이용 재차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송풍을 이용 비산무게 및 형태별로 분류후, 다단계의 선별콘베어로 분류 이송하여, R.D.F.제조수단과 톱밥 및 칩제조수단으로 공급하고,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송풍분류에 사용된 일부 공기를 가열하여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수단에 공급하는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과;
상기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으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폐기물을,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과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으로부터 악취를 포함한 온풍을 공급받아 유기성폐기물의 분해가 촉진되도록 구성한 밀폐구조의 바이오처리수단과;
상기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으로부터 공급된 R.D.F재료로 R.D.F를 제조하는 R.D.F.제조수단과;
상기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목재류를 가공하여 톱밥이나 목재칩을 제조하는 톱밥 및 칩 제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전처리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유기성폐기물과 비유기성폐기물로 이루어진 생활폐기물을 매립 또는 소각전에 처리하는 방법은,
집하된 생활폐기물이 매립장으로 반입되면, 집게나 버켓이 부착된 굴삭기 등의 중장비로부터 생활쓰레기를 공급받는 진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진동호퍼와, 이 진공호퍼로부터 공급된 생활쓰레기를 유기성폐기물과, 비유기성폐기물을 크기별로 분류하는 1차 선별공정과;
상기 1차 선별공정에서 배출된 유기성폐기물을 재차 가연물과 유기성폐기물로 송풍분류하고, 이때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일부 공기를 가열하여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공정에 공급하는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공정과;
상기 1차 선별공정에서 트롬멜스크린을 통과한 생활쓰레기 중 비유기성폐기물을 재차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송풍에 의한 비산무게 및 형태별로 분류하고, 이때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일부 공기를 가열하여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공정에 공급하는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공정과;
상기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공정과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공정으로부터 가열된 온풍을 공급받아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밀폐구조의 바이오처리공정과;
상기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공정으로부터 분리되어 공급된 R.D.F재료로 RDF를 제조하는 R.D.F.제조공정과;
상기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공정으로부터 분리되어 공급된 목재류를 가공하여 톱밥이나 목재칩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 단순매립되거나 소각되던 생활폐기물을 종류별(불연성, 가연성, 크기별, 비산무게별)로 분류하여 재활용재 및 RDF(Refused Drived Fuel; 신재생 에너지 고형 연료) 제조용으로 분류하고 나머지만 매립 또는 소각토록 함으로써 생활폐기물에 의한 매립면적이나 소각대상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토양 및 대기 환경오염을 방지토록 한 장점과;
또한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송풍분류시 사용되는 공기의 일부를 가열 후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공정에 공급함으로써 생활쓰레기를 송풍분류시 발생되는 악취를 획기적으로 저감하고, 바이오공정의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를 촉진토록 한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공정을 보인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1차 가연물 분리 및 악취제거공정 중 송풍분류수단과 바이오 처리공정에 공급하는 열풍공급수단을 보인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풍력에 의한 가연성, 불연성재의 분리공정 중 송풍분류수단과 바이오 처리공정에 공급하는 열풍공급수단을 보인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유기성폐기물과 비유기 성폐기물로 이루어진 생활폐기물을 진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진동호퍼(11)와, 이 진동호퍼(11)로부터 공급받은 생활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하부로 배출되는 작은크기의 유기성폐기물과 끝단으로 배출되는 큰 크기의 비유기성폐기물로 원형선별하는 트롬멜스크린(12)으로 이루어진 1차선별수단(1)과;
1차선별수단(1)의 트롬멜스크린(12) 전단부 하부에 설치된 유기성폐기물이송콘베어(13)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폐기물을 송풍분류하여 가연물은 싸이크론송풍수단(21)으로 수거하고, 유기성폐기물은 유기성폐기물이송콘베어(13) 끝단 하부에 설치된 하부콘베어(22) 및 하부콘베어(22) 끝단 하부에 설치된 바이오처리공정이송용콘베어(23)로 바이오처리수단(4)으로 배출하고,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싸이크론송풍수단(21)에 사용된 공기 일부를 분지시켜 열풍기(24)로 가열하여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수단(4)에 이송된 유기성폐기물에 공급하는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2)과;
상기 1차 선별수단(1)에서 트롬멜스크린(12)을 통과한 생활쓰레기 중 비유기성폐기물을 싸이크론송풍수단(31)과 에어콘베어(32)를 이용 재차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송풍을 이용 비산무게 및 형태별로 분류후 다단계의 선별콘베어로 분류 이송하여, R.D.F.제조수단(5)과 톱밥 및 칩제조수단(6)으로 공급하고,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싸이크론송풍수단(31)에 사용된 일부 공기를 분지시켜 열풍기(33)로 가열하여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수단(4)에 공급하는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과;
상기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2)으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폐기물을,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2)과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의 열풍기(24, 33)로부터 온풍을 공급받아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바이오처리수단(4)과;
상기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으로부터 공급된 R.D.F재료로 R.D.F를 제조하는 R.D.F.제조수단(5)과;
상기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으로부터 공급된 목재류를 가공하여 톱밥이나 목재칩을 제조하는 톱밥 및 칩 제조수단(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2)과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은 개방된 구조로 악취발생시 대기중으로 확산되게 되는데, 싸이크론송풍수단( 21, 31)으로부터 분지된 관을 통해 일부가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바이오처리수단(4)으로 배출됨으로써 베루누이 정리에 의해 유속이 빠른 곳에 형성되는 음(-)압에 의해 대기중으로 확산되려는 악취가 빨려들어가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바이오처리수단(4)으로 모이게 됨으로써 대기중으로의 확산이 방지되어 악취가 제거되게 된다.
상기 트롬멜스크린(12)은 하부로 배출되는 작은크기의 유기성폐기물과 끝단으로 배출되는 큰 크기의 비유기성폐기물로 원형선별하는데, 이때 트롬멜스크린에 형성된 타공의 크기는 원하는 분류 크기로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큰 크기와 작은크기는 상대적인 크기이다. 단 그 크기는 공급되는 유기성폐기물과 비유기성폐기물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상기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수단(4)은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이 본 발명의 1차선별수단(1) 다음 단계에 연속되게 구비되면 족하고, 또한 그러한 바이오처리수단(4)이 본 발명의 1차선별수단(1)과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으로부터 악취가 포함된 온풍을 공급받아 발효 등의 절차를 거치는 구성을 가지면 족한 것으로, 구체적인 바이오처리수단 즉, 이를 발효하여 이용하여 사료로 쓰던, 퇴비로 쓰건, 메탄가스 추출용으로 쓰던 그것은 공지의 것을 사용하면 되므로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바이오처리수단(4)은 밀폐구조 내에서 발효 등의 처리를 거치는 것으로 온풍과 함께 공급된 악취가 대기중으로 방출되지 않는다.
물론 밀폐구조 내에서 발생되는 메탄가스 등은 밀폐구조가 폭발하지 않도록 수거하여 활용토록 처리함으로써 해결된다.
상기 톱밥 및 칩 제조수단(6)은 목재류를 이용하여 톱밥 및 칩 제조수단이 본 발명의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 다음 단계에 연속되게 구비되면 족하고, 구체적인 제조수단이나 제조품은 공지의 것을 사용하면 되므로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R.D.F.제조수단(5)은 R.D.F.를 제조할 수 있는 수단이 본 발명의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 다음 단계에 연속되게 구비되면 족하고, 구체적인 제조수단이나 R.D.F.자체는 공지의 것을 사용하면 되므로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톱밥 및 칩 제조수단(6)은 목재류를 이용하여 톱밥 및 칩 제조수단이 본 발명의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 다음 단계에 연속되게 구비되면 족하고, 구체적인 제조수단이나 제조품은 공지의 것을 사용하면 되므로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1차 선별수단(1)에서 진동호퍼(11)의 끝단에 설치되어 진동호퍼에서 트롬멜스크린(12)으로 투입시 봉투 등을 회전하면서 파봉하는 슈레이더(막대모양의 칼날이 다수 부착된 회전체, 미도시됨)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슈레이더는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2가지 크기의 막대칼날 모양을 회전시키면서 봉투 등을 파봉하는 장치이다.
상기 1차 선별수단에서 트롬멜스크린(12) 내부는 트롬멜스크린(12) 길이 전반부에 칼날 모양의 돌기(미도시됨)를 부착하여 진동호퍼(11)에서 미쳐 파봉 되지못한 봉투 등을 트롬멜스크린이 회전하면서 유기물 등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파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2)의 싸이크론송풍수단(21)은 유기성폐기물을 송풍하는 송풍노즐(211)과; 송풍노즐(211)에 의해 비산된 가연물을 흡입하는 흡입노즐(212)과; 흡입노즐에 의해 흡입된 가연물을 저장하는 싸이크론(213)과; 사이크론에 흡입공기를 공급하는 흡입덕트(214)와; 흡입덕트에(214)에 흡입력을 제공하고, 송풍노즐(211)과 연결된 공기덕트(215)에 송풍공기를 제공하는 송풍기(216)로 구성된다.
상기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은 트롬멜스크린(12)을 통과한 비유기성폐기물이 트롬멜스크린(12)의 끝단 하부에 설치된 트롬멜 배출콘베어(14)를 통해 배출되면 그 낙하지점에 설치된 싸이크론송풍수단(31)에 의해 송풍되어 비산되지 않은 생활쓰레기를 이송하는 1차 선별콘베어(34)와,
비산된 생활쓰레기 및 바람을 가이드하는 에어콘베어(32)를 통과 후 낙하한 생활쓰레기를 이송하는 2차선별콘베어(35)와;
2차 선별콘베어를 지나 낙하한 R.D.F.재료용 가연물을 R.D.F.제조수단(5)으로 이송하는 3차 가연물배출콘베어(36)로 구성된다.
상기 1차 선별콘베어(34)는 하부에는 R.D.F.재료용 가연물을 R.D.F.제조수단(5)으로 이송하는 4차 가연물배출콘베어(37)와 톱밥 및 칩제조수단(6)으로 분류된 목재류를 이송하는 5차 나무류 배출 콘베어(38)가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상기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의 싸이크론송풍수단(31)은 트롬멜배출콘베어 끝단 하부에서 비유기성폐기물을 송풍하는 송풍노즐(311)과; 송풍노즐(311)에 의해 비산된 가연물이 에어콘베어(32)를 지나 비산하면 이를 흡입하는 흡입노즐(312)과; 흡입노즐에 의해 흡입된 가연물을 저장하는 싸이크론(313)과; 사이크론에 흡입공기를 공급하는 흡입덕트(314)와; 흡입덕트에(314)에 흡입력을 제공하고, 송풍노즐(311)과 연결된 공기덕트(315)에 송풍공기를 제공하는 송풍기(316)로 구성된다.
상기 유기성폐기물이송콘베어(13) 및 1, 2차 선별콘베어(34, 35)를 구동하는 드럼을 자석드럼(131, 341, 351)으로 설치하여 배출되는 폐기물에서 철재류 등을 최종적으로 분리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생활쓰레기 처리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집하된 생활폐기물이 매립장으로 반입되면, 집게나 버켓이 부착된 굴삭기 등의 중장비로부터 생활쓰레기를 진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받는 진동호퍼(11)와, 이 진공호퍼로부터 공급된 생활쓰레기를 유기성폐기물과, 비유기성폐기물을 크기별로 분류하는 1차 선별공정과;
상기 1차 선별공정에서 배출된 유기성폐기물을 재차 가연물과 유기성폐기물 로 송풍분류하고,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일부 공기를 가열하여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공정에 공급하는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공정과;
상기 1차 선별공정에서 트롬멜스크린(12)을 통과한 생활쓰레기 중 비유기성폐기물을 재차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송풍에 의한 비산무게 및 형태별로 분류하고,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일부 공기를 가열하여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공정에 공급하는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공정과;
상기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공정과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공정으로부터 가열된 온풍을 공급받아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공정과;
상기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공정으로부터 분리되어 공급된 R.D.F재료로 RDF를 제조하는 R.D.F.제조공정과;
상기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공정으로부터 분리되어 공급된 목재류를 가공하여 톱밥이나 목재칩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선별공정에서 진동호퍼(11) 끝단에 설치되어 트롬멜스크린(12)으로 투입하는 과정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슈레이더(막대모양의 칼날이 다수 부착된 회전체)로 봉투 등을 파봉해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차 선별공정에서 트롬멜스크린(12) 내부는 트롬멜스크린(12) 길이 중 전반부에 칼날 모양의 돌기를 부착하여 진동호퍼(11)에서 미쳐 파봉 되지못한 봉투 등을 스크린이 회전하면서 유기물 등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파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9M 길이의 트롬멜스크린(12) 전반부 3M에 칼날 모양의 돌기를 부착하여 진동호퍼(11)에서 미쳐 파봉 되지못한 봉투 등을 스크린이 회전하면서 유기물 등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파봉하게 한다.
상기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공정은 1차 선별공정 중 트롬멜스크린(12)에서 일정크기 이하의 크기를 가져 트롬멜스크린(12)의 전단부 하부에 위치한 유기성폐기물이송콘베어(13)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의 낙하지점에 송풍노즐을 통해 바람을 토출하여 낙하하는 유기성 폐기물 중 바람에 날리는 가연물은 흡입노즐을 통해 싸이크론으로 흡입분리하고, 바람에 날리지 않는 무게를 가진 유기성폐기물은 유기성폐기물이송콘베어(13) 끝단 하부에 설치된 하부콘베어를 통해 이송 후, 그 끝단 하부에 설치된 바이오처리공정 이송용 콘베어를 통해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싸이크론으로 흡입되는 기 사용된 공기는 싸이크론의 상부 통로를 통해 공기덕트를 경유 송풍노즐로 순환시키되, 공기덕트의 일지점을 분지시켜 열풍기로 공급하여 열풍기가 순환공기를 가열하여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공정에 공급토록 구성한다.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 처리공정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의해 음(-)압이 형성되어 이전단계의 악취가 온풍공기와 함께 유기성폐기물의 낙하지점에 공급된다. 즉, 속도 때문에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이 발생되어 악취가 모이게 됨으로써 대기중으로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 공정으로 모이게 되고, 온풍은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를 촉진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공정은 트롬멜스크린(12)을 통과한 폐기물이 트롬멜스크린(12)의 끝단 하부에 설치된 트롬멜 배출콘베어를 통하여 배출되면 그 낙하지점에 설치된 송풍노즐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생활쓰레기가 비산하게 되는데, 그 비산무게 및 형태에 따라 비산되지 않은 생활쓰레기를 이송하는 1차 선별콘베어와, 비산된 생활쓰레기 및 바람을 가이드하는 에어콘베어를 통과 후 낙하한 생활쓰레기를 이송하는 2차선별콘베어와, 2차 선별콘베어를 지나 낙하한 R.D.F.재료용 가연물을 R.D.F.제조공정으로 이송하는 3차 가연물배출콘베어로 구성된다.
이때 2차선별콘베어를 지나 낙하한 폐기물 중 가벼운 가연물은 3차 가연물배출콘베어로 낙하하기 전에 흡입노즐을 통해 싸이크론으로 흡입분리된다. 또한 싸이크론으로 흡입되는 기 사용된 공기는 싸이크론의 상부 통로를 통해 공기덕트를 경유 송풍노즐로 순환시키되, 공기덕트의 일지점을 분지시켜 열풍기로 공급하여 열풍기가 순환공기를 가열하여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공정처럼 바이오처리공정에 공급토록 구성한다.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 처리공정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의해 음(-)압이 형성되어 이전단계의 악취가 온풍공기와 함께 유기성폐기물의 낙하지점에 공급된다. 즉, 속도 때문에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이 발생되어 악취가 모이게 됨으로써 대기중으로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 공정으로 모이게 되고, 온풍은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를 촉진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1차 선별콘베어 하부에는 4차 가연물배출콘베어와 5차 나무류 배출 콘베어가 설치되는데, 4차 가연물배출콘베어는 R.D.F.재료용 가연물을 R.D.F.제조공정으로 이송하고, 5차 나무류 배출 콘베어는 모재류를 톱밥이나 목재칩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4차 가연물배출콘베어와 5차 나무류 배출 콘베어는 2차 선별콘베어 하부를 지나면서 2차 선별콘베어에서 재차 분류되는 R.D.F.재료용 가연물 또는 목재류를 각각 이송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제 1차 선별콘베어 및 5차나무류 배출 콘베어에서 분류되는 폐기물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1차선별콘베어를 통해서는 무거운 폐기물(가전제품, 병(유리), 비철금속, 철재류, 젖은 나무 등)은 1차 선별콘베어를 통하여 배출되고,
2차선별콘베어를 통해서는 무거우나 면적이 넓은 폐기물(섬유, 피혁, 고무, 나무 등)은 풍력에 의하여 배출되면서 에어 콘베어 하부로 낙하하여 배출된다.
3차선별콘베어를 통해서는 비교적 가벼운 폐기물인 가연성 폐기물(비닐, 스티로품, 지류 등)이 배출된다.
상기 과정에서 필요(재활용 용도)에 따라 인력으로 재차 분류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선별 콘베어를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4차와 5차 선별콘베어를 통해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3,4차 가연물 배출콘베어를 통하여 배출되는 가연물은 파쇄과정을 거쳐서 R.D.F를 제조하여 에너지 자원으로 회수하게 된다.
상기 5차 나무 배출콘베어를 통하여 배출되는 목재류는 목재파쇄로 파쇄하여 톱밥이나 칩을 제조하여 재활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기성폐기물이송콘베어(13) 및 1, 2차 선별콘베어를 구동하는 드럼을 자석드럼으로 설치하여 배출되는 폐기물에서 철재류 등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폐기물 중 자원 회수율이 더 높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공정을 보인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1차 가연물 분리 및 악취제거공정 중 송풍분류수단과 바이오 처리공정에 공급하는 열풍공급수단을 보인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풍력에 의한 가연성, 불연성재의 분리공정 중 송풍분류수단과 바이오 처리공정에 공급하는 열풍공급수단을 보인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1차선별수단
(2) :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
(3) :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
(4) : 바이오처리수단
(5) : R.D.F.제조수단
(6) : 톱밥 및 칩 제조수단
(11) : 진동호퍼
(12) : 트롬멜스크린
(13) : 유기성폐기물이송콘베어
(14) : 트롬멜 배출콘베어
(21) : 싸이크론송풍수단
(22) : 하부콘베어
(23) : 바이오처리공정이송용콘베어
(24, 33) : 열풍기
(31) : 싸이크론송풍수단
(32) : 에어콘베어
(34) : 1차 선별콘베어
(35) : 2차선별콘베어
(36) : 3차 가연물배출콘베어
(37) : 4차 가연물배출콘베어
(38) : 5차 나무류 배출 콘베어
(131, 341, 351) : 자석드럼
(211, 311) : 송풍노즐
(212, 312) : 흡입노즐
(213, 313) : 싸이크론
(214, 314) : 흡입덕트
(215, 315) : 공기덕트
(216, 316) : 송풍기

Claims (18)

  1. 유기성폐기물과 비유기성폐기물로 이루어진 생활폐기물의 매립 또는 소각전에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생활폐기물을 공급하는 진동호퍼(11)와, 이 진동호퍼(11)로부터 공급받은 생활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트롬멜스크린(12)으로 이루어진 1차선별수단(1)과;
    1차선별수단(1)으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폐기물을 송풍분류하여 가연물과 유기성폐기물로 분류하고,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송풍분류에 사용된 공기 일부를 가열하여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수단(4)에 이송하는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2)과;
    상기 1차 선별수단(1)에서 공급받은 비유기성폐기물을 싸이크론송풍수단(31)과 에어콘베어(32)를 이용 재차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송풍을 이용 비산무게 및 형태별로 분류 후, 다단계의 선별콘베어로 분류 이송하여, R.D.F.제조수단(5)과 톱밥 및 칩제조수단(6)으로 공급하고,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송풍분류에 사용된 일부 공기를 가열하여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수단(4)에 공급하는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과;
    상기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2)으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폐기물을,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2)과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으로부터 악취가 포함된 온풍을 공급받아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수 단(4)과;
    상기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으로부터 공급된 R.D.F재료로 R.D.F를 제조하는 R.D.F.제조수단(5)과;
    상기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으로부터 공급된 목재류를 가공하여 톱밥이나 목재칩을 제조하는 톱밥 및 칩 제조수단(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선별수단(1)은 유기성폐기물과 비유기성폐기물로 이루어진 생활폐기물을 진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진동호퍼(11)와, 이 진동호퍼(11)로부터 공급받은 생활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하부로 배출되는 유기성폐기물과 끝단으로 배출되는 비유기성폐기물로 원형선별하는 트롬멜스크린(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2)은 1차선별수단(1)의 트롬멜스크린(12) 전단부 하부에 설치된 유기성폐기물이송콘베어(13)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폐기물을 송풍분류하여 가연물은 싸이크론송풍수단(21)으로 수거하고, 유기성폐기물은 유기성폐기물이송콘베어(13) 끝단 하부에 설치된 하부콘베어(22) 및 하부콘베어(22) 끝단 하부에 설치된 바이오처리공정이송용콘베어(23)로 바이오처리수단(4)으로 배출하고,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싸이크론송풍수 단(21)에 사용된 공기 일부를 분지시켜 열풍기(24)로 가열하여 바이오처리수단(4)에 이송된 유기성폐기물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은 1차 선별수단(1)에서 트롬멜스크린(12)을 통과한 생활쓰레기중 비유기성폐기물을 싸이크론송풍수단(31)과 에어콘베어(32)를 이용 재차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송풍을 이용 비산무게 및 형태별로 분류후, 다단계의 선별콘베어로 분류 이송하여, R.D.F.제조수단(5)과 톱밥 및 칩제조수단(6)으로 공급하고,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싸이크론송풍수단(31)에 사용된 일부 공기를 분지시켜 열풍기(33)로 가열하여 바이오처리수단(4)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이오처리수단(4)은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2)으로부터 공급받은 유기성폐기물을, 1차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2)과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의 열풍기(24, 33)로부터 악취가 포함된 온풍을 공급받아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선별수단(1)에서 진동호퍼(11)의 끝단에 설치되어 진동호퍼에서 트롬멜스크린(12)으로 투입시 봉투 등을 회전하면서 파봉하는 슈레이더(막대모양의 칼날이 다수 부착된 회전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장치.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선별수단에서 트롬멜스크린(12) 내부는 트롬멜스크린(12) 길이 중 전반부에 칼날 모양의 돌기를 부착하여 진동호퍼(11)에서 미쳐 파봉 되지못한 봉투 등을 트롬멜스크린이 회전하면서 유기물 등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파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장치.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수단(2)의 싸이크론송풍수단(21)은 유기성폐기물을 송풍하는 송풍노즐(211)과; 송풍노즐(211)에 의해 비산된 가연물을 흡입하는 흡입노즐(212)과; 흡입노즐에 의해 흡입된 가연물을 저장하는 싸이크론(213)과; 사이크론에 흡입공기를 공급하는 흡입덕트(214)와; 흡입덕트에(214)에 흡입력을 제공하고, 송풍노즐(211)과 연결된 공기덕트(215)에 송풍공기를 제공하는 송풍기(2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장치.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은 트롬멜스크린(12)을 통과한 비유기성폐기물이 트롬멜스크린(12)의 끝단 하부에 설치된 트롬멜 배출콘베어(14)를 통해 배출되면 그 낙하지점에 설치된 싸이크론송풍수단(31)에 의해 송풍되어 비산되지 않은 생활쓰레기를 이송하는 1차 선별콘베어(34)와;
    비산된 생활쓰레기 및 바람을 가이드하는 에어콘베어(32)를 통과 후 낙하한 생활쓰레기를 이송하는 2차선별콘베어(35)와;
    2차 선별콘베어를 지나 낙하한 R.D.F.재료용 가연물을 R.D.F.제조수단(5)으로 이송하는 3차 가연물배출콘베어(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선별콘베어(34)는 하부에는 R.D.F.재료용 가연물을 R.D.F.제조수단(5)으로 이송하는 4차 가연물배출콘베어(37)와 톱밥 및 칩제조수단(6)으로 분류된 목재류를 이송하는 5차 나무류 배출 콘베어(38)가 더 포함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장치.
  8.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수단(3)의 싸이크론송풍수단(31)은 트롬멜배출콘베어 끝단 하부에서 비유기성폐기물을 송풍하는 송풍노즐(311)과; 송풍노즐(311)에 의해 비산된 가연물이 에어콘베어(32)를 지나 비산하면 이를 흡입하는 흡입노즐(312)과; 흡입노즐에 의해 흡입된 가연물을 저장하는 싸이크론(313)과; 사이크론에 흡입공기를 공급하는 흡입덕트(314)와; 흡입덕트에(314)에 흡입력을 제공하고, 송풍노즐(311)과 연결된 공기덕트(315)에 송풍공기를 제공하는 송풍기(3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폐기물이송콘베어(13) 및 1, 2차 선별콘베어(34, 35)를 구동하는 드럼을 자석드럼(131, 341, 351)으로 설치하여 배출되는 폐기물에서 철재류 등을 최종적으로 분리하도록 구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장치.
  10. 유기성폐기물과 비유기성폐기물로 이루어진 생활폐기물을 매립 또는 소각전에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집하된 생활폐기물이 매립장으로 반입되면, 집게나 버켓이 부착된 굴삭기 등 의 중장비로부터 생활쓰레기를 공급받는 진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진동호퍼(11)와, 이 진공호퍼로부터 공급된 생활쓰레기를 유기성폐기물과, 비유기성폐기물을 크기별로 분류하는 1차 선별공정과;
    상기 1차 선별공정에서 배출된 유기성폐기물을 재차 가연물과 유기성폐기물로 송풍분류하고,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일부 공기를 가열하여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공정에 공급하는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공정과;
    상기 1차 선별공정에서 트롬멜스크린(12)을 통과한 생활쓰레기 중 비유기성폐기물을 재차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송풍에 의한 비산무게 및 형태별로 분류하고,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일부 공기를 가열하여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공정에 공급하는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공정과;
    상기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공정과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공정으로부터 악취가 포함되어 가열된 온풍을 공급받아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공정과;
    상기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공정으로부터 분리되어 공급된 R.D.F재료로 RDF를 제조하는 R.D.F.제조공정과;
    상기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공정으로부터 분리되어 공급된 목재류를 가공하여 톱밥이나 목재칩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선별공정에서 진동호퍼(11)에서 트롬멜스크린(12)으로 투입하는 과정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슈레이더(막대모양의 칼날이 다수 부착된 회전체)로 봉투 등을 파봉해서 이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선별공정에서 트롬멜스크린(12) 내부는 트롬멜스크린(12) 길이 중 전반부에 칼날 모양의 돌기를 부착하여 진동호퍼(11)에서 미쳐 파봉 되지못한 봉투 등을 스크린이 회전하면서 유기물 등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파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물분리 및 악취제거공정은 1차 선별공정 중 트롬멜스크린(12)에서 일정크기 이하의 크기를 가져 트롬멜스크린(12)의 전단부 하부에 위치한 유기성폐기물이송콘베어(13)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의 낙하지점에 송풍노즐을 통해 바람을 토출하여 낙하하는 유기성 폐기물 중 바람에 날리는 가연물은 흡입노즐 을 통해 싸이크론으로 흡입분리하고, 바람에 날리지 않는 무게를 가진 유기성폐기물은 유기성폐기물이송콘베어(13) 끝단 하부에 설치된 하부콘베어를 통해 이송 후, 그 끝단 하부에 설치된 바이오처리공정 이송용 콘베어를 통해 바이오처리공정으로 이송하는 단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싸이크론으로 흡입되는 기 사용된 공기는 싸이크론의 상부 통로를 통해 공기덕트를 경유 송풍노즐로 순환시키되,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덕트의 일지점을 분지시켜 열풍기로 공급하여 열풍기가 순환공기를 가열하여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공정에 공급토록 구성하고,
    바이오 처리공정으로 배출된 악취를 포함한 온풍공기는 유기성폐기물의 낙하지점에 공급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를 촉진토록 한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에 의한 가연성 및 불연성 분리공정은 트롬멜스크린(12)을 통과한 폐기물이 트롬멜스크린(12)의 끝단 하부에 설치된 트롬멜 배출콘베어를 통하여 배출되면 그 낙하지점에 설치된 송풍노즐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으로 비산시켜, 그 비 산무게 및 형태에 따라 비산되지 않은 생활쓰레기를 이송하는 1차 선별콘베어와, 비산된 생활쓰레기 및 바람을 가이드하는 에어콘베어를 통과 후 낙하한 생활쓰레기를 이송하는 2차선별콘베어와, 2차 선별콘베어를 지나 낙하한 R.D.F.재료용 가연물을 R.D.F.제조공정으로 이송하는 3차 가연물배출콘베어 이송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2차선별콘베어를 지나 낙하한 폐기물 중 가벼운 가연물은 3차 가연물배출콘베어로 낙하하기전에 흡입노즐을 통해 싸이크론으로 흡입분리하며,
    싸이크론으로 흡입되는 기 사용된 공기는 싸이크론의 상부 통로를 통해 공기덕트를 경유 송풍노즐로 순환시키되, 음(-)압을 형성시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덕트의 일지점을 분지시켜 열풍기로 공급하여 열풍기가 순환공기를 가열하여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처리공정에 공급토록 구성하고,
    밀폐된 구조의 바이오 처리공정으로 배출된 온풍공기는 유기성폐기물의 낙하지점에 공급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를 촉진토록 한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선별콘베어 하부에는 4차 가연물배출콘베어와 5차 나무류 배출 콘베어를 설치하여, 4차 가연물배출콘베어는 R.D.F.재료용 가연물을 R.D.F.제조공정으로 이송하고, 5차 나무류 배출 콘베어는 모재류를 톱밥이나 목재칩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송하게 하고, 4차 가연물배출콘베어와 5차 나무류 배출 콘베어는 2차 선별콘베어 하부를 지나면서 2차 선별콘베어에서 재차 분류되는 R.D.F.재료용 가연물 또는 목재류를 각각 이송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폐기물이송콘베어(13) 및 1, 2차 선별콘베어를 구동하는 드럼을 자석드럼으로 설치하여 배출되는 폐기물에서 철재류 등을 분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
KR20070069573A 2007-07-11 2007-07-11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100801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9573A KR100801534B1 (ko) 2007-07-11 2007-07-11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9573A KR100801534B1 (ko) 2007-07-11 2007-07-11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419A true KR20070078419A (ko) 2007-07-31
KR100801534B1 KR100801534B1 (ko) 2008-02-12

Family

ID=3850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69573A KR100801534B1 (ko) 2007-07-11 2007-07-11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5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517B1 (ko) * 2008-07-17 2008-11-03 주식회사 신텍 가연성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분리선별 장치와 그 방법
KR20180038204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폐기물의 수분 저감 건조장치
CN108176703A (zh) * 2018-02-11 2018-06-19 武汉凯迪工程技术研究总院有限公司 多元废弃物无害化处理方法及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247B1 (ko) * 2010-02-12 2011-01-21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건설폐기물의 가연성폐기물 선별 방법
KR101087261B1 (ko) * 2010-05-12 2011-11-29 주식회사 신텍 정밀선별 공정과 분진 및 악취 회수공정을 포함하는 매립폐기물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533288B1 (ko) * 2015-02-23 2015-07-03 주식회사 신텍 고형연료제품 제조를 위한 매립 또는 생활 폐기물의 선별 방법
KR101717722B1 (ko) * 2016-08-02 2017-03-20 주식회사 신텍 사전 안정화시킨 매립 폐기물 및 신규 생활폐기물을 이용한 srf 생산방법
KR20220008154A (ko) 2020-07-13 2022-01-20 강용석 소각 시스템용 전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9576B2 (ja) * 1996-02-28 1999-02-17 株式会社御池鐵工所 廃棄物の固形燃料化リサイクルプラント
KR100407539B1 (ko) 2001-01-02 2003-12-01 권병훈 폐기물 쓰레기의 선별장치
JP2002220594A (ja) 2001-01-26 2002-08-09 Nkk Corp ごみ固形燃料化施設脱臭方法及びごみ固形燃料化施設
KR20020080541A (ko) * 2001-04-16 2002-10-26 주식회사 명현엔지니어링 폐기물 고형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517B1 (ko) * 2008-07-17 2008-11-03 주식회사 신텍 가연성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분리선별 장치와 그 방법
KR20180038204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폐기물의 수분 저감 건조장치
CN108176703A (zh) * 2018-02-11 2018-06-19 武汉凯迪工程技术研究总院有限公司 多元废弃物无害化处理方法及其系统
CN108176703B (zh) * 2018-02-11 2023-10-27 武汉凯迪工程技术研究总院有限公司 多元废弃物无害化处理方法及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534B1 (ko) 200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534B1 (ko) 생활폐기물 전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100866517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분리선별 장치와 그 방법
CN102172596A (zh) 城乡生活垃圾资源化利用方法
CN101786094A (zh) 生活垃圾与污水联合处理工艺
JP2011089085A (ja) 混合廃棄物を用いた固形燃料の製造プラント
CN102889597B (zh) 生活垃圾焚烧余热干燥预处理工艺及其系统
KR101232058B1 (ko) 간접건조와 직접건조의 2단계 건조방식을 적용한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US6279748B1 (en) Process and System for the recycling of household waste
KR101272123B1 (ko)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설비시스템
CN108393336A (zh) 一种生活垃圾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KR100801530B1 (ko) 풍력을 이용한 생활폐기물 선별방법과 그 장치
CN208303478U (zh) 一种生活垃圾处理系统
KR100909894B1 (ko) 악취발생을 줄인 생활폐기물 전처리 장치와 그 방법
CN101590481A (zh) 医疗垃圾分类回收及无害化处理方法
KR100679636B1 (ko) 유기성 폐기물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20170008304A (ko) 2개의 퇴비화 사이클을 가지는, 폐기물의 혼합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087261B1 (ko) 정밀선별 공정과 분진 및 악취 회수공정을 포함하는 매립폐기물 처리방법 및 장치
CN101590482A (zh) 医疗垃圾分类灭菌处理的方法
CN111872075B (zh) 环保节能的垃圾处理方法
CN104070048B (zh) 一种生活垃圾资源化处理的方法
CN111872078B (zh) 高效的垃圾灭菌杀毒分类处理方法
WO2009095932A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on of electricity from solid municipal waste
KR100382054B1 (ko) 생활쓰레기 처리시스템
CN112264427A (zh) 一种大件垃圾破碎分选系统
CN213052049U (zh) 垃圾分类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