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338A -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338A
KR20070078338A KR1020060008573A KR20060008573A KR20070078338A KR 20070078338 A KR20070078338 A KR 20070078338A KR 1020060008573 A KR1020060008573 A KR 1020060008573A KR 20060008573 A KR20060008573 A KR 20060008573A KR 20070078338 A KR20070078338 A KR 20070078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eceptacle
terminal
switch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2617B1 (ko
Inventor
문성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617B1/ko
Publication of KR20070078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02D31/1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against upward hydraulic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커넥팅 장치는 제1접속부가 형성된 플러그와;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플러그가 수용부에 삽입되면 제1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속부를 갖는 리셉터클(receptacle); 및 플러그와 리셉터클에 설치되어 플러그가 리셉터클의 수용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삽입하거나 반대로 뺄 때 발생할 수 있는 팝 노이즈나 접촉불량으로 인한 잡음 발생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핸드폰, 휴대폰, 단말기, 이어폰, 커넥터, MMI

Description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CONNEC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커넥팅 장치만을 보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스위치가 고정단자에 대하여 온오프되는 것을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휴대 단말기 10: 단말기 본체
20: 리셉터클 21: 제2접속부
23: 절연체 24: 스위치
25: 고정단자 30: 부가장치
31: 연결 케이블 32: 이어폰
40: 플러그 41: 하우징
42: 제1접속부 44: 걸림홈
본 발명은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를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리셉터클에 꽂을 시 플러그와 리셉터클간의 완전한 접속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플러그와 신호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잡음발생이나 오작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나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중에 이를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이나 정보를 열람 또는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나이다.
최근들어 휴대 단말기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단순한 폰(Phone)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 또는 방송물과 같은 멀티미디어를 직접 생산하거나 재생 또는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는 단말기를 사용자가 직접 잡고 있지 않고서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른바 '핸즈프리 장치'나 음악을 전문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들과 같은 부가 장치는 일정한 커넥팅 장치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예를 들어 환봉형으로 되어 있는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거나, 근래에 들어 발달하기 시작한 MMI(Man Machine Interface: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커넥팅 구조로서 보다 많은 접속핀을 가지는 핀박스(pin box) 형태의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커넥팅 장치는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기구적으로 유도를 하게 되어 있으나, 삽입이 완전히 완료되지 않은 시점에서도 신호가 흐를 수 있어 이어폰이나 핸즈프리 장치를 귀에 먼저 꽂은 상태로 플러그를 연결할 경우 팝노이즈(갑자기 발생하는 잡음)와 접촉 불량으로 인한 지지직 거리는 소음을 사용자가 들어야 했다. 아울러, 삽입과정에서 플러그의 접속핀과 리셉터클의 접속핀 사이에 잘못된 접속이 이루어져 기기가 오작동할 수 있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되어 완전히 접속하기 전에는 플러그를 통하여 신호가 대상 장치에 가지 않도록 함으로서 잡음의 발생과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접속부가 형성된 플러그와;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플러그가 수용부에 삽입되면 제1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속부를 갖는 리셉터클(receptacle); 및 플러그와 리셉터클에 설치되어 플러그가 리셉터클의 수용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커넥팅 장치를 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본체에 연결되어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부가장치 및, 단말기 본체와 부가 장치에 설치되어 단말기 본체와 부가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팅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팅 장치는 부가 장치에 연결되고, 제1접속부가 형성된 플러그와; 단말기 본체에 고정되고,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플러그가 수용부에 삽입되면 제1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속부를 갖는 리셉터클; 및 플러그와 리셉터클에 설치되어 플러그가 리셉터클의 수용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와, 단말기 본체(10)에 연결되어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부가장치(30) 및, 단말기 본체(10)와 부가 장치(30)에 설치되어 단말기 본체와 부가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팅 장치로 구성된다.
단말기 본체(10)는 후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가 장착된 제1바디(11)와, 제1바디(11)에 회전되어 개폐될 수 있게 연결되고 전면에 디스플레이(14)가 설치되는 제2바디(13)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바(bar) 타입이나 슬라이드 타입 또는 여타의 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바디(11)의 하측면에는 배터리(12)에 충전을 하거나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별도의 리셉터클(receptacle)(15)이 구비될 수 있다.
부가 장치(30)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멀티 미디어 파일들을 감상하거나, 송수 화를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를 말하며, 오디오 파일(예를 들어, MP3)을 감상하기 위한 이어폰(32)이나 핸즈프리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커넥팅 장치만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넥팅 장치는 부가 장치(30)에 연결 케이블(31)에 의하여 연결되고 제1접속부(42)가 형성된 플러그(40)와, 단말기 본체(10)에 고정되고 플러그(40)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부(20a)가 형성되고 플러그(40)가 수용부(20a)에 삽입되면 제1접속부(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속부(21)를 갖는 리셉터클(20) 및, 플러그(40)와 리셉터클(20)에 설치되어 플러그(40)가 리셉터클(20)의 수용부(20a)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1접속부(42)와 제2접속부(21)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스위칭부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스위칭부는 리셉터클(20)에 고정되는 고정단자(25)와, 리셉터클(20)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장착되고 고정단자(25)와 접촉되어 신호를 주는 스위치(24)와, 플러그(40)의 하우징(41)의 측면에 형성되고 플러그(40)가 리셉터클(20)에 삽입되는 동안에는 스위치(24)가 하우징(41)에 의하여 고정단자(25)로부터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고 플러그(40)가 리셉터클(20)에 완전히 삽입되면 스위치(24)를 고정단자(25)에 접촉시켜 제1접속부(42)와 제2접속부(21)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걸림홈(4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단자(25)는 기구적으로 리셉터클(20)의 하우징 역할도 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는 리셉터클(20)의 그라운드(GND)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24)와 고정단자(25) 간의 온오프 구간을 제외한 영역에서는 스위치(24)가 고정단자(25)에 접촉되지 않도록, 스위치(24)와 리셉터클(20) 사이에는 절연체(23)가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24)는 리셉터클(20)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소정 구간 즉, 리셉터클(20)의 입구로부터 플러그(40)가 완전히 리셉터클(20)에 완전히 삽입하기까지의 거리 이내의 구간에서 플러그(40)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내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함몰부(24a)가 형성되어 있는 판스프링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24)는 플러그(40)에 의하여 고정단자(25)와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고정단자(25)와 함께 부가 장치(30)와 교환하는 신호를 제어하는 회로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홈(44)은 플러그(40)의 하우징(41)의 개구로부터 플러그(40)가 리셉터클(20)에 완전히 삽입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스위치가 고정단자에 대하여 온오프되는 것을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플러그(40)를 단말기 본체(10)에 설치된 리셉터클(20)에 삽입하기 전에는 스위치(24)는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단자(25)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플러그(40)를 리셉터클(20)에 삽입하게 되면, 플러그(40)의 측면이 리셉터클(40)의 수용부(20a)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스위치(24)의 함몰부(24a)를 양쪽으로 벌리게 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24)는 고정 단자(25)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스위치(24)로부터의 신호가 바뀌게 된다. 그러면 플러그(40)의 제1접속부(41)가 리셉터클(20)의 제2접속부(21)에 약간 접촉되어 있더라도 플러그(40)가 완전히 삽입되기 전까지는 내부의 회로부에서 어떠한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플러그(40)를 리셉터클(20)의 수용부(20a)에 완전히 삽입하게 되면, 플러그(40)의 걸림홈(44)은 스위치(24)의 함몰부(24a)에 이르게 되고, 스위치(24)와 고정단자(25)는 다시 접촉하게 되어 스위치(24)로부터의 신호가 바뀌게 된다. 그러면 차단되었던 플러그(40)의 제1접속부(41)와 리셉터클(20)의 제2접속부(21)간의 전기적으로 연결이 해제되어 서로간의 신호 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플러그(40)가 리셉터클(20)에 삽입되는 동안에는 어떠한 신호가 부가장치(30)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팝 노이즈(pop noise)나 접촉불량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할 여지가 생기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5의 상태에서 플러그(40)를 다시 리셉터클(20)로부터 빼는 경우에도, 아직 제1접속부(41)와 제2접속부(21)사이에 물리적인 이탈이 완전히 종결되기 전에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러그(40)의 측면이 스위치(24)를 고정단자(25)로부터 분리시키므로 제1접속부(41)와 제2접속부(21)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므로 플러그(40)를 리셉터클(20)로부터 빼는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잡음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플러그와 리셉터클에 플러그가 리셉터클의 수용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스위칭부가 포함된 것이므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삽입하거나 반대로 뺄 때 발생할 수 있는 팝 노이즈나 접촉불량으로 인한 잡음 발생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가 완전히 리셉터클에 삽입되기 전에는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플러그의 접속핀과 리셉터클의 접속핀 사이에 잘못된 접속이 이루어져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6)

  1. 제1접속부가 형성된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가 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제1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속부를 갖는 리셉터클(receptacle); 및
    상기 플러그와 리셉터클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가 리셉터클의 수용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커넥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리셉터클에 고정되는 고정단자와;
    상기 리셉터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단자와 접촉되어 신호를 주는 스위치와;
    상기 플러그의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되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스위치가 하우징에 의하여 고정단자로부터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스위치를 고정단자에 접촉시켜 상기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걸림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판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리셉터클의 측면에 배치되고, 소정 구간에서 상기 플러그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내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플러그의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상기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완전히 삽입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이어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핸즈프리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장치.
  9.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연결되어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부가장치 및, 상기 단말기 본체와 부가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와 부가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팅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팅 장치는,
    상기 부가 장치에 연결되고, 제1접속부가 형성된 플러그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가 수용부에 삽입되면 제1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속부를 갖는 리셉터클; 및
    상기 플러그와 리셉터클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가 리셉터클의 수용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리셉터클에 고정되는 고정단자와;
    상기 리셉터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단자와 접촉되어 신호를 주는 스위치와;
    상기 플러그의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동안에는 상기 스위치가 하우징에 의하여 고정단자로부터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스위치를 고정단자에 접촉시 켜 상기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걸림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판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리셉터클의 측면에 배치되고, 소정 구간에서 상기 플러그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내부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플러그의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상기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완전히 삽입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장치는 이어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장치는 핸즈프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60008573A 2006-01-26 2006-01-26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802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573A KR100802617B1 (ko) 2006-01-26 2006-01-26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573A KR100802617B1 (ko) 2006-01-26 2006-01-26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338A true KR20070078338A (ko) 2007-07-31
KR100802617B1 KR100802617B1 (ko) 2008-02-13

Family

ID=3850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573A KR100802617B1 (ko) 2006-01-26 2006-01-26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9958A (ko) * 2015-10-29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041B1 (ko) 2009-10-22 2011-09-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의 커넥터 체결용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787U (ko) * 1997-10-09 1999-05-06 윤종용 유에스비용 컨넥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9958A (ko) * 2015-10-29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617B1 (ko)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047B1 (ko) 이어폰 인식 장치 및 방법
RU2363079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шнур для мультимедий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EP3142195B1 (en) Earphone seat
KR101195649B1 (ko) 녹음기능을 갖는 휴대폰 스마트케이스
US20130070947A1 (en) Speaker-connector module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1431181B2 (en) Wireless sound output device with charging function
US8961242B2 (en) Connection plug for portable terminal
WO2005053289A1 (en) Accessory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70026908A1 (en) Earphone device with separabl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US6424842B1 (en) Dual function connector for cellular phones
KR200416690Y1 (ko)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US7147497B1 (en) Audio jack connector
KR100772985B1 (ko)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KR100963886B1 (ko) 멀티형 유에스비 젠더 조립체
KR100802617B1 (ko)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3909051B2 (ja) 接続ブッシュを備えるワイヤレスヘッドホン
US7956791B2 (en) Remote control device with improved shielding and grounding performance
KR20060120303A (ko)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장치
KR20040074817A (ko)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US20070090789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dual charging ports
KR20080044009A (ko) 충전 커넥터 겸용 리모콘을 구비한 이어폰
JP2006278243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EP3713248B1 (en) Device having a power adaptor and speaker devices
KR101054968B1 (ko) 휴대 단말기
CN213636366U (zh) 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