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049A - 차단벽이 권선된 하천 및 저수지용 제방 - Google Patents

차단벽이 권선된 하천 및 저수지용 제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7049A
KR20070077049A KR1020060121286A KR20060121286A KR20070077049A KR 20070077049 A KR20070077049 A KR 20070077049A KR 1020060121286 A KR1020060121286 A KR 1020060121286A KR 20060121286 A KR20060121286 A KR 20060121286A KR 20070077049 A KR20070077049 A KR 20070077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embankment
blocking wall
dike
bookkee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9997B1 (ko
Inventor
민선영
Original Assignee
(주)대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대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121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997B1/ko
Publication of KR20070077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02B3/104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with self-activ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방의 내측에 차단벽이 권선되어 있다가, 강수량의 증가로 인해 제방의 높이보다 높은 수량이 저수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상승하여 저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제방에 관한 발명으로서, 하천이나 저수지에 축조되는 제방에 있어서, 상기 제방의 내측 중도부에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중앙 회동축에 고정 결합된 탄성체의 끝단에 연설되어 제방의 상측으로 승하강하는 절첩형의 차단벽과; 상기 제방의 상단으로 인출된 차단벽의 끝단에 결합되어 제방의 상단에 위치하는 승하강 부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방에 저수된 물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게 되면,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차단벽이 상승하여 제방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의 물을 차단해 주므로 제방을 축조하기 위한 공비 및 공기가 획기적으로 줄어들며, 감시를 위한 인력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발명이다.
하천, 저수지, 제방, 보조제방, 부력

Description

차단벽이 권선된 하천 및 저수지용 제방{The embank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방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방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방의 수위가 상승하여 차단벽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방의 일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방의 차단벽이 회동축에 권선된 상태의 일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방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방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방의 수위가 상승하여 차단벽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방의 일부 평면도
<도면중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방 20 : 작동부
21 : 물배출구 30 : 차단벽
31 : 회동축 32 : 탄성체
33 : 보강대 40 : 승하강 부기
41 : 파고방지대 50 : 가이드대
51 : 지지대 52 : 가이드롤러
60 : 지지벽 70 : 걸림대
본 발명은 하천 및 저수지용 제방에 관한 것으로서, 제방의 내측에 차단벽이 권선되어 있다가, 강수량의 증가로 인해 제방의 높이보다 높은 수량이 저수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상승하여 저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제방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제방은 가뭄으로 인해 농수가 부족하거나, 홍수로 인해 물이 범람하여 마을이나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많은 물을 저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축조하고 있다.
그러나, 장마 등으로 인해 제방에 저수되는 물의 양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제방을 넘어 범람하게 되며, 인근의 마을이나 농지에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물론, 제방의 높이를 최대한 안전한 높이로 축조하게 되면, 범람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나, 그렇다고해서 무작정 제방의 높이를 높일 수만은 없는 일인 바, 이는 제방의 높이를 소정의 높이만큼 더 축조하기 위해서는 공비 및 공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증대되므로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제방에 저수되는 수량이 증가하는 경우에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제방의 상측으로 별도의 차단벽이 자동적으로 상승하여 제방을 넘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구성으로서 하천이나 저수지에 축조되는 제방에 있어서, 상기 제방의 내측 중도부에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중앙 회동축에 고정 결합된 탄성체의 끝단에 연설되어 제방의 상측으로 승하강하는 절첩형의 차단벽과; 상기 제방의 상단으로 인출된 차단벽의 끝단에 결합되어 제방의 상단에 위치하는 승하강 부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하강 부기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차단벽과 다수 결합하고, 승하강 부기마다의 사이에는 승하강하는 차단벽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대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대는 "ㄷ"자 형태의 지지대를 서로 마주 보도록 소정의 높이로 전후 설치하고, 상기 전후 지지대에는 차단벽과 접하는 가이드 롤러를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차단벽의 배면측에는 내부가 중공으로 되는 소정 크기의 보강대를 길이방향으로 다수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작동부의 하부에는 제방의 내측과 연통되는 물배출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 부기의 전측에는 소정 높이로 파고방지대를 더 결 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대와 교번적으로 걸림대가 설치되며, 작동부에는 걸림대에서 소정 폭으로 인출되는 지지벽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이 지지벽의 사이에 축설되어 차단벽이 권선되고, 차단벽의 양측 끝단에는 걸림구가 구비되어 걸림대의 내측에 위치하여 걸림대의 내측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방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방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방의 수위가 상승하여 차단벽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방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방의 차단벽이 회동축에 권선된 상태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방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방의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방의 수위가 상승하여 차단벽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방의 일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제방(10)의 내측 중도부에 소정 공간의 작동부(20)를 마련하고, 작동부(20)의 하부에는 물이 저수되는 측으로 연통되는 물배출구(21)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20)의 중앙에 축설된 회동축(31)에는 탄성체(32)가 수회 권선되 어 있으며, 탄성체(32)의 끝단에는 다시 차단벽(30)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32)는 탄성을 가지면서 만곡되거나, 스프링 등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차단벽(30)은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힌지에 의해 절첩이 가능하도록 절첩형 차단벽(30)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벽(30)의 전면측에는 소정 높이로 파고방지대(41)를 더 결합하고, 차단벽(30)의 배면측에는 내부가 중공으로 되는 파이프 형태의 보강대(33)가 길이방향으로 다수 결합된다.
그리고, 제방(10)의 상면에는 소정 크기의 승하강 부기(40)가 하나 또는 다수 구비되어, 작동부(20)의 내측에서 제방(10)의 상면 측으로 관통 인출된 상기 차단벽(30)의 끝단과 견고히 결합되며, 승하강 부기(40) 사이의 제방(10) 상면에는 소정 높이의 가이드대(50)를 설치하여 차단벽(30)의 승하강을 가이드한다.
제방(10)의 상단으로 인출되는 차단벽(30)과 제방(10)의 사이에는 물이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무재 등으로 되는 패킹(22)을 구비한다.
가이드대(50)는 대략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지대(51)가 서로 마주보도록 대접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지지대(51)에는 자유 회전 가능한 가이드롤러(52)가 축설되어 승하강하는 차단벽(30)이 가이드롤러(52) 사이에 밀착 접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작동부(20)를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구획하여 지지벽(60)이 설치되며, 양측 지지벽(60) 사이에 회동축(31)을 자유 회동 가능하도록 베어링 축설한다.
그리고, 제방(10)의 상측에는 가이드대(50)와 걸림대(70)를 교번적으로 설치 하는 바, 상기 회동축(31)의 차단벽(30)도 소정의 길이로 구획하여 권선하며, 차단벽(30)의 양측 끝단에는 걸림구(34)를 형성하여, 제방(10)의 상측으로 인출되면서 차단벽(30)의 양측 끝단 걸림구(34)가 걸림대(70)의 내측에 걸려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에도 차단벽(30)의 배면측에는 보강대(33)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방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의 제방(10)은 저수된 물이 제방(10)의 상단보다 낮은 상태이므로, 승하강 부기(40)가 제방(10)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로 위치한다. 이때, 상기 승하강 부기(40)와 결합된 차단벽(30)은 작동부(20)의 회동축(31)의 탄성체(32)의 탄성에 의해 회동축(31)에 권선된 상태로 위치한다.
또한, 제방(10)의 상단으로 인출되어 승하강 부기(40) 사이의 차단벽(30) 부분은 가이드대(50) 사이를 지나도록 구비되는 바, 전후의 지지대(51)에 구비된 가이드롤러(52) 사이에 밀착 접하며 위치한다.
그러나, 제방(10)에 저수된 물이 점차 상승하여 승하강 부기(40)의 저면보다 높아지면, 승하강 부기(40)가 부력에 의해 점차 상승하게 되며, 상승하는 승하강 부기(40)에 의해 차단벽(30)도 회동축(31)에서 풀리면서 제방(10)의 상측으로 점차 상승한다.
이때, 승하강 부기(40) 사이의 차단벽(30)은 가이드대(50)의 가이드롤러(52)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상승하며,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보강대(33)가 차단벽(30)의 배면에서 보강된 상태로 위치하므로, 저수된 물의 압력에도 견딜 수 있게 되며, 차단벽(30)의 전면측 파고방지대(41)에 의해서는 제방(10) 위로 부딪치는 파고를 막아준다.
따라서, 항상 저수되는 물의 높이보다 상승한 승하강 부기(40)에 의해 차단벽(40) 또한 물의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제방(1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의 물을 항상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물이 빠지면서 수위가 점차 낮아지게 되면, 승하강 부기(40) 또한, 점차 낮아지게 된다. 이때, 차단벽(30)도 승하강 부기(40)와 함께 하강하게 되며, 회동축(31)에 결합된 탄성체(32)의 탄성력에 의해 당겨지면서 회동축(31)에 권선된다.
그리고, 작동부(20)에 충만되었던 물은 물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되므로, 차단벽(30)은 대기상태로 위치하며, 평상시에도 승하강 부기(40)의 전면측에 결합된 파고방지대(41)는 제방(10)에 부딪치는 파고를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방인 경우에는, 제방(10)에 저수되는 물이 상승하면서 다수의 승하강 부기(40)가 부력에 의해 각각 상승하며, 차단벽(30) 또한 각각 별도로 풀려 상승하게 된다.
이때, 차단벽(30)의 양측 끝단에 구비된 걸림구(34)가 걸림대(70)의 사이에 걸린 상태로 상승을 하게 되며, 차단벽(30)의 중도부는 가이드대(50)의 가이드롤러(52)에 밀착 접하면서 상측으로 가이드된다. 물론, 하강시에도 상기와 같이 차단벽(30)이 걸림대(70)에 걸린 상태로 하강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제방에 저수된 물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게 되면,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차단벽이 상승하여 제방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의 물을 차단해 주므로 제방을 축조하기 위한 공비 및 공기가 획기적으로 줄어들며, 감시를 위한 인력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발명이다.

Claims (7)

  1. 하천이나 저수지에 축조되는 제방에 있어서,
    상기 제방의 내측 중도부에 소정의 공간으로 마련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중앙 회동축에 고정 결합된 탄성체의 끝단에 연설되어 제방의 상측으로 승하강하는 절첩형의 차단벽과;
    상기 제방의 상단으로 인출된 차단벽의 끝단에 결합되어 제방의 상단에 위치하는 승하강 부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이 권선된 하천 및 저수지용 제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부기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차단벽과 다수 결합하고, 승하강 부기마다의 사이에는 승하강하는 차단벽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대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이 권선된 하천 및 저수지용 제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대는 "ㄷ"자 형태의 지지대를 서로 마주 보도록 소정의 높이로 전후 설치하고, 상기 전후 지지대에는 차단벽과 접하는 가이드 롤러를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이 권선된 하천 및 저수지용 제방.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의 배면측에는 내부가 중공으로 되는 소정 크기의 보강대를 길이방향으로 다수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이 권선된 하천 및 저수지용 제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하부에는 제방의 내측과 연통되는 물 배출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이 권선된 하천 및 저수지용 제방.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부기의 전측에는 소정 높이로 파고방지대를 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이 권선된 하천 및 저수지용 제방.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대와 교번적으로 걸림대가 설치되며, 작동부에는 걸림대에서 소정 폭으로 인출되는 지지벽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이 지지벽의 사이에 축설되어 차단벽이 권선되고, 차단벽의 양측 끝단에는 걸림구가 구비되어 걸림대의 내측에 위치하여 걸림대의 내측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이 권선된 하천 및 저수지용 제방.
KR1020060121286A 2006-12-04 2006-12-04 차단벽이 권선된 하천 및 저수지용 제방 KR100809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286A KR100809997B1 (ko) 2006-12-04 2006-12-04 차단벽이 권선된 하천 및 저수지용 제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286A KR100809997B1 (ko) 2006-12-04 2006-12-04 차단벽이 권선된 하천 및 저수지용 제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779 Division 2006-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049A true KR20070077049A (ko) 2007-07-25
KR100809997B1 KR100809997B1 (ko) 2008-03-18

Family

ID=3850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286A KR100809997B1 (ko) 2006-12-04 2006-12-04 차단벽이 권선된 하천 및 저수지용 제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9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98B1 (ko) * 2008-12-27 2009-05-04 주식회사 이산 부력식 차수판
KR100957839B1 (ko) * 2009-09-01 2010-05-17 플러스파운틴(주) 차수봉 자동 승강장치
CN115198694A (zh) * 2022-07-22 2022-10-18 江苏省洪泽湖堤防管理所 一种适用于水利水电堤防加高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98B1 (ko) * 2008-12-27 2009-05-04 주식회사 이산 부력식 차수판
KR100957839B1 (ko) * 2009-09-01 2010-05-17 플러스파운틴(주) 차수봉 자동 승강장치
CN115198694A (zh) * 2022-07-22 2022-10-18 江苏省洪泽湖堤防管理所 一种适用于水利水电堤防加高结构
CN115198694B (zh) * 2022-07-22 2024-01-30 江苏省洪泽湖堤防管理所 一种适用于水利水电堤防加高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9997B1 (ko) 2008-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082B1 (ko) 양방향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100809997B1 (ko) 차단벽이 권선된 하천 및 저수지용 제방
KR100932660B1 (ko) 하천 사면에 형성된 친환경적인 생태 이동 통로
US3081600A (en) Submergible barge structure for off-shore operations
KR100715233B1 (ko) 펌프 일체형 수문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KR200426008Y1 (ko) 양방향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20140099027A (ko) 다목적 높이가변형 차단구조물
CN108589652B (zh) 水利工程用的活动式护坡
KR100473937B1 (ko) 저수지의 보 및 제방용 방류관
CN216074963U (zh) 河滩湿地生态系统
CN114396013A (zh) 防浪墙及其施工方法
KR100745795B1 (ko)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
US4242009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nd selectively discharging saline water
KR101373030B1 (ko) 부력식 수류저감벽체를 구비한 호안 블록
CN109137846B (zh) 防止泥沙进入取水口的外置排水泵潜浮式拦沙坎
KR100399744B1 (ko) 자동수문
KR100576386B1 (ko) 펌프식 수문
KR101698686B1 (ko) 연통구를 구비한 토사 제거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토사 제거장치
KR100545132B1 (ko) 굴곡진 하천 제방 측면 보강대
CN219157756U (zh) 一种稳固性能好的挡土墙
CN218842996U (zh) 一种堤防加固结构
KR100990705B1 (ko) 장폭형 수문
KR100774381B1 (ko) 산불진압용 저장수 확보와 홍수시 발생되는 부산물 걸름기능을 갖는 사방댐의 구성방법
CN219508621U (zh) 一种用于河道清淤的临时围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