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6042A - 컨트롤바디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컨트롤바디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6042A
KR20070076042A KR1020060004972A KR20060004972A KR20070076042A KR 20070076042 A KR20070076042 A KR 20070076042A KR 1020060004972 A KR1020060004972 A KR 1020060004972A KR 20060004972 A KR20060004972 A KR 20060004972A KR 20070076042 A KR20070076042 A KR 20070076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body
display
display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1008B1 (ko
Inventor
서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4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008B1/ko
Publication of KR2007007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5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flow mix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6Spiral, helicoidal, rad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는 키패드바디와 구별되는 별도의 컨트롤바디가 설치되어 게임이나 방송 시청 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바디가 이동되면서 디스플레이바디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비율을 변환시키기 때문에, 다양한 규격의 화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트롤바디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ontrol-bod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방법이 도시된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트롤바디 작동구조가 도시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트롤바디 작동구조가 도시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바디 작동구조가 도시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바디가 도시된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바디가 도시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바디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기구가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립형 컨트롤바디가 도시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립형 컨트롤바디가 작동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저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저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작동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기구 및 고정기구가 도시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1a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평면도
도 21b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작동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키패드바디 11 : 문자키
12 : 숫자키 15 : 키입력부
20 : 디스플레이바디 21 : 단
22 : 디스플레이부 24 : 케이스
24a : 상면 25 : 슬라이드 버튼
26 : 레일홈 30 : 컨트롤바디
32 : 스피커 34 : 방향키
35 : 힌지 36 : 선택키
39 : 이동가이드 40 : 좌측 컨트롤바디
50 : 우측 컨트롤바디 60 : 구동기구
62 : 비틀림 스프링 63 : 지지체
70 : 고정기구 72 : 작동바
73 : 후크 74 : 걸림바
75 : 후크 76 : 코일스프링
90 : 슬라이드 기구 92 : 제 1 슬라이드 스프링
93 : 지지체 94 : 제 2 슬라이드 스프링
110 : 키패드바디 111 : 공간
120 : 디스플레이바디 130 : 컨트롤바디
131 : 공간 170 : 고정기구
172 : 작동바 174 : 걸림바
176 : 코일스프링 320 : 디스플레이바디
320a : 전면 330 : 컨트롤바디
330a : 끝단 338 : 이동가이드
339 : 레일홈 370 : 고정기구
372 : 작동바 373 : 후크
374 : 걸림바 375 : 후크
376 : 코일스프링 425 : 슬라이드버튼
430 : 컨트롤바디 440 : 좌측 컨트롤바디
445 : 연장부 446 : 가림부
450 : 우측 컨트롤바디 470 : 고정기구
472 : 작동바 474 : 걸림바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게임 또는 방송시청이 용이하도록 컨트롤바디를 통해 화면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이동통신 단 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 또는 사진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화번호 또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리에 모바일 게임을 저장한 후, 사용자가 이동 중 어디에서라도 저장된 모바일 게임을 실행시켜 게임을 즐기는 사용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모바일 게임의 실행 시, 전화번호 의 입력 등에 사용버튼 또는 방향키가 설치된 키패드부를 모바일 게임 시에도 공용으로 사용함으로서, 모바일 게임을 조작할 때 사용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부에 설치된 버튼을 게임 조작 시에도 공용으로 사용함으로서, 게임의 실행 중 메모를 입력하거나, 또는 게임의 실행 중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등 멀티 태스킹이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버튼이 공용으로 사용되어 멀티 태스킹을 원활히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게임 또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키패드바디와 분리된 별도의 컨트롤바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바디의 면적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컨트롤바디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바디 상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컨트롤바디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슬라이드 버튼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바디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는 컨트롤바디의 두께를 최소화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바디와 컨트롤바디 사이에서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는 고정기구의 구성을 최소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디스플레이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설치되는 키패드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면적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컨트롤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와 연결되는 키패드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의 측방향으로 확장되는 컨트롤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방법이 도시된 작동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숫자버튼 등이 구비된 키패드바디(10)와, 상기 키패드바디(10)와 조립되고 화면을 이루는 디스플레이부(22)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바디(20)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와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일부를 덮는 컨트롤바디(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패드바디(10)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키패드바디(10)에는 문자입력을 위한 문자키(11)와, 숫자 입력을 위한 숫자키(12) 등을 포함하는 키입력부(1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문자키(11)는 쿼티(qwerty) 방식의 문자 배열로 구성되고, 상기 숫자키(12)는 상기 문자키(11)와 구별되어 별도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는 상기 키패드바디(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의 상면에는 평면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인 디스플레이부(22)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엘시디(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외측 가장자리를 감싸 고정하는 케이스(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24)에는 상기 컨트롤바디(30)를 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버튼(25)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바디(30)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22)를 일부 차폐하거나 개방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바디(30)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의 상부에 위치되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가장 자리 일부를 차폐/개방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바디(30)는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의 양 측 중 어느 한 쪽에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바디(30)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의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좌측 컨트롤바디(40)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의 오른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우측 컨트롤바디(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바디(30)에는 스피커(32)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기능키가 설치된다.
상기 기능키는 예를 들어 게임 시 또는 메뉴 조종 시 방향을 입력하기 위한 방향키(34)와, 게임 시 또는 메뉴 입력 시 기능을 선택 또는 해제하기 위한 선택키(36)와, 통화버튼, MP3버튼, DMB버튼, 종료버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향키(34)는 게임의 조작 시 용이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 록 상/하/좌/우 네 방향이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방향키(34)는 상기 상/하/좌/우의 네 방향을 조합하여 방향이 입력되는 바, 대각선의 입력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바디(40)(50) 중 어느 하나에는 마이크(37)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방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바디(10)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의 하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컨트롤바디(30)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트롤바디 작동구조가 도시된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트롤바디 작동구조가 도시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트롤바디(30)는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드 버튼(25)을 누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에서 양 측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컨트롤바디(30)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 사이에는 상기 컨트롤바디(30)를 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60) 및 상기 컨트롤바디(30)를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에 고정시키는 고정기구(7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바디(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60)는 상기 컨트롤바디(30)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이고,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스프링(62)이다.
여기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62)은 일단(62a)이 상기 컨트롤바디(30)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62b)이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에 고정되며, 상기 일단(62a) 및 상기 타단(62b)의 중간에 상기 비틀림 스프링(62)이 감겨지는 지지체(6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4)의 상면(24a)에는 상기 컨트롤바디(3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레일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바디(30)의 하면에는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이동가이드(38)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기구(70)는 상기 구동기구(60)에서 발생되는 작동력에 반하여 상기 컨트롤바디(30)를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에 고정시키고, 상기 작동버튼(25)에 의해 걸림고정이 해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고정기구(70)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에 설치되는 작동버튼(25)과, 상기 작동버튼(25)과 연결되어 이동되는 작동바(72)와, 상기 작동바(72)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바(74)와, 상기 작동바(72)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눌려진 상기 작동바(72)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버튼(25)은 상기 케이스(24)에 설치되어 일부분이 상기 케이스(24) 밖으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상기 작동버튼(25)의 노출된 부분을 눌러 상기 작동버튼(25)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작동바(72)는 상기 작동버튼(25)과 분리되어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형성되고, 양단(72a)(72b)이 상기 컨트롤바디(30)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72)의 양단(72a)(72b)에는 상기 걸림바(74)와 상호 간섭되어 상기 걸림바(74)를 고정시키는 후크(73)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73)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바(72)는 상기 작동버튼(25)의 양측에 위치된 상기 걸림바(74)를 동시에 걸림 해제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바(74)는 상기 컨트롤바디(30)에 고정되어 끝단이 상기 작동바(72)의 후크(73)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도록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바(74)의 일단은 상기 컨트롤바디(30)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작동바(72)의 후크(73)와 걸림을 발생시키는 후크(75)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바(74)의 대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를 이루는 케이스(24)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일단은 상기 컨트롤바디(30)의 하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걸림바(74)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24)에 형성된 레일홈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바(74)의 일단이 상기 레일의 역할을 겸한다.
상기 고정기구(70)의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24)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작동바(72)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76)이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작동버튼(25)을 눌러 상기 작동바(72)와 상기 걸림바(74)의 걸림을 동시에 해제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와 상기 컨트롤바디(30)의 사이에 설치된 구동기구(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각 컨트롤바디(30)는 측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상기 컨트롤바디(30)에 의해 차폐된 경우 4:3의 비율로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바디(30)가 이동된 경우 16:9 또는 16:10의 비율로 전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바디 작동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바디가 도시된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바디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바디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 또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바디(10)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에 대하여 반자동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된다.
그래서 상기 키패드바디(10)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 사이에는 상기 키패드바디(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90)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기구(90)는 상기 키패드바디(10)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상측 또는 하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2 슬라이드 스프링(92)(9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2 슬라이드 스프링(92)(94)은 비틀림 스프링이고, 지지체(93)에 감겨져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 슬라이드 스프링(92)(94)은 일단(92a)(94a)이 상기 디 스플레이바디(20)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92b)(94b)이 상기 키패드바디(1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키패드바디(10)가 닫혀져 있을 경우, 상기 제 1, 2 슬라이드 스프링(92)(94) 중 어느 하나는 압축되고 다른 하나는 복원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키패드바디(10)가 열릴 경우, 상기 제 1, 2 슬라이드 스프링(92)(94) 중 압축된 스프링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복원되어있던 스프링은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한다.
그래서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바디(10)를 소정 거리 잡아당기면, 상기 제 1, 2 슬라이드 스프링(92)(94)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된 탄성력이 다른 하나의 탄성력을 이기며 키패드바디(10)를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의 하면에는 상기 키패드바디(1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레일홈(26)이 형성되고, 상기 키패드바디(10)의 상면에는 상기 레일홈(26)에 끼워져 이동되는 이동가이드(1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홈(26)은 상기 이동가이드(16)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동가이드(16)는 상기 레일홈(2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좌/우측 양단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문자의 송/수신 또는 통화를 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패드바디(10)를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시켜 키패드바디(10)에 설치된 키입력부(15)를 노출시키고,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바디(10)에 설치된 키입력부(15)를 통해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함으로서 문자를 발신하거나 통화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문자가 수신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임의의 버튼(예를 들어 방향키(34), 선택키(36) 또는 슬라이드 버튼(25) 등)을 눌러 수신된 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이 포함된 문자 등이 수신된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바디(30)를 이동시킴으로서 확장된 디스플레이부(22)에서 수신된 문자,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문자,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25)을 눌러 상기 컨트롤바디(30)를 확장시키고, 상기 슬라이드 버튼(25)이 눌려짐과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된 화면을 확장된 디스플레이부(22)의 넓이에 맞게 확장시킨다.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25)이 눌려짐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되는 화면을 4:3의 비율에서 16:9의 비율로 전환시킨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컨트롤바디(30)에 설치된 버튼을 조작하여 게임을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실행되는 게임이 4:3 화면 비율의 게임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바디(30)를 이동시키지 않고 바로 게임을 사용한다.
이와 달리 상기 실행되는 게임이 16:9 화면 비율을 지원하는 게임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25)을 눌러 상기 좌/우측의 컨트롤바디(40)(50)를 양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부(22)의 노출되는 화면비율을 변경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바디(30)에 설치된 방향키(34) 또는 선택키(36)를 이용하여 게임을 원활히 조작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실행되는 게임의 화면 비율이 4:3일 때, 상기 컨트롤바디(3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화면을 16:9로 확장시키더라도 원활히 게임이 실행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바디(30)를 닫을 경우, 열린 컨트롤바디(3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가장자리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고, 사용자가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컨트롤바디(30)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62)이 압축된다.
그래서 상기 컨트롤바디(30)가 초기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컨트롤바디(30)에 고정된 걸림바(74)의 후크(75)와 작동바(72)의 후크(73)가 서로 걸림되어 상기 컨트롤바디(30)를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비틀림 스프링(62)의 탄성력을 억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슬라이드 이동된 키패드바디(10)를 닫는 경우, 상기 키패드바디(10)는 제 1, 2 슬라이드 스프링(92)(94)의 상호 작용에 의해 소정 거리 이동된 후에 자동으로 상기 제 1, 2 슬라이드 스프링(92)(94)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와 달리 컨트롤바디(40)가 하나만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바디(40)는 디스플레이바디(20)의 좌측에 위치되고, 상기 컨트롤바디(40)의 후방 측에 방향키(34)가 설치되며, 전방 측에 선택키(3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의 우측에는 스피커(32)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바디(40)는 제 1 실시예의 작동방식과 동일하게 슬라이드 버튼(25)을 누르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래서 제 2 실시예와 같이 컨트롤바디(30)가 디스플레이바디(20)의 양측 중 어느 한 쪽에만 설치되면, 컨트롤바디(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 및 고정기구의 구성이 간소화됨으로서 디스플레이바디(20)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바디(30)가 한쪽에만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로 방향으로 세워 조작하는 바, 세로 방향으로 진행되는 게임 또는 이북(e-book) 등을 사용하기에 보다 적합한 형태로 변환된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슬라이드 버튼은 고정기구의 작동바/고정바의 연결거리를 최소화기 위해 작동되는 컨트롤바디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되어 설치되어도 무방하고, 본 실시예와 달리 슬라이드 버튼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부에 위치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정기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 고정기구의 작동구조를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정기구(170)는 사용자가 슬라이드 버튼(2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컨트롤바디(30)와 연결된 작동바(172)와 걸림바(174)의 상호 걸림이 해제되는 방향이다.
그래서 상기 작동바(172) 및 상기 걸림바(174)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슬라이드 버튼(25) 및 상기 컨트롤바디(30)에 각각 고정되되, 상기 작동바(172) 및 상기 걸림바(174)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작동바(172)의 끝단에 형성된 후크(173) 및 상기 걸림바(174)의 끝단에 형성된 후크(175)는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어 상호 걸림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172)를 상기 걸림바(174) 측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 (176)은 상기 슬라이드 버튼(25)의 후방 측에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버튼(25) 또는 상기 작동바(172)를 전방 측으로 가압한다.
그래서 이와 같이 고정기구(170)의 작동바(172) 및 걸림바(174)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경우, 제 1 실시예에 비해 이동통신 단말기 두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립형 컨트롤바디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립형 컨트롤바디가 작동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는,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컨트롤바디(30)가 디스플레이바디(20)에서 플립형으로 여닫히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바디(30)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는 힌지(35) 연결되고, 상기 힌지(35)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바디(30)는 플립형으로서 상기 힌지(35)를 기준으로 여닫히게 설치된 바, 상기 컨트롤바디(30)의 상면(30a)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는 버튼 또는 키가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바디(30)의 하면(30b)에는 플립형 컨트롤바디(30)를 열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향키(34) 또는 선택키(3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바디(30)의 하면(30b)에는 탄성재질의 완충부재(37)가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바디(3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2)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컨트롤바디(30)의 하면(30b)에 설치된 방향키(34) 또는 선택키(36)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2)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30b) 위로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여닫히는 상기 컨트롤바디(3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22)의 가장자리 일부를 차폐하여 화면비율을 4:3 또는 16:9로 전환시킨다.
더불어 상기 컨트롤바디(30)는 완전히 열렸을 때 상면(30a)이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21)과 접촉되어 지지됨으로서, 하면(30b)이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의 상면(24a)과 동일한 면을 이루고,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바디(30)의 방향키(34) 또는 선택키(36)를 누르더라도 상기 컨트롤바디(3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컨트롤바디(30)를 지지한다.
그리고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힌지(35)에는 일반적인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립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인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여닫히는 상기 컨트롤바디(30)를 탄성 지지한다.
그래서 제 4 실시예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바디(20)에 플립형 컨트롤바디(30)가 설치되는 경우, 제 1 실시예와 같이 구동기구 및 고정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의 힌지(35)만으로 컨트롤바디(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저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는,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바디(120)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맨 위에 위치되고, 키패드바디(110) 및 컨트롤바디(130)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20)의 하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키패드바디(110)와 상기 컨트롤바디(130)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컨트롤바디(1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60) 및 고정기구(70)의 구성 및 작동구조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바디(110)의 슬라이드 방식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14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바디(10)와 컨트롤바디(130)가 결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20)와 같은 면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키패드바디(10) 또는 상기 컨트롤바디(130)가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120)에 조립되어 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20)만이 노출되고, 사용자가 슬라이드 버튼(25)을 누를 경우, 상기 컨트롤바디(130)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20)의 하부에서 양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돌출된다.
더불어 상기 컨트롤바디(130)를 닫을 때는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바디(130)를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20) 하부로 밀어 넣는 과정을 통해 상기 컨트롤바디(130)의 돌출된 부분이 은폐된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바디(110)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반자동 슬라이드 방식으로 작동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액정부분인 디스플레이부(22)의 면적을 최대한 넓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바디(120)의 하부에 키패드바디(110)와 구분된 별도의 컨트롤바디(130)가 설치되어 게임이나 동영상 등의 시청 시 보다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수의 키 또는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바디(130)가 좌/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경우, 상기 컨트롤바디(13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되는 그립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컨트롤바디(130)가 좌/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20) 하부에는 상기 컨트롤바디(130)가 위치되었던 공간(131)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131)에 사용자의 양 손가락이 각각 위치되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쥘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바디(130)의 안쪽 가장자리(133)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20)와 단을 이루는 바, 상기 그림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 5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바디(110)만 전방으로 인출된 경우, 상기 키패드바디(110)의 인출에 의해 형성된 공간(111)도 사용자의 검지 등이 위치되어 그립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작동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기구 및 고정기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는, 도 17 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와 달리 컨트롤바디(3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이동가이드(338) 및 레일홈(339)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후면(322)(324)에 위치되고, 구동기구 및 고정기구(370)가 상기 이동가이드/레일홈(338)(339)에 대응되게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바디(330)의 전/후방 측 양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320)의 전/후방 측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바디(320)의 가장자리를 감싼 끝단(330a)은 상기 이동가이드(338)를 형성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바디(320)에 형성된 레일홈(339)에 삽입된다. 그래서 상기 레일홈(339) 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320)의 전/후면(320a)(미도시)에 형성되되, 상기 컨트롤바디(330)의 이동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가이드(338)는 상기 레일홈(339)이 형성된 디스플레이바디(320)를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이동가이드(338)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320) 내부에 설치된 고정기구(37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고정기구(370)는, 도 18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바디(320)에 노출된 슬라이드 버튼(325)과 연결된 작동바(372)와, 상기 작동바(372)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는 걸림바(374)와, 상기 작동바(372) 또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32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버튼(325)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320)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작동바(372)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325)의 이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걸림바(374)와 걸림 또는 분리된다.
그래서 상기 걸림바(374)는 일단이 상기 이동가이드(338)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버튼(325)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바(374)의 타단에는 상기 작동바(372)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는 후크(375)가 후방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작동바(372)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325)이 설치된 디스플레이바디(320)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컨트롤바디(330)가 설치된 가장자리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바(374)의 후크(375)와 상호 걸림이 발생되도록 전방 측으로 돌출된 후크(37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376)은 상기 작동바(372)의 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바디(320)의 내부에 지지되어 상기 작동바(372)를 전방측으로 가압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325)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작동바(372)와 상기 걸림바(374)의 상호 걸림을 해소하고, 상기 컨트롤바디(330)는 구동기구(도 3의 60)의 탄성력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동되는 상기 컨트롤바디(330)는 상기 이동가이드(338) 및 상기 레일홈(339)에 의해 좌/우 측방향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컨트롤바디(330)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320)를 감싸며 설치되면, 상기 컨트롤바디(330)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320)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상기 컨트롤바디(330)를 구속하는 고정기구(370)가 상기 컨트롤바디(330)의 끝단(330a)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됨으로서, 컨트롤바디(330)와 디스플레이바디(320)의 설치 시 발생되는 두께를 더욱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기구(370)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두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1a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평면도이 며, 도 21b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실시예의 컨트롤바디(430, 440)의 전/후방 측 일부가 상대 컨트롤바디(430, 450) 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고, 슬라이드 버튼(425)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에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래서 상기 컨트롤바디(430)는 디스플레이바디(20)의 케이스(24) 상부에 위치되는 연장부(445)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의 디스플레이부(22)를 차폐하는 가림부(446)로 구성되고,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 또는 ⊃'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445)는 상기 케이스(24)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연장부(445)와 상기 케이스(24) 사이에 이동가이드 및 레일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림부(446)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컨트롤바디(30)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2)를 차폐한다.
한편, 상기 컨트롤바디(4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버튼(425)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의 전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바디(430)를 고정하는 고정기구(47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버튼(425)이 디스플레이바디(20) 전면에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제 6 실시예의 고정기구(370)와 동일하다.
그래서 상기 고정기구(470)는 디스플레이바디(2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슬라이드 버튼(425)과, 상기 슬라이드 버튼(425)과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바(472)와, 상기 컨트롤바디(430)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바(472)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는 걸림바(474)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20)의 내부에서 상기 작동바(472)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476)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바(474)는 일단이 상기 연장부(445)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버튼(425)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특히 상기 걸림바(474)는 상기 연장부(445)에 형성되는 바, 상기 슬라이드 버튼(425)과의 거리가 제 6 실시예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래서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전면에 설치된 슬라이드 버튼(425)을 누름에 의해 상기 고정기구(470)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고정기구(470)의 작동바(472) 및 걸림바(474)의 거리가 짧은 바, 상기 고정기구(470)의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작동바(472)는 상기 컨트롤바디(430)의 연장부(445)에 직접 걸림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컨트롤바디 또는 상기 키패드바디는 탄성부재 또는 슬라이드 스프링 없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컨트롤바디 또는 상기 키패드바디를 밀어 이동시킴으로서 슬라이드 이동되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는 키패드바디와 구별되는 별도의 컨트롤바디가 설치되어 게임이나 방송 시청 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바디가 이동되면서 디스플레이바디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비율을 변환시키기 때문에, 다양한 규격의 화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컨트롤바디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면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비율을 신속히 변환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고정기구가 디스플레이바디의 양측에 위치된 컨트롤바디를 동시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컨트롤바디의 확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 버튼의 작동에 의해 컨트롤바디가 즉시 슬라이드 이동되기 때문에 조작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컨트롤바디가 디스플레이바디에 힌지 연결되기 때문에 컨트롤바디의 개폐를 위한 구조가 보다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컨트롤바디가 힌지연결에 의해 회전 되면서 개폐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바디의 표면에 발생되는 흠집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바디와 컨트롤바디의 이동방향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버튼 또는 키 및 면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컨트롤바디에 방향키와 선택키가 동시에 구비되기 때문에 이북이나 게임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컨트롤바디 및 키패드바디가 디스플레이바디 하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다 넓은 화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컨트롤바디 또는 키패드바디의 이동에 의해 디스플레이바디 하부에서 그립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효과적으로 쥘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컨트롤바디의 끝단이 디스플레이바디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설치되기 때문에 컨트롤바디가 디스플레이바디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트롤바디는 슬라이드버튼 측으로 연장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기구의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4)

  1.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디스플레이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설치되는 키패드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면적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컨트롤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서 이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길이가 긴 방향의 폭을 확장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길이가 긴 방향의 폭을 확장시키도록 슬라이드 이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컨트롤바디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컨트롤바디를 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컨트롤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를 상호 걸림 고정시키는 고정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일단이 상기 컨트롤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슬라이드 버튼과;
    상기 슬라이드 버튼과 연결되어 이동되는 작동바와;
    상기 컨트롤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는 걸림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버튼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버튼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버튼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버튼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를 관통하여 전면에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버튼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와 상기 걸림바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는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후크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작동바와 상기 걸림바 간의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작동바와 상기 걸림바 간의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7.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걸림바는 일단이 상기 컨트롤바디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바디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8.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버튼은 상기 컨트롤바디들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는 상기 슬라이드 버튼에서 상기 걸림바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작동바를 상기 걸림바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슬라이드 버튼과;
    상기 슬라이드 버튼과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바디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는 작동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작동바를 상기 컨트롤바디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는 어느 한 쪽에 이동가이드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레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바디의 끝단에 형성된 이동가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상기 디스플레이바디 내부로 삽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슬라이드 버튼과; 상기 슬라이드 버튼과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바디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는 작동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작동바는 상기 이동가이드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 일부를 차폐 또는 확장하는 가림부와;
    상기 가림부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상부에 위치되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컨트롤바디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컨트롤바디를 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컨트롤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를 상호 걸림 고정시키는 고정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연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0.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바디의 각 연장부는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1.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바디의 가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차폐하였을 경우,
    상기 컨트롤바디의 각 연장부는 서로 맞닿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바디와 상기 컨트롤바디는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키패드바디와 상기 컨트롤바디의 슬라이드 방향을 각기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대하여 전방으로 인출되며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5.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바디에는 쿼티(qwerty) 방식의 문자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바디에는 문자키와 숫자기가 구분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바디에는 방향키, 선택키, 통화버튼, MP3버튼, DMB버튼, 종료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바디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방향키와 상기 선택키는 서로 다른 컨트롤바디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0.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와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1.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바디의 열리는 방향과 상기 키패드바디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은 서로 다르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2. 디스플레이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와 연결되는 키패드바디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의 측방향으로 확장되는 컨트롤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3.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4.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바디 또는 상기 컨트롤바디가 이동된 경우, 이동된 상기 키패드바디 또는 상기 컨트롤바디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와 그립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004972A 2006-01-17 2006-01-17 컨트롤바디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11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972A KR101211008B1 (ko) 2006-01-17 2006-01-17 컨트롤바디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972A KR101211008B1 (ko) 2006-01-17 2006-01-17 컨트롤바디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042A true KR20070076042A (ko) 2007-07-24
KR101211008B1 KR101211008B1 (ko) 2012-12-11

Family

ID=3850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972A KR101211008B1 (ko) 2006-01-17 2006-01-17 컨트롤바디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24B1 (ko) * 2008-05-26 2008-12-09 (주)쉘-라인 개인휴대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24B1 (ko) * 2008-05-26 2008-12-09 (주)쉘-라인 개인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1008B1 (ko)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238B1 (ko) 휴대 통신 단말기
KR100721337B1 (ko) 사이드 슬라이딩형 전자장치
KR100709652B1 (ko) 폴더식 휴대전화
US8180417B2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70440A (ko) 후면 키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
JP2013243588A (ja) 電子機器
KR101850150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JP5111355B2 (ja) 開閉式小型電子機器
KR101211008B1 (ko) 컨트롤바디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21340B1 (ko) 사이드 슬라이딩형 전자장치
KR100675176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표시장치
KR100899741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JP2006339698A (ja) スライド型携帯通信機
KR1011447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94164B1 (ko) 단말기
KR100855942B1 (ko) 자동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1545571B1 (ko) 휴대 단말기
KR100641210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1153193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5225397B2 (ja) 携帯通信端末機
JP5122324B2 (ja) 押しボタン及び操作パネル
KR20070074318A (ko) 디스플레이 화면의 확장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 단말기
KR100965179B1 (ko)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10110712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0960822B1 (ko) 자동 슬라이드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