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0440A - 후면 키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후면 키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0440A
KR20090070440A KR1020070138455A KR20070138455A KR20090070440A KR 20090070440 A KR20090070440 A KR 20090070440A KR 1020070138455 A KR1020070138455 A KR 1020070138455A KR 20070138455 A KR20070138455 A KR 20070138455A KR 20090070440 A KR20090070440 A KR 20090070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main body
touch screen
sides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7501B1 (ko
Inventor
권혁성
김홍배
위종천
정상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8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501B1/ko
Priority to US12/343,982 priority patent/US8280447B2/en
Publication of KR2009007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1Including a rotatable keypad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면 키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면서 필요에 따라 키패드를 터치 스크린의 양쪽으로 펼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본체, 터치 스크린 및 키입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는 전면과, 상기 전면에 반대되는 후면을 갖는다. 터치 스크린은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다. 키입력 장치는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며, 터치 스크린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지는 키패드를 구비한다. 터치 스크린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진 키패드는 쿼티키 배열을 가질 수 있다.
키패드, 전면, 터치 스크린, 쿼티키, 단말기

Description

후면 키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the rear key pad}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에 터치 스크린이 설치되고 후면에 개폐형 키패드가 설치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휴대 단말기의 제조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이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한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가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형태는 바형(bar type), 덮개를 구비한 플립형(flip type), 폴더형(folder type), 슬라이드형(slide type)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화면 아래에 키패드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화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데 제약이 따른다. 예컨대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디지털 방송, 영화, 동영상 등과 같은 영상을 시청하거나 문서 등을 볼 때는 불편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이하, '터치형 휴대 단말기'라 한다)도 소개되고 있다. 터 치형 휴대 단말기는 전면의 대부분을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제공한다.
터치형 휴대 단말기는 물리적인 키패드 대신에 터치 스크린의 터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다. 터치형 휴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위에 가상 키패드를 띄워 사용자의 키입력을 보조한다.
그러나 터치형 휴대 단말기는 물리적인 키패드가 없기 때문에, 많은 키입력이 필요로 하는 문자 보내기, 문서 작성, 게임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는 불편하다.
그리고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나, 터치형 휴대 단말기의 가상 키패드는 실질적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인하여 크기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쿼티키로 구현할 경우 키의 크기가 작아 키입력이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과, 키패드를 통한 키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필요에 따라 키패드를 본체 밖으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키입력이 용이한 쿼티키 배열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터치 스크린 및 키입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전면과, 상기 전면에 반대되는 후면을 갖는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 장치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터치 스크린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진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장치는 한 쌍의 키패드, 탄성체 및 로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키패드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본체의 후면 하단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키패드들을 상기 터치 스크린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친다. 그리고 상기 로커는 상기 본체의 후면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 접힌 상기 키패드의 상단부를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본체, 터치 스크린 및 키입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전면 케이스와, 상기 전면 케이스에 조립되는 후면 케이스를 갖는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전면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 장치는 상기 후면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터치 스크린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지는 키패드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본체, 표시 장치 및 키입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전면과, 상기 전면에 반대되는 후면을 갖는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전면의 대부분을 차진한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 장치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표시 장치를 주임으로 양쪽으로 펼쳐지는 키패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전면에 터치 스크린이 설치되고, 후면에 양쪽으로 펼쳐지는 키패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의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면서 필요에 따라 키패드를 양쪽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대해서 양쪽으로 펼쳐진 키패드는 가로 방향이 길기 때문에, 쿼티키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을 중심으로 양쪽에 키패드가 배열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쉽게 키입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후면 공간을 키패드 겸 케이스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디자인을 깨끗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키패드를 접어 휴대 단말기의 후면으로 숨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넓은 화면을 제공하고, 터치 스크린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진 키패드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형 휴대 단말기(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형 휴대 단말기로서, 본체(10)의 전면(12)에 터치 스크린(20)이 설치되고, 본체(10)의 후면(14)에 터치 스크린(2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지는 키패드(40)를 갖는 키입력 장치(30)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본체(10)는 전면 케이스(11)와, 전면 케이스(11)에 조립되는 후면 케이스(13)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20)은 전면 케이스(11)의 전면(12)으로 패널이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전면(12)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키입력 장치(30)는 후면 케이스(13)의 후면(14)에 설치되며, 터치 스크린(2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지는 키패드(40)를 갖는다.
본체(10)는 일반적으로 전면(12), 후면(14) 및 측면(19)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본체(10)의 내부에 휴대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메인보드가 설치되며, 터치 스크린(20)이나 키패드(4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메인 보드로 전달된다.
터치 스크린(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의 길이가 가로의 길이보다 짧은 형태를 가지며,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를 지원한다.
키입력 장치(30)는 한 쌍의 키패드(40), 토션 스프링(50; torsion spring) 및 로커(60; lock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키패드(40)는 후면 케이스(13)의 후면(14)에 배치된다. 토션 스프링(50)은 후면 케이스(13)의 후면(14) 하단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어 키패드(40)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키패드(40)를 터치 스크린(2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친다. 그리고 로커(60)는 후면 케이스(13)의 후면(14) 상단에 설치되어 후면 케이스(13)의 후면(14)으로 접힌 키패드(40)의 상단부를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한다.
키패드(40)는 제 1 키패드(41)와 제 2 키패드(42)를 포함하며, 서로 대칭되게 후면 케이스(13)의 후면(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키패드(41, 42)는 세로 방향으로 일측면이 서로 접하게 후면 케이스(13)의 후면(14)에 설치된다. 접힌 제 1 및 제 2 키패드(41, 42)는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는 길다. 이로 인해 터치 스크린(2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진 제 1 및 제 2 키패드(41, 42)는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는 긴 형태를 갖게 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키패드(41, 42)는 서로 대칭되게 설치될 뿐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 1 키패드(41)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키패드(41)는 키판(43)에 복수의 키(44)가 배열 및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2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진 제 1 및 제 2 키패드(41, 43)가 쿼티키 배열을 갖도록 키(44)가 배열될 수 있다. 키판(43)에는 연결핀(45), 고정 돌기(46) 및 걸림턱(47)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핀(45)은 키판(43) 하단의 모서리에서 후면 케이스(13)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후면 케이스(13)에 결합되어 키판(45)을 후면 케이스(13)의 후면(1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고정 돌기(46)는 연결핀(45) 위쪽에 형성되며, 토션 스프링(50)의 일단이 고정된다. 걸림턱(47)은 접힌 한 쌍의 키판(43)이 접하는 일측면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로커(60)에 걸려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때 제 1 실시예에서는 연결핀(45)이 키판(43)에 일체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개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개별적으로 연결핀이 구비되는 경우, 연결핀을 키판과 후면 케이스에 삽입하여 키판을 후면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토션 스프링(50)은 일측은,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돌기(46)에 걸려 고정되고, 타측은 후면 케이스(13)의 후면(14)에 형성된 고정 돌기(14a)에 걸려 고정된다. 키패드(40)가 접힌 상태에서 토션 스프링(50)에 탄성력이 축적되고, 키패드(40)의 접힌 상태를 해제하면 토션 스프링(50)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키패드(40)는 연결핀(45)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본체(10)의 양측면(19)으로 펼쳐진다. 이때 토션 스프링(50)의 코일의 중심은 연결핀(45)에 삽입되게 설치될 수 있다.
로커(60)는, 도 1,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고정편(61), 코일 스프링(65) 및 키패드 고정편(6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후면 케이스(13)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15)을 중심으로 양쪽에 설치되어 가이드 구멍(15)을 따라 탄성적인 상하이동으로 키패드(40)를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한다. 가이드 고정편(15)은 후면 케이스(13)의 전면(16)에 설치된다. 키패드 고정편(66)은 후면 케이스(13)의 후면(14)에 설치되며, 가이드 구멍(15)을 통하여 가이드 고정편(61)에 결합된다. 코일 스프링(65)은 가이드 고정편(61)에 연결되어 결합된 가이드 고정편(61)과 키패드 고정편(66)의 가이드 구멍(15)을 따라서 탄성적인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 고정편(61)은 제 1 연결판(62), 한 쌍의 제 1 걸쇠(63) 및 가이드 바(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연결판(62)은 키패드 고정편(66)에 결합된다. 한 쌍의 제 1 걸쇠(63)는 제 1 연결판(62)의 하단에 연결되어 아래쪽으로 뻗어 있다. 가이드 바(64)는 한 쌍의 제 1 걸쇠(63) 사이의 제 1 연결판(62)의 하단에 연결되어 아래쪽으로 뻗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65)이 삽입된다.
이때 후면 케이스(13)는 가이드 구멍(15) 아래의 전면(16)에 가이드 고정편(61)이 설치될 수 있는 다수의 고정턱(17, 18)이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턱(17, 18)은 한 쌍의 제 1 고정턱(17)과, 제 1 고정턱(17) 사이에 형성된 제 2 고정턱(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고정턱(17)에는 코일 스프링(65)에 의해 한 쌍의 제 1 걸쇠(63)가 각각 걸려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제 2 고정턱(18)은 한 쌍의 제 1 고정턱(17) 사이에 형성되며 코일 스프링(65)의 하단이 고정된다. 제 2 고정턱(18) 사이의 홈(18a)으로 가이드 바(64)가 코일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한다.
코일 스프링(65)은 가이드 바(64)에 삽입되어 일단은 제 1 연결판(62)의 하단에 밀착되고, 타단은 제 2 고정턱(18)의 상단에 밀착되어 로커(60)의 탄성적인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가이드 고정편(61)은 제 2 고정턱(18) 사이의 홈(18a)으로 가이드 바(64)가 코일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함으로써, 로커(60)는 가이드 구멍(15)을 따라서 상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 1 걸쇠(63)는 제 1 고정턱(17)과 제 2 고정턱(18)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하로 이동하며, 제 1 고정턱(17)에 걸려 코일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구속된다.
키패드 고정편(66)은 제 2 연결판(67)과 한 쌍의 제 2 걸쇠(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연결판(67)은 가이드 고정편(61)의 제 1 연결판(62)에 결합된다. 한 쌍의 제 2 걸쇠(68)는 제 2 연결판(67)의 하단에 연결되어 아래쪽으로 뻗어 있으며, 후면 케이스(13)의 후면(14)으로 접힌 키패드(40)의 걸림턱(47)이 걸려 고정된다.
이때 키패드(40)의 걸림턱(47)이 키패드 고정편(66)의 제 2 걸쇠(68)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47)은 수평 방향으로 뻗은 부분의 끝단에 아래로 턱(47b)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걸쇠(68)는 반대로 수평 방향으로 뻗은 부분의 끝단에 위로 턱(68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턱(47)의 턱(47b)이 제 2 걸쇠(68)의 턱(68b)에 걸림으로써, 로커(60)에 접힌 키패드(40)가 고정된다. 또한 펼쳐진 키패드(40)를 접어 로커(60)의 키패드 고정편(66)에 고정할 때, 걸림턱(47)의 턱(47b)이 제 2 걸쇠(68)의 턱(48b)의 외측면을 타고 넘어가 제 2 걸쇠(68)의 턱(68b)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47)과 제 2 걸쇠(68)가 접촉하는 턱(47b, 68b)의 면은 경사면(47a, 68a)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펼쳐진 키패드(40)를 접어 로커(60)의 키패드 고정편(66)에 고정하기 위해 접을 때, 걸림턱(47)의 턱(47b)이 제 2 걸쇠(68)의 턱(68b)의 경사면(68a)을 타고 위쪽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제 2 걸쇠(68)는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걸쇠(68)의 턱(68b)의 경사면(68a)을 벗어나면 아래로 이동했던 로커(60)가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걸림턱(47)과 2 걸쇠(68)의 턱(47b, 68b)이 맞물림으로써, 로커(60)에 접힌 키패드(40)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상태를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은 키패드(40)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9 및 도 810 키패드(40)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본체(10)의 후면(14)으로 키패드(40)를 접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후면 케이스(13)의 후면(14)으로 접힌 키패드(40)의 걸림턱(47)은 로커(60)의 제 2 걸쇠(68)에 걸려 고정된다. 즉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20)만을 사용할 때, 키패드(40)를 본체(10)의 후면(14)으로 접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키패드(4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40)를 터치 스크린(2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로커(40)의 키패드 고정편(66)을 아래로 내리면, 로커(60)는 가이드 구멍(15)을 따라서 아래로 내려가고, 제 2 걸쇠(68)에 걸린 걸림턱(47)의 고정 상 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키패드(40)는 토션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터치 스크린(2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진다. 한편 로커(60)에 작용한 힘을 해제하면, 로커(60)는 코일 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구멍(15)을 따라서 상승하여 원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양쪽으로 펼쳐진 키패드(40)를 본체(10)의 후면(14)으로 접을 경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40)가 펼쳐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키패드(40)를 회전시켜 키패드(40)의 걸림턱(47)을 로커(60)의 제 2 걸쇠(68)에 걸어 고정한다. 이때 걸림턱(47)이 제 2 걸쇠(68)의 턱(68b)의 경사면(68a)을 타고 위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 2 걸쇠(68)를 포함한 로커(60)는 가이드 구멍(15)을 따라서 아래로 이동한다. 그리고 경사면(68a)을 벗어나면 아래로 이동했던 로커(60)가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걸림턱(47)에 2 걸쇠(68)가 맞물림으로써, 로커(60)는 접힌 키패드(40)를 고정한다.
한편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본체(10)의 양측면(19)에 대해서 제 1 및 제 2 키패드(41, 42)가 각각 90도 회전되어 펼쳐진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걸림턱이 형성된 쪽의 맞은편의 제 1 및 제 2 키패드의 상단이 서로 접촉할 때까지 제 1 및 제 2 키패드를 회전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제 1 및 제 2 키패드가 접힌 상태의 위치를 0도라고 했을 때, 제 1 및 제 2 키패드를 180도까지 회전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는 키입력 장치(30)는 후면 케이스(13)의 후면(14)에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키입력 장치는 후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면 케이스의 양측면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형 휴대 단말기로서, 본체(110)의 전면(112)에 터치 스크린(120)이 설치되고, 본체(110)의 후면(114)에 터치 스크린(12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지는 키패드(140)를 갖는 키입력 장치(130)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본체(110)는 전면 케이스(111)와, 전면 케이스(111)에 조립되는 후면 케이스(113)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20)은 전면 케이스(111)의 전면(112)으로 패널이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전면(112)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키입력 장치(130)는 후면 케이스(113)의 내부에 설치되며, 터치 스크린(12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지는 키패드(140)를 갖는다.
특히 후면 케이스(113)는 제 1 후면 케이스(113a)와 제 2 후면 케이스(11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후면 케이스(113a)는 전면 케이스(111)에 조립되며, 후면(114)에 키입력 장치(130)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 1 후면 케이스(113a)에 키입력 장치(130)가 설치된 구조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도 1의 100)와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 2 후면 케이스(113b)는 제 1 후면 케이스(113a)의 후면(114)에 설치된 키패드(140)를 덮는 덮개로서, 제 1 후면 케이스(113a)의 후면(114)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후면 케이스(113a)와 제 2 후면 케이스(113b)의 양측면(119)으로 키패드(14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후면 케이스(113a)에는 출입구(119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후면 케이스(113)의 양측면(119)에 형성된 출입구(119a)를 통하여 키패드(140)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후면 케이스(113a)에 출입구(119a)가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제 2 후면 케이스(113b)에 출입구를 형성할 수도 있고, 제 1 및 제 2 후면 케이스(113a, 113b)가 조합하여 출입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로커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로서, 키패드가 로커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7 및 도 8은 키패드가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키패드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휴대 단말기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110 : 본체 11, 111 : 전면 케이스
12, 112 : 전면 13, 113 : 후면 케이스
14, 114 : 후면 20, 120 : 터치 스크린
30, 130 : 키입력 장치 40, 140 : 키패드
45 : 연결핀 50 : 토션 스프링
60, 160 : 로커 61 : 가이드 고정편
65 : 코일 스프링 66 : 키패드 고정편
100, 200 : 휴대 단말기 113a : 제 1 후면 케이스
113b : 제 2 후면 케이스 119a : 출입구

Claims (12)

  1. 전면과, 상기 전면에 반대되는 후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 스크린과;
    상기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터치 스크린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지는 키패드를 갖는 키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장치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키패드와;
    상기 본체의 후면 하단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키패드들을 상기 터치 스크린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치는 탄성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 접힌 상기 키패드의 상단부를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로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일측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키패드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장치는,
    상기 토션 스프링이 끼워지며, 상기 키패드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키패드는 상기 연결핀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진 상기 키패드는 쿼티키 배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진 상기 키패드는 세로 방향에 비해서 가로 방향이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양쪽으로 펼쳐진 상기 키패드 사이의 상기 터치 스크린은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키패드를 덮으며, 상기 본체의 양측면으로 상기 키패드가 이동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된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전면 케이스와, 상기 전면 케이스에 조립되는 후면 케이스를 갖는 본체와;
    상기 전면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후면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터치 스크린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지는 키패드를 갖는 키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전면과, 상기 전면에 반대되는 후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표시 장치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지는 키패드를 갖는 키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장치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키패드와;
    상기 본체의 후면 하단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키패드들을 양쪽으로 펼치는 토션 스프링과;
    상기 본체의 후면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 접힌 상기 키패드의 상단부를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로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138455A 2007-12-27 2007-12-27 후면 키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1407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455A KR101407501B1 (ko) 2007-12-27 2007-12-27 후면 키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
US12/343,982 US8280447B2 (en) 2007-12-27 2008-12-24 Mobile terminal having rear key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455A KR101407501B1 (ko) 2007-12-27 2007-12-27 후면 키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440A true KR20090070440A (ko) 2009-07-01
KR101407501B1 KR101407501B1 (ko) 2014-06-17

Family

ID=4079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455A KR101407501B1 (ko) 2007-12-27 2007-12-27 후면 키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80447B2 (ko)
KR (1) KR1014075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2274B2 (en) 2006-06-09 2010-08-24 Cfph, Llc Folding multimedia display device
KR20100067381A (ko) * 2008-12-11 2010-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
KR101660531B1 (ko) * 2009-12-30 201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커버 개폐 장치
US8279589B2 (en) 2010-02-01 2012-10-02 Christine Hana Kim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entry from a removable portable device cover
US8564540B2 (en) 2010-08-17 2013-10-22 Cox Communications, Inc. Split keyboard and handles for mobile devices
US10114477B2 (en) 2011-07-14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30009595A (ko) 2011-07-14 2013-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9563756B2 (en) * 2013-02-07 2017-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wo phase password input mechanism
USD726167S1 (en) 2013-02-25 2015-04-07 Nokia Corporation Handset
US11507663B2 (en) 2014-08-11 2022-11-22 Sentinel Labs Israel Ltd. Method of remediating operations performed by a program and system thereof
US9710648B2 (en) 2014-08-11 2017-07-18 Sentinel Labs Israel Ltd. Method of malware detection and system thereof
US11695800B2 (en) 2016-12-19 2023-07-04 SentinelOne, Inc. Deceiving attackers accessing network data
US11616812B2 (en) 2016-12-19 2023-03-28 Attivo Networks Inc. Deceiving attackers accessing active directory data
JP2020530922A (ja) 2017-08-08 2020-10-29 センチネル ラボ,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Sentinel Labs, Inc. エッジネットワーキングのエンドポイントを動的にモデリングおよびグループ化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
US11470115B2 (en) 2018-02-09 2022-10-11 Attivo Networks, Inc. Implementing decoys in a network environment
US10762200B1 (en) 2019-05-20 2020-09-01 Sentinel Labs Israel Ltd. Systems and methods for executable code detection, automatic feature extraction and position independent code detection
US11579857B2 (en) 2020-12-16 2023-02-14 Sentinel Labs Israel Lt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evice fingerprinting and automatic deployment of software in a computing network using a peer-to-peer approach
US11899782B1 (en) 2021-07-13 2024-02-13 SentinelOne, Inc. Preserving DLL hook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5173B2 (en) * 1999-12-20 2003-12-16 Wireless Agents, Llc Physical configuration of a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7221560B2 (en) * 2005-01-26 2007-05-22 Cingular Wireless Ii, Llc Mobile digital device with retractable keyboard
US7512427B2 (en) * 2005-09-02 2009-03-31 Nokia Corporation Multi-function electronic device with nested sliding panels
US7580736B2 (en) * 2007-05-29 2009-08-25 Nokia Corporation Pivot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80447B2 (en) 2012-10-02
US20090170566A1 (en) 2009-07-02
KR101407501B1 (ko)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0440A (ko) 후면 키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
JP5333054B2 (ja) 電子機器
JP2009033750A (ja) スライディング及びローテーション複合メカニズムとこれを採用した携帯用電子機器
KR101420801B1 (ko) 휴대용 단말기
US20050277449A1 (en) Automatic sliding mechanism
JP2009071588A (ja) 携帯通信端末機
CN103207646A (zh) 具有支撑板的便携式终端
JP2005329245A (ja) 移動通信端末機用ケース
WO2009151297A2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슬라이드형 휴대용 정보기기
CN112833083B (zh) 电子装置
KR102215610B1 (ko) 접이식 멀티미디어 단말기
KR200451338Y1 (ko) 슬라이드 겸용 스윙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CN101714018A (zh) 便携式电子设备
KR100718892B1 (ko) 확장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06058B1 (ko) 슬라이딩 액정부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KR100810220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자 커버 개폐장치
KR1011458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힌지장치
KR100965177B1 (ko)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101107122B1 (ko) 모바일 기기
KR101153193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051415B1 (ko) 슬라이딩 힌지 장치
KR101107125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100111554A (ko) 스윙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653521B1 (ko) 측면 전개식 입력키 패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74765B1 (ko) 회전과 슬라이딩이 가능한 일체형 휴대폰의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