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797A -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 - Google Patents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797A
KR20070075797A KR1020060004452A KR20060004452A KR20070075797A KR 20070075797 A KR20070075797 A KR 20070075797A KR 1020060004452 A KR1020060004452 A KR 1020060004452A KR 20060004452 A KR20060004452 A KR 20060004452A KR 20070075797 A KR20070075797 A KR 20070075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ground
communication
unmanne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00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5797A/ko
Publication of KR20070075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59Responders; Transpon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6Eart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1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voltage, e.g. for lightning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는, 무인국사에 탑재되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장비; 무인국사에 인입된 전원을 수용하여, 통신장비로 인가하고 통신장비의 전원접지선을 연결하는 분전반; 및 분전반과 통신장비의 접지로 연결되는 통신접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COMMUNICATION EQUIPMENT SHELTER WITH EARTH DEVICE}
도 1은 구내형의 무인국사의 구성도.
도 2는 거리형의 무인국사의 구성도.
도 3은 분전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은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무인국사에서 전원시설의 단일접지를 구성하여, 접지 간의 영향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접지는 회로 및 시스템 내에서 정전기 낙뢰 등의 전하와 과전류 및 과전압 등의 전기적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초기의 접지는 낙뢰 및 회로와 시스템의 정전기와 같은 전기성분으로부터 인명과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다시 말해, 전력계통내부에서 야기되는 사고 및 낙뢰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 혹은 써지(SURGE)를 대지로 분산시킴으로써, 감전사고 및 장비의 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접지의 기능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른 추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한다.
오늘날의 전기, 전자, 통신 및 반도체 관련 기술은 고도의 기술적 발전을 통해 대부분의 분야 및 영역에 있어서, 소형화와 고 집적화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초고속 통신망 등을 통한 고도의 정보화시대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발전은 소자 및 장비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른 것으로 전자회로의 고 기능화 및 고 밀집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렇지만 전자회로의 고 기능화 및 고 밀집화는 전자파의 간섭과 장애를 초래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파의 간섭 및 장애 유발을 방지하여 장비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운용 및 동작을 위해 접지가 사용된다. 이러한 원하지 않는 과전류, 과전압 및 전기적 잡음으로부터 장비 또는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가동 및 운용을 위해 기능용 접지가 사용된다.
기능용 접지 중에서 통신접지는 통신에 따른 신호 및 제어신호의 기준전위의 제공은 물론 기기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정전하 등을 대지로 보내는 등의 역할을 위해 사용되는 접지이다. 통신접지는 건물 등의 시설에서 광대역 주파수에 대해 낮고 안정된 임피던스를 갖도록 시공되며, 통신장비의 접지로 사용된다.
인터넷 가입자가 증가하면서 전화국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인터넷 가입자도 증가하였다. 전화국은 가입자가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 인터넷 서비스가 어렵기 때문에 가입자와 가까운 위치에 인터넷 장비를 전진배치시킨다. 원거리의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비를 가입자와 가까운 거리에 설치한 것을 전진배치 시설 또는 무인국사라고 한다. 무인국사는 전화국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화국에서 광케이블로 무인국사까지 연결되고, 구리선을 이용하여 무인국사와 가입자를 연결한다.
무인국사에는 인터넷 가입자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초고속 인터넷 장비 및 전원시설 등의 기타 장비들이 구비된다. 무인국사는 거리 또는 아파트 단지 등의 원거리 가입자의 위치와 가까운 곳으로 전진배치된다. 무인국사는 탑재되는 장비의 운용을 위해 전원공급 시설이 있다. 전원공급 시설에 의해 전기가 공급됨에 따라 무인국사에 설치된 장비의 보호 및 인명의 피해의 방지를 위해 접지시설이 구비된다. 전원의 공급에 따른 접지시설은 보안접지로, 보안접지는 무인국사의 장비의 외함, 분전반의 외함 등의 금속제에 접지하는 것으로 전기적인 이상 발생시 누설전류를 대지 등으로 방류하여 접촉에 따른 전지적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무인국사에 설치된 초고속 인터넷 장비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운용 및 서비스 품질의 확보와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가 요구된다. 이러한 접지는 통신접지로, 통신접지는 장비의 오동작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전류, 전자파의 방출을 위해 고 신뢰성의 접지이어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통신접지는 통상적으로 10Ω(ohm) 정도의 접지저항을 가지며, 보안접지는 100Ω(ohm) 정도의 접지저항을 가진다.
따라서, 초고속 인터넷 장비의 전원 공급에 따른 보안접지와 장비의 오동작 등을 방지하기 위한 통신접지는 서로 상이한 접지저항을 가지게 된다. 더불어 무인국사는 한정된 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두 접지간 충분한 이격거리 확보불가로 인하여 장비의 운용시에 잡음(ground loop noise)을 형성하고 나아가 전위차 발생에 따른 장비의 고장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전원시설의 변압기 등과 연결된 보안접지는 초고속 인터넷 장비로 고조파전류를 유입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고조파는 정현파와 같은 기본파 파형 위에 정수배의 주파수 성분들이 중첩된 파형으로, 정현파인 교류전압전류가 정류장치 등에 의해 왜곡되고 정현파에 중첩된 것이다. 전원시설에서 발생한 고조파는 초고속 인터넷 장비로 유입되는 전류의 흐름에 큰 변화를 주기 때문에 누전차단기의 동작을 초래한다. 전원시설에서 발생한 고조파는 통상적으로 960~2500㎃ 정도로 초고속 인터넷 장비로 유입되는 전류의 세기에 큰 변화를 주기 때문에 누전차단기의 동작과 등전위 유지불가로 인한 장비의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거리 인터넷 가입자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무인국사에 설치된 장비의 등전위를 유지할 수 있는 접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는, 무인국사에 탑재되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장비; 무인국사에 인입된 전원을 수용하여, 통신장비로 인가하고 통신장비의 전원접지선을 연결하는 분전반; 및 분전반과 통신장비의 접지로 연결되는 통신접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인국사(100)는 분전반(110),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 및 통신접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전반(110)은 무인국사(100) 내로 전원이 인입되는 최초의 연결지점이다. 분전반(110)은 외부로 전원점과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고, 무인국사(100) 내의 장비와 인명의 보호를 위해 과전류를 차단하고 장비에 따른 허용 전력을 통제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는 무인국사(100) 내에 구비된 통신장비로 원거리의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는 전화국과 광케이블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는 전화국과 전송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전송구간 및 전송가능 권역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는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를 수용하고 전화국으로 연결하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를 연결하는 최종단에서는 구리케이블을 이용하기 때문에 양호한 전송속도 등을 제공하기 위해 원거리 가입자에게 전진배치된 시설이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이다. 무인국사(100)는 당업자의 서비스 제공 목적 등에 따라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를 대신하여 기타 다른 통신장비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접지(130)는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의 원활한 동작 및 신호의 왜곡을 초래하는 이상 전류의 방지를 위해 구비된 접지시설이다. 통신접지(130)는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 내에서 사용되는 신호의 왜곡을 초래할 수 있는 미세한 이상전류도 방류시켜야하기 때문에 낮은 접지저항을 가지는 고 신뢰성의 접지이다.
무인국사(100)는 크게 접지의 형식에 따라 두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전원의 공급에 따른 안정성을 위해 사용되는 보안접지의 형식에 따라 거리형과 구내형으로 나누어진다.
구내형은 건물의 구내통신실(MDF, Main Distribution facility)과 같은 곳에 설치되는 형태이다. 구내통신실 등에 설치되는 구내형의 무인국사(100)는 건물 내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건물 내에서는 무인국사(100)의 설치에 따른 접지시설의 구비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전원과 함께 접지시설이 제공된다. 또한 모든 건물은 구내통신실의 설치시에 의무적으로 전원의 공급에 따른 보안접지를 구비하도록 되어있다.
도 1은 구내형의 무인국사의 구성도이다.
구내형 무인국사(100)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과 함께 보안접지를 제공하는 보안접지선이 동시에 인입된다. 전원선은 무인국사(100)의 분전반(110)으로 연결되어 무인국사(100) 내에 전원이 필요한 장비들에 대해서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한다.
이때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를 포함한 무인국사(100) 내의 모든 전원을 사용하는 장비는 전원케이블의 플러그에 전원접지선을 구비한다.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의 전원접지선은 분전반으로 연결된다. 더불어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 등의 통신 장비는 통신에서의 안정성 확보 및 잡음의 제거 등을 위해 통신접지(130)와 연결된다.
거리형은 일반 거리 등에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된 무인국사(100)함의 형태 로 구현된 것이다. 거리형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전기의 공급에 따른 안정성의 확보를 위한 보안접지를 무인국사(100) 내에 구비하고 있는 형태이다. 거리형은 통상의 거리에 설치되어 있는 무인국사(100)이기 때문에 대지와 연결할 수 있으며, 이상전류를 대지로 분산시키기 위한 시설이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거리형의 무인국사의 구성도이다.
거리형의 무인국사(100)는 인입된 전원선을 분전반(110)으로 연결하여, 각 장비별로 전원을 배분한다. 배분된 전원은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를 포함한 무인국사(100) 내의 장비로 제공된다.
거리형 무인국사(100)의 경우도 구내형과 유사하게 통신장비의 전원선과 함께 전원접지선이 분전반(110)으로 연결되고, 통신장비의 안정성 확보 및 잡음을 제거에 따른 동작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통신접지(130)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의 내부 연결관계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거리형 무인국사(100)와 구내형 무인국사(100)가 동일한 내부 연결관계를 가지는 분전반(110)을 이용하는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분전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분전반(110)은 배선용차단기(111), 누전차단기(115) 및 접지동대(117)로 구성된다.
배선용차단기(111)는 무인국사(100) 전체에 인입되는 전력의 과부하 및 단락 등의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회로를 차단하여 무인국사(100)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단기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차단기(111)는 무인국사(100) 전체에서 사 용되는 전력에 따라 허용하는 최대전력이 상이할 수 있다.
누전차단기(115)는 배선용차단기(111)와 유사한 일종의 차단기이지만, 배선용차단기(111)의 역할과 더불어 누전에 의한 이상 발생시 이를 차단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누전차단기(115)는 배선용차단기(111)의 허용 전력보다 작으며, 누전차단기(115)가 전원을 공급하는 해당 장비에 따라 최대 허용 전력 값이 상이할 수 있다. 더불어 누전차단기(115)는 누전이 발생할 경우 동작하여 회로를 차단하여 손상을 방지한다.
더불어 누전차단기(115)는 무인국사(100)에 구비된 장비의 개수 및 당업자의 구현의도에 따라 탑재되는 수가 상이할 수 있다. 배선차단기(111)는 무인국사(100)의 전체 허용전력을 관리하기 위해 하나의 배선차단기(111)만 사용될 수 있지만, 누전차단기(115)는 각각의 탑재 장비의 보호를 위해 각 장비별로 또는 소정 수의 장비에 대하여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배선용차단기(111)는 전체 무인국사(100)에 해당하는 최대 허용 전력에 대해 회로를 보호하고, 누전차단기(115)는 누전을 차단하는 역할과 동시에 무인국사(100)에 구비된 특정 장비들에 대해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접지동대(117)는 무인국사(100) 내의 장비들이 접지를 연결하는 시설이다. 접지동대(117)는 자체적으로 이상전류를 방류하는 기능이 없으며, 무인국사(100) 내의 장비 및 시설들의 접지를 한곳으로 모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110)의 내부 연결상태는 다음과 같다.
분전반으로 인입된 전원선은 배선용차단기(111)를 통해 각각의 누전차단기 (115)로 인가된다. 각각의 누전차단기(115)에는 해당 장비가 연결되며, 이를 통해 해당 장비로 전원이 공급된다. 각각의 누전차단기(115)에 연결된 장비 중,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는 전원선과 함께 구비된 전원접지선이 분전반의 접지동대(117)로 연결된다. 분전반(110)의 접지동대는(117)는 단일접지선을 이용하여 통신접지(130)로 연결된다.
따라서 무인국사(100)에 구비된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는 통신접지선과 전원접지선을 이용하여 통신접지(130)로 접지가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상태는 초고속 인터넷 장비에 단일접지를 제공하여 낙뢰 등의 이상전류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등전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국사(100)는 거리형 또는 구내형에 따라 그 구현방법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들 들어, 구내형 무인국사(100)의 경우, 구내형 무인국사(100)는 외부로부터 전원선과 함께 보안접지선이 인입된다. 통상적으로 무인국사(100) 내의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는 전원을 연결함과 동시에 전원접지선을 보안접지선과 연결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무인국사(100)는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의 전원접지선을 보안접지선과 연결하지 않고, 분전반(110)을 통해 통신접지(130)로 연결한다.
이때 구내형 무인국사(100)의 경우, 무인국사(100) 내의 다른 장비의 전원의 전원접지선을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와 동일하게 통신접지(130)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접지(130)와의 연결은 무인국사(100) 내에 탑재된 다른 장비가 고신뢰도를 필요로 하는 접지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내형 무인국사(100)에 탑재된 장비가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가 아닌 경우에도 당업자의 구현의도에 따라 전원접지선을 통신접지(130)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의 전원의 전원접지선을 분전반(110)을 이용하여 통신접지(130)로 연결하는 것은 무인국사(100) 내에 탑재된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가 복수일 경우, 배선의 용이함 등을 위한 것으로, 이러한 통신접지(130)로의 연결은 무인국사(100) 내의 탑재된 장비 수 및 배선의 용이함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구내형 무인국사(100)의 경우와 유사하게 거리형 무인국사(100)의 경우에도,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의 전원의 전원접지선을 분전반을 통해 통신접지(130)로 연결한다. 이때 거리형 무인국사(100)는 초고속 인터넷 장비(120)를 제외한 다른 탑재 장비를 위해 보안접지의 사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장비의 전원접지선도 통신접지(130)로 연결하여 운용한다. 거리형 무인국사(100)는 보안접지를 생략하고 기존의 보안접지에 연결되던 모든 장비를 접지성능이 더 양호한 통신접지(130)로 연결함으로써 향상된 접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는, 무인국사 내에 접지저항이 다른 두 개의 접지를 접지성능이 양호한 하나의 접지로 통합운용함으로써, 무인국사에 탑재된 장비에 대해 등전위가 유지되어 장비의 안정성 증대 및 잡음(ground loop noise) 등의 운용상의 장애요소를 제거하는 효과 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무인국사에 탑재되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장비;
    상기 무인국사에 인입된 전원을 수용하여, 상기 통신장비로 인가하고 상기 통신장비의 전원접지선을 연결하는 분전반; 및
    상기 분전반과 상기 통신장비의 접지로 연결되는 통신접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비는,
    초고속 인터넷 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은,
    상기 무인국사 전체에 허용되는 전력을 관리하는 배선용차단기;
    상기 통신장비에 허용되는 전력을 관리하는 누전차단기; 및
    상기 통신장비의 전원선과 함께 연결되는 주 접지선을 상기 통신접지로 연결하는 접지동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동대는,
    상기 통신장비를 포함하여, 상기 무인국사에 탑재된 장비의 전원접지선을 수 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접지는,
    접지저항을 10Ω(ohm) 이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
KR1020060004452A 2006-01-16 2006-01-16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 KR20070075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452A KR20070075797A (ko) 2006-01-16 2006-01-16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452A KR20070075797A (ko) 2006-01-16 2006-01-16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797A true KR20070075797A (ko) 2007-07-24

Family

ID=3850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452A KR20070075797A (ko) 2006-01-16 2006-01-16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579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052A (ko) * 2001-06-14 2002-12-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버스 바를 이용한 통신시스템의 접지 및 전원공급장치
KR20040083207A (ko) * 2003-03-21 2004-10-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원 안정화 장치
KR200435646Y1 (ko) * 2006-09-25 2007-02-05 노베라옵틱스코리아 주식회사 써지 보호기
KR100689925B1 (ko) * 2006-03-17 2007-03-08 추인엽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052A (ko) * 2001-06-14 2002-12-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버스 바를 이용한 통신시스템의 접지 및 전원공급장치
KR20040083207A (ko) * 2003-03-21 2004-10-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원 안정화 장치
KR100689925B1 (ko) * 2006-03-17 2007-03-08 추인엽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기구
KR200435646Y1 (ko) * 2006-09-25 2007-02-05 노베라옵틱스코리아 주식회사 써지 보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3531B2 (en) Coupling device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s link for RF broadband data signals to a power line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US98195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solating and protecting a PoE (power over ethernet) device
US8212379B2 (en) Station communications over electrical transmission lines
US7345864B2 (en) Voltage limiter for coaxial cable carrying RF signals and voltage
EP2672656B1 (en) Power over ethernet port protection circuit and ethernet power supply equipment
KR101013244B1 (ko) 비접지 계통의 서지방지시스템
US5768081A (en) Modular primary surge protector assembly
US7602596B1 (en) Variou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surge protection scheme
JP2007312466A (ja) 雷保護通信システム
JP4583642B2 (ja) 避雷器付分電盤
KR20070075797A (ko) 접지 시설을 구비한 무인국사
JP2001286079A (ja) 雷害故障防護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9240029A (ja) 雷保護装置、収納ボックス
US6934138B2 (en) Method and device for bonding AC utilities and HFC access networks for surge mitigation
Denker Remote Radio Head systems-Requirements and concept of lightning and overvoltage protection
Bellarmine et al. Techniques of effective cellular site facility protection
Wen et al. Cascade Protection Scheme for Wayside Signaling Surge Protection
Braithwaite Surge protection devices-installation issues
CA2346208C (en) Coupling device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s link for rf broadband data signals to a power line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Unahalekhaka et al. Power Line Induction affect to Subscriber’s telephone during GDTs’ failure.
JP6247650B2 (ja) 同軸ケーブルポートの雷サージ防護システム
Cohen et al. Designing for immortality (surge environment)
Danks An overview of British Telecom's approach to the lightning protection of its network
Kijima Lightning protection for recent telecommunications installations
JPH10191555A (ja) 誘導雷対策をした業務用無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