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789A -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789A
KR20070075789A KR1020060004437A KR20060004437A KR20070075789A KR 20070075789 A KR20070075789 A KR 20070075789A KR 1020060004437 A KR1020060004437 A KR 1020060004437A KR 20060004437 A KR20060004437 A KR 20060004437A KR 20070075789 A KR20070075789 A KR 20070075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departure
ldws
operation sound
inform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래
신중모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4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5789A/ko
Publication of KR20070075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1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out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6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used as a seal between the floor and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 방향지시등(50)(50')으로부터 작동음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60)(60')과; 상기 각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60)(60')로부터 상기 각 방향지시등(50)(50')의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인식하는 BPF(40)와; GPS(30)로부터 속도 관련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BPF(40)로부터 필터링되어 입력된 정보와 LDWS(20)로부터 입력된 차선이탈 정보를 비교판단하여 상기 각 방향 지시등(50)(50')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LDWS(20)에 의해 차선이탈 경보 발생부(70)를 작동시키는 마이컴(1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BPF(band pass filter)를 이용하여 방향지시등 작동음의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도록 인식하며 방향지시등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LDWS를 통해 차선이탈 경보를 발생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는 녹음된 방향 지시등 작동음과 일치하는 소리의 입력여부로 방향지시등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LDWS를 통해 차선이탈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일반사용자가 LDWS에 직접 방향 지시등 신호선을 연결할 필요가 없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LDWS, BPF, 방향지시등, GPS, 차선이탈 경보 발생부,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

Description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a LDWS for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컴 20 : LDWS
30 : GPS 40 : BPF
50,50' : 방향 지시등 60,60' : 방향 지시등 작동음 센서
70 : 차선 이탈 경보 발생부 80 : 방향 지시등 작동음 수음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 방향지시등으로부터 작동음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와; 각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로부터 각 방향지시등의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인식하는 BPF와; GPS로부터 속도 관련 정보가 입력되며, BPF로부터 필터링되어 입력된 정보와 LDWS로부터 입력된 차선이탈 정보를 비교판단하여 각 방향 지시등의 작동여부에 따라 LDWS에 의해 차선이탈 경보 발생부를 작동시키는 마이컴;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BPF를 이용하여 방향지시등 작동음의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도록 인식하며 방향지시등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LDWS를 통해 차선이탈 경보를 발생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는 녹음된 방향 지시등 작동음과 일치하는 소리의 입력여부로 방향지시등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LDWS를 통해 차선이탈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일반사용자가 LDWS에 직접 방향 지시등 신호선을 연결할 필요가 없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SV(Advanced Safety Vehicle)는 차량의 안전도 향상을 위해서 첨단 전자기술과 제어 기술을 적용하는 첨단 차량으로, 교통사고를 감소시켜 교통량을 증가시키고 에너지를 절약하며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게 된다.
ASV의 하나로써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LDWS : Lane Definition Warning System)은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로부터 전방도로 영상을 감지하여 현재 달리고 있는 차선을 파악한 후, 만약 운전자가 부주의나 졸음 운전 등으로 차선을 이탈하려고 하면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여 주는 안전장치이다.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은 자동차 전방의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이 차선을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는 차선 검출 장치와 이 차선 검출 장치의 분석 결과 차량이 차선을 벗어나면 그 사실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은 도로 운송망이 잘 갖춰지고 자동차 산업이 발달한 나라에서는 운전자들, 특히 트럭 운전사와 장거리 출퇴근자들이 장시간 운전에 따른 피로, 부주의 졸음 운전으로 인한 차선이탈사고의 위험에 노출된 상황에서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LDWS는 운전자의 의도적인 차선이탈에 대하여는 경보를 하지 않아야 하며, 방향지시등의 신호를 인식하기 위하여 방향지시등의 신호선을 LDWS에 연결해야만 하므로 일반 사용자들이 직접 설치하기엔 불편하며 연결 후에 오작동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 방향지시등으로부터 작동음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와; 각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로부터 각 방향지시등의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인식하는 BPF와; GPS로부터 속도 관련 정보가 입력되며, BPF로부터 필터링되어 입력된 정보와 LDWS로부터 입력된 차선이탈 정보를 비교판단하여 각 방향 지시등의 작동여부에 따라 LDWS에 의해 차선이탈 경보 발생부를 작동시키는 마이컴;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BPF(band pass filter)를 이용하여 방향지시등 작동음의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도록 인식하며 방향지시등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LDWS를 통해 차선이탈 경보를 발생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는 녹음된 방향 지시등 작동음과 일치하는 소리의 입력여부로 방향지시등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LDWS를 통해 차선이탈 경보 를 발생함으로써 일반사용자가 LDWS에 직접 방향 지시등 신호선을 연결할 필요가 없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 방향지시등으로부터 작동음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와; 각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로부터 각 방향지시등의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인식하는 BPF와; GPS로부터 속도 관련 정보가 입력되며, BPF로부터 필터링되어 입력된 정보와 LDWS(Lane Definition Warning System)로부터 입력된 차선이탈 정보를 비교판단하여 각 방향 지시등의 작동여부에 따라 LDWS에 의해 차선이탈 경보 발생부를 작동시키는 마이컴;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BPF(Band Pass Filter)를 이용하여 방향지시등 작동음의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도록 인식하며 방향지시등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LDWS를 통해 차선이탈 경보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좌·우 방향지시등의 작동음을 수음하는 방향지시등 작동음 수음부와; GPS로부터 속도 관련 정보가 입력되며, 방향지시등 작동음 수음부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녹음된 방향지시등 작동음과 비교판단하여 LDWS에 의해 차선이탈 경보 발생부를 작동시키는 마이컴;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지시등(50)(50')으로부터 작동음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60)(60')과; 상기 각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60)(60')로부터 상기 각 방향지시등(50)(50')의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인식하는 BPF(40)와; GPS(30)로부터 속도 관련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BPF(40)로부터 필터링되어 입력된 정보와 LDWS(20)로부터 입력된 차선이탈 정보를 비교판단하여 상기 각 방향지시등(50)(50')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LDWS(20)에 의해 차선이탈 경보 발생부(70)를 작동시키는 마이컴(1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LDWS(20)가 자동차의 차선 이탈여부에 따라 차선 이탈 경보를 발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방향지시등(50)(50')의 작동에 따른 차선 변경을 구분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방향지시등(50)(50')의 신호선을 LDWS(20)에 직접 운전자가 설치하여야 하는 어려움을 상기 BPF(40)를 구비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상기 BPF(40)는 대역 통과 여파기라고도 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통과시키는 밴드 패스 필터이다. 이는 저주파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LPF(Low Pass Filter,저주파 패스 필터), 고주파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HPF(High Pass Filter,고주파 패스 필터) 등과 같은 필터의 일종이다.
이는 수음된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나머지는 감쇄시키기 때문에 상기 방향지시등(50)(50')의 작동시 발생하는 작동음에 해당하는 특정 주파수만을 필터링하여 통과시켜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차선 변경시 상기 방향 지시등(50)(50') 작동에 의한 차선 변경인지 아닌지를 상기 마이컴(10)에서 비교판단하여 상기 LDWS(20)에 의해 상기 차선 이탈 경보 발생부(70)를 통해 차선 이탈 경보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은 상기 방향지시등(50)(50') 작동시 작동음을 감지하는 상기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60)(60')로부터 상기 방향지시등(50)(50')의 작동음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통과시키는 상기 BPF(40)에 의해 입력된 정보와 상기 GPS(3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비교판단하는 마이컴(10)은 자동차가 기준속도 도달시 작동하는 상기 LDWS(20)에 의해 입력되는 자동차의 차선이탈 정보를 비교판단하여 상기 BPF(40)로부터 상기 방향지시등(50)(50')의 작동음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이 통과될 경우, 상기 LDWS(20)에 의해 상기 차선 이탈 경보 발생부(70)로부터 차선 이탈 경보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해당 주파수 대역이 통과되지 않을 경우, 상기 LDWS(20)에 의해 상기 차선 이탈 경보 발생부(70)로부터 차선 이탈 경보를 발생하도록 하여 운전자 로 하여금 차선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은 좌·우 방향지시등(50)(50')의 작동음을 수음하는 방향지시등 작동음 수음부(80)와; GPS(30)로부터 속도 관련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방향지시등 작동음 수음부(80)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녹음된 상기 방향지시등 작동음과 비교판단하여 LDWS(20)에 의해 차선이탈 경보 발생부(60)를 작동시키는 마이컴(1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GPS(30)로부터 확인된 자동차의 속도 정보를 통해 기준 속도 이상일 경우 상기 LDWS(20)를 작동시킨다.
이때, 자동차의 차선 이탈시 상기 방향지시등(50)(50')의 작동시 발생하는 작동음을 수음하는 상기 방향지시등 수음부(80)를 통해 수음된 작동음과 미리 녹음된 상기 방향지시등(50)(50')의 작동음을 상기 마이컴(10)에서 비교판단하여 상기 각 방향지시등(50)(50')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각 방향지시등(50)(50')이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LDWS(20)에 의해 상기 차선 이탈 경보 발생부(70)로부터 차선 이탈 경보를 발생하여 운전자의 차선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차선 이탈시 미리 녹음된 상기 각 방향지시등(50)(50')의 작동음과 비교판단하여 상기 각 방향지시등(50)(50')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LDWS(20)에 의해 차선 이탈 경보를 발생할 수 있어 운전자가 직접 상기 각 방향지시등(50)(50')의 신호선을 상기 LDWS(20)에 연결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 저 각 방향 지시등(50)(50')의 작동음을 녹음하고(S100), 상기 GPS(20)로부터 자동차의 속도 정보를 입력받아 기준 속도에 도달 여부를 상기 마이컴(10)에서 비교판단하여(S200), 기준속도 도달시 상기 LDWS(20)가 작동하며(S300), 차선 이탈 여부를 상기 마이컴(10) 비교판단하여(S400) 차선 이탈시 미리 녹음된 상기 각 방향지시등(50)(50')의 작동음과 상기 방향지시등 수음부(80)에 의해 수음된 소리 정보의 일치여부를 상기 마이컴(10)에서 비교판단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각 방향지시등(50)(50')이 작동하지 않은(OFF) 것을 판단하여(S500) 상기 LDWS(20)에 의해 상기 차선 이탈 경보 발생부(70)로부터 차선 이탈 경보를 발생하는(S600)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은 좌·우 방향지시등으로부터 작동음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 각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로부터 각 방향지시등의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인식하는 BPF와; GPS로부터 속도 관련 정보가 입력되며, BPF로부터 필터링되어 입력된 정보와 LDWS(Lane Definition Warning System)로부터 입력된 차선이탈 정보를 비교판단하여 각 방향 지시등의 작동여부에 따라 LDWS에 의해 차선이탈 경보 발생부를 작동시키는 마이컴;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BPF(Band Pass Filter)를 이용하여 방향지시등 작동음의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도록 인식하며 방향지시등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LDWS를 통해 차선이탈 경보를 발생할 수 있어 운전자가 직접 방향 지시등의 신호선을 LDWS에 연결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 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은 좌·우 방향지시등의 작동음을 수음하는 방향지시등 작동음 수음부와; GPS로부터 속도 관련 정보가 입력되며, 방향지시등 작동음 수음부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녹음된 방향지시등 작동음과 비교판단하여 LDWS에 의해 차선이탈 경보 발생부를 작동시키는 마이컴;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직접 방향 지시등의 신호선을 LDWS에 연결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은 좌·우 방향지시등으로부터 작동음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 각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로부터 각 방향지시등의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인식하는 BPF와; GPS로부터 속도 관련 정보가 입력되며, BPF로부터 필터링되어 입력된 정보와 LDWS(Lane Definition Warning System)로부터 입력된 차선이탈 정보를 비교판단하여 각 방향 지시등의 작동여부에 따라 LDWS에 의해 차선이탈 경보 발생부를 작동시키는 마이컴;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BPF(Band Pass Filter)를 이용하여 방향지시등 작동음의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도록 인식하며 방향지시등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LDWS를 통해 차선이탈 경보를 발생할 수 있어 운전자가 직접 방향 지시등의 신호선을 LDWS에 연결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은 좌 ·우 방향지시등의 작동음을 수음하는 방향지시등 작동음 수음부와; GPS로부터 속도 관련 정보가 입력되며, 방향지시등 작동음 수음부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녹음된 방향지시등 작동음과 비교판단하여 LDWS에 의해 차선이탈 경보 발생부를 작동시키는 마이컴;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직접 방향 지시등의 신호선을 LDWS에 연결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좌·우 방향지시등(50)(50')으로부터 작동음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60)(60')과;
    상기 각 방향지시등 작동음 센서(60)(60')로부터 상기 각 방향지시등(50)(50')의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인식하는 BPF(40)와;
    GPS(30)로부터 속도 관련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BPF(40)로부터 필터링되어 입력된 정보와 LDWS(20)로부터 입력된 차선이탈 정보를 비교판단하여 상기 각 방향지시등(50)(50')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LDWS(20)에 의해 차선이탈 경보 발생부(70)를 작동시키는 마이컴(1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2. 좌·우 방향지시등(50)(50')의 작동음을 수음하는 방향지시등 작동음 수음부(80)와;
    GPS(30)로부터 속도 관련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방향지시등 작동음 수음부(80)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녹음된 상기 방향지시등 작동음과 비교판단하여 LDWS(20)에 의해 차선이탈 경보 발생부(60)를 작동시키는 마이컴(1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KR1020060004437A 2006-01-16 2006-01-16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KR20070075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437A KR20070075789A (ko) 2006-01-16 2006-01-16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437A KR20070075789A (ko) 2006-01-16 2006-01-16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789A true KR20070075789A (ko) 2007-07-24

Family

ID=3850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437A KR20070075789A (ko) 2006-01-16 2006-01-16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578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175B1 (ko) * 2011-11-10 2013-03-25 주식회사 유니크 프리 세이프 진동 스티어링 휠 제어 시스템
KR200475831Y1 (ko) * 2013-01-15 2015-01-14 이학로 예고없는 차선변경시 방향지시등 자동작동 시스템
KR101882683B1 (ko) 2017-07-13 2018-07-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tk-gnss를 이용한 도로 차선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90138A (ko) * 2018-01-24 2019-08-01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방향지시등의 작동을 확인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04203A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이브이랩 사운드 신호를 이용한 이동체의 위치인식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175B1 (ko) * 2011-11-10 2013-03-25 주식회사 유니크 프리 세이프 진동 스티어링 휠 제어 시스템
KR200475831Y1 (ko) * 2013-01-15 2015-01-14 이학로 예고없는 차선변경시 방향지시등 자동작동 시스템
KR101882683B1 (ko) 2017-07-13 2018-07-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tk-gnss를 이용한 도로 차선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90138A (ko) * 2018-01-24 2019-08-01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방향지시등의 작동을 확인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04203A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이브이랩 사운드 신호를 이용한 이동체의 위치인식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9380B2 (en)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avoiding collisions of a vehicle with pedestrians
US9908410B2 (en) Method and device for warning the driver of a motor vehicle in the event of lack of attention
US20140078291A1 (en) Driver Assisting System and Method for a Motor Vehicle
CN107111955B (zh) 操作控制装置
JP2020024532A (ja) 脇見運転検出装置
JP2010113601A (ja) 車両用警告装置
KR20070075789A (ko)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KR101124948B1 (ko) 전방 차량의 출발알림 경보시스템
JP200726373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44134A (ko) 추월차로에서의 차선변경 유도장치 및 방법
JP2007503344A (ja) 車両の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情報出力方法
KR20150071221A (ko) 차량의 사운드 경고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2008046862A (ja) 車両用警報装置及び警告音出力方法
KR101717938B1 (ko) 교차로 진입 안내 장치 및 방법
JP2008071062A (ja) 運転支援装置および通知方法
KR20190124017A (ko) 교차로 통행 보조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40092451A (ko) 차선이탈 경보장치 및 방법
KR20150022260A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방법
JP6288838B2 (ja) 車両における積雪検知システム
KR200407699Y1 (ko) 졸음운전방지 및 무단 차선이탈 방지장치
JP2007172462A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2009003767A (ja) 車載機
KR100514484B1 (ko) 타 차량의 경적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70054714A (ko) 자동차 외부의 소음을 감지한 경고음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23573B1 (ko)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