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216A -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216A
KR20070075216A KR1020060006501A KR20060006501A KR20070075216A KR 20070075216 A KR20070075216 A KR 20070075216A KR 1020060006501 A KR1020060006501 A KR 1020060006501A KR 20060006501 A KR20060006501 A KR 20060006501A KR 20070075216 A KR20070075216 A KR 20070075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service
information
network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6274B1 (ko
Inventor
안종훈
송재연
쉬이링
이국희
이혜영
정보선
이종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7700948A priority Critical patent/EP1972080A1/en
Priority to US12/160,863 priority patent/US20080316973A1/en
Priority to PCT/KR2007/000221 priority patent/WO2007081175A1/en
Publication of KR2007007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DVB-H: 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통융합 서비스 (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이동을 해서 자신이 속해있는 셀(cell) 혹은 네트워크를 벗어난 경우에도 선택해서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를 계속해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터렉티브 채널(Interactive Channel) 을 이용해 핸드오버를 하려는 단말기에게 필수적인 혹은 유용한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서비스를 시청하면서 이동을 하여 새로운 셀에 들어가게 되어도, 단말기가 종래 방식과 강화된 방식을 이용해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강화된 핸드오버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환경에서 단말기의 핸드오버 실행 시나리오를 제공한다.
핸드오버, passive 핸드오버,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DVB-H: 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방통융합 서비스(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Description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andover Using Interactive channel in DVB-H CBMS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에서 핸드오버의 개념을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H: 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이하 DVB-H라 칭함) 방통융합 서비스(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이하 CBMS라 칭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단말기에게 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기에게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VB-H CBMS는 이동 수신 성능이 우수한 디지털 TV 방송 서비스와 이동 통신의 결합을 통해 보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즉 아날로그 TV가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HDTV급 고화질과 CD급 고음질의 TV 서비스를 안방에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현대사회가 매우 다양화됨에 따라 시청자의 활동성 및 생활 패턴도 과거와는 매우 달라졌으며 휴대폰, PDA, 노트북 컴퓨터 등 휴대용 기기가 일반화됨에 따라 이동 중에도 선명한 화질의 TV를 즐기고자 하는 요구가 급속히 증대되고 있다. 또한 역방향 채널이 없는 방송망의 한계를 이동 통신과의 결합을 통해 해결하려는 노력이 있는데 이런 노력의 결과로 나온 것이 상기 DVB-H CBMS이다.
상기 DVB-H CBMS는 이동하는 이동 통신 채널 사용이 가능한 수신 단말기를 위해서 만들어진 시스템으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과 같은 셀(cell) 기반 무선통신에서 지원하고 있는 핸드오버의 개념을 포함한다. 그러나 DVB-H CBMS의 핸드오버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와는 차이점이 있는데,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는 네트워크가 사용자 개개인을 관리하면서 핸드오버를 포함한 망 관리를 위해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받지만, 일반적인 방송 시스템의 경우에는 방송 사업자는 서비스와 컨텐츠(content)를 제공하지만, 모든 사용자 개개인의 관리는 하지 않는다. 따라서 방송 수신을 위한 정보도 방송망을 이용해 전체 사용자에게 보내며, 사용자 관리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방송망의 핸드오버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와 구별되는 특유의 기술적 요구 사항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에서 핸드오버의 개념을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100)가 자신이 속한 셀(120)에서 선택한 서비스를 시청하면서 같은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다른 셀(130)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100)가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주기 위해서는 셀(120)로부터 받고 있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과 동일한 전송 스트림을 이동해가는 셀(130)로부터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전송 스트림이 다른 경우에는 적어도 동일한 서비스가 이동해가는 셀(130)이 제공하는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서로 다른 셀은 전송 주파수가 다르므로 단말기가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웃 셀의 주파수 정보를 알아야 한다. 상기 이웃 셀의 주파수 정보는 DVB 방송망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고유 정보/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 이하, PSI/SI라 칭함)를 통하여 얻을 수 있다.
만일 사용자(110)가 자신이 속해있는 네트워크(140)를 벗어나 이웃한 네트워크(150)로 들어가는 경우에 단말기는, 상기 주파수 정보 외에도 상기 사용자(110) 가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가 속해 있는 이웃한 네트워크의 전송 스트림의 id를 알아야 한다. 이 정보 역시 PSI/SI 정보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만일 이웃한 네트워크에 상기 사용자가 시청하던 서비스가 없는 경우이면, 상기 단말기는 만일 대체 가능한 서비스가 있는지를 찾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대체 가능한 서비스란 뉴스와 같이 지역에 따라 편성은 다르나 성격이 같은 서비스를 말한다. 그리고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로밍 절차가 필요할 수도 있다. 이상 서술한 핸드오버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를 끊김 없이 지속적으로 제공해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술에 앞서 Passive 핸드오버와 Active 핸드오버의 개념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상기 Passive 핸드오버란 terminal이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웃한 전송 스트림 및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전송 스트림을 통해 제공해 주어야 한다. 상기 전송 스트림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대표적인 방법에는 PSI/SI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Passive 핸드오버 방식을 적용할 시 access parameter의 제공이 인터렉티브 채널(interactive channel)(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터렉티브 채널이라 함은 GSM, UMTS 같은 이동 통신 망을 말한다.)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Active 핸드오버란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캐스트(Internet Protocol-Datacast, 이하 IPDC라 칭함) 서비스 네트워크가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식을 말한 다. 이 경우에는 인터렉티브 채널이 반드시 필요하며, Active 핸드오버를 통하여 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브로드캐스트 컨텐츠(broadcast content)의 전달이 가능하다.
이후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선행되어야 하는 핸드오버의 동작 원리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엔티티(entity)들로서, service application의 contents source entity(200)는 사용자가 시청할 컨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엔티티이다. 방송 네트워크내에 PSI/SI generator entity(210)는 PSI/SI 정보를 수집하고 방송망을 통해서 terminal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엔티티이다. 마지막으로 terminal내에 있는 entity들에 대해 살펴보자. contents consumption entity(220)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한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entity이다. PSI/SI handler entity(230)는 방송망이 제공하는 PSI/SI 정보를 받아서 획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한 방송 신호의 decoding 및 관련 서비스 운용을 담당하는 entity이다. mobility manager(240)는 본 도면에서는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지는 않지만, 단말기가 이동을 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엔티티이다.
상세한 메시지 교환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핸드오버에 들어가기 전 상태에서 단말기는 250단계에서 상기 contents source entity(20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아 선택한 프로그램을 시청한다. 상기 프로그램 시청 중에 수신 신호의 강도가 떨어지게 되면, 단말기는 260단계에서 PSI/SI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위치에 적합한 후보 셀들을 선정하여 오프 타임(off time) 동안에 부호 셀들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게 된다. 270단계에서 적합한 셀을 찾게 되면, 주파수를 맞추고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이후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중 메시지 교환 절차를 나타낸 도면에서는 점선을 이용해서 핸드오버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기로 한다) 핸드오버를 수행한 다음에 단말기는 자신이 받아야 할 전송 스트림을 찾아 수신을 계속한다. 이 과정 중에서 280단계에서는 새로운 셀의 PSI/SI 정보를 받아보고, 수신한 정보에 의거해 decoding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과정까지를 마치게 되면 단말기는 290단계에서 새로운 셀로부터 서비스를 받게 되며,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서비스를 끊김 없이 지속적으로 받아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260, 280단계의 PSI/SI 정보 수신 과정을 포함하여 이후 기술될 내용에 등장할 PSI/SI 수신 단계를 이해 함에 있어서 기억해야 할 것은 PSI/SI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과정은 방송망을 통해서 중단 없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설명의 편이를 위해서 특정 절차를 마친 후 PSI/SI 정보를 받는 것으로 표기 하였으나, 상기 과정은 방송 수신 중에 지속적으로 계속 진행되는 것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가 작동을 시작하여 300단계에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면서 310단계에서 주기적으로 수신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는지 점검하게 된다. 만일 수신강도의 감소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300 단계로 복귀하여 방송 서비스 수신을 계속하며, 만일 수신 감도의 저하가 있는 경우에는 320 단계로 진행하여 PSI/SI 정보로부터 이웃한 셀 혹은 네트워크의 주파수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상기 주파수 정보를 알고 있는 셀 혹은 네트워크는 핸드오버를 위한 후보 군에 속하게 된다. 상기 PSI/SI를 통해서 주파수 관련 정보를 획득하면, 330단계에서 off time 중에 이웃한 셀 혹은 네트워크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게 된다.
311단계에서 만일 후보 군중에서 정해진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가 발견된 경우에는, 상기 주파수에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312 단계로 넘어가게 되며, 만일 정해진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가 발견되지 않는다면, 350단계로 진행하여 초기 셋업(setup) 작업(350) 과정으로 넘어간다. 상기 350단계에서는 수신 신호 강도가 임계값 밑으로 떨어져 더 이상 방송 서비스를 수신할 수 없는 상황에 다다르게 된 것이며, 상기 단말기는 방송 서비스를 찾는 초기 단계로 돌아가 다시 셋업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350단계를 통해서 방송 서비스를 다시 수신할 수 있게 되면, 상기 300의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로 돌아가 방송 서비스를 수신한다. 만일 단말기가 상기 350단계를 수행하게 된다면, 사용자는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의 끊김 현상을 겪게 된다. 또한 상기 312 단계에서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가 발견되었으나 해당 주파수에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역시 상기 350 단계로 이동하게 되며 이후 진행 및 발생하는 현상은 기 서술한 것과 동일하다.
반면 상기 312 단계에서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가 발견되었고, 해당 주파수에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340단계의 튜닝(tuning)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튜닝 작업은 수신 주파수를 이동하고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해당 전송 스트림을 찾아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게 하는 작업이다. 상기 340단계를 마치면 핸드오버 과정을 마친 것이며 단말기는 상기 300 단계로 복귀하여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받는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가 작동을 시작하면 400단계에서 방송 서비스를 송출하며, 동시에 410단계의 PSI/SI 정보를 송출한다. 즉 이 경우 상기 네트워크는 방송 서비스와 필수/부가 관련 정보의 송출만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핸드오버는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핸드오버 서비스는 제공할 수 있으나, PSI/SI를 통해 핸드오버 시 필요한 정보를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핸드오버 실패에 따라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의 끊김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H) 방통융합 서비스(CBMS) 시스템에서 인터렉티브 채널을 통해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단말기에게 정보를 제공해주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H) 방통융합 서비스(CBMS)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단말기에게 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얻기를 원하는 단말기에게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방송 (DVB-H) 방통융합 서비스 (CBMS)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채널인 인터렉티브 채널(interactive channel)을 이용하여 선택한 서비스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이동을 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셀을 벗어나는 경우에도 끊김 없이 서비스를 시청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방송망으로부터 제공된 방송 서비스를 시청 중에 수신 신호의 강도가 떨어지면, 상기 방송 서비스와 함께 수신되고 있는 프로그램 고유 정보/서비스 정보(PSI/SI)를 바탕으로 자신의 위치에 적합한 후보 셀들의 주파수 관련정보를 획득하여 후보 셀들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강도가 정해진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를 찾았다면, 상기 주파수에 시청하고 있던 방송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를 찾지 못했거나, 상기 주파수에 시청 중이던 방송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로 현재 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인터렉티브 채널로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관련 정보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여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핸드오버 후보 셀을 선정하여 적합한 셀을 찾아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해당 전송 스트림을 찾아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받는 튜닝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은 DVB-H CBMS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얻는 방법을 PSI/SI에 국한시키지 않는다. 또한 인터렉티브 채널(interactive channel)이 제공된다는 가정하에 핸드오버를 시도하려는 단말기에 필수 부가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엔티티(entity)는 상기 도 2에서 기술한 사항과 동일하다. 핸드오버에 들어가기 전 상태에서 단말기 는 551단계에서 상기 contents source entity (50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아 선택한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다. 이후 수신 신호의 강도가 떨어지게 되면, 단말기는 560단계에서 방송 네트워크의 PSI/SI 생성기(520)로부터 전송된 PSI/SI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위치에 적합한 후보 셀들을 선정해, 오프타임(off time) 동안에 부호 셀들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게 된다. 만일 단말기가 PSI/SI 정보 획득에 실패한 경우 혹은 제공되는 PSI/SI 정보만으로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는 570단계에서 서비스 관리부의 Mobility Manager(510)쪽으로 쌍방향 채널을 통해 필요한 정보인 access parameter를 보내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전송되는 access parameter 요청메시지는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112006004643322-PAT00001
상기 (표1)의 첫번째 항목인 hand_over_type는 단말기가 요청하고 있는 핸드오버의 종류를 알려주는 식별자이다. 만일 단말기가 요청하고 있는 핸드오버의 종류가 passive 핸드오버인 경우에는 네트워크는 현재 서비스 구성(configuration)의 변화 없이, 단말기로 정보를 제공해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돕는다. 또한 상기 passive 핸드오버 범주 내에서 단말기가 요청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상기 식별자를 이용해서 요청하는 정보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두번째 항목인 terminal_id는 핸드오버를 요청하고 있는 단말기의 이동 통신망 내의 식별자이다. 상기 식별자는 네트워크가 요청 단말기를 구별할 때 사용되며, 네트워크 측이 요청에 따른 응답을 보내고자 할 때 사용된다. 만일 이동 통신망과 연동이 가능하다면, 방송망 혹은 서비스 제공자는 상기 식별자를 통해서 이동 통신망이 파악하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세번째 항목인 Service_id는 요청 단말기가 현재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를 위한 식별자이다. 상기 식별자는 DVB 방송 서비스를 위한 표준에 규정된 service id를 사용하며, 그 역할은 네트워크로 하여금 후보 셀을 선정할 시 해당 셀만을 거르는 기준이 되며, 만일 사용자가 이동해간 지역에 해당 서비스가 방송이 불가능한 경우 대체 가능한 서비스를 제안하는 기준이 될 수도 있다. 여기서 대체 가능한 서비스의 예로는 사용자가 지역 뉴스를 시청하고 있을 경우에는 이동해간 지역의 지역 뉴스를 알려주는 것이 있다.
네번째 항목인 Cell_id는 요청 단말기가 현재 수신하고 있는 방송 망의 셀을 알려주는 식별자이다. 그 역할은 네트워크가 요청 단말기가 속해 있는 셀의 위치를 알아서 해당 지역에 맞는 PSI/SI 정보를 보내 줄 경우 기준이 될 수 있다. 다섯번째 항목인 loc_inf는 필수 요소는 아니나 만일 요청 단말기가 GPS와 같은 부가 장치를 통해서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알고 있으며, 자신의 위치 정보 및 현재 진행방향을 네트워크로 알려 줄 수 있는 경우에는 네트워크가 필요한 정보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Service management 내에 mobility manager entity(610)는 상기 570단계의 access parameter 요청메시지를 받은 후에, 580단계에서 방송 네트워크 내에 PSI/SI generator entity(520)로 요청 단말기에 해당하는 정보를 알려 줄 것을 요청하는 parameter 요청메시지를 전송한다.
제 1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상기 parameter 요청메시지는 하기 (표 2)와 같다.
Figure 112006004643322-PAT00002
상기 (표2)의 첫번째 항목인 service_id는 요청하는 정보 의뢰를 분간하기 위해서 부여된 식별자이다. 상기 2개의 entity가 빈번하게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경우 이를 분간해 주는 역할을 한다. 두번째 항목인 request_type는 mobility manager가 PSI/SI generator에게 요청하는 정보의 종류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식별자이다. 세번째 항목인 cell_id는 요청 단말기가 속해 있는 방송망의 셀을 알려주는 식별자이다. PSI/SI generator는 전체 방송망 정보 중에서 cell_id에 해당하는 정보만 걸러서 상기 mobility manager로 보내주게 된다. 네번째 항목인 loc_inf는 부가 정보로서 전송될 정보의 선택 시 참고 자료가 된다.
상기 방송 네트워크 내에 상기 PSI/SI generator entity(520)는 581단계에서 상기 Service management 내에 상기 mobility manager entity(510)로 상기 parameter 요청메시지에 따른 parameter 응답메시지를 보낸다. 상기 제 1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상기 parameter 응답메시지는 하기 (표 3)과 같다.
Figure 112006004643322-PAT00003
상기 (표 3)은 요청 단말기가 있는 지역에서 받을 수 있는 PSI/SI 정보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 역할은 일반적인 PSI/SI의 역할과 같아서 단말기로 필요한 정보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는 핸드오버를 고려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제공되는 정보 중 연관성이 없는 정보를 제거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표 3)의 첫번째 항목인 service_id는 기 서술한 상기 (표 2)의 service_id와 동일한 형태와 역할을 가지고 있다.
상기 과정을 마친 후에는 상기 Service management 내에 상기 mobility manager entity는 571단계에서 상기 요청 단말기의 Mobility manager(550)로 상기 access parameter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제 1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상기 access parameter 응답 메시지는 하기 (표 4)와 같다.
Figure 112006004643322-PAT00004
상기 (표4)는 요청 단말기가 있는 지역에서 받을 수 있는 PSI/SI 정보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 역할은 상기 (표 3)에서 기 서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상기 570, 580, 581, 571단계의 메시지들은 다양한 형식들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각각의 실시예 별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 2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상기 access parameter 요청 메시지는 하기 (표 5)와 같다.
Figure 112006004643322-PAT00005
상기 (표 5)의 첫번째 항목인 service_id는 요청하는 정보 의뢰를 분간하기 위해서 부여된 식별자이다. 상기 2개의 entity가 빈번하게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경우 이를 분간해 주는 역할을 한다. 두번째 항목인 request_type는 mobility manager가 PSI/SI generator에게 요청하는 정보의 종류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식별자이다. 세번째 항목인 cell_id는 요청 단말기가 속해 있는 방송망의 셀l을 알려주는 식별자이다. PSI/SI generator는 전체 방송망 정보 중에서 cell_id에 해당하는 정보만 걸려서 상기 mobility manager로 보내주게 된다. 네번째 항목인 loc_inf는 부가 정보로서 전송될 정보의 선택 시 참고 자료가 된다.
상기 broadcast 네트워크 내에 상기 PSI/SI generator entity(520)는 상기 581단계에서 상기 Service management 내에 상기 mobility manager entity(510)로 상기 parameter 요청메시지에 따른 parameter 응답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상기 parameter 응답 메시지는 하기 (표 6)과 같다.
Figure 112006004643322-PAT00006
상기 (표 6)은 요청 단말기가 있는 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셀의 id와 해당 셀의 주파수 목록 그리고 IP packet을 빠짐없이 받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시간 정보를 알려 주는 정보들로 이루어져 있다. 정보들을 그 성격에 따라 분류하면 후보 셀과 후보 셀의 주파수 정보 그리고 핸드오버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부가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부가 정보의 예로 본 발명에서는 핸드오버_available_time 이라는 상기 요청 단말기가 수신하고 있는 packet을 빠짐없이 받기 위해서 핸드오버를 마쳐야 하는 시간 정보를 들었으나, 다른 핸드오버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정보들의 경우도 hand_over_type과 메시지 형식을 지정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방식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parameter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Service management 내의 상기 mobility manager entity(510)는, 571단계에서 상기 요청 단말기의 mobility manager entity(550)로 상기 access parameter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상기 Access parameter 응답 메시지는 하기 (표 7)과 같다.
Figure 112006004643322-PAT00007
제 3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상기 parameter 요청 메시지는 하기 (표 8)과 같다.
Figure 112006004643322-PAT00008
상기 (표 8)의 첫번째 항목인 service_id는 요청하는 정보 의뢰를 분간하기 위해서 부여된 식별자이다. 상기 2개의 entity가 빈번하게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경우 이를 분간해 주는 역할을 한다. 두번째 항목인 request_type는 mobility manager가 PSI/SI generator에게 요청하는 정보의 종류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식별자이다. 세번째 항목인 cell_id는 요청 단말기가 속해 있는 방송망의 셀l을 알려주는 식별자이다. PSI/SI generator는 전체 방송망 정보 중에서 cell_id에 해당하는 정보만 걸려서 상기 mobility manager로 보내주게 된다. 네번째 항목인 loc_inf는 부가 정보로서 전송될 정보의 선택 시 참고 자료가 된다.
상기 broadcast 네트워크 내에 상기 PSI/SI generator entity(520)는 581단계에서 상기 Service management 내에 상기 mobility manager entity(510)로 상기 parameter 요청메시지에 따른 parameter 응답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제 3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상기 parameter 응답 메시지는 하기 (표 9)과 같다.
Figure 112006004643322-PAT00009
상기 (표 9)은 요청 단말기가 있는 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셀의 id와 해당 셀의 주파수 목록과, IP packet을 빠짐없이 받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시간 정보와, 상기 단말기가 접근할 수 있는 후보 셀의 수가 많은 경우 네트워크가 핸드오버 후보 셀을 심사해서 선별한 후보셀들의 정보를 알려 주는 정보들로 이루어져 있다. 정보들을 그 성격에 따라 분류하면 후보 셀과 후보 셀의 주파수 정보 그리고 핸드오버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부가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과정을 마친 후에 상기 Service management 내에 상기 mobility manager entity(510)는 571단계에서 상기 요청 단말기로 상기 access parameter 응답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제 3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상기 Access parameter 응답메시지는 하기 (표 10)과 같다.
Figure 112006004643322-PAT00010
상기 3실시예와 2실시예의 차이점은 3실시예에서는 단말기가 접근할 수 있는 후보 셀의 수가 많은 경우 2실시예와는 다르게 가장 유력한 후보 셀만을 선별하여 보내 준다는 것이다. 상술하면, 방송 서비스 network는 상기 요청 단말기가 보내온 상기 cell_id와 만일 이동 통신망과 연동이 가능하다면 이동 통신망을 통해서 그리고 활용 가능하다면 상기 Loc_inf 정보를 통해서 상기 요청 단말기의 물리적인 위치를 알 수 있다. 따라서 access parameter를 보내주는 경우에 방송망의 전체 셀에 관한 정보가 아닌 상기 요청 단말기의 위치 주변 셀에 관한 정보만 골라서 보내 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핸드오버 요청 단말기는 핸드오버 후보 셀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핸드오버 절차를 간략화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상술한 상기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가 만일 다른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인 경우에는, 상기 571 메시지 전송시 추가될 수 있는 정보가 존재한다. 상기 도1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다른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수행시,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동일한 서비스를 찾아서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계속적인 시청이 이루어지도록 하나, 만일 상기 동일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대체 가능한 서비스를 찾아서 시청이 연결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로밍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른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는 경우에는 상기 571 메시지에 다른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추가해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가 정보의 예에는 대체 가능한 서비스(alternative service)의 서비스 id, 로밍을 신청하기 위한 다른 네트워크의 주소(URL) 또는 접속점, 로밍 요금 안내 정보등이 있다. 만일 핸드오버 대상 셀이 다른 네트워크인 경우에 구분 방법은 상기 cell_id를 네트워크의 id로 대체하면 가능하다. 상기 다른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하는 경우 추가정보 전송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상기 Access parameter 응답메시지는 하기 (표 11)과 같다.
Figure 112006004643322-PAT00011
상기 단말기는 590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정보들을 바탕으로 off time 동안에 이웃한 셀들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게 된다. 적합한 셀을 찾게 되면 주파수를 맞추고,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한 이후, 561단계에서 새로운 셀로부터 PSI/SI 정보를 받아서 자신이 받아야 할 전송 스트림을 찾아 수신을 계속하게 된다. 만일 핸드오버가 다른 네트워크로 일어나는 경우, 로밍 부분은 상기 590 단계의 주파수를 맞추는 단계 이후에 실행된다. 이에 따르는 상세 로밍 절차 및 방법은, 기 출원된 특허 출원번호 P2006-3684인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및 서비스 로밍 방법 및 시스템"에 제시된 사항을 따른다. 상기 561단계를 마치게 되면 단말기는 591단계에서 새로운 셀로부터 서비스를 받게 되며,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서비스를 끊김 없이 지속적으로 받아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가 작동을 시작하면 600단계에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면서 주기적으로 수신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는지 점검한다. 610단계에서 만일 수신강도의 감소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600 단계로 복귀하여 방송 서비스 수신을 계속하고, 만일 수신 감도의 저하가 있는 경우에는 620 단계로 진행하여 PSI/SI 정보로부터 이웃한 셀 혹은 네트워크의 주파수 정보를 획득한다. 주파수 정보를 알고 있는 셀 혹은 네트워크는 핸드오버를 위한 후보군에 속하게 된다.
상기 PSI/SI를 통해서 주파수 관련 정보를 획득하면 단말기는 630단계에서 off time 중에 이웃한 셀 혹은 네트워크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게 된다. 만일 640단계에서 후보 군중에서 정해진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가 발견된 경우에는 상기 주파수에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650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50 단계까지는 종래 기술인 PSI/SI를 이용한 핸드오버와 동일하며, 만일 단말기가 상기 610 단계 다음에 바로 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passive 핸드오버를 수행하여도 단말기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절차상의 상하관계는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만일 정해진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가 발견되지 않는다면, 또는 상기 640단계에서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670단계로 진행하여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670 단계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방송망을 통해서 얻은 정보만 가지고는 핸드오버를 수행 할 수 없으므로 네트워크 쪽으로 도움을 신청하는 과정이다. 상기 요청 과정은 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단말기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670 단계를 마친 후에 단말기는 680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인터렉티브 채널을 통해서 요청했던 정보를 받는다. 상기 680 단계를 통하여 네트워크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단말기는 690단계에서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핸드오버 후보 셀을 선정하게 된다. 이후 새로운 후보 셀을 가지고 상기 630 단계로 복귀하여 다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도 6의 방식과 종래 방식을 비교해 보면, 상기 670 단계에 도달했다는 것은 단말기가 종래의 방식인 PSI/SI 정보만을 사용해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데 실패한 것이며, 종래 기술에서는 초기 셋업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다시 찾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식을 따르면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요청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일련의 과정(670 내지 690단계)을 통해서 핸드오버에 필요한 정보를 얻어서 다시 상기 630 내지 650 단계를 반복하여 적합한 셀을 찾아 핸드오버를 수행 할 수 있다. 이후 650단계에서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에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가 존재한다면, 660단계의 튜닝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튜닝 작업은 수신 주파수를 이동하고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해당 전송 스트림을 찾아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게 하는 작업이다. 상기 660 단계를 마치면 핸드오버 과정을 마친 것으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600 단계로 복귀하여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받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네트워크가 작동을 시작하면 700단계에서 방송 서비스를 송출하면서 동시에 710단계의 PSI/SI 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700, 710단계를 수행하면서 720단계에서 주기적으로 쌍방향 채널을 통해서 단말기로부터 핸드오버 관련 정보 요청이 들어오는지를 점검한다. 만일 단말기로부터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700, 710 단계를 반복하면서 상기 720 단계의 점검을 주기적으로 한다. 이때, 단말기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730단계로 진행하여 요청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관련 PSI/SI 정보 전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730 단계는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5의 설명부분에서 서술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터렉티브 널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서비스를 시청하면서 이동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셀 혹은 네트워크를 벗어나 새로운 셀 혹은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경우에도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핸드오버 후보 셀을 줄여줌으로써 단말기의 전력소모와 핸드오버 수행 시간을 줄이는 이득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방송망으로부터 제공된 방송 서비스를 시청 중에 수신 신호의 강도가 떨어지면, 상기 방송 서비스와 함께 수신되고 있는 프로그램 고유 정보/서비스 정보(PSI/SI)를 바탕으로 자신의 위치에 적합한 후보 셀들의 주파수 관련정보를 획득하여 후보 셀들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강도가 정해진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를 찾았다면, 상기 주파수에 시청하고 있던 방송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를 찾지 못했거나, 상기 주파수에 시청 중이던 방송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로 현재 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인터렉티브 채널로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관련 정보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여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핸드오버 후보 셀을 선정하여 적합한 셀을 찾아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해당 전송 스트림을 찾아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받는 튜닝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에 사용자가 시청 중이던 방송서비스가 존재한다면,
    수신 주파수를 상기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해당 전송 스트림을 찾아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받도록 하는 튜닝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관련정보는,
    상기 현재 단말이 위치한 셀 혹은 네트워크의 PSI/SI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관련정보는,
    상기 현재 단말이 위치한 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후보셀과, 상기 후보셀의 주파수 정보와,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을 빠짐 없이 받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시간 정보와, 상기 단말이 접근할 수 있는 후보셀들이 많은 경우 가장 유력한 후보셀을 선별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사용자가 시청 중이던 방송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시청 중이던 방송 서비스와 대체 가능한 서비스가 있는지 찾는 과정과,
    상기 대체 가능한 서비스가 없다면,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로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6. 제 1항 및 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의 핸드오버 관련정보는,
    상기 현재 단말이 위치한 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네트워크 아이디와, 대체 가능한 서비스(alternative service)의 서비스 아이디와, 로밍을 신청하기 위한 다른 네트워크의 주소(URL)와 로밍 요금 안내정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KR1020060006501A 2006-01-12 2006-01-20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KR100856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700948A EP1972080A1 (en) 2006-01-12 2007-01-12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handover using an interactive channel in a dvb-h cbms system
US12/160,863 US20080316973A1 (en) 2006-01-12 2007-01-12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Handover Using an Interactive Channel in a Dvb-H Cbms System
PCT/KR2007/000221 WO2007081175A1 (en) 2006-01-12 2007-01-12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handover using an interactive channel in a dvb-h cbm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685 2006-01-12
KR20060003685 2006-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216A true KR20070075216A (ko) 2007-07-18
KR100856274B1 KR100856274B1 (ko) 2008-09-03

Family

ID=3850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501A KR100856274B1 (ko) 2006-01-12 2006-01-20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56274B1 (ko)
CN (1) CN1014013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808B1 (ko) * 2007-12-11 2010-02-18 한국방송공사 도로 구간별 채널 품질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핸드 오버 방법 및 시스템
KR100979563B1 (ko) * 2007-11-30 2010-09-02 한국방송공사 지역별 채널 품질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핸드 오버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97624B (zh) * 2009-08-18 2013-08-2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混合网络系统以及基于该系统的切换方法
US20110064050A1 (en) * 2009-09-11 2011-03-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Broadcast service handov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598B1 (ko) * 1999-01-16 2006-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합한 채널리스트구성방법
US8068832B2 (en) 2001-11-19 2011-11-29 Nokia Corporation Multicast session handover
KR100566208B1 (ko) * 2002-06-14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소프트 컴바이닝하는 방법 및 장치
US6977914B2 (en) * 2002-12-23 2005-12-20 Nokia Corporation Broadcast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US8095137B2 (en) 2003-06-13 2012-01-10 Nokia Corporation Method, system, network entity, and end-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a handover of a cellular terminal
KR100617682B1 (ko) * 2004-01-17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아이피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멀티캐스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7567806B2 (en) * 2004-02-27 2009-07-2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handover between mobile video networks and cel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63B1 (ko) * 2007-11-30 2010-09-02 한국방송공사 지역별 채널 품질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핸드 오버 방법 및 시스템
KR100942808B1 (ko) * 2007-12-11 2010-02-18 한국방송공사 도로 구간별 채널 품질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핸드 오버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274B1 (ko) 2008-09-03
CN101401329A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967B1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7970416B2 (en) Broadcasting channel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579704B1 (en) Handover decision for ip services broadcasted on a dvb network
KR101340720B1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4392424B2 (ja) 伝送パラメータ情報
KR100871236B1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775136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tuning broadcast frequency in a mobile terminal
JP2006508619A (ja) 一斉放送メディアブックマーク
CN101600085B (zh) 一种移动数字电视的管理方法
CN103024848A (zh) 一种驻留小区选择方法和基站
KR100856274B1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KR10148182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 선택 장치 및방법
KR20070109901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US200803169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Handover Using an Interactive Channel in a Dvb-H Cbms System
CN101404552B (zh) 多媒体广播业务的控制方法、系统及终端
US20090017820A1 (en) Cell selec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CN101232709B (zh) 数字视频手持广播中的主动切换系统、方法及切换服务器
CN102098624B (zh) 多媒体广播业务的控制方法及终端
KR20070075475A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과 그시스템에서의 능동적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