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901A -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901A
KR20070109901A KR1020070045240A KR20070045240A KR20070109901A KR 20070109901 A KR20070109901 A KR 20070109901A KR 1020070045240 A KR1020070045240 A KR 1020070045240A KR 20070045240 A KR20070045240 A KR 20070045240A KR 20070109901 A KR20070109901 A KR 20070109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network
information
mapping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이링
송재연
이국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109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5Signs, boards or panel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distribution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systems
    • H04H20/22Arrangements for broadcast of identical information via plural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3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return channel, e.g. for collecting users' opinions, for returning broadcast space/time information or for requesting data
    • H04H2201/37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return channel, e.g. for collecting users' opinions, for returning broadcast space/time information or for requesting data via a different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홈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한 서비스 정보와 현재 제공중인 서비스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들 중 현재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1 방송 서비스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웃 네트워크로 로밍할 경우에도 상기 방송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생성한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디지털 방송 시스템, 로밍, 서비스 매핑 정보, 홈 네트워크, 이웃 네트워크, 컨텐츠 타입, 시간 차이, CBMS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CONTINUITY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서비스 안내(ESG)의 데이터 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종래의 서비스 연속성이 없는 로밍 절차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로밍 절차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시간 차이의 세 가지 타입들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절차를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의 로밍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의 로밍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로밍 메시지의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이하 "CBMS"라 칭함)의 전자 서비스 안내(Electronic Service Guide: 이하 "ESG"라 칭함)를 이용하여, 수신 중인 특정 서비스의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 및 방송 기술의 발달로 인해 방송 시스템 혹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휴대 방송을 제공하고 있으며, 음성 및 화상에 제한되는 통상적인 방송 서비스뿐만 아니라 패킷 데이터를 방송 채널(Broadcast Channel)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는 휴대 방송(Mobile Broadcast)이 논의되고 있다.
휴대 방송은, 휴대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휴대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이동 단말에 의한 서비스의 발견(Discovery),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서비스의 가입,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제어 정보의 제공, 상기 서비스의 송신 및 이동 단말에 의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의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방형 이동성 협의체(Open Mobile Alliance: 이하 "OMA"라 칭함)는 개별 이동성 솔루션의 상호 연동을 위한 표준을 연구하는 단체들 중의 하나로서, 이동 통신용 게임, 인터넷 서비스 등에 대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표준을 정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OMA의 워킹 그룹 중 특히 OMA BAC(Browser and Content) BCAST(Mobile Broadcast)의 서브 워킹 그룹(Sub Working Group)에서는 양방향 네트워크(interactive network)와의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융합하기 위한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휴대 방송 단말 표준 기구들 중의 하나인 DVB-CBMS(Digital Video Broadcasting -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에서도 방송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융합하기 위한 시스템 구조 및 인터페이스 등을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은, 서비스 자체에 대한 설명 정보,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보, 그리고 서비스의 수신 방법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안내(Service Guide: SG)를 수신하며, 상기 서비스 안내를 이용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수신하게 된다.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홈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즉 홈 네트워크)가 아닌 타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즉 방문 네트워크)로 이동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의 방송 서비스나 로밍 계약관계에 있는 타서비스 제공자(foreign service provider)의 서비스를 받기를 원한다. 이러한 절차를 로밍이라고 한다. 또한 단말이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도중에 홈 네트워크로부터 방문 네트워크로 이동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단말을 통해 상기 방송 서비스를 끊김 없이 수신하기를 원하는데, 이러한 절차를 핸드오버라고 한다.
그런데 종래의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 시스템에서는, 방송 서비스의 로밍 및 핸드오버를 위한 명확한 절차를 제공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로밍 및 핸드오버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로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고자 홈 네트워크와 이웃 네트워크 간에 서비스 매핑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고자 홈 네트워크와 이웃 네트워크 간에 서비스 컨텐츠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고자 홈 네트워크와 이웃 네트워크 간에 서비스의 시간 차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교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홈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한 서비스 정보와 현재 제공중인 서비스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들 중 현재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1 방송 서비스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웃 네트워크로 로밍할 경우에도 상기 방송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생성한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단말기가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받기 위한 방법은, 로밍이 필요한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로밍이 필요하다면, 적어도 하나의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들 중 홈 네트워크로부터 현재 수신받고 있는 제1 방송 서비스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매핑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홈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 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웃 네트워크 중 선택된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상기 제1 방송 서비스에 연속하여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서비스 정보와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들 중 단말기로 제공하고 있는 제1 방송 서비스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홈 네트워크와,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웃 네트워크 중 선택된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상기 제1 방송 서비스에 연속하여 수신하는 상기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 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 되는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CBMS) 시스템에서, 홈서비스 제공자의 가입자인 수신기, 즉 단말이 상기 홈서비스 제공자인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타 서비스 제공자인 타 네트워크(another network)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할 때, 수신중인 서비스의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와 타 네트워크 간에 지원 가능한 서비스 정보를 송수신하며, 홈 네트워크가 타 네트워크가 지원 가능한 서비스와 자신의 서비스들을 매핑하기 위한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매핑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함으로써 단말의 연속적인 로밍 서비스 지원을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CBMS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에서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 Handheld) 기반의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캐스트(Internet Protocol(IP) Data Cast: 이하 "IPDC"라 칭함)를 위해 요구되는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한 논리적인 엔터티(Entity)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엔터티들은 주요한 기능들의 차이에 따라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으며, 물리적으로 구분된 서버들 혹은 동일한 서버 안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공급자(Content Creation block: 이하 "CC"라 칭함)(110)에서 방송 서비스의 컨텐츠 소스를 생산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Service application block: 이하 "SA"라 칭함)(120)으로 보낸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에서는 상기 컨텐츠 공급자(11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소스들과 부가적으로 서비스 구성(Service Configuration)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결합(aggregate)하여 특정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은 각 서비스를 위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하는 여러 개의 하위 엔터티들(sub-entities)로 이루어진다.
서비스 관리 블록(Service Management block: 이하 "SM"이라 칭함)(115)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과 단말(160)의 사이에서 서비스 구성(service configuration), 리소스 할당, 전자 서비스 안내 프로비져닝(provisioning), 보안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방송 네트워크(140)는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로서, 일 예로서 DVB-H 시스템이 된다.
양방향 네트워크(interactive network)(150)는 일반적으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따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3GPP2에 따른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 혹은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과 같은 셀룰러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다른 예로서 단말(160)로부터 전송하는 정보나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나 요구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상기 방송 네트워크(140)와 양방향 네트워크(150)는 CBMS 시스템에서의 전송 베어러(transmission bearers)로 동작한다. 단말(160)은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며, 양방향 네트워크(150)에 접속 가능하고 방송 네트워크(140)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수신기를 나타낸다.
CBMS 시스템에서 단말(160)은 방송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며, 양방향 네트워크(150)와는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정보를 양방향으로 통신한다.
하기에는 상기한 논리적 엔터티들을 포함하는 각 엔터티간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
X-1. X-2, X-3 인터페이스들은 방송 네트워크와 다른 엔터티 간의 레퍼런트 포인트(이하 "참조점"이라 칭함)을 의미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DVB-H를 기반으로 한 양방향 규격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X-1 인터페이스는 컨텐츠 공급자(110)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간을 연결하며, X-2 인터페이스는 양방향 네트워크(150)와 단말(160)간을 연결하고, X-3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관리 블록(115)과 양방향 네트워크(150) 간을 연결한다.
CBMS-1 인터페이스는 방송 관련된 시그널링을 운송하며, CBMS-2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비디오, 파일 등의 컨텐츠들을 운송한다. CBMS-3 인터페이스는 전자 서비스 안내(ESG)를 운송한다. CBMS-4 인터페이스는 점-대-점(Point to Point: PtP) 전송의 형태로 전자 서비스 안내를 운송한다. CBMS-5 인터페이스는 점-대-점 전송의 형태로 단문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등을 운송한다. CBMS-6 인터페이스는 DVB-H 전송을 위하여 서비스들의 개수, 할당된 대역폭 등의 구성 파라미터들을 운송한다. CBMS-7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선언이나 메타데이타들을 운송한다. 전술한 설명은 각 인터페이스들의 기능에 대한 대표적인 것만을 서술한 것으로 위의 서술만으로 각 인터페이스들의 기능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서비스 안내(ESG)의 데이터 모델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각 블록은 ESG 데이터의 프래그먼트(fragment)들을 나타낸다. 즉 ESG 데이터 모델은 서비스 프래그먼트(202), 스케쥴이벤트 프래그먼트(204), 콘텐츠 프래그먼트(206), 획득(Acquisition) 프래그먼트(208), 서비스번들 프래그먼트(210), 구매(Purchase) 프래그먼트(212), 구매채널 프래그먼트(214)로 구성된다.
서비스 프래그먼트(202)는 서비스 전반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으며, 스케쥴이벤트 프래그먼트(204)는 시간에 따른 서비스의 정보를 나타내며, 획득 프래그먼트(208)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서비스 접근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서비스번들 프래그먼트(210)는 여러 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 번들로 묶는 경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구매 프래그먼트(212)는 상기 서비스 번들을 구매하기 위한 가격 정보를 알려주며, 구매채널 프래그먼트(214)는 상기 구매를 위한 권리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해야 할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상기 데이터 모델의 각 프래그먼트들은 다른 프래그먼트를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프래그먼트들 간의 화살표는 상기 참조 관계를 나타낸다. 상기 참조라 함은 현재 프래그먼트가 자신의 프래그먼트와 연관이 있는 정보를 다른 프래그먼트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알려주는 것이다. 즉 하나의 서비스가 여러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프래그먼트(202)에서는 서비스 전체에 대한 설명, 예를 들어 서비스의 이름과 서비스의 언어 등을 포함하고 있을 뿐, 상기 서비스를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 자체에 대한 설명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다만 해당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프래그먼트(206)에서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를 참조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를 단말이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정보들, 예를 들어 전송되는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세션 정보 등을 알기 위해서는 서비스 프래그먼트(202)가 참조하고 있는 획득 프래그먼트(208)를 수신하여 복조함으로서 상기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상기 ESG 데이터는 데이터 스트림과는 별도의 시간에 적어도 하나의 IP(Internet Protocol) 스트림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별도로 전송된다. 따라서 서비스 공급자는 ESG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서비스를 수신하기 이전에 알고 있어야 하는 정보들을 서비스의 전송 이전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ESG 스트림을 수신함으로서 단말은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게 되고,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선택하였을 때 단말은 상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가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접근한 후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단말이 상기 서비스 데이터 스트림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들은 도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획득 프래그먼트(208)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 ESG 데이터 모델은 각 프래그먼트별로 몇 개씩 묶여서 하나의 컨테이너에 담겨지고 각 컨테이너는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protocol) 세션에서의 하나의 객체(object)로 간주 되어 전송된다.
CBMS 시스템에서 핸드오버가 필요할 때, 상이한 조건들에 따른 다른 핸드오버 유형들이 사용된다. 예들 들면, 양방향 채널(interactive channel)의 이용 가능 여부에 따라, 수동 핸드오버(passive Handover)가 사용되거나 혹은 능동 핸드오버(active handover)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양방향 채널을 통해 전달이 가능한 것이 시그널링 정보인지 혹은 서비스 데이터인지에 따라, 양방향 채널을 통한 시그널링 전달 혹은 양방향 채널을 통한 서비스 전달이 사용된다. 또한 핸드오버 결정을 내리는 것이 네트워크인지 단말인지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와 단말 제어 핸드오버가 사용될 수 있다.
사전에 조건 정보(condition information) 없이, 단말이 전체 핸드오버 절차를 즉시 알 수는 없으므로, 상기 핸드오버 유형에 관련된 정보(이하 핸드오버 정보라 칭함)를 얻기 위해서 네트워크와 통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방송 서비스에 관련된 전자 서비스 안내(ESG)에 상기한 핸드오버 정보를 추가한다. 단말은 핸드오버가 실제로 일어나기 전에 ESG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정보를 얻어서, ESG로부터 얻는 다른 조건 정보를 토대로 핸드오버가 필요한 시점 및 핸드오버 유형을 적절히 판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정보는, 일 예로서 도 2에 설명한 서비스 프래그먼트(202), 콘텐츠 프래그먼트(206), 획득 프래그먼트(208) 중 적어도 하나에 새로운 정보요소로서 추가되거나, 혹은 ESG 내에 새로운 프래그먼트(예를 들어 핸드오버 프래그먼트)로서 추가된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핸드오버와 로밍의 개념이 명확하 게 정의되지 않았지만, IP 플랫폼, ESG 제공자 및 네트워크 운영자의 변경에 따라 핸드오버 및 로밍이 변경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IP 플랫폼 변경을 가정하는 경우의 핸드오버 및 로밍을 수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ESG 제공자 변경, 네트워크 운영자 변경 등 다른 정의에 따라 수정되고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로밍"이라는 용어는 일 예이며, 최종 정의에 따라 핸드오버 또는 기타 다른 용어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로밍" 과 "핸드오버"는 동일한 절차를 일컫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두 용어들 중 일 예로, "로밍"이란 용어를 사용하지만 "핸드오버" 란 용어로 대체될 수 있으며 최종적인 정의에 따라 다른 용어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로밍" 과 IP 플랫폼 변경에 따른 "로밍" 절차가 기술될 것이나, ESG 제공자 변경 및/또는 네트워크 운영자 변경에 따른 로밍 절차도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이하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용어들 중 타 네트워크(another network)는 홈 네트워크를 제외한 모든 네트워크를 의미하고, 이웃 네트워크는 홈 네트워크 주변의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후보 네트워크는 이웃 네트워크들 중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로서, 이웃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네트워크이며, 단말기가 로밍할 대상 네트워크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서비스 연속성 보장되지 않은 로밍 절차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11 단계에서 단말기는 홈 네트워크(IP 플랫폼, ESG 제공 자)로부터 서비스 수신하고, 312 단계에서 이웃 네트워크의 ESG를 본다. 그리고 단말기는 313 단계에서 타 네트워크(IP 플랫폼, ESG 제공자)로부터 서비스 수신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는 하나의 IP 플랫폼(ESG 제공자, 네트워크 제공자 등)에서 소비 서비스(consuming service)가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그리고 단말기가 여전히 해당 서비스를 소비하기를 원할 때, 또 다른 IP 플랫폼으로 튜닝(변경) 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를 '로밍'이라고 한다.
그러나, 현재의 일반적인 로밍 절차에 따르면, 단말기는 312 단계와 같이 이웃 네트워크의 ESG를 수신하고 원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t1 ~ t2 시간 동안에는 현재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수신을 중단해야 한다. 이때, 타 네트워크에 원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는 원하는 해당 서비스 수신을 위해 타 네트워크로 전환할 수 있다(turn to receive the service). 그러나 현재 서비스가 먼저 종료되고 나서 다시 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 3에 따른 로밍 절차는 단말기의 서비스 연속성을 지원하지 못한다.
이와 관련하여 하기의 첨부된 도 7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로밍 절차를 설명하고자 한다.
일 예로, 동일한 서비스가 또 다른 IP 플랫폼에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는 현재 IP 플랫폼으로부터 계속 서비스를 수신하면서 후보를 탐색하고, 그 또 다른 IP 플랫폼으로부터 동일한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로밍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식별자(서비스 ID, IP 어드레스)는 일정 범위(하나의 ESG 제공자, IP 플랫폼, 네트워크 등) 내에서만 할당된다. 단말기가 현 재 범위를 벗어나서 현재 소비 서비스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단말기가 서비스를 유지하되 다른 범위(예를 들어, IP 플랫폼, 제공자, 네트워크 등)로부터의 수신을 변경하고자 할 때 본 발명을 적용하고자 한다.
우선, 서비스 연속성의 개념을 살펴보면, 이는 두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하나는 서비스 콘텐츠의 연속성이고 다른 하나는 시간 차이이다.
우선, 서비스 콘텐츠 개념을 고려하는 경우, 두 개의 서로 다른 IP 플랫폼들(또는 ESG 제공자들)로부터의 서비스 콘텐츠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세 가지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Figure 112007034575915-PAT00001
또한, 시간 차이에 따른 서비스 연속은 다음의 <표 2>와 같이 세 가지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Figure 112007034575915-PAT00002
도 4 내지 도 6은 시간 차이의 세 가지 타입들을 각각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경우는 타입 1의 시간 차이 타입이 동일(identical)한 경우로서 홈 네트워크의 IP 플랫폼들(또는 ESG 제공자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A와, 타 네트워크의 IP 플랫폼들(또는 ESG 제공자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A' 간에 시간 차이가 없는 경우이다.
이럴 경우 타 네트워크로 로밍한 단말기는 시간상의 끊김없이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받던 서비스를 타 네트워크에서도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타입 2의 시간 차이 타입이 선행 (ahead)인 경우이며, 타 네트워크의 IP 플랫폼들(또는 ESG 제공자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A' 가 홈 네트워크의 IP 플랫폼들(또는 ESG 제공자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A보다 델타 T 만큼 먼저 서비스 되고 있는 경우이다.
도 6은 타입 3의 시간 차이 타입이 후행(behind)인 경우이며, 홈 네트워크의 IP 플랫폼들(또는 ESG 제공자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A가 타 네트워크의 IP 플랫폼들(또는 ESG 제공자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A' 보다 델타 T 만큼 먼저 서비스 되고 있는 경우이다.
이웃 네트워크의 서비스가 홈 네트워크의 서비스보다 선행이거나 후행인 경우 즉, 서비스 시간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단말은 연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말이 이웃 네트워크들로 이동하여 ESG를 수신하고, 일일히 ESG의 내용을 확인하기 전에 홈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받던 서비스와 동일한 혹은 비슷한 서비스가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받던 서비스를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게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홈 네트워크가 단말로 상기 <표 2>의 시간 차이 정보를 알려주어 외부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시간 차이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이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을 스케줄링해줄 수 있다. 예컨대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서비스가 이웃 네트워크에서 4시간 이후에 제공된다면, 단말은 사용자에게 4시간 이후에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끔 지시해줄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기 홈 네트워크와 이웃 네트워크간의 시간 차이 정보를 사용하여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던 서비스와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간의 시간 차이를 보상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홈 네트워크가 생성한 서비스 매핑 정보는 다음의 <표 3>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Figure 112007034575915-PAT00003
즉, 상기 <표 3>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상기 홈 네트워크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서비스 식별자(Service ID)와, 상기 홈 네트워크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의 아이피 주소(IP address)와, 상기 홈 네트워크 및 상기 이웃 네트워크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제공자 식별자(ESG provider ID)와, 상기 홈 네트워크 및 상기 이웃 네트워크의 아이피 플랫폼 식별자(IP platform ID)인 서비스 식별자 정보(Service Identifier Information)와 상기 홈 네트워크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동일성 여부를 나타내는 컨텐츠 타입 정보와 상기 홈 네트워크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간의 시간 차이 정보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한다.
이 중 상기 서비스 식별자 정보는 서비스 매핑 정보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정보이며, 다른 정보들인 컨텐트 타입, 시간 차이 또는 스케줄, 액세스 정보들은 시나리오 별로 포함될 수도 있고 일부만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비스 A는 홈 네트워크(IP 플랫폼, ESG 제공자)의 서비스라고 하고, 서비스 A`는 외부 네트워크(IP 플랫폼, ESG 제공자)의 매핑 서비스이다. 매핑 서비스란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른 네트워크, IP 플랫폼 또는 ESG 제공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서비스 매핑 정보는 현재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제공되는 다른 네트워크, IP 플랫폼, ESG 제공자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이며, 이는 상기 <표 3>과 같다.
여기서 서비스 A는 현재 IP 플랫폼(ESG 제공자, 네트워크)에서의 제공되는 하나의 서비스이며, 서비스 A'는 상기 현재 IP 플랫폼(ESG 제공자,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A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다른 IP 플랫폼(ESG 제공자,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서비스 A'은 서비스 A의 매핑 서비스가 된다. 서비스 A와 서비스 A' 사이의 서비스 매핑 정보는 상기 <표 3>과 같으며, 상기 <표 3>에는 서비스 식별자 정보(서비스 ID, IP 주소, ESG 제공자 ID, IP 플랫폼 ID), 컨텐츠 타입, 시간 차이 또는 스케줄 정보, 액세스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액세스 정보는 해당 주파수, 전송 스트림, 셀, 네트워크 정보 등을 포함하며, 단말기가 원하는 서비스를 탐색하는 것을 쉽게 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 연속성 문제에 있어 서로 다른 타입들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어떤 유형의 타입 정보가 제공될지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이하에서는 단말기가 로밍이 필요한 경우를 두 가지로 나누어서 가정하기로 한다.
경우 1.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가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영역 경계로 움직이는 동안 어떤 서비스를 소비하고 있는 경우, 로밍이 필요하다.
그러나, 사용자는 중단 없이 현재 서비스를 이용하기를 원한다. 이러한 경우, 시간에 대한 요구조건이 매우 높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것은 시간 차이가 없는 타입의 서비스이다. 따라서, 단말기는 시간 차이가 없는(시간 차이가 0인) 후보 서비스에 대한 정보만을 필요로 한다.
경우 2.
다른 사용의 경우, 사용자가 다른 나라들 사이를 빈번하게 이동할 때 로밍이 일어난다(특히 일 예로,유럽의 통신 환경에서는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때, 사용자는 중단 없이 완전히 똑 같은 서비스를 소비하기를 원하지는 않지만, 홈 네트워크(IP 플랫폼, ESG 제공자)에서의 서비스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서비스와 관련 정보가 다른 네트워크(IP 플랫폼, ESG 제공자)에서도 이용 가능한지를 알고 싶어한다.
왜냐하면, 사용자는 대게 홈 네트워크를 벗어나더라도 자신에게 익숙한 서비스(some regular service)를 소비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보가 단말이 이동한 네트워크의 ESG에 존재한다면, 사용자는 이동한 네트워크의 ESG를 파싱하여 해당 정보를 얻어야만 한다.
또한, 상기 해당 서비스 매핑 정보가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될 수 있다면 하기와 같은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첫째, 사용자는 외부 네트워크에 도착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외부 ESG를 수신한 후에, 이 정보를 미리 얻고 그 정보에 따라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만일 홈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다른 네트워크에서 오직 외부 ESG를 수신하고 렌더링한 이후에만 상기 서비스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정보 매핑은 홈 네트워크에서만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이 변경될 때 외부 ESG를 보지 않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서비스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둘째로, 외부 ESG를 파싱하기 위한 절차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의 입장에서 홈 네트워크의 ESG에서의 상기와 같은 정보들은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하여도 홈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서비스들을 제공받기 위한 동작을 준비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동일한 서비스라고 해도 서비스 ID 및 여타의 서비스 관련 정보들이 각 ESG마다 다르므로 단말이 다른 망의 ESG만을 보고 동일한 서비스임을 인지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국으로 이동하고 ESG가 외국어로 되어 있다면, 단말기가 원하는 서비스를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음의 <표 4>및 <표 5>와 같은 관련 서비스 정보를 미리 제공받는다면 편리할 것이다.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에 관련된 모든 정보로서,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서비스 매핑 정보의 포맷은 가변적이다. <표 4>는 서비스 매핑 정보 포맷의 한 형태를 보여주며, <표 5>는 또 다른 한 형태를 보여준다.
<표 4>에서 서비스 매핑 정보는 서비스 별(service by service)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두 가지 서비스들이 있다고 가정하면, <표 4>에서는 첫째로 서비스 1에 대한 서비스 매핑 정보를 정렬하고, 그리고 서비스 2에 대한 모든 서비스 매핑 정보를 정렬한다.
<표 5>에서 서비스 매핑 정보는 컨텐트 타입(content type)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첫째로 모든 동일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매핑 정보가 정렬되고, 둘 째로 모든 변형 서비스(variation service)에 대한 서비스 매핑 정보가 정렬되고, 마지막으로 모든 관련된 서비스들이 정렬된다. 만일 하나의 단말이 다른 IP 플랫폼에서 동일한 서비스에 대해서만 고려한다면, 그것은 <표 5>에서 첫 번째 섹션에서만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112007034575915-PAT00004
Figure 112007034575915-PAT00005
상기 <표 4> 및 <표 5>와 같은 서비스 매핑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더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서비스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이로운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통해 서비스의 연속성을 지원함에 따라 더 많은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소비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서비스 운용자들에게 이로운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을 통해 서비스 매핑 정보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하에서 서비스 매핑 정보가 다른 시나리오와 사용의 경우에 따라서 몇 가지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미 앞서 경우 1과 경우 2가 주어졌으며, 경우 1인 경우 다른 IP 플랫폼(ESG 제공자, 네트워크)들로부터 방송 서비스 수신이 변경될 때 모든 서비스 매핑 정보가 연속적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경우 2인 경우에는 아마도 서비스 매핑 정보가 아닌 서비스 식별자와 컨텐트 타입만이 제공될 것이다.
첫 번째 사용의 경우, 단말이 요구하는 것은 다른 ESG 제공자와 IP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수신이 변경될 때 방해 없이 현재 서비스를 연속하여 수신하는 것이다. 그래서 서비스 매핑 정보들인 식별자 정보(Service ID, IP 어드레스, ESG 제공자 ID, IP 플랫폼 ID), 컨텐츠 타입, 시간 차이, 접속 정보들이 요구되며, 이와 같은 서비스 매핑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은 이미 후보 네트워크와 후보 네트워크의 접속 정보를 확인한 상태가 되고, 수신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두 번째 사용의 경우, 상기 단말이 다른 ESG 제공자와 IP 플랫폼에서 같거나 유사한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상기 서비스 식별자 매핑 정보와 컨텐츠 타입이 요구된다.
두 번째 사용의 경우, 단말은 서비스 식별 매핑 정보와 컨텐츠 타입을 통해 다른 ESG 제공자와 IP 플랫폼에 유사하거나 동일한 서비스 통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만일 시간 차이와 접속 정보에 대한 다른 매핑 정보가 또한 제공된다면, 상기 단말은 사용자 브라우징 없이 다시 상기 새로운 ESG 수신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시간 차이와 접속 정보에 대한 다른 매핑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상기 사용자는 새로운 ESG를 검색하고, 상기 매핑 정보의 매핑 식별자를 사용하여 접속 정보와 상기 관련 있는 스케줄을 찾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IP 플랫폼들(또는 ESG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용자) 간에 제공되는 서비스들간의 매핑 정보를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가 타 네트워크들로부터 수집한 서비스 정보들을 이용하여 생성한 서비스 매핑 정보를 양방향 네트워크(interactive network)를 통해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로밍 절차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11 단계에서 홈 네트워크(IP 플랫폼, ESG 제공자)로부터 계속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도중 t1에서, 단말기는 로밍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한다. 712 단계에서 단말기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현재 홈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의 매핑 정보를 요청하고 수집한다. 이때, 단말기는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로밍을 위해 이웃 네트워크(neighboring network)들 중 로밍할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웃 네트워크들을 탐색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상기 탐색된 이웃 네트워크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센 이웃 네트워크를 후보 네트워크로 선택한다. 713단계에서 단말기는 상기 712단계에서 선택한 후보 네트워크로부터 홈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했던 방송 서비스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동작을 전환하고, 상기 후보 네트워크(IP 플랫폼, ESG 제공자)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홈 네트워크에서 후보 네트워크로 로밍을 수행하더라도 서비스 연속성을 지원 가능하다.
즉, 동일한 서비스가 또 다른 IP 플랫폼(또는 제공자, 네트워크 등)에 존재하는 경우, 특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단말로 하여금 서비스 연속성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IP 플랫폼(네트워크)들(또는 제공자, 네트워크 등)에서 제공되는 동일한 서비스에 대한 관계 및 액세스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매핑 정보를 제안한다.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PSI/SI 또는 ESG에 부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양방향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각 네트워크 노드의 해당 절차, 메시지 흐름 및 메시지 포맷은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절차를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0단계에서 단말기는 홈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한다. 그리고 805단계에서 단말기는 로밍이 필요함을 감지하면, 810단계에서 단말기는 홈 네트워크로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 812단계에서 단말기는 홈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814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를 파싱(Parsing)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매핑 정보가 이용 가능한지를 검사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터엑티브 네트워크를 통해 요청하고 응답하는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및 응답 메시지의 포맷을 구체적으로 정의하지는 않았으나, 요청 및 응답 메시지 포맷의 주요 내용은 본 발명의 <표 6> 및 <표 7>이 될 것이다. 즉, 단말이 특정 서비스에 대하여 특정 네트워크로 이동할 때의 서비스 매핑 정보가 있는지를 문의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표 6> 및 <표 7>과 같은 형식으로 서비스 매핑 정보가 전송될 것이다.
이때, 상기 814단계의 검사결과 서비스 매핑 정보가 이용 가능함을 확인하면, 816 단계에서 단말기는 이웃 네트워크들을 테스트하고 이웃 네트워크들 중 상기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던 서비스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신호의 후보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상기 816단계에서 로밍할 후보 네트워크를 선택했으면, 818단계 에서 단말기는 상기 선택한 후보 네트워크로 로밍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814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 중에서 이용 가능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820단계로 진행한다. 820단계에서 단말기는 정해진 절차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820단계에서 수행하는 동작은 가변적이며 예컨대, 서비스 소비를 종료시키거나, 다른 서비스로 전환하는 등의 동작이 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말기는 로밍이 필요하면 홈 네트워크로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을 보낸다. 여기서, 단말기는 어떤 종류의 로밍 서비스가 허용 가능한 지, 동일(identical), 변형(variation), 또는 관련(associated) 서비스인지, 또는 서비스 차이에 대한 요구조건이 무엇인지, 스케줄링이 필요한지, 액세스 정보가 필요한 지 등을 요청할 수 있다. 그 후, 단말기는 홈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을 수신한 후에, 요구된 서비스 매핑 정보가 이용 가능한지를 확인하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신한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의 로밍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홈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 간의 동의(agreement)에 따라 두 가지 실시 예로 설명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의 로밍 절차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의 로밍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두 실시 예들은 홈 네트워크가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정보 요청을단말기의 로밍 요청 전에 수행할지 요청 후에 수행할지에 따라 구별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의 로밍 절차는 홈 네트워크가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미리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여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생성된 서비스 매핑 정보를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9의 900단계에서 홈 네트워크는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갱신한다.그리고 홈 네트워크는 902단계에서 상기 900단계에서 획득한 서비스 정보를 사용하여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매핑 정보를 갱신한다. 이때, 상기 900단계에서 홈 네트워크는 이웃 네트워크로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고,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그리고 904단계에서 홈 네트워크는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904단계에서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홈 네트워크는 906단계에서 단말기로 상기 902단계에서 생성한 서비스 매핑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를 보낸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실시 예에서 홈 네트워크와 이웃 네트워크는 서비스 정보를 통신하여 서비스 매핑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는 홈 네트워크가 이미 서비스 매핑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가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웃 네트워크들로부터 수집한 서비스 매핑 정보와 단말 요구에 따라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를 단말기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의 로밍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0단계에서 홈 네트워크는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1002단계에서 홈 네트워크는 이웃 네트워크들로 서비스 정보를 요청한다. 1004단계에서 홈 네트워크가 이웃 네트워크들로부터 서비스 정보 응답을 수신한다. 1006단계에서 홈 네트워크는 상기 이웃 네트워크들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정보를 사용하여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하고, 1008단계에서 단말기로 상기 생성한 서비스 매핑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를 보낸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서 홈 네트워크와 이웃 네트워크는 미리 서비스 정보를 통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가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홈 네트워크는 이웃 네트워크로 서비스 정보 요청을 보낸다. 그리고 홈 네트워크가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정보 응답을 수신하면, 그 결과를 단말기로 보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로밍 메시지의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1에서 1106단계 내지 1122단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호 흐름을 나타내며, 1138단계 내지 1156단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호 흐름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우선, 참조번호 1100은 단말기를 나타내는 것이며, 1102는 홈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1104는 상기 홈 네트워크(1102) 주변의 이웃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홈 네트워크(1102)의 내부 엔티티들은 후술할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 예에 따라, 1106단계에서 단말기(1100)는 홈 네트워크(1102)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중이다. 이때, 이웃 네트워크(1104)는 상기 현재 단말기(1100)가 홈 네트워크(1102)로부터 제공받는 서비스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있는 상태 즉, 후보 네트워크이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기(1100)는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고자 이웃 네트워크(1104)로 로밍을 수행하고자 한다.
1108단계에서 홈 네트워크(1102)는 이웃 네트워크(1104)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획득한다. 즉, 상기 서비스 정보는 홈 네트워크(1102)와 상기 단말기(1100)가 로밍할 이웃 네트워크(1104) 사이에서 통신 될 수도 있다. 상기 홈 네트워크(1108)는 주기적으로 이웃 네트워크(1104)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홈 네트워크(1102)가 이웃 네트워크(1104)로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그리고 1107단계에서 이웃 네트워크로의 로밍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단말기(1000)는 1110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1102c)를 통해 홈 네트워크(1102)로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1112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1102c)는 양방향 채널을 통해 단말의 이동성, 핸드오버 및 로밍을 관리하고 있는 SM블록(1102b)의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 MM) 블록으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을 전송한다.
1112단계에서 단말기(1100)로부터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SM(1102b)는 1113단계에서 상기 1108단계에서 획득한 이웃 네트워크(1104)의 서비스 정보를 사용하여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1113단계에서 홈 네트워크(1102)의 SM(1102b)는 상기 <표 3>과 같은 상기 홈 네트워크(1102)에서 현재 단말기(1100)로 제공되고 있는 방송 서비스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1104)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들 중 상기 단말기(1100)가 수신하고자 하는 서비스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SM(1102b)는 상기 1108단계에서 이웃 네트워크(1104)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자마자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1112단계에서와 같이 단말기(1100)로부터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 때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1108단계 즉,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직후 생성된 서비스 매핑 정보는 홈 네트워크(1102) 주변의 모든 이웃 네트워크들의 서비스들에 대한 매핑 정보가 될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1113단계 즉, 단말기(1100)로부터 서비스 매핑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직 후 생성한 서비스 매핑 정보일 경우에는 단말기(1100)가 로밍할 이웃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서비스 매핑 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즉,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은,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매핑 정보이며, 이는 홈 MM블록으로 요청된다. 즉, 단말이 전송한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가 홈 MM 블록으로 전송된다. 모든 MM 블록의 구성은 같으나 홈 네트워크와 외부망 네트워크의 MM 블록의 구체적인 정보(홈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한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의 정보 등)는 다를 것이다.
1114단계에서 SM블록(1102b)의 MM 블록은 상기 단말기(1100)에 대한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1102c)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1102c)를 통해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매핑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가 단말기(1100)로 전송될 것이다. 1116단계에서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1102c)는 양방향 채널을 통해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를 단말기(1100)로 전송한다. 이때 홈 네트워크(1102)는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를 양방향 네트워크(1102c)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고 ESG에 포함하거나 PSI/SI에 포함하여 방송 망(1102d)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1118단계에서 단말기(1100)는 이웃 네트워크들에 대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테스트를 수행한 이웃 네트워크들 중에서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의 이웃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이웃 네트워크는 단말기(1100)가 로밍할 후보 네트워크가 된다. 여기에서 수행되는 테스트는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이웃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이웃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검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단말기(1100)는 1120단계에서 상기 1118단계에서 선택한 이웃 네트워크로 로밍을 수행하고, 1122단계에서 단말기(1100)는 상기 선택한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1102)에서 서비스 매핑 정보를 단말기(1100)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생성했다면, 상기 생성된 서비스 매핑 정보에는 홈 네트워크(1102) 주변의 모든 주변 네트워크와 그 주변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단말기(1100)는 1118단계에서 로밍할 이웃 네트워크와 수신할 서비스에 대한 선택도 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단말기(1100)로부터 단말기(1100)가 로밍하고자 하는 이웃 네트워크의 정보 없이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하였기 때문에 홈 네트워크(1102)가 주변의 모든 이웃 네트워크에 대한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1100)로 전송하였기 때문이다.
상기 1106단계 내지 1122단계를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1100)가 로밍 수행시에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동작을 설명하였다. 그럼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1102c)가 단말기(1100)로 서비스 매핑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1138단계에서 단말기(1100)는 홈 네트워크(1102)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고, 1139단계에서 로밍이 필요한지를 검사한다. 상기 1139단계에서 로밍이 필요하다면, 단말기(1100)는 1140 단계와 같이 양방향 네트워크(1102c)를 통해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를 홈 네트워크(1102)로 전송한다. 1142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를 양방향 채널을 통해 수신한 양방향 네트워크(1102c)는 상기 단말기(701)의 이동성, 핸드오버 및 로밍을 관리하는 홈 네트워크(703)의 MM블록으로 상기 수신한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1144단계에서 상기 단말기(1100)로부터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홈 네트워크(1102)의 MM블록은 상기 이웃 네트워크(1104)로 서비스 정보를 요청한다. 1146단계에서 홈 네트워크(1102)의 MM블록은 상기 이웃 네트워크(1104)로부터의 상기 1144단계에서 요청한 서비스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인 서비스 정보 응답을 수신한다. 그리고 1147단계에서 SM(1102b)의 MM블록은 상기 수신한 이웃 네트워크(1104)의 서비스 정보 응답과 자신의 서비스 정보를 사용하여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한다.
1148단계에서 홈 네트워크(705)의 MM블록은 상기 1147단계에서 생성한 서비스 매핑 정보를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양방향 네트워크(1102c)로 전송한다. 1150 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1102c)는 상기 수신한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를 양방향 채널을 통해 단말기(1100)로 전송한다.
1152단계에서 단말기(1100)는 이웃 네트워크들에 대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테스트를 수행한 이웃 네트워크들 중에서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의 이웃 네트워크(즉, 후보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그리고, 1154단계에서 단말기(1100)는 상기 1152단계에서 선택한 이웃 네트워크로 로밍을 수행하고, 1156단계에서 로밍한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한다.
이하에서는 도 11에서 설명한 각각의 단계에서 정의된 메시지에 대하여 정의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로밍을 위한 논리 메시지들에 대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의 하나 이상의 관심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위한 것으로,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관심 서비스를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요청된 서비스들에 관한 매핑 정보만을 알고 싶어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다른 매핑 서비스가 존재하는지에 개의치 않는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들에 관한 매핑 정보만을 필터링하고 피드백하는 구조로 정의함으로써,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정의 할 수 있다.
하기의 <표 6>은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는 단말에서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SM으로 전송된다.
Figure 112007034575915-PAT00006
또한,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외부 네트워크, IP 플랫폼, ESG 제공자에 관한 모든 매핑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즉,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외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이용 가능한 매핑 서비스를 파악하고자 경우, 네트워크는 상기 요청된 모든 서비스 매핑 정보를 탐색하고 이를 단말기로 피드백을 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는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메시지 타입 2로 표기되며, 이는 하기의 <표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7034575915-PAT00007
만약 <표 6>의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1 메시지를 사용할 경우 단말기는 서비스1에 대한 서비스 매핑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만약 서비스1에 대한 서비스 매핑 정보가 사용가능하다면, 홈 네트워크는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에 상기 서비스 1에 대한 모든 서비스 매핑 정보가 포함하여 제공할 것이다.
반면 <표 7>의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2 메시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단말은 서로 다른 IP 플랫폼간 예컨대 IP 플랫폼 1과 IP 플랫폼 2사이의 모든 서비스 매핑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IP 플랫폼 1과 IP 플랫폼 2에서 각각 제공되는 두 서비스에 대한 모든 서비스 매핑 정보가 있다면, 홈 네트워크는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에 서비스 1과 서비스2에 대한 서비스 매핑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게 된다.
하기의 <표 8>은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를 도시한 표이다.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더 상세한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 포맷은 몇 가지 옵션들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별(service by service), 타입 별(type by type), 범위 별(scope by scope)로 구성할 수 있다.
우선, 첫 번째 방법인 서비스 별로 매핑 정보를 구성하는 일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서비스 별(service by service); 모든 매핑 서비스 후보를 하나씩 열거하고자 할 경우, 매핑 정보는 다음 <표 8>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7034575915-PAT00008
이때,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의 메시지 포맷은 다음 <표 9>와 같다. 또한, 상기 매핑 정보를 제외하고, 해당 주파수, 전송 스트림, 셀 및 네트워크 정보가 제공되어 단말기가 원하는 서비스를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을 포함한다.
Figure 112007034575915-PAT00009
두 번째 방법에 따라 타입 별로 매핑 정보를 구성하는 일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타입 별(type by type); 매핑 서비스는 콘텐츠 타입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매핑 정보는 다음 <표 10>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7034575915-PAT00010
이때,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의 메시지 포맷은 다음 <표 11>과 같다.
Figure 112007034575915-PAT00011
상기 <표 9>와 <표 11>은 Contentype의 포함 유무만이 것이 다르다. 다시말하면, <표 9>는 Contentype이 포함되지 않지만, <표 11>은 Contentype이 포함된다. 그리고 <표 9>, <표 11>, <표 13>은 하나의 단일 메시지 포맷으로 볼 수 있으며 각각이 서비스 별(<표 8>), 타입 별(<표 10>), 범위별(<표 12>)을 각각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방법인 범위별로 매핑 정보를 구성하는 일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범위 별(scope by scope); 매핑 서비스는 서로 다른 범위들에 따라 분류되며, 범위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 IP 플랫폼들, ESG 제공자들 등에 기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IP 플랫폼에 기초한 매핑 정보는 <표 12>와 같이 구성할 수 있으며, ESG 제공자 및 네트워크 운영자에 기초하여 유사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Figure 112007034575915-PAT00012
IP 플랫폼에 기초한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의 메시지 포맷은 다음 <표 13>과 같다. 이때, 네트워크 또는 ESG 제공자에 기초한 메시지 포맷도 <표 1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7034575915-PAT00013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방문 네트워크 및 홈 네트워크의 SM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 있는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엔터티들만을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SA(1102a)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된 메타데이터 및 다수의 소스들로부터의 방송 콘텐츠를 결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단말기(1100)가 이해할 수 있는 포맷으로 부호화한 후 스트리밍 혹은 파일 카루셀(carrousel) 전달을 통해 단말기(1100)에게 제공하며, ESG에 사용될 서비스 설명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SM(1102b) 내부의 ESG 엔터티(1202)는 SA(1102a)로부터 제공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ESG를 만들고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서비스 구성 및 자원 할당(Service Configuration & Resource Allocation) 엔터티(1204)는 서비스 구성과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을 담당하며, SA(1102a)와 통신하여 방송 전송로(Broadcast bearer)의 대역폭을 협상(contend)하고, 방송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상의 위치에 서비스들을 할당하거나 서비스 대역폭을 결정하고 서비스 시간을 스케쥴링한다.
보안/서비스 보호 제공(Security/Service Protection provision) 엔터티(1206)는 보안 및 인증, 서비스 보호, 서비스 제공(provisioning)의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엔터티들(1202 내지1206)은 MM 블록(1200)과 연결되어 핸드오버에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MM 블록(1200)은 단말기(1100)의 이동성, 특히 핸드오버 및 로밍에 관련한 작업들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MM 블록(1200)은 단말기(1100)와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 및 응답을 수신 및 송신하고,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한 서비스 정보를 사용하여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로밍 절차를 지원하기 위해 다른 엔터티들 및 서브 엔터티 들과 통신을 한다. 정보 교환을 위해 다른 네트워크의 MM블록들과 통신을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기(1100)는 방송 네트워크(1102d)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1302)뿐만 아니라 양방향 네트워크(Interactive network)(1102c)에 접속할 수 있는 양방향 변환기(interactive adaptor)(1304)를 구비하고 있다. 방송 수신기(1302)는 방송 네트워크(1102d)로부터 서비스 데이터 혹은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며, 양방향 변환기(1304)는 양방향 네트워크(1102c)를 통해 서비스 데이터 혹은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한다. MM 블록(130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핸드오버 관련 동작들을 처리한다.
상기 장치들(1302,1304) 중 적어도 하나에서는 ESG를 수신하여 핸드오버 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로밍 정보를 MM 블록(1300)으로 보내며, MM 블록(130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로밍 관련 동작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서비스 가입에 관련된 단말 권한의 관리/취득 및 서비스 콘텐츠의 해독(decryption) 절차를 담당하는 가입 관리(Subscription management) 블록(1310) 및 방송 서비스의 오디오 및 비디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수신부(content consumption block)(1312)와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와 이웃 네트워크 간에 서비스 매핑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특정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단말기의 서비스 연속성을 지원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때, 본 발명은 서비스의 콘텐츠의 특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연속성을 지원하거나, 또는 시간 차이를 고려하여 동일한 서비스가 이웃 네트워크에서도 제공됨을 단말 및 사용자에게 알려줌에 따라, 단말기의 서비스 수신 시 스케줄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와 이웃 네트워크 간의 서비스 매핑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이웃 네트워크로 이동하여 새로운 서비스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도 단말기가 요청한 서비스를 더 빠르게 지원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연속성을 가지고 방송을 지원함에 따라, 더 많은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소비하도록 유도하여, 서비스 운용자들에게 사업 촉진을 제공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26)

  1.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홈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한 서비스 정보와 현재 제공중인 서비스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들 중 현재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1 방송 서비스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웃 네트워크로 로밍할 경우에도 상기 방송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생성한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방송 서비스들의 서비스 식별자(Service ID)와, 상기 홈 네트워크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의 아이피 주소(IP address)와, 상기 홈 네트워크 및 상기 이웃 네트워크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제공자 식별자(ESG provider ID)와, 상기 홈 네트워크 및 상기 이웃 네트워크의 아이피 플랫폼 식별자(IP platform ID)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방송 서비스들의 동일한지 혹은 유사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컨텐츠 타입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방송 서비스들간의 시간 차이 정보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상기 홈 네트워크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들이 서로 간에 유사한지 또는 동일한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전자 서비스 안내(Electronic Service Guide: ESG)에 포함되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방송 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System Information: PSI/SI)에 포함되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단말기가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받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로밍이 필요한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로밍이 필요하다면, 적어도 하나의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들 중 홈 네트워크로부터 현재 수신받고 있는 제1 방송 서비스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매핑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홈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매핑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웃 네트워크 중 선택된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상기 제1 방 송 서비스에 연속하여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서비스 매핑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웃 네트워크를 탐색하는 과정과,
    상기 탐색한 이웃 네트워크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이웃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상기 홈 네트워크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서비스 식별자(Service ID)와, 상기 홈 네트워크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의 아이피 주소(IP address)와, 상기 홈 네트워크 및 상기 이웃 네트워크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제공자 식별자(ESG provider ID)와, 상기 홈 네트워크 및 상기 이웃 네트워크의 아이피 플랫폼 식별자(IP platform ID)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상기 홈 네트워크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동일성 여부를 나타내는 컨텐츠 타입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상기 홈 네트워크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간의 시간 차이 정보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하여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시간 차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방송 서비스와 상기 제2 방송 서비스 간의 시간 차이를 보상하여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전자 서비스 안내(Electronic Service Guide: ESG)에 포함되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방송 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System Information: PSI/SI)에 포함되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8.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9. 단말기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서비스 정보와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들 중 단말기로 제공하고 있는 제1 방송 서비스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송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홈 네트워크와,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웃 네트워크 중 선택된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방송 서비스를 상기 제1 방송 서비스에 연속하여 수신하는 상기 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상기 홈 네트워크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서비스 식별자(Service ID)와, 상기 홈 네트워크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의 아이피 주소(IP address)와, 상기 홈 네트워크 및 상기 이웃 네트워크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제공자 식별자(ESG provider ID)와, 상기 홈 네트워크 및 상기 이웃 네트워크의 아이피 플랫폼 식별자(IP platform ID)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상기 홈 네트워크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동일성 여부를 나타내는 컨텐츠 타입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상기 홈 네트워크와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간의 시간 차이 정보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웃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23.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전자 서비스 안내(Electronic Service Guide: ESG)에 포함되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24.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방송 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System Information: PSI/SI)에 포함되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25.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26.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서비스 매핑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매핑 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KR1020070045240A 2006-05-09 2007-05-09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70109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875006P 2006-05-09 2006-05-09
US60/798,750 2006-05-09
US83381506P 2006-07-28 2006-07-28
US60/833,815 2006-07-28
KR1020070014022A KR20070109800A (ko) 2006-05-09 2007-02-09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로밍방법 및 장치
KR1020070014022 2007-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901A true KR20070109901A (ko) 2007-11-15

Family

ID=390642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022A KR20070109800A (ko) 2006-05-09 2007-02-09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로밍방법 및 장치
KR1020070045240A KR20070109901A (ko) 2006-05-09 2007-05-09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022A KR20070109800A (ko) 2006-05-09 2007-02-09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로밍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016792A4 (ko)
KR (2) KR20070109800A (ko)
WO (1) WO20071298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462B1 (ko) * 2009-09-11 2014-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 컨텐츠 제공을 위한 통신망과 방송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 통신망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 방송망 핸드오버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765A (ko) * 2008-01-09 2009-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모바일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전자 서비스 가이드발견 방법 및 장치
KR101481824B1 (ko) * 2008-03-06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 선택 장치 및방법
CN101577597B (zh) * 2008-05-05 2011-08-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多媒体广播业务指南下发方法、系统、装置及终端
KR101611168B1 (ko) 2008-10-09 201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과정에서 핸드오버 또는 로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771483A (zh) * 2008-12-31 2010-07-07 华为终端有限公司 媒体接收及发送方法、用户设备和业务指南服务器
US8787237B2 (en) * 2011-11-16 2014-07-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to enable handover in a hybrid terrestrial satellite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9955A3 (en) * 1997-08-27 2001-01-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rol information generating apparatus for broadcast system
US6148198A (en) * 1998-08-05 2000-11-14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service provider
AU784972B2 (en) * 2000-07-28 2006-08-10 Sony Corporatio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WO2003015408A1 (en) * 2001-08-06 2003-02-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several epg sources to one reliable epg
US6977914B2 (en) * 2002-12-23 2005-12-20 Nokia Corporation Broadcast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US8095137B2 (en) * 2003-06-13 2012-01-10 Nokia Corporation Method, system, network entity, and end-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a handover of a cellular terminal
RU2382521C2 (ru) * 2004-08-04 2010-02-20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истема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го/многоадресн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и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межсетевого роуминг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462B1 (ko) * 2009-09-11 2014-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 컨텐츠 제공을 위한 통신망과 방송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 통신망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 방송망 핸드오버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16792A4 (en) 2014-03-12
WO2007129863A1 (en) 2007-11-15
EP2016792A1 (en) 2009-01-21
KR20070109800A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4135B (zh) 数字广播系统中发送和接收移动性信息以支持切换和/或漫游的方法和装置
US200800390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for roaming user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200802017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EP183801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 service in a DVB-H CBMS system
KR20070109901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EP1809052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roaming and service roaming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JP5394406B2 (ja) 電子サービスガイド(esg)ブートストラップエントリポイントの発見方法及び装置
US200801098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variation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0856274B1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KR20080017243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양방향 채널을 통한 서비스 전달및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297922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서비스 안내의 송수신 방법및 장치
CN101536365A (zh) 在数字广播系统中发送和接收服务变更信息的方法和设备
KR100943558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80044748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시스템 및 방법
KR20080112909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를 위한 전자 서비스안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80017245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양방향 채널을 통한 서비스 전달및 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15

Effective date: 2010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