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967B1 -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967B1
KR100922967B1 KR1020070013743A KR20070013743A KR100922967B1 KR 100922967 B1 KR100922967 B1 KR 100922967B1 KR 1020070013743 A KR1020070013743 A KR 1020070013743A KR 20070013743 A KR20070013743 A KR 20070013743A KR 100922967 B1 KR100922967 B1 KR 100922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network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1113A (ko
Inventor
쉬이링
안종훈
송재연
이국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8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0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multicast or broadcast services, e.g. MB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3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49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according to tim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이동을 해서 자신이 속해 있는 셀 혹은 네트워크를 벗어난 경우에도 선택해서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를 계속해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가 핸드오버를 조종하며, 쌍방향 채널을 이용해 핸드오버를 하려는 단말에게 핸드오버 할 셀을 지정해주며, 필요에 따라서는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서비스를 시청하면서 이동하여 새로운 셀에 들어가더라도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13743
핸드오버,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H), 방통융합 서비스(CBMS)

Description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andover Using Network Control in DVB-H CBMS system}
도 1a는 일반적인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에서 핸드오버의 개념을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1b는 일반적인 CBMS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네트워크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9a 내지 도 19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22a 내지 도 22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23a 내지 도 23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이하 DVB-H라 칭함) 방통융합 서비스(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이하 CBMS라 칭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단말에게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VB-H CBMS는 이동 수신 성능이 우수한 디지털 TV 방송 서비스와 이동 통신의 결합을 통해 보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최근에는 아날로그 TV가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HDTV급 고화질과 CD급 고음질의 TV 서비스를 안방에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현대사회가 매우 다양화됨에 따라 시청자의 활동성 및 생활 패턴도 과거와는 매우 달라졌으며, 휴대폰, PDA, 노트북 컴퓨터 등 휴대용 기기가 일반화됨에 따라 이동 중에도 선명한 화질의 TV를 즐기고자 하는 요구가 급속히 증대되고 있다. 또한 역방향 채널이 없는 방송망의 한계를 이동 통신과의 결합을 통해 해결하려는 노력이 있는데, 이런 노력의 결과로 나온 것이 바로 DVB-H CBMS이다.
상기 DVB-H CBMS는 이동하는 이동 통신 채널 사용이 가능한 수신 단말을 위해서 만들어진 시스템으로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과 같은 셀(cell) 기반의 무선통신에서 지원하고 있는 핸드오버의 개념을 포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에서 핸드오버의 개념을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100)가 자신이 속한 셀(120)에서 선택한 서비스를 시청하면서 같은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다른 셀(130)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100)가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받기 위해서는 셀(120)로부터 받고 있는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과 동일한 전송 스트림을 이동해가는 셀(130)로부터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두 셀의 전송 스트림이 다른 경우에는, 적어도 동일한 서비스가 이동해가는 셀(130)이 제공하는 전송 스트림 내에 포함 되어야 한다. 그런데 서로 다른 셀은 전송 주파수가 다르므로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주변 셀의 주파수 정보를 알아야 한다. 상기 주변 셀의 주파수 정보는 DVB 방송망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고유 정보/서비스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Service Information; 이하 PSI/SI라 칭함)를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상세한 핸드오버 절차 및 방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상술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ETSI TR 101 211 Digital Video Broadcasting(DVB); Guidelines on implementation and usage of Service information (SI)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만일 사용자(110)가 자신이 속해 있는 네트워크(140)를 벗어나 이웃한 네트워크(150)로 들어가는 경우에, 단말은 상기 주파수 정보 외에도 상기 사용자(110)가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가 속해 있는 이웃한 네트워크의 전송 스트림의 아이디(ID)를 알아야 한다. 이 정보 역시 PSI/SI 정보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ETSI TR 101 211 Digital Video Broadcasting(DVB); Guidelines on implementation and usage of Service information(SI)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만일 이웃한 네트워크에 상기 사용자가 시청하던 서비스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은 대체 가능한 서비스가 있는지를 찾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대체 가능한 서비스란 뉴스와 같이 지역에 따라 편성은 다르나 성격이 같은 서비스를 말한다. 그리고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로밍 절차가 필요할 수도 있다.
이상 서술한 핸드오버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를 끊김 없이 지속적으로 제공해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핸드오버는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서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핸드오버 서비스는 제공할 수 있으나, PSI/SI를 통해 핸드오버 시 필요한 정보를 받지 못하면 핸드오버에 실패하고, 따라서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의 끊김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예를 들어, 특정 서비스의 링크가 바뀌는 경우 등)에, 네트워크는 시스템 관련 정보를 단말에 알려주는 역할도 수행하는 PSI/SI 정보를 변경해서 송출하고, ESG 정보(서비스 편성의 변화가 없고 단지 세션 변화만 있는 경우 획득 프래그먼트만 변경)를 갱신함으로써 단말에게 네트워크 변경 사실을 알리고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나 PSI/SI 정보는 소정 주기로 전송되며,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치들이 제때에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는 핸드오버에 실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H) 방통융합 서비스(CBMS)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가 핸드오버를 조종하며, 쌍방향 채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하려는 단말에게 핸드오버 할 셀을 지정해주며, 필요에 따라서는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내부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네트워크가 단말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서 네트워크 내의 조종을 수행하거나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가 단말의 핸드오버 수행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 할 후보 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방송망을 벗어난 경우에, 쌍방향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방송망에서 상기 쌍방향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셀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강도가 약해지면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 메시지에 핸드오버 가능한 후보 셀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 가능한 후보 셀들 중 핸드오버에 적합한 후보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요청하는 서비스가 쌍방향 망을 통하여 제공됨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쌍방향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가 단말의 핸드오버 수행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주변 셀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 강도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레이아웃을 토대로 상기 핸드오버에 대한 해결책을 수립하는 과정과, 상기 수립한 해결책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측정한 주변 셀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핸드오버에 대한 해결책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해결책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수행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 할 후보 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며, 상기 단말이 방송망을 벗어난 경우에, 쌍방향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방송망에서 상기 쌍방향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현재 셀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강도가 약해지면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요청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핸드오버 가능한 후보 셀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 가능한 후보 셀들 중 핸드오버에 적합한 후보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상기 응답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요청하는 서비스가 쌍방향 망을 통하여 제공됨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쌍방향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수행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주변 셀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 강도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레이아웃을 토대로 상기 핸드오버에 대한 해결책을 수립하며, 상기 수립한 해결책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측정한 주변 셀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핸드오버에 대한 해결책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해결책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DVB-H CBMS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얻는 방법을 PSI/SI에 국한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쌍방향 채널(interactive channel)이 제공된다는 가정 하에 핸드오버를 시도하려는 단말에게 필수 부가 정보 및 필요 지시를 전달해 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조종 핸드오버 방식을 제안한다. 네트워크 조종 핸드오버 방식이란 단말이 핸드오버를 해야 할 상황이 되었을 때 네트워크가 핸드오버를 위해 필요한 해결책을 제시해주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네트워크 조종 핸드오버 방식을 적용할 경우에는 단말이 측정한 신호 품질 보고와 같은 필요한 정보를 네트워크 쪽으로 보내 주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시에는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 방식도 제안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방송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표준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혹은 DVB-H 및 DVB-CBMS(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에서 정의하고 있는 엔터티들의 명칭들을 사용할 것이나, 이러한 표준 및 명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방송 시스템의 기능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엔터티들은 물리적으로 구별되거나 혹은 구별되지 않을 수 있는 논리 엔터티들로서, 상기 논리 엔터티들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물리 엔터티들로 합쳐질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에 관련된 인터페이스들만을 도시 하였다.
상기 도 1b에 나타낸 시스템은 휴대 방송 단말 표준 기구중의 하나인 DVB-CBMS(Digital Video Broadcasting -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를 위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DVB-CBMS의 통지 방송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통지 메시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기타의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도 유사하게 동작한다.
상기 도 1b를 참조하면, 컨텐츠 공급자(Content Creation: CC)(110)는 방송 서비스의 공급자이며, 상기 방송 서비스는 종래의 음성/영상 방송 서비스, 파일(음악 파일 혹은 데이터 파일) 다운로드 서비스 등이 될 수 있다. 컨텐츠 공급자(110)는 방송 서비스의 공급에 문제 혹은 변동 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Service Application: SA)(120) 내부의 통지 이벤트 생성부로 상기 변동 사항을 통지한다.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컨텐츠 공급자(110)로부터 방송 서비스의 컨텐츠 데이터를 공급받아 방송 네트워크에 적합한 형태(예를 들어 스트리밍 오디오/비디오 혹은 영화 다운로드 등)로 가공하여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만드는 역할을 하며, ESG에 필요한 표준화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 사용자에 따른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 등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공급자(110)로부터 방송 서비스에 대한 변동 사항을 통보받아 방송 서비스 관리부(Service Management: SM)(130) 내부에 위치하는 통지 메시지 생성부로 통지 이벤트를 전달하고, 통지 메시지의 생성에 사용되는 서비스 가이드 속성 정보를 상기 통지 메시 지 생성부로 제공한다.
방송 서비스 관리부(130)는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공급받은 방송 서비스의 전송 스케줄을 결정하는 역할 및 서비스 가이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방송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방송 네트워크(140) 및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양방향 네트워크(150)와 연결된다.
방송 서비스 관리부(130)는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가입자 정보와 상기 가입자가 관련된 컨텐츠를 구입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와 같은 서비스 제공 정보 및 방송 서비스를 수신 받는 단말들에 대한 장치 정보를 관리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사용자 과금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가입 정보, 서비스 제공 정보, 장치 정보 등을 방송 네트워크(140) 및 양방향 네트워크(150)로 제공한다.
방송 네트워크(140)는 방송 서비스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DVB-H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양방향 네트워크(150)는 일대일로 방송 서비스를 전송하거나 혹은 방송 서비스 수신에 관련된 제어 정보 및 부가 정보들을 양방향으로 교환하며, 예를 들어 3GPP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기존의 셀룰러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단말(160)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며, 단말의 성능에 따라 셀룰러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는 단말을 가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방송 시스템의 각 블록 구성들 간의 인터페이스들을 설 명한다.
CBMS-x는 DVB-H를 통한 IP 데이터캐스트 규격의 범위에서의 인터페이스이며, X-x는 DVB-H를 통한 IP 데이터캐스트 규격의 범위 이외의 인터페이스이다. 구체적으로, CBMS-7 인터페이스는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0)에서 방송 서비스 관리부(130)로의 인터페이스이며, CBMS-3 인터페이스는 방송 서비스 관리부(130)에서 방송 네트워크(140)를 거쳐 방송 채널을 통하여 단말(160)로 직접 메시지가 전송될 경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이다. CBMS-4 인터페이스는 방송 서비스 관리부(130)에서 전송된 메시지가 양방향 네트워크(150)를 거쳐 단말(160)와의 전용 채널 혹은 양방향 네트워크(150)에서 제공되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단말(160)에게 직접 전송될 경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이다. CBMS-6 인터페이스는 방송 서비스 관리부(130)가 방송 네트워크(140)에서 사용하게 될 전송 통로의 설정 혹은 방송 네트워크(140)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의 수신 경로로 사용되는, 방송 서비스 관리부(130)와 방송 네트워크(140)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CBMS-1 인터페이스는 방송 네트워크의 제어 신호가 실려서 단말에게 전달될 인터페이스로, DVB-H에서는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라는 제어신호채널이 이에 해당한다. X-3 인터페이스는 방송 서비스 관리부(130)와 양방향 네트워크(150) 사이에서 사용하게 될 전송 통로의 설정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이다. X-2 인터페이스는 단말(160)과 양방향 네트워크(150) 사이에서 사용하게 될 전송 통로의 설정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이다. X-1 인터페이스는 컨텐츠 공급자(110)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0) 사이에서 사용하게 될 전송 통로의 설정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이다.
다음,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는 서비스 관리부(Service Management; 이하 SM이라 칭함), 방송망(Broadcasting network), 쌍방향 망(interactive network)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서술과 무관한 요소는 배제하였다.
SM 내에는 이동성 관리부(Mobility Management; 이하 MM이라 칭함)가 포함되며, SM은 단말의 이동에 따른 서비스의 안정적인 접속을 담당한다. 따라서 단말(terminal)는 수신 신호의 강도가 약해져서 핸드오버를 해야 하는 상황이 되면,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HO proposal)를 MM으로 보낸다(201).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1과 같다.
HO proposal ID
User ID
Service ID
Provider ID
IP address
IP platform ID
Service_id
Transport stream_id
Original network_id
Cell_id
Network_id
HO quality requirement (optional)
Time for one signal quality measurement (optional)
Signal measurement result (optional)
Signal frequency
표 1에서 HO proposal ID는 핸드오버 제안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고, User ID는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고, Service ID는 ESG에서의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며, Provider ID는 ESG 제공자,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제공자 등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IP address는 서비스의 IP address를 나타내며, IP platform ID는 IP platform 식별자이다. Service id는 PSI/Si에서의 서비스 식별자이며, Transfort stream id는 Transport stream 식별자이다. Original network id는 Original network 식별자이며, Cell id는 단말이 현재 속해 있는 셀의 식별자이며, Network id는 Network 식별자이다. HO quality requirement는 선택적인(optional) 정보로서, 핸드오버 시 수신 패킷의 손실을 용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네트워크에 알려주는 정보이다. Time for one signal quality measurement 역시 선택적인 정보이며, 단말이 수신 강도 측정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Signal measurement result도 선택적인 정보이며, 단말이 측정한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 강도 측정 결과이다. Signal frequency는 측정된 신호의 주파수이다.
다음, 네트워크에서 제시하는 핸드오버 해결책에 따라 핸드오버 절차를 'Process 1', 'Process 2' 및 'Process 3'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Process 1에서는 네트워크가 핸드오버 해결책을 단말로 보내고 단말은 수신한 네트워크의 핸드오버 해결책을 가지고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상술하면, 먼저 네트워크는 핸드오버를 위한 후보 셀의 파라미터인 핸드오버 해결책 Ⅰ(H/O solution Ⅰ)을 단말로 보낸다(211). 이때 전송되는 메시지는 하기 표 2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HO solutionⅠID
Candidate ID
Private data
Service_id
Transport stream_id
Original network_id
Cell_id
Network_id
Frequency
Coding
Modulation mode
Key
Service_ID
IP address
IP platform_id
Available time
Charging (optional)
표 2에서 HO solutionⅠID는 핸드오버 해결책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다. Candidate ID는 후보셀의 식별자로, 하나 이상의 후보셀이 존재할 경우에 이 Candidate ID로 후보셀들을 구분한다. Private data는 경우에 따라 설정 가능한 값으로, 후보 서비스의 동일성, 변화정도, 현재 서비스와의 관련 여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Service_id는 PSI/SI에서의 서비스 식별자이고, Transport stream_id는 transport stream 식별자이며, Original network_id는 Original network 식별자이다. Cell_id는 cell 식별자이고, Network_id는 network 식별자이며, Frequency 는 주파수값이다. Coding은 coding type을 나타내며, Modulation mode는 서비스의 modulation mode를 나타내며, Key 는 서비스의 암호화 키를 나타낸다. Service_ID는 ESG에서의 서비스 식별자이며, IP address는 서비스의 IP address이며, IP platform_id는 IP platform 식별자이다. Available time은 단말이 핸드오버 가능한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선택적 정보인 Charging은 요금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단말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주어진 핸드오버 해결책Ⅰ에 의거해 각 후보 셀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 후(Measure signal strength)(212), 수신 신호 강도 측정 결과 가장 신호가 양호한 셀을 선정하여 네트워크로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Confirm)를 보낸다(213). 그리고 단말은 핸드오버(HO)를 수행한다(214).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확인 메시지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기 표 3과 같다.
Confirm ID
Result ID
표 3에서 Confirm ID는 확인 메시지간의 구분을 위해서 필요한 식별자이며, Result ID는 핸드오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식별자이다.
다음, Process 2는 단말이 방송망을 벗어나는 경우에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상세한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는 핸드오버 해결책 Ⅲ(H/O solution Ⅲ)을 단말로 보낸다(221).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의 내용은 하기 표 4와 같다.
HO solutionⅢ ID
Candidate
Charging (optional)
표 4에서, HO solution Ⅲ ID는 핸드오버 해결책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다. Candidate는 단말이 요청하는 서비스가 쌍방향 채널을 통해서 제공될 수 있음을 단말에게 알려주는 정보로서, 주파수와 IP 주소 등의 접근 파라미터(access parameter)를 알려준다. Charging은 선택 정보이며, 요금에 관련된 정보를 알려준다.
이후 단말은 확인 메시지(Confirm)를 네트워크로 보낸다(222).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의 내용은 하기 표 5와 같다.
Confirm ID
Result ID
표 5에서, Confirm ID는 확인 메시지간의 구분을 위해서 필요한 식별자이며, Result ID는 핸드오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부분이다.
상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네트워크는 방송망에서 쌍방향 망으로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Broadcasting to interactive network HO processing)하며(223), 단말은 상기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HO)한다(224).
Process 3은 핸드오버에 실패한 경우이며, 네트워크는 단말에게 핸드오버 해결책 Ⅳ(H/O solution Ⅳ)을 보낸다(231).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6과 같다.
HO solution Ⅳ ID
Failure result
표 6에서, HO solution Ⅳ는 핸드오버 해결책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며, Failure result는 핸드오버 해결책이 없음을 알려주는 부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는 300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제안을 받고, 310 내지 314 단계에서 Process 1을 수행 한다. 즉, 네트워크는 310 단계에서 평가 작업을 수행하고, 311 단계에서 평가 수행 결과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핸드오버 할만한 후보 셀이 있으면 312 단계에서 핸드오버 해결책 Ⅰ을 단말로 보내며 313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314 단계에서는 상기 확인 메시지를 통해 핸드오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핸드오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면 모든 과정을 종료하며, 핸드오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320 단계로 이동하여 Process 2를 수행한다. 또한 311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핸드오버 할만한 후보 셀이 없는 경우에도 네트워크는 320 단계로 이동하여 Process 2를 수행한다.
311 단계 또는 314 단계에서 Process 2를 수행하기로 결정 되었으면, 네트워크는 320 단계에서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쌍방향 망을 통해서 핸드오버 하기로 결정되면, 네트워크는 321 단계에서 핸드오버 해결책 Ⅲ를 단말로 보낸 후 322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받는다. 그리고 323 단계에서 단말이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에 동의하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단말이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에 동의하지 않으면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고 모든 과정을 종료하며, 단말이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에 동의하면 네트워크는 324 단계에서 방송망에서 쌍방향 망으로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한 후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320 단계에서 네트워크가 쌍방향 망을 통한 핸드오버를 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으면 330 단계로 이동하여 Process 3을 수행한다. 즉, 네트워크는 단말로 핸드오버가 불가능함을 알리는 핸드오버 해결책 Ⅳ를 전송한 후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400 단계에서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보내고, 401 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후 단말은 402 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의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해결책을 확인하며, 이에 따라 각각 다른 작동을 수행한다.
즉,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핸드오버 해결책 Ⅰ이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은 410 단계에서 수신 신호 강도 세기를 측정한 후, 411 단계에서 핸드오브를 수행할만한 후보 셀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후보 셀이 없으면, 단말은 412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핸드오버에 실패하였다는 확인 메시지를 보낸 후에 네트워크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401 단계로 돌아간다. 또한 확인 결과 후보 셀이 있으면, 단말은 413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핸드오버에 성공하였다는 확인 메시지를 보내고, 440 단계로 이동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402 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핸드오버 해결책 Ⅲ이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은 420 단계에서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하기로 결정한 경우에는 421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낸 후에 440 단계에서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또한 420 단계에서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에는 422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낸 후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고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또한 402 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핸드오버 해결책 Ⅳ가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은 430 단계에서 핸드오버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은 수신 신호의 강도가 약해지는 경우에 핸드오버를 제안하는 메시지(H/O proposal)를 네트워크 쪽으로 보낸다(501).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7과 같다.
HO proposal ID
User ID
Service ID
Cell ID
HO quality requirement (optional)
Time for one signal quality measurement (optional)
Signal measurement result (optional)
표 7에서 HO proposal ID는 핸드오버 제안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고, User ID는 핸드오버를 신청하는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고, Service ID는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며, Cell ID는 상기 사용자가 속해 있는 셀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HO quality requirement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핸드오버 시 수신 패킷의 손실을 용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네트워크에 알려주는 정보이다. Time for one signal quality measurement는 역시 선택적인 정보이며, 단말이 수신 강도 측정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Signal measurement result는 역시 선택적인 정보이며, 단말이 측정한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 강도 측정 결과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도 네트워크에서 제시하는 핸드오버 해결책에 따라 핸드오버 절차를 'Process 1', 'Process 2' 및 'Process 3'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Process 1에서는 네트워크가 핸드오버 해결책을 단말로 보내고 단말은 후보 셀들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해서 네트워크로 보낸다. 즉, 네트워크는 단말로부터 받은 후보 셀들의 수신 신호 강도 측정결과에 의거해서 단말로 핸드오버 해결책을 보내며, 단말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핸드오버 해결책을 가지고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Process 1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네트워크는 핸드오버를 위한 후보 셀들을 단말로 보낸다(H/O response)(511). 그러면 단말은 후보 셀들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 후(Measure signal strength) 그 값을 네트워크로 전송한다(Signal strength measurement result)(512,513). 이때 전송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8과 같다.
Signal strength measurement result ID
Signal quality
표 8에서 Signal strength measurement result ID는 수신 강도 측정 결과 메시지간의 구분을 위해서 필요한 식별자이며, Signal quality는 각 후보 셀의 수신 신호의 강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네트워크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 강도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가장 적합한 셀을 선정해서 핸드오버 해결책 Ⅱ을 단말로 보낸다(H/O solution Ⅱ)(514). 이 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9와 같다.
HO solution ⅡID
Candidate 1
Candidate 2
Candidate i
Charging (optional)
표 9에서 HO solution ⅡID는 핸드오버 해결책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다. Candidate 1부터 Candidate i는 핸드오버가 가능한 후보군을 알려주는 부분이며, 주파수 정보를 알려주는 주파수 식별자와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을 알려주는 시간 식별자를 포함한다. 요금에 관련된 정보는 선택 사항으로서, Charging 부분에 포함된다.
이후 단말은 네트워크로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내고(Confirm)(515) 핸드오버를 수행한다(HO)(516). 상기 확인 메시지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기 표 10과 같다.
Confirm ID
Result ID
표 10에서 Confirm ID는 확인 메시지간의 구분을 위해서 필요한 식별자이며, Result ID는 핸드오버가 성공적인지 아닌지를 알려주는 부분이다.
한편, Process 2는 단말이 방송망을 벗어나는 경우에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네트워크는 핸드오버 해결책 Ⅲ를 단말로 보낸다(H/O solution Ⅲ)(521). 이때 메시지의 내용은 하기 표 11과 같다.
HO solution Ⅲ ID
Candidate
Charging (optional)
표 11에서 HO solution Ⅲ는 핸드오버 해결책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다. Candidate는 단말에게 요청하는 서비스는 쌍방향 채널을 통해서 연결해 제공될 수 있음을 알려주고, 주파수와 IP 주소 등의 접근 파라미터(access parameter)를 알려준다. Charging은 선택 정보이며, 요금에 관련된 정보를 알려준다.
이후 단말은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보낸다(522).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의 내용은 하기 표 12와 같다.
Confirm ID
Result ID
표 12에서 Confirm ID는 확인 메시지간의 구분을 위해서 필요한 식별자이며, Result ID는 핸드오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부분이다.
상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네트워크는 방송망에서 쌍방향 망으로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며(Broadcasting to interactive network HO processing)(523), 단말은 쌍방향 망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한다(HO)(524).
한편, Process 3은 핸드오버에 실패한 경우이며, 네트워크는 단말로 핸드오버 해결책 Ⅳ(H/O solution Ⅳ)을 보낸다(531).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상기 표 13과 같다.
HO solution Ⅳ ID
Failure result
표 13에서 HO solution Ⅳ는 핸드오버 해결책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다. Failure result는 핸드오버 해결책이 없음을 알려주는 부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네트워크는 600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제안을 받고, 610 단계 내지 616 단계에서 Process 1을 수행 한다. 즉, 네트워크는 610 단계에서 단말로 상기 핸드오버 제안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보내고, 611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수신 신호 측정 결과를 받는다. 이후 네트워크는 612 단계에서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평가 작업을 수행하고 613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만족할만한 셀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만족할만한 셀이 있으면, 네트워크는 614 단계에서 핸드오버 해결책 Ⅱ를 단말로 전송하며, 615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616 단계에서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확인 메시지를 통해 단말이 핸드오버에 성공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성공했으면 모든 과정을 종료하며, 성공하지 않았으면 620 단계로 이동하여 Process 2를 수행한다. 한편, 613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만족할만한 셀이 없는 경우에도 620 단계로 이동한다.
네트워크가 Process 2를 수행하기로 결정하였으면, 먼저 620 단계에서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쌍방향 망을 통해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로 결정하면, 네트워크는 621 단계에서 핸드오버 해결책 Ⅲ를 단말로 보낸 후, 622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받는다.
다음, 네트워크는 623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수신한 확인 메시지를 통해 단말이 핸드오버에 동의하였는지를 확인하며, 단말이 동의하였다고 판단되면 네트워크는 624 단계에서 방송망에서 쌍방향 망으로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며, 단말이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는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수행을 종료한다.
또한 620 단계에서 네트워크가 쌍방향 망을 통한 핸드오버를 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에는 630 단계로 이동하여 Process 3을 수행한다. 즉, 630 단계에서 네트워크는 단말로 핸드오버 해결책 Ⅳ를 전송한 후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700 단계에서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보내고, 701 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후 단말은 702 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어느 해결책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가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이면 단말은 710 단계에서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 후 711 단계에서 그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로 보낸 후 네트워크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701 단계로 돌아간다.
또한 상기 702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네트워크로부터 핸드오버 해결책 Ⅱ을 수신하였으면 단말은 720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내고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에 수행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702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핸드오버 해결책 Ⅲ이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은 730 단계에서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로 결정하였으면 731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내고 750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에 수행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730 단계에서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으면 단말은 732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낸 후에,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고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702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핸드오버 해결책 Ⅳ이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은 740 단계에서 핸드오버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5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네트워크가 단말로 핸드오버를 위해 필요한 정보 및 해결책을 제시해주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식을 적용할 경우에는 단말이 측정한 수신 신호 품질 보고와 같은 필요한 정보를 네트워크 쪽으로 보내 주는 과정도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변화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1) 서비스 끊김 : 현재 전송되고 있는 서비스가 중단된다. 이 경우에, 단말이 현재 서비스를 계속 받기 원하면, 단말은 핸드오버 또는 로밍을 수행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찾는다. 만약 핸드오버나 로밍이 불가능하다면 단말은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다른 서비스를 수신하게 된다.
(2) 서비스 대체 :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는 또 다른 서비스로 대체 된다. 예를 들어, 현재 A라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5분 후에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면, 서비스 B가 서비스 A를 대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이 현재 서비스를 계속 수신하기 원하면, 단말은 핸드오버 또는 로밍을 수행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찾는다. 만약 핸드오버나 로밍이 불가능하다면 단말은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다른 서비스 또는 대체 서비스를 수신하게 된다.
(3) 서비스 이동 :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는 다른 전송 스트림, 다른 전송 주파수, 다른 네트워크 혹은 다른 IP 플랫폼 등과 같은 다른 장소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 서비스의 컨텐츠는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전송 방법은 변한다. 이 정보는 단말이 현재의 서비스를 계속 찾고자 할 때 유용하다. 이러한 경우에 단말은 현재 서비스를 계속 수신하기 원하며,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서비스를 찾을 수 있다. 현재 서비스를 찾이 못한 경우에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다른 서비스를 수신하게 된다.
(4) 서비스 식별자(ID) 변경 : 서비스 식별자(ID)는 현재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하여 다른 식별자로 변경 된다. 즉, ESG 레벨에서의 식별자(Service ID), PSI/SI 레벨에서의 식별자(Service id), 서비스 IP 어드레스 및 IP 레벨에서의 포트 번호 등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단말은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한다.
또한, 최근에 업데이트 된 새로운 서비스도 단말에게 통보된다. 이러한 경우에 단말은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한다. 이러한 변화 이벤트 정보(changing event information)는 단말이 서비스를 수신하는 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네트워크에 변화가 발생하면 네트워크는 changing event information를 단말에게 알린다.
changing event information를 단말에게 알리는 방법으로는 방송망 또는 쌍방향 네트워크를 통하여 changing event message를 시그널링하거나, notification message를 전송하거나, ESG 또는 PSI/SI에 실어서 전송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hanging event message를 전송하는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8은 네트워크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네트워크와 단말 사이의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네트워크에 변화가 발생하면 네트워크는 단말로 changing event 메시지를 전송하며(801), 단말은 changing event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802). 또한 단말은 필요에 따라 핸드오버 또는 로밍을 수행한다(803, 804). 로밍 방법에 대하여는 국내특허출원 2006- 3684를 참조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따른 핸드오버 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각 단계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 네트워크는 900 단계에서 단말로 PSI/SI 정보를 보내고, SM 내의 MM은 901 단계에서 Changing event 메시지를 단말로 보낸다.
이때 changing event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14와 같다.
Changing event ID
Changing event type
IP platform ID
Network ID
Service ID
Service Provider ID
ESG provider ID
IP address
Transport stream ID
Original network ID
Frequency
New service ID
New Service Provider ID
New ESG provider ID
New IP address
New IP platform ID
New transport stream ID
New original network ID
New network ID
Private data
T1
T2(optional)
Network control indication
Handover candidate
Roaming candidate
표 14에서 changing event ID는 changing event message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Changing event type는 네트워크측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0001: 서비스 끊김, 0010: 서비스 대체, 0011: 서비스 이동, 0100: 서비스 식별자 변경, 0101: newly updated service , 0110~1111: 이후 서비스를 위해 유지 등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IP platform ID는 IP 플랫폼 식별정보이고, Network ID는 네트워크 식별정보이며, Service ID는 서비스 식별정보이다. Service Provider ID는 서비스 공급자의 식별정보이고, ESG provider ID는 ESG 공급자의 식별정보이며, Transport stream ID는 전송 스트림 식별정보이다. Original network ID는 원 네트워크 식별정보이고, Frequency는 서비스가 전송되는 주파수이다. New service ID는 새로운 서비스 식별자이고, New Service Provider ID는 새로운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정보이다. New IP address는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IP 어드레스이고, New IP platform ID는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가 이용 가능한 새로운 IP 플랫폼이며, New transport stream ID는 새로운 전송 스트림의 식별정보이다. New original network ID는 새로운 원 네트워크 식별정보이고, New network ID는 서비스가 이용 가능한 새로운 네트워크 정보이다. 또한, Private data는 경우에 따라 설정 가능한 값으로, 예를 들어 서비스 대체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새로운 서비스 및 새로운 서비스 예전 서비스와 관련 여부를 설명할 수 있다. T1은 네트워크에 변경이 언제 일어나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T2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네트워크 변경이 언제 끝날지에 대한 정보이다. Network control indication은 네트워크 조종형 핸드오버가 필수인지 아니면 선택 가능한 것인지를 단말에 알려주기 위한 정보이다. Handover candidate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핸드오버를 위한 후보셀에 대한 정보 목록이다. Roaming candidate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로밍을 위한 후보셀에 대한 정보 목록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 전달은 방송망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후 단말은 수신 강도 측정, 평가를 거쳐서 핸드오버 해결책을 수립하고 902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1000 단계에서 네트워크 내부에 변화가 발생하면, 네트워크는 1001 단계에서 PSI/SI 및 changing event 메시지를 통하여 네트워크 변화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보내주는 과정을 수행한 후 수행을 종료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1100 단계에서 PSI/SI 및 changing event 메시지를 통하여 네트워크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후에, 1101 단계에서 핸드오버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즉, 현재 수신중인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가 일어났으면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즉, 현재 수신중인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가 일어났으면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판단 결과 핸드오버가 필요하면 1102 단계에서 수신 신호 강도 측정, 평가 작업을 통해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종료한다. 반면에 상기 1101 단계에서 핸드오버가 필요치 않은 상황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1102 단계를 거치지 않고 수행을 종료한다.
<제4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트워크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 네트워크는 1200 단계에서 단말로 PSI/SI 정보를 보내고, SM 내의 MM은 1201 단계에서 changing event message을 단말로 보낸다.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15와 같다.
changing event ID
Candidate(optional)
T1
T2(optional)
Network control indication
표 15에서, changing event ID는 changing event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Candidate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네트워크 변화에 대한 추가 정보이다. 여기에 포함되는 정보의 예로는 서비스 ID와 원래의 주파수, 새로운 주파수가 있다. T1은 네트워크에 변경이 언제 일어나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T2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네트워크 변경이 언제 끝날지에 대한 정보이다. Network control indication은 네트워크 조종형 핸드오버가 필수인지 아니면 선택 가능한 것인지를 단말에 알려주기 정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지 전달은 쌍방향 망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후 단말은 주변 셀의 신호 수신 강도 측정, 평가를 거쳐서 핸드오버 해결책을 수립한다. 그리고 1202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돕기 위한 정보를 네트워크 보내는데,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16과 같다.
Terminal HO information requirement to network ID
Frequency requirement (optional)
Time available requirement (optional)
표 16에서, Terminal HO information requirement to network ID는 단말 핸드오버 정보 요청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Frequency requirement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기대되는 서비스가 속해 있는 주변 셀의 주파수를 알려주기를 요청하는 것이다. Time available requirement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기대되는 서비스가 활용 가능한 시간을 알려주기를 요청하는 것이다. 상기 두 개의 선택적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반드시 포함된다.
상기 메시지를 단말이 네트워크로 보내면 네트워크는 1203 단계에서 이에 따른 응답을 상기 단말로 보내게 되는데, 이때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17과 같다.
Network HO information response to terminal ID
Frequency response
Time available response
표 17에서, Network HO information response to terminal ID는 단말 핸드오버 정보 응답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Frequency response는 기대되는 서비스가 속해 있는 주변 셀의 주파수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Time available response는 기대되는 서비스가 활용 가능한 시간을 알려주기는 정보이다.
이후 상기 단말은 1204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1300 단계에서 네트워크 내부에 변화가 발생하면, 네트워크는 1301 단계에서 PSI/SI 및 Changing event 메시지를 통하여 네트워크 변화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보내주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네트워크는 1302 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관련 정보 요청을 받으며, 1303 단계에서 이에 따른 응답을 상기 단말로 보내주는 과정을 수행한 후에 작동을 종료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은 1400 단계에서 PSI/SI 및 Changing event 메시지를 통하여 네트워크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후에 1401 단계에서 핸드오버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즉, 현재 수신중인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가 일어났으면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판단 결과 핸드오버가 필요하면 1402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1403 단계에서 이에 상응하는 응답을 상기 단말로 보낸다. 이후 상기 단말은 1404 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 받은 정보들에 의거해 수신 신호 강도 측정, 평가 작업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1401 단계에서 핸드오버가 필요치 않은 상황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1402 내지 1404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네트워크는 서비스를 지속시키기 위하여 단말에 대한 쌍방향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러한 서로 다른 변화 이벤트에 따라, 네트워크는 Changing event 메시지에 해당 정보를 실어서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서, T1은 네트워크 변화의 시작점이고, T2는 네트워크 변화의 종료시점이다. 상기 T1과 T2 사이의 구간은 변화구간이다. 상기 변화구간은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네트워크 측에서는 단말에 대한 그 변화의 영향에 대해서는 상관하지 않으며, 단지 단말에 언제 변화가 종료될 지만 통보할 뿐이다. 상기 변화구간은 또한 가변적일 수 있다. 네트워크 측에서는 대부분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성공적으로 마칠 때 까지 현재 서비스를 유지한다. 상기 변화의 종료시점은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결과에 영향을 받는다.
가능한 변화 이벤트들 중에서, 서비스 송신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새로운 주파수의 성능과 범위는 상기 핸드오버 결과에 영향을 준다. 네트워크 측에서는 단말 측정결과를 수집하여, 송신 성능을 조정한다. 대부분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성공적으로 끝낼 때까지, 현재 서비스는 중단될 것이며, 변화구간도 종료된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네트워크는 1600 단계에서 네트워크 내부 변화가 있는 경우에 단말로 이에 대한 정보를 Changing event 메시지를 통해 보낸다. 이때 단말이 핸드오버 할만한 후보 셀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Changing event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18과 같다.
changing event ID
Candidate(optional)
T1
T2(optional)
Network control indication
표 5에서, changing event ID는 changing event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Candidate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네트워크 변화에 대한 추가 정보이다. 여기에 포함되는 정보는 서비스 ID와 원래의 주파수, 새로운 주파수가 있다. T1은 네트워크에 변경이 언제 일어나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T2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네트워크 변경이 언제 끝날지에 대한 정보이다. Network control indication은 네트워크 조종형 핸드오버가 필수인지 아니면 선택 가능한 것인지를 단말에 알려주기 정보이다.
이후 상기 단말은 1601 단계에서 수신 신호의 수신 강도 측정을 수행한다. 상기 수신 강도 측정 작업을 마친 후 상기 단말은 1602 단계에서 수신 신호 강도 측정결과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보낸다.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19와 같다.
HO proposal ID
User ID
Service ID
Service Provider ID
ESG provider ID
IP address
IP platform ID
Service id
Transport stream id
Original network id
Cell id
Network id
HO quality requirement (optional)
Time for one signal quality measurement (optional)
Signal measurement result (optional)
표 19에서 HO proposal ID는 핸드오버 제안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User ID는 핸드오버를 신청하는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며, Service ID는 현재 상기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를 구분해주기 위한 식별자이다. Service Provider ID는 서비스 공급자의 식별정보이고, ESG provider ID는 ESG 공급자의 식별정보이고, IP address는 서비스의 IP 주소이며, IP platform ID는 IP 플랫폼 식별정보이다. Service id는 PSI/SI에서의 서비스 식별정보이고, Transport stream id는 전송스트림 식별정보이고, Original network id는 오리지널 네트워크 식별정보이고, Cell id는 단말이 속한 셀의 식별정보이며, Network id는 네트워크 식별정보이다. HO quality requirement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핸드오버 시 수신 패킷의 손실을 용납할 수 있는지 여부를 네트워크에 알려주는 정보이다. Time for one signal quality measurement도 선택적인 정보이며, 단말이 수신 강도 측정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Signal measurement result도 선택적인 정보이며, 단말이 측정한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 강도 결과이다.
상기 핸드오버 제안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수신 강도 측정 결과와 네트워크 레이아웃(layout)에 의거해 각각에 따른 해결책을 작성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해결책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 가지 해결책을 제시하며, 이들 해결책을 수행하는 각각의 과정을 Process 1, Process 2, Process 3으로 명명한다.
Process 1은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만족할 만한 후보 셀이 존재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과정이다.
Process 1에서, 먼저 상기 네트워크는 1610 단계에서 핸드오버 해결책 Ⅱ(H/O solution Ⅱ)를 상기 단말로 보낸다. 이 때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20과 같다.
HO solution ⅡID
Candidate ID
Private data
Service id
Transport stream id
Original network id
Cell id
Network id
Frequency
Coding
Modulation mode
Key
Service ID
Service Provider ID
ESG provider ID
IP address
IP platform id
Available time
Charging (optional)
표 20에서, HO solution ⅡID는 핸드오버 해결책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다. Candidate ID는 핸드오버가 가능한 후보 셀들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며, Private data는 경우에 따라 설정 가능한 값으로, 예를 들어 후보 셀 서비스가 동일한지 가변적인지 또는 현재 서비스와 관련이 있는지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Service id는 PSI/SI에서의 서비스 식별정보이고, Transport stream id는 전송 스트림 식별정보이며, Original network id는 오리지널 네트워크 식별정보이다. Cell id는 셀 식별정보이고, Network id는 네트워크 식별정보이며, Frequency는 서비스의 주파수 값이다. Coding은 부호화 유형이고, Modulation mode는 서비스 변조 모드이고, Key는 서비스가 부호화 될 경우의 키이다. Service ID는 ESG에서의 서비스 식별정보이고, Service Provider ID는 서비스 공급자의 식별정보이며, ESG provider ID는 ESG 공급자의 식별정보이다. IP address는 서비스의 IP 주소이고, IP platform id는 IP 플랫폼 식별자이며, Available time는 단말이 핸드오버를 처리할 수 있는 시간이다. 주파수 정보를 알려주는 주파수 식별자와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을 알려주는 시간 식별자를 포함한다. 요금에 관련된 정보는 선택 사항이며, Charging 부분에 포함된다.
이후 단말은 1611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확인 메시지를 보낸다. 상기 확인 메시지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기 표 21과 같다.
Confirm ID
Result ID
표 21에서, Confirm ID는 확인 메시지간의 구분을 위해서 필요한 식별자이며, Result ID는 핸드오버가 성공적인지 아닌지를 알려주는 부분이다.
상기 확인 메시지를 보낸 이후에 단말은 1612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Process 2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만족할만한 후보 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네트워크는 가능한 실패의 원인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한다. 그리고 전송 성능을 개선한 이후에 상기 단말에게 측정 결과를 다시 보낼 것을 요청한다.
즉 네트워크는 1620 단계에서 상기 단말에게 핸드오버 해결책 Ⅴ-1(H/O solution Ⅴ-1)을 보낸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의 내용은 하기 표 22와 같다.
HO solutionⅤ-1 ID
Candidate ID
Private data
Service id
Transport stream id
Original network id
Cell id
Network id
Frequency
Service ID
Service Provider ID
ESG provider ID
IP address
IP platform id
Available time
Charging (optional)
표 22에서, HO solutionⅤ-1은 핸드오버 해결책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다. Candidate ID는 핸드오버가 가능한 후보 셀들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며, Private data는 경우에 따라 설정 가능한 값으로, 예를 들면 후보 셀 서비스가 동일한지 가변적인지 또는 현재 서비스와 관련이 있는지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Service id는 PSI/SI에서의 서비스 식별정보이고, Transport stream id는 전송 스트림 식별정보이며, Original network id는 오리지널 네트워크 식별정보이다. Cell id는 셀 식별정보이고, Network id는 네트워크 식별정보이며, Frequency는 서비스의 주파수 값이다. Service ID는 ESG에서의 서비스 식별정보이고, Service Provider ID는 서비스 공급자의 식별정보이며, ESG provider ID는 ESG 공급자의 식별정보이다. IP address는 서비스의 IP 주소이고, IP platform id는 IP 플랫폼 식별자이며, Available time는 단말이 핸드오버를 처리할 수 있는 시간이다. 요금에 관련된 정보는 선택 사항이며, Charging 부분에 포함된다.
이후 단말은 1621 단계에서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보낸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의 내용은 하기 표 23과 같다.
Confirm ID
Result ID
표 23에서 Confirm ID는 확인 메시지간의 구분을 위해서 필요한 식별자이며, Result ID는 핸드오버가 성공적인지 아닌지를 알려주는 부분이다.
만일 방송망을 통한 서비스 제공이 여의치 않은 경우에는, 네트워크는 1622 단계에서 핸드오버 해결책Ⅴ-2(H/O solution Ⅴ-2)를 단말로 보낸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의 내용은 하기 표 24와 같다.
HO solutionⅤ-2 ID
Candidate ID
Frequency
Interactive network id
Service id
Transport stream id
Original network id
Service ID
Service Provider ID
ESG provider ID
IP address
IP platform id
Charging (optional)
표 24에서 HO solutionⅤ-2 ID 핸드오버 해결책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다. Candidate ID는 핸드오버가 가능한 후보 셀들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며, Frequency는 후보 셀의 쌍방향 채널의 주파수 값이다. Interactive network id는 쌍방향 네트워크의 식별정보이고, Service id는 PSI/SI에서의 서비스 식별정보이다. Transport stream id는 전송 스트림 식별정보이고, Original network id는 오리지널 네트워크 식별정보이며, Service ID는 ESG에서의 서비스 식별정보이다. Service Provider ID는 서비스 공급자의 식별정보이며, ESG provider ID는 ESG 공급자의 식별정보이다. IP address는 서비스의 IP 주소이고, IP platform id는 IP 플랫폼 식별자이다. Charging은 선택 정보이며, 요금에 관련된 정보를 알려준다.
이후 단말은 1623 단계에서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보내며,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의 내용은 하기 표 25와 같다.
Confirm ID
Result ID
표 25에서 Confirm ID는 확인 메시지간의 구분을 위해서 필요한 식별자이며, Result ID는 핸드오버가 성공적인지 아닌지를 알려주는 부분이다.
상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1624 단계에서 네트워크는 방송망에서 쌍방향망으로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며, 1625 단계에서 단말은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Process 3은 핸드오버에 실패한 경우에 수행하는 절차이다. 즉, 네트워크는 1630 단계에서 단말에게 핸드오버 해결책 Ⅳ(H/O solution Ⅳ)를 보내며,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상기 표 26과 같다.
HO solution Ⅳ ID
Failure result
표 26에서 HO solution Ⅳ는 핸드오버 해결책 Ⅳ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다. Failure result는 핸드오버 해결책이 없음을 알려주는 부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로서, 단말의 핸드오버 결과에 따라 네트워크가 조정하는 변화구간에 근거하여, Process 2 과정에서 HO solution V-1 과정(도 16b의 1620 및 1621 단계)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네트워크는 1700 단계에서 단말로 changing event 메시지를 보내고, 1701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제안과 측정 결과를 받는다. 이후 상기 네트워크는 1702 단계에서 측정 결과와 네트워크 레이아웃에 의거해 해결책을 마련한다.
그리고 1703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만족할 만한 후보 셀이 있는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 만족할 만한 후보 셀이 있으면 1710 및 1711 단계에서 Process 1을 수행한다. 즉, 네트워크는 1710 단계에서 단말로 핸드오버 해결책 Ⅱ를 보내고, 1711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받은 후 수행을 종료한다.
한편, 1713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후보 셀이 없다면 네트워크는 Process 2를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네트워크는 1720 단계에서 서비스를 유지하면서 만족할 만한 후보가 없는 이유를 분석하며, 1721 단계에서 상기 분석한 이유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네트워크의 성능의 개선이 필요하다면 네트워크는 1722 단계에서 상기 단말로 핸드오버 해결책 Ⅴ-1을 보내고 1723 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받는다. 그리고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에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성공하였으면 수행을 종료한다. 반면에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에 실패하였으면 후술하는 1725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1721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상기 단말이 방송망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서 생긴 일이면, 네트워크는 1725 단계에서 쌍방향 망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1725 단계에서 쌍방향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결정하였으면, 네트워크는 1726 단계에서 단말로 핸드오버 해결 메시지 Ⅴ-2를 보내고 1727 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확인 메시지에 따라 각각 다른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네트워크는 1728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쌍방향 망을 통한 지속적 서비스에 찬성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면, 네트워크는 1729 단계에서 쌍방향 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수행을 종료한다. 반면에 상기 1728 단계에서 단말이 쌍방향 망을 통한 서비스에 동의하지 않았으면, 상기 네트워크는 쌍방향 망으로 핸드오버 하지 않고 수행을 종료한다.
한편, 1725 단계에서 쌍방향 망을 통한 핸드오버를 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에 네트워크는 Process 3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네트워크는 1730 단계에서 핸드오버 해결책 Ⅳ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실행을 종료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은 1800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changing event 메시지를 수신하고, 1801 단계에서 수신 신호의 강도를 측정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802 단계에서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측정 결과를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에 실어서 네트워크로 보내고, 1803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1804 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의 응답 메시지에 어느 해결책이 포함되어 있는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각각 다른 작동을 하게 된다.
즉, 네트워크로부터 핸드오버 해결책 Ⅱ를 수신하였으면, 단말은 1810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내고, 1850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에 수행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1804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핸드오버 해결책 Ⅴ-1이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은 1820 단계에서 수신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1821 단계에서 핸드오버가 성공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1822 단계 및 1823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로 판단 결과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낸다.
즉, 1821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핸드오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면 1823 단계에서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낸 후에 1850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수행을 종료한다. 반면에 1022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핸드오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단말은 1822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실패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기 1803 단계로 돌아간다.
한편, 상기 1804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핸드오버 해결책 Ⅴ-2가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은 1830 단계에서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1831 단계 및 1832 단계에서 상기 결정 결과에 따른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즉, 1830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로 결정하였으면 단말은 1831 단계에서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한 후 1850 단계에서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수행을 종료한다. 반면에, 1830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1832 단계에서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낸 후에 수행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1804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핸드오버 해결책 Ⅳ이 포함되어 있으면 1840 단계에서 단말은 핸드오버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수행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제6 및 제7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단말의 위치변화가 있는 경우에 단말 조종형 핸드오버를 시도하고 만일 실패하는 경우에 네트워크 조종형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식을 적용할 경우에는 단말이 측정한 수신 신호 품질 보고와 같은 필요한 정보를 네트워크 쪽으로 보내 주는 과정도 포함한다.
<제6 실시예>
도 19a 내지 도 19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단말이 이동하면서 자신이 속해 있는 셀 또는 네트워크를 벗어나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a 내지 도 19b를 참조하면, 단말은 현재 셀에서의 수신 신호의 강도가 약해지면 200 단계에서 네트워크의 방송망으로부터 PSI/SI 정보를 수신하고, 201 단계에서 네트워크의 SM 내의 MM에게 핸드오버 정보 요청 메시지(Terminal HO information requirement to network)를 보낸다.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27과 같다.
Terminal HO information requirement to network ID
Frequency requirement (optional)
Time available requirement (optional)
표 27에서 Terminal HO information requirement to network ID는 핸드오버 정보 요청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Frequency requirement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기대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주변 주파수의 요구가 포함되어 있다. Time available requirement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기대되는 서비스를 위한 시간 활용 요구가 포함되어 있다.
이후 네트워크는 핸드오버 정보 응답 메시지(Network HO information response to terminal)를 단말로 보낸다.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28과 같다.
Network HO information response to terminal ID
Frequency response(optional)
Time available response (optional)
표 28에서 Network HO information response to terminal ID는 핸드오버 정보 요청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Frequency response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기대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주변 주파수가 포함되어 있다. Time available response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기대되는 서비스를 위한 시간 활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후 단말은 1903 단계에서 주변 셀을 탐색하고, 상기 주변 셀들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 후 핸드오버를 시도한다. 상기와 같이 단말 조종형 핸드오버를 시도해서 핸드오버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에, 단말은 1904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HO 제안 메시지(HO proposal)를 보낸다.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29와 같다.
HO proposal ID
User ID
Service ID
Provider ID
IP address
IP platform ID
Service_id
Transport stream_id
Original network_id
Cell id
Network_id
HO quality requirement (optional)
Time for one signal quality measurement (optional)
Signal measurement result
Signal frequency
Signal quality
표 29에서, HO proposal ID는 핸드오버 제안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User ID는 핸드오버를 신청하는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며, Service ID는 현재 상기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를 구분해주기 위한 식별자이다.
Provider ID는 ESG 제공자,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제공자 등을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IP address는 서비스의 IP 주소를 나타내며, IP platform ID는 IP 플랫폼 식별자이다. Service_id는 PSI/SI 레벨의 서비스 식별자이고, Transport stream_id는 전송 스트림 식별자이며, Original network_id는 오리지널 네트워크 식별자이다. Cell id는 상기 사용자가 속해 있는 셀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고, Network_id는 네트워크 식별자이다. HO quality requirement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핸드오버 시 수신 패킷의 손실을 용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네트워크에 알려주는 정보이다. Time for one signal quality measurement는 역시 선택적인 정보이며, 단말이 수신 강도 측정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Signal measurement result는 네트워크로 보내지는 측정 결과로서, 네트워크가 후보셀을 찾을 때 사용된다. Signal frequency는 측정된 신호의 주파수이고, Signal quality는 해당 주파수에서의 신호 품질을 나타낸다.
상기 핸드오버 제안을 수신한 이후에, 네트워크는 상기 수신한 정보에 의거하여 평가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 결과에 따라 Process 1 내지 Process 3 중 하나의 과정을 수행한다.
Process 1의 경우는 상기 평가 작업 수행 결과 핸드오프 할만한 후보 셀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수행하는 과정이다. 즉. 네트워크는 1910 단계에서 핸드오버 해결책Ⅱ을 단말로 보낸다. 이 때 핸드오버 해결책Ⅱ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30과 같다.
HO solution Ⅱ ID
Candidate ID
Private data
Service_id
Transport stream_id
Original network_id
Cell_id
Network_id
Frequency
Coding
Modulation mode
Key
Service_ID
Provider ID
IP address
IP platform_id
Available time
Charging (optional)
표 30에서, HO solution Ⅱ ID는 핸드오버 해결책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다. Candidate ID는 후보셀이 둘 이상일 때 이들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Private data는 경우에 따라 설정 가능한 값으로서, 예를 들어 후보 서비스의 특성 및 현재 서비스와의 연관성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Service_id는 PSI/SI 레벨에서의 서비스 식별자이고, transport stream_id는 전송 스트림 식별자이며, Original network_id는 오리지널 네트워크 식별자이다. Cell_id는 셀 식별자이며 Network_id는 네트워크 식별자이다. Frequency는 서비스의 주파수이고, Coding type은 서비스의 코딩 타입이며, Modulation mode는 서비스의 변조 모드이다. Key는 서비스의 암호화 키이고, Service_ID는 ESG 레벨에서의 서비스 식별자이다. Provider ID는 ESG 제공자,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제공자 등을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IP address는 서비스의 IP 주소이고, IP platform_id는 IP 플랫폼 식별자이며, Available time은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이다. 요금에 관련된 정보는 선택 사항이며, Charging 부분에 포함된다.
이후 단말은 1911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확인 메시지를 보낸다. 상기 확인 메시지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기 표 31과 같다.
Confirm ID
Result ID
표 31에서, Confirm ID는 확인 메시지간의 구분을 위해서 필요한 식별자이며, Result ID는 핸드오버가 성공적인지 아닌지를 알려주는 부분이다.
상기 확인 메시지를 보낸 이후에 단말은 1912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Process 2는 상기 평가 작업 수행 결과 핸드오버 할만한 후보 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되는 과정으로서 네트워크는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시도한다.
즉, 네트워크는 1920 단계에서 핸드오버 해결책 Ⅲ를 단말로 보낸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의 내용은 하기 표 32와 같다.
HO solution Ⅲ ID
Candidate ID
Frequency
Interactive network id
Service id
Transport stream id
Original network id
Service ID
Provider ID
IP address
IP platform id
Charging (optional)
Coding
Modulation mode
Key
표 32에서 HO solution Ⅲ ID는 핸드오버 해결책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다. Candidate ID는 후보셀이 둘 이상일 때 이들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Frequency는 쌍방향 채널의 주파수이고, Interactive network id는 쌍방향 네트워크 식별자이다. Service_id는 PSI/SI 레벨에서의 서비스 식별자이고, transport stream_id는 전송 스트림 식별자이며, Original network_id는 오리지널 네트워크 식별자이다. Service_ID는 ESG 레벨에서의 서비스 식별자이다. Provider ID는 ESG 제공자,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제공자 등을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IP address는 서비스의 IP 주소이고, IP platform_id는 IP 플랫폼 식별자이다. 요금에 관련된 정보는 선택 사항이며, Charging 부분에 포함된다. Coding type은 서비스의 코딩 타입이며, Modulation mode는 서비스의 변조 모드이다. Key는 서비스의 암호화 키이다.
이후 단말은 1921 단계에서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보낸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의 내용은 하기 표 33과 같다.
Confirm ID
Result ID
표 33에서, Confirm ID는 확인 메시지간의 구분을 위해서 필요한 식별자이며, Result ID는 핸드오버가 성공적인지 아닌지를 알려주는 부분이다.
상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네트워크는 1922 단계에서 방송망에서 쌍방향망으로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며, 단말은 1923 단계에서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Process 3은 상기 평가 수행 결과 핸드오버에 실패한 경우에 수행하는 과정이다.
즉, 네트워크는 1930 단계에서 핸드오버 해결책 Ⅳ를 보내며, 이때 메시지에 는 표 34와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HO solution Ⅳ ID
Failure result
표 34에서 HO solution Ⅳ ID는 핸드오버 해결책 Ⅳ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다. Failure result는 핸드오버 해결책이 없음을 알려주는 부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0을 참조하면, 네트워크는 2000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수신하고, 2001 단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통해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대한 평가 작업을 수행한 후, 2002 단계에서 상기 평가 작업 결과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단말이 핸드오버 할만한 후보 셀들이 있으면 Process 1을 수행하며, 단말이 핸드오버 할만한 후보셀이 없으면 Process 2를 수행한다.
즉, 단말이 핸드오버 할만한 후보 셀이 있으면, 네트워크는 2010 단계에서 단말로 핸드오버 해결책 Ⅱ를 전송하며, 2011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작업을 종료한다.
또한 단말이 핸드오버 할만한 후보 셀들이 있으면, 네트워크는 2020 단계에서 방송망에서 쌍방향 망으로 핸드오버 하여 서비스를 계속 진행할 것인지를 결정하며, 쌍방향 망으로 핸드오버 할 것으로 결정하였으면 2021 단계에서 단말에게 핸드오버 해결책 Ⅲ을 전송하며 2022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2023 단계에서 네트워크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가지고 단말이 쌍방향 망으로의 핸드오버에 동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단말이 동의하였으면 네트워크는 2024 단계에서 방송망에서 쌍방향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에 작업을 종료하며, 단말이 동의하지 않았으면 2024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작업을 종료한다.
또한, 2020 단계에서 네트워크가 쌍방향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으면, 네트워크는 2030 단계에서 단말에게 핸드오버 실패를 알리는 핸드오버 해결책 Ⅳ를 전송한 후에 작업을 종료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1을 참조하면, 단말은 2100 단계에서 단말 조종형 핸드오버를 시도한 후에 2101 단계에서 핸드오버가 성공적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핸드오버가 성공적이면 작업을 종료한다. 또한 판단 결과 핸드오버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2102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보낸 후에 2103 단계에서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2104 단계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핸드오버 해결책이 무엇인지 확인한다.
네트워크로부터 핸드오버 해결책 Ⅱ를 수신하였으면, 단말은 2110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2140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에 작업을 종료한다.
또한 네트워크로부터 핸드오버 해결책 Ⅲ을 수신하였으면, 단말은 2120 단계에서 쌍방향 망으로 이동하여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각각의 판단 결과에 따른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에게 전송한다. 즉, 2121 단계에서 쌍방향으로의 이동에 동의하는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전송하였으면 2140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에 작업을 종료하며, 2122 단계에서 쌍방향 망으로의 이동에 동의하지 않는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전송하였으면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고 작업을 종료한다.
또한 네트워크로부터 핸드오버 해결책 Ⅳ를 수신하였으면, 단말은 2130 단계에서 핸드오버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작업을 종료한다.
<제7 실시예>
도 22a 내지 도 22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의 메시지 교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에 변화가 있는 경우 이 사실을 단말에 알려줌으로써 단말로 하여금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a 내지 도 22b를 참조하면, 네트워크는 2200 단계에서 단말로 네트워크 내부 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changing event 메시지를 보낸다.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35와 같다.
Changing event ID
Changing event type
IP platform ID
Network ID
Service ID
Provider ID
IP address
Transport stream ID
Original network ID
Frequency
New service ID
New Provider ID
New IP address
New IP platform ID
New transport stream ID
New original network ID
New network ID
Coding
Modulation mode
Key
Private data
T1
T2(optional)
Network control indication
표 35에서, changing event ID는 changing event message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Changing event type는 네트워크측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0001: 서비스 끊김, 0010: 서비스 대체, 0011: 서비스 이동, 0100: 서비스 식별자 변경, 0101: newly updated service , 0110~1111: 이후 서비스 유지 등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IP platform ID는 IP 플랫폼 식별정보이고, Network ID는 네트워크 식별정보이며, Service ID는 서비스 식별정보이다. Provider ID는 서비스 공급자, ESG 공급자, 네트워크 공급자 등의 식별정보이며, IP address는 현재 서비스의 IP 주소이다. Transport stream ID는 전송 스트림 식별정보이며, Original network ID는 오리지널 네트워크 식별정보이고, Frequency는 서비스가 전송되는 주파수이다. New service ID는 새로운 서비스 식별자이고, New Provider ID는 새로운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정보이다. New IP address는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IP 어드레스이고, New IP platform ID는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가 이용 가능한 새로운 IP 플랫폼이며, New transport stream ID는 새로운 전송 스트림의 식별정보이다. New original network ID는 새로운 원 네트워크 식별정보이고, New network ID는 서비스가 이용 가능한 새로운 네트워크 정보이다. Coding은 서비스의 코딩 정보이고, Modulation mode는 서비스의 변조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Key는 서비스 암호화 키이다. 또한, Private data는 경우에 따라 설정 가능한 값으로, 예를 들어 서비스 대체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새로운 서비스 및 새로운 서비스 예전 서비스와 관련 여부를 설명할 수 있다. T1은 네트워크에 변경이 언제 일어나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T2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네트워크 변경이 언제 끝날지에 대한 정보이다. Network control indication은 네트워크 조종형 핸드오버가 필수인지 아니면 선택 가능한 것인지를 단말에 알려주기 위한 정보이다.
이후 단말은 2201 단계에서 핸드오버 정보 요청 메시지(Network HO information requirement to network)를 네트워크로 보낸다.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36과 같다.
Terminal HO information requirement to network ID
Frequency requirement
Time available requirement
표 36에서 Terminal HO information requirement to network ID는 핸드오버 정보 요청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Frequency requirement는 기대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주변 주파수의 요구가 포함되어 있다. Time available requirement는 기대되는 서비스를 위한 시간 활용 요구가 포함되어 있다.
이후 네트워크는 2202 단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핸드오버 정보 응답 메시지(Network HO information response to terminal)를 단말로 보낸다.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37과 같다.
Terminal HO information response to network ID
Frequency response
Time available response
표 37에서, Network HO information response to terminal ID는 핸드오버 정보 요청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Frequency response는 기대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주변 주파수가 포함되어 있다. Time available response는 기대되는 서비스를 위한 시간 활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후 단말은 주변 셀을 탐색하고, 상기 주변 셀들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한 후 핸드오버를 시도한다. 상기와 같이 단말 조종형 핸드오버를 시도해서 핸드오버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에, 단말은 2203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HO proposal)를 보낸다.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38과 같다.
HO proposal ID
User ID
Service ID
Cell ID
HO quality requirement (optional)
Time for one signal quality measurement (optional)
Signal measurement result (optional)
표 38에서, HO proposal ID는 핸드오버 제안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User ID는 핸드오버를 신청하는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며, Service ID는 현재 상기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를 구분해주기 위한 식별자이다. Cell ID는 상기 사용자가 속해 있는 셀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HO quality requirement는 선택적인 정보이며, 핸드오버 시 수신 패킷의 손실을 용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네트워크에 알려주는 정보이다. Time for one signal quality measurement는 역시 선택적인 정보이며, 단말이 수신 강도 측정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Signal measurement result는 역시 선택적인 정보이며, 단말이 측정한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 강도 결과이다.
상기 핸드오버 제안을 수신한 이후에, 네트워크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네트워크의 레이아웃(layout)에 의거하여 평가 작업을 수행한 후에 핸드오버 해결책을 작성하며, 상기 해결책 작성 결과에 따라 Process 1 내지 Process 3 중 하나의 과정을 수행한다.
Process 1의 경우는 상기 평가 작업 수행 결과 핸드오프 할만한 후보 셀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수행하는 과정이다. 즉. 네트워크는 2210 단계에서 핸드오버 해결책Ⅱ을 단말로 보낸다. 이 때 핸드오버 해결책Ⅱ에 포함되는 정보는 하기 표 39와 같다.
HO solution Ⅱ ID
Candidate 1
Candidate 2
Candidate i
Charging (optional)
표 39에서, HO solution Ⅱ ID는 핸드오버 해결책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다. Candidate 1부터 Candidate i는 핸드오버가 가능한 후보군을 알려주는 부분으로서, 주파수 정보를 알려주는 주파수 식별자와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을 알려주는 시간 식별자를 포함한다. 요금에 관련된 정보는 선택 사항이며, Charging 부분에 포함된다.
이후 단말은 2211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확인 메시지를 보낸다. 상기 확인 메시지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기 표 40와 같다.
Confirm ID
Result ID
표 40에서, Confirm ID는 확인 메시지간의 구분을 위해서 필요한 식별자이며, Result ID는 핸드오버가 성공적인지 아닌지를 알려주는 부분이다.
상기 확인 메시지를 보낸 이후에 단말은 2212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Process 2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만족할만한 후보 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네트워크는 가능한 실패의 원인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한다. 그리고 전송 성능을 개선한 이후에 상기 단말에게 측정 결과를 다시 보낼 것을 요청한다.
즉 네트워크는 2220 단계에서 상기 단말에게 핸드오버 해결책 Ⅴ-1(H/O solution Ⅴ-1)을 보낸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의 내용은 하기 표 41과 같다.
HO solution V-1 ID
Candidate ID
Private data
Service_id
Transport stream_id
Original network_id
Cell_id
Network_id
Frequency
Service_ID
Provider ID
IP address
IP platform_id
Available time
Charging(optional)
Coding
Modulation mode
Key
표 41에서, HO solutionⅤ-1 ID은 핸드오버 해결책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다. Candidate ID는 핸드오버 가능한 후보 셀들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고, Private data는 경우에 따라 설정 가능한 값으로, 예를 들어 서비스 대체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새로운 서비스 및 새로운 서비스 예전 서비스와 관련 여부를 설명할 수 있다. Service id는 PSI/SI 레벨에서의 서비스 식별자이고, Transport stream id는 전송 스트림 식별자이며, Original network id는 오리지널 네트워크 식별자이다. Cell id는 현재 단말이 위치한 셀의 식별자이고, Network id는 네트워크 식별자이며, Frequency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주파수 정보이다. Service ID는 ESG 레벨에서의 서비스 식별자이고, Provider ID는 서비스 공급자, ESG 공급자, 네트워크 공급자 등의 식별정보이며, IP address는 현재 서비스의 IP 주소이다. Transport stream ID는 전송 스트림 식별정보이며, Avalable time은 단말이 핸드오버 가능한 시간이며, Charging은 선택적인 정보로서 과금 관련 정보를 나타낸다. Coding은 서비스의 코딩 정보이고, Modulation mode는 서비스의 변조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Key는 서비스 암호화 키이다.
이후 단말은 2221 단계에서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보낸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의 내용은 하기 표 42와 같다.
Confirm ID
Result ID
표 42에서 Confirm ID는 확인 메시지간의 구분을 위해서 필요한 식별자이며, Result ID는 핸드오버가 성공적인지 아닌지를 알려주는 부분이다.
만일 방송망을 통한 서비스 제공이 여의치 않은 경우에는, 네트워크는 2222 단계에서 핸드오버 해결책Ⅴ-2(H/O solution Ⅴ-2)를 단말로 보낸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의 내용은 하기 표 43과 같다.
HO solution V-2 ID
Candidate ID
Frequency
Interactive network_id
Service_id
Transport stream_id
Original network_id
Service_ID
Provider ID
IP address
IP platform_id
Charging(optional)
Coding
Modulation mode
Key
표 43에서 HO solutionⅤ-2 ID 핸드오버 해결책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다. Candidate ID는 핸드오버 가능한 후보 셀들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고, Frequency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주파수 정보이다. Interactive network_id는 쌍방향 네트워크 식별자이고, Service id는 PSI/SI 레벨에서의 서비스 식별자이고, Transport stream id는 전송 스트림 식별자이며, Original network id는 오리지널 네트워크 식별자이다. Service ID는 ESG 레벨에서의 서비스 식별자이고, Provider ID는 서비스 공급자, ESG 공급자, 네트워크 공급자 등의 식별정보이며, IP address는 현재 서비스의 IP 주소이다. Charging은 선택적인 정보로서 과금 관련 정보를 나타낸다. Coding은 서비스의 코딩 정보이고, Modulation mode는 서비스의 변조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Key는 서비스 암호화 키이다.
이후 단말은 2223 단계에서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보내며,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의 내용은 하기 표 44와 같다.
Confirm ID
Result ID
표 44에서 Confirm ID는 확인 메시지간의 구분을 위해서 필요한 식별자이며, Result ID는 핸드오버가 성공적인지 아닌지를 알려주는 부분이다.
상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2224 단계에서 네트워크는 방송망에서 쌍방향망으로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며, 2225 단계에서 단말은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Process 3은 핸드오버에 실패한 경우에 수행하는 절차이다. 즉, 네트워크는 2230 단계에서 단말에게 핸드오버 해결책 Ⅳ(H/O solution Ⅳ)를 보내며, 이때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상기 표 45와 같다.
HO solution Ⅳ ID
Candidate 1
Candidate 2
Candidate i
Charging (optional)
표 45에서 HO solution Ⅳ는 핸드오버 해결책 Ⅳ들 간의 구분을 위한 식별자이다. Failure result는 핸드오버 해결책이 없음을 알려주는 부분이다.
도 23a 내지 도 23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3a 내지 도 23b를 참조하면, 네트워크는 2300 단계에서 단말로 변화 이벤트 정보를 보내고, 2301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제안과 측정 결과를 받는다. 이후 상기 네트워크는 2302 단계에서 측정 결과와 네트워크 레이아웃에 의거해 해결책을 마련한다.
그리고 2303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만족할 만한 후보 셀이 있는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 만족할 만한 후보 셀이 있으면 2310 및 2311 단계에서 Process 1을 수행한다. 즉, 네트워크는 2310 단계에서 단말로 핸드오버 해결책 Ⅱ를 보내고, 2311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받은 후 수행을 종료한다.
한편, 2303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후보 셀이 없다면 네트워크는 Process 2를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네트워크는 2320 단계에서 서비스를 유지하면서 만족할 만한 후보가 없는 이유를 분석하며 2321 단계에서 상기 분석한 이유를 확인한다. 이때, 특정 지역의 단말들로부터 전송된 수신 신호 측정 결과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그 지역에 전파가 도달하기 힘든 것으로 판단한다. 확인 결과 단말이 방송망 서비스 영역 내에 있으면서 방송망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등의 이유로 인하여 출력 신호의 전력을 높이는 등의 네트워크의 성능의 개선이 필요하다면, 네트워크는 2322 단계에서 상기 단말로 핸드오버 해결책 Ⅴ-1을 보내고 2323 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받는다. 그리고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에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성공하였으면 수행을 종료한다. 반면에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에 실패하였으면 후술하는 2325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2321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상기 단말이 방송망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서 생긴 일이면, 네트워크는 23625 단계에서 쌍방향 망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2325 단계에서 쌍방향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결정하였으면, 네트워크는 2326 단계에서 단말로 핸드오버 해결 메시지 Ⅴ-2를 보내고 23627 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확인 메시지에 따라 각각 다른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네트워크는 2328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쌍방향 망을 통한 지속적 서비스에 찬성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면, 네트워크는 2329 단계에서 쌍방향 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수행을 종료한다. 반면에 상기 2328 단계에서 단말이 쌍방향 망을 통한 서비스에 동의하지 않았으면, 상기 네트워크는 쌍방향 망으로 핸드오버 하지 않고 수행을 종료한다.
한편, 2325 단계에서 쌍방향 망을 통한 핸드오버를 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에 네트워크는 Process 3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네트워크는 2330 단계에서 핸드오버 해결 메시지 Ⅳ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실행을 종료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4를 참조하면, 단말은 2400 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 변화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2401 단계에서 단말 조종형 핸드오버를 실행한 후 2402 단계에서 실행 결과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핸드오버가 성공적이면 작업을 종료하며, 핸드오버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2403 단계로 진행한다.
즉, 단말은 2403 단계에서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측정 결과를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에 실어서 네트워크로 보내고, 2404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2405 단계에서 네트워크로부터의 응답 메시지에 어느 해결책이 포함되어 있는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각각 다른 작동을 하게 된다.
즉, 네트워크로부터 핸드오버 해결책 Ⅱ를 수신하였으면, 단말은 2410 단계에서 네트워크로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내고, 2450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에 수행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2405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핸드오버 해결책 Ⅴ-1이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은 2420 단계에서 수신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2421 단계에서 핸드오버가 성공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2422 단계 및 2423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로 판단 결과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낸다.
즉, 2421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핸드오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면 2423 단계에서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낸 후에 2450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수행을 종료한다. 반면에 2421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핸드오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단말은 2422 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실패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내고,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기 2404 단계로 돌아간다.
한편, 상기 2405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핸드오버 해결책 Ⅴ-2가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은 2430 단계에서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2431 단계 및 2432 단계에서 상기 결정 결과에 따른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즉, 2430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로 결정하였으면 단말은 2431 단계에서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한 후 2450 단계에서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수행을 종료한다. 반면에, 2430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으면 상기 단말은 2432 단계에서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낸 후에 수행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2405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핸드오버 해결책 Ⅳ이 포함되어 있으면 2430 단계에서 단말은 핸드오버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수행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가 핸드오버를 조종하는 방식을 도입하여,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서비스를 시청하면서 이동하여 새로운 셀 혹은 새로운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경우에도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쌍방향 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서비스를 시청하면서 이동함으로써 방송망의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에도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네트워크가 단말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필수적인 혹은 부가적인 정보를 단말에게 전달한다. 이때 네트워크는 단말에게 핸드오버를 수행해서 옮겨갈 셀을 지정해주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도 한다. 따라서 사용자 자신이 선택한 서비스를 시청하면서 네트워크 측에 변화가 생긴 경우에도, 단말이 종래 방식과 강화된 방식을 이용해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강화된 핸드오버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오버가 필요한 상황이 되면, 우선적으로 단말 조종형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만일 핸드오버에 실패할 경우에는 다음으로 네트워크 조종형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쌍방향 망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서비스를 시청하면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단말이 종래 방식과 강화된 방식을 이용해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강화된 핸드오버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가 단말의 핸드오버 수행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 할 후보 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방송망을 벗어난 경우에, 쌍방향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방송망에서 상기 쌍방향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주변 셀들에 대한 수신신호 강도 측정 세기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는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토대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핸드오버 시도에 실패한 경우에, 현재 셀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강도가 약해지면 상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제안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안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 메시지에 핸드오버 가능한 후보 셀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 가능한 후보 셀들 중 핸드오버에 적합한 후보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요청하는 서비스가 쌍방향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됨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쌍방향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주변 셀들에 대한 수신신호 강도 측정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가 단말의 핸드오버 수행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단말로부터 주변 셀들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 강도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레이아웃을 토대로 상기 핸드오버에 대한 해결책을 수립하는 과정과,
    상기 수립한 해결책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는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측정한 주변 셀들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핸드오버에 대한 해결책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해결책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한 해결책에 핸드오버에 적합한 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적합한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해결책에 핸드오버 할 후보 셀들에 대한 신호 세기 재측정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후보 셀들에 대한 신호 세기를 재측정하여 핸드오버에 적합한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해결책에 쌍방향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쌍방향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사이에,
    상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토대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핸드오버 시도에 실패한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수행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 할 후보 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며, 상기 단말이 방송망을 벗어난 경우에, 쌍방향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방송망에서 상기 쌍방향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주변 셀들에 대한 수신신호 강도 측정 세기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는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현재 셀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강도가 약해지면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안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핸드오버 가능한 후보 셀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 가능한 후보 셀들 중 핸드오버에 적합한 후보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상기 응답 메시지에 상기 단말이 요청하는 서비스가 쌍방향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됨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쌍방향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상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주변 셀들에 대한 수신신호 강도 측정 세기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전송하기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토대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며,
    상기 핸드오버 시도에 실패한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수행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주변 셀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 강도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레이아웃을 토대로 상기 핸드오버에 대한 해결책을 수립하며, 상기 수립한 해결책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는 핸드오버에 실패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측정한 주변 셀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핸드오버에 대한 해결책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해결책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수신한 해결책에 핸드오버에 적합한 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적합한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수신한 해결책에 핸드오버 할 후보 셀들에 대한 신호 세기 재측정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후보 셀들에 대한 신호 세기를 재측정하여 핸드오버에 적합한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상기 수신한 해결책에 쌍방향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단말이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쌍방향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전송하기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토대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며,
    상기 핸드오버 시도에 실패한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070013743A 2006-02-09 2007-02-09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100922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762 2006-02-09
KR20060012762 2006-02-09
KR20060014862 2006-02-15
KR1020060014862 2006-02-15
KR1020060017191 2006-02-22
KR20060017191 2006-02-22
KR1020060092847A KR20070108324A (ko) 2006-02-09 2006-09-25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1020060092847 2006-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113A KR20070081113A (ko) 2007-08-14
KR100922967B1 true KR100922967B1 (ko) 2009-10-22

Family

ID=381104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847A KR20070108324A (ko) 2006-02-09 2006-09-25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1020070013743A KR100922967B1 (ko) 2006-02-09 2007-02-09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847A KR20070108324A (ko) 2006-02-09 2006-09-25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09051A1 (ko)
EP (1) EP1819187A1 (ko)
KR (2) KR20070108324A (ko)
CN (1) CN101385257A (ko)
WO (1) WO20070918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882B1 (ko) * 2005-01-25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에 대한 통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RU2407228C2 (ru) 2006-06-20 2010-12-20 Интердиджитал Текнолоджи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а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передачи обслуживания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KR100957390B1 (ko) * 2007-01-19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이동성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370909B1 (ko) * 2007-10-01 2014-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드오버시 신속한 상향 데이터 전송방법
GB2455065A (en) * 2007-11-14 2009-06-03 King S College London Handover of broadcast services between networks
KR101611168B1 (ko) * 2008-10-09 201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과정에서 핸드오버 또는 로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50463B1 (ko) * 2008-12-30 2015-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드오버 방법
EP2428061A2 (en) * 2009-05-08 2012-03-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obility management with downlink-only wireless networks
HUE057206T2 (hu) 2009-06-16 2022-04-28 Blackberry Ltd Eljárás és berendezés áramkör-kapcsolt visszakapcsolásra
WO2010146464A1 (en) 2009-06-16 2010-12-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accessing a service unavailable through a network cell
CA2765545C (en) 2009-06-16 2016-05-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accessing a service unavailable through a network cell
EP2465082A4 (en) 2009-08-14 2015-04-01 Payfone Inc SYSTEM AND METHOD FOR PAYING A TRADER USING A CELL PHONE ACCOUNT
DE102010040589A1 (de) 2009-09-11 2011-04-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erfahren zur Übergabe zwischen einem Kommunikationsnetz und einem Rundfunknetz zur Bereitstellung von Rundfunkinhalt, Kommunikationsnetz-Übergabesteuergerät, und Rundfunknetz-Übergabesteuergerät
US8599796B2 (en) 2010-01-08 2013-12-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 and broadcast network
JP2015506624A (ja) * 2012-01-10 2015-03-02 ノキア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ンド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要求の取り扱い
ES2816949T3 (es) * 2012-11-06 2021-04-06 Firetide Inc Itinerancia inalámbrica consciente del contexto
US9906954B2 (en) * 2014-10-20 2018-02-27 Payfone, Inc. Identity authentication
US10304042B2 (en) 2014-11-06 2019-05-28 Early Warning Services, Llc Location-based authentication of transactions conducted using mobile devices
US10980025B2 (en) * 2019-01-31 2021-04-13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quency transition management in a quasi-licensed wireless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108A (ko) * 2001-03-23 2002-10-04 엠큐브웍스(주)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27971A (ko) * 2001-08-20 2004-04-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방송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9253A (ko) * 2003-11-21 2005-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주파수 및 프로그램 자동전환 장치 및 그 방법
JP2005277727A (ja) 2004-03-24 2005-10-06 Honda Motor Co Ltd 移動体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情報センタ、及び移動体
KR20060011226A (ko) * 2004-07-29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및 방송 서비스를 위한핸드오버 지원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00662A (fi) * 2000-03-21 2001-09-22 Nokia Oyj Solunvaihto useaa välitystekniikkaa tukevassa verkossa
US7917921B2 (en) * 2001-09-19 2011-03-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 of an interactive application
US6977914B2 (en) * 2002-12-23 2005-12-20 Nokia Corporation Broadcast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US7260074B2 (en) * 2002-12-31 2007-08-21 Nokia Corporation Handover decision for IP services broadcasted on a DVB network
CN1788513B (zh) * 2003-06-13 2010-05-05 诺基亚公司 用于控制蜂窝终端的切换的方法、系统、网络实体和最终用户终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108A (ko) * 2001-03-23 2002-10-04 엠큐브웍스(주)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27971A (ko) * 2001-08-20 2004-04-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방송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9253A (ko) * 2003-11-21 2005-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주파수 및 프로그램 자동전환 장치 및 그 방법
JP2005277727A (ja) 2004-03-24 2005-10-06 Honda Motor Co Ltd 移動体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情報センタ、及び移動体
KR20060011226A (ko) * 2004-07-29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및 방송 서비스를 위한핸드오버 지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324A (ko) 2007-11-09
US20070209051A1 (en) 2007-09-06
WO2007091868A1 (en) 2007-08-16
CN101385257A (zh) 2009-03-11
EP1819187A1 (en) 2007-08-15
KR20070081113A (ko) 200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967B1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101340720B1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8095137B2 (en) Method, system, network entity, and end-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a handover of a cellular terminal
KR100871236B1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3807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1674531B (zh) 递交服务至目标基站的方法、目标基站以及移动装置
US200701848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roaming and service roaming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N101483815A (zh) 提供网络间漫游的广播/组播业务系统和方法
US8605681B2 (en) Method of handover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 and broadcast network for providing broadcast content, communication network handover controller, and broadcast network handover controller
KR20070109800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로밍방법 및 장치
KR20090001304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지원 장치 및 방법
US20110283327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handover between mobile tv networks
KR100856274B1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인터렉티브 채널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US200803169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Handover Using an Interactive Channel in a Dvb-H Cbms System
CN101404552B (zh) 多媒体广播业务的控制方法、系统及终端
US200702834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encrypted electronic service guide in dvb-h cbms system
KR20080013712A (ko) 셀의 신호 품질 비트맵 추정 방법 및 장치
CN102098624B (zh) 多媒体广播业务的控制方法及终端
KR101002850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변화 정보의 송수신 방법및 장치
KR20070075475A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과 그시스템에서의 능동적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KR100728826B1 (ko) 셀룰라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네트워크 개체, 및 최종 사용자 단말
KR101727295B1 (ko) 방송망과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 및 핸드오버 제어장치
CN101371522A (zh) 数字广播系统中用于用户漫游和服务漫游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