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071A -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071A
KR20070075071A KR1020060003394A KR20060003394A KR20070075071A KR 20070075071 A KR20070075071 A KR 20070075071A KR 1020060003394 A KR1020060003394 A KR 1020060003394A KR 20060003394 A KR20060003394 A KR 20060003394A KR 20070075071 A KR20070075071 A KR 20070075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way
vegetation
vegetation block
inclined surface
inclina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4990B1 (ko
Inventor
배흥섭
Original Assignee
배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흥섭 filed Critical 배흥섭
Priority to KR102006000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990B1/ko
Publication of KR2007007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조골재를 시멘트와 물 및 혼합제와 혼합하여 투수성을 갖는 정사각의 평판 형상이고,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서로 대응하는 일측면은 상단부로부터 일정한 경사각으로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제1 경사면을 이루며, 서로 대응하는 타측면은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경사각으로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는 제2 경사면을 이루는 식생 블록을 이용하여 수로의 바닥면과 양측면을 평탄화하면서 상기 양측면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평탄화하고,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서 식생 블록 간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끼리 면밀착되도록 하면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바닥면을 커버하도록 하며,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 깔린 다수의 식생 블록 중 상기 수로의 바닥면과 경사면 사이의 경계부에서 상기 경사면에는 바닥면측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식생 블록의 경사면에 면밀착되도록 식생 블록들을 연결한 후 상기 수로의 바닥면과 경사면 사이의 경계부에서 경사면에 구비된 식생 블록들의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에 다른 식생 블록들의 제2 경사면과 제1 경사면이 면밀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경사면의 천단부에까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생태 수로를 시공함으로써 생태계 보존형의 자연 친화적인 수로 및 보다 경제적이고 편리한 유지 관리가 가능한 수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수로, 생태, 식생 블록, 생태 보존

Description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Vegetation block using on watercourse and watercours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블록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수로의 바닥면에 식생 블록을 설치하는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블록의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의 경사면에 식생 블록을 설치하는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식생 블록
13 : 제1 경사면
14 : 제2 경사면
20 : 수로
21 : 바닥면
22 : 경사면
23 : 천단부
본 발명은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맞춤 연결에 의해서 친환경적인 수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또는 농수로나 도로변 등의 개수로(open channel)와 같은 크고 작은 각종 수로들은 자연 상태대로 유지시키는 것이 마땅하지만 기후 및 강수량에 따른 수량의 급격한 변화와 토사의 유실에 의해서 수로의 변형 또는 손상이 초래되고 있어 현재는 이러한 폐단을 방지시키고자 인공적인 구조물이 마련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인공적인 구조물로서 주로 농수로나 개수로 등에는 콘크리트 벤치 플륨관이나 플라스틱관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인공적인 구조물은 수로의 토양을 안정시키면서 경사면을 보호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기는 하나, 인공적인 구조물들은 대부분 식물이 생존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경사면에 형성한 인공 구조물들은 수중 생물들이나 곤충 및 동물들이 타고 오르기에 너무 미끄러워 이동이 불가능하다.
한편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대단히 높아지면서 보다 쾌적하고 자연친화적인 경관을 고려한 환경이 더욱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반면 현실적으로는 이들 인공적인 구조물들에 의해 토양이 숨을 쉬거나 식물 생육이 불가능하게 되고, 습지나 늪지 등에서는 시공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시공 부위가 벌어지거나 들뜨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면서 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많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토양을 숨을 쉴 수 있도록 하면서 식물의 생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물 및 곤충의 이동이 용이토록 하여 자연 친화적인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골재를 시멘트와 물 및 혼합제와 혼합하여 투수성을 갖는 정사각의 평판 형상이고,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서로 대응하는 일측면은 상단부로부터 일정한 경사각으로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제1 경사면을 이루며, 서로 대응하는 타측면은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경사각으로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는 제2 경사면을 이루는 구성으로 수로용 식생 블록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골재를 시멘트와 물 및 혼합제와 혼합하여 투수성을 갖는 정사각의 평판 형상이고,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서로 대응하는 일측면은 상단부로부터 일정한 경사각으로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제1 경사면을 이루며, 서로 대응하는 타측면은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경사각으로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는 제2 경사면을 이루는 형상으로 수로용 식생 블록을 구비하는 단계와; 수로의 바닥면과 양측면을 평탄화하면서 상기 양측면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평탄화하는 단계와;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서 식생 블록 간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끼리 면밀착되도록 하면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바닥면을 커버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 깔린 다수의 식생 블록 중 상기 수로의 바닥면과 경사면 사이의 경계부에서 상기 경사면에는 바닥면측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식생 블록의 경사면에 면밀착되도록 식생 블록들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수로의 바닥면과 경사면 사이의 경계부에서 경사면에 구비된 식생 블록들의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에 다른 식생 블록들의 제2 경사면과 제1 경사면이 면밀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경사면의 천단부에까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수행되도록 하는 수로용 식생 블록을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생 블록(10)은 조골재와 시멘트와 물 및 혼합제를 혼합해서 성형하게 되는 구성이다.
즉 조골재와 시멘트와 물 및 혼합제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고, 이들을 일정 형상의 형틀에 투입한 후 진동을 가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압축시켜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식생 블록(10)을 성형할 때 물과 시멘트는 통상 1:4의 비율로 혼합되도록 하고, 시멘트의 충전율은 약 2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성형되는 식생 블록(10)은 공극율이 15~20%로 이루어지게 하여 투수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식생 블록(10)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정사각의 형상에서 일정한 길이를 모따기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평판 플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식생 블록(10)은 상부면(11)과 하부면(12)을 잇는 사방의 측면 중 서로 대응하는 일측면이 상단부로부터 일정한 경사각으로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하여 제1 경사면(13)을 이루고, 서로 대응하는 타측면은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경사각으로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하여 제2 경사면(14)을 이루게 한다.
이렇게 서로 근접한 측면끼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면 경사면끼리 연결되는 모서리 부위가 자연적으로 모따기가 되는 형상이 된다.
이때 제1 경사면(13)과 제2 경사면(14)은 공히 45°~ 60°의 경사각으로 형 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식생 블록(10)의 상부면(11)에는 소정의 깊이로 하향 요입되도록 하여 식재홈(15)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식생 블록(10)은 사실 상부면(11)과 하부면(12)의 차이는 없지만 식재홈(15)이 형성된 부분을 상부면(11)으로 하며, 식재홈(15)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상부면(11)에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생 블록(10)은 상부면(11)과 하부면(12)의 구분없이 동일하나, 단지 식재홈(15)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그렇지 않은 면간 차이에 의해서 구분할 뿐이다.
이와 같은 식생 블록(10)은 상단부가 돌출된 제1 경사면(13)과 그와 반대로 하단부가 돌출된 제2 경사면(14)이 서로 맞물리도록 하는 방식에 의해 연결하며, 이러한 결합은 동일한 형상의 식생 블록(10)을 방향만 90°각도로 변경함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생 블록(10)은 그 크기가 적용하고자 하는 수로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서 구비되도록 한다.
즉 비교적 큰 하천이나 호수의 법면에는 비교적 큰 사이즈의 식생 블록(10)을 사용하고, 폭이 좁은 농수로나 길가의 개수로 등에는 작은 사이즈의 식생 블록(10)을 사용하도록 한다.
식생 블록(10)은 도 4에서와 같이 식재홈(15)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13)과 제2 경사면(14)끼리 면간 밀착되도록 하면서 연결한다.
다시 말해 하나의 식생 블록(10)을 기준으로 이 식생 블록(10)의 측면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면이 밀착되도록 하면서 연결하고, 이러한 경사면(13)(14)간은 결국 상하로 포개어지는 형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다만 식생 블록(10)간 연결은 제1 경사면(13)과 제2 경사면(14)간 상하로 포개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 경사면(13)에는 제2 경사면(14)이, 제2 경사면(14)에는 제1 경사면(13)이 면밀착되게 함으로써 사방에서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제1 경사면(13)은 제2 경사면(14)의 상부에 얹혀지게 되는데 반해 제2 경사면(14)은 제1 경사면(13)의 하부에 끼워지면서 식생 블록(10)의 사방으로부터 또 다른 식생 블록(10)들이 결합되도록 하면 그 중앙의 식생 블록(10)은 결코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측면 중 동일하게 경사진 제2 경사면(14)이 다른 식생 블록(10)들의 제1 경사면(13)에 의해 눌려지는 형상으로 결합되므로 다른 식생 블록(10)들에 둘러싸여 안전하게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식생 블록(10)들을 연결하게 되면 매트릭스 형상의 배열 형상을 가지면서 일정 면적을 커버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식생 블록(10)들을 연결하다보면 제2 경사면(14)의 단부는 도면에서와 같이 서로 한 곳에서 교차되는 부위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교차되는 부위에서 또한 서로 겹쳐지는 형상이므로 약간의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가 있기는 하나 이 교차되는 부위에 의해서도 바닥면이 완전 커버되도록 한다.
식생 블록(10)은 이렇게 평편한 바닥에서도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로의 경사면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다.
즉 이들 식생 블록(10)을 이용하여 수로를 형성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해 수로는 우선 식생 블록(10)을 깔 수 있도록 평탄화하는 작업을 선행하여야 한다.
이때 수로의 바닥면은 단순히 평탄화시키기만 하면 되지만 수로의 측면은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해야만 한다.
수로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물이 채워지고 있고, 이때 측면은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수로의 측면 경사각은 지나치게 가파르면 수로에 서식하는 각종 곤충과 같이 매우 작은 생물들이 측면을 타고 오를 수가 없는 문제가 있으므로 보통 45~60°의 경사각을 갖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로를 평탄화작업에 의해 평탄화시킨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식생 블록(10)을 이용하여 수로 정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로의 바닥면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식생 블록(10)을 전술한 방식대로 제1 경사면(13)과 제2 경사면(14)간 면밀착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한다.
수로(20)의 바닥면(21)이 식생 블록(10)에 의해 커버될 때 식생 블록(10)은 반드시 식재홈(15)이 형성된 면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수로(20)의 바닥면(21)에서 식생 블록(10)들은 도 6에서와 같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하며, 다만 바닥면(21)의 폭 길이에 따라서 식생 블록(10)의 중앙에서의 위치하는 형상이 다를 수가 있다.
바닥면(21)의 시공이 완료되면 도 7에서와 같이 바닥면(21)과 경사면(22)의 경계를 이루는 부위에는 바닥면(21) 양측 단부의 식생 블록(10)에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하면서 경사면(22)을 따라 식생 블록(10)이 연결되도록 한다.
수로(20)의 경사면(22)은 통상 식생 블록(10)의 경사면(13)(14)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평탄화시키도록 하며, 이러한 경사면(22)으로 식생 블록(10)을 깔되 바닥면(21)측 식생 블록(10)의 경사면과 상호 면밀착되도록 하면서 연결되도록 한다.
이렇게 수로(20)의 바닥면(21)과 경사면(22)간 경계 부분을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되도록 한 다음 경사면(22)에서는 식생 블록(10)들을 바닥면(21)에서와 동일한 방식 즉 도 6에서와 같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한다.
한편 수로(20)의 양측 경사면(22) 상단부측 천단부(23)는 다시 수평되게 평탄화시키고, 계속해서 식생 블록(10)에 의해 연결하여 커버하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으나, 도 8에서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키거나 일반적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천단부(23)를 커버되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수로(20)는 투수성을 갖는 V자 형상의 생태 수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한 생태 수로에서 식생 블록(10)에 형성한 식재홈(15)에는 각각 흙을 채우는 동시에 다양한 종류의 수생 식물(30)이 식재되도록 하고, 특히 수 면 상측의 식생 블록(10)에는 식재홈(15)에 육상 식물(40)을 식재하도록 하여 자연 친화적인 환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생 블록(10)을 이용한 생태 수로는 식생 블록(10)의 경사진 측면간 서로 면밀착되도록 연결하기만 하면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도 지면으로부터 식생 블록(10)들을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으므로 시공이 대단히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생태 수로는 자연 친화적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환경 친화적인 수로 관리가 용이하고, 특히 본 발명의 식생 블록(10)은 미세한 크기의 곤충이나 비교적 작은 크기의 동물들이 수로(20)의 경사면(22)을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태계의 안정된 보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함께 습지 및 늪지와 같은 물이 고여있는 농수로 등에서는 수분을 흡수하는 식생 블록(10)에 의해 지면과의 달라 붙는 강도가 더욱 강해지면서 지면을 보다 안정화시키게 되는 동시에 생태 수로의 변형이나 이탈을 방지시켜 안정된 수로 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단한 구성의 식생 블록(10)에 의해 이 식생 블록(10)들을 매트릭스 형태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 생태 수로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태 수로는 동물이나 곤충 등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각 식생 블록에 다양한 수생 식물이나 육상 식물이 식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자연 친화적인 생태 수로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단순히 보도 블록을 깔 듯이 측면간 면밀착에 의해 연결하면서도 들뜨거나 상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보다 경제적인 유지 관리가 가능토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조골재를 시멘트와 물 및 혼합제와 혼합하여 투수성을 갖는 정사각의 평판 형상이고,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서로 대응하는 일측면은 상단부로부터 일정한 경사각으로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제1 경사면을 이루며, 서로 대응하는 타측면은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경사각으로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는 제2 경사면을 이루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에는 소정의 깊이와 크기로 하향 요입되게 식재홈을 형성하는 식생 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은 45°~60°의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식생 블록.
  4. 조골재를 시멘트와 물 및 혼합제와 혼합하여 투수성을 갖는 정사각의 평판 형상이고,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서로 대응하는 일측면은 상단부로부터 일정한 경사각으로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제1 경사면을 이루며, 서로 대응하는 타측 면은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경사각으로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는 제2 경사면을 이루는 형상으로 수로용 식생 블록을 구비하는 단계와;
    수로의 바닥면과 양측면을 평탄화하면서 상기 양측면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평탄화하는 단계와;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서 식생 블록 간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끼리 면밀착되도록 하면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바닥면을 커버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 깔린 다수의 식생 블록 중 상기 수로의 바닥면과 경사면 사이의 경계부에서 상기 경사면에는 바닥면측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식생 블록의 경사면에 면밀착되도록 식생 블록들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수로의 바닥면과 경사면 사이의 경계부에서 경사면에 구비된 식생 블록들의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에 다른 식생 블록들의 제2 경사면과 제1 경사면이 면밀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경사면의 천단부에까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단계;
    로서 수행되도록 하는 수로용 식생 블록을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KR1020060003394A 2006-01-12 2006-01-12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KR100744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394A KR100744990B1 (ko) 2006-01-12 2006-01-12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394A KR100744990B1 (ko) 2006-01-12 2006-01-12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953U Division KR200413509Y1 (ko) 2006-01-12 2006-01-12 수로용 식생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071A true KR20070075071A (ko) 2007-07-18
KR100744990B1 KR100744990B1 (ko) 2007-08-02

Family

ID=3850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394A KR100744990B1 (ko) 2006-01-12 2006-01-12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9053A1 (ko) * 2018-04-25 2019-10-31 어스그린코리아(주) 조립식 식생 수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237B1 (ko) 2010-12-09 2011-07-08 니켄 코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해저 마운드의 코너피복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9053A1 (ko) * 2018-04-25 2019-10-31 어스그린코리아(주) 조립식 식생 수로
KR20190123903A (ko) * 2018-04-25 2019-11-04 어스그린코리아(주) 조립식 식생 수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990B1 (ko)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5965B2 (en) Retaining wall blocks and retaining walls constructed from such blocks
MX2011008726A (es) Bloque modular.
KR20120049106A (ko) 조립식 호안블록
KR101619285B1 (ko)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KR100744990B1 (ko)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KR200413509Y1 (ko) 수로용 식생 블록
JP2006169957A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及び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部品
KR100627039B1 (ko) 화분형태 식생축조호안블록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JP3791692B1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0236283Y1 (ko) 말뚝지주형 식생대
KR20060009040A (ko) 자연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사용하는 자연형 식생블록과옹벽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목 공사공법
KR100710493B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70039017A (ko) 재해를 방지하여 주는 작용과 식물들이 용이하게 자랄 수있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호안공법
KR200390373Y1 (ko) 친환경 블록
KR100663257B1 (ko) 옹벽용 블록
KR200464296Y1 (ko) 매트 호안블럭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KR20130021961A (ko) 식생블록
KR200283005Y1 (ko) 도로 비탈면의 유실방지용 합성골판 콘크리트블록 구조
KR100954606B1 (ko) 건축 및 토목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49875B1 (ko) 속채움블록
CN207553121U (zh) 一种边坡支撑构件
KR200203385Y1 (ko) 식생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