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002A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002A
KR20070075002A KR1020060003244A KR20060003244A KR20070075002A KR 20070075002 A KR20070075002 A KR 20070075002A KR 1020060003244 A KR1020060003244 A KR 1020060003244A KR 20060003244 A KR20060003244 A KR 20060003244A KR 20070075002 A KR20070075002 A KR 20070075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electric
reflective electrode
pixe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4789B1 (ko
Inventor
이홍석
이수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3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789B1/ko
Priority to US11/542,263 priority patent/US20070159471A1/en
Priority to JP2006335713A priority patent/JP2007188067A/ja
Priority to EP06126562A priority patent/EP1808728A1/en
Publication of KR20070075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variable-reflection or variable-refraction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15 - G02F1/169
    • G02F1/19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variable-reflection or variable-refraction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15 - G02F1/169 by using frustrated refl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8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2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 G02F2203/026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attenuated or frustrated internal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10Function characteristic plasm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34Colour display without the use of colour mosaic fil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floor heating

Abstract

표시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개시한다. 영상표시장치는 프리즘 및 프리즘의 일면에 형성된 화소부를 구비한다. 화소부는 반사 전극 및 반사 전극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유전체를 구비한다. 유전체는 전압이 인가되면 반사 전극과 접촉되고,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굴절율이 변경된다. 여기서, 반사 전극은 유전체와 접촉된 부분의 굴절율이 변경되고, 이로써, 반사 전극은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반사율이 변경된다. 특히, 화소부는 반사 전극을 조절하여 표면플라즈몬공명을 조절할 수 있고, 표면플라즈몬공명을 이용하여 블랙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는 블랙 모드에서의 빛샘 현상을 방지하여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면플라즈몬, 여기, 공명, 표면플라즈몬파, 유전체, 굴절율, 대비비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Picture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리즘 및 화소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소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소부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금속 박막의 두께에 대응하여 입사광의 반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유전체의 굴절율에 대응하여 입사광의 반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화소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9에 도시된 화소부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절단선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광 제어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0, 2000, 3000 : 영상표시장치 100 : 광 공급부
200 : 편광부 300 : 프리즘
400, 700, 800 : 화소부 500 : 전원 모듈
600 : 광학부재 3100 : 광도파로 패널
3200 : 회절 격자부 3300, 3600 : 광 제어부
3400 : 스캔부 3500 : 스크린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학 프로젝터는 소형의 영상을 광학 수단을 이용하여 대화면으로 구현하기 위한 영상표시장치이다. 광학 프로젝터는 영상을 구현하는 소자의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프로젝션, LCD(Liquid Crystal Display) 프로젝션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션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CRT 프로젝션 방식은 소형 고화질 브라운관을 거울에 반사시켜 스크린 영상이 맺히게 하는 방식으로서 가장 오래된 방식이다.
LCD 프로젝션 방식은 외부 재생 영상 신호를 프로젝션 TV로 보내면, 프로젝션 TV 내부에 있는 소형 LCD 화면에서 이를 받아 영상을 재생한다. LCD 화면에 재생된 영상은 LCD 화면의 후면에서 LCD 화면으로 빛이 제공되면, 렌즈를 통해 LCD 화면에 재생된 영상이 확대되고, 확대된 영상은 거울에 반사되어 스크린에 투영된다. 이로써, 영상이 스크린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영상을 볼 수 있다.
DLP 프로젝션 방식은 수십 만개의 미세 구동 거울이 집적된 DMD(Digital Mirror Device) 칩을 이용하여 영상을 확대 투사한다. 즉, DLP 프로젝션은 반사타입의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소자로 형성된 DMD 칩을 구비하고, DMD 칩의 반사면에는 다수의 마이크로 미러가 배치된다. 다수의 마이크로 미러는 이러한 마이크로 미러는 스크린의 픽셀 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각 마이크로 미러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마이크로 미러에 빛이 입사되면 각 마이크로 미러의 단부에서 난반사가 발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 미러들 사이의 틈에 의해 회절현상이 발생하여 화질이 저하된다.
또한, 이러한 마이크로 미러는 공정 과정이 복잡하고, 각 마이크로 미러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해야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상승하며, 생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색 대비비를 향상시켜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광 공급부, 프리즘, 화소부 및 전압 모듈로 이루어진다.
광 공급부는 광을 출사하고, 프리즘은 상기 광 공급부로부터 입사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출사한다. 화소부는 상기 프리즘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프리즘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 전극, 및 상기 반사 전극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 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반사 전극의 광 반사율을 조절하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굴절율이 가변하는 유전체를 구비한다. 전압 모듈은 상기 유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유전체의 굴절율을 조절하도록 상기 유전체에 제공되는 전압을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 전극은 다수의 화소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화소부는 다수의 유전체를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유전체는 상기 반사 전극의 반사율을 각 화소 영역별로 조절하도록 상기 각 화소 영역별로 서로 절연되어 구비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소부는 상기 반사 전극 상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유전체와 상기 반사 전극과의 사이를 소정의 거리로 이격하는 격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전체의 에지 영역은 상기 격벽부에 위치하며,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반사 전극과 접촉되고, 전압이 차단되면 상기 반사 전극으로부터 이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소부는 상기 유전체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계조값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즘으로부터 제공된 광의 반사율을 조절하도록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유전체의 유전율을 조절하는 전압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압조절 부재는 인가된 전압에 대응하여 굴절율이 가변하는 전기광학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 모듈은 상기 전압조절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압조절 부재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광 공급부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은 상기 프리즘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즘은 상기 광 공급부와 마주하고, 상기 광 공급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반사 전극 상에 위치하여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반사 전극으로 제공하고, 상기 반사 전극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제공받는 반사면, 및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출사하는 출사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입사면과 상기 광 공급부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광 공급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편광하여 상기 입사면에 제공하는 편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출사면과 마주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조합하여 출사하는 광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 전극은 금속 박막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광을 출사하는 광 공급부, 프리즘, 화소부 및 전원 모듈로 이루어진다.
광 공급부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각각 출사한다. 프리즘은 상기 광 공급부로부터 입사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출사한다. 화소부는 상기 프리즘의 일면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프리즘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 어레이, 및 상기 반사 어레이의 일면에 증착되고 상기 반사 어레이의 광 반사율을 조절하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굴절율이 가변하는 전기광학 부재를 구비한다. 전원 모듈은 상기 전기광학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광학 부재의 굴절율을 조절하도록 상기 전기광학 부재에 제공되는 전압을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 어레이는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반사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광학 부재는 각 반사 전극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광을 발생하는 광 공급부, 광도파로 패널, 표시부, 광 제어부 및 스캔부로 이루어진다.
광도파로 패널은 상기 광 공급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가이드한다. 표시부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화소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광도파로 패널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광 제어부는 상기 광도파로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광도파로 패널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의 각 행에 대응하여 조절되도록 상기 광도파로 패널 내부의 광을 상기 각 행에 대응하여 조절한다. 스캔부는 상기 광도파로 패널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의 각 열 단위로 상기 표시부에 주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 제어부는 상기 광도파로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도파로 패널 내부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전극, 및 상기 반사 전극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의 행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반사 전극의 광 반사율을 조절하여 해당 행의 각 화소 영역에 제공되는 광을 조절하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굴절율이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광 제어부는, 상기 유전체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전체에 대응하는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하여 상기 전극부의 반사율을 조절하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유전체의 유전율을 조절하는 전기광학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각 유전체에 대응하는 영역별로 반사율이 조절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 제어부는 상기 광도파로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도파로 패널 내부의 광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전극, 및 상기 반사 전극의 일면에 증착되고, 상기 반사 전극과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반사 전극의 반사율을 조절하도록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굴절율이 가변하는 전기광학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광 제어부는 다수의 반사 전극을 구비하고, 각 반사 전극은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의 각 행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광도파로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광 공급부로부터의 광을 상기 광도파로 패널에 제공되도록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절 격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 공급부는 적색광을 출사하는 제1 광원, 녹색광을 출사하는 제2 광원, 및 청색광을 출사하는 제3 광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절 격자부는 상기 광 공급부로부터 출사되는 각 광의 색에 대응하여 다수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회절 격자부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에 따르면, 블랙 모드에서 광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므로,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는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0)는 광 공급부(100), 편광부(200), 프리즘(300), 화소부(400), 전원 모듈(500) 및 광학부재(6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공급부(1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광(L1)을 발생한다. 광 공급부(100)는 제1 내지 제3 광원(110, 120, 130)으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광 공급부(100)는 세 개의 광원(110, 120, 130)을 구비하나, 광원의 개수는 프리즘(300)의 크기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도 있다
각 광원(110, 120, 130)은 서로 다른 색의 광을 출사한다. 즉, 제1 광원(110)은 적색광을 출사하고, 제2 광원(120)은 녹색광을 출사하며, 제3 광원(130)은 청색광을 출사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광원(110, 120, 130)은 각 광원(110, 120, 130)이 갖 는 색에 따라 서로 교대로 발광한다. 즉, 제1 내지 제3 광원(110, 120, 130) 중 어느 하나만 온(On)되고, 나머지 광원들은 오프(Off)되며, 온된 광원이 오프됨과 동시에 다른 하나의 광원이 온된다. 각 광원(110, 120, 130)의 온/오프는 아주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각 광원(110, 120, 130)이 교대로 발광하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다. 여기서, 광 공급부(100)는 각 광원(110, 120, 130)을 일정한 순서, 예컨대, 제1 광원(110), 제2 광원(120) 및 제3 광원(130)의 순서로 온/오프될 수도 있다.
한편, 편광부(200)는 광 공급부(100)로부터 출사된 광(L1)을 편광하고, 편광된 광(L2)은 프리즘(300)에 입사된다. 일반적으로, 광은 S파(s-polarization) 및 P파(p-polarization)로 이루어진 편광 성분을 갖는다. 편광부(200)는 광 공급부(100)로부터 출사된 광(L1)을 편광부(200)의 편광축과 평행한 성분만 통과시켜 프리즘(300)에 제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리즘 및 화소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프리즘(300)은 삼각 기둥 형상을 가지며, 편광부(200)로부터 출사된 광(L2)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프리즘(300)은 편광부(200)와 마주하는 입사면(310), 입사면(310)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320), 및 반사면(32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외부로 출사하여 렌즈(600)에 제공하는 출사면(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입사면(310), 반사면(320) 및 출사면(330)은 프리즘(300)의 삼각 기둥 형상을 정의하며, 입사면(310) 및 출사면(330)은 프리즘 산을 형성한다.
입사면(310)은 편광부(20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편광부(200)에 의해 편광된 광(L2)을 제공받는다.
반사면(320)은 입사면(310)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배면에는 화소부(400)가 구비되어 입사면(310)으로부터 제공된 광(L2)을 반사한다. 즉, 반사면(320)은 입사면(310)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화소부(400)에 제공하고, 화소부(400)에 의해 조절된 반사광(L3)을 출사면(330)에 제공한다.
출사면(330)은 입사면(310) 및 반사면(320)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화소부(400)에 조절된 광(L3)을 반사면(320)으로부터 제공받아 외부로 출사한다. 즉, 출사면(330)은 실질적으로 프리즘(300) 및 화소부(400)에 의해 조절된 광(L4)을 외부로 출사하여 렌즈(600)에 제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소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소부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화소부(400)는 반사면(320)의 아래에 구비되어 입사면(310)으로부터 제공된 광(L2)의 반사율을 조절하여 출사한다.
화소부(400)는 반사면(320)에 증착된 반사 전극(410), 반사 전극(41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다수의 유전체(420), 및 반사 전극(410)과 다수의 유전체(420)와의 사이에 개재된 격벽부(43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반사 전극(41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반사면(320)에 박막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입사면(310)(도 1 참조)을 통해 입사된 광(L2)을 반사한다. 반사 전극(410)은 다수의 화소 영역(MPA)으로 구획되며, 다수의 유전체(420)에 의 해 각 화소 영역별로 반사율이 조절된다. 이에 따라, 반사 전극(4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L3)은 각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반사율이 다르게 출사된다.
다수의 유전체(420)는 반사 전극(410)과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MPA)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유전체(420)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화소 영역별로 절연되어 구비된다. 다수의 유전체(420)는 다수의 화소 영역(MPA)에 대응하여 반사 전극(410)의 굴절율을 조절한다. 각 유전체의 에지 영역은 격벽부(430)에 안착된다.
격벽부(430)는 각 화소 영역을 정의하며, 반사 전극(410) 및 다수의 유전체(420)를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한다.
한편, 전원 모듈(500)은 반사 전극(410) 및 다수의 유전체(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 모듈(500)은 반사 전극(410) 및 다수의 유전체(420)에 전압을 제공한다. 특히, 전원 모듈(500)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다수의 유전체(420)에 제공되는 전압을 스위칭한다. 즉, 전원 모듈(500)은 각 유전체와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유전체(420)에 제공되는 전압을 각 유전체별로 스위칭한다. 이로써, 전원 모듈(500)은 각 화소 영역별로 유전체에 제공되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각 유전체(420)는 그 형상 및 기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반사 전극(410) 및 전원 모듈(500)과의 결합관계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제1 유전체(421) 및 제2 유전체(422)를 일례로하여 반사 전극(410), 다수의 유전체(420) 및 전원 모듈(500)간의 결합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유전체(421, 422)는 다수의 유전체(420)를 구성하는 유전체들 중 어느 하나이다.
제1 유전체(421)는 다수의 화소 영역(MPA) 중 제1 화소 영역(PA1)에 구비되고, 제2 유전체(422)는 제1 화소 영역(PA1)과 서로 인접한 제2 화소 영역(PA2)에 구비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유전체(421, 422)는 서로 절연되어 위치하며,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전원 모듈(500)로부터 반사 전극(410), 제1 유전체(421) 및 제2 유전체(422)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1 및 제2 유전체(421, 422)는 반사 전극(410)과 접촉되고, 제1 및 제2 유전체(421, 422)는 전압에 대응하여 굴절율이 변한다. 반사 전극(410)은 제1 및 제2 유전체(421, 422)와 접촉된 영역, 즉, 제1 및 제2 화소 영역(PA1, PA2)의 굴절율이 제1 및 제2 유전체(421, 422)의 굴절율에 대응하여 각각 변한다. 이에 따라, 반사 전극(410)은 제1 및 제2 화소 영역(PA1, PA2)의 반사율이 제1 및 제2 유전체(421, 422)와 접촉되기 이전과 다르게 변한다.
이와 같이, 제1 유전체(421)는 반사 전극(410)의 제1 화소 영역(PA1)에 대응하는 굴절율을 조절하고, 제2 유전체(422)는 반사 전극(410)의 제2 화소 영역(PA2)에 대응하는 굴절율을 조절한다.
여기서, 각 유전체는 각 화소 영역과 대응하고, 전원 모듈(500)은 각 유전체 별로 전압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반사 전극(410)은 각 화소 영역별로 반사율이 조절된다.
예컨대, 제1 유전체(421)에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제2 유전체(422)에는 전압을 인가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전체(421)는 반사 전극(410)으로부터 분리되어 위치하고, 제2 유전체(422)는 반사 전극(410)과 접촉된다. 반대로, 전원 모듈(500)이 제1 유전체(421)에 전압을 인가하고, 제2 유전체(422)로 제공되는 전압을 차단하면, 제1 유전체(421)는 반사 전극(410)과 접촉되고, 제2 유전체(422)는 다시 반사 전극(410)과 분리된다. 여기서, 각 유전체의 에지 영역이 격벽부(430)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각 유전체는 반사 전극(410)과 접촉되기 이전상태로 원상 복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 전극(410)은 제1 화소 영역(PA1)의 반사율 및 제2 화소 영역(PA2)의 반사율이 제1 및 제2 유전체(421, 422)에 의해 서로 개별적으로 조절된다.
이와 같이, 화소부(400)는 다수의 유전체(420)를 이용하여 반사 전극(410)의 반사율을 각 화소 영역별로 조절하고, 이에 따라, 반사 전극(410)과 다수의 유전체(420)와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표면플라즈몬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을 각 화소 영역별로 조절한다.
여기서, 표면플라즈몬공명은 금속 박막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전자들의 집단적인 진동(Collective charge density oscillation)이다. 즉, 서로 인접한 금속 박막 및 유전 물질은 금속 박막 및 유전 물질 간의 계면을 따라 진행하는 표면플라즈몬파(Surface plasmon wave)가 발생할 수 있다. 표면플라즈몬파는 빛의 광자 또는 전자에 의해 여기(Excitation) 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면플라즈몬파의 여기를 표 면플라즈몬공명이라 한다. 여기서, 표면플라즈몬파는 자유 공간에서의 전자기파와는 달리 입사면에 평행하게 진동하는 파로서, P파 성분을 갖는다.
표면플라즈몬공명은 유전 물질의 두께 및 유전 물질의 굴절율에 대응하여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발생하는 입사각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서 금속 박막의 두께 및 유전율에 따라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발생되는 입사각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금속 박막의 두께에 대응하여 입사광의 반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두께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4 금속 박막(D1, D2, D3, D4)에서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발생하는 입사각, 즉, 반사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반사율이 약 0%가 되는 입사각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금속 박막(D1, D2, D3, D4)은 제1 금속 박막(D1)으로부터 제4 금속 박막(D4)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증가한다. 그 결과, 금속 박막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발생하는 입사각 또한 커진다.
도 6은 유전 물질의 굴절율에 대응하여 입사광의 반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갖는 제5 내지 제7 유전 물질(D5, D6, D7)에서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발생하는 입사각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즉, 제5 내지 제7 유전 물질(D5, D6, D7)의 굴절율이 제5 유전 물질(D5), 제6 유전 물질(D6) 및 제7 유전 물질(D7) 순으로 증가할 경우,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발생하는 입사각 또한 제5 유전 물질(D5), 제6 유전 물질(D6) 및 제7 유전 물질 (D7) 순으로 커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플라즈몬공명은 금속 박막의 두께 또는 유전 물질의 굴절율, 즉, 유전율에 따라 발생하는 입사각이 다르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특정 입사각에 대한 표면플라즈몬공명을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유도하기 위해서는 반사 전극(410)의 두께를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각 화소 영역별로 가변하거나 각 유전체의 굴절율을 변화시켜야 한다. 즉,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반사 전극(410)의 각 화소 영역별로 표면플라즈몬공명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반사 전극(410)의 두께를 조절하거나 각 유전체의 굴절율을 조절해야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반사 전극(410)의 두께를 각 화소 영역별로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변경하기는 어렵다. 반면, 유전체의 굴절율은 전원 모듈(500)로부터 각 유전체별로 제공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모듈(500)은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각 화소 영역별 각 유전체의 굴절율을 조절하도록 다수의 유전체(420)에 제공되는 전압을 각 화소 영역별로 조절한다.
즉, 전원 모듈(500)은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반사 전극(410) 및 다수의 유전체(420)에 전압을 제공하고, 다수의 유전체(420)는 전원 모듈(500)로부터 제공된 전압에 대응하여 각 화소 영역별로 반사 전극(410)과 접촉되거나 분리된다.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반사 전극(410)과 특정 유전체와의 계면에서 발생하면, 편광부(200)로부터 입사된 광(L2)이 반사 전극(410)과 유전체 간의 계면을 따라 이 동하기 때문에, 해당 유전체가 위치하는 화소 영역에서 반사광(L3)이 출사되지 않는다.
이로써,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발생한 화소 영역은 블랙 모드가 되고,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발생하지 않은 화소 영역은 화이트 모드가 된다. 특히, 표면플라즈몬공명은 광이 전혀 반사되지 않기 때문에, 화소부(400)는 블랙 모드에서 빛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0)는 대비비(Contrast ratio)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광 공급부(100)(도 1 참조)는 화소부(400)의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반사 전극(410)과 유전체가 서로 접촉되면 발생하는지, 반사 전극(410)과 유전체가 서로 분리되면 발생하는지 여부에 따라 입사각이 조절된다.
또한, 광은 각 광이 갖는 고유의 색에 따라 그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각 광의 색에 대응하여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발생하는 입사각 또한 다르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광원(110, 120, 130)(도 1 참조)으로부터 출사되는 광(L1)의 입사각은 각 광원에 따라 서로 다르며, 제1 내지 제3 광원(110, 120, 130)의 위치 또한 다르다.
상술한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소부(400)는 각 화소 영역별로 유전체의 굴절율을 조절하여 표면플라즈몬공명을 조절하고, 영상표시장치(1000)는 표면플라즈몬공명을 이용하여 블랙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1000)는 블랙 모드에서 광을 완전히 차단하여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소부(400)는 DMD(Digital Mirror Device) 칩에 비해 제조 공정이 비 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광학부재(600)는 프리즘(300)의 출사면(330)과 서로 마주하여 위치한다. 광학부재(600)는 프리즘(300) 및 화소부(400)에 의해 조절된 광(L4)을 제공받는다. 광학부재(600)는 프리즘(300)의 출사면(330)으로부터 출사된 광(L4)을 확산하여 출사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광학부재(600)로부터 출사된 광(L5)은 스크린(미도시)에 투영되고, 이로써,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스크린에 표시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화소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화소부(700)는 전기광학 부재(710)를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화소부(40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7의 설명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화소부(400)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참조 번호를 병기하고,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화소부(700)는 반사 전극(410), 다수의 유전체(420), 격벽부(430) 및 다수의 유전체(420)에 대응하여 구비된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710)를 구비한다.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710)는 다수의 유전체(420)의 하부면에 증착되고, 각 화소 영역별로 절연되어 구비된다.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710)는 전압에 대응하여 굴절율이 변하는 전기광학(Electro-optic) 효과를 갖는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각 전기광학 부재는 전원 모듈(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 모듈(500)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굴절율이 변경된다. 전기광학 부재의 굴절율이 변하면, 이에 대응하는 유전체의 굴절율 또한 변경되고, 이에 따라, 반사 전극 (410)은 해당 유전체에 대응하는 화소 영역에서 굴절율이 변경된다. 이로써, 반사 전극(410)의 각 화소 영역별 반사율이 각 전기광학 부재별로 인가된 전압에 대응하여 조절된다.
예컨대, 제1 유전체(421)에 구비된 제1 전기광학 부재(711)는 제1 유전체(421)의 굴절율을 조절하고, 제2 유전체(422)에 구비된 제2 전기광학 부재(712)는 제2 유전체(422)의 굴절율을 조절한다.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710)는 전원 모듈(50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다수의 유전체(420)의 굴절율, 즉, 유전율을 좀더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모듈(500)로부터 제2 전기광학 부재(712)에 제2 화소 영역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전압이 인가되면, 제2 유전체(422)는 반사 전극(410)과 접촉된다. 제2 전기광학 부재(712)는 전원 모듈(500)로부터 제공된 전압에 대응하여 굴절율이 조절되고, 이에 따라, 제2 유전체(422)의 굴절율은 제2 전기광학 부재(712)의 굴절율에 대응하여 조절된다. 반사 전극(410)의 굴절율은 제2 유전체(422)와 대응하는 제2 화소 영역(PA2)에서 제2 유전체(422)의 굴절율에 대응하여 조절되고, 이에 따라, 반사 전극(410)의 제2 화소 영역(PA2)에 대응하는 반사율이 제2 화소 영역(PA2)의 계조값에 대응하여 조절된다. 이로써, 반사 전극(410)은 제2 화소 영역(PA2)에서 제2 화소 영역(PA2)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전기광학 부재는 반사 전극(710)과 유전체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해당 유전체의 굴절율을 가변하여 반사 전극(710)의 각 화소 영역별 반사율을 좀더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화소부(700)는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 (710)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각 화소 영역별 계조값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0)는 다양한 계조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므로,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2000)는 화소부(800)를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8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0)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참조 번호를 병기하고,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2000)는 광 공급부(100), 편광부(200), 프리즘(300), 화소부(800), 전원 모듈(500) 및 렌즈(6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공급부(1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광(L1)을 발생한다. 광 공급부(100)는 적색광을 출사하는 제1 광원(110), 녹색광을 출사하는 제2 광원(120) 및 청색광을 출사하는 제3 광원(130)을 구비한다. 여기서,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은 프리즘(300)에 입사되는 입사각이 서로 다르다.
편광부(200)는 광 공급부(100)로부터 출사된 광(L1)을 편광하고, 편광된 광(L2)은 프리즘(300)에 입사된다.
프리즘(300) 편광부(200)로부터 출사된 광(L2)을 화소부(800)에 제공하고, 화소부(800)에 의해 조절된 광(L3)을 외부로 출사한다.
화소부(800)는 프리즘(300)의 반사면(320)에 구비된다.
도 9는 도 9에 도시된 화소부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화소부(800)는 프리즘(300)의 입사면(310)을 통해 제공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 어레이(810), 및 반사 어레이(810)의 일면에 구비된 전기광학 부재(820)를 구비한다.
반사 어레이(810)는 프리즘(300)의 반사면에 증착되며,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진다. 반사 어레이(81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반사 전극을 구비한다. 하나의 반사 전극은 하나의 화소 영역(PA)을 정의하고, 이로써, 반사 어레이(810)는 다수의 화소 영역(MPA)을 정의한다.
전기광학 부재(820)는 다수의 반사 전극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각 화소 영역별로 절연되어 구비된다. 전기광학 부재(820)는 전원 모듈(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 모듈(500)은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전기광학 부재(820)에 제공하는 전압을 각 화소 영역별로 조절하여 제공한다.
전기광학 부재(820)는 전원 모듈(500)로부터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각 화소 영역별로 결정된 전압값의 전압을 제공받는다. 전기광학 부재(820)는 전압에 대응하여 각 화소 영역별로 굴절율이 조절되고, 반사 어레이(810)는 전기광학 부재(820)의 굴절율에 대응하여 반사율이 조절된다. 즉, 반사 어레이(810)는 각 화소 영역별 반사율이 전기광학 부재(820)의 각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굴절율에 따라 조절된다.
이와 같이, 화소부(800)는 각 반사 전극의 표면플라즈몬공명 및 각 화소 영역의 계조값을 전기광학 부재(8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2000)는 풀-컬러를 구현할 수 있고, 표면플라즈몬공명을 이용하여 블랙 모드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블랙 모드에서 빛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2000)는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2000)는 DMD 칩에 비해 제조 공정이 단순한 화소부(800)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절단선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3000)는 광 공급부(100), 전원 모듈(500), 광도파로 패널(3100), 회절 격자부(3200), 광 제어부(3300), 스캔부(3400), 및 스크린(35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공급부(1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광(L7)을 발생ㅎ하고, 발생된 광(L7)을 광도파로 패널(3100)로 제공한다. 광공급부(100)는 제1 내지 제3 광원(110, 120, 130)으로 이루어지고, 각 광원은 서로 다른 색의 광을 출사한다. 여기서, 제1 광원(110)은 적색광을 출사하고, 제2 광원(120)은 녹색광을 출사하며, 제3 광원(130)은 청색광을 출사한다.
광도파로 패널(3100)은 광 공급부(100)로부터 회절 격자부(3200)를 통해 제공된 광(L8)을 가이드하고, 광 제어부(3300)에 의해 조절된 광(L9)을 출사한다.
회절 격자부(3200)는 광도파로 패널(3100)에 구비되어 광 공급부(100)로부터 출사된 광을 편광하여 광도파로 패널(3100) 내부로 제공한다. 회절 격자부(3200)는 제1 내지 제3 회절부(3210, 3220, 3230)로 이루어지며, 제1 내지 제3 회절부(3210, 3220, 3230)는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1 회절부(3210)는 제1 광원(11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편광한다. 제2 회절부(3220)는 제2 광원(1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편광한다. 제3 회절부(3230)는 제3 광원(13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편광한다.
광 제어부(3300)는 광도파로 패널(31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전원 모듈(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도파로 패널(3100)의 내부광을 제어한다. 광 제어부(3300)는 스크린(3500)에 형성된 다수의 화소 영역 중 각 행 별로 광을 제어한다. 여기서, 다수의 화소 영역은 어레이 형태로 형성되며, 하나의 화소 영역(PA)은 영상을 표시하는 기본 단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광 제어부(3300)는 광도파로 패널(3310)의 상면에 형성된 반사 전극(3310), 반사 전극(3310)과 마주하는 다수의 유전체(3320), 및 반사 전극(3310)과 다수의 유전체(3320)와의 사이에 개재된 격벽부(333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반사 전극(3310)은 광도파로 패널(3310)에 금속 박막 형태로 형성되어 광도파로 패널(3310) 내부의 광(L8)을 스위칭한다.
다수의 유전체(3320)는 반사 전극(3310)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다수의 유전체(3320)는 다수의 화소 영역의 행들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광 제어부(3300)는 해당 행에 구비된 각 화소 영역을 열 단위로 제어한다. 즉, 광도파로 패널(3100)로부터 출사된 광(L9)은 다수의 화소 영역의 하나의 열에 위치하는 화소 영역들에 제공되며, 1차원 영상에 대응하는 광을 출사한다.
각 유전체의 에지 영역은 격벽부(3330)에 안착된다. 다수의 유전체(3320)는 서로 절연되어 구비되며, 각 행에 대응하여 반사 전극(3310)의 굴절율을 조절한다.
즉, 반사 전극(3310) 및 다수의 유전체(3320)는 전원 모듈(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 모듈(50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는다. 특히, 전원 모듈(500)은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각 유전체별로 전압을 조절한다. 여기서, 전원 모듈(500)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다수의 유전체(3320)에 제공되는 전압을 스위칭한다. 즉, 전원 모듈(500)은 각 유전체와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유전체(3320)에 제공되는 전압을 각 유전체별로 스위칭한다.
반사 전극(3310)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유전체에 전압이 인가되면, 해당 유전체는 반사 전극(3310)과 접촉된다. 반사 전극(3310)은 유전체와 접촉된 영역의 굴절율이 변하기 때문에, 유전체와 접촉된 영역의 반사율이 이전과 달라지며, 이를 이용하여 반사 전극(3310)의 표면플라즈몬공명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광 제어부(3300)는 반사 전극(3310)과 유전체가 접촉되면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발생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고, 반사 전극(3310)과 유전체가 분리되면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발생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반사 전극(3310)과 특정 유전체와의 사이에서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발생하면, 광도파로 패널(3100) 내부의 광(L8)은 해당 유전체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차단된다. 이에 따라, 스크린(3500)은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발생한 영역과 대응하는 화소 영역에 광이 제공되지 못하므로, 해당 화소 영역은 블랙 모드가 된다. 반면,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발생하지 영역과 대응하는 화소 영역에는 광이 제공되므로, 광이 제공 된 화소 영역은 화이트 모드가 된다.
이와 같이, 영상표시장치(3000)는 표면플라즈몬공명을 이용하여 블랙 모드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블랙 모드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3000)는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격벽부(3330)는 반사 전극(3310) 및 다수의 유전체(3320)를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한다. 즉, 격벽부(3330)는 전원 모듈(500)로부터 제공된 전압에 의해 반사 전극(3310)과 다수의 유전체(3320)가 서로 접촉되더라도 전압이 차단되면 다수의 유전체(3320)를 다시 원래 상태로 복귀시킨다.
또한, 광 제어부(3300)는 다수의 유전체(3320)의 일면에 코팅된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3340)를 더 포함한다.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3340)는 전원 모듈(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유전체(3320)의 굴절율을 조절한다. 즉,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3340)는 다수의 유전체(3320)와 대응하여 위치하고, 각 유전체별로 절연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전원 모듈(500)은 각 유전체에 대응하여 각 전기광학 부재에 제공하는 전압을 조절한다.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3340)는 전원 모듈(500)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대응하여 각 유전체의 굴절율을 미세하게 조절한다.
즉, 전원 모듈(500)은 각 화소 영역의 계조값에 대응하여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3340)로 제공되는 전압을 조절하고, 이에 따라,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3340)는 각 화소 영역의 계조값에 대응하여 각 유전체의 굴절율을 조절한다. 유전체의 굴절율이 조절되면, 반사 전극(3310)의 굴절율은 각 유전체와 대응하는 영역별로 해당 유전체의 굴절율에 따라 가변한다. 반사 전극(3310)은 각 화소 영역의 계조값에 대응하여 반사율이 조절되므로, 광도파로 패널(3100) 내부의 광을 각 화소 영역별로 조절하여 출사한다. 이에 따라, 광도파로 패널(3100)은 각 화소 영역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광(L9)을 출사할 수 있고, 이로써, 영상표시장치(3000)는 영상의 다양한 계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 제어부(3300)는 다수의 유전체(3320) 및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3340)를 이용하여 반사 전극(3310)의 반사율을 각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조절한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3000)는 제조 공정이 비교적 단순한 광 제어부(3300)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서 광 제어부(3300)에 의해 조절된 광(L9) 스크린에 투영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광도파로 패널(3100), 스캔부(3400) 및 스크린(3500) 간의 광 입출력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광 공급부(100), 전원 모듈(500), 회절 격자부(3200) 및 광 제어부(3300)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10 및 12를 참조하면, 광도파로 패널(3100)은 스캔부(3400)와 인접한 측면에서 제어부(3300)에 의해 조절된 광(L9)을 출사한다. 여기서, 광도파로 패널(3100)로부터 동시에 출사된 광은 1차원 영상, 즉, 다수의 화소 영역에서 하나의 열에 표시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즉, 광도파로 패널(3100)로부터 출사된 광(L9)은 화소 영역들의 열 단위로 제공되며, 출사된 광(L9)은 광 제어부(3300)에 의해 해당 열에 대응하는 각 화소 영역별로 계조값이 조절된 광이다.
스캔부(3400)는 광도파로 패널(3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출사된 광(L9)을 집광한 후 확산하여 출사한다. 즉, 다수의 화소 영역의 행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면서 광(L10)을 출사하며, 광도파로 패널(3100)로부터 각 열 단위로 출사되는 광을 각 열 단위로 주사한다.
예컨대, 광도파로 패널(3100)로부터 다수의 화소 영역의 열들 중에서 제1 열(R1)에 대응하는 광이 출사되면, 스캔부(3400)는 광도파로 패널(3100)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1 열(R1)에 주사한다. 여기서, 광 제어부(3300)는 제1 열(R1)에 위치하는 각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광도파로 패널(3100)의 광을 조절한다. 이로써, 광도파로 패널(3100)로부터 제1 열(R1)에 제공되는 광은 제1 열(R1)에 구비된 각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계조값을 갖는다. 이후, 광도파로 패널(3100)은 제1 열(R1)의 다음에 위치하는 제2 열(R2)에 대응하는 광을 출사하고, 스캔부(3400)는 회전 운동하여 광도파로 패널(3100)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2 열(R2)에 주사한다.
이와 같이, 광도파로 패널(3100)은 각 열 단위로 광을 출사하고, 스캔부(3400)는 광도파로 패널(3100)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각 열 단위로 주사한다. 이로써, 영상표시장치(3000)는 스크린에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광 제어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 제어부(3600)는 다수의 반사 전극 (3610) 및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3620)를 구비한다.
다수의 반사 전극(3610)은 광도파로 패널(3100)의 상면에 구비되고, 금속 박막 필름 형태로 형성된다. 다수의 반사 전극(3610)은 다수의 화소 영역에 구비된 다수의 행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반사 전극의 개수는 다수의 화소 영역의 행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다수의 반사 전극(3610)은 다수의 화소 영역의 행들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3620)는 다수의 반사 전극(3610)과 대응하여 형성되고, 다수의 반사 전극(3610)의 상면에 증착한다.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3620)는 서로 절연되어 위치하며, 대응하는 반사 전극의 굴절율을 가변한다. 즉,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3620)는 전원 모듈(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 모듈(500)은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전압을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3620)에 인가한다. 여기서, 전원 모듈(500)은 각 전기광학 부재별로 전압을 제공한다.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3620)는 인가된 전압에 대응하여 굴절율이 가변하고, 이에 따라, 다수의 반사 전극(3620)은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3620)의 굴절율에 대응하여 굴절율이 가변하여 반사율이 조절된다. 여기서, 전원 모듈은 각 전기광학 부재별로 전압을 조절하여 제공하므로, 다수의 반사 전극(3610)은 각 반사 전극별로 반사율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반사 전극(3610)은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3620)의 굴절율에 의해 반사율이 조절되기 때문에, 광 제어부(3600)는 각 전기광학 부재(3620)에 제공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반사 전극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표면플라즈몬공명의 발생 여부를 각 반사 전극별로 조절할 수 있다.
표면플라즈몬공명이 발생한 반사 전극은 광을 전혀 반사하고 표면플라즈몬파를 여기하기 때문에, 광도파로 패널(3100)은 해당 반사 전극과 대응하는 영역에서 광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표면플라즈몬파가 발생한 반사 전극과 대응하는 화소 영역은 블랙 모드가 되고, 광이 입사된 화소 영역은 화이트 모드가 된다.
이와 같이, 광 제어부(3600)는 다수의 전기광학 부재(3620)를 이용하여 다수의 반사 전극(3610)의 굴절율을 조절하여 표면플라즈몬공명을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블랙 모드를 구현한다. 이에 따라, 광 제어부(3600)는 블랙 모드에서 광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므로,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는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반사 전극의 반사율을 각 화소 영역별로 조절한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는 반사 전극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표면플라즈몬공명 및 반사 전극의 반사율을 각 화소 영역별로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특히, 영상표시장치는 표면플라즈몬공명을 이용하여 블랙 모드를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는 블랙 모드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는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는 DMD 칩보다 제조 공정이 단순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6)

  1. 광을 출사하는 광 공급부;
    상기 광 공급부로부터 입사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출사하는 프리즘;
    상기 프리즘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프리즘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 전극, 및 상기 반사 전극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반사 전극의 광 반사율을 조절하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굴절율이 가변하는 유전체를 구비하는 화소부; 및
    상기 유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유전체의 굴절율을 조절하도록 상기 유전체에 제공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전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전극은 다수의 화소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화소부는 다수의 유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유전체는 상기 반사 전극의 반사율을 각 화소 영역별로 조절하도록 상기 각 화소 영역별로 서로 절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부는,
    상기 반사 전극 상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유전체와 상기 반사 전극과의 사이를 소정의 거리로 이격하는 격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의 에지 영역은 상기 격벽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반사 전극과 접촉되고, 전압이 차단되면 상기 반사 전극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부는,
    상기 유전체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계조값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즘으로부터 제공된 광의 반사율을 조절하도록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유전체의 유전율을 조절하는 전압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절 부재는 인가된 전압에 대응하여 굴절율이 가변하는 전기광학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모듈은 상기 전압조절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압조절 부재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공급부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은 상기 프리즘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상기 광 공급부와 마주하고, 상기 광 공급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상기 반사 전극 상에 위치하여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반사 전극으로 제공하고, 상기 반사 전극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제공받는 반사면; 및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출사하는 출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과 상기 광 공급부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광 공급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편광하여 상기 입사면에 제공하는 편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과 마주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조합하여 출사하는 광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전극은 금속 박막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광을 출사하는 광 공급부;
    상기 광 공급부로부터 입사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출사하는 프리즘;
    상기 프리즘의 일면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프리즘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 어레이, 및 상기 반사 어레이의 일면에 증착되고 상기 반사 어레이의 광 반사율을 조절하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굴절율이 가변하는 전기광학 부재를 구비하는 화소부; 및
    상기 전기광학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광학 부재의 굴절율을 조절하도록 상기 전기광학 부재에 제공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전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어레이는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반사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광학 부재는 각 반사 전극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 공급부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광을 발생하는 광 공급부;
    상기 광 공급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가이드하는 광도파로 패널;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화소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광도파로 패널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광도파로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광도파로 패널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의 각 행에 대응하여 조절되도록 상기 광도파로 패널 내부의 광을 상기 각 행에 대응하여 스위칭하는 광 제어부; 및
    상기 광도파로 패널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의 각 열 단위로 상기 표시부에 주사하는 스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부는,
    상기 광도파로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도파로 패널 내부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전극; 및
    상기 반사 전극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의 행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반사 전극의 광 반사율을 조절하여 해당 행의 각 화소 영역에 제공되는 광을 조절하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굴절율이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부는,
    상기 유전체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전체에 대응하는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하여 상기 전극부의 반사율을 조절하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유전체의 유전율을 조절하는 전기광학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영상표시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유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각 유전체에 대응하는 영역별로 반사율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부는,
    상기 광도파로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광도파로 패널 내부의 광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전극; 및
    상기 반사 전극의 일면에 증착되고, 상기 반사 전극과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반사 전극의 반사율을 조절하도록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굴절율이 가변하는 전기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부는 다수의 반사 전극을 구비하고,
    각 반사 전극은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의 각 행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광 공급부로부터의 광을 상기 광도파로 패널에 제공되도록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절 격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광 공급부는,
    적색광을 출사하는 제1 광원;
    녹색광을 출사하는 제2 광원; 및
    청색광을 출사하는 제3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격자부는 상기 광 공급부로부터 출사되는 각 광의 색에 대응하여 다수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회절 격자부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060003244A 2006-01-11 2006-01-11 영상표시장치 KR100794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244A KR100794789B1 (ko) 2006-01-11 2006-01-11 영상표시장치
US11/542,263 US20070159471A1 (en) 2006-01-11 2006-10-04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6335713A JP2007188067A (ja) 2006-01-11 2006-12-13 映像表示装置
EP06126562A EP1808728A1 (en) 2006-01-11 2006-12-19 Imag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244A KR100794789B1 (ko) 2006-01-11 2006-01-11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002A true KR20070075002A (ko) 2007-07-18
KR100794789B1 KR100794789B1 (ko) 2008-01-21

Family

ID=3790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244A KR100794789B1 (ko) 2006-01-11 2006-01-11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59471A1 (ko)
EP (1) EP1808728A1 (ko)
JP (1) JP2007188067A (ko)
KR (1) KR1007947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2244B2 (en) 2011-11-24 2015-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lography devices,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e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processing holography ima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9283B2 (en) * 2007-11-09 2012-03-20 Alcatel Lucent Surface plasmon polariton modulation
CN102112916B (zh) 2008-07-31 2013-04-10 Nxp股份有限公司 显示器件
US10140932B2 (en) * 2017-03-24 2018-11-27 Abl Ip Holding Llc Simultaneous wide lighting distribution and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9796A (en) * 1979-06-21 1981-0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jection display device
GB9012099D0 (en) * 1990-05-31 1990-07-18 Kodak Ltd Optical article for multicolour imaging
GB9012162D0 (en) * 1990-05-31 1990-07-18 Kodak Ltd Optical article for reflection modulation
US6377383B1 (en) * 1997-09-04 2002-04-23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Optical switching by controllable frustration of total internal reflection
US6317228B2 (en) * 1999-09-14 2001-11-13 Digilens, Inc. Holographic illumination system
US6667807B2 (en) * 2001-03-30 2003-12-23 Optech Ventures, Llc Surface plasmon resonance apparatus and method
JP2003215495A (ja) 2002-01-28 2003-07-30 Fuji Photo Optical Co Ltd プロジェクタ用光学系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装置
JP2003295110A (ja) 2002-04-03 2003-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装置
RU2230348C1 (ru) * 2002-12-27 2004-06-10 Гущо Юрий Петрович Электрооптически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гелеобразный слой для электрооптического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гелеобразного слоя (варианты) 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100562431B1 (ko) * 2004-02-10 2006-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광학계 및 프리즘
JP4017167B2 (ja) 2004-06-07 2007-12-05 フジノン株式会社 投映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2244B2 (en) 2011-11-24 2015-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lography devices,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e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processing holography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8728A1 (en) 2007-07-18
JP2007188067A (ja) 2007-07-26
KR100794789B1 (ko) 2008-01-21
US20070159471A1 (en)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660B2 (en) Surface illumination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he same
JP5569084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WO2011037039A1 (ja) レーザー投射装置
US8162485B2 (en) Intermediate image formation optical system, image formation device, and methods thereof
KR100794789B1 (ko) 영상표시장치
JP4429656B2 (ja) 画像投影装置および画像投影方法
CN108496112B (zh) 投影仪以及投影仪的控制方法
US674448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projector having electrode section with equal areas and different heights
JP2007328336A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US11902714B1 (en) Image projector with laser scanning over spatial light modulator
JP2002357809A (ja) 画像表示装置
KR970006985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
US7564616B2 (en) Electro-optical element and scanning optical apparatus
KR10054660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90327B1 (ko) 디지털 마이크로미러를 이용한 광학계
KR970006984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
KR100209606B1 (ko) 액정표시장치
US20070165188A1 (en) Projection system employing semiconductor diode
CN116300273A (zh) 投影系统
JP2000152267A (ja) 反射型光変調素子及び投写型表示装置
KR100557638B1 (ko) 3 판식 액정 프로젝터의 광학계
CN116569092A (zh) 对空间光调制器进行激光扫描的图像投影仪
KR20110048924A (ko) 액정표시장치 및 조명장치
KR19980034585A (ko) 액튜에이티드 미러 어레이의 광학적 투사 시스템
KR20050100496A (ko) 내부 전반사 프리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