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4859A - 조립식 바닥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4859A
KR20070074859A KR1020060002910A KR20060002910A KR20070074859A KR 20070074859 A KR20070074859 A KR 20070074859A KR 1020060002910 A KR1020060002910 A KR 1020060002910A KR 20060002910 A KR20060002910 A KR 20060002910A KR 20070074859 A KR20070074859 A KR 20070074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groove
tongue
flooring material
sepa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석
Original Assignee
오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광석 filed Critical 오광석
Priority to KR102006000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4859A/ko
Publication of KR20070074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71Distinction between different activities, movements, or kind of sports perform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calorie expenditure
    • A63B2230/75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calorie expenditur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판을 형성하는 사각 형태의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닥재의 에지(edge)에는 혀(tongue) 및 홈(groove)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재는 목재, 플라스틱, MDF 및 HDF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재의 코어, 표면재 및 뒷면이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혀와 홈부의 내부 또는 혀와 홈부의 측면에는 상기 바닥재와 별개인 조각(tip)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가공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접착제를 이용한 바닥재(flooring)의 시공시 발생하는 각 바닥재들의 변위(이동, 움직임)를 방지하여 바닥재 사이에 생기기 쉬운 틈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접착제가 응고되는 시간 동안 바닥재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접착력 및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바닥재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혀(Tongue)와 홈(groove)의 일부를 가공한 후 바닥재의 코어와 별개로 형성된 조각(tip 또는 strip)을 가공 부위에 삽입하여 각 바닥재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억제하여 준다.

Description

조립식 바닥재{Sectional floorings}
도 1A는 종래의 접착식 시공방법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시공에서 바닥재를 접착제 응고 시간동안 고정하는 장치의 예이다.
도 2는 기계식 체결방법을 도시한 바닥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으로 구현될 수 있는 구조들을 도시한 바닥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재의 조립 후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바닥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착제 도포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삽입될 별도의 조각(tip 또는 strip)의 여러 가지 모형의 일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바닥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성된 바닥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바닥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바닥재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바닥재의 평면도이다.
통상 바닥에 마루(널,flooring)를 시공하는 방법은 각 지역의 문화, 지형, 기후적 특징에 의하여 각각 달리 전해져오고 있다.
한국의 전통적인 마루널 깔기는 기존의 홈과혀의 개념이 없고 속칭 널판지(널)라 칭하는 판재를 넓게 가공하여 미리 설치된 보에 그 판재를 얹거나 못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주거의 형태가 개방형이 아닌 폐쇄적인 형태 즉 모든 시설물이 정해진 공간(실내)안에 설치되고 있는 현재에는 종전의 방법으로는 마루시공이 불가능하다.
즉 보를 설치하거나 그 위에 마루를 설치하거나 하는 일들이 사실상 실내에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써 미리 설치된 시멘트바닥(혹은 목재)위에 직접마루를 시공하는 것인데 혀(groove)와 홈(tongue)이 개발된 이후에는 바닥재의 수직방향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가 있어서 마루(flooring)를 원 바닥에 고정시키는 방법만을 생각하였다.
즉 강력한 접착력을 가진 접착제를 원 바닥에 도포 한 다음 그 위에 이미 제작된 마루를 홈과 혀를 맞춘 다음 바닥에 접착시키는 방법이었다.
이 방법은 안정적인 마루바닥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외에 많은 단점을 안고 있다.
첫째로 최근 상기 원 바닥에 사용하는 접착제(소위 에폭시 접착제)의 유해성 문제로 소비자들이 이러한 방법을 기피하고 있으며
둘째로 바닥재 교환의 욕구가 있을 때는 설치시 보다 해체 시 더 많은 비용과 시간을 요구한다는 큰 문제가 있고
셋째로 바닥재의 변형 (기온, 습도에 따른)을 고려하지 않는 강제 접착식의 시공이기 때문에 기후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바닥재들의 변형을 막을 수 없어 많은 하자를 야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여 현재는 바닥재를 원 바닥에 접착시키지 않고 바닥재 끼리만 접착 또는 연결하여 바닥재 전체가 1장의 판이 되게 하여 일괄적인 수축과 팽창을 유도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설치 효과를 바라는 현가식(floating)시공방법이 바닥재 시공의 한가지 방법으로 정착하였다.
즉 바닥재의 홈에 접착제(glue)를 도포 한 다음 바닥재의 혀(Tongue)를 삽입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방법인데 가장 큰 단점은 접착제(glue)가 응고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을 요하는데 그 시간동안 바닥재의 구조적 이상 또는 현장의 불규칙성 등으로 인하여 각각의 바닥재가 각각의 홈과 혀에서 조금씩 이탈하거나 또는 이동을 할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각각의 바닥재 사이에 틈이 생길 수가 있고 또한 이러한 변위로 인하여 결정적으로는 접착제와 접착력에 영향을 미쳐 그 힘을 약하게 한다는데 있다.
그래서 현장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1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바닥재에 길다란 belt를 묶어서 응고시간까지 바닥재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또한 측 방향으로는 접착 Tape를 이용하여 바닥재의 이동을 억제하려 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들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뿐만 아니라 접착 Tape 제거 시 그의 잔여물(접착물질 찌꺼기)로 인하여 깨끗한 표면을 얻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고 바닥재 각 장마다 벨트를 연결하여 수시로 조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도2에서처럼 최근에 개발된 바닥재의 구조를 이용한 기계적 체결 방법이 있는데 이는 강력한 체결효과와 시공속도를 향상시키는데 일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계적 체결은 바닥재들이 접착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고 혀 와 홈이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강제로 맞물려있기 때문에 도2에서처럼 각 바닥재들이 상하방향(V1, V2)으로 조금씩 또는 자주 움직인다.
특히 원 바닥의 상태가 평면과 차이가 있을 때에는 그와 같은 움직임이 많이 나타난다.
바닥재의 표면들은 외부의 충격에 견디기 위하여 melamine수지로 함침 한 소재 또는 강도가 강한 목재 또는 기타 강성인 소재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바닥재들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많은 마찰을 일으키면 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소음 역시 소비자들이 가장 강한 거부감을 보이는 하자 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록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바닥재와 바닥재를 접착제 (glue)로 연결하는 시공방법을 좀더 심도있게 개발하여 접착제 삽입 후 다음 바닥재를 삽입한 다음 최종적인 접착제의 응고까지 각각의 바닥재들의 변위를 최소화하여 각 바닥재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틈(gap)을 방지하고 동시에 접착제의 접착력을 최대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홈과 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시공하는 방법으로 바닥재를 설치하면 두 바닥재 a, b 가 각각 가, 나의 방향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도1의 B처럼 각각의 바닥재에 Belt와 접착Tape를 이용하여 최종 응고시간까지 그들을 고정시킨다. 여기에서의 Belt는 화물차에서 적재된 화물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톱니바퀴식 Belt와 같은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상기와 같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며 또한 그의 부작용 역시 작지 않기 때문에 현재 시장에서 약간의 문제를 안고 있는 시공 방법이다.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바닥재 ( 2a, 2b, 2c, 2d )들은 각각의 홈부와
혀부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서로 맞물려있다. 특히 2g와 2h 부위는 서로가 서로를 끌어당기는 인장력의 중심이 된다.
이때 각각의 표면재는 상술한바와 마찬가지로 강성인 소재들로 구성되어 있 기 때문에 도2에서처럼 각각의 바닥재들이 상하(V1, V2)로 움직임이 있을 때 그 마찰이 작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즉 이때 발생하는 소음은 현재 소비자들에게 많은 거부감을 주고있으며 재시공의 큰 원인 중에 하나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닥재는 도1-A 의 a,b 와 마찬가지로 홈부(1)과 혀부(2)를 갖는다. 즉 구조적으로 수직방향( 도5의 V1, V2 ) 의 이동은 방지할 수 있으나 수평방향(도5의 H1, H2 )의 이동은 방지 할 수가 없다. 즉 본 발명으로 제작된 바닥재는 그 자체만으로는 구조적으로 서로를 체결 할 수 없다. 즉 반드시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뒤에 기술될 별도의 보조재료를 사용해야한다. 즉 접착제를 사용할 때는 수평방향의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종래 홈부의 아래턱 부분(16)을 적당히 길게하여 도5처럼 홈부의 아래턱(16)의 상부(3)와 혀부(2)의 하부(4)의 접촉면을 극대화한다. 또는 각각의 바닥재가 최적의 조건으로 결합하고 각각 바닥재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혀와 홈부의 구조는 도3처럼 다를 수 있다.
즉 홈부의 아래턱(16) 상부의 표면(3)과 혀의 하부의 표면(4)을 길게 연장함으로써 도5의 홈의 아래턱 상부(3)의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 될 때 접착 면적이 넓어져 접착력을 극대화되고 또한 시공 시 종래의 바닥재구조는 도6처럼 시공자의 시선(S1)이 홈부를 제대로 인식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도(6)에서처럼 접착제의 도포와 다음 바닥재의 홈 방향 삽입도 쉽지가 않다.
그러나 홈부의 아래턱(16) 길이를 길게 하면 시공자의 시선(S2)을 쉽게 유도하여 홈부의 아래턱(16)의 상부(3)에 도7에서처럼 접착제 도포가 쉬워지고 또한 바 닥재 도4의b를 도4의 홈(1) 안으로 삽입할 때 b의 혀의 끝 부분(14)을 도4에서 홈의 아래턱 상부(3)에 올려놓고 p방향으로 밀면 그 끝이 쉽게 도(4)의 a 의 홈(1) 안으로 유도가 된다.
또한 시공 시 여분의 접착제가 바닥재의 위, 아래로 흘러 넘치거나 흘러 내려 원하지 않는 주변의 오염을 야기 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나 도(4)의 아래턱에 별도의 홈(5)을 마련하여 바닥재의 아래(6)로 흘러내리는 여분의 접착제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홈의 아래턱 상부(3)의 바닥에 도포 된 접착제는 상부의 넓은 바닥으로 인하여 상방향(7)으로 넘쳐날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4-3. 도4-4처럼 넓은 접착면을 확보하여 접착력을 극대화하고 별도의 홈 (도4의 5)을 만들어 여분의 접착제를 보관하는 기능까지 수행 할 수 있다. 즉 현장의 상태가 양호하고 하중이 큰 시설물이 적은 곳에서는 상기와 같은 시공법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러나 현장이 상태가 양호하지 않고 또는 하중이 큰 시설물들이 많이 장치 될 현장에는 도8에서처럼 미리 제작된 별도의 조각(Tip)들을 도9의 가공홈(5)에 삽입하여 도10에서처럼 바닥재가 서로 연결된 후 바닥재 b가 수평방향(H)으로 이동을 하려는 것을 막아 준다. 이때 제작된 별도의 조각(Tip)은 바람직하게는 제작(사출 또는 압출)이 용이한 플라스틱을 주로 사용하나 가공이 쉬운 어떠한 소재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그의 두께와 길이 또는 모양은 가공홈(5)의 깊이와 넓이 또는 바닥재의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이와 비슷하게 두 바닥재를 연결시켜주는 다른 연결자들이 공시되어 있다(04-0102146) 그러나 이 연결자는 두 바닥재를 연결하는 데 없어서는 안될 필수 불가결한 주제이고 동시에 수평, 수직 양방향의 움직임을 통제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조각(Tip)은 없어도 두 바닥재의 시공이 가눙한 보조재 이다.
이때 별도의 조각(Tip)은 접착제 도포 후 응고시간까지 바닥재의 이동을 막아주는 장치이기 때문에 심재의 높이가 너무 높아서 바닥재가 선행 바닥재의 홈(1)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해해서는 아니 되며 최소한의 힘만으로 각 바닥재에 도포 된 접착제가 응고될 때까지 각 바닥재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바닥재와 별도의 조각(Tip)을 제작하여 접착위주의 시공을 함으로써 기존의 접착제 시공법에서 야기된 틈 발생, 접착력 약화로 인한 바닥재의 이탈 등을 방지 할 수 있고 또한 전체의 바닥재가 접착제와 별도의 조각(Tip)으로 연결되어 모두가 1장의 판으로 변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따른 바닥재의 수축과 팽창 또는 기계식 연결에 따르는 소음의 방지에 절대적인 효과가 있다 할 수 있다.
물론 현장이 양호하고 모든 조건이 훌륭한 곳에서는 접착제의 도포 없이 가공홈(5)에 별도의 조각(Tip)만을 삽입하면 삽입된 조각이 수평방향(H)의 이동을 적지 않게 방지해 주기 때문에 기계적 체결방식으로 시공을 하는 것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별도의 조각은 바닥재 제작 시 공장에서 미리 가공홈(5)에 삽입하여 출고 할 수도 있고 현장에서 사용자 개인이 각각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12)

  1. 바닥판을 형성하는 사각 형태의 바닥재로서,
    상기 바닥재의 에지(edge)에는 혀(tongue) 및 홈(groove)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재는 목재, 플라스틱, PB, MDF 및 HDF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재는 코어, 표면재 또는 코어, 표면재 및 뒷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혀와 홈부의 내부 또는 혀와 홈부의 측면에는 상기 바닥재와 별개인 조각(tip 또는 strip)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가공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의 윗턱(9)의 길이는 아래턱(16)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윗턱의 하부(10)에는 바닥재와 별개인 조각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 가공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공 홈에는 상기 바닥재와 별개인 조각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3. 바닥판을 형성하는 사각 형태의 바닥재로서,
    상기 바닥재의 에지(edge)에는 혀(tongue) 및 홈(groove)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재는 목재, 플라스틱, PB, MDF 및 HDF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재는 코어, 표면재 또는 코어, 표면재 및 뒷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혀와 홈부의 내부 또는 혀와 홈부의 측면에는 상기 바닥재와 별개인 조각(tip 또는 strip)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가공 홈이 형성되되,
    상기 혀 하부면에는 다른 바닥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재와 별개인 조각이 삽입되는 제 3 가공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공 홈에는 상기 바닥재와 별개인 조각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5. 바닥판을 형성하는 사각 형태의 바닥재로서,
    상기 바닥재의 에지(edge)에는 혀(tongue) 및 홈(groove)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재는 목재, 플라스틱, PB, MDF 및 HDF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재는 코어, 표면재 또는 코어, 표면재 및 뒷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혀와 홈부의 내부 또는 혀와 홈부의 측면에는 상기 바닥재와 별개인 조각(tip 또는 strip)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가공 홈이 형성되되,
    상기 바닥재 홈부의 아래턱 상측부에 체결 요소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재 혀부의 하측부에 체결 요소가 형성되며, 상기 혀 또는 홈부의 측면에 바닥재와 별개인 조각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 4, 4' 가공 홈(23, 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가공 홈(23)에는 바닥재와 별개인 조각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가공 홈(24)에는 바닥재와 별개인 조각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8. 바닥판을 형성하는 사각 형태의 바닥재로서,
    상기 바닥재의 에지(edge)에는 혀(tongue) 및 홈(groove)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재는 목재, 플라스틱, PB, MDF 및 HDF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재는 코어, 표면재 또는 코어, 표면재 및 뒷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혀와 홈부의 내부 또는 혀와 홈부의 측면에는 상기 바닥재와 별개인 조각(tip 또는 strip)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가공 홈이 형성되되,
    상기 바닥재 홈부의 아래턱 상측부에 체결 요소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재 혀부의 하측부에 체결 요소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 홈부의 윗턱의 하측부와 혀부의 상측부 사이에 두 바닥재가 소정의 길이만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 윗턱의 하부에 바닥재와 별개인 조각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혀부의 상측부에 바닥재와 별개인 조각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혀부와 홈부의 결합 부분은 결합이 용이하도록 경사져 있는 제 1 경사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홈부의 체결요소(32)에는 제 2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KR1020060002910A 2006-01-10 2006-01-10 조립식 바닥재 KR20070074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910A KR20070074859A (ko) 2006-01-10 2006-01-10 조립식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910A KR20070074859A (ko) 2006-01-10 2006-01-10 조립식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859A true KR20070074859A (ko) 2007-07-18

Family

ID=3850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910A KR20070074859A (ko) 2006-01-10 2006-01-10 조립식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48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8423A1 (zh) * 2018-11-13 2020-05-22 黄海东 一种带不干胶的地板拼装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8423A1 (zh) * 2018-11-13 2020-05-22 黄海东 一种带不干胶的地板拼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5903B2 (en) Locking mechanism for flooring boards
KR100413372B1 (ko) 건축용 마루 패널을 깔아서 결합시키는 방법, 건축물 마루 시공 방법, 및 건축물 마루 패널의 분해 방법
RU2606477C2 (ru) Механическая фиксация панелей настила пола к язычку с нанесенным слоем клея
US20140305064A1 (en) Connector and system for mechanically joining abutting construction elements
US8635829B2 (en) Covering consisting of elements that can be mechanically interconnected and method for producing elements
RU2611090C2 (ru) Механическая блокировоч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анелей пола
US8839584B2 (en) Device for connecting and locking two building boards, in particular flooring panels
KR102297443B1 (ko) 바닥 패널을 위한 기계적 잠금 시스템
US20110197535A1 (en) Laying and mechanically joining building panels or construction elements
KR100486438B1 (ko) 밀봉부를 갖는 다중패널 플로어 시스템 패널 커넥터
US8528289B2 (en)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US9725912B2 (en)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CA2380184C (en) Structural members and fixing clip therefore
BE1021833B1 (nl) Paneel
RU2383696C2 (ru) Обшивочная панель,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стен и потолка
US20090217611A1 (en) Flush profiled expansion element
JPH07300979A (ja) 床 材
KR102218887B1 (ko) 알루미늄바를 이용한 데크의 조립구조
WO2008088239A1 (fr) Unité de raccordement de panneaux de construction
KR20070074859A (ko) 조립식 바닥재
KR20070070773A (ko) 조립식 바닥재
JPH0219460Y2 (ko)
KR100947849B1 (ko) 텅 앤드 텅 조인트구조를 갖는 마루판
JP3330317B2 (ja) 排水溝を有する防水構造
JP2572505B2 (ja) タイル貼り下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