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4603A - 감소된 기능성의 사용자 단말에서의 레거시 스푸핑 검출 - Google Patents

감소된 기능성의 사용자 단말에서의 레거시 스푸핑 검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4603A
KR20070074603A KR1020077010197A KR20077010197A KR20070074603A KR 20070074603 A KR20070074603 A KR 20070074603A KR 1020077010197 A KR1020077010197 A KR 1020077010197A KR 20077010197 A KR20077010197 A KR 20077010197A KR 20070074603 A KR20070074603 A KR 20070074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fields
legacy
alternate
d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9234B1 (ko
Inventor
산지브 난다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74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Manipulator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역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은 레거시(legacy) 노드(node)들이 동일한 필드들을 해석하는 방식과는 다른 방법으로 시스템에서 새로운 노드들 또는 국(station)들에 의해 해석되는 필드들 또는 다른 지시자(indicator)들의 이용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일부 환경 하에서, 이러한 지시자들을 이용하여 레거시 노드들을 "스푸핑(spoof)"하여 어떠한 방법으로 행동하게 함으로써, 차세대 표준 프로토콜이 그러한 레거시 노드들과의 간섭없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실시가 통신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면, 스푸핑(spoofing)은 레거시 노드들의 비효율적인 동작을 초래할 수 있다. 레거시 노드들은 전송되는 메시지의 레거시 부분에서 필드 세팅들을 검출하거나, 또는 메시지에서 위상 편이(phase shift)들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스푸핑을 검출할 수 있다. 스푸핑이 검출되면, 차세대 메시지의 듀레이션(duration)을 결정하고, 상기 듀레이션 동안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듀레이션 동안 대체 채널들로 통신하고, 레거시 백오프(backoff) 프로시저(procedure)들을 수정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소된 기능성의 사용자 단말에서의 레거시 스푸핑 검출{DETECTING LEGACY SPOOFING IN REDUCED FUNCTIONALITY USER TERMINAL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그리고 더 명확하게는 개선된 블록 확인응답에 관련된다.
무선 통신시스템들이 널리 구축되어 음성 및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무선 데이터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공용 자원들로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시스템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코드 분할 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및 기타와 같이 다양한 다중 액세스 기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들은 셀룰러-기반 데이터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다음은 몇 가지의 그러한 예들이다: (1) "듀얼-모드 광대역 확산 스펙트럼 셀룰러 시스템을 위한 TIA/EIA-95-B 이동국-기지국 호환성 표준(TIA-EIA-95-B Mobile Station-Base Station Compatibility Standard for Dual-Mode Wideband Spread Spectrum Cellular System)"(IS-95 표준), (2)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로 명명된 컨소시엄에 의해 제공되고 문서 번호 3G TS 25.111, 3G TS 25.212, 3G TS 25.213 및 3G TS 25.214를 포함하는 한 세트의 문서들에 구체화된 표준(W-CDMA 표준), (3)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3GPP2)에 의해 제공되고 "cdma2000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을 위한 TR-45.5 물리 계층 표준(TR-45.5 Physical Layer Standard for cdma2000 Spread Spectrum Systems)에 구체화된 표준(IS-2000 표준), 및 (4) TIA/EIA/IS-856 표준(IS-856 표준)에 따르는 고속 데이터 레이트(high data rate, HDR) 시스템이다.
무선 시스템의 다른 예들로서 IEEE 802.11 표준들(즉, 802.11 (a), (b), 또는 (g))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에 대한 개선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변조 기법들을 포함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WLAN을 구축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IEEE 802.11(e)가 종래의 802.11 표준들의 일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무선 시스템 설계가 진보함에 따라, 고속 데이터 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더 고속의 데이터 레이트로 인하여 음성, 영상, 고속 데이터 전송, 그리고 다른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들 중의 진보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가능성을 열리게 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은 그 각각의 데이터 전송에 대해 다른 요구사항들을 가질 수 있다. 많은 종류의 데이터는 지연(latency)과 스루풋(throughput) 요구사항들을 가지거나, 일정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보장이 필요하다. 자원 관리가 없으면, 시스템의 용량이 감소될 수 있고, 상기 시스템은 효율적으로 운용되지 않을 수 있다.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들이 다수의 사용자 사이에서 공용 통신 자원을 할당하는데 널리 이용된다. MAC 프로토콜들은 일반적으로 더 고차의 계층들을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데 이용되는 물리 계층(physical layer)과 인터페이스한다. 데이터 레이트의 증가로 인한 이점을 얻기 위해, MAC 프로토콜은 공용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설계되어야만 한다.
새로운 MAC 프로토콜들이 개발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레거시(legacy) 사용자 단말들이 존재하게 된다. MAC 프로토콜들은 레거시 단말들과 연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한 연동을 수행하기 위해, 레거시 단말들로 하여금 어떤 방법들로써 새로운 프로토콜들에 따라서 통신하는 단말들이 공용 자원에 액세스 또는 통신을 하도록 수행하는 기술들이 전개될 수 있다. 그러한 기술들은, 레거시 단말들을 속여서 그러한 단계들을 밟도록 할 수 있는데, "스푸핑(spoofing)"이라고 칭할 수 있다. 어떤 환경들에서, 스푸핑은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이 동작하도록 하고, 그 외에 관련된 이점들이 존재할 수 있지만, 스푸핑된 사용자 단말은 바라지 않은 결과를 맞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레거시 또는 감소된 기능성의 사용자 단말들에서 레거시 스푸핑을 검출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감소된 기능성의 사용자 단말들에서 레거시 스푸핑을 검출하는데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일 특징으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기로서, 상기 메시지의 제 1 부분은 제 1 통신 포맷(format)으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지는 제 2 통신 포맷이 이용되어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을 전송할 때 대체 포맷 지시자(alternate format indicator)를 포함하는, 수신기 및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는 처리기(processor)로서,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가 검출될 때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의 전송을 위한 듀레이션(duration)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기로 하여금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가 검출될 때 상기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저전력 상태(low power state)에 진입하도록 지시하는, 처리기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시된다.
다른 특징으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기로서, 상기 메시지의 제 1 부분은 제 1 통신 포맷(format)으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지는 제 2 통신 포맷이 이용되어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을 전송할 때 대체 포맷 지시자를 포함하는, 수신기 및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시된다.
또 다른 특징으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시지의 제 1 부분은 제 1 통신 포맷(format)으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지는 제 2 통신 포맷이 이용되어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을 전송할 때 대체 포맷 지시자를 포함하는, 수신단계,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가 검출될 때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의 전송을 위한 듀레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가 검출될 때 상기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저전력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에 관한 방법이 개시된다.
또 다른 특징으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시지는 제 1 위상(phase)으로 전송되는 제 1 부분과 제 2 위상 전송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위상은 상기 제 1 위상과 다른 메시지 수신단계와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위상차(phase difference)를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위상차가 검출될 때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에 대한 방법이 제시된다.
또 다른 특징으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시지의 제 1 부분은 제 1 통신 포맷으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 1 통신 포맷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드(field)들을 포함하는, 메시지 수신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필드들을 디코딩(decode)하는 단계, 그리고 디코딩된 필드가 상기 제 1 통신 포맷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에 대한 방법이 제시된다.
또 다른 특징으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상기 메시지의 제 1 부분은 제 1 통신 포맷으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지는 제 2 통신 포맷이 이용되어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을 전송할 때 대체 포맷 지시자를 포함하는, 수신단계,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가 검출될 때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의 전송을 위한 듀레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가 검출될 때 상기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시된다.
다른 다양한 특징들과 실시예들 또한 개시된다.
도 1은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반적인 블 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2는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레거시 802.11 PPDU를 나타낸다;
도 4는 레거시 스푸핑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5는 고 스루풋(high throughput) 포맷 지시자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성상도(constellation)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6은 고 스루풋 포맷 지시자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7은 고 스루풋 포맷 지시자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적인 대체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8은 고 스루풋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9는 고 스루풋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적인 대체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10은 고 스루풋 PPDU의 듀레이션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11은 고 스루풋 PPDU의 듀레이션을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의 대체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12는 무선 통신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13은 대체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4는 대체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의 예시적인 대체 실시예를 나타낸다.
통신 프로토콜들이 진화하고, 차세대 표준들이 정의됨에 따라, 역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에 있어서 시스템에서 새로운 노드(node)들 또는 국(station)들에 의해 레거시 노드들이 필드들을 해석하는 방식과는 다른 방법으로 해석되는 필드들 또는 다른 지시자들의 이용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일부 환경에서, 이러한 지시자들이 일부러 이용되어 레거시 노드들로 하여금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한 이용을 스푸핑(spoofing)으로 칭할 수 있는데, 이는 차세대 표준이 레거시 노드들을 "속여서(trick)" 차세대 프로토콜로 하여금 그러한 레거시 노드들로부터의 간섭없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을 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시는 일반적으로, 더 고 스루풋(thoroughput), 더 낮은 전력, 더 높은 용량 등을 포함하는 증가된 통신 유효성을 허용하도록 전개될 수 있는 반면, 스푸핑은 레거시 노드들의 비효율적인 동작을 유도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레거시 노드들은 어떤 방법들이 레거시 노드들을 스푸핑하는데 이용될 것인지가 알려지는 동안에도 계속하여 생산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는 차세대 표준이 호환성 있는 노드들에 대해 높은 복잡도와 비용 요구사항들을 부과하는 경우에 일어난다. 이 경우, 레거시 노드들로 하여금 상기 차세대 표준이 상기 레거시 필드들의 해석을 정의하는 방법을 알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스마트(smart)" 레거시 노드는 스푸핑을 검출할 수 있고 적절한 수단을 취하여 스푸핑이 일으킬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레거시 노드들은 상기 레거시 필드들에 대해 새로운 해석들을 따르게 되어 더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한 스마트 레거시 노드들은 여기서 감소된 기능성 사용자 단말들로 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완전한 차세대를 지원하도록 전개될 수 있지만, 또한 이하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감소된 기능성 모드(reduced functionality mode)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이하에서 802.11n 표준을 이용하여 기술되며, 이는 기존의(또는 레거시) 표준들인 802.11a/g(802.11-2003)와 호환성 있도록 설계될 것이다. 기술된 실시예들은 마찬가지로 다수의 표준들에 적용가능하며 802.11n과 802.11a/g 호환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군다나,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이 "역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이라는 어구를 이용하는 반면, 상기 실시예들은 마찬가지로 복수의 표준들로 된 노드들 또는 표준들의 다수의 버전들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 사이의 임의의 종류의 호환성에 적용가능하다.
여기서 이용된 바와 같이, 역 호환성이 요구되는 이전의 표준과 표준을 구분하기 위해, "고 스루풋(high throughput)"이라는 용어는 더 새로운 시스템, 또는 레거시 시스템들과 다른 클래스의 동작을 정의하는 시스템과 관련하여 이용된다. 다시금, "레거시(legacy)" 또는 "감소된 기능성"은 역 (또는 기타의) 호환 모드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들을 기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 소된 기능성 또는 레거시 사용자 단말은 대체 모드(alternate mode)들에서 완전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대안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레거시 단말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반드시 고 스루풋 시스템의 모든 특징들을 지원할 필요없이, 고 스루풋 시스템(또는 임의의 다른 대안적인 통신 표준)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검출하고 그에 따라 반응하도록 준비된 최신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고 스루풋 실시예들은 여기에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무선 LAN(또는 새로이 부상하는 전송 기술들을 이용하는 유사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매우 높은 비트 레이트(bir rate)와 관련하여 매우 효율적인 동작을 지원하도록 제시된다. 상기 예시적인 고 스루풋 WLAN은 20MHz의 대역폭에서 100Mbps(초당 백만 비트)를 초과하는 비트 레이트를 지원한다. 다양한 대안적인 WLAN들 또한 지원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802.11 (a-e)에서 발견되는 실례인, 레거시(legacy) WLAN 시스템들의 분산된 조정 동작의 간소함과 강건성(robustness)을 보전한다. 상기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점들은 그러한 레거시 시스템들과의 역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유지하면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802.11 시스템들은 예시적인 레거시 시스템들로 기술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의 개선사항들이 또한 대안적인 시스템 및 표준들과 호환가능하다는 점을 알 것이다.
예시적인 WLAN은 서브-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sub-network protocol stack)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은 고속 데이터 레이트, 일반적으로(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OFDM 변조에 기초하는 고속 대역폭 물리 계층 전송 매커니즘(high bandwidth physical layer transport mechanism), 단일 반송파 변조 기법들(single carrier modulation techniques), 매우 높은 대역폭 효율성 동작을 위한 다중 송신 및 다중 수신 안테나들(다중 입력 단일 출력(Multiple Input Single Output, MISO)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들),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기법들과 함께 다중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동일한 시간 간격 동안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 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들, 그리고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기법들을 이용하여 동시에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전송을 하게 하는 시스템들을 지원한다. 대안적인 예들은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ngle Input Multiple Output, SIMO)과 단일 입력 단일 출력(Single Input Single Output, SISO) 시스템을 포함한다.
여기 기술되는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제시된다. 이러한 환경에서의 이용이 유리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다른 환경들 또는 설정들에서 구체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기 기술된 상기 다양한 시스템들은 소프트웨어-제어 처리기들(softward-controlled processor), 집적회로, 또는 이산 논리(discrete logic)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틀어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instruction), 커맨드들 (command), 정보, 신호들, 심볼(symbol)들, 그리고 칩들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기장 또는 자기입자, 광장(optical field) 또는 광입자(optical particle),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편리하게 표현될 수 있다. 그 외에, 각각의 블록 다이어그램에 제시된 블록들은 하드웨어 또는 방법 단계들을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바뀔 수 있다. 여기서 이용된 "예시적"이라는 표현은 "예로써, 일례로써, 또는 예시로써"를 의미한다. 여기에 "예시적"으로 기술된 임의의 실시예가 반드시 다른 실시예들에 비하여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들(User Terminal, UT)(106A-N)에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04)를 포함한다. UT들(106)은 실제 레거시 국(station)들이거나, 또는 감소된 기능성 사용자 단말들, (즉 스마트 레거시 단말들) 또는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802.11 용어에 따르면, 본 문서에서 상기 AP와 UT들은 또한 국(station)들, STA들 또는 노드(node)들로 지칭한다. 여기 제시된 기법들과 실시예들은 또한 다른 종류의 시스템들(예로써 상기 기술한 셀룰러 표준들을 포함)에도 적용가능하다. 여기에 이용된 바로는, 용어 기지국(base station)은 용어 액세스 포인트와 대체하여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사용자 단말은 용어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가입자 장치(subscriber unit), 가입자 국(subscriber station),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이동국(mobile station), 또는 종래 알려진 다른 상응하는 용어들과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이동국은 고정 형 무선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들(106)은 직접 다른 단말과 통신한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802.11(e)에 의해 도입된 다이렉트 링크 프로토콜(Direct Link Protocol, DLP)은 STA로 하여금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동일한 AP에 의해 제어됨)내에서 프레임들을 직접적으로 다른 수신 STA로 향하게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가 요구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독립 BSS(Independent BSS, IBSS)가 STA들의 임의의 조합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20)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들의 애드 혹 네트워크(Ad hoc network)들은 임의의 공지된 무수한 통신 포맷(format)들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P와 UT들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120)을 통해 통신한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WLAN(120)은 고속 MIMO OFDM 시스템이다. 그러나, WLAN(120)은 임의의 무선 LAN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04)는 임의의 수의 외부 장치들 또는 프로세스들과 네트워크(102)를 통해 통신한다. 네트워크(102)는 인터넷,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유선, 무선, 또는 광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접속(110)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104)로 물리 계층 신호들을 반송(carry)한다. 장치들 또는 프로세스들은 WLAN(120)에서 네트워크(102)에 접속되거나 UT들일 수 있다. 네트워크(102) 또는 WLAN(120)의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장치들의 예에는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들, 다양한 종류의 컴퓨터(랩톱, 퍼스컴, 워크 스테이션, 임의의 종류의 단말들), 카메라, 캠코더, 웹캠과 같은 영상 장치들, 그리고 사실상 임의의 다른 종류의 데이터 장치를 포함된다. 프로세스들은 음성, 영상, 데이터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데이터 스트림(stream)들은 가변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기법을 이용하여 적응되는 가변 전송 요구사항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WLAN(120)상의 접속들은 고 스루풋(High Throughput, HT) 사용자 단말들(108A-N)에 대한 것이다. HT 사용자 단말들(108)은 차세대 표준(여기서 명확화를 위해 고 스루풋 시스템으로 칭함)에 따라서 동작하는 단말들을 표시하는데 이용된다. HT 사용자 단말들(108)은 도시한 바와 같이, AP(104) 또는 직접적으로 서로 간에 통신할 수 있다. HT UT들(108) 사이에 도시한 접속들은 고 스루풋(또는 비-레거시(non-legacy)) 포맷에 따라 동작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접속은 UT들(106)과는 나타나지 않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HT UT들(108)은 또한 레거시 프로토콜들에 따라서 UT들(106)과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할 것이다.
시스템(100)은 중앙 집중 AP(104)로써 구축될 수 있다. 모든 UT들(106)과 (108)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AP와 통신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로, 두 UT들 사이의 직접 피어-투-피어(peer-to-peer) 통신이, 상기 시스템에 대한 수정과 함께 적응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이하에서 예시될 예시들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임의의 국(station)이 지정된 액세스 포인트를 지원하는 실시예에서, 지정된 AP로서 설정될 수 있다. 액세스는 AP, 또는 애드 혹(즉 경합(contention) 기반)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AP(104)는 이더넷(Ethernet) 적응을 제공한다. 이 경우, IP 라우터가 상기 AP와 더불어 구축되어 네트워크(102)로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상세내용은 도시하지 않음). 이더넷 프레임들은 상기 라우터와 상기 UT들(106) 사이에서 상기 WLAN 서브-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이하에서 상술함). 이더넷 적응 및 접속성은 공지되어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로, 상기 AP(104)는 IP 적응(IP Adaptation)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AP는 접속된 UT들의 세트를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라우터로서 작동한다(상세내용은 도시하지 않음). 이 경우, IP 데이터그램(datagram)들은 상기 AP(104)에 의해 상기 UT들(106)로 그리고 UT들(106)로부터 라우트(route) 될 수 있다. IP 적응 및 접속성(connectivity)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도 2는 무선 통신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며, 액세스 포인트(104) 또는 사용자 단말(106) 또는 (108)로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예시적인 STA로, 시스템(100)에서의 구축에 적합하다. 액세스 포인트(104) 구성이 도 2에 제시된다. 트랜시버(Transceiver)(210)는 접속(110)에서 상기 네트워크(102)의 물리 계층 요구사항들에 따라 수신하고 전송한다. 네트워크(102)에 접속된 장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의 또는 장치나 애플리케이션으로의 데이터는 처리기(processor)(220)로 전달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여기에서 플로우(flow)로 칭할 수 있다. 플로우들은 다른 특성들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플로우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기초하여 다른 프로세싱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또 는 음성은 저-지연(low-latency) 플로우들(일반적으로 영상은 음성보다 더 높은 스루풋(throughput) 요건을 가짐)로써 특징지워 질 수 있다. 많은 데이터 애플리케이션들은 지연에 덜 민감하지만, 더 높은 데이터 무결성(integrity) 요건들을 가질 수 있다(즉, 음성은 일부 패킷 손실이 허용될 수 있고, 파일 전송은 일반적으로 패킷 손실을 용납하지 않음).
처리기(220)는 플로우들(260)을 수신하여 상기 물리계층으로의 전송을 위해 이들을 처리하는 매체 접근 제어(MAC) 프로세싱 유니트(unit)(상세부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처리기(220)는 또한 물리 계층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인출 플로우들을 위한 패킷(packet)들을 형성할 수 있다. 802.11 WLAN 관련 제어 및 시그널링(signaling)은 또한 상기 AP와 UT들 사이에서 통신될 수 있다. 물리 계층(Physical layer, PHY)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Protocol Data Unit)(PPDU)들에 캡슐화된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MAC Protocol Data Unit, MPDU)들은 무선 LAN 트랜시버(260)으로 전달되고 무선 LAN 트랜시버(260)으로부터 수신된다. MPDU는 또한 프레임으로서 칭하여 진다. 단일 MPDU가 단일 PPDU에 캡슐화되면, 때때로 상기 PPDU는 프레임으로 칭해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임의의 변환 기법을 채택할 수 있으며, 용어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바뀔 수 있다. 다양한 MAC ID들에 상응하는 피드백(feedback)은 다양한 목적으로 상기 물리 계층 처리기(220)로부터 반환될 수 있다. 피드백은 채널들에 대해 지원가능한 레이트들(유니캐스트(unicast) 채널들과 더불어 멀티캐스트(multicast)를 포함), 변조 포맷, 그리고 다fms다양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물리 계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기(220)는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는 특수-목적 처리기(special-purpose processor)일 수 있다. 처리기(220)는 특수-목적 하드웨어에 접속되어 다양한 작업들(상세내용은 도시하지 않음)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애프리케이션들이 외부적으로 접속된 컴퓨터와 같은, 외부적으로 접속된 처리기들 상에서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무선 통신 장치(104), (106) 또는 (108) 내부의 부가적인 처리기 상에서(도시하지 않음)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처리기(220) 자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처리기(220)는 메모리(230)에 접속된 것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메모리(230)를 이용하여 여기에 기술한 다양한 처리절차(procedure)들과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과 함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당업자는 메모리(230)가 다양한 종류의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고, 전체로서 또는 부분적으로 처리기(220) 내부에 내장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여기 기술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외에, 또한 메모리(230)를 이용하여 다양한 큐(queue)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무선 LAN 트랜시버(260)는 어떠한 종류의 트랜시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 무선 LAN 트랜시버(260)는 OFDM 트랜시버로서, MIMO 또는 MISO 인터페이스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OFDM, MIMO, 그리고 MISO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OFDM, MIMO, 그리고 MISO 트랜시버들은 병행-출원중인 것으로서 2003년 8월 27일 출원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번 호. 10/650,295, 발명의 명칭 "광대역 MISO 및 MIMO 시스템을 위한 주파수-독립 공간-프로세싱(FREQUENCY-INDEPENDENT SPATIAL-PROCESSING FOR WIDEBAND MISO AND MIMO SYSTEMS)"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SIMO 또는 SISO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LAN 트랜시버(260)가 안테나(270 A-N)와 접속된 것이 도시된다. 임의의 수의 안테나들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지원될 수 있다. 안테나(270)들을 이용하여 WLAN(120) 상에서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무선 LAN 트랜시버(26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270) 각각과 통신하여 공간 처리기(spati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처리기는 각각의 안테나에 대해 독립적으로 전송을 위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또는 모든 안테나들에 수신된 신호들을 함께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독립 프로세싱(processing)의 예들은 채널 추정(channel estimate)들, 상기 UT로부터의 피드백, 채널 반전(channel inversion), 또는 공지된 다양한 다른 기법들에 기초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은 임의의 다양한 공간 프로세싱 기법들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종류의 다양한 트랜시버들은 빔 형성(beam forming), 빔 스티어링(beam steering), 고유치-스티어링(eigen-steering), 또는 특정한 사용자 단말로 그리고 특정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스루풋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공간 기법들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OFDM 심볼들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공간 처리기는 각각의 OFDM 서브채널(subchannel)들, 또는 빈(bin)들을 처리하기 위한 서브-공간 처리기(sub-spatial processors)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상기 AP(또는 UT와 같은 임의의 STA)는 N개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고, 예시적인 UT는 M개의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M x N 개의 경로들이 상기 AP와 UT의 안테나들 사이에 존재한다. 이러한 다중 경로들을 이용하여 스루풋(throughput)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공간 기법들은 공지되어 있다. 시공간 전송 다이버시티(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STTD) 시스템(또한 여기서 "다이버시티(diversity)"로도 칭한다)에서, 전송 데이터가 포맷되고 인코딩되어 상기 모든 안테나들을 통해 데이터의 단일 스트림(stream)으로써 전송된다. M개의 전송 안테나들과 N개의 수신안테나들에서 형성가능한 MIN (M, N)개의 독립 채널들이 존재한다. 공간 다중화는 이러한 독립 경로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상기 독립 경로들 상으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전송 레이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AP와 UT 사이의 채널의 특성을 습득하거나 적응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알려져 있다. 유일한 파일럿(pilot)들이 각각의 전송 안테나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파일럿들은 각각의 수신 안테나에서 수신되고 측정된다. 그리고 나서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이 전송에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전송 장치에 반환된다. 상기 측정된 채널 매트릭스(matrix)의 고유치 분석(eigen decomposition)이 수행되어 상기 채널 고유모드(eigenmode)들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에서 상기 채널 매트릭스의 고유치 분석을 피하기 위해, 대안적인 기법은 상기 파일럿과 데이터의 고유-스티어링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기에서의 공간 프로세싱을 간소화한다.
따라서, 현재의 채널 상태들에 따라, 가변 데이터 레이트들이 상기 시스템을 통한 다양한 사용자 단말들로의 전송에 이용가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AP와 각각의 UT 사이의 특정한 링크(link)는 상기 AP로부터 둘 이상의 UT에 공용될 수 있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링크보다 더 높은 성능을 보여줄 수 있다. 무선 LAN 트랜시버(270)는 AP와 UT 사이의 상기 물리 계층 링크에 어떠한 공간 프로세싱이 이용되는지에 기초하여 지원가능한 레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이후의 프로세싱, 예컨대 MAC 프로세싱에서 이용하기 위해 피드백 될 수 있다.
도시를 위해, 메시지 디코더(message decoder)(540)가 무선 LAN 트랜시버(260)와 처리기(220) 사이에 배치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로, 상기 메시지 디코더(240)의 기능은 처리기(220), 무선 LAN 트랜시버(260), 다른 회로, 또는 그들의 조합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메시지 디코더(240)는 상기 시스템 내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수의 콘트롤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signaling) 메시지들을 디코딩하는데 적합하다. 일례로, 메시지 디코더(240)는, 하기 기술하는 바와 같이, PPDU 필드들을 수신하고 디코딩하는데 적합하다. 다른 다양한 메시지들이 임의의 수의 공지된 메시지 디코딩 기법을 이용하여 디코딩될 수 있다. 메시지 인코더(250)가 유사하게 처리기(520)와 무선 LAN 트랜시버(2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그리고 또한 처리기(220), 무선 LAN 트랜시버(260), 다른 회로, 또는 그들의 조합의 전체 또는 일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기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들의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메시지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기법들은 당해 기술분야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도 3은 레거시 802.11 a/g PPDU(370)를 나타내며, PLCP 프리앰블(preamble)(375)(12 OFDM 심볼들), PLCP 헤더(header)(310), 가변 길이 PSDU(345), 6-비트 테일(tail)(350), 그리고 가변 길이 패드(pad)(335)를 포함한다. PPDU(370)의 부분(360)은 레이트=1/2에서 BPSK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신호 필드(SIGNAL field)(1 OFDM 심볼), 그리고 상기 변조 포맷 및 신호(380)에서 지시되는 레이트와 함께 전송되는 가변 길이 데이터 필드(385)를 포함한다. PLCP 헤더(310)는 신호(380) 및 16-비트 서비스 필드(Service field)(340)(데이터(385)에 포함되어, 그 포맷에 따라서 전송됨)를 포함한다. 신호 필드(380)는 레이트(315)(4 비트), 예약 필드(reserved field)(320)(1 비트), 길이(Length)(325)(12 비트), 패리티(Parity) 비트(330), 그리고 테일(Tail)(335)(6 비트)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필드는 코딩된(coded) OFDM 심볼들을 위해 가장 강한 변조 및 코딩 포맷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상기 신호 필드 내부의 상기 레이트 필드는 상기 PPDU의 데이터 부분에 대한 변조 및 코딩 포맷을 지시한다. 802.11-2003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4-비트 레이트 필드의 비트 4는 사용되지 않는다(항상 0으로 설정됨).
802.11n을 위해, 역 호환성 PPDU 타입들이 도입되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확장된 신호 필드들이 레거시 PLCP 헤더에 도입되어 레거시 802.11의 상기 신호 필드(380)와 역 호환가능(backward compatible)하게 된다. 레거시 신호 필드(380)의 상기 레이트 필드(315)의 이용되지 않은 값들은 새로운 PPDU 타입들을 정의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고 스루풋 시스템은 2004년 10월 13일에 출 원된 병행 출원중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0/964,330으로서, "레거시 시스템 상호운용성을 갖는 고속 미디어 액세스 콘트롤(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WITH LEGACY SYSTEM INTEROPERABILITY)"로 명명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출원에 개시되고 여기에서 참조로서 삽입된다(이하에서 '330 출원).
상기 '330 출원에서, 몇가지 새로운 PPDU 타입들이 도입된다. 레거시 STA들과의 역 호환성을 위해, 상기 상기 PLCP 헤더의 신호 필드 내의 상기 레이트 필드가 레이트/타입(RATE/Type) 필드로 수정된다. 레이트의 미이용된 값들은 PPDU 타입으로서 지정된다. 상기 PPDU 타입은 또한 신호2(SIGNAL2)로 지명된 신호 필드 확장(SIGNAL field extension)의 존재와 길이를 지시한다. 상기 레이트/타입 필드의 이러한 값들은 레거시 STA들에 대해서는 정의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레거시 STA들은 성공적으로 상기 신호1 필드를 디코딩한 후의 상기 PPDU의 디코딩과 상기 레이트 필드 내의 정의되지 않은 값을 찾는 것을 포기한다. 대안적으로, 레거시 신호 필드 내의 상기 예약(Reserved) 비트가 '1'로 세트(set)되어 새로운 클래스의 STA로의 MIMO OFDM 전송을 지시할 수 있다. 수신하는 STA들은 상기 예약 비트를 무시하고 계속하여 상기 신호 필드 및 나머지 전송을 디코딩하려고 할 수 있다. HT 수신기는 상기 PPDU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2 필드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레거시 단말들을 스푸핑하여, 이로써 그러한 단말들을 공용 매체(shared medium) 상에서의 통신과의 간섭으로부터 보호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이는 고 스루풋 시스템과 같은, 대체 시스템으로 하여금 레거시 단말들로부터의 간섭 없이 공용 매체 상에서 동작하게 하여 준다. 스푸핑에 관한 기법들의 특정한 예들이 산업 그룹들(industry groups)로부터의 현행 몇몇 제안들에서 발견가능한데, TGnSync, WWiSE 및 샤프(Sharp)로 알려진 제안들이 있다. 이러한 제안들은 이하의 문서들에서 찾을 수 있으며, 각각: 태스크 그룹 n에 대한 TgnSync 제안(TgnSync proposal to Task Group n), 문서 04/889r0 (11-04-0889-00-000n-tgnsync-porposal-technical-specification.doc); 태스크 그룹 n에 대한 WWiSE 제안(WWiSE Proposal to Task Group n), 문서 04/886r0 (11-04-0886-00-000n-wwise-proposal-ht-spec.doc); 그리고 태스크 그룹 n에 대한 샤프-엔티티 제안(Sharp-NTT Proposal to Task Group n), 문서 04/938r2 (11-04-0938-02-00n-proposal-802-11n.doc)이다. 다른 기법들 또한 제안되었고 태스크 그룹 n에 대한 콸콤 제안(QUALCOMM proposal to Task Group n), 문서 04/870r0 (11-04-0870-00-00n-802-11-ht-system-description-and-operating-principles.doc)에 포함되어 있다. 각각의 이러한 제안들은 여기에서 명백히 참조로써 삽입된다.
도 4는 감소된 기능성 사용자 단말들에서 레거시 스푸핑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400)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일반화된 실시예는 몇가지 특징들로서, 이하에서 상술할 더 자세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스푸핑은 동일한 공용 매체를 이용하여 레거시 단말들과 고 스루풋 단말들에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허용하기 위해 수행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거시 단말들을 스푸핑하고 그들로 하여금 어느 시간 주기 동안 상기 공용 매체와의 간섭을 억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용 매체는 그 듀레이션 동안 레거시 단말들이 지원하지 않는 변조 포맷들 및/또는 다른 시스템 파라미터들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더 높은 스루풋과 같은 개선된 통신, 저전력, 증가된 용량 등이 상기 공용 매체에서 실현될 수 있다. "스마트"하지 않은 레거시 단말들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기법들을 이용하여 스푸핑될 수 있으며, 그 예들은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그러나, 상기 스푸핑된 단말들에 대한 약점들이 있을 수 있는데 여기에 상술한 다양한 특징들을 이용하여 극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푸핑 기법들을 인지하고 있는 감소된 기능성 사용자 단말은 스푸핑이 시도되는 상기 시간 주기 동안 전력을 유지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사용자 단말은 상기 스푸핑 시도와 협력하지만, 상기 이롭지 않은 효과들을 겪도록 요구받지는 않는다. 하나 이상의 저전력 상태(low power state)에 진입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은 공지되어 있으며, 임의의 그러한 기법이 일단 스푸핑이 검출되면 스마트 레거시 단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푸핑을 검출하는 것이 그러한 감소된 기능성 사용자 단말들에 유용할 수 있다. 전력 절약(power saving)(즉, 스푸핑이 검출되는 듀레이션 동안 슬립(sleep)으로 진입함)과 더불어 사용자 단말은 스푸핑이 검출될 때 다른 방법들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푸핑을 검출한 레거시 단말은 상기 채널이 다른 다양한 단말들을 위해 이용됨을 알고 공용 매체에 액세스하기 위한 우선권에 관련하여 대체적인 방안들을 취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평전략(fairness strategy)들이 개발되어 사용자 단말들로 하여금 각각의 단말들이 상기 공용 매체에 액세스하게 하는 백오프(backoff)(예컨대 802.11 표준에서 제시되는 DFS)와 같은 기술 등을 이용하여 공유하게 한다. 스푸핑된 단말은 다른 요소들 중에서, 스푸핑 검출을 이용하여 그 우선권을 바꿀 것인지, 백오프 프로시저(procedure)들을 수정할 것인지 등을 결정하여 레거시 사용자 단말들에 의한 상기 공용 매체에의 공평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02.11 MAC 프로시저들은 단말이 실패한 수신 후에 따라야 할 프로시저들을 열거한다. 이러한 프로시저들은 상기 단말이 스푸핑되고 있음을 알 경우 수정될 수 있다. 또한, 스푸핑된 휴대용 보이스 오버 아이피(Voice over IP, VOIP) 단말은 상기 스푸핑된 주기를 이용하여 인근 AP 검색과 음성 통화 핸드오프(handoff)를 준비하기 위한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당업자는 여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스푸핑이 검출되면 수행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동작들을 알 것이다.
방법(400)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410에서 시작하며, 역 호환성 PPDU 포맷이 전송된다. 상기 제안된 표준들을 참조로 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더 새로운 명세는 레거시 단말들이 PPDU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신하고 디코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송되는 PPDU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PLCP 헤더(310)를 갖는 PPDU가 전송될 수 있다. PPDU는 상기 '330 출원에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수정될 수 있다. 당업자는 레거시 시스템들과 호환가능한 하나 이상의 섹션(section)들을 갖는 PPDU들을 전송하는 다른 수많은 방법들을 알 것이다.
420에서, 고 스루풋 포맷 지시자(또는 레거시 단말들과의 호환성이 요구되는 임의의 종류의 통신 표준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스푸핑이 요구된다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역 호환성 PPDU 포맷이 410에서 전송되고, 반면 HT 장치들에게 상기 PPDU 전송의 고 스루풋 포맷을 지시하기 위해 고 스루풋 장치들에 의해 디코딩 가능한 지시자가 420에서 이용된다. 일부 예로써, 상기 역 호환성 PPDU 포맷은 레거시 국(station)으로 또는 레거시 국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고, 따라서 고 스루풋 지시자는 그러한 PPDU들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지시자는 레거시 단말들이 스푸핑 될 때에 포함되고, 비-레거시(non-legacy) 단말들(즉 HT 단말들)은 전송된 PPDU에 응답하여 어떤 대체적인 방법들을 수행할 것이다.
430에서, 상기 감소된 기능성 사용자 단말은 고 스루풋 지시자가 전송되었는지를 검출하려고 시도한다. 만일 그렇다면, 44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460에서, 레거시 PPDU가 전송되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레거시 프로시저에 따라서 상기 PPDU를 디코딩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 프로세스는 중지될 것이다.
440에서, 만일 상기 고 스루풋 지시자가 검출되었다면, 스푸핑이 검출된 것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레거시 프로토콜에 의해 요구되는 것처럼 상기 PPDU의 듀레이션 동안 상기 채널과의 간섭을 억제할 것이다. 이 듀레이션 동안, 사용자 단말은 다양한 방법들 중 하나를 취할 것이며, 그 예들이 상기 제시되었다. 상기 듀레이션을 검출하기 위한 몇 가지 예시적인 기법들은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본 예의 450에서, 고 스루풋 지시자를 검출하자마자,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고 스루풋 PPDU의 듀레이션 동안 상기 채널을 이용하는 것을 디스에이블 (disable) 시킨다. 그러므로, 본 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여 배터리 수명을 보전할 수 있다. 저전력 또는 슬립(sleep) 상태들의 다양한 레벨(level)들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전개될 수 있고, 스푸핑이 검출될 때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예시적인 제안들에 기술된 예들인, 다양한 스푸핑 기법들은 신호(SIGNAL) 필드의 길이(Length)와 레이트(Rate) 필드를 이용하여 레거시 STA들을 스푸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거시 노드(스푸핑을 검출하지 않는다면)는 상기 신호 필드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된 레이트(rate)로 상기 패킷의 나머지를 디코딩하기 시작하고 상기 길이/레이트 시간의 끝까지 이를 계속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스푸핑은 길이(Length) 및 레이트(Rate) 필드들의 특성을 이용하여, (길이/레이트) - (EIFS - DIFS)가 의도된 NAV 듀레이션과 동일하게 된다. 상기 레이트 필드를 모든 레거시 STA들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는 값으로 세팅(set)함으로써, 이러한 두 필드들에 의해 스푸핑 되는 레거시 노드는 계속하여 상기 (길이/레이트) - (EIFS - DIFS) 기간 동안 수신을 계속할 것이고, 그 기간 동안 전송을 시작하는 것을 억제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802.11n을 위해 제안된 다양한 고 스루풋 실시예들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트는 6 Mbps로 세트될 수 있고 상기 길이 필드는 상기 고 스루풋 PPDU를 포함하는 그러한 방법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전송 제어(transmission control)는 레거시 노드들의 매커니즘을 바꾸지 않고 이뤄질 수 있다.
이 기법을 이용하여, 동일한 "길이/레이트"를 달성하는 다수의 길이 및 레이 트의 조합들이 있을 수 있고, 그래서 스푸핑 이니시에이터(initiator)는 상기 조합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일정한 자율성을 가질 수 있다. 이니시에이터가 설정할 수 있는 최대 스푸핑 듀레이션은, 본 예에서, 패킷의 최대 길이와 본래의 프로토콜이 감당할 수 있는 최소 레이트에 의해 결정된다.
예시적인 802.11 실시예에서, 신호 에너지 레벨(signal energy level)은 상기 패킷의 수신 중에 내려갈 수 있는데, 이는 실제 패킷 길이가 상기 스푸핑된 길이보다 작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IEEE 802.11a MAC 명세(IEEE Std 802.11a-1999, 페이지 37, 도 125 참조)에 따르면, 레거시 노드들은 상기 길이 및 레이트 필드를 준수하여, 상기 길이/레이트 동안 상기 채널에서 비활성(inactive)으로 유지된다.
대체적인 실시예로, 802.11n과 같은 예시적인 HT 시스템에서 채택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푸핑된 신호(SIGNAL) 필드에 이어 802.11n STA들(즉 HT UT들)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는 확장 신호(Extension SIGNAL) 필드가 따라올 수 있다. 상기 확장 신호 필드는 802.11n 노드들이 이용할 실제 레이트 및 실제 길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레거시 신호 필드를 디코딩한 후, 802.11n 노드는 상기 신호 필드가 스푸핑되는지와 확장 신호 필드(단일화된 레이트로 전송됨)가 뒤따르는지, 또는 상기 패킷이 레거시 "스푸핑되지 않은(un-spoofed)" 패킷인지와 상기 신호 필드에서 특정된 레이트(rate)로 코딩된 MAC 헤더가 뒤따르는지를 알지 못할 것이다. 일부 지시자는 802.11n STA들이 확장 신호 필드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정의될 필요가 있다.
상기 TGnSync 제안에서 그러한 지시자에 대해 제안된 하나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802.11n STA들로 하여금 확장 신호 필드의 존재를 검출하게 하기 위해, 상기 확장 신호에 대한 BPSK 신호가, 상기 레거시 PLCP 신호 필드에 대하여, 90-도 위상 회전으로 전송된다. 고 스루풋 지시자를 포함하기 위한 성상도(constellation)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 5에 표시된다. 802.11n 장치는 두 가지 가설을 테스트할 것이다: 상기 신호 필드에 지시된 상기 성상도(constellation)를 복조하려고 시도할 것이고, 그와 동시에 원래의 것으로부터 90도의 BPSK 성상도(constellation)를 복조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동시에 상기 두 가지 성상도(constellation)를 복조하기 위한 시도 후에, 상기 확장 신호 필드의 특정 길이에 대해, 802.11n 노드는 90도 위상 편이된 BPSK 성상도(constellation)의 출력을 취하고, 상기 확장 신호 필드를 디코딩하고 그 CRC를 체크할 것이다. 상기 CRC가 통과되면, 이것이 802.11n PPDU임을 인식하고 상기 확장 신호 필드에 특정된 실제 레이트(True Rate) 및 실제 길이(True Length)를 이용하여 상기 MAC 헤더를 계속하여 디코딩할 것이다. 만일 상기 CRC가 실패하면, 그것이 레거시 PPDU임을 인식하고 수신중이던 레거시 MAC 헤더를 해석할 것이다. 이러한 두 가설들은 동시에 테스트될 수 있다. 더군다나, 이러한 가설들을 테스트하는 다른 방법들도 가능한데, 예를 들면, 정합 필터(matched filter) 또는 상관 검출기(correlation detector)를 이용하고 에너지 임계치(energy threshold)들을 이용하여 상기 가설들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레거시 사용자 단말은 레거시 BPSK 복조에 관한 상기 성상도 (constellation)(510)를 이용할 것이다. 고 스루풋 사용자 단말은 레거시 BPSK 성상도(constellation)(510)와 더불어,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90도 위상 편이된 HT 성상도(constellation)(520)를 이용할 것이다. 당업자는 다양한 대체 성상도(constellation)들을 이용하여, 고 스루풋 지시자로서 이용되는 PPDU의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segment)들에 대해, 하나 이상의 필드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레거시 STA들을 스푸핑하는데 있어 한가지 문제점은 이러한 PPDU들을 복조하고 디코딩하려고 시도함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STA들에서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6은 역 호환성 PPDU에서 고 스루풋 지시자를 포함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610에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도 4의 420으로서의 전개에 적합하도록, 국(station)은 레거시 PPDU(상기 상술한 PPDU(370)과 같은)각각에 대해서 위상 편이(또는 다른 변조 포맷 차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과 함께 PDU를 전송한다.
대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이트 필드(또는 다른 필드 세팅)의 이용되지 않은 값들이 고 스루풋 지시자로서 이용될 수 있다. 대체예인 고 스루풋 포맷 지시자가 도 7에 표시된다. 710에서, PLCP 필드는 비-레거시(non-legacy) 모드를 지시하도록 설정된다. 이는 상기 기술한 도 4의 단계(420)로서의 전개에 적합하다. 예약 비트 또는 상기 레이트 필드의 미사용 레이트나 타입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예시적인 필드 세팅들이 여기에서 기술되었다. 당업자는 임의의 필드값이 비-레거시 모드 전송을 지시하도록 수정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일 실시예로, 상기 PLCP 헤더의 신호 필드 내의 레이트 필드는 레이트/타입 필드로 수정된다(앞서 말한 '330 출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레이트의 이용되지 않는 값들이 PPDU 타입으로 지정된다. 상기 PPDU 타입은 또한 신호2(SIGNAL2)로 지정되는, 신호 필드 확장의 존재와 길이를 지시한다. 다양한 PPDU 타입들이 정의될 수 있고, 이는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레이트/타입 필드들은 레거시 STA들을 위해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성공적으로 상기 신호1(SIGNAL1) 필드를 디코딩하고 상기 레이트 필드의 정의되지 않은 값을 찾자마자, 레거시 STA들은 상기 PPDU의 나머지 부분의 디코딩을 포기하고 클리어 채널 평가(clear channel assessment, CCA)를 시도하여 언제 상기 매체가 다시 아이들(idle)하게 되는지 결정하려고 할 수 있다.
레거시 STA들은 CCA를 위해 에너지 검출(energy detection) 또는 프리앰블(Preamble)의 앞부분과의 상관을 이용할 것이다. PPDU 복조 및 디코딩에 비하여 수신 프로세싱 복잡도(receive processing complexity)의 단지 작은 일부만이 CCA를 위해 요구되며, 따라서 스푸핑된 레거시 단말들이 이러한 과정의 동작을 따라야 한다면 스푸핑의 효과들은 줄어들 것이다. 그럼에도, 이러한 예시적인 스푸핑 제안 두 가지 모두는 레거시 STA들에서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초래한다. 정의되지 않은 레이트 값들이 이용된 제 2 방법은 더 적은 배터리 소모를 가져올 수 있는데, 이는 CCA 회로가 상기 레거시 STA들에서의 완전한 디코딩 체인(chain)보다 더 적은 전류를 소모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도 4에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스푸핑을 검출하는 것(즉 고 스루풋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는 것)은 그러한 전류 소모를 피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8은 고 스루풋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43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방법은 도 5 및 6과 관련하여 상기 기술된 것과 같은 고 스루풋 포맷 지시자 기술들과 함께 이용하는데 적합하다. 810에서, 사용자 단말은 동위상(in-phase), 즉 레거시 성상도(constellation)를 이용하여 PLCP 헤더의 상기 신호 필드를 디코딩한다. 820에서, 사용자 단말은 위상 편이로써 상기 신호 필드를 디코딩한다.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으로서, 상기 PLCP 헤더의 임의의 부분, 또는 PPDU는 위상 편이(또는 다른 변조 포맷 지시자)를 결정하도록 디코딩될 수 있다.
830에서, 위상 편이 에너지가 검출되면, 스푸핑이 840에 제시된 것처럼 검출된다. 그렇지 않으면, 스푸핑은 850에 도시된 것처럼 지시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위상으로 에너지를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기법들 중 임의의 하나가 여기 기술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고 스루풋 포맷 지시자는 성상도(constellation)들(510) 및 (520) 모두 또는 성상도(constellation)(520)과 같은 단일 성상도(constellation)로 전송함으로써 지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감소된 기능성 사용자 단말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고 스루풋 장치에 대해 유사한 방법으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시에 특정 길이에 대해 두 가지 성상도(constellation)들을 모두 디코딩하여 확장 신호 필드를 결정하고, CRC를 체크하고, 그리고 나서 상기 신호 필드에 특정된 실제 레이 트와 실제 길이를 이용할 수 있다. 대체적인 실시예로,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자 기능성 사용자 단말로써, 두 가지 위상들에서의 단순한 에너지 검출 및 이들의 비교를 이용하여 스푸핑이 전개중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고 스루풋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930)의 대체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이 방법은 도 7과 관련하여 상기 기술된 것과 같은 고 스루풋 포맷 지시자 기법들과 함께 이용하는데 적절하다. 91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레거시 프로시저들을 이용하여 PLCP 헤더를 디코딩한다. 920에서, 이용되지 않거나 또는 예약된 필드가 상기 PLCP 헤더 안에 세트(set)되면, 930으로 진행하여 스푸핑이 검출된다. 그렇지 않으면, 9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푸핑이 검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예약 비트(bit)들, 이용되지 않은 레이트(rate)들, 이용되지 않은 타입(type)들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필드가 고 스루풋 지시자로서 이용될 수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920)에서 검출될 수 있다.
여기에 상술한 것처럼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채택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실시예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채널을 오프(off)로 유지함으로써 스푸핑 시도를 수용하고 싶어할 수 있다.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레거시 즉 감소된 기능성 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도 4의 단계(440)에 관하여 상기 채널 상에서 비활성(inactive)으로 남아 있어야 할 적절한 듀레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는 그러한 기법들의 두 가지 예이다. 이들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종류의 고 스루풋 지시자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거시 신호 필드의 레이트 및 길이 필드가 이용되어,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듀레이션을 결정 할 수 있다. 또는, 만일 갖추어진다면, 감소된 기능성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회전된 BPSK 변조의 존재를 검출하고, 상기 확장 신호 필드를 복조하고, 그리고 상기 HT PPDU의 실제 레이트 및 실제 길이를 결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그것은 상기 레거시 신호 필드에 세트된 상기 레이트 및 길이 필드 값들이 지시하는 스푸핑된 듀레이션이 아닌 정확한 상기 PPDU의 잔여 듀레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정의되지 않은 레이트 값이 이용되는 경우에, 레거시 STA들은 유사하게 확장 신호 필드의 포맷을 결정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802.11n PPDU의 듀레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고 스루풋 PPDU의 듀레이션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440)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 10에 제시된다. 본 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440에서, 상기 신호 필드로부터의 고 스루풋 PPDU의 듀레이션을 디코딩할 것이다. 상기 신호 필드의 PPDU의 듀레이션을 포함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레이트 및 길이로서, 시간 듀레이션을 지시하는 산출물이다.
101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신호 필드로부터 길이 및 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공용 채널이 오프(off)로 유지되는 듀레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단계(1010)는 도 4와 관련하여 상기 기술한 방법(400)의 440으로서 채택하는데 적절하다.
도 11은 고 스루풋 PPDU의 듀레이션을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의 대체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1110은 상기 기술한 방법(400)에서 단계(440)에 채택하는데 적절한 대체 기법이다. 본 예에서, 확장 신호 필드는 상기 PPDU에 포함된다. 본 확장 필드는 PLCP 헤더의 임의의 부분, 또는 PPDU의 다른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레거시 국(station)들에 의해 식별가능한 변조 포맷들과 레이트들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거나, 다른 포맷들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1110에서, 상기 확장 신호 필드가 디코딩되어 상기 PPDU의 실제 길이를 결정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감소된 기능성 사용자 단말들은 가변 수준의 기능성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감소된 기능성 사용자 단말들은 레거시 표준들에 상술된 것과 다른 변조 포맷들로 수신하도록 준비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확장 신호 필드로부터 이 정보를 디코딩하고 그 듀레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공용 채널에 액세스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대체 단계들(백오프(backoff)를 감소시켜 불공평을 방지, 저 전력 상태로 진입, 대체 통신 작업들을 수행, 등)이 스푸핑이 검출될 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시나리오들에서, 상기 레거시 STA는 그 전송이 복조 및 디코딩할 수 없는 802.11n STA들에 의해 상기 매체가 점유될 때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피할 수 있다.
도 12는 무선 통신 장치(106)의 대체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메시지가 수신기(1210)에서 수신된다. 수신기(1210)는 공지된 임의의 종류의 수신기일 수 있고, 그러한 예들을 상기 기술하였다. 본 예에서, 상기 메시지의 제 1 부분은 제 1 통신 포맷으로 전송된다.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이 제 2 통신 포맷으로 전송될 때, 상기 메시지는 또한 대체 포맷 지시자(alternate format indicator)를 포함하며, 그러한 예들을 상기 기술하였다.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대체 포맷 지시자(1220)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달된다. 선택적으로, 도시한 바처럼,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의 듀레이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12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블록들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체 포맷 지시자(1240)를 검출하자마자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이 수단은 수단(1220)에서 결정되는 것으로서 검출된 대체 지시자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수단(1230)에 대한 접속이 배치되면, 또한 상기 결정된 듀레이션을 이용하여 어떻게 및/또는 얼마나 오래 전력을 감소시킬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는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즉 수단(1220))를 검출하자마자 대체 통신 채널로 통신하기 위한 수단(1250)이다. 즉, 수단(1230)이 배치되고, 수단(1250)으로의 접속이 배치되면, 상기 결정된 듀레이션을 이용하여 얼마나 오래 및/또는 어떠한 방식으로 상기 대체 통신이 발생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다양한 수단들이 배치될 수 있고, 그러한 예들이 여기 기술되며, 대체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자마자 동작가능하다.
도 13은 대체 포맷 지시자(1220)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본 예에서, 위상 편이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1310)이 배치되어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대체 포맷 지시자를 검출한다. 그러한 수단의 예들이 상기 기술되어 있다. 도 14는 대체 포맷 지시자(1220)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의 대체예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본 예에서, 대체 포맷 지시자 필드 세팅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1410)이 배치되어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대체 포맷 지시자를 검출한다. 그러한 수단의 예들 또한 상기 기술되어 있다.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다른 기술들과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instructions), 커맨드들(commands), 정보, 신호들(signals), 비트들(bits), 심볼들(symbols), 그리고 칩들(chips)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기장 또는 입자, 광장(optical field) 또는 입자,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나아가 당업자들은 여기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상기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회로 및 알고리듬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교환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 블록, 모듈, 회로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성의 표현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기술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반적인 시스템 상에 부과되는 설계 제한에 달려 있다. 당업자들은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기술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 결정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여기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그리고 회로들은 범용 처리기(processor),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반도체(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discrete gate) 또는 트랜지스 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또는 여기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임의의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처리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으로써, 상기 처리기는 임의의 종래의 처리기, 제어기(controller), 마이크로 제어기(microcontroller), 또는 상태 머신(state machine)일 수 있다. 처리기는 또한 컴퓨팅 장치의 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코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방법 또는 알고리듬의 단계들은 직접적으로 하드웨어에서, 처리기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상기 둘의 조합에서 구체화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registers), 하드디스크, 소거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탑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매체가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거나, 상기 저장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처리기와 연결된다. 대안으로써, 상기 저장매체는 상기 처리기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처리기와 저장매체는 ASIC내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ASIC은 사용자 단말에 탑재될 수 있다. 대안으로써, 상기 처리기와 저장매체는 사용자 단말 내의 이산 구성요소로서 탑재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이전의 실시예는 임의의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생산 또는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히 용이할 것이고, 여기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 제시된 상기 실시예들에 제한시키고자 함이 아니라 여기 개시된 원리들과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가장 광범위한 범위로 허용되어야 한다.

Claims (34)

  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로서, 상기 메시지의 제 1 부분은 제 1 통신 포맷(communication format)으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지는 제 2 통신 포맷이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을 전송하는데 이용될 때 대체 포맷 지시자(alternate format indicator)를 포함하는, 수신기; 및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고,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가 검출될 때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의 전송을 위한 듀레이션(duration)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가 검출될 때 상기 수신기가 상기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저전력 상태(low power state)로 진입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처리기(processor)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는 상기 메시지의 일부에 대한 위상 편이(phase shift)를 포함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는 상기 메시지 내부의 필드 세트(set)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내부의 하나 이상의 필드들을 디코딩(decode)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더(decoder)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처리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디코딩된 필드들에 응답하여 상기 저전력 상태로 남아 있기 위한 상기 듀레이션을 결정하는, 장치.
  5.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로서, 상기 메시지의 제 1 부분은 제 1 통신 포맷으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지는 제 2 통신 포맷이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을 전송하는데 이용될 때 대체 포맷 지시자를 포함하는, 수신기; 및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듀레이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 검출시에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 검출시에 대체 통신 채널 상으로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위상 편이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메시지 내부의 대체 포맷 지시자 필드 세팅(setting)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시지의 제 1 부분은 제 1 통신 포맷으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지는 제 2 통신 포맷이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을 전송하는데 이용될 때 대체 포맷 지시자를 포함하는, 메시지 수신 단계;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가 검출될 때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의 전송을 위한 듀레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가 검출될 때 상기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는 위상 편이를 갖는 상기 메시지의 일부의 전송인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포맷 지시자는 상기 메시지 내부의 필드 세트(set)인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내부의 하나 이상의 필드들을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디코딩된 필드들에 응답하여 상기 저전력 상태에 남아 있는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레거시(legacy) 필드들과 하나 이상의 확장(extension) 필드들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듀레이션은 상기 하나 이상의 확장 필드들로부터 결정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레거시 필드들에 대한 상기 값들의 세트(set)는 하나 이상의 상응하는 확장 필드들에 대한 상기 값들의 세트와 다른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제 1 부분은 제 1 통신 포맷으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은 제 2 통신 포맷으로 전송되며, 디코딩을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필드들은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 내부의 제 2 통신 포맷으로 전송되는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는 채널의 디코딩을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는 채널의 수신을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는 대체 통신 채널을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체 통신 채널은 상기 메시지가 수신된 상기 통신 채널과는 다른 방법.
  21. 제 11 항에 있어서,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저전력 상태를 벗어난 후에 이용하기 위한 백오프(backoff) 프로시저(procedure)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시지는 제 1 위상(phase)으로 전송되는 제 1 부분과 제 2 위상으로 전송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위상은 상기 제 1 위상과 다른, 메시지 수신 단계;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위상차(phase difference)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차가 검출될 때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내부의 하나 이상의 필드들을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디코딩된 필드들에 응답하여 상기 저전력 상태로 남아있는 듀레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레거시 필드들과 하나 이상의 확장 필드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듀레이션은 상기 하나 이상의 확장 필드들로부터 결정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레거시 필드들에 대한 상기 값들 세트는 하나 이상의 상응하는 확장 필드들에 대한 상기 값들 세트와 다른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제 1 부분은 제 1 통신 포맷으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은 제 2 통신 포맷으로 전송되며, 디코딩을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필드들은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의 상기 제 2 통신 포맷으로 전송되는 방법.
  27.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시지의 제 1 부분은 제 1 통신 포맷으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 1 통신 포맷의 파라미터들을 설정(set)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드들을 포함하는, 메시지 수신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필드들을 디코딩하는 단계; 및
    디코딩된 필드가 상기 제 1 통신 포맷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값으로 설정(set)되었을 때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드들은 예약 비트(reserved bit)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드들은 레이트(rate) 필드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드들은 길이(length) 필드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코딩된 필드들에 응답하여 상기 저전력 상태로 남아 있는 듀레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레거시 필드들과 하나 이상의 확장 필드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듀레이션은 상기 하나 이상의 확장 필드로부터 결정되는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레거시 필드들의 상기 값들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상응하는 확장 필드들의 상기 값들의 세트와 다른 방법.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은 제 2 통신 포맷으로 전송되고, 디코딩을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필드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메시지의 제 2 부분 내부의 제 2 통신 포맷으로 전송되는 방법.
KR1020077010197A 2004-10-05 2005-10-05 감소된 기능성의 사용자 단말에서의 레거시 스푸핑 검출 KR100989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633604P 2004-10-05 2004-10-05
US60/616,336 2004-10-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009A Division KR100983842B1 (ko) 2004-10-05 2005-10-05 감소된 기능성의 사용자 단말에서의 레거시 스푸핑 검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603A true KR20070074603A (ko) 2007-07-12
KR100989234B1 KR100989234B1 (ko) 2010-10-20

Family

ID=356776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009A KR100983842B1 (ko) 2004-10-05 2005-10-05 감소된 기능성의 사용자 단말에서의 레거시 스푸핑 검출
KR1020077010197A KR100989234B1 (ko) 2004-10-05 2005-10-05 감소된 기능성의 사용자 단말에서의 레거시 스푸핑 검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009A KR100983842B1 (ko) 2004-10-05 2005-10-05 감소된 기능성의 사용자 단말에서의 레거시 스푸핑 검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590078B2 (ko)
EP (3) EP2288081A1 (ko)
JP (1) JP4755188B2 (ko)
KR (2) KR100983842B1 (ko)
CN (1) CN101069386B (ko)
AT (1) ATE463940T1 (ko)
CA (2) CA2583352C (ko)
DE (1) DE602005020490D1 (ko)
TW (1) TW200633431A (ko)
WO (1) WO20060419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7913B2 (en) * 2005-04-04 2009-01-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termining a target transmit power of a wireless transmission according to security requirements
US7944897B2 (en) * 2005-11-03 2011-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ddressing channel access unfairness in IEEE 802.11n wireless networks
KR100708204B1 (ko) * 2005-11-07 2007-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에서 스테이션들간의 매체 접근에 대한 공정성을보장하는 방법 및 장치
JP5003177B2 (ja) 2007-01-26 2012-08-15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パケット送信方法、パケット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38836B2 (en) * 2007-07-09 2012-08-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for sending small packets in a peer-to-peer (P2P) network
US8428637B2 (en) * 2007-07-10 2013-04-23 Qualcomm Incorporated Extending access terminal battery life through search rate control
US8780798B2 (en) * 2008-03-05 2014-07-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s for providing enhanced signaling
US8670395B2 (en) * 2008-06-26 2014-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y driven contention scheme for supporting enhanced Qo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824495B2 (en) * 2008-07-02 2014-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ervation of disjoint time interval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HUE030038T2 (en) * 2009-02-18 2017-04-28 Lg Electronics Inc Coexistent channel access procedure
EP2420023B1 (en) * 2009-04-13 2014-08-27 Marvell World Trade Ltd. Physical layer frame format for WLAN
US9503931B2 (en) 2009-08-12 2016-11-22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ments to the MU-MIMO VHT preamble to enable mode detection
US8509329B2 (en) * 2009-11-06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frame using constellation mapping scheme an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the date frame
US11902068B2 (en) 2009-11-09 2024-02-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LCP fra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8681757B2 (en) 2009-11-09 2014-03-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LCP fra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8817920B2 (en) * 2009-12-18 2014-08-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298592B1 (ko) 2009-12-18 2013-08-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JP5695183B2 (ja) 2010-04-19 2015-04-01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無線通信方法並びに無線ステーション
US8953578B2 (en) 2010-06-23 2015-0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ion avoidance in multi-user multiple-input-multiple-output wireless networks
US9232543B2 (en) 2010-07-07 2016-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in multi-user multiple-input-multiple-output wireless networks
US8917743B2 (en) 2010-10-06 2014-1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contention avoidance in multi-user multiple-input-multiple-output wireless networks
US9300511B2 (en) * 2011-01-05 2016-03-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roughput of 5 MHZ WLAN transmissions
EP2547057A1 (en) * 2011-07-15 2013-01-16 ST-Ericsson SA A method for demodulating the HT-SIG field used in WLAN standard
US9008734B2 (en) * 2011-11-21 2015-04-14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WO2013147567A1 (ko) * 2012-03-30 2013-10-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US9232502B2 (en) 2012-10-31 2016-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uplink multi-user multiple-input-multiple-output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US9419752B2 (en) 2013-03-15 2016-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opportunity operation of uplink multi-user multiple-input-multiple-output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CN104380821A (zh) * 2013-05-08 2015-02-25 英特尔公司 用于5ghz频带中的装置共存的方法、无线通信站和系统
EP2995148A4 (en) * 2013-05-10 2016-12-14 Intel Corp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S AND SYSTEM FOR OPERATION IN THE 5 GHZ FREQUENCY BAND
US9295074B2 (en) 2013-09-10 2016-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knowledgement, error recovery and backoff operation of uplink multi-user multiple-input-multiple-output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US9871644B2 (en) 2014-08-19 2018-01-16 Intel IP Corporation Wireless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efficiency signal fields
US10225828B2 (en) 2015-11-02 2019-03-05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PPDU)
WO2018111320A1 (en) * 2016-12-12 2018-06-21 Intel IP Corporation Station (sta) and methods to spoof legacy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1635A (en) * 1996-12-18 1999-11-23 Ericsson, Inc. Reduced power sleep modes for mobile telephones
US6477156B1 (en) 1999-06-29 2002-11-0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ably operating radio device in alternate operating mode
CA2439697C (en) 2001-03-02 2007-11-13 At&T Corp. Interference suppression methods for 802.11
US6977944B2 (en) 2002-01-12 2005-12-20 Conexant, Inc. Transmission protection for communications networks having stations operating with different modulation formats
CA2475442C (en) 2002-03-08 2011-08-09 Aw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igh rate ofdm communications
JP2004040373A (ja) * 2002-07-02 2004-02-05 Canon Inc 無線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DK1404043T3 (da) * 2002-09-26 2008-02-18 Vkr Holding As Fremgangsmåde til styring af driften af mindst en sender og/eller en modtager, kommunikationssystem og anvendelse af en sådan fremgangsmåde eller et sådant system
WO2004071021A1 (ja) * 2003-02-03 2004-08-19 Sony Corporation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065144B2 (en) 2003-08-27 2006-06-20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independent spatial processing for wideband MISO and MIMO systems
US8842657B2 (en) 2003-10-15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with legacy system interoper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20318A1 (en) 2006-04-20
CN101069386B (zh) 2013-04-03
CA2583352C (en) 2011-01-25
EP1810454B1 (en) 2010-04-07
EP2169993B1 (en) 2013-05-01
US7590078B2 (en) 2009-09-15
JP2008516530A (ja) 2008-05-15
EP2169993A1 (en) 2010-03-31
EP2288081A1 (en) 2011-02-23
TW200633431A (en) 2006-09-16
KR100989234B1 (ko) 2010-10-20
CA2583352A1 (en) 2006-04-20
KR100983842B1 (ko) 2010-09-27
KR20090046950A (ko) 2009-05-11
EP1810454A1 (en) 2007-07-25
JP4755188B2 (ja) 2011-08-24
DE602005020490D1 (de) 2010-05-20
ATE463940T1 (de) 2010-04-15
CA2720318C (en) 2013-10-08
US20060126545A1 (en) 2006-06-15
WO2006041960A1 (en) 2006-04-20
CN101069386A (zh)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234B1 (ko) 감소된 기능성의 사용자 단말에서의 레거시 스푸핑 검출
CA2584997C (en) Multip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networks
US7983298B2 (en) Multip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networks
JP5279791B2 (ja) 高速無線ネットワークでレガシー方式のデータ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US9439091B2 (en) Midpacket detection schemes for clear channel assessment (CCA)
TW201521377A (zh) 用於通道狀態資訊回饋的方法和裝置
JP2013536599A (ja) 超高スループットwlan肯定応答フレームを送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A2542384A1 (en)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with legacy system interoperability
WO2017044700A1 (en) Improved efficiency and coexistence of wireless devices
US20160128048A1 (en) Control channel on plcp service data unit (psdu) tones
WO2023086703A1 (en) Communication parameter signaling for peer-to-peer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227

Effective date: 201007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