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733A - 플라스틱 튜브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733A
KR20070073733A KR1020077003768A KR20077003768A KR20070073733A KR 20070073733 A KR20070073733 A KR 20070073733A KR 1020077003768 A KR1020077003768 A KR 1020077003768A KR 20077003768 A KR20077003768 A KR 20077003768A KR 20070073733 A KR20070073733 A KR 20070073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lastic tube
resin
tube according
function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린더호퍼
Original Assignee
노크, 케른 & 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크, 케른 & 코. filed Critical 노크, 케른 & 코.
Publication of KR20070073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73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comprising such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comprising such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with fibres or particles being present as additives in th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ynthetic rubber copoly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1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with three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3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with four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7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a single layer
    • F16L9/128Reinforc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8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2Mixture of at least two particl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벽이 외부층, 내부층 및 하나 이상의 중간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튜브에 관한 것이며, 상기 중간층은 인접한 층들이 서로 연결된 층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 튜브{PLASTIC TUBE}
본 발명은 파이프벽이 외부층, 내부층 및 하나 이상의 중간층으로부터 형성되는 플라스틱 파이프에 관한 것이며, 상기 중간층은 인접한 층들이 서로 결합된 층이다.
상기 다층 파이프(multiple-layer pipe)의 직경은 10 cm 또는 30 cm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수 m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는 EP 0 360 758 B1호로 공지된 원심주조법(centrifugal casting method)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길이 6 m 및 이보다 긴 파이프 섹션이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수지(특히 폴리에스테르 수지), 충전재료 및 유리섬유와 같은 기본 재료는 소위 “회전하는 거푸집 내의 피더(feeder into a rotating mould)”에 의해 개별 층들의 형태로 다양한 질량부에서 원심 분리된다. 궁극적으로 파이프는 수지 경화로 인해 안정성을 획득한다.
EP 0 360 758 B1호는 다양한 층 구조에 대한 실례들을 공개한다. 개별 층들의 조합과 수량은 파이프의 크기와 사용량에 상당히 좌우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은 유체가 압축 하에서 운반되는 “압축 파이프”와 배출수를 내 보내는 “무압축 파이프” 사이의 차이점을 실례의 방식으로 정의한다.
대부분의 경우, 파이프들은 지하에 매설되며 다양한 기계적 응력을 받아 변형된다. 파이프를 위한 특정 범위의 유연성이 요구되며, 상기 파이프는 예를 들어 충격 응력으로부터 야기되는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질적으로 강성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상기 기술된 유형의 파이프들은 개별 층들을 가지는 것으로 공지되며, 상기 개별층은 편물 유리섬유(textile glass fibre)로 보강되고 및/또는 첨가물 또는 충전재료를 각각 포함한다. 제조 과정 동안 거푸집의 회전에 의해, 개별 층들은 경화처리를 마치기 전에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수단들에 의해 파이프 전체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들은 충격 응력 또는 편향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며, 다양한 영역에 적용시키기에 충분하다.
테스트는 하기에 따른다:
횡방향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V자 형태의 테이블 상에 파이프를 배치한다. 다양한 질량(0.5 kg, 1 kg, 2 kg, 3 kg 등)을 가지는 추들을 다양한 높이(일반적으로 0.1 m ~ 2.4 m, 간격: 0.1 m)로부터 파이프 외부 표면 상으로 낙하시킨다.
각각의 높이 단계로부터 15번의 반복적인 테스트가 수행된다.
파이프 피스의 내부 표면 상에 가시적으로 형성되는 균열은 “파단"으로 판정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선형 균열들은 별 형태의(star-shaped) 균열과 구분된다.
15번의 테스트들 중 파이프 내부 표면 상에 균열이 발견되지 않는 최대 높이에서 및/또는 최대 중량으로서, 100 % 충격저항이 형성된다.
모든 15번의 반복 테스트에서 가시적으로 형성되는 균열이 관찰될 때 완전한 파단으로 간주된다.
테스트 장치의 주요 구조적 배열은 도 1에서 도시된다.
각각 실제 치수가 아닌 도식적인 도안들이 하기 도면들에서 도시된다.
도 2: 플라스틱 파이프의 제 1 실시예에서 파이프벽을 절단한 횡단면.
도 3: 플라스틱 파이프의 제 2 실시예에서 파이프벽을 절단한 횡단면.
도 4: 플라스틱 파이프의 제 3 실시예에서 파이프벽을 절단한 횡단면.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기술된 유형의 플라스틱 파이프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상기 파이프는 종래의 파이프보다 상대적으로 큰 충격 강도를 가진다. 상기 파이프들은 특정 경우 예를 들어 지상에 파이프를 매설하는 경우에 요구된다.
추가적인 실험과 테스트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개별 층들의 구조 뿐만 아니라 파이프의 구조도 도식적으로 검토되고 분석되었다. 또한 개별 층들 또는 연속되는 층의 두께 변화 뿐만 아니라 충격에 관하여 주재료의 저항능력에 대한 영향력도 검토되었다.
용어는 하기에 따른다: 파이프는 한 외부층(외부를 덮는 층), 한 내부를 덮는 층(내부층) 뿐만 아니라 외부층과 내부층 사이의 하나 이상의 구조적인 층(이하 중간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개별적인 중간층들에 연속되는 층들의 변화 또는 파이프 제조 과정의 개별적인 변수 변화가 파이프의 기계적 성질에 상대적으로 작은 영향만을 끼친다는 사상에 좌우된다. 상기 파이프의 기계적 성질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충격 강도에 대해 현저히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충격 강도에서 내부층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층(외부층, 중간층들)들의 물성(physical property)들은 변화된다.
상기 층(이하 기능층)들의 물성 변화는 동일한 궁극적인 결과와 함께 2가지 방식으로 구현된다.
제 1 방식: 기능층은 방사형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층들이 기능층으로 및 기능층 내에 형성되는 수지와는 상이한 수지를 포함하며, 하기 물성들 중 하나 이상의 물성을 가진다: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계수, 상대적으로 큰 파단연신률(파단 시의 연신률 또는 극한 변형도), 상대적으로 낮은 연화온도.
제 2 방식: 충격 에너지가 파이프 외부층에 가해질 때, 기능층은 비가역적으로 특히 소성적으로 변형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결합물)을 포함한다.
제 1 변형으로서 수지가 변화하며, 제 2 변형으로서 층의 조합이 변화된다. 상기 2가지 경우에 기인하는 결과는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파이프 전체의 충격 강도는 상당히 향상되며 하중 하의 파이프 연성은 최적화된다. 기본적으로, 기계적 응력 특히 파이프의 충격 응력의 경우에 특히 하기 효과들이 야기된다.
- 기능층에서, 균열 특히 미세균열 또는 분리는 첨가물 및 첨가물을 둘러싸는 수지 사이에서 형성된다.
- 기능층에서, 다공성의(porous) 첨가물 또는 변형 가능한 첨가물에 의해 채워지는 영역들은 변형된다.
- 기능층과 인접한 층 사이의 표면 혼합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해된다.
상기 기능층이, 하나 이상의 방사형 내부 추가층으로 구성되는 수지들의 탄성계수, 파단연신률 및/또는 연화온도와 상이한 수치들을 가지는 수지를 포함하도록, 균열형성 특히 미세균열형성이 획득될 수 있다.
미세균열은 최대 1 mm의 길이 특히 최대 500 μm 길이를 가지는 균열이다.
이 경우, 한 실시예에 따르는 탄성계수는 방사형이며 내부적으로 인접한 층들의 탄성계수보다 25 % 적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탄성계수 수치의 감소는 > 33 %, > 50 %, > 66 %, > 75 % 또는 > 90%가 될 수 있다.
실례에서, 기능층으로서 형성되는 중간층은 탄성계수가 대략 100 MPa 정도뿐인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내부층 방향으로 인접한 중간층은 탄성계수 2,000 MPa ~ 4,000 MPa인 수지(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효과는 하기에 따른다: 충격으로 인해 야기된 변형파장(deformation wave)은 작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기능층으로부터 높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추가층으로 전이되는 동안에 부분적으로 반사되며, 이에 따라 변형 에너지의 일부분은 추가적으로 지속된다.
추가층을 위한 수지는 파단연신률에 의해 대안으로 또는 누적으로(cumulatively) 선택되며, 상기 파단연신률은 내부 파이프 층으로 추가되는 층의 수지의 파단연신률보다 상대적으로 커야 한다. 이 경우, 기능층의 수지는 30 % 이상 더 큰 파단연신률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파단연신률은 “내부적으로” 인접한 추가층 수지의 파단연신률보다 > 50 % 또는 > 100 %이다.
예를 들어, 파이프의 내부 중간층의 파단연신률의 실제수치는 2 % ~ 2.5 %가 될 수 있으며, 이때 외부적으로 배향된 인접한 중간층(기능층)의 파단연신률은 5 % 이상 또는 10 %, 20 % 또는 50 %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추가적으로 가능한 기준(criterion)은 기능층을 위한 수지 선택 문제이며, 상기 수지의 연화온도는 방사형 내부 추가층의 연화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공지된 원심분리 파이프를 위한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연화온도(ISO 75에 따르는)는 100 ℃ ~ 130 ℃이며,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되는 기능층 수지의 연화온도는 상기 연화온도보다 20% 이상 낮으며, 이 경우 30% 이상 또는 50% 이상이 선호된다. 따라서, 상기 기능층 수지는 상대적으로 덜 교착되며(less interlaced) 예를 들어 융해온도 < 80 ℃, < 50 ℃ 또는 < 25 ℃를 가진다.
기계적 변형 하의 기능층에서 발생하는 미세균열은 상당한 에너지 감쇠를 야기하며, 이에 따라 내부의 인접한 층으로 전달되는 탄성 충격 에너지의 현저한 감소를 야기한다. 상기 기능층들은 파이프의 추가적으로 주요 구조적 성질들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기능층이 없다 할지라도, 필요한 구조적 성질 또한 충족되도록 다른 모든 층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미세균열 또는 분리는 파이프의 사용 특성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이는, 상기 기술된 동일한 테스트 조건 하에서 파이프의 내부벽 상에 수행된 충격 테스트에서, 공지된 파이프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히 적은 균열이 관찰됨을 뜻한다.
외부층 및 중간층(들)은 수지(결합제)에 추가하여 하기의 추가적인 구성성분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내에, 한 충전재료 예를 들어, SiO2, MgO, CaO, Al2O3, MgCO3, CaCO3, AL(OH)3, 탤컴, 고령토, BaSO4, CaSO4 또는 이에 따르는 혼합물을 기초로 하는 충전재료가 분포될(distributed) 수 있다. 상기 충전재료는 일반적으로 입자크기 < 1.0 mm 이며 0.1 mm 이하의 입자크기가 선호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는 충전재료부(각각의 층 내에 있는)는 각각의 층의 수지부에 대해 25 질량-% 및 250 질량-% 사이에 형성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외부층들과 중간층들은 유리섬유(단일 또는 충전재료와 함께) 예를 들어, 길이 < 60 mm의 유리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대적으로 짧은 유리섬유(< 30 mm 또는 < 15 mm)도 수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라서, 유리섬유부는 각각의 층에 대해 5 질량-% 및 70 질량-% 사이에 형성된다.
기능층(들)을 위한 첨가물로서, 하기 재료들이 적합하다: 거품유리, 중공유리, 팽창퍼라이트, 팽창질석, 퍼미스, 카우축, 탄성중합체, 열가소성 물질 등 특히 입자크기 < 10 mm인 재료들이 선호된다. 상기 모든 첨가물들은 부피가 크고 다공성이며 질량이 작고 낮은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변형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기계적 강도는 수지 매트릭스(resin matrix) 내에서 첨가물을 파괴 및 변형시키지 않고 최대 범위까지 분포하기에 충분하다. 다른 한편으로, 강도/안정성은 상당히 낮아서 첨가물은 상기 대응하는 충격 응력 하에서 파괴되거나 또는 변형된다. 이 경우, 변화된 기하하적 배열의 새로운 결함(중공 공간)들은 층내에 특히 첨가물이 파괴될 때 형성된다. 변형 가능한 탄성 첨가물로, 첨가물을 포함하는 구조적 영역은 하중 하에서 변형된다. 상기 구조적 변화들은 비가역적인 변화들이다. 첨가물이 파괴되거나 또는 변형되는 경우에, 첨가물의 소성변형이 요구된다. 하지만 첨가물 입자들과 이를 둘러싸는 매트릭스 재료 사이에 분리도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첨가물의 입자 크기 또한 현저하게 10 mm 이하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입자 크기 < 6 mm, < 4 mm, < 2 mm, < 1 mm 또는 또한 < 0.5 mm이다.
일반적으로 하기에 따른다: 다수의 작은 균열들과 다수의 새로운 중공 공간들 또는 재료의 구조 변형들은 소수의 큰 균열들이나 또는 소수의 큰 중공 공간/영역들보다 에너지 감쇠를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시킨다.
상기 기술된 첨가부는 각각의 (전체) 중간층에 대해, 5 중량-%와 50 중량-% 사이이거나 또는 최대 90 볼륨-%이며, 종종 60 볼륨-% ~ 80 볼륨%가 충분하다. 하지만 상기 볼륨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볼륨부(최대 10 %, 20 % 또는 30 %)들도 상기 기술된 결과를 야기한다.
상기 기술된 첨가물은 기계적 에너지의 영향 하에서, 둘러싸고 있는 수지 매트릭스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변형되거나 및/또는 파단되며, 상기 첨가물은 상기 기술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기능층 형태로, 수지와는 별개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따르는 탄성계수 2,000 MPa ~ 8,000 MPa를 가지는 종래의 수지 예를 들어, 상기 기술된 하나 이상의 첨가물이 분포되는 종래의 수지를 포함하는 파이프의 기능층을 포함한다. 전체 기능층에서 첨가물의 크기와 쿼터는 상기 기술한 세부 사항들과 대응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내부로 관찰될 때, 본 발명에 관련된 사상이 지지되며, 상기 기술된 유형의 제 1 기능층은 상기 기술된 제 2 기능층 및/또는 추가적인 층(중간층 또는 내부층)들중 하나의 층 뒤에 위치하며, 상기 추가적인 층들은 방사형의 외부층으로부터 균열진전을 중단시키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는 특히 수지에 추가하여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층들에도 적용된다. 이 경우, 추가적인 층들의 유리섬유부가 파이프의 축방향으로 향할 때 더욱 선호적이다. 상기 추가적인 내부층과 함께 상기 기술된 종래의 수지는 수지로서 채택될 수 있다.
순 수지층(pure resin layer)은 일반적으로 내부층으로 사용되며, 이는 상기 내부층을 위해 상당히 매끄러운 표면이 요구되기 때문이며, 상기 표면을 따라 유체 예를 들어 물이 흐른다. 상기 내부층을 위하여, 상기 기술된 유형의 종래의 수지 예를 들어, 비소페놀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뿐만 아니라 오르토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또는 테트라히드로프탈린산 등을 기초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은 그 외의 명세서뿐만 아니라 종속항들의 특징들로부터 기인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기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각각의 도 2 내지 도 4는 플라스틱 파이프의 파이프벽을 절단한 횡단면을 도시한다. 실례의 방식에 따라서, 각각의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들은 5개의 층 즉, 외부층(outer layer, 10), 내부층(inner layer, 12) 및 이들 사이에 배열된 층(14, 16, 18)들로 구성된다.
모든 실례들에서, 외부층(10)은 30 중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A, 탄성계수: 3,000 MPa, 인장강도: 대략 60 MPa, 파단신장률: 대략 2.5%)와 입자분급(grain fraction)< 1 mm이며 70% 중량-%인 규사(quartz sand)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모든 실례들의 내부층(12)은 폴리에스테르 수지(B)만을 포함하며, 상기 폴로에스테르 수지(B)는 대략 200 MPa의 탄성계수, 대략 20 MPa의 인장강도 및 대략 50 %의 파단연신률을 가진다.
도 2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중간층(intermediate layer)의 구조적 배열은 하기에 따른다.
외부층(10)에 인접한 중간층(14)은 대략 35 중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B)와 대략 65 중량-%이며 입자분급< 0.5 mm인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을 포함한다.
인접한 중간층(16)은 40 중량-%인 특정 수지(C, special resin)와 입자분급 < 0.5 mm이며 60 중량-%인 탄산칼슘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다. 특정 수지(C)는 대략 500 MPa의 탄성계수, 대략 30 MPa의 인장강도 및 대략 20%의 파단연신률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상기 중간층(16)과 내부층(12) 사이에 추가적인 중간층(18)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층(18)은 대략 50 중량-%인 폴리에스테르 수지(A), 10 중량-%인 미세(fine scale) 돌로마이트(< 1 mm) 및 40 중량-%인 유리섬유(glass fiber, 직경 대략 10 μm, 길이 25 mm)들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유리섬유들의 배향(orientation)은 파이프의 접선방향(tangential direction)으로 현저하게 형성된다.
도 2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충격 에너지(impact energy)는 중간층(14, 16, 18)들에 의해 감쇠되며, 특히 각각의 경우에 “외부”로부터 “내부”로 다양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수지를 선택함으로써 충격에너지는 감쇠된다. 따라서 중간층(14, 16)들은 상기 기술된 바에 따라 기능층(functional layer)들이다. 예를 들어, 중간층(16) 영역에서 추가적인 과정으로 추가적인 중간층(18)에 의해 미세균열(micro-crack) 형성이 중지되며, 이에 따라 내부층(12)은 상대적으로 높은 충격 응력(impact stress) 적용시에도 최대 가능 한도까지 손상되지 않고 유지된다.
도 2의 중간층(16) 영역에서, 미세균열은 상당히 과장되어 도식적으로 상징화된다. 중간층(18) 영역에서 도시된 유리섬유의 미세균열과 그 진행방향(course) 또한 과장되어 도시된다.
도 3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외부층(10)에 뒤따르는 중간층(14)은 에너지-감쇠 기능층(energy-damping functional layer)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기술된 특정 수지(C)로 구성되며, 직경 < 2 mm인 중공유리구(hollow glass sphere)들은 전체 층에서 중공유리구들의 볼륨쿼터(volume quota)가 대략 70%일 때 중간층(14)에 분포된다.
기능층(16)에 뒤따르는 중간층(14)은 도 2에 따르는 중간층(16)에 유사하게 배열된다. 이는 또한 내부층(12) 앞의 추가적인 중간층(18)의 배열에도 적용된다.
도 2에 따르는 실시예보다 상대적으로 큰 범위에서도, 도 3에 따르는 구조로 배열된 벽을 포함하는 파이프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공유리구들을 포함하는 기능층(14)은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외부 방사형 충격 응력이 가하질 때, 상대적으로 과장된 방식으로 도시된 중공유리구들의 파괴가 발생하며, 뒤따라 일어나는 중공 공간(hollow space)의 변형 또는 파괴는 층(14)의 재료 구조에서 중공유리구들에 의해 제한되며, 충격으로 인해 야기되는 응력들은 저하(degraded)된다.
상기 응력 저하는 층(16)에서도 지속된다.
층(14)에서 충격 에너지의 “예비 감쇠(preliminary damping)"에 의해, 도 2에 따르는 실시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미세 균열(단지 4개의 균열에 의해 상징적으로 도시됨)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는 균열 형성이 관찰되지 않는 내부층(12)에 가하지는 상당하고 내구성 있는(durable) 충격 응력을 견뎌낼 수 있다.
도 4에 따르는 파이프의 횡단면은 외부층(10)과 기능층(14)에 대해 도 2를 따르는 실례에 대응한다.
대조적으로, 추가 중간층(follow-up intermediate layer, 16)은 상기 기술된 유형의 순 특정 수지(C, pure special resin)로 구성되고, 이에 비해 중간층(16)과 외부층(12) 사이에 형성되는 추가적인 중간층(18)은 연화온도(softening temperature) 50 ℃인 특정 수지(C)로부터 유리섬유와 결합하여 형성된다.
중간층(16) 영역에서 파이프가 대응하는 충격 응력을 받는 한, 미세균열들이 재형성되며, 상기 위치에서 내부층(12) 방향으로 형성되는 균열진전(crack propagation)은 추가층(18)에 의해 중단된다.
더욱이 도면 부호(19)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층(18)과 내부층(12) 사이에 부분적인 분리는 대응하는 표면영역에서 일어난다.
상기 각각의 모든 표면 분리들은 최대 수 mm2 범위에서 일어난다. 중간층(18)과 내부층(12) 사이의 표면을 따라 몇몇의 분리들에 의해, 외부(outside)로부터 시작된 균열진전은 내부층(12)에서 중단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3개의 중간층 대신에, 오직 2개 또는 3개보다 상당히 많은 중간층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 이상 또는 바람직하게 2개 이상의 중간층들이 기능층으로서 형성된다.
기술된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고안되고 제작된 파이프들은 종래 기술에 따르는 파이프들에 비해 충격 응력에 대한 저항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탄성계수가 기술되는 한, 탄성계수는 ISO 527에 따라 결정된다.
주어진 인장강도 데이터는 ISD 178에 따라 결정된다.
연화온도는 ISO 75A에 따라 결정된다.

Claims (16)

  1. 파이프벽이 한 외부층(outer layer, 10), 한 내부층(inner layer, 12) 및 하나 이상의 중간층(intermediate layer, 14, 16, 18)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한 층들이 서로 연결되며, 내부층(12)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층이 기능층(functional layer)으로 형성되는 플라스틱 튜브에 있어서,
    a) 방사형이고 내부적으로 추가되는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는 수지에 비하여, 특정 물리적 성질들(상대적으로 작은 탄성계수, 상대적으로 큰 파단연신률, 상대적으로 낮은 연화온도) 중 하나 이상의 물리적 성질과 상이한 수지를 포함하고,
    b) 충격 에너지가 외부층(10) 상에 가해지는 경우에, 비가역적으로 변형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충격 에너지가 파이프의 외부층에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기능층은 소성적으로 변형하는 한 첨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튜브.
  3. 제 1 항에 있어서, 기능층을 형성하는 수지의 탄성계수는 25 % 이상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튜브.
  4. 제 1 항에 있어서, 기능층을 형성하는 수지의 탄성계수는 50 % 이상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튜브.
  5. 제 1 항에 있어서, 기능층을 형성하는 수지의 파단연신률은 30 % 이상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튜브.
  6. 제 1 항에 있어서, 기능층을 형성하는 수지의 연화온도는 50 % 이상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튜브.
  7. 제 1 항에 있어서, 기능층은 하기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가지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튜브.
    - 100 MPa과 500 MPa 사이의 탄성계수
    - 5 MPa과 40 MPa 사이의 인장강도
    - 파단연신률 > 10 %
    - 연화온도 < 100 ℃
  8.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층(12)을 제외하고 수지에 추가된 하나 이상의 층(10, 14, 16, 18)은 하나 이상의 하기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튜브.
    - SiO2, MgO, CaO, MgCO3, CaCO3, Al2O3 BaSO4, 탤컴(talcum), 고령토(kaoline), Al(OH)3, CaSO4 또는 이에 따르는 혼합물을 기초로 하는 충전재료(filling material)
    - 유리섬유
  9. 제 8 항에 있어서, 충전재료는 입자크기 < 0.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튜브.
  10.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층(10, 14, 16, 18)의 수지부(resin portion)에 대하여 25 질량-% 내지 250 질량-%인 충전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튜브.
  11. 제 8 항에 있어서, 유리섬유는 길이< 6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튜브.
  12.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층(18)에 대해 유리섬유부(glass fibre portion)는 5 질량-% 내지 7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튜브.
  13. 제 1 항에 있어서, 첨가물은 하기 그룹으로부터 독자적으로 또는 조합 형태로 파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튜브:
    거품유리(foam glass), 중공 유리(hollow glass), 팽창퍼라이트(expanded perlite), 팽창질석(expanded vermiculite), 퍼미스(pumice), 카우축(caoutschouc), 탄성중합체(elastomer), 열가소성 물질(thermoplast).
  14. 제 1 항에 있어서, 첨가물은 입자크기(particle size) < 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튜브.
  1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층(14)에 대해, 첨가물부(portion of additive)는 10 볼륨-% 내지 90 볼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튜브.
  16.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층은 순 수지층(pure resin lay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튜브.
KR1020077003768A 2004-11-20 2005-11-17 플라스틱 튜브 KR200700737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56192A DE102004056192B4 (de) 2004-11-20 2004-11-20 Kunststoffrohr
DE102004056192.3 2004-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733A true KR20070073733A (ko) 2007-07-10

Family

ID=35709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768A KR20070073733A (ko) 2004-11-20 2005-11-17 플라스틱 튜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2) EP1812741B1 (ko)
JP (1) JP2008520460A (ko)
KR (1) KR20070073733A (ko)
CN (1) CN101124424A (ko)
AT (1) ATE432439T1 (ko)
DE (2) DE102004056192B4 (ko)
RU (1) RU2379570C2 (ko)
WO (1) WO2006053742A2 (ko)
ZA (1) ZA2007006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6602B4 (de) 2007-12-20 2018-07-26 GIB - Gesellschaft für Innovation im Bauwesen mbH Rohr zum Transport strömender Medien
NL2010598C2 (en) * 2013-04-09 2014-10-13 Bandell Burnaby Lautier Line Pipes B V High pressure pipe suitable for the transport of fluids.
DE102013220150A1 (de) * 2013-10-04 2015-04-09 Wayss & Freytag Ingenieurbau Ag Vorpressrohr
DE202014102643U1 (de) * 2014-06-06 2015-09-10 Rehau Ag + Co Mehrschichtiges Rohrformteil
ES2629409T3 (es) * 2015-06-09 2017-08-09 Hobas Engineering Gmbh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tubo multicapa que contiene microfibras, así como dicho tubo
JP6763620B1 (ja) * 2019-06-04 2020-09-30 株式会社トヨックス 可撓管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510356A (nl) * 1974-09-16 1976-03-18 Ameron Inc Pijp met een deze tegen stoten beschermende be- kledingslaag.
CH609135A5 (ko) * 1976-07-02 1979-02-15 Hobas Eng Ag
SE426369B (sv) * 1978-07-28 1983-01-17 Herbert Vollmar Jonasson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framstellning av ett armerat ror av herdplast
MX172392B (es) * 1988-09-23 1993-12-15 Hobas Eng & Durotec Ag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partes para conductos de tuberia, a partir de plastico, material de relleno inorganico y fibras de vidrio asi como parte de conducto de tuberia hecho con este procedimiento
NL9001384A (nl) * 1990-06-18 1992-01-16 Wavin Bv Meerlaagse buis, leiding uit meerdere van dergelijke buizen en werkwijze voor het gas- en vloeistofdicht verbinden van twee van dergelijke buizen.
FI100130B (fi) * 1995-12-12 1997-09-30 Uponor Innovation Ab Monikerroksinen muoviputk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00722A2 (de) 2008-12-10
EP2000722A3 (de) 2009-03-04
DE102004056192B4 (de) 2007-06-28
RU2007106168A (ru) 2008-12-27
EP1812741B1 (de) 2009-05-27
JP2008520460A (ja) 2008-06-19
RU2379570C2 (ru) 2010-01-20
DE502005007377D1 (de) 2009-07-09
EP1812741A2 (de) 2007-08-01
CN101124424A (zh) 2008-02-13
WO2006053742A3 (de) 2007-08-23
ATE432439T1 (de) 2009-06-15
WO2006053742A2 (de) 2006-05-26
ZA200700695B (en) 2008-09-25
DE102004056192A1 (de)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3733A (ko) 플라스틱 튜브
CN104725780B (zh) 一种混杂玄武岩纤维和玻璃纤维增强树脂筋
Dopko Fiber reinforced concrete: Tailoring composite properties with discrete fibers
EA025976B1 (ru) Армирующий стержень для бето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JP2010538958A (ja) 保護構造物のための耐衝撃性歪み硬化脆性マトリックス複合材
JP2010116274A (ja) 短繊維補強セメント成形体
Hu et al. Enhanced flexural performance of epoxy polymer concrete with short natural fibers
KR101065037B1 (ko) 섬유 보강재를 포함하는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Roy et al. Strengthening of heat damaged reinforced concrete short columns
Khorami et al. Feasibility study on production of fiber cement board using waste kraft pulp in corporation with polypropylene and acrylic fibers
US4450873A (en) Reinforced plastic composite structure
JP2010241632A (ja) 繊維強化セメントモルタル
US10934638B2 (en) Engineered fiber bundles for reinforcing composite materials
JP5042457B2 (ja) セメント系構造物補強用多層シートおよび該シートを用いたセメント系構造物の補強方法
JP4749053B2 (ja) セメント系構造物の補強方法および該方法によって補強されたセメント系構造物
KR101950849B1 (ko) 콘크리트보강용 섬유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섬유복합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JP5758597B2 (ja) 補強用材料および該補強用材料を含有する成形物
Eftekhar et al. Using boring to postpone debonding of CFRP-composite concrete beams
EP3517515B1 (en) Fiber bundle for reinforcement of a cementitious matrix, its uses and method of obtention
Correia et al. Pseudo-ductile braided composite rods (BCRs) produced by braidtrusion
JP2007002432A (ja) セメント系構造物の補強方法および該方法によって補強されたセメント系構造物
KR101645272B1 (ko) 섬유보강제가 혼합된 시멘트 개량토 및 그 제조방법
de Andrade Silva et al. Advances in natural fiber cement composites: a material for the sustainable construction industry
JP5823698B2 (ja) 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Sambath et al. Experimental Analysis in Mechanical Properties of Natural Hybrid Compo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