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606A - 디지털 무선 신호를 최적으로 디모듈레이팅 및 디코딩하기위한 수신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무선 신호를 최적으로 디모듈레이팅 및 디코딩하기위한 수신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606A
KR20070073606A KR1020070000050A KR20070000050A KR20070073606A KR 20070073606 A KR20070073606 A KR 20070073606A KR 1020070000050 A KR1020070000050 A KR 1020070000050A KR 20070000050 A KR20070000050 A KR 20070000050A KR 20070073606 A KR20070073606 A KR 20070073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rmediate frequency
digital intermediate
digital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1451B1 (ko
Inventor
볼프강 쉐플러
옌스 파소케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73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21V33/0032Paintings, pictures or photographs; Fram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2001/147Photograph stands with illumin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Equal gain combining, only phase adjust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2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radio mondiale [D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DRM 무선 신호를 최적으로 디모듈링 및 디코딩하기 위한 수신기(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수신기는 제1 또는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또는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제1 또는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로 디모듈링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신 유닛(5, 6, 7, 8, 11, 12, 13, 14)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중간 주파수 신호는 각각 복수의 부전송파를 포함하며, 등화된 제1 또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1, Z2)가 얻어지도록, 제1 또는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에 대한 채널 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실제1 및 제2 채널 평가기(9, 15)를 포함하며, 등화된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상응하는 부전송파가 서로 조합되도록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1, Z2)를 조합하기 위한 신호 조합 유닛을 포함하며, 조합된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비트 데이터스트림으로 디코딩하기 위한 채널 디코더를 포함한다.
수신기, 디모듈링, 디코딩, DRM 무선 신호, 중간 주파수 신호

Description

디지털 무선 신호를 최적으로 디모듈레이팅 및 디코딩하기 위한 수신기 및 방법{RECEIVER FOR OPTIMIZED DEMODULATING AND DECODING A DIGITAL RA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DRM-수신기의 블록 선도.
도2a 내지 도2c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관찰을 위한 두 개의 중간 주파수 신호의 복수의 부전송파에 대한 신호 노이즈 비율의 그래프.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DRM-수신기
2: 제1 수신 경로
3: 제2 수신 경로
4: 공통 안테나
6: 제1 주파수 센서
7: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9: 제1 채널 평가기
10: 조합 유닛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특히 수신 시스템에서 디지털 모듈화된 무선 신호를 최적으로 디모듈레이팅 및 디코딩하기 위한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신호는 예를 들어 다양한 안테나 및 수신 분기점을 통해 그러나 상이한 주파수 및 부분적으로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경로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모듈화된 무선 신호를 최적으로 디모듈레이팅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은 실제로 스탠다드 DRM(Digital Radio Mondial; 디지털화 AM 라디오)를 통해 대체된다. DRM-스탠다드의 신호는 기존의 아날로그 중파와 같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방사된다. DRM-스탠다드에서 신호는 디지털 모듈화되어 전송된다. 따라서 상응하는 DRM 무선 신호의 디코딩은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닛에서 실행되야 한다.
DRM-스탠다드는 DAB 및 FM-RDS 시스템에서와 같이, 무선 신호가 동일한 내용으로 상이한 주파수로 방사되는 것을 허용한다. 각각의 무선 신호는 어떠한 다른 주파수로 동일한 내용의 신호가 송신되는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로써, 특히 신호 품질이 변동 될때도 DRM-스탠다드가 대체 주파수로의 자동 전환을 가능케 한다. 다양한 수신 주파수가 기존의 전계 강도 및 신호 내용에 대해 실험되는 방법이 다른 무선 스탠다드 및 상응하는 수신기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특정 지역에서 일시적으로 무선 신호가 소정의 주파수에 대해 충분히 강하게 수신되며, 이때 다른 무선 신호에서는 다른 주파수에 대해 상응하는 신호가 충분한 신호 품질로 수 신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방법은 유익하다.
아날로그 FM 수신을 위한 종래의 이동 무선 수신기에서, 수신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 수신이 구현되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에 반해 수신기는 대부분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지속적인 처리를 위해 단지 하나의 신호 경로만이 제공된다. 후속되는 신호 처리는 회로 유닛을 이용하여 각각의 무선 신호를 선택하여,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 또는 TMC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양호한 신호 품질을 갖는 무선 신호가 사용된다.
또한, 연속적으로 두 개 이상의 무선 신호가 수신되어, 처리된 신호가 개선된 수신 품질을 가능케 하도록 조합되는 이른바 위상 다이버시티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신호가 신호 노이즈 간격에 대해 반전되어 비례적으로 가중되고 가산되는 방법이 MRC(Maximum-Ratio-Combining)라는 이름으로 공지되어 있다.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시스템에서 무선 신호를 다양한 확장 경로로, 그러나 동일한 송신 주파수로 방사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다이버시티가 사용된다. 무선 신호의 개선된 수신을 위해 두 개의 안테나 및 두 개의 수신 유닛이 제공되야 하는, 각각의 수신기가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DRM-수신이 개선되도록 디지털 무선 신호의 디모듈링 및 디코딩하기 위한 개선된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신호를 최적으로 디모듈링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수신기 및 청구항 제6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종속 청구항에 기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무선 신호를 최적으로 디모듈링 및 디코딩하기 위한 수신기가 제공된다. 수신기는 제1 무선 신호 또는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그리고 제1 또는 제2 무선 신호를 제1 또는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는 각각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또는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에 대한 채널 평가를 실행하기 위해 제1 및 제2 채널 평가기가 제공되어, 보정된 제1 또는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가 얻어진다. 신호 조합 유닛에 의해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가 서로 조합되며, 보정된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신호의 상응하는 부반송파가 서로 조합된다. 채널 디코더에 의해, 조합된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가 비트-데이터스트림으로 디코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복수의 신호를 수신하여, 종래의 다이버시티 방식에 따른 수신에 비해 수신 용량이 개선되도록 조합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복수의 신호의 수신은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그리고 이에 연결된 수신 경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동일한 안테나의 사용 및, 예를 들어 다양한 주파수에 대해 수신된 신호가 지속적인 신호 처리에 대해 디지털 면으로의 직접적이고 광대역적으로 변환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수신되는 무선 신호는 각각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털 면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각각의 신호는 복수의 부반송파로 구성된다. 장애 발생 시에 해당 주파수 범위 내의 무선 신호의 전송에 대해 특성적으로, 특정 부전송파에 대한 또는 특정 주파수 범위 내의 부전송파에 대한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신호 레벨이 페이딩(fading) 장애, 인터퍼런스 등으로 인해 감소된다. 이로부터 나타나는 신호 품질의 악화를 보상하기 위해, 적어도 감소된 신호 품질을 갖는 부전송파와 관련하여 확장된 전송 주파수로 수신된 무선 신호의 상응하는 부전송파로 복귀되고, 양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관련 부전송파에 대해 각각 신호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악화된 신호 품질이 상응하는 부전송파로 감소되거나 또는 보상된다. 이를 통해, 형성되는 비트-데이터스트림의 에러율이 개선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비해, 이러한 유형의 수신기는, 디지털 신호의 부전송파만이 또는 그룹이 신호 조합 유닛 내에서 조합되는 페이딩 장애와 같은 신호로 인해 감소된 신호 품질을 갖기 때문에 상응하는 무선 신호 또는 그로부터 획득되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가 개선되는 장점을 갖는다. 신호 조합 유닛에서 조합되므로써, 상응하는 확장된 무선 신호 도는 그로부터 얻어지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가 개선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은 MRC-방식을 이용하는 두 개의 수신 신호의 조합인 경우보다, 형성되는 비트-데이터스트림에서 상당히 감소된 에러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조합 유닛은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조합하며, 신호에는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신호의 상응하는 부전송파가 위상 보정되어 가산된다. 특히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상응하는 부전송파는 가산되기 전에 가중되는데, 특히 각각의 케리어의 신호 노이즈 간격에 대해 반전 비례적인 상응하는 가중 인자에 따라 가중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계수의 곱셈 및 이어지는 덧셈은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중첩되는 장애가 해소되도록 실행된다. 또한, 신호의 조합은 상응하는 부전송파를 포함하므로, 상응하는 신호의 신호 품질이 폼질 임계값보다 클 경우 양 신호의 하나는 조합된 디지털 중간 신호에 대해 불변하여 적용된다.
또한,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하나가 지연 시간에 의해 지연되어, 양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가 서로 동기화되도록 하는 동기화 유닛이 제공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양 무선 신호들 사아의 실행 시간 차이를 보상될 수 있으므로, 신호 조합 유닛에서 단지 상응하는 부전송파의 신호만이 서로 동기화된다. 특히 지연 시간은 상호 비교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DRM-수신기(1)의 블록 선도를 도시한다. DRM-수신기(1)는 제1 수신 경로(2)와 제2 수신 경로(3)를 포함한다. 공통 안테나(4)를 통해 제1 및 제2 무선 신호가 수신된다. 제1 또는 제2 수신 경로(2, 3)에서, 등화된(equalized) 제1 또는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1, Z2)로 처리된다. 제1 및 제2 무선 신호는 송신 안테나-다이버시티에 상응하는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는데 이 내용은 상이한 송신 주파수로 전송된다. 제1 무선 신호는 제1 전단(5, front end)을 통해 제1 수신 경로(2)에서 수신되고, 제1 전단은 수신되는 제1 무선 신호를 검출하고 중간 주파수로 디모듈링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대역 통과 필터, 믹서 및 중간 주파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주파수는, 제1 전 단(5)을 수신되는 제1 무선 신호의 주파수로 동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조정 가능한 제1 주파수 센서(6)를 통해 제1 전단(5) 제공될 수 있다. 무선 신호의 수신을 위한 그리고 디지털 주파수 신호의 생성을 위한 상기 전단은 종래 기술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어서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는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7)에서 디지털화되어 필터- 및 변환단(8)으로 공급되며, 이 전송단은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디털 필터링을 수행하고 필터링된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푸리에 변환(FFT: 고속 푸리에 변환)에 제공한다. 푸리에 변환은 OFDM-신호의 스펙트럼, 즉 특정 부전송파에 할당되는 복수의 부전송파 신호가 제공되어, 제1 채널 평가기(9)에 제공된다. 제1 필터- 및 변환단(8)은 제1 주파수 센서(6)와 연결되어, OFDM-신호의 적절한 스펙트럼을 획득하기 위해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동기화가 실행될 수 있다. 제1 채널 평가기(9)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등화시키고 이 신호를 조합 유닛(10)의 등화된 제1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1)로서 제공한다.
제2 수신 경로(3)는 제1 수신 경로(2)에 상응하게 구성된다. 제2 수신 경로(3)는 제2 주파수 센서(12)와 연결된 제2 전단(11)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전단(11)을 수신되는 제2 무선 신호로 동조시킨다. 제2 전단(11)은, 제2 필터- 및 변환 유닛(14)에 제공되는 디모듈링된 제2 무선 신호를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와 연결된다. 디지털화되고 변환된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는 제2 채널 평가기(15)에서 등화되고 등화된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2)는 조합 유닛(10)에 공급된다.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1, Z2)는 각각 푸리에 변환에 의해 생 성되는 OFDM-스텍트럼을 나타내며, 부반송파에 대한 OFDM-신호는 채널 평가를 통해 그 위상 및 진폭에 있어서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1, Z2)에 위치하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공지된 방식으로 보정된다. 제1 또는 제2 필터- 및 변환 유닛(8, 14)은 각각의 신호 경로의 신호 품질에 대한 표시로서 각각의 개별 OFDM 신호의 신호 노이즈 비율을 양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1, Z2)의 각 부전송파로 동조하고 품질 정보(QS)로서 조합 유닛(10)에 공급한다. 품질 정보(QS)는 각각의 부전송파를 위해, 부전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OFDM 신호의 신호 노이즈 비율 및 전체 신호의 평균 노이즈 비율을 포함한다.
조합 유닛(10)에서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가 동기화 유닛(17)에서 서로 동기화되고, 제1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와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 간의 상응하는 시간적 오프셋이 상관 방법에 따라 특히 상호 상관(cross correlation)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시간 오프셋에 따라 양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1, Z2)의 하나가 시간적으로 지연됨에 따라 양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는 주파수에 맞게 서로 할당된다. 상호 상관은 양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에서 동일한 SDC-심볼 블록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으므로, 소정의 스캐닝 샘플에 대한 지연이 정확히 계산될 수 있다. 양 신호가 비트 면까지 프로세스될 수 있다면, 디코딩된 두 개의 데이터 블록이 각각의 400ms 시간으로부터 비트 면까지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를 이용하여 결합되고, 샘플 오프셋이 결정된다. 양 신호가 가산될 수 있기 전에 최초로 해당되는 신호가 결정된 샘플 수 만큼 지연된다.
OFDM 신호의 신호 품질이 하나 또는 양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1, Z2)에 서 충분하다면, 즉, 전체 심볼에 대한 또는 부전송파에 대한 각각의 신호 노이즈 비율이 사전 설정된 신호 노이즈 비율 임계값보다 크다면, 상응하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는 불변하고 조합된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로서 채널 디코더(16)로 전성되며, 채널 디코더는 조합된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시호를 비트 데이터스트림으로 디코딩한다. 비트 데이터스트림은 이에 상응하게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되고 출력될 수 있다.
DRM 신호의의 전송에 대해 특성적으로, 신호 레벨이 전송 채널의 OFDM 스펙트럼 내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페이딩 장애, 인터퍼런스 등으로 인해 하강된다. 즉, OFDM 신호의 신호 노이즈 비율은 OFDM 스펙트럼의 장애 범위 내에서 감소되고 신호 노이즈 비율-임계값 이하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다른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OFDM 스펙트럼의 각각 할당된 OFDM 신호를 대체하는, 너무 낮은 신호 노이즈 비율을 갖는 상응하는 부전송파는 그 신호 노이즈 비율이 신호 노이즈 비율-임계값 이상이 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양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에서 장애 범위 내에서 예를 들어 OFDM 신호의 신호 노이즈 비율이 신호 노이즈 비율-임계값 이하이면, 상응하는 부전송파의 OFDM 신호가 위상 정상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응하는 부전송파의 OFDM 신호가 위상 정상적으로 추가되기 전에 가중 인자로 가중되는데, 이 가중 인자는 다른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상응하는 부전송파의 각 OFDM 신호의 신호 노이즈 비율의 역수에 상응한다.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Sk = S1u/SNR2u + S2u/SNR1u
Sk 는 부전송파의 조합된 OFDM 신호이고, u 는 부전송파의 번호이고,
S1u 는 제1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부전송파의 OFDM 신호이고,
S2u 는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부전송파의 OFDM 신호이고,
SNR1u 는 제1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부전송파(u)의 OFDM 신호의 신호 노이즈 비율이고,
SNR2u 는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부전송파의 OFDM 신호의 신호 노이즈 비율이다. 그러나, 복합적인 곱셈 및 이어지는 덧셈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도2a 내지 도2c에 도시된다. 도2a는 제1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1)의 상응하는 부전송파에 대한 OFDM 신호의 개별 신호 노이즈 비율의 11개의 부전송파(U)를 도시한다. 이와 유사하게, 도2b는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상응하는 11개의 부전송파에 대한 OFDM 신호의 신호 노이즈 비율을 도시한다. 신호 노이즈 비율-임계값은 양 도면에서 수평 파단선으로 도시된다. 제1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1)의 도시된 OFDM 스펙트럼으로부터, 4개의 제1 부전송파(U1 내지 U4)가 신호 노이즈 비율-임계값 이상에 놓이는 신호 노이즈 비율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페이딩 장애 등으로 인해 신호 노이즈 비율은 부전송파(U5 내지 U9)에 상응하는 장애 범위 내에서 신호 노이즈 비율-임계값 이하에 놓인다.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2)의 OFDM 스펙트럼에서 제2, 제7 및 제 10(U2, U7, U10)의 OFDM 신호가 신호 노이즈 비율-임계값 이하에 놓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조합 유닛(10)은 서로 부속되는 부전송파의 개별 OFDM 신호를 이하 방법으로 조합한다.
- 신호 노이즈 비율이 특정 노이즈 비율-임계값 이상에서 특정 부전송파 상에 놓이면, 부전송파의 OFDM 신호는 불변 상태로 채널 디코더로 전송된다.
- 신호 노이즈 비율이 신호 노이즈 비율-임계값 이하에서 특정 부전송파 상에 놓이면, 다른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 즉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상응하는 부전송파의 신호 노이즈 비율이 신호 노이즈 비율-임계값 이상에 놓이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만일 그렇다면,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특정 부전송파가 채널 디코더에 전송된다. 그러나, 두 개의 특정 부전송파의 신호 노이즈 비율이 신호 노이즈 비율-임계값보다 작으면, OFDM 신호가 특히 상기 방법에 따라 위상 정상적으로 가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응하는 부전송파가 위상 정상적인 가산 이전에 각각의 다른 부전송파의 신호 노이즈 비율의 역수에 상응하게 가중된다.
대안적인 간단한 실시예에서, 상응하는 부전송파는 상술된 바와 같이 특히 각각의 신호 노이즈 비율에 따라 이전의 가중값으로 어떠한 경우에도 가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신호 노이즈-임계값을 이용하는 검사는 불필요하다.
제안된 방법의 사용은 이하에 설명되는 특성에서 다른 스탠다드는 DRM 스탠다드에 대해 기술적으로 비교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복수의 신호를 수신하여, 종래의 다이버시티 방식 에 따른 수신에 비해 수신 용량이 개선되도록 조합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Claims (12)

  1. 디지털 DRM 무선 신호를 최적으로 디모듈링 및 디코딩하기 위한 수신기(1)이며,
    제1 또는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또는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제1 또는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로 디모듈링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신 유닛(5, 6, 7, 8, 11, 12, 13, 14)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중간 주파수 신호는 각각 복수의 부전송파를 포함하며,
    등화된 제1 또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1, Z2)가 얻어지도록, 제1 또는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에 대한 채널 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실제1 및 제2 채널 평가기(9, 15)를 포함하며,
    등화된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상응하는 부전송파가 서로 조합되도록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1, Z2)를 조합하기 위한 신호 조합 유닛을 포함하며,
    조합된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비트 데이터스트림으로 디코딩하기 위한 채널 디코더를 포함하는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신호 조합 유닛(10)은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조합하며, 등화된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1, Z2)의 상응하는 부전송파의 신호가 위상 정상적으로 가산되는 수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신호 조합 유닛(10)은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조합하며,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1, Z2)의 상응하는 부전송파의 신호가 가산 이전에 가중되는 수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가중 인자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부전송파의 신호 노이즈 간격에 대해 반전 비례적이거나 부전송파의 그룹이 되는 수신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하나를 지연 시간을 통해, 양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가 서로 동기화되도록 지연시키는 동기화 유닛(17)이 제공되는 수신기.
  6. 제4항에 있어서, 동기화 유닛은 상호 상관 방법에 따라 지연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7. 디지털 무선 신호를 최적으로 디모듈링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이며,
    제1 및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가 각각 복수의 부전송파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무선 신호를 제1 또는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등화된 제1 또는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Z1, Z2)를 얻기 위해,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에 대한 채널 평가를 실행하는 단계와,
    등화된 제1 및 제2 중간 주파수 신호의 상응하는 부전송파가 서로 조합되도록,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조합하는 단계와,
    조합된 중간 주파수 시호를 비트 데이터스트림으로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상응하는 부전송파가 위상 가중식으로 가산되도록 제1 및 제2 중간 주파수 신호가 조합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특히 각각의 부전송파의 신호 노이즈 간격에 대해 반전 비례적인 상응하는 가중 인자에 따라, 제1 및 제2 중간 주파수 신호의 상응하는 부전송파가 가산 전에 가중되도록 제1 및 제2 중간 주파수 신호가 조합되는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특히 신호에 중첩되는 장애가 감소 또는 제거되는 방식으로,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의 상응하는 부전송파가 가산 전에 복합 계수로 곱해지도록 디지털 중간 주파수가 조합되는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지털 중간 주파수는 양 디지털 중간 주파수가 서로 동기화되도록 지연 시간을 통해 지연되는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연 시간이 상호 상관 방법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
KR1020070000050A 2006-01-03 2007-01-02 디지털 무선 신호를 최적으로 디모듈레이트 및 디코드하기 위한 수신기 및 방법 KR101091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00639A DE102006000639A1 (de) 2006-01-03 2006-01-03 Empfänger und Verfahren zum optimierten Demodulieren und Dekodieren von digitalen Funksignalen
DE102006000639.9 2006-0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606A true KR20070073606A (ko) 2007-07-10
KR101091451B1 KR101091451B1 (ko) 2011-12-07

Family

ID=37963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050A KR101091451B1 (ko) 2006-01-03 2007-01-02 디지털 무선 신호를 최적으로 디모듈레이트 및 디코드하기 위한 수신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804396B1 (ko)
KR (1) KR101091451B1 (ko)
DE (1) DE1020060006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725B1 (ko) * 2007-12-17 2010-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고속 무선통신 시스템용 송신 및수신 장치와, 그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디지털 중간주파수송신 신호 처리 방법
US8422465B2 (en) 2007-12-17 2013-04-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high through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 method thereof, and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2970B1 (en) * 1997-05-05 2001-01-09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Low-complexity antenna diversity receiver
JP3737264B2 (ja) * 1998-01-14 2006-01-18 株式会社東芝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EP1566899B1 (en) * 2004-02-23 2016-05-11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ultipath compensation for diversity signal receiv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725B1 (ko) * 2007-12-17 2010-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고속 무선통신 시스템용 송신 및수신 장치와, 그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디지털 중간주파수송신 신호 처리 방법
US8422465B2 (en) 2007-12-17 2013-04-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high through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 method thereof, and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4396A2 (de) 2007-07-04
KR101091451B1 (ko) 2011-12-07
EP1804396B1 (de) 2017-02-22
DE102006000639A1 (de) 2007-07-05
EP1804396A3 (de)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8245B2 (en) Radio receiver having a dynamic bandwidth filter and method therefor
US7039137B1 (en) Method for processing OFDM signals simultaneously received via a multiple antenna system
US9001945B2 (en) Providing phase diversity combining of digital radio broadcast signals
RU226090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ижения помех в приемниках чм внутриполосного канального цифрового аудиовещания
MX2014005446A (es) Diversidad de antena mrc para señales digitales fm iboc.
US201402546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ignal quality metrics and antenna diversity switching control
US7221925B2 (en) Broadcast receiver with antenna/frequency diversity
EP0975101A2 (en) Diversity receiver
US20050272385A1 (en) Receiver
JP2001156738A (ja) Ofdm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US20140094130A1 (en) Time-Domain Diversity Combining of Signals For Broadcast Receivers
KR100988448B1 (ko) 가변 대역폭 중간 주파수 필터를 가진 무선 수신기
US8116414B2 (en) Diversity receiver and diversity reception method
CA2946537C (en) First adjacent canceller (fac) with improved blending using a parametric filter
JP4510236B2 (ja) 直交周波数分割多重方式による無線信号の伝送方法および直交周波数分割多重方式による無線信号を受信する受信機
KR101091451B1 (ko) 디지털 무선 신호를 최적으로 디모듈레이트 및 디코드하기 위한 수신기 및 방법
JP3639521B2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機及び直交周波数分割多重信号受信方法
JP5312120B2 (ja) 回線状況推定器
RU2562423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ема сигналов от радиостанции
JP4621143B2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装置
JP2009033497A (ja) 受信装置
KR100820826B1 (ko) 방송 수신기 및 처리 방법
JP2008283296A (ja) 受信装置と受信方法
JP2005260482A (ja) ダイバシティ受信装置及びダイバシティ受信方法
KR101348618B1 (ko) 수신채널 특성의 분석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