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2740A - 도로 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2740A
KR20070072740A KR1020060000191A KR20060000191A KR20070072740A KR 20070072740 A KR20070072740 A KR 20070072740A KR 1020060000191 A KR1020060000191 A KR 1020060000191A KR 20060000191 A KR20060000191 A KR 20060000191A KR 20070072740 A KR20070072740 A KR 20070072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oad
server
vehicl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기
엄은송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0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2740A/ko
Publication of KR20070072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서버와 상기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탑재하고 적어도 한 대의 차량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획득한 도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로 위치 정보와 상기 도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추출된 도로지면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정보들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이동할 위치에 대응되는 도로지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도로지면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의 움직임 정보, 교통 정보, 도로 정보, 도로지면 정보, 도로위치 정보

Description

도로 정보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ROAD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서버를 통해 도로 정보가 추출되어 표시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도로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도로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도로 정보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도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전 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기기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이 되어 가고 있다. 이렇게 휴대단말기가 현대인의 삶에 있어서 필수적인 존재로 다가오면서, 사용자들은 휴대단말기로부터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는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기기로 발전하여 사용자들에게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하게 되었는데,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의 이용은 그에 대한 적절한 예가 될 것이다. 종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의 이용 방법은 교통 정보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지름길 정보, 소통 상태 등의 교통 정보를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로 전송받아 사용하기만 하는 단순한 수동적인 교통정보 이용 방법이었다. 수동적인 종래의 교통 정보 서비스는 안전 운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면 도로의 노후 현상에 의해서 특정 부분이 갈라지고 패인 상태의 도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날씨의 영향으로 인한, 예를 들면 여름 장마 시즌에 발생하는 도로의 물웅덩이에 의한 수막현상이나 겨울철에 발생하는 서리나 눈에 의한 도로 특정 부분의 노면 상태가 미끄러워지는 현상 같은 사용자의 안전 운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도로 정보는 제공받을 수 없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교통 정보의 업데이트가 불가능하였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교통 정보 이용 방법은 사용자의 피드백(Feedback)을 통한 교통 정보의 업데이트가 불가능하였고, 안전 운전에 필요한 도로의 지면 정보의 제공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휴대단말기로부터 감지되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 지면의 상태를 알려주는 도로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고, 다른 사용자와 상기 도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버와 상기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휴대단말기를 탑재하고 적어도 한 대의 차량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획득한 도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로 위치 정보와 상기 도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추출된 도로지면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정보들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이동할 위치에 대응되는 도로지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도로지면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버와 상기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탑재하고 적어도 한 대의 차량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획득한 도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로 위치 정보와 상기 도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정보들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이동할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도로지면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서버를 통해 도로 정보가 추출되어 표시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망은 휴대단말기의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케 하는 망(network)이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망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움직임 정보에 대응되는 도로지면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도로지면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통신망은 기지국(110), 기지국 제어기(120), 이동통신 교환기(130), 서버(160),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110)은 일정의 통신 영역을 관리하고,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기지국 제어기(120)를 통해 이동통신 교환기(130)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복수 개의 기지국을 관리 및 제어한다. 이동통신 교환기(130)는 다른 이동통신 교환기와의 망 연동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30)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망 구성장치로서 유선통신기능(PSTN/ISDN)과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 복합 디지털 교환기로서, 가입자의 착발신 호처리 기능과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기능 그리고 다른 망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서버(160)는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170)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에 대응되는 도로지면 정보가 저장된 지면정보 목록을 포함한다.
또한 서버(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움직 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170)에 포함되어 있는 지면정보 목록을 이용하여 해당 도로지면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도로지면 목록은 도로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에 대응되는 도로 상태의 종류를 분류하여 저장한 목록이다. 사용자가 차량을 운행하게 되면 도로의 상태에 따라 차량의 움직임 정보는 끊임없이 변하게 되고, 상기 변화하는 움직임 정보는 일정한 수치 값으로 근사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면정보 목록은 상기 움직임 정보의 수치 값에 따라 도로지면의 상태를 분류하여(예를 들어 빗길, 도로 균열, 과속 방지턱, 기타 등등)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서버(160)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의 수치 값과 상기 지면정보 목록을 비교하여, 상기 수치 값에 맞는 도로지면 상태를 선택함으로써 도로지면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또한, 서버(160)는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움직임 정보와 함께 전송된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가 추출된 도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가 추출된 도로위치 정보는 상기 서버(160)에 의해 추출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60)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통해 추출된 도로지면 정보 및 상기 도로지면 정보에 해당하는 도로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로 정보는 상기 서버(160)가 제공하고 있는 교통 정보에 포함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200a~200d)는 차량에 위치되어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감지된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이 동통신망으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도로지면 정보와 도로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도로 정보를 수신 받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서버(160)으로부터 상기 움직임 정보를 수신 받아 해당 도로지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도로위치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200a~200d)의 구성은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블록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10)는 휴대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키입력부(227)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키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휴대단말기(200)의 구동모드를 전환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센서부(240)를 통해서 감지되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메모리(230)에 저장하였다가, RF부(223)를 통해 상기 움직임 정보를 서버(16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 도로 정보 그리고 교통 정보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버(160)로부터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서버(160)로부터 복수의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230)에 포함되어 있는 지면정보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도로지면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210)는 상기 움직임 정보의 수치 값을 상기 지면정보 목록과 비교함으로써 도로지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30)상의 도로지면 목록은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되어 있는 도로지면 목록을 수신 받은 것이거나,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거나,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GPS수신부(260)로부터 수신받는다.
상기 RF부(2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2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25)는 모뎀(220)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모뎀(2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제어부(21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210)는 상기 도로 정보 또는 교통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과정에 있어서 오디오 처리부(225)를 통하여 소리 정보로써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키입력부(2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2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2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센서부(240)로 감지되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와 함께 도로지면 정보, 도로위치 정보 그리고 교통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40)는 여러 가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한 센서부(240)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센서부(2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이 도로 상황에 따라 움직이게 되면, 휴대단말기는 차량의 움직임과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 센서부(24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부(210)으로 전송한다. 결국 센서부(240)로 감지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이끌어낼 수 있게 된다. 표시부(250)는 제어부(21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표시부(250)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250)는 휴대단말기의 각종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어의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GPS수신부(260)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GPS수신부(2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망과 휴대단말기를 통해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도로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써, 이동통신망의 서버(160)가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실시 예이다.
제어부(210)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움직임 정보를 추출하도록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5).
상기 S305단계에서 움직임 정보를 추출하도록 설정이 되어있음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도로지면 상태에 의한 차량의 움직임 정보에 해당하는 휴대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추출한다(S307).
상기 S307단계에서 센서부(240)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에 대응되는 휴대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움직임 정보를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상기 움직임 정보란, 내리는 비와 물웅덩이에 의한 수막현상, 도로 위에 덮힌 서리와 눈, 도로의 균열과 파손 등의 원인에 의해서 차량이 흔들리며 덜컹거리는 때, 상기 차량에 위치된 휴대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S307단계에서 상기 센서부(240)로부터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움직임 정보를 메모리(230)에 저장하였다가, RF부(223)를 통해 서버(16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309). 이때, 상기 제어부(210)는 GPS수신부(260)로부터 상기 움직임 정보가 발생한 순간에 해당하는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움직임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16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수신 받은 이동통신망의 서버(160)는 상기 수신된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통해 도로지면 정보를 추출한다(S311).
상기 S311단계에서 서버(160)는 데이터베이스(170)에 포함된 지면정보 목록을 통해 차량의 움직임 정보에 대응되는 각각의 도로지면의 상태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기 서버(160)는 상기 움직임 정보와 함께 상기 움직임 정보가 발생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 즉, 도로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휴대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함께 추출되거나, 상기 서버(160)가 움직임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해당하는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의 서버(160)는 복수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움직임 정보를 통해 도로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버(160)에 저장된 도로 정보를 수신받기 위해서 상기 휴대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도로지면 정보와 도로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도로 정보 모드가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도로 정보 모드로 전환하고(S313), 이동통신망의 서버(160)에게 도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315).
상기 서버(160)는 도로 정보를 요청한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해당하는 도로 정보를 검색한다(S317)
상기 서버는(160)는 상기 S317단계에서 검색된 도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한다(S319). 이때, 상기 서버(160)는 상기 도로지면 정보를 교통 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도로 정보를 요청한 각 휴대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160)로부터 도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210) 는 수신된 상기 도로 정보를 표시부(250)의 화면을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321). 또한, 제어부(210)는 상기 도로 정보와 교통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도로 정보와 교통 정보의 일부분 혹은 전체부분을 오디오 처리부(225)를 통한 소리 정보로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도로 정보 사용 중지 명령 전까지 상기 S315단계에서 S321단계를 반복하도록 제어한다.(S323).
상기 도 3에서는 센서부(240)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움직임 정보를 서버(160)에게 전송하면, 상기 서버(160)에서 도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휴대단말기가 상기 도로 정보를 요청한 이 후에 움직임 정보를 서버(160)로 전송하거나, 상기 도로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움직임 정보를 서버(16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240)가 없는 휴대단말기의 경우 상기 S313, S315, S317, S319, S321,S323 과정을 통해 서버(160)로부터 도로 정보를 수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도로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써, 제어부(210)가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실시 예이다.
도 4의 S403단계와 S405단계는 상기 도 3의 S303단계와 S305단계와 각각 동일한 과정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S407단계에서 상기 센서부(240)로부터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움직임 정보를 메모리(230)에 저장하였다가, RF부(223)를 통해 서버(16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버(160)는 복수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10)는 GPS수 신부(260)로부터 상기 움직임 정보가 발생한 순간에 해당하는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움직임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160)로 전송할 수 있다(S409).
상기 서버(160)에 저장된 움직임 정보를 수신받기 위해서 상기 휴대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도로지면 정보와 도로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도로 정보 모드가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도로 정보 모드로 전환하고(S411), 이동통신망의 서버(160)에게 움직임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413).
상기 움직임 정보의 전송을 요청 받은 서버(160)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요청한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해당하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검색한다(S415).
서버는(160)는 상기 S415단계에서 검색된 도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한다(S417). 이때, 상기 서버(160)는 움직임 정보를 교통 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움직임 정보를 요청한 각 휴대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160)로부터 움직임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는(210)는 메모리(130)에 포함된 지면정보 목록을 통해 차량의 움직임 정보에 대응되는 각각의 도로지면의 상태 즉, 도로지면 정보를 추출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움직임 정보와 함께 상기 움직임 정보가 발생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 즉, 도로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휴대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와 함께 추출되거나, 상기 서버(160)가 움직임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해당하는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상기 도로지면 정보와 도로위치 정보로 이루어진 도로 정보를 표시부(250)의 화면을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421). 이때,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도로 정보와 교통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과정에 있어서 오디오 처리부(225)를 통한 소리 정보로 표시할 수도 있다.
S42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교통정보모드의 중지 명령 전까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210)는 S413단계에서 S421단계를 반복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도 4에서는 센서부(240)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움직임 정보를 서버(160)에게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240)가 상기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휴대단말기가 상기 도로 정보를 추출한 이 후에 움직임 정보를 서버(160)로 전송하거나, 상기 도로 정보를 추출함과 동시에 움직임 정보를 서버(16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240)가 없는 휴대단말기의 경우 상기 S411, S413, S415, S417, S419,S421,S423 과정을 통해 서버(160)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여 도로 정보를 추출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사용하여 차량의 움직임으로부터 도로지면 정보와 도로위치 정보로 이루어진 도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운전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로 정보를 상기 교통 정보에 포함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교통 정보를 보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로 정보가 복수의 휴대단말기의 참여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상기 도로 정보 및 교통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서버와 상기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탑재하고 적어도 한 대의 차량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획득한 도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로 위치 정보와 상기 도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추출된 도로지면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정보들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이동할 위치에 대응되는 도로지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도로지면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정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감지한 현재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도로 위치정보는 상기 서버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정보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차량의 위치 에 대응되는 도로 위치 정보는 GPS로부터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정보 표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전송된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도로 지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도로 지면 정보와 상기 도로 위치 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로 정보 표시 방법.
  5. 서버와 상기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를 탑재하고 적어도 한 대의 차량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획득한 도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로 위치 정보와 상기 도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정보들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이동할 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도로지면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정보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감지한 현재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도로 위치정보는 상기 서버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정보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도로 위치 정보는 GPS로부터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정보 표시 방법.
KR1020060000191A 2006-01-02 2006-01-02 도로 정보 표시 방법 KR20070072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191A KR20070072740A (ko) 2006-01-02 2006-01-02 도로 정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191A KR20070072740A (ko) 2006-01-02 2006-01-02 도로 정보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740A true KR20070072740A (ko) 2007-07-05

Family

ID=3850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191A KR20070072740A (ko) 2006-01-02 2006-01-02 도로 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274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264A (ko) * 2000-12-01 2002-06-10 이정현 상호 도로 정보 시스템
KR20020090044A (ko) * 2001-05-26 2002-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면상태 및 교통상황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74782A (ko) * 2003-02-19 2004-08-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노면 정보 제공방법
KR20050118995A (ko) *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264A (ko) * 2000-12-01 2002-06-10 이정현 상호 도로 정보 시스템
KR20020090044A (ko) * 2001-05-26 2002-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면상태 및 교통상황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74782A (ko) * 2003-02-19 2004-08-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를 이용한 노면 정보 제공방법
KR20050118995A (ko) *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64730B (zh) 车辆和控制方法
KR10186677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35192B1 (ko) 항법 기기에서 차량 항법과 보행자 항법 간의 모드 전환장치 및 방법
CN110857857A (zh) 用于视觉障碍者的导航辅助
CN108234282B (zh) 一种基于社交工具的反馈信息处理方法和车载终端
CN109040968B (zh) 路况提醒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519080B (zh) 一种导航路线规划方法及终端
JP2010215302A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装置
CN105357627A (zh) 一种基于云计算的便携旅游终端及其服务方法
CN105338476A (zh) 一种基于云计算的便携旅游终端的实现方法
KR20050013445A (ko) 디지털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10456395B (zh) 一种定位方法及终端设备
JP200503718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サーバ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CN109104689B (zh) 一种安全警示方法及终端
JPWO2005109933A1 (ja) 移動体端末及びサーバ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移動体端末の通信方法及びサーバの通信方法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の情報提供方法
CN108362303B (zh) 一种导航方法及移动终端
CN111107219B (zh) 一种控制方法和电子设备
JP4415861B2 (ja) 歩行者横断支援システム及び歩行者横断支援方法
CN205124003U (zh) 一种基于云计算的便携旅游终端
JP2001238266A (ja) 情報配信システム
KR101907293B1 (ko) 정류장 및 택시 정보 안내 시스템
JP2015521319A (ja) Gps及びスマートフォンアプリケーションを用いた視覚障害者向け音響信号システム
KR101084648B1 (ko)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음성으로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
KR20070072740A (ko) 도로 정보 표시 방법
KR20050015978A (ko) 정보 처리 센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