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2640A - 단열용 그라스울 및 그것을 포함한 건축용 판넬 - Google Patents

단열용 그라스울 및 그것을 포함한 건축용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2640A
KR20070072640A KR1020060000004A KR20060000004A KR20070072640A KR 20070072640 A KR20070072640 A KR 20070072640A KR 1020060000004 A KR1020060000004 A KR 1020060000004A KR 20060000004 A KR20060000004 A KR 20060000004A KR 20070072640 A KR20070072640 A KR 20070072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wool
hole
thickness
mat
build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일
Original Assignee
김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일 filed Critical 김상일
Priority to KR1020060000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2640A/ko
Publication of KR20070072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94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constructions for generation of phase shif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01F8/007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용 글라스울 및 그것을 사용한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트상으로 만들어지는 글라스울에 다수의 구멍을 배열형성하고, 그것을 만들고자 하는 판넬의 두께로 재단하여 상기 구멍이 판넬 폭방향에 수평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튼튼하면서 무게를 감소시키고 단열성을 증가시키도록 한 단열용 글라스울 및 그것을 사용한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글라스울, 패널, 수지

Description

단열용 그라스울 및 그것을 포함한 건축용 판넬{Insulate Glass-Wool And Construction Panel Which Includes I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단열용 글라스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글라스울이 사용된 건축용 판넬의 구조를 보인 전단사시도.
도 3은 제 1실시예에 의한 단열용 글라스울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제 1실시예에 의한 단열용 글라스울의 구멍에 수지를 함침한 상태를 보인 부분전단사시도.
도 5는 제 1실시예에 의한 단열용 글라스울을 사용한 건축용 판넬의 구조를 보인 부분전단사시도.
도 6은 제 2실시예에 의한 단열용 글라스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제 2실시예에 의한 단열용 글라스울의 구멍에 수지를 함침한 상태를 보인 전단사시도.
도 8은 제 2 실시예에 의한 단열용 글라스울을 사용한 건축용 판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 21 : 단열용 글라스울 12,22 : 내측판
13,23 : 외측판 h1,h1' : 구멍
14, 24 : 건축용 판넬
본 발명은 단열용 글라스울 및 그것을 사용한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트상으로 만들어지는 글라스울에 다수의 구멍을 배열형성하고, 그것을 만들고자 하는 판넬의 두께로 재단하여 상기 구멍이 판넬 폭방향에 수평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튼튼하면서 무게를 감소시키고 단열성을 증가시키도록 한 단열용 글라스울 및 그것을 사용한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열용 글라스울(1)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원료를 고열로 액화시켜 고속 회전 원심공법으로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도록 매트상으로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단열용 글라스울(1)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장의 얇은 철판면(3a,3b)에 접착제를 바르고 그 사이에 샌드위칭시켜 건축용 판넬(2)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단열용 글라스울(1)은 상기 판넬(2)의 두께 만한 폭으로 재단한 후 90도 회전시켜 밀착배열하여 샌드위칭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구조적인 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건축용 판넬(2)은 공장 건물이나 기타 건물의 지붕, 벽 그리고 칸막이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단열용 글라스울은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밀도를 높여야 하기 때문에 판넬을 만드는데 많은 비용이 든다.
또,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밀도를 증가시키면 판넬의 무게가 증가 되어 건축물 자체의 구조물이 튼튼해져야 하는 문제를 동반하므로 건축비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단열성을 저하시키면서 두께와 밀도를 감소시키면 판넬은 구조적인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무게를 감소시키고 단열성을 증가시키면서 판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단열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강도를 높임과 아울러 무게를 감소시키고 건축구조물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건축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유리원료를 고열로 액화시켜 고속 회전 원심공법으로 만든 무기섬유단열재인 매트상의 단열용 글라스울에 있어서 다수의 구멍을 배열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매트상의 두께를 등간격으로 회피하여 형성한 구멍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벽면에 수지가 함침된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그리고 또, 본 발명은 매트상의 두께 2/3내의 지름을 갖는 원 또는 타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내측판과 외측판이 있고, 상기 내측판과 외측판 사이에 샌드위칭되어 단열과 함께 구조적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 단열재인 글라스울을 갖는 건축용 판넬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울은 관통된 다수의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단열용 글라스울과 그것을 사용한 건축용 판넬은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실시예)
상기 도 3은 제 1실시예에 의한 단열용 글라스울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제 1실시예에 의한 단열용 글라스울의 구멍에 수지를 함침한 상태를 보인 부분전단사시도이며, 도 5는 제 1실시예에 의한 단열용 글라스울을 사용한 건축용 판넬의 구조를 보인 부분전단사시도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열용 글라스울(11)은 종래와 같이 소정의 폭과 길이 그리고 두께(T)를 갖는 매트상으로 만들어지고, 매트상으로 형성된 상기 글라스울(11)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원형의 구멍(h1)을 다 수개 배열형성하였다.
상기 원형의 구멍(h1)은 상기 글라스울(11)의 두께내에서 일정한 폭으로 반복적으로 배열형성된다.
이때, 원형구멍(h1)이 배열된 폭은 매트상의 상기 글라스울(11)의 두께의 2/3내에서 3줄로 배열된다.
이렇게 매트상의 글라스울(11) 두께(T)의 2/3내의 폭(B)을 가지므로 건축용 판넬(14)을 만들 때 상기 글라스울(11)을 절단하면 구멍(h1)부분은 잘리지 않고 원형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멍(h1)은 이웃하는 3개의 중심을 연결하면 정삼각형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도에 의한 열이 전달되는 거리가 최대화 되게 되고, 구조적으로도 아치형상이 되므로 강도가 높게 되며, 동시에 중량도 감소하게 된다.
또,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멍(h1)의 내벽면에 수지(P1)를 함침한다. 이와 같이 수지(P1)를 함침하면 구조적인 강도가 매우 증가하게 되고, 상기 수지(P1)에는 내화성능을 높이기 위해 불연재나 난연재를 같이 섞어 상기 구멍(h1)의 내벽면에 함침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단열용 글라스울(11)을 매트상의 두께의 폭으로 절단한 후 90도 회전시켜 밀착배열하고, 접착제(미도시)를 발라 소정의 두께를 갖는 내측판(12)과 외측판(13)으로 이루어진 두 철판 사이에 샌드위칭하여 건축용 판넬(14)을 만든다.
이렇게 소정의 두께를 갖는 철판으로 형성된 내측판(12)과 외측판(13) 사이에 상기 글라스울(11)을 90도 회전시켜 밀착배열하게 되면 상기 구멍(h1)은 상기 건축용 판넬(14)의 폭방향에 수평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매트상의 단열용 글라스울(11)의 2/3두께(T) 내에서 상기 구멍(h1)이 형성되어 배열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내측판(12)과 외측판(13)의 전면(全面)에는 절단된 상기 글라스울(11)이 접착되어 샌드위칭되게 된다.
제 2실시예)
도 6은 제 2실시예에 의한 단열용 글라스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제 2실시예에 의한 단열용 글라스울의 구멍에 수지를 함침한 상태를 보인 전단사시도이며, 도 8은 제 2 실시예에 의한 단열용 글라스울을 사용한 건축용 판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단열용 글라스울(21)은 종래와 같이 소정의 폭과 길이 그리고 두께(T')를 갖는 매트상으로 만들어지고, 매트상으로 형성된 상기 글라스울(21)은 두께(T')Z 방향으로 관통된 타원형의 구멍(h1')을 다 수개 배열형성하였다.
상기 타원형의 구멍(h1')은 상기 글라스울(21)의 두께(T')내에서 일정한 폭(B')으로 반복적으로 배열형성된다.
이때, 타원형구멍(h1')이 배열된 폭(B')은 매트상의 상기 글라스울(21)의 두께(T')의 2/3내에서 3줄로 배열된다.
이렇게 매트상의 글라스울(21) 두께(T')의 2/3내의 폭(B')을 가지므로 건축용 판넬(24)을 만들 때 상기 글라스울(21)을 절단하면 구멍(h1')부분은 잘리지 않고 타원형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멍(h1')은 이웃하는 3개의 타원의 중심을 연결하면 이등변삼각형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이등변삼각형은 둔각이 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원형으로 형성한 상기 단열용 글라스울(11)처럼 전도에 의한 열이 전달되는 거리가 최대화 되게 되고, 구조적으로도 아치형상이 되므로 강도가 높게 되면서 중량 또한 많이 감소하게 된다.
또,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 형성한 상기 구멍(h1')의 내벽면에 수지(P1')를 함침한다. 이와 같이 수지(P1')를 함침하면 구조적인 강도가 매우 증가하게 된다.
상기 수지(P1')에는 내화성능을 높이기 위해 불연재나 난연재를 같이 섞어 타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구멍(h1')의 내벽면에 함침한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단열용 글라스울(21)을 매트상의 두께(T')의 폭으로 절단한 후 90도 회전시켜 밀착배열하고, 접착제(미도시)를 발라 소정의 두께를 갖는 내측판(22)과 외측판(23)으로 이루어진 두 철판 사이에 샌드위칭하여 건축용 판넬(24)을 만든다.
이렇게 소정의 두께를 갖는 철판으로 형성된 내측판(22)과 외측판(23) 사이에 절단한 상기 글라스울(21)을 90도 회전시켜 밀착배열하게 되면 타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구멍(h1')은 상기 건축용 판넬(24)의 폭방향에 수평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매트상의 단열용 글라스울(21)의 2/3두께(T') 내에서 타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구멍(h1')이 형성되어 배열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내측판(22)과 외측판(23)의 전면(全面)에는 절단된 상기 글라스울(21)이 접착되어 샌드위칭되게 된 다.
상기와 같이 매트상의 글라스울에 다수의 구멍을 배열형성함으로써,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두께나 밀도를 높이지 않아도 구조적 강도가 증가하게 되고, 또 열전도 거리가 증가하면서 새로운 공기층의 단열부분이 형성되게 되어 건축용 판넬을 만들었을 때 내화성능이 증가하게 된다.
또,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 두께나 밀도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되게 되어 건축용 판넬의 무게가 증가하는 것을 막게 되고 건축물 자체의 구조물을 경량화하면서 건축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유리원료를 고열로 액화시켜 고속 회전 원심공법으로 만든 무기섬유단열재인 매트상의 단열용 글라스울에 있어서;
    다수의 구멍을 배열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 글라스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매트상의 두께를 등간격으로 회피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 글라스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내벽면에 수지가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 글라스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매트상의 두께 2/3내의 지름을 갖는 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 글라스울.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매트상의 두께 2/3내를 단축으로 하는 타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 글라스울.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매트상의 두께 2/3내를 장축으로 하는 타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 글라스울.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매트상의 두께 2/3내의 폭에서 일정한 크기로 다수의 줄 또는 열을 반복적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 글라스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열과 줄은 이웃하는 3개의 구멍의 중심을 연결하였을 때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 글라스울.
  9.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내측판과 외측판이 있고, 상기 내측판과 외측판 사이에 샌드위칭되어 단열과 함께 구조적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 단열재인 글라스울을 갖는 건축용 판넬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울은 관통된 다수의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판넬 두께의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내부 벽면에 수지가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타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KR1020060000004A 2006-01-01 2006-01-01 단열용 그라스울 및 그것을 포함한 건축용 판넬 KR20070072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004A KR20070072640A (ko) 2006-01-01 2006-01-01 단열용 그라스울 및 그것을 포함한 건축용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004A KR20070072640A (ko) 2006-01-01 2006-01-01 단열용 그라스울 및 그것을 포함한 건축용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640A true KR20070072640A (ko) 2007-07-05

Family

ID=3850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004A KR20070072640A (ko) 2006-01-01 2006-01-01 단열용 그라스울 및 그것을 포함한 건축용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26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352B1 (ko) 2020-08-20 2020-12-22 강지숙 단열성과 내화성 및 방수성을 갖는 그라스울 판넬 제조방법
KR102210648B1 (ko) 2020-08-20 2021-02-03 강지숙 그라스울 판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352B1 (ko) 2020-08-20 2020-12-22 강지숙 단열성과 내화성 및 방수성을 갖는 그라스울 판넬 제조방법
KR102210648B1 (ko) 2020-08-20 2021-02-03 강지숙 그라스울 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56719A (zh) 防火保温板
KR20070072640A (ko) 단열용 그라스울 및 그것을 포함한 건축용 판넬
CN208184061U (zh) 一种矩形钢管龙骨的预制无热桥保温外墙
CN211774684U (zh) 一种多层夹心防火结构的墙体保温结构
EP1709132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panels of mineral wool
CN216195745U (zh) 一种隔墙
JP2016094799A (ja) 集成断熱材および断熱複合板
CN213704835U (zh) 一种复合保温板
WO2016113581A1 (en) High-performance torchable thermal insulating panel for buildings roofs
JP2011220072A (ja) 耐震断熱防火建物
US10214840B2 (en) Method of producing a sandwich panel core of mineral wool fibres
US20240175255A1 (en) Composite framing member comprising elements that provide a thermal break
KR102335589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RU65920U1 (ru) Сэндвич-панель
KR101628300B1 (ko) 조립형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KR20200036466A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EP3306002B1 (en) Hybrid insulating board for cavity walls
CN212979454U (zh) 一种复合发泡水泥板
CN212200839U (zh) 一种低能耗建筑外墙复合外保温板
CN220377643U (zh) 一种隔墙用岩棉板
KR920010160B1 (ko) 불연성 단열, 방음판 및 그 제조방법
CN219060405U (zh) 一种外墙保温防火板
CN216893280U (zh) 一种装配式双面一体保温隔热外墙板
CN219118623U (zh) 一种抗腐蚀保温一体板
KR101002629B1 (ko) 패널 내장용 심재의 부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