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466A -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466A
KR20200036466A KR1020180116134A KR20180116134A KR20200036466A KR 20200036466 A KR20200036466 A KR 20200036466A KR 1020180116134 A KR1020180116134 A KR 1020180116134A KR 20180116134 A KR20180116134 A KR 20180116134A KR 20200036466 A KR20200036466 A KR 20200036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combustible
thickness
coat layer
inorganic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299B1 (ko
Inventor
김지문
정승문
한동우
서정욱
양희경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116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299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8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두께를 갖는 유기 보드; 유기 보드의 일면에 접합되고, 제2 두께를 가지며, 두께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되는 무기 보드; 상기 무기 보드의 다른 일면에 마련된 불연 코트층; 및 불연 코트층 내에 매립된 보강 메쉬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보드의 두께 방향에 따른 단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은 유기 보드 및 무기 보드의 접합라인을 따라 연속하여 나타나는 복수 개의 극대점과 극소점을 가지는 복합 단열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COMPLEX INSULATION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단열 공법은 건축물의 외벽에 단열층을 두어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기존의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는 내단열 공법에 비해 에너지 절감의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많아 점차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에너지 절감 기준의 강화와 더불어 단열층의 두께가 증가하고 있고, 사용되는 재료 또한 폴리스틸렌 폼을 위주로 하는 유기계 단열재가 대부분이다. 또한 석재패널, 금속패널 등의 건식 마감공법의 외벽이나 마감재 사이도 단열을 위해 유기계 단열재를 사용하거나, 금속 패널 내부에 폴리에틸렌 수지로 적층된 복합 패널이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건축물 외벽의 단열층(외단열재)에 사용되는 유기계 단열재는 화재에 취약한데, 외부가 시멘트계 마감재료로 불에 타지 않도록 마감되었다 하더라도 시공상의 부주의나 외부로 노출된 창이나 개구부를 통해 화염이 분출되는 경우 단열층에 사용된 유기계 단열재에 쉽게 화재가 옮겨간 후 화재의 전파 통로로 이용 되면서 급속히 확산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쉽게 유기계 재료의 대신 무기계 재료를 외단열재로 적용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무기계 재료의 경우, 내화성은 우수하지만, 단열성이 떨어지고, 또한, 외단열 규격에 맞는 인장강도, 무게 또는 두께 등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가격 단가도 비싸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되었다.
특히 병원이나, 요양시설, 어린이시설 등의 경우 화재에 취약하기 때문에 화재의 급속한 확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대책이 더욱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유기 보드의 일면에 무기 보드를 접합시키고, 무기 보드의 다른 일면에 불연 코트층을 접합시키며, 상기상기 불연 코트층 내에 보강 메쉬를 매립함에 따라, 단열성이 우수하면서도 화재의 급속한 확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복합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두께를 갖는 유기 보드; 유기 보드의 일면에 접합되고, 제2 두께를 가지며, 두께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되는 무기 보드; 상기 무기 보드의 다른 일면에 마련된 불연 코트층; 및 불연 코트층 내에 매립된 보강 메쉬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보드의 두께 방향에 따른 단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은 유기 보드 및 무기 보드의 접합라인을 따라 연속하여 나타나는 복수 개의 극대점과 극소점을 가지는 복합 단열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두께를 갖는 유기 보드; 유기 보드의 일면에 접합되고, 제2 두께를 가지며, 두께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되는 무기보드; 상기 무기 보드의 다른 일면에 마련된 제1 불연 코트층; 제1 불연 코트층 일면에 접합되는 제2 불연 코트층; 및 상기 제1 불연 코트층에 매립되는 보강 메쉬를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복합 단열재는 유기 보드, 무기 보드, 불연 코트층 및 보강 메쉬로 구성됨에 따라, 단열성, 내화성 및 화재 안전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 및 2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복합 단열재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유기 보드 및 무기 보드의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도 3에 도시된 무기 보드의 x-y평면과 평행한 임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복합 단열재는 외단열 시공에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단열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열재를 나타내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유기 보드 및 무기 보드의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도 3에 도시된 무기 보드의 x-y평면과 평행한 임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합 단열재는 유기 보드(100), 무기 보드(200), 불연 코트층(300) 및 보강 메쉬(400)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보드(100)는 제1 두께를 가지며, 외단열 시공 시 건물의 외벽(10)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본 출원에 따른 복합 단열재는 유기 보드(100)를 매개로 건물의 외벽(10)에 마련된 접착 몰탈(11)에 접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찹 몰탈(11)은 공지된 불연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합 단열재와 건물의 외벽(10) 사이에서 화재가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유기 보드(100)의 경우, 건물 외벽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므로, 우수한 단열성이 구현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단열성이 우수하게 구현되는 한, 유기 보드(100)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 보드(100)는 발포 폼을 포함하고, 상기 발포 폼은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페놀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가공성, 비용 및 단열성을 고려해볼 때, 바람직하게 페놀을 포함하는 발포 페놀 폼(PF-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보드(200)는 유기 보드(100)의 일면에 접합되고, 두께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된다.
일반적으로, 무기 보드(200)는 내화성 및 화재 안정성이 우수하지만, 경량화 및 슬림형으로 제조하는데 제한적이므로 외단열 시공에 적합한 규격으로 제조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반면, 본 출원에 따른 무기 보드(200)는 내화성, 화재 안정성, 압축 강도 및 인장 강도가 우수하면서, 동시에 경량화 및 슬림형으로 제조 가능하고, 이는 무기 보드(200) 내 특정 구조가 형성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특정 구조를 갖는 무기 보드(200)는 무기 보드(200)의 두께 방향에 따른 단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201)은 유기 보드 및 무기 보드의 접합라인(101)을 따라 연속하여 나타나는 복수 개의 극대점(A)과 극소점(B)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보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층(201)에서 인접하는 극대점(A1)과 극소점(B1)의 두께 방향 간격이 0.5cm 이상인 제1 영역; 및 두께 방향에 따른 단면 중 5cm×5cm로 이루어진 단면 내 적어도 하나의 층의 극대점(A2, A3..) 및 극소점(B2, B3..)의 개수의 합이 4개 이상인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복수 개의 극대점은 A1, A2, A3?순으로 나타내고, 복수 개의 극소점은 B1, B2, B3..순으로 나타내며, 상기 극대점 및 극소점을 일괄적으로 나타낼 때는 각각 A, B로 표기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보드(200)는, 소정의 길이(l), 폭(w), 두께(t)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용어 「무기보드(200)의 두께방향 단면」은, 도 3을 참조하면, C1축(두께 방향(x) 및 길이 방향(z)에 각각 직교), C2축(두께 방향(x) 및 폭 방향(w)에 각각 직교) 및 C1축 또는 C2축과 소정의 각도를 갖는 임의의 축을 기준으로 절단된 단면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무기보드(200)의 두께방향 단면은, 도 3에서, y-z평면과 평행한 임의의 단면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때, 전술한 제1 영역(210) 및/또는 제2 영역(220)은 특정 축을 기준으로 절단한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x-y평면과 평행한 임의의 단면에서는 전술한 제1 영역(210) 및/또는 제2 영역(220)이 나타나고, x-z평면과 평행한 임의의 단면에서는 전술한 제1 영역(210) 및/또는 제2 영역(220)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극대점(A) 및 극소점(B)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201)은 접합 라인(101)을 따라 파형을 가지며, 연속적으로 위로 볼록한 형태 및 아래로 볼록한 형태가 교번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때, 위로 볼록한 형태는, 접합라인(101)으로부터 두께방향 간격(t1)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영역에 대응하고, 아래로 볼록한 형태는, 접합라인(101)으로부터 두께방향 간격(t2)이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영역에 대응한다. 이때, 극대점(A)은, 하나의 위로 볼록한 형태에서, 두께 방향의 간격(t1)이 최대값을 나타내고, 극소점(B)은 하나의 아래로 볼록한 형태에서 두께방향의 간격(t2)이 최소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층(201)은 접합 라인(101)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로 볼록한 형태 및 아래로 볼록한 형태가 교번하는 형태를 가지며, 접합 라인(101)을 따라 복수 개의 극대점(A) 및 극소점(B)을 갖는다.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역(210)의 두께방향의 간격(X)은 예를 들어, 0.5cm 이상, 1cm 이상, 또는 1.5c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X)의 상한은 5cm 이하, 4cm 이하 또는 3cm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격(X)은 0.5cm 내지 5cm, 1cm 내지 5cm, 1.5cm 내지 5cm, 0.5cm 내지 4cm, 1cm 내지 4cm, 1.5cm 내지 4cm, 1.5cm 내지 3cm, 1cm 내지 3cm 또는 1.5cm 내지 3cm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220)의 개수의 합의 상한은 25개 이하, 20개 이하, 15개 이하, 10개이하, 9개 이하, 8개 이하, 또는 7개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개수의 합은 4개 내지 25개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무기 보드(200)는 제1 및 제2 영역(210, 22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압축 강도 및 압축 강도가 구현된다. 상기 제1 영역(210)의 최저점 및 최고점 사이의 간격, 및 제2 영역(220)의 최고점(A) 및 최저점(B)의 개수의 조절은 후술하는 크림핑 공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210) 및 제2 영역(220)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기 위해서는 무기 보드(200)의 소재 선택 또한 중요하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 보드(200)는 변형 글라스울 또는 변형 미네랄울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변형 미네랄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미네랄울의 경우 전술한 제1 영역(210)의 일반적으로, 공지된 미네랄울의 경우 전술한 제1 영역(210)의 두께방향 간격(X)이 0.5cm 이하이거나, 제2 영역(220)의 개수의 합이 4개 미만이다. 이러한 공지된 미네랄 울의 경우, 밀도를 전술한 범위 내로 조절하는 것이 어렵고, 이는 외단열 시공에 적합한 압축 강도, 인장 강도 및 두께 조절이 제한되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반해, 변형 미네랄 울은 크림핑 공정이 적용되어 제1 영역(210)에서의 두께방향의 간격(X) 및 제2 영역의 개수의 합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한다. 따라서, 변형 미네랄 울의 경우, 공지된 미네랄 울에 비해 향상된 밀도를 갖고, 이로 인해 외단열 시공에 적합한 압축 강도, 인장 강도 및 두께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복합 단열재는 유기 보드(100)와 무기 보드(200)를 접합시키는 접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0.1cm 내지 2cm, 0.5cm 내지 2cm 또는 1cm 내지 2cm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복합 단열재는 유기 보드(100) 및 무기 보드(200)의 두께 또는 밀도를 조절하여 외단열 시공에 필요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유기 보드(100)의 제1 두께는 50mm 내지 200mm, 80mm 내지 170mm 또는 100mm 내지 130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보드(200)의 제2 두께는 50mm 내지 200mm, 80mm 내지 170mm 또는 100mm 내지 130mm일 수 있다. 복합 단열재는, 상기 범위 내에서 유기 보드(100)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또는 무기 보드(200)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복합 단열재의 밀도 및 열전도도가 낮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무기 보드(200)의 두께에 따라 유기 보드(100)의 발화 및 탄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 보드(200)의 두께가 60 mm 이상일 때, 유기 보드(100)의 발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며, 70mm 이상일 때, 유기 보드(100)의 탄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일 구체 예에서, 상기 유기 보드(100)의 밀도는 10 kg/m3 내지 110 kg/m3, 15 kg/m3 내지 100 kg/m3, 또는 20 kg/m3 내지 80 kg/m3이고, 무기 보드(200)의 밀도는 100 kg/m3 내지 300kg/m3, 120 kg/m3 내지 250kg/m3, 또는 130 kg/m3 내지 200kg/m3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 내의 밀도를 만족하는 무기 보드(200)의 경우, 얇은 두께에서 우수한 압축 강도 및 인장 강도가 구현됨에 따라, 외단열 시공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불연 코트층(300)은 무기 보드의 다른 일면에 마련된다. 상기에서 용어 「무기 보드의 다른 일면」은 유기 보드(100)와 접합되지 않은 무기 보드(200)의 일면을 의미한다. 상기 불연 코트층(300)은 단열재의 변형, 크랙 방지, 외부 충격 및 화재 확산 방지 역할을 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불연 코트층(300)은 KSF ISO 1182의 난연성 시험 규격 조건을 만족하는 한, 그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시멘트, 실리카(SiO2), 이산화 티탄(TiO2)석회석, 백운암, 미세 금속 입자 등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 단열재의 외단열 시공 시, 상기 불연 코트층(300)은 상기 혼합물의 도포 및 양생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연 코트층(300)의 두께는 1mm 내지 30mm, 1mm 내지 25mm 또는 2mm 내지 20mm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보강 메쉬(400)는 불연 코트층(300) 내에 매립된다. 보강 메쉬의 소재는 유리 섬유일 수 있다. 상기 보강 메쉬(400)의 내구성은 충격 강도 10J 시험 및 내알칼리 ASTM E2098 시험에 따른 규격 조건을 만족한다. 상기 보강 메쉬(400)가 매립된다는 것은 복합 단열재의 외단열 시공 시 불연 코트층(300)/보강 메쉬(400)/불연 코트층(300)의 순서로 도포(또는 적층)된 후 양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보강 메쉬(400)의 양 면에 적층된 두 개의 불연 코트층(300)의 두께 합이 1mm 내지 30mm, 1mm 내지 25mm 또는 2mm 내지 20m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보강 메쉬(400)는 강도 보강 및 벽체 손상 등으로 인한 단열재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복합 단열재의 강도 보강을 위해서, 상기 보강 메쉬(400)의 면적당 단위 질량이 적절한 범위 내로 조절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상기 보강 메쉬(400)는 50g/m2 내지 300g/m2, 80g/m2 내지 250g/m2 또는, 100g/m2 내지 200g/m2 범위 내의 면적당 단위 질량을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무기 보드(200)의 다른 일면에 복수 개의 고정용 화스너(5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화스너(500)는 무기 보드(200)의 다른 일면에 설치되어 건물의 외벽(철근 콘크리트 등)에 복합 단열재를 고정시키거나, 접착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기 보드(200)는 우수한 인장 강도로 인해 부착 강도 향상되어, 최소한의 고정용 화스너가 설치될 수 있어 시공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식 몰탈로 복합 단열재를 건물의 외벽에 부착하고, 이를 고정용 화스너로 고정시키는 경우, 단위 면적(m2) 당 1 내지 2개 정도의 고정용 화스너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고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개의 불연 코트층을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복합 단열재는, 유기 보드(100), 무기 보드(200), 제1 불연 코트층(300), 보강 메쉬(400) 및 제2 불연 코트층(600)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1 불연 코트층은 전술한 불연 코트층을 의미하고, 따라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복합 단열재는 제1 두께를 갖는 유기 보드(100)와, 유기 보드(100)의 일면에 접합되고, 제2 두께를 가지며, 두께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되는 무기 보드(200)와, 무기 보드(200)의 다른 일면에 마련된 제1 불연 코트층(300)과, 제1 불연 코트층(300) 일면에 접합되는 제2 불연 코트층(600) 및 상기 제1 불연 코트층(300) 에 매립되는 보강 메쉬(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불연 코트층(300)은 단열재의 변형 및 크랙을 방지하는 강화층으로서, 시공면을 고르게하며, 화재로 인해 발생한 열이 단열재로 전달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불연 코트층(600)은 제1 불연 코트층(3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기 보드(20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불연 코트층(600)은 외부 충격 및 직접적인 화염으로부터 복합 단열재를 보호하면서, 동시에 화재로 인한 단열재 손상 및 열전달 속도를 지연시켜 화재의 확산을 방지시킨다. 상기 제2 불연 코트층(600)의 조성은 전술한 제1 불연 코트층(300)과 동일하다. 복합 단열재의 외단열 시공 시 제1 불연 코트층(300)이 양생된 후 제2 불연 코트층(600)은 상기 양생된 제1 불연 코트층(300)의 일면에 도포 및 양생 단계를 거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불연 코트층(600)은 일 종의 마감재 역할을 한다. 제2 불연 코트층(600)의 다른 일면에 페인트, 탄성 등의 기능성 코팅재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불연 코트층(300, 600)은 상기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면서, 동시에 외단열 시공에 적합하도록 그 두께가 하기의 수치 범위 내로 조절되어야 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1 불연 코트층(300)의 두께는 0.1mm 내지 10mm, 1mm 내지 8mm 또는 3mm 내지 5mm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제2 불연 코트층(600)의 두께는 1mm 내지 20mm, 3mm 내지 15mm 또는 5mm 내지 10mm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전술한 복합 단열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 단열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유기 보드(100)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유기 보드(100)의 일면에 접합되고, 두께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되는 무기 보드(200)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무기 보드(200)의 다른 일면에 불연 코트층(300)을 마련하는 단계 및 불연 코트층(300) 내에 보강 메쉬(400)를 매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무기 보드를 마련하는 단계는, 크림핑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크림핑 공정의 공정 조건에 따라, 제1 영역(210)의 두께방향 간격(X) 및 제2 영역(220)의 개수의 합이 전술한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유기보드
200: 무기 보드
300: 불연 코트층 (또는 제1 불연 코트층)
400: 보강 메쉬
500: 고정용 화스너
600: 제2 불연 코트층

Claims (11)

  1. 제1 두께를 갖는 유기 보드;
    유기 보드의 일면에 접합되고, 제2 두께를 가지며, 두께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되는 무기 보드;
    상기 무기 보드의 다른 일면에 마련된 불연 코트층; 및
    불연 코트층 내에 매립된 보강 메쉬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보드의 두께 방향에 따른 단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은 유기 보드 및 무기 보드의 접합라인을 따라 연속하여 나타나는 복수 개의 극대점과 극소점을 가지는 복합 단열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보드는, 적어도 하나의 층에서 인접하는 극대점과 극소점의 두께 방향 간격이 0.5cm 이상인 제1 영역; 및 두께 방향에 따른 단면 중 5cm×5cm로 이루어진 단면 내 적어도 하나의 층의 극대점 및 극소점의 개수의 합이 4개 이상인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보드의 제1 두께는 50mm 내지 200mm이며,
    무기 보드의 제2 두께는 50mm 내지 200mm 범위 내인 복합 단열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보드의 밀도는 10 kg/m3 내지 110 kg/m3 이고,
    무기 보드의 밀도는 100 kg/m3 내지 300 kg/m3인 복합 단열재.
  5. 제 1 항에 있어서, 불연 코트층의 두께는 1mm 내지 30mm 범위 내인 복합 단열재.
  6.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 메쉬는 50g/m2 내지 300g/m2 범위 내의 면적당 단위 질량을 갖는 복합 단열재.
  7.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 보드의 다른 일면에 복수 개의 고정용 화스너가 추가로 설치되는 복합 단열재.
  8. 제1 두께를 갖는 유기 보드;
    유기 보드의 일면에 접합되고, 제2 두께를 가지며, 두께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되는 무기보드;
    상기 무기 보드의 다른 일면에 마련된 제1 불연 코트층;
    제1 불연 코트층 일면에 접합되는 제2 불연 코트층; 및
    상기 제1 불연 코트층 내에 매립되는 보강 메쉬를 포함하는 복합 단열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제1 불연 코트층의 두께는 0.1mm 내지 10mm 범위 내이고,
    제2 불연 코트층의 두께는 1mm 내지 20mm 범위 내인 복합 단열재.
  10. 유기 보드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유기 보드의 일면에 접합되고, 제2 두께를 가지며, 두께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되는 무기 보드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무기 보드의 다른 일면에 불연 코트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불연 코트층 내에 보강 메쉬를 매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복합 단열재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무기 보드를 마련하는 단계는, 크림핑(crimping) 공정에 의해 수행되는 복합 단열재의 제조 방법.
KR1020180116134A 2018-09-28 2018-09-28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83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34A KR102383299B1 (ko) 2018-09-28 2018-09-28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34A KR102383299B1 (ko) 2018-09-28 2018-09-28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466A true KR20200036466A (ko) 2020-04-07
KR102383299B1 KR102383299B1 (ko) 2022-04-06

Family

ID=7029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134A KR102383299B1 (ko) 2018-09-28 2018-09-28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546B1 (ko) * 2022-10-27 2024-02-14 실리콘밸리(주)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염시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921B1 (ko) 2015-05-01 2015-08-21 주식회사 월드와이즈월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외단열 구조체
KR20160043874A (ko) 2014-10-14 2016-04-22 영화개발산업 주식회사 건축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874A (ko) 2014-10-14 2016-04-22 영화개발산업 주식회사 건축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4921B1 (ko) 2015-05-01 2015-08-21 주식회사 월드와이즈월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외단열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546B1 (ko) * 2022-10-27 2024-02-14 실리콘밸리(주)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염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299B1 (ko) 202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0851B2 (en) Building panels and method of forming building panels
US9032679B2 (en) Roof panel and method of forming a roof
US20170368792A1 (en) Backing layer of a thermal insulation panel for building having increased adhesion properties to an insulating layer
US8763754B2 (en) Sound insulating elem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a sound insulating element
KR101953601B1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20190344528A1 (en) Support Layer of an Insulation Panel for Construction
KR102383299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65103B1 (ko) 복합단열재패널
KR20150041273A (ko) 단열 특성이 우수한 샌드위치 타입의 단열재 구조물
KR102335589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KR102383307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17250B1 (ko) 난연 및 내화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RU65920U1 (ru) Сэндвич-панель
KR102365453B1 (ko)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369917A (zh) 一种防火保温复合板
KR102396010B1 (ko) 무기섬유 집속체를 포함하고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스킨재로 이용한 건축용 단열 기능성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8757B1 (ko) 우수한 난연성 및 단열성과 열변형 대응이 가능한 건축물 외벽 마감구조
KR102534704B1 (ko) 난연 및 내구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EP2053178A2 (en) Insulator element
KR102199017B1 (ko) 건축용 경량 대리석 패널
KR102017088B1 (ko) 초단열 시공방법 및 그 단열구조
CN217439217U (zh) 单侧防火保温板结构
JP2002356937A (ja) 耐火被覆構造
KR101286036B1 (ko)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JPH10159204A (ja) 構造用断熱パネル及びそ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