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2488A -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 Google Patents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2488A
KR20070072488A KR1020077005319A KR20077005319A KR20070072488A KR 20070072488 A KR20070072488 A KR 20070072488A KR 1020077005319 A KR1020077005319 A KR 1020077005319A KR 20077005319 A KR20077005319 A KR 20077005319A KR 20070072488 A KR20070072488 A KR 20070072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erence suppression
motor
suppression device
groun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6074B1 (ko
Inventor
볼프강 빙클러
에릭 마우러
토비아스 퀴헨
페르난도 질바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410043593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4043593A1/de
Priority claimed from DE200410046299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4046299A1/d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72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2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suppression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2K11/026Suppressors associated with brushes, brush holders or thei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Dc Machiner (AREA)

Abstract

직류 모터(1), 특히 차량의 송풍기용 직류 모터(1)는 폴하우징(10), 콜렉터(12)에 대한 접촉을 일으키는 다수의 콘택 소자들(13), 전기 접속 라인(18)들을 상기 폴 하우징(10) 내로 통과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폴 하우징 개구(16) 및 라인 관련 전기 간섭 신호들을 감소 및/또는 제거시키는 간섭 억제 장치(28, 28.1)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 억제 장치(28, 28.1)은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48, 48.1)을 포함하는데 상기 커패시터가 전기 패스(path)내에 적어도 하나의 접속 라인(18)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배치된 장치용, 특히 폴하우징(10)을 포함한 직류 모터(1)용 전기 간섭 방해 장치(28, 28.1) 및 직류 모터(1)의 간섭 억제를 위한 커패시터(48, 48.1)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 하우징, 접속 라인, 콘택 소자, 커패시터, 접지 박판, 박판 태브

Description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DC MOTOR WITH SUPPRESSOR}
본 발명은, 폴 하우징, 콜렉터에 대한 접촉을 야기하는 다수의 콘택 소자들, 및 라인 관련 전기 간섭 신호를 감소 및/또는 제거하는 억제 장치를 포함한,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직류 모터, 특히 차량의 송풍기 장치용 직류 모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식의 직류 모터들은 실시예에서 예컨대 2극 브러쉬-직류 모터로서 공지된다. 상기 직류 모터들은 다양하게 적용되며 전자기적으로 억제되는 조립 방식으로 특히 차량 기술에서 필요로 한다. 콘택 소자의 공급 라인들과 모터 단자들 사이에, 즉, "플러스"와 "마이너스" 사이에 다수의 소자들을 배치함으로써 간섭을 억제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중파-, 단파-, 초단파 영역에서 간섭 억제를 위해 초크가 각각의 접속 소자들에 직렬로 접속되고, 장파 영역에서 간섭 억제를 위해 커패시터가 콘택 소자의 공급라인들과 병렬로 접속된다. 상기 장치는 비교적 많은 개별 구성부들로 구성되고 제작시 다양한 접속 공정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처리 단계들이 필요하다. 개별 구성부들은 대부분 수동으로 상호 간 상대적으로 배치되어 조립되어야 하므로, 자동화는 비용의 상승과 더불어 매우 까다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직류 모터의 간섭 억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라인의 전기 패스(path)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통과 커패시터들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단지, 통과 커패시터들은 적어도 하나의 층에 대해 2 개의 전자기식으로 분리되는 공급부들을 포함하는 4극-커패시터이다. 2 개의 공급부들 사이에서 용량 결합이 일어나도록, 커패시터는 공급부들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통과 커패시터의 공급부들 중 하나의 공급부의 2 개의 폴들이 동일한 전위, 특히 접지 전위에 접속되는 반면, 다른 공급부들은 유효 전류를 안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간섭 억제 장치는 표준-전자 부품 또는 표준 기술에 의해 특히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간섭 억제 장치는 통과 커패시터에 할당 배치되는 접지 박판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간섭 억제 장치의 간섭 억제 특성을 개선하고 통과 커패시터를 바람직하게 고정 또는 장착할 수 있게 한다. 접지 박판 상에 오목부로서 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접지 박판 내로 통과 커패시터가 삽입되어 접지 박판과 접촉되고, 보호방식으로 주조된다. 접지 박판에 접지 전위를 제공하는 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예컨대 접지 전위를 안내하는 소자에 대한 직접 콘택 또는 케이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간섭 억제 장치가 폴 하우징 개구에 할당 배치되고, 특히 폴 하우징 개구 내로 삽입된다. 이를 통해, 간섭 억제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위치 설정이 달성되는데, 왜냐하면 폴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에 간섭 억제 장치를 위한 최소한의 추가 조립 공간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간섭 억제 장치의 제안된 배치가 기술적으로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간섭 억제 장치는 공간적 확장, 특히 상기 접지 박판을 사용하는 경우의 공간적 확장으로 인해, 모터로부터 야기되는 간섭 방사선도 감소 및/또는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접지 전위로의 상기 연결이 특히 간단하게 달성되는데, 왜냐하면 폴 하우징이 대부분 접지 전위와 이미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콘택 소자들, 특히 실시예에 탄소 콘택, 예컨대 탄소 브러쉬들인 콘택 소자들은 접속 라인들과 포지티브- 및/또는 넌포지티브 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브러쉬들이 접속 라인들에 매칭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데, 콘택 소자, 또는 탄소 브러시의 코드도 간섭 억제 장치의 접속 라인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지 박판은 홀딩 소자들, 특히 박판 태브들에 의해 폴 하우징 개구 내로 슬라이드, 고정 및/또는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접지 박판은 외부 가장자리에, 초기 응력 하에 폴 하우징에 고정되고 따라서 거기서 영구 접지 접속이 달성되도록 형성된 탄성 박판 태브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음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한 접속 라인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 라인들을 완전히 가요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소음 분리의 목적으로, 접속 라인들 내의 가요성의 부분에 의해 음 전달을 중단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기계적으로 가요성의 접속 라인들을 통합하는 것은 특히 콘택 소자들 또는 탄소 브러쉬들의 코드에 의해 실현된다(가요성 구리 코드). 직류 모터들의 소음 분리는 차량 기술, 특히, 차량 작동시 종종 연속 작동되는 송풍기 모터에 바람직하다.
네거티브 전압 전위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접속 라인(마이너스-라인)은 접지 박판에 대한 전기 콘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네거티브 극성의 콘택 소자로부터 폴 하우징 밖으로 안내되는 접속 라인의 접지 접속은 직류 모터 바로 근처에서 일어날 수 있다. 접지 박판이 폴 하우징 개구 내로 삽입되는 실시예가 선택되면, 마이너스-라인의 간섭 억제가 바로 폴 하우징 상에 또는 내에서 일어난다.
접지 박판은 마이너스-라인의 인장 응력 감소 및/또는 전기 접촉을 위한 연결 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지 박판은 바 형태의 펀칭부 (접속 바)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텅 또는 연결 바는 마이너스-콘택 소자의 접속 라인(예컨대 탄소 코드 또는 구리 코드)을 전기 접속하고 동시에 기계적으로 인장 응력을 감소하기 위해 필요하다. 연결 텅이 접속 라인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넌포지티브 식으로 고정하는 칼라를 포함함으로써, 인장 응력의 감소가 일어난다. 또한, 절연되지 않은 접속 라인 또는 부분적으로 절연된 접속 라인이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접속 라인과 연결 텅 사이의 전기 접촉이 형성된다. 절연된 접속 라인이 접촉되어야 한다면, 상기 칼라가 적어도 하나의 뾰족하고/또는 날카로운 돌출부, 즉 칼라에 의해 접속 라인이 둘러싸일 때 접속 라인의 절연층을 관통하고 접속 라인의 도체에서 접촉을 일으키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접속 및/또는 기계 인장 응력 감소는 특히, 클램핑, 압괴, 용접 또는 납땜 연결로 실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속 라인 각각에는 통과 커패시터가 할당 배치된다. 이를 통해 간섭 억제 장치의 간섭 억제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이는, 2극 직류 모터에서 플러스-라인 및 마이너스-라인 내에 각각 하나의 통과 커패시터가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모터는 다른 관점에 따라서도 바람직하게 제조될 수 있다. 간섭 억제 장치가 직류 모터의 외부에 제조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성된 상태에서 직류 모터에 장착될 수 있다. 간섭 억제 장치를 직류 모터에 배치하기 전에 마이너스-라인이 연결 텅과 연결되고 및/또는 콘택 소자들이 접속 라인들에 매칭되도록 통합이 실시될 수 있다. 탄소 브러쉬들이 상기 가요성 접속 라인에 압착된다면, 추가 전기 접속들은 불필요하다. 이것은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직류 모터의 생산 비용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간섭 억제 장치는 홀더, 바람직하게는 브러쉬 홀더에 장착되고 접촉 섹션들에 의해 폴 하우징과 전기 접속된다. 이를 통해, 간섭 억제 장치는 홀더와 사전 조립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조립 단계가 생략된다.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측벽들을 포함한 간섭 억제 장치는 홀더의 수용부의 슬롯 내에 배치되고, 측벽에는 바람직하게는 수용부의 후크용 맞물림 개구가 배치된다.
간섭 억제 장치가 그 내부에 통과 커패시터용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형성된 접지 박판을 포함하면, 커패시터의 간단하고 확실한 조립이 달성되며, 관통구는 바람직하게는 통과 커패시터를 록킹, 센터링 및/또는 삽입하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한다.
전기 접촉은 접촉 섹션이 탄성 텅에 배치되면 특히 간단하게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전기 장치용, 특히 폴 하우징 내의 직류 모터용 전기 간섭 억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개구 내에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박판 태브를 포함한 접지 박판, 접속 라인의 인장 응력 감소 및/또는 전기 접촉의 역할을 하는 연결 텅, 접지 박판에 주조되는 통과 커패시터, 통과 커패시터의 연결부 측에 배치된 제 1 접속 라인 섹션 및 통과 커패시터의 하우징 측에 배치된 제 2 접속 라인 섹션을 포함하는 간섭 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특징들 중 하나 또는 다수의 특징들을 포함한 직류 모터의 간섭 억제를 위한 커패시터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을 참조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직류모터이며;
도 2는 간섭 억제 장치의 세부도이며;
도 3은 접속 라인의 가이드들의 세부도이며;
도 4는 접속 라인들에 고정된 콘택 소자들을 포함한 간섭 억제 장치이며;
도 5는 변형된 간섭 억제 장치의 세부도이며;
도 6은 조립 상태의 변형된 간섭 억제 장치이며;
도 7은 도 6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직류 모터(1)가 도시되며, 본 발명과 관련 있는 중요한 소자들만이 도시되었다. 도 1은 척도에 맞는 도면은 아니며, 직류 모터(1)의 몇몇 구성부들, 특히 고정자는 개괄을 위해 도시되지 않았다. 직류 모터(1)는 폴 하우징(10), 다수의 콜렉터 박판들(14)을 포함한 콜렉터(12), 콜렉터(12) 또는 콜렉터 박판들(14)을 접촉시키는 콘택 소자들(13), 전기 접속 라인(18)들 즉, 플러스-라인(20)과 마이너스 라인(22)을 통과시키기 위한 폴 하우징 개구(16), 및 폴 하우징 개구(16) 내로 삽입되는 간섭 억제 장치(28)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라인(18)들은 각각 도체(24) 및 상기 도체(24)를 둘러싸는 절연체(26)를 포함한다. 직류 모터(1)의 기본 기능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 더 자세히 다뤄지지 않는다. 직류 모터(1)가 작동하는 동안, 콜렉터(12)가 회전하면, 콜렉터의 박판들(14)은 여기에서 탄소 브러쉬(30)로서 구현되는 콘택 소자들(13)을 스쳐 지나가며 움직이므로, 콘택 소자들(13)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콜렉터 박판(14)의 다양한 쌍들에 대해 접촉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특히, 박판의 쌍이 다른 쌍으로 바뀌는 동안, 간섭 방사선 및 라인 관련 간섭 신호들이 생긴다. 왜냐하면 상기 간섭 신호들이 전기 접속 라인(18)들을 따라 직류 모터(1)로부터 퍼져서 직류 모터(1)와 연결되는 전기 시스템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간섭을 억제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이것은 여기에서 박판 태브(32)로서 구현된 홀딩 소자들(31)에 의해 폴 하우징 개구(16) 내에 클램핑되어 유지되는 간섭 억제 장치(28)에 의해 달성된다.
도 2에는 전기 간섭 억제 장치(28)가 상세하게 도시된다. 간섭 억제 장치(28)는 접지 박판(34), 상기 접지 박판(34)에 형성된 박판 태브(32), 상기 접지 박판(34)으로부터 형성된 웰(40), 칼라(42)에 의해 마이너스-라인(22)을 전기 접촉시키고 인장 응력을 감소시키는 연결 텅(44), 및 주조물 내에 매립되어 접지 박판(34)과 전기 접촉되는 통과 커패시터(48)를 포함하며, 대략 평편한 확장부를 포함한 내부 박판 태브(36)는 실질적으로 제 1 평면에 놓이고, 대략 평편한 확장부를 포함한 외부 박판 태브(38)는 실질적으로 제 2 평면에 놓인다. 플러스-라인(20)은 여기에서는 통과 커패시터(48)의 연결부 측에 배치된 제 1 접속 라인 섹션(50) 및 통과 커패시터(48)의 하우징 측에 배치된 제 2 접속 라인 섹션(52)으로 할당된다. 마이너스-라인(22)은 여기서는 이미 조립되었는데, 즉 마이너스-라인(22)은 연결 텅(44) 내로 삽입되었고 칼라(42)를 압괴시킴으로써 고정되었다.
통과 커패시터(48)는 하기와 같이 전기 접속되었다: 제 1 공급부의 제 1 폴은 제 1 접속 라인 섹션(50)과 연결되었고, 제 1 공급부의 제 2 폴은 제 2 접속 라인 섹션(52)과 연결되었다. 제 2 공급부의 상기 2 개의 폴들은 접지 박판(34)의 웰(40)에 전기 접촉된다. 플러스-라인(20)을 따라 퍼지는 간섭 신호는 통과 커패시터(48)에 의해 감쇠(dampimg)되고 제거되므로, 간섭 신호가 제 1 접속 라인 섹션(50)에 전달되는 것이 감소되거나 억제된다. 마이너스-라인(22)을 따라 퍼지는 간섭 신호들은, 칼라(42)에 의해 일어나는 마이너스-라인(22)의 전기 도체(24)로의 접촉이 접지 박판(34)으로 전달되는데, 왜냐하면 접지 박판(34)이 전체 전기 시스템의 접지에 연결됨으로써, 접지 박판(34)이 각각의 전압, 즉 간섭 신호의 전압에 대한 전압 싱크(voltage sink)로 간주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에는 간섭 억제 장치(28)의 평면도로 플러스-라인(20) 및 마이너스-라인(22)의 가이드가 상세하게 도시된다. 제 1 접속 라인 섹션(50)이 통과 커패시터(48)의 연결부 측에 배치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연결부 측은, 제 1 접속 라인 섹션(50)이 직류 모터(1)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원에 할당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접속 라인 섹션(52)은 통과 커패시터(48)의 하우징측에 연결된다. 마이너스-라인(22)은 연결 텅(44) 상에 놓이고 거기서 칼라(42)에 의해 고정된다.
도 4에는 추가 실시예가 도시된다. 여기에서 콘택 소자들(13)은 접속 라인(18)들의 하우징측 단부에 클램핑된다. 본 실시예에서 포지티브 콘택 소자(13)에는 콘택 소자 공급 라인(56)이 제공된 후, 연결 소자(54)에 의해 제 2 접속 라인 섹션(52)과 전기 접속된다. 연결 과정이 후속 실시되는 상기 2개의 분리형 제작은 제작 계획 설정에 따라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 소자(54) 없이 일체형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7에는 변형된 접지 박판(34.1) 및 그 자체가 알려져 있는 통과 커패시터(48.1)를 포함한 간섭 억제 장치(28.1)가 도시된다.
통과 커패시터(48.1)는 제 1 실린더형 섹션(58), 및 상기 섹션에 연결되는, 직경이 비교적 더 작은 실린더형 섹션(60)을 포함한다.
접지 박판(34.1)은, 실질적으로 4각인 바닥(62)을 가진 실질적으로 웰 형태이다. 바닥(62)은 통과 커패시터(48.1)용 제 1 관통구(64) 및 마이너스-라인(22) 용 제 2 관통구(66)를 포함한다. 바닥(62)의 짧은 측면들에는 바닥(62)에 대해 직각이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놓인 2 개의 측벽들(68)이 이어진다. 측벽들(68) 내에 홀딩 후크(72, 도6)용 맞물림 개구(70)가 형성된다. 측벽들(68)로부터 떨어져 서로 멀리 위치하고 바닥(62)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섹션들(74)에 탄성 텅들(76)이 이어진다. 탄성 텅들(76)은 바닥(62)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바닥과 분리된다. 탄성 텅들의 단부들은 접촉 섹션들(78)을 포함한다.
바닥(62)의 2 개의 길이 측면들에는 바닥(62)에 대해 직각이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는 다른 측벽들(80,82)이 서로 떨어져 형성된다. 측벽(80)은 측벽(82)만큼 높지 않다. 또한, 제 2 관통부(66)도 측벽(80)에 의해 연장된다. 측벽(82)은 바닥(62)으로부터 먼 가장자리에 홈(84)을 포함한다.
측벽들(68,80,82)에 접해 있는 길이 측면들은 각각 슬롯(83)에 의해 서로 분리되므로, 간단한 스탬핑-굽힘 제작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기 측벽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접지 박판(34.1)이 딥 드로잉 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 1 관통부(64)는 그 가장자리들에 다수의 비스듬하게 간격을 두고 있고 접지 박판(34.1)의 내부 내로 향하는 돌출부들(85.1, 85.2, 85.3,)을 포함한다. 쌍으로 마주보게 놓인 4 개의 돌출부들(85.1)은 통과 커패시터(48.1)용 삽입 경사부로서 사용된다. 직경 방향으로 마주보게 놓인 2개의 다른 돌출부들(85.2)은 바람직하게는 돌출부(85.1)보다 더 길고 제 1 관통구(64) 내로 돌출하고 통과 커패시터(48.1)용 센터링 보조기로서 사용된다. 직경으로 마주보게 놓인 2 개의 다른 돌 출부들(85.3)은 바람직하게는 돌출부(85.2)보다 더 길고 또한 제 1 관통구(64) 내로 돌출하고 통과 커패시터(48.1)를 지지한다. 통과 커패시터(48.1)는 하부면으로부터 접지 박판(34.1) 내로 삽입된다. 이로써 통과 커패시터(48.1)가 견고하고 위치 설정이 정확하며 진동을 견디게 고정될 수 있다.
접지 박판(34.1)은 브러쉬 홀더(88)의 수용부(86) 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브러쉬 홀더(88)를 대신하여 다른 홀딩 소자도 제공될 수 있다. 간섭 억제 장치(28.1)는 조립 후 브러쉬 홀더(88)에 의해 폴 하우징 개구(16)의 영역 내에 유지되므로, 접속 라인(18)들이 직류 모터(1)로부터 안내되어 나온다.
수용부(86)는 2 개의 수평하는 슬롯들(90)을 포함하는데, 상기 슬롯들 내에서 측벽들(68)이 홀딩 후크(72) 및 맞물림 개구(70)에 의해 유지된다. 슬롯들(90)은 폴 하우징 개구(16)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한다. 폴 하우징 개구(16)로부터 먼 단부들에는 슬롯들(90)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들(92)이 이어지고, 상기 벽들(92)이 접지 박판(34.1)의 바닥(62)에 접촉하므로, 접촉 섹션들(78)은 폴 하우징(10)에 대해 가압된다. 폴 하우징(10)에 대한 벽들(92)의 간격은 접지 박판(34.1)이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바닥(62)에 대한 접촉 섹션들(78)의 간격보다 더 좁다. 이를 통해 접촉 섹션들(78)이 폴 하우징(10)에 확실히 가압되므로 전기 접촉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접촉 섹션들(78) 또는 탄성 텅들(76)은 접지 박판(34.1)을 폴 하우징 개구(16)에 클램핑하기 위한 박판 태브 형태의 홀딩 소자들이다.
측벽들(82)에 의해 간섭 억제 장치(28.1)는 브러쉬 홀더(88)에 축 방향으로 접촉한다. 측벽(80)에는 도시되지 않은 지지 브래킷이 접촉되므로, 간섭 억제 장치(28.1)가 고정된다. 브러쉬 홀더(88)의 돔(94)이 홈(84)을 통해 돌출한다.

Claims (15)

  1. 직류 모터(1), 특히 차량의 송풍기용 직류 모터(1)로서,
    폴 하우징(10),
    콜렉터(12)에 대한 접촉을 일으키는 다수의 콘택 소자들(13),
    전기 접속 라인(18)들을 상기 폴 하우징(10) 내로 통과시키는 폴 하우징 개구(16) 및
    라인 관련 전기 간섭 신호들을 감소 및/또는 제거시키는 간섭 억제 장치(28, 28.1)를 포함한 직류 모터에 있어서,
    상기 간섭 억제 장치(28, 28.1)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라인(18)의 전기 패스(path)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 커패시터(48, 4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억제 장치(28, 28.1)는 상기 통과 커패시터(48, 48.1)에 할당 배치되는 접지 박판(34, 3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억제 장치(28, 28.1)는 상기 폴 하우징 개구(16)에 할당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소자들(13), 특히 탄소 콘택들 또는 탄소 브러쉬들(30)로서 실시되는 상기 콘택 소자들(13)이 상기 접속 라인(18)들과 포지티브- 및/또는 넌포지티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박판(34, 34.1)은 홀딩 소자들(31), 특히 박판 태브들(32,76)에 의해 상기 폴 하우징 개구(16) 내로 슬라이드, 클램핑 및/또는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접속 라인(18)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거티브 전위에의 접속에 사용되는 접속 라인(22)(마이너스-라인)이 접지 박판(34, 34.1)에 대한 전기 콘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박판(34, 34.1)이 상기 마이너스-라인(22)의 인장 응력 감소 및/또는 전기 접촉을 위한 연결 텅(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속 라인(18) 각각에는 통과 커패시터(48)가 할당 배치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억제 장치(28.1)가 홀더(88)에 바람직하게는 브러쉬 홀더에 배치되고 접촉 섹션들(78)에 의해 폴 하우징(16)과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2 개의 측벽들(68)을 포함한 상기 간섭 억제 장치(28.1)는 상기 홀더(88)의 수용부(86)의 슬롯(9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측벽들(68)내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86)의 후크(72)용 맞물림 개구(7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억제 장치(28.1)는 접지 박판(34.1)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 박판 내에 상기 통과 커패시터(48.1)용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64)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64)는 상기 통과 커패시터(48.1)를 고 정, 센터링 및/또는 삽입하기 위한 돌출부들(85.1, 85.2, 8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13.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섹션들(78)이 탄성 텅들(7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14.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전기 장치, 특히 폴 하우징(10) 내에 배치되는 직류 모터(1)용 전기 간섭 억제 장치(28, 28.1)에 있어서,
    하우징 개구(16) 내에 고정하기 위한 박판 태브들(32,76)을 구비한 접지 박판(34, 34.1), 접속 라인(18)을 인장 응력 감소 및/또는 전기 접촉시키는 연결 텅(44), 접지 박판(34)에 고정된, 바람직하게는 주조된 통과 커패시터(48, 48.1), 상기 통과 커패시터(48, 48.1)의 연결부 측에 배치된 제 1 접속 라인 섹션(50), 및 상기 통과 커패시터(48, 48.1)의 하우징 측에 배치된 제 2 접속 라인 섹션(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간섭 억제 장치.
  15. 특히 제 1 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직류 모터(1)의 간섭 억제를 위한 통과 커패시터(48, 48.1)의 용도.
KR1020077005319A 2004-09-06 2005-07-19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KR101026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410043593 DE102004043593A1 (de) 2004-09-06 2004-09-06 Gleichstrommotor mit Entstörvorrichtung
DE102004043593.6 2004-09-06
DE200410046299 DE102004046299A1 (de) 2004-09-24 2004-09-24 Gleichstrommotor mit Entstörvorrichtung
DE102004046299.2 2004-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488A true KR20070072488A (ko) 2007-07-04
KR101026074B1 KR101026074B1 (ko) 2011-03-31

Family

ID=34981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319A KR101026074B1 (ko) 2004-09-06 2005-07-19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792382B1 (ko)
KR (1) KR101026074B1 (ko)
BR (1) BRPI0514930A (ko)
DE (1) DE502005010979D1 (ko)
WO (1) WO2006027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59179A1 (de) * 2005-12-12 2007-07-05 Robert Bosch Gmbh Gleichstrommotor mit Entstöreinrichtung
DE102009000023A1 (de) * 2009-01-05 2010-07-08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s Gerät, insbesondere Steuergerät
DE102009054717A1 (de) * 2009-12-16 2011-06-22 Robert Bosch GmbH, 70469 Elektromotor mit Entstörfilter
DE102012102811A1 (de) 2012-03-30 2013-10-02 Valeo Wischersysteme Gmbh Scheibenwischermotor und Entstörbaugruppe für einen Scheibenwischermo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4223A (en) * 1981-04-15 1983-05-17 The Stackpole Corporation Radio-frequency interference suppressing system for permanent magnet field motor
US6307344B1 (en) 1999-03-02 2001-10-23 Fasco Dc Motors, Inc. RFI suppression package for DC electric motors
WO2001039354A1 (fr) * 1999-11-25 2001-05-31 Mabuchi Motor Co., Ltd. Moteur de petite taille
DE10014474A1 (de) 2000-03-23 2001-10-04 Bosch Gmbh Robert Zugentlastungsbauteil mit integriertem Kondensator
EP1503484A3 (de) * 2003-07-23 2006-03-15 Sintertechnik GmbH Vorrichtung zur Funkentstörung von Elektrokleinmoto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514930A (pt) 2008-07-01
KR101026074B1 (ko) 2011-03-31
EP1792382B1 (de) 2011-02-16
EP1792382A1 (de) 2007-06-06
WO2006027290A1 (de) 2006-03-16
DE502005010979D1 (de)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5232B2 (en) DC motor with suppressor
CN111490410B (zh) 连接器组件
US3924147A (en) Brushholders and ancillary component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10756592B2 (en) Contacting arrangement between a stator and a circuit board
JP4991932B2 (ja) ブッシング形コンデンサを備えた直流モータ
KR100544246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0575014B1 (ko) 콜렉터 모터
KR101873950B1 (ko) 전자 장치의 패키지 케이스
KR102547052B1 (ko) 모터 및 그의 단부 캡 어셈블리
US7944101B2 (en) Brush system with a suppression board
KR102257639B1 (ko) 플러그 커넥터 접촉 캐리어
JP2005531119A (ja) 電線処理モジュール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KR20090094118A (ko) 전기 구동기용 무선 간섭 억제 장치
JP2017518731A (ja) 整流子機のためのブラシ保持装置
KR20070072488A (ko) 간섭 억제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
JP2017516453A (ja) 整流子機のためのブラシ保持装置
EP1995851A1 (en) Coil connecting structure, coil connecting method, set of conductors, and electric motor
EP1120885B1 (en) Electrical noise suppressing device for motors
JP2017519480A (ja) 整流子機のためのブラシ保持装置
CN111434020A (zh) 逆变器装置
JP2009146570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948914B2 (ja) 電気コネクタと印刷回路板
CN112368915B (zh) 马达
GB2196489A (en) Electric motor
EP2041857B1 (en) A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mo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