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2016A - 점도 안정성 및 염색 견뢰도가 향상된 탄성사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도 안정성 및 염색 견뢰도가 향상된 탄성사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2016A
KR20070072016A KR1020050135936A KR20050135936A KR20070072016A KR 20070072016 A KR20070072016 A KR 20070072016A KR 1020050135936 A KR1020050135936 A KR 1020050135936A KR 20050135936 A KR20050135936 A KR 20050135936A KR 20070072016 A KR20070072016 A KR 20070072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diisocyanate
elastic yarn
polymer
elastic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0151B1 (ko
Inventor
장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5013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151B1/ko
Publication of KR20070072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other polycondensation produc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1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탄성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폴리우레탄 중합물에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를 폴리우레탄 중합물의 중량 대비 약 1 내지 15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하는 점도 안정성 및 염색 견뢰도가 향상된 폴리우레탄 탄성사 및 그 제조방법임.
폴리우레탄 탄성사,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hyperbranched polymer), 염색 견뢰도, 점도 안정성.

Description

점도 안정성 및 염색 견뢰도가 향상된 탄성사 및 그 제조방법{Elastic fiber having good stable viscosity and dye fastness property and process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도 안정성 및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폴리우레탄 탄성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폴리우레탄 중합물에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Hyperbranched polymer)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탄성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은 일반적으로 고분자량의 디올 화합물인 폴리올과 과량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폴리올의 양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예비 중합체(Prepolymer)를 얻는 1차 중합반응과 상기 예비 중합체를 적절한 용매에 용해시킨 후 그 용액에 디아민계 또는 디올계 쇄연장제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2차 중합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섬유는 용도에 따라 아크릴, 울, 면, 견 등과 같은 다른 여러 가지 섬유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긴 사슬의 세그먼트의 함량이85중량% 이상인 탄성섬유를 스판덱스라 한다.
폴리우레탄 섬유는 높은 탄성을 갖는 고유의 특징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용도 범위의 확대에 따라 기존의 폴리우레탄 섬유에 새로운 부가적인 특성이 계속하여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스판덱스 고분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도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의 시간 경과에 따라 점도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폴리우레탄 탄성사 제조에 필요한 중합체 용액에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를 적정 비율로 용해,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생산 공정 조건 및 설비의 변경 없이 종래의 방식으로 생산되는 폴리우레탄 탄성사와 대비하여 기본 물성은 변하시키지 않으며 염색 견뢰도가 향상된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를 적정 비율로 혼합한 후 기존의 폴리우레탄에1:99 내지 15:85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도 안정성이 우수하며 종래의 방식으로 생산되는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기본물성을 유지하며 염색 견뢰도가 향상된 폴리우레탄 탄성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제조시 사용되는 세그먼트 폴리우레탄은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고분자 디올을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전구체를 제조하고, 이를 유기 용매에 용해한 후 디아민 및 모노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5'-니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이소이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 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 유기 디이소시아테이트의 1종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또한 고분자 디올은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등이 있다. 사슬연장제로 디아민류가 사용되며, 그 예로는 에틸렌디아민, 1,2'-프로필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크실렌디아민, 4,4'-디페닐메탄디아민, 하이드라진 등의 1종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얻기 위해서는 각각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를 적정 비율로 혼합한 후 종래의 폴리우레탄에 혼합하여 방사한다.
상기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는 ABx형의 단량체를 한단계로 중합한 물질로써 형상이 나무가지 모양과 같이 불규칙하게 되며 분자량 분포도 넓어진다. 또한 상기 고분자의 특성은 영향을 받는다. 또한 이러한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단계 성장을 하는 덴드리머 폴리머와 일반 선형 고분자들의 물성의 중간 정도를 갖는다. 또한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는 분자 간 엉킴 형성이 적어서 높은 분자량에 비해 낮은 용융 점도를 갖으며 일반적으로 점도 안정제, 액정, 촉매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의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는 Petstorp 사의 Boltorn H30의 물질을 사용하였으며 이와 같은 물질은 주사슬이 폴리에스테르 작용기를 갖은며 말단은 수산기를 약 500 mg(KOH/g)를 갖는다. 또한 무게 평균 분자량은 3500 g/mol이며 다분산도는 1.5이며 유리전이온도는 35℃이다.
본 발명의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의 첨가량은 폴리우레탄 중량에 대하여 1~15%이다. 만일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최종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점도 안정성 및 염색견뢰도의 향상이 미흡하며, 혼합비가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도, 신도 등의 폴리우레탄의 기본 물성이 크게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사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화학방사를 제외한 기존의 건식방사, 습식방사 및 용융방사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물성은 혼합되는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와 기존 폴리우레탄의 혼합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와 기존 폴리우레탄과의 혼합비를 적절히 조절하면 점도 안정성 및 염색견뢰도가 우수하면서도 기존 폴리우레탄 탄성사와 동등한 정도의 기본 물성을 유지하는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점도 안정성 및 염색 견뢰도는 아래와 같이 측정되었다.
* 점도 안정성
폴리우레탄 폴리머에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를 첨가한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점도를 측정 하였다. 이때 사용한 점도계는 부룩필드(Brookfield) 사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2차 중합이 이루어진 후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를 첨가한 1시간 이후와 72시간 이후의 점도를 측정 하였다. 이때 측정 온도는 40℃에서 측정하였다.
* 강도
인스트론(INSTRON)사의 인스트론 5565를 사용하여 20 ?, 65% 습도 조건하에서 생산된 원사를 5cm 길이로 절단하여 500mm/분의 일정 속도로 신장시키며 원사가 절단 될 때의 하중 값을 측정하였다.
* 염색 견뢰도 측정
생산된 원사를 나일론과 편직하여 시료를 만들고, 상기 시료에 오염 판정용 다섬유 편직포(AATCC No.1 multifiber test strip Wool(W), Polyester(P), Acrylic(A), Nylon(N), Cotton(C), Acetate(Ac))를 부착하여, 10개의 강구(steel ball)와 용제를 스텐레즈 표준병에 넣어 라운더-오-미터(Launder-O-meter)에서 1회에 20분 동안 5회 실시하여 변퇴색 정도를 판단하였다.
실시예 1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518g과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 글리콜(분자량 1800) 2328g을, 질소가스기류 중에서 80?, 90분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를 지닌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프리폴리머를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4269g을 가하여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에틸렌디아민 34.4g, 프로필렌디아민 10.6g, 디에틸아민 9.1g을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1117 g에 용해하고 10?이하에서 상기 프리폴리머 용액에 첨가하여 폴리우레탄 용액을 얻었다.
이 중합물의 고형분대비 첨가제로서는 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비스-(3-(5-t-부틸-4-히드록시-m-토일)-프로피오네이트) 1.5중량%, 5,7-디-t-부틸-3-(3,4-디메틸페닐)-3H-벤조퓨란-2-온 0.5중량%, 1,1,1',1'-테트라메틸-4,4'-(메틸렌-디-p-페닐렌)디세미카바지드 1중량%, 폴리(N,N-디에틸-2-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중량%, 이산화티탄 0.1중량%를 첨가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방사원액을 얻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사 원액에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를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용매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종래의 방식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 중합물을 중량비로(95:5)의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액을 준비한 다음, 이를 사용하여 방사를 실시하였다. 방사는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제조함에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건식방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점도 안정성과 기본 물성 및 염색 견뢰도를 기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와 비교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3 및 비교예 1~3
종래의 방식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 중합물과의혼합비를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제조하였 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점도와 기본 물성을 기존의 폴리우레탄 탄성사와 비교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5078616658-PAT00001
* HP :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
[표 2]
Figure 112005078616658-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점도 상승율은 기존 폴리우레탄 대비 매우 낮으며 기본 물성인 강도의 변화도 10% 이내로 매우 낮다. 또한 염색 견뢰도는 기존 폴리우레탄 대비 1~2급 정도 향상되었으며 종래 폴리우레탄 탄성사 대비 강도 변화율은 8% 이내로 매우 낮 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탄성사는 점도 안정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종래 폴리우레탄 탄성사 대비 기본 물성 변화율이 매우 낮으므로, 우수한 염색견뢰도가 요구되는 제품 생산에 기존 공정 조건의 변동 없이 바로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

  1.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제조함에 있어서,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를 폴리우레탄에 대하여1:99내지 15:85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안정성 및 염색 견뢰도가 향상된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제조방법.
  2. 하이퍼브랜츠드 폴리머가 폴리우레탄에 대하여 중량비로 1:99 내지 15:85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 안정성 및 염색 견뢰도가 향상된 폴리우레탄 탄성사.
KR1020050135936A 2005-12-30 2005-12-30 점도 안정성 및 염색 견뢰도가 향상된 탄성사 및 그제조방법 KR101010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936A KR101010151B1 (ko) 2005-12-30 2005-12-30 점도 안정성 및 염색 견뢰도가 향상된 탄성사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936A KR101010151B1 (ko) 2005-12-30 2005-12-30 점도 안정성 및 염색 견뢰도가 향상된 탄성사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016A true KR20070072016A (ko) 2007-07-04
KR101010151B1 KR101010151B1 (ko) 2011-01-24

Family

ID=3850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936A KR101010151B1 (ko) 2005-12-30 2005-12-30 점도 안정성 및 염색 견뢰도가 향상된 탄성사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1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693B1 (ko) * 2012-12-21 2014-09-19 주식회사 효성 염색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KR20160074752A (ko) 2014-12-17 2016-06-29 주식회사 효성 스판덱스 중합물 점도 조절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9240C2 (sv) 1996-05-28 1998-12-21 Perstorp Ab Termoplastisk kompound bestående av en termoplastisk polymer bunden till en dendritisk eller hyperförgrenad makromolekyl samt komposition och produkt därav
FR2833604B1 (fr) 2001-12-17 2004-03-12 Rhodianyl Composition polymere thermoplastique comprenant un copolyamide hyperbranche, et articles realises a partir de cett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151B1 (ko) 2011-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302B1 (ko) 고속방사용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의 제조방법
KR101148583B1 (ko) 우수한 파워 및 신도를 가진 탄성사의 제조 방법
KR101010151B1 (ko) 점도 안정성 및 염색 견뢰도가 향상된 탄성사 및 그제조방법
KR101426208B1 (ko) 균일성과 열세트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TW499450B (en) Polyurethaneureas, polyurethaneurea fibre and preparation thereof
KR101180508B1 (ko) 강도가 우수한 스판덱스 섬유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스판덱스
JP4343367B2 (ja) 耐熱性に優れたポリウレタンウレア弾性繊維
KR20110079361A (ko) 우수한 파워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의 제조 방법
JP3826375B2 (ja) ポリウレタン糸およびその製法
KR100807041B1 (ko) 세트성이 우수한 탄성사 및 그 제조 방법
KR100537252B1 (ko) 열세트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79377A (ko) 염색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의 제조방법
KR20080060506A (ko) 폴리실록산으로 개질된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제조방법
KR100851740B1 (ko) 세트성 및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폴리우레탄 탄성사 및 그제조 방법
KR101157327B1 (ko) 높은 파워 및 내열성을 가진 탄성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탄성사
KR101255453B1 (ko) 높은 파워 및 신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의 제조 방법
KR101675280B1 (ko)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67342A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그 폴리우레탄 및 그를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탄성사
KR101312843B1 (ko) 우수한 파워 및 회복력을 가지는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의 제조 방법
KR101247850B1 (ko) 고속방사용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의 제조방법
KR100615780B1 (ko) 응력 유지율이 높은 스판덱스 섬유
EP4190954A1 (en) Polyurethane urea elastic yarn dyeable with reactive dy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0523811B1 (ko) 고강도, 고탄성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KR101238557B1 (ko) 고속방사용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의 제조방법
KR20140095637A (ko) 생산성 향상이 가능한 스판덱스 섬유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