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1090A -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1090A
KR20070071090A KR1020050134266A KR20050134266A KR20070071090A KR 20070071090 A KR20070071090 A KR 20070071090A KR 1020050134266 A KR1020050134266 A KR 1020050134266A KR 20050134266 A KR20050134266 A KR 20050134266A KR 20070071090 A KR20070071090 A KR 20070071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compressors
current value
air conditioner
system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9342B1 (ko
Inventor
주정석
송경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342B1/ko
Priority to CNB2006100653728A priority patent/CN100567738C/zh
Publication of KR20070071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07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or pump cylinders, wherein the flow-path through the stages can be changed, e.g. from series to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압축기를 가지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압축기에 흐르는 전류값을 하나의 CT센서로 측정하고, 측정한 압축기 전류값을 압축기의 운전대수에 따라 정해진 최대 허용 전류값과 비교하여 각각의 압축기 고장유무를 정확히 진단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압축기를 가지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축기 중 운전 중인 압축기에 입력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전류값을 미리 정해진 허용 전류값과 비교하여 상기 측정 전류값이 허용 전류값 이상이면 운전 중인 압축기 제어신호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ressor of multi system 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시스템에어컨의 냉매 유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시스템에어컨의 제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시스템에어컨에서 압축기 운전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시스템에어컨에서 압축기 운전방법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시스템에어컨에서 압축기 운전방법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외기 12a,12b,12c : 압축기
30 : 실내기 100 : 신호입력부
120 : 제어부 130 : 압축기구동부
140 : 전류감지부 160 : 표시부
본 발명은 복수의 압축기를 가지는 시스템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압축기에 흐르는 전류값을 하나의 전류감지부로 측정하여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 실내기 및 실외기 상호간에 냉매를 순환시켜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화할 때에 주위의 열을 흡수하며 액화할 때에 그 열을 방출하는 특성에 의하여 냉방 또는 난방작용을 수행한다.
통상의 에어컨은 하나의 실외기에 하나의 실내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양한 형태와 용량을 갖는 복수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학교나 회사, 그리고 병원과 같이 분리된 공간이 다수 개 존재하는 장소에 대하여 냉방 또는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멀티 시스템에어컨(Multi-system air conditioner)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어컨은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고, 실외기에는 시스템에어컨의 운전능력을 조절하기 위해 복수의 압축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압축기에는 각각의 압축기와 전원 입력단을 연결하는 마그네트 컨택터(MAGNET CONTACTOR)에 전류측정장치인 CT센서(Current Transformer)를 압축기의 갯수만큼 복수 개 설치하여 각각의 압축기에 공급되는 입력 전류를 측정하도록 하였다.
이는, 압축기의 구동 시 복수의 압축기에 흐르는 전류값을 각각의 압축기에 설치된 CT센서에서 개별적으로 측정함으로서 각각의 압축기 고장유무를 판단하고, 나아가 과전류나 고온으로부터 각각의 압축기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방식은 각각의 압축기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기 위해 압축기의 갯수에 따라 CT센서를 복수 개 설치해야 하므로 복수의 CT센서 설치에 따른 비용증가와 CT센서 설치공간의 확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압축기에 흐르는 전류값을 하나의 CT센서로 측정하여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CT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압축기 전류값을 압축기의 운전대수에 따라 정해진 최대 허용 전류값과 비교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각 압축기의 고장유무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압축기를 가지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축기 중 운전 중인 압축기에 입력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 및 측정된 전류값을 미리 정해진 허용 전류값과 비교하여 상기 측정 전류값이 허용 전류값 이상이면 운전 중인 압축기 제어신호를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류감지부는 복수의 압축기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의 CT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용 전류값은 압축기의 운전대수에 따라 허용되는 최대의 입력 전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운전 중인 압축기가 복수 개인 경우 운전 중인 압축기의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압축기 제어신호의 차단 후 시간을 카운터하여 미리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압축기를 재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운전 중인 압축기의 고장을 알리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압축기의 재운전횟수를 검지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횟수 이상이면 압축기 고장에 따른 에러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정횟수는 압축기의 고장으로 판단되는 재동작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압축기를 가지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축기 중 운전 중인 압축기에 입력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전류값을 미리 정해진 허용 전류값과 비교하여 상기 측정 전류값이 허용 전류값 이상이면 운전 중인 압축기 제어신호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기 제어신호를 차단하는 단계는, 운전 중인 압축기가 복수 개인 경우 운전 중인 압축기의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축기 제어신호의 차단 후 시간을 카운터하여 미리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압축기를 재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축기 제어신호의 차단 후 해당 압축기의 재운전횟수를 검지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횟수 이상인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재운전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이면 압축기 고장에 따른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시스템에어컨의 냉매 유로도로서, 냉매의 흐름방향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냉방싸이클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멀티 시스템에어컨은 통상의 냉매싸이클을 형성하는 하나의 실외기(10)와, 실외기(10)에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30)를 구비한다.
상기 실외기(10)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하는 복수의 압축기(12a,12b,12c)와, 상기 압축기(12a,12b,12c)에서 압축된 고온고압 기체냉매의 흐름방향을 운전모드(냉방 또는 난방)에 따라 조절하는 사방밸브(14)와, 상기 압축기(12a,12b,12c)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전달받아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16)와, 냉매 유량을 조절하면서 열교환된 냉매를 감압 팽창시키는 전자팽창밸브(18;Electronic Expansion Valve, 이하 실외 전동변이라 한다)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12a,12b,12c)의 흡입측에는 압축기(12a,12b,12c)에 유입되는 냉매를 완전 기체상태의 가스로 변환시키는 어큐뮬레이터(20)가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12a,12b,12c)의 토출측에는 먼저 구동되던 압축기(12a,12b,12c)의 토출압력에 의해 나중에 구동하려는 압축기(12a,12b,12c)의 기동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크밸브(22a,22b,22c)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2a,12b,12c)는 서로 다른 용량 또는 비슷한 용량으로 구성되어 단독 운전하거나 또는 동시 운전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상기 복수의 실내기(30)는 냉매를 전달받아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32)와, 상기 실내열교환기(32)에서 실내열교환기(32)에 흐르는 냉매 유량을 조절하면서 냉매를 감압 팽창시키는 실내 전동변(34)을 각각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시스템에어컨의 제어 구성도로서, 신호입력부(100), 온도감지부(110), 제어부(120), 압축기구동부(130), 전류감지부(140), 부하구동부(150) 및 표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호입력부(10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운전모드(냉방 또는 난방)와 설정온도, 설정풍량 등의 운전정보를 입력하도록 각각의 실내기(30) 또는 리모컨에 설치된 다수의 키를 포함하고, 온도감지부(110)는 각각의 실내기(30)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압축기(12a,12b,12c) 운전 시 운전 중인 압축기(12a,12b,12c) 입력 전류의 측정값을 미리 정해진 최대 허용 전류값과 비교하여 측정 전류값이 최대 허용 전류값 이상이면 운전 중인 압축기(12a,12b,12c) 제어신호를 차단하고, 일정한 대기시간을 가진 후 다시 해당 압축기(12a,12b,12c)를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실내기 마이컴 또는 실외기 마이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일정한 대기시간을 가진 후 재운전하는 압축기(12a,12b,12c) 전류 측정값을 최대 허용 전류값과 다시 비교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재운전횟수가 일정횟수를 넘으면 해당 압축기(12a,12b,12c)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어부(120)에는 압축기(12a,12b,12c) 운전 시 운전 중인 압축기(12a,12b,12c)의 갯수에 따라 압축기(12a,12b,12c) 고장으로 판단되는 최대 허용 전류값, 압축기(12a,12b,12c) 재운전횟수가 압축기(12a,12b,12c) 고장으로 인한 에러라고 판단되는 일정횟수 등을 코딩하여 롬 테이블상에 미리 저장하고 있다.
상기 압축기구동부(130)는 제어부(120)의 압축기제어신호에 따라 압축기(12a,12b,12c)의 구동을 제어하고, 전류감지부(140)는 각각의 압축기(12a,12b,12c)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어 압축기(12a,12b,12c) 운전 시 압축기(12a,12b,12c)에 공급되는 입력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20)에 입력하는 하나의 CT센서이다.
상기 부하구동부(150)는 제어부(120)의 부하제어신호에 따라 사방밸브(14), 실외 전동변(18), 체크밸브(22a,22b,22c), 실내 전동변(34) 등 각종 부하의 구동을 제어하고, 표시부(160)는 제어부(120)의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시스템에어컨의 운전상태와 압축기(12a,12b,12c)의 고장에 따른 에러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시스템에어컨에서 압축기 운전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로서, 세 개의 압축기(12a,12b,12c) 중 어느 하나의 압축기를 운전할 때의 제어 순서도이다.
먼저, 실외기(10)에 전원이 공급되면,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30)와 데이터 통신을 하면서 실내기(30)의 운전선택에 따라 세 개의 압축기(12a,12b,12c) 중 어느 하나의 압축기1를 선택적으로 운전하게 된다(S200). 이때 운전되는 어느 하나의 압축기1를 12a라고 가정한다.
하나의 압축기1(12a)이 운전하면 압축기1(12a)에 공급되는 입력 전류를 전류감지부(140)에서 측정하여 제어부(120)에 입력한다(S210).
따라서, 제어부(120)는 측정된 전류값이 미리 정해진 제1최대 허용 전류값(압축기1의 운전 시 허용되는 최대 입력 전류값) 이상인가를 판단하여(S220), 측정 전류값이 제1최대 허용 전류값 이상이면 제어부(120)는 압축기1(12a)에 과전류가 흐른다고 판단하여 압축기1(12a) 제어신호를 차단하고(S230), 압축기1(12a) 재운전횟수가 미리 정해진 일정횟수(압축기의 확실한 고장이라고 진단되는 최대 재동작횟수, 약 3회)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240).
상기 압축기1(12a) 재운전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이면 제어부(120)는 압축기 1(12a)의 고장으로 인한 에러라고 진단하여 표시부(160)를 통해 압축기1(12a) 고장에 따른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S241).
한편, 상기 압축기1(12a) 재운전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이 아니면 제어부(120)는 압축기1(12a) 제어신호의 차단 후 미리 정해진 대기시간(압축기 동작을 다시 시도할 수 있는 최소의 지연시간, 약 10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S250).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20)는 압축기1(12a) 운전을 다시 시도하고(S260), 이후 압축기1(12a) 재운전 시에도 압축기1(12a) 운전 시와 마찬가지로 압축기1(12a) 입력 전류 측정으로 압축기1(12a) 고장을 검지하기 위해 상기 S210으로 피드백되어 S210이후의 동작을 반복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어컨에서 하나의 압축기를 운전시키지 않고, 두 개의 압축기를 동시 운전시킬 때 압축기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시스템에어컨에서 압축기 운전방법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로서, 세 개의 압축기(12a,12b,12c) 중 두 개의 압축기를 운전할 때의 제어 순서도이다.
먼저, 실외기(10)에 전원이 공급되면,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30)와 데이터 통신을 하면서 실내기(30)의 운전선택에 따라 세 개의 압축기(12a,12b,12c) 중 압축기1의 운전 후 압축기2를 운전시켜 두 개의 압축기1,2를 동시에 운전하게 된다(S300). 이때 운전되는 두 개의 압축기1,2를 12a,12b라고 가정한다.
두 개의 압축기1,2(12a,12b)가 동시 운전하면 압축기1,2(12a,12b)에 공급되는 입력 전류를 전류감지부(140)에서 측정하여 제어부(120)에 입력한다(S310).
따라서, 제어부(120)는 측정된 전류값이 미리 정해진 제2최대 허용 전류값(압축기1과 압축기2의 운전 시 허용되는 최대 입력 전류를 합한 값) 이상인가를 판단하여(S320), 측정 전류값이 제2최대 허용 전류값 이상이면 제어부(120)는 압축기1(12a) 또는 압축기2(12b)에 과전류가 흐른다고 판단하여 먼저 압축기2(12b) 제어신호를 차단한다(S330).
압축기2(12b) 제어신호의 차단 후 운전 중인 압축기1(12a)에 공급되는 입력 전류를 전류감지부(140)에서 측정하여 제어부(120)에 다시 입력한다(S340).
따라서, 제어부(120)는 측정된 전류값이 미리 정해진 제1최대 허용 전류값(압축기1의 운전 시 허용되는 최대 입력 전류값) 이상인가를 판단하여(S350), 측정 전류값이 제1최대 허용 전류값 이상이면 제어부(120)는 압축기1(12a)에 과전류가 흐른다고 판단하여 압축기1(12a) 제어신호를 차단하고(S351), 압축기1(12a) 재운전횟수가 미리 정해진 일정횟수(압축기의 고장이라고 진단되는 최대 재동작횟수, 약 3회)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352).
상기 압축기1(12a) 재운전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이면 제어부(120)는 압축기1,2(12a,12b)의 고장으로 인한 에러라고 진단하여 표시부(160)를 통해 압축기1,2(12a,12b) 고장에 따른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S3521).
한편, 상기 압축기1(12a) 재운전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이 아니면 제어부(120)는 압축기1(12a) 제어신호의 차단 후 미리 정해진 대기시간(압축기 동작을 다시 시도할 수 있는 최소의 지연시간, 약 10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S353).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20)는 압축기1(12a) 운전을 다시 시도하 고(S354), 이후 압축기1(12a) 재운전 시에도 압축기1(12a) 운전 시와 마찬가지로 압축기1(12a) 입력 전류 측정으로 압축기1(12a) 고장을 검지하기 위해 상기 S340으로 피드백되어 S340이후의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상기 S350에서 측정 전류값이 제1최대 허용 전류값 이상이 아니면 제어부(120)는 압축기1(12a)가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제어신호가 차단된 압축기2(12b) 재운전횟수가 미리 정해진 일정횟수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360).
상기 압축기2(12b) 재운전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이면 제어부(120)는 압축기2(12b)의 고장으로 인한 에러라고 진단하여 표시부(160)를 통해 압축기2(12b) 고장에 따른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S361).
또한, 상기 압축기2(12b) 재운전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이 아니면 제어부(120)는 압축기2(12b) 제어신호의 차단 후 대기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여(S370)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20)는 압축기2(12b) 운전을 다시 시도하고(S380), 이후 압축기2(12b) 재운전 시에도 압축기2(12b) 운전 시와 마찬가지로 압축기2(12b) 입력 전류 측정으로 압축기2(12b) 고장을 검지하기 위해 상기 S310으로 피드백되어 S310이후의 동작을 반복한다.
다음, 본 발명의 시스템에어컨에서 세 개의 압축기를 동시 운전시킬 때 압축기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시스템에어컨에서 압축기 운전방법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로서, 세 개의 압축기(12a,12b,12c)를 모두 운전할 때의 제어 순서도이다.
먼저, 실외기(10)에 전원이 공급되면,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30)와 데이터 통신을 하면서 실내기(30)의 운전선택에 따라 세 개의 압축기(12a,12b,12c)를 압축기1의 운전 후 압축기2, 압축기3을 운전시켜 세 개의 압축기1,2,3를 동시에 운전하게 된다(S400). 이때 운전되는 세 개의 압축기1,2,3를 12a,12b,12c라고 가정한다.
세 개의 압축기1,2,3(12a,12b,12c)가 동시 운전하면 압축기1,2,3(12a,12b,12c)에 공급되는 입력 전류를 전류감지부(140)에서 측정하여 제어부(120)에 입력한다(S410).
따라서, 제어부(120)는 측정된 전류값이 미리 정해진 제3최대 허용 전류값(압축기1과 압축기2, 압축기3의 운전 시 허용되는 최대 입력 전류를 모두 합한 값) 이상인가를 판단하여(S420), 측정 전류값이 제3최대 허용 전류값 이상이면 제어부(120)는 압축기1(12a), 압축기2(12b) 또는 압축기3(12c)에 과전류가 흐른다고 판단하여 먼저 압축기3(12c) 제어신호를 차단한다(S430).
압축기3(12c) 제어신호의 차단 후 운전 중인 압축기1,2(12a,12b)에 공급되는 입력 전류를 전류감지부(140)에서 측정하여 제어부(120)에 다시 입력한다(S440).
따라서, 제어부(120)는 측정된 전류값이 미리 정해진 제2최대 허용 전류값(압축기1과 압축기2의 운전 시 허용되는 최대 입력 전류를 합한 값) 이상인가를 판단하여(S450), 측정 전류값이 제2최대 허용 전류값 이상이 아니면 제어부(120)는 압축기1,2(12a,12b)가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제어신호가 차단된 압축기3(12c) 재운전횟수가 미리 정해진 일정횟수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451).
상기 압축기3(12c) 재운전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이면 제어부(120)는 압축기3(12c)의 고장으로 인한 에러라고 진단하여 표시부(160)를 통해 압축기3(12c) 고장에 따른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S4511).
또한, 상기 압축기3(12c) 재운전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이 아니면 제어부(120)는 압축기3(12c) 제어신호의 차단 후 대기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여(S452)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20)는 압축기3(12c) 운전을 다시 시도하고(S453), 이후 압축기3(12c) 재운전 시에도 압축기3(12c) 운전 시와 마찬가지로 압축기3(12c) 입력 전류 측정으로 압축기3(12c) 고장을 검지하기 위해 상기 S410으로 피드백되어 S410이후의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상기 S450에서 측정 전류값이 제2최대 허용 전류값 이상이면 제어부(120)는 압축기1(12a) 또는 압축기2(12b)에 과전류가 흐른다고 판단하여 먼저 압축기2(12b) 제어신호를 차단한다(S460).
압축기2(12b) 제어신호의 차단 후 운전 중인 압축기1(12a)에 공급되는 입력 전류를 전류감지부(140)에서 측정하여 제어부(120)에 다시 입력한다(S470).
따라서, 제어부(120)는 측정된 전류값이 미리 정해진 제1최대 허용 전류값 이상인가를 판단하여(S480), 측정 전류값이 제1최대 허용 전류값 이상이 아니면 제어부(120)는 압축기1(12a)가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S360으로 피드백되어 S360이후의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측정 전류값이 제1최대 허용 전류값 이상이면 제어부(120)는 압축기1(12a)에 과전류가 흐른다고 판단하여 압축기1(12a) 제어신호를 차단하고(S490), 압축기1(12a) 재운전횟수가 미리 정해진 일정횟수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500).
상기 압축기1(12a) 재운전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이 아니면 상기 S353으로 피드백되어 S353이후의 동작을 반복하고, 상기 압축기1(12a) 재운전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이면 제어부(120)는 압축기1,2,3(12a,12b,12c)의 고장으로 인한 에러라고 진단하여 표시부(160)를 통해 압축기1,2,3(12a,12b,12c) 고장에 따른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S510).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압축기에 흐르는 전류값을 하나의 CT센서로 측정하여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서 CT센서 삭제에 따른 비용절감과 CT센서 설치공간의 확장이 필요없어 설치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CT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압축기 전류값을 압축기의 운전대수에 따라 정해진 최대 허용 전류값과 비교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각 압축기의 고장유무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1)

  1. 복수의 압축기를 가지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축기 중 운전 중인 압축기에 입력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 및
    측정된 전류값을 미리 정해진 허용 전류값과 비교하여 상기 측정 전류값이 허용 전류값 이상이면 운전 중인 압축기 제어신호를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감지부는 복수의 압축기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의 CT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전류값은 압축기의 운전대수에 따라 허용되는 최대의 입력 전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 중인 압축기가 복수 개인 경우 운전 중인 압축기의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압축기 제어신호의 차단 후 시간을 카운터하여 미리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압축기를 재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중인 압축기의 고장을 알리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압축기의 재운전횟수를 검지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횟수 이상이면 압축기 고장에 따른 에러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횟수는 압축기의 고장으로 판단되는 재동작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8. 복수의 압축기를 가지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축기 중 운전 중인 압축기에 입력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전류값을 미리 정해진 허용 전류값과 비교하여 상기 측정 전류값이 허용 전류값 이상이면 운전 중인 압축기 제어신호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제어신호를 차단하는 단계는,
    운전 중인 압축기가 복수 개인 경우 운전 중인 압축기의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제어신호의 차단 후 시간을 카운터하여 미리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압축기를 재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제어신호의 차단 후 해당 압축기의 재운전횟수를 검지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횟수 이상인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재운전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이면 압축기 고장에 따른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방법.
KR1020050134266A 2005-12-29 2005-12-29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229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266A KR101229342B1 (ko) 2005-12-29 2005-12-29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B2006100653728A CN100567738C (zh) 2005-12-29 2006-03-23 系统空调机的压缩机控制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266A KR101229342B1 (ko) 2005-12-29 2005-12-29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090A true KR20070071090A (ko) 2007-07-04
KR101229342B1 KR101229342B1 (ko) 2013-02-05

Family

ID=3821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266A KR101229342B1 (ko) 2005-12-29 2005-12-29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9342B1 (ko)
CN (1) CN100567738C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6316A1 (en) * 2015-04-27 2016-11-0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Diagnostics for variable-capacity compresso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9709311B2 (en) 2015-04-27 2017-07-1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ariable-capacity compressor
US10197319B2 (en) 2015-04-27 2019-02-0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ariable-capacity compressor
US10408517B2 (en) 2016-03-16 2019-09-1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ariable-capacity compressor and a variable speed fan using a two-stage thermostat
DE102018203669A1 (de) * 2018-03-12 2019-09-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r Klimaanlage, Überwachungsvorrichtung und Klimaanlage
US10760814B2 (en) 2016-05-27 2020-09-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riable-capacity compressor controller with two-wire configu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13333B (zh) * 2010-07-05 2014-1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异常信息提示方法及装置
WO2017042949A1 (ja) * 2015-09-11 2017-03-16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圧縮機の故障予知・検知手段を備えた空気調和機及びその故障予知・検知方法
CN105465951B (zh) * 2015-12-11 2018-08-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保护压缩机的方法及装置
CN107289591A (zh) * 2017-06-30 2017-10-2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控制系统、空调器及计算机装置
CN110159521B (zh) * 2018-02-11 2022-07-01 杭州先途电子有限公司 一种压缩机过电流报错的判断方法及控制装置
JP7077753B2 (ja) * 2018-05-07 2022-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
CN110044018A (zh) * 2019-03-26 2019-07-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电化学空调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251B1 (ko) * 1997-05-22 1999-06-15 구자홍 압축기의 이상상태 감지시스템
BR0201825A (pt) * 2001-03-27 2003-06-10 Copeland Corp Sistema de diagnóstico de compressor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2710B2 (en) 2015-04-27 2017-02-07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Diagnostics for variable-capacity compresso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9709311B2 (en) 2015-04-27 2017-07-1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ariable-capacity compressor
US10132543B2 (en) 2015-04-27 2018-11-2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ariable-capacity compressor
US10197319B2 (en) 2015-04-27 2019-02-0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ariable-capacity compressor
US11105546B2 (en) 2015-04-27 2021-08-3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ariable-capacity compressor
US10436491B2 (en) 2015-04-27 2019-10-0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ariable-capacity compressor
US10488092B2 (en) 2015-04-27 2019-11-2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ariable-capacity compressor
WO2016176316A1 (en) * 2015-04-27 2016-11-0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Diagnostics for variable-capacity compresso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0830517B2 (en) 2015-04-27 2020-11-1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ariable-capacity compressor
US11092371B2 (en) 2016-03-16 2021-08-17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ariable-capacity compressor and a variable-capacity fan using a two-stage thermostat
US10408517B2 (en) 2016-03-16 2019-09-1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ariable-capacity compressor and a variable speed fan using a two-stage thermostat
US10760814B2 (en) 2016-05-27 2020-09-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riable-capacity compressor controller with two-wire configuration
DE102018203669A1 (de) * 2018-03-12 2019-09-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r Klimaanlage, Überwachungsvorrichtung und Klima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67738C (zh) 2009-12-09
CN1991173A (zh) 2007-07-04
KR101229342B1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342B1 (ko) 시스템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71599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WO2014064792A1 (ja) 監視システム
CN109219726B (zh) 制冷循环装置
CN110107983B (zh) 空调机组及其四通阀换向状态检测方法、装置、系统
KR101229341B1 (ko) 압축기의 기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208953B (zh) 制冷装置
EP3336443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50219377A1 (en)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hvac system
US6755034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load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JP2014137161A (ja) 空気調和装置
CN108885022B (zh) 空调吹出温度估计装置及计算机能读取的记录介质
JPH1114123A (ja) 空気調和装置
KR100814956B1 (ko) 멀티에어컨 및 그의 압축기 제어방법
CN109564044A (zh) 空调装置
KR2010008965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비상제어방법
KR10205314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128899A1 (ja) 空気調和装置
KR10183884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5098633A (ja) 二段圧縮機搭載低温機器診断装置、低温機器遠隔監視システム
JP5071348B2 (ja) 冷凍装置
KR2010008184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5871040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60046987A (ko) 용량가변형 에어컨의 압축기 오결선 검지장치 및 그 방법
WO2021074991A1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