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986A - 척추간 삽입체 - Google Patents

척추간 삽입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986A
KR20070068986A KR1020060043536A KR20060043536A KR20070068986A KR 20070068986 A KR20070068986 A KR 20070068986A KR 1020060043536 A KR1020060043536 A KR 1020060043536A KR 20060043536 A KR20060043536 A KR 20060043536A KR 20070068986 A KR20070068986 A KR 20070068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notch
hole
spinous process
interverteb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0323B1 (ko
Inventor
정병주
박정섭
유승화
심찬식
최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이치에스
이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이치에스, 이상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이치에스
Publication of KR20070068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0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apophyseal or facet joints, i.e. between adjacent spinous or transverse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2Intervertebral or spinal disc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108Shapes
    • A61F2002/3011Cross-sections or two-dimensional shapes
    • A61F2002/30159Concave polygonal shapes
    • A61F2002/30166H-shaped or I-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67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76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chanism
    • A61F2002/3049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chanism using a locking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21Accessories
    • A61F2002/30754Implants for interposition between two natural articular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2Intervertebral or spinal discs, e.g. resilient
    • A61F2002/4435Support means or repair of the natural disc wall, i.e. annulus, e.g. using plates, membranes or meshes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한 두 척추 상에 각각 존재하는 극돌기(spinous process)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 배치되어 극돌기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인접한 척추의 상추간관절(superior facet)과 하추간관절(inferior facet) 간에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도록 결착 고정하는 척추간 삽입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삽입체는, 척추의 두 극돌기를 수용하는 두 개의 대향 노치를 갖는 스페이서와, 상기 두 극돌기 및 상기 스페이서를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을 포함하는 척추간 삽입체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노치에서 수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상기 극돌기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와 상기 노치에서 전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페이서의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전면 돌출부 및 상기 스트랩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스페이서의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한다.
척추, 극돌기, 극간인대, 척추 협착증, 스페이서, 스트랩, 관통홀, 로도시스

Description

척추간 삽입체{Spine Insert}
도 1은 인체 척추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삽입체 중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삽입체 중 스페이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삽입체 중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스페이서를 환자의 체내에 삽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스페이서가 환자의 체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삽입체 중에서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도 7 및 도 8에서 나타낸 과정을 통하여, 스페이서가 두 극돌기 사이에 삽입된 형상을 등 뒤쪽에서 바라 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고정부를 이용하여 스트 랩을 고정한 척추의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B-B'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밴드 복합 형태의 삽입체를 극돌기 간에 삽입한 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0은 제 1 종 지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척추와 추간관절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페이서를 삽입한 후 척추의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를 삽입한 후 척추의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4a는 본 발명에 따른 크기가 다른 각각의 스페이서를 삽입한 후 척추의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4b는 도 24a의 결과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24c는 도 24a 및 도 24b의 결과에 따른 알맞은 형태를 취하는 척추의 모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도시스와 근육지레를 나타낸 모식도 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에 작용되는 힘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0, 30': 스페이서 31: 제 1 플랜지
32: 제 2 플랜지 33a: 제 1 노치
33b: 제 2 노치 35: 관통홀
37: 전면 돌출부 39: 후면 돌출부
38: 고정부 40: 스트랩
41: 제 1 후크 43: 밴드
44: 제 2 후크
본 발명은 척추간 삽입체(spine inser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한 척추 상에 각각 존재하는 극돌기(spinous process)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 배치되어 극돌기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인접한 상추간관절(superior facet)와 하추간관절(inferior facet) 간에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도록 결착 고정하는 척추간 삽입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인체 척추의 단면도이다. 인체의 등쪽으로 다수의 극돌기(3)가 위치하고, 그 반대 쪽으로 추체(vertebral body; 8)가 위치한다. 극돌기(3)와 추체(8) 사이의 공간에 척추 신경(1)이 위치하며, 각 극돌기(3) 사이에는 극간인대(7) 및 황색인대(6)가 위치한다. 그리고, 극돌기(3)로부터 인체의 등쪽을 향하여 극상인대(5) 및 피부(2)가 존재한다.
인체가 노화되어 감에 따라 상기한 척추에도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서, 점 선(A)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극돌기(3) 간의 간격이 가까워지게 되고, 또한 황색인대(ligamentum flavum; 6)가 탄력을 잃고 두꺼워져서 점선(B)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변화에 의해 극돌기(3) 또는 황색인대(6)가 척추 신경(1) 또는 척추 신경(1)과 연결되는 신경 돌기(미도시)를 압박하는 것을 척추 협착증이라고 한다.
척추 협착증의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에 의한 치료, 물리 치료, 수술에 의한 치료 등이 있다. 이들 중 수술에 의한 치료는 타 치료 방법에 의해 치료가 안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신경을 압박하는 뼈와 조직들을 제거하고, 이로 인해 척추가 불안정해 질 것을 대비하여 나사못으로 척추를 고정하는 수술법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수술 방법은 광범위한 뼈와 조직의 제거를 하여야 하므로, 전신 마취가 필요하고, 긴 수술 시간 및 수술 후 긴 회복 기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력이 약한 노인들은 수술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합병증 및 기타 이유로 만족할 만한 수술의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수술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 대한 해결책의 하나로, 두 극돌기 사이에 척추간 삽입체를 삽입하는 방법이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개번호: 2002-0068035)에서 이와 관련된 최근의 기술이 도 2에 제시된다.
두 척추의 두 극돌기(3a, 3b)를 수용하기에 적당하도록 두 개의 대향 노치가 형성된 스페이서(2)를 상기 두 극돌기(3a, 3b) 사이에 삽입한다. 여기서, 각 노치는 각각 내면 벽을 갖는 두 개의 플랜지(11a, 12a, 11b, 12b)로 한정되며, 이 삽입 체는 또한 상기 극돌기에 상기 스페이서(2)를 유지하기 위한 타이(13a, 13b)를 가지고 있다. 이 타이는 노치의 바닥으로부터 대향하는 극돌기의 표면 부분을 감싼다.
상기 타이의 말단은 삽입되고 나서 상기 타이(13a, 13b)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당겨지고, 이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2)를 상기 극돌기(3a, 3b)에 보유, 유지된다. 또한, 척추에 삽입된 스페이서(2)의 위치를 알기 위해, X-레이에 불투명한 횡단 부재가 그 안에 삽입될 수 있고, 이 부재는 X-레이 상의 관찰을 방해하지 않도록 충분히 얇으며 중앙 하우징(14) 내에 수용된다.
상기 종래 기술은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극돌기(3a)와 극돌기(3b)사이의 극간인대 이외에도 그 상위의 극간인대 및 그 하위의 극간인대를 제거한 후, 타이(13a, 13b)로 감싸게 된다. 따라서, 이상이 없는 부분의 인대까지 제거해야 하므로 환자에게 불편을 끼치고 시술시간이 늘어난다. 그리고, 스페이서(2)의 상향 플랜지(11a, 11b)와 극돌기(13a)를 감싸고, 하향 플랜지(12a, 12b)의 말단과 극돌기(13b)를 각각 감싸기 때문에 상기 스페이서(2)가 수평 측방향으로 힘을 받을 경우에 지지력이 약하여 수평 방향 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인체가 노쇠화되거나 추간판(4)에 이상이 발상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척추 협착증과 더불어, 척추의 상추간관절(superior facet)와 하추간관절(inferior facet) 간에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하거나, 추간판 아래위의 척추간에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하여 환자에게 큰 고통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두 척추간에 삽입체를 삽입함에 있어, 환자에게 부담을 줄이고 시술의 간단함을 기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체 및 상기 두 척추가 견고하게 고정 결착하게 되는 척추간 삽입체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 두 척추의 극 돌기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두 척추가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시키는 척추간 삽입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환자마다 다른 극돌기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고 정확히 끼워 맞추어 고정부를 사용해 더욱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척추간 삽입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삽입체는, 척추의 두 극돌기를 수용하는 두 개의 대향 노치를 갖는 스페이서와, 상기 두 극돌기 및 상기 스페이서를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을 포함하는 척추간 삽입체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노치에서 수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상기 극돌기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와 상기 노치에서 전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페이서의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전면 돌출부 및 상기 스트랩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스페이서의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삽입체는 소정의 두 극돌기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켜 주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두 극돌기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스페이서와 두 극돌기를 묶어 주는 스트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삽입체 중 스페이서(3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삽입체 중 스페이서(30)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삽입체 중 스페이서(30)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30)는 제 1 노치(33a) 및 제 2 노치(33b)와, 제 1 플랜지(31) 및 제 2 플랜지(32)와, 관통홀(35), 전면 돌출부(37)및 고정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30)는 좌우방향으로는 대칭 형상을 가지지만, 상하 방향으로는 대 칭 형상이 아닐 수 있다.
스페이서(30)는 도 1의 척추 협착증이 발생하는 두 극돌기(3a, 3b) 사이에 삽입되는데, 상기 두 극돌기(3a, 3b) 중 상부 극돌기(3a)의 하부를 수용하는 제 1 노치(notch; 33a)와 상기 두 극돌기(3a, 3b) 중 하부 극돌기(3b)의 상부를 수용하는 제 2 노치(33b)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노치(33a, 33b)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즉 대향(對向) 하도록 구성되어 상부 극돌기(3a)와 하부 극돌기(3b)의 상하 방향의 압축력을 지지한다.
그런데, 극돌기(3)의 하부와 극돌기(3)의 상부는 그 형상이 다를 수 있다. 극돌기(3)의 하부는 극돌기(3)의 상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평평하고 긴 형상을 갖고, 극돌기(3)의 상부는 극돌기(3)의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굴곡과 변이가 심하고 짧은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노치(33a) 및 제 1 플랜지(31)는 극돌기(3)의 하부 형상에 맞도록, 상기 제 2 노치(33b) 및 제 2 플랜지(32)는 극돌기(3)의 상부 형상에 맞도록 각각 다른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노치(33a)는 상부 극돌기(3a)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플랜지(31)에 의하여 한정되고, 제 2 노치(33b)는 하부 극돌기(3b)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플랜지(32)에 의하여 한정된다.
관통홀(35)은 스페이서(30)의 측면을 관통하며, 후술할 스트랩(40)의 너비(w)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폭(C)을 가진다. 그리고, 관통홀(35)은 후술할 스트랩(40)의 밴드(43)가 3개 이상 여유롭게 삽입 되는 정도의 높이(h)를 갖는다.
스페이서(30)의 양측에는 함몰부(34)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34)는 관통 홀(35)을 통과하는 스트랩(40)의 양단을 당길 때 용이하게 하고, 스페이서(30)와 두 극돌기(3a, 3b)를 보다 단단하게 묶을 수 있도록 플랜지(31, 32)의 좌우측 바깥부분에서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소정의 곡률로 내향(內向)되어 있다. 상기 곡률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달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40)의 구조와 역할을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스페이서(30)가 두 극돌기(3a, 3b)사이에 삽입되었을 경우와, 스트랩(40)을 사용해 두 극돌기(3a, 3b)와 스페이서(30)를 고정한 경우에는 각각의 노치(33a, 33b)와 두 극돌기(3a, 3b)가 선 접촉을 하고 있는 부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치(33a, 33b)는 그 변경 곡선에 대응되도록 알맞은 굴곡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30)의 제 1 노치(33a)는 많은 변이를 보이는 상부 극돌기(3a)의 하부 형상에 맞게 굴곡이 형성된다. 한편 많은 변이를 보이는 상부 극돌기(3a)의 하부 형상과 달리 하부 극돌기(3b)의 상부형상은 평평하고 모양이 단순하다. 따라서 제 2 노치(33b)는 수평에 가까운 완만한 기울기를 가진다.
환자의 체내에서 스페이서(30)가 차지하는 면적이 최소화 되기 위해 스페이서(30)의 제 1 플랜지(31)와 제 2 플랜지(32)의 두께는 동일하다. 다만, 극돌기(3)의 상부와 하부의 형상에 따라 제 1 플랜지(31) 사이의 간격 즉, 제 1 노치(33a)와 제 2 플랜지(32) 사이의 간격 즉 2 노치(33b)의 폭의 차이는 허용한다.
극돌기(3)에서 추체(8) 방향으로 추궁판(Lamina; 10)이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는데, 그 형상에 스페이서(30)가 적합하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하여 스페이서(30) 의 전면부에 전면 돌출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 돌출부(37)는 스페이서(30)의 총 길이에서 1/3 내지 1/2 정도 돌출되어 두 극돌기(3a, 3b)를 지지한다.
스페이서(30)의 전면부에 돌출된 전면 돌출부(37)와 제 1 플랜지(31)가 만나는 면을 제 1 경사면(36a), 전면 돌출부(37)와 제 2 플랜지(32)가 만나는 면을 제 2 경사면(36b)이라 지칭한다. 제 1 플랜지(31)의 제 1 경사면(36a)은 스페이서(30)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상부 극돌기(3a) 안쪽 부위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추궁판(10a)의 형상에 맞추어 관통홀(35)의 윗경사면(35a)과 소정의 각도(θ1)를 이루어 형성된다. 또한 제 2 플랜지(32)의 제 2 경사면(36b)은 하부 추궁판(10b)과의 간섭을 피하고 추체(8) 방향으로 최대한 맞추기 위해 관통홀(35)의 아랫경사면(35b)과 소정의 각도(θ2)를 이루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인체를 코에서 뒤통수 방향으로 절단한, 즉 새지털(Sagittal) 방향으로 상기 추궁판(10)을 단면 했을 경우, 그 형상에 대응되도록 플랜지(31, 32)의 상기 각도(θ1, θ2)는 엇각을 이루며 각각 40˚ 내지 70˚ 사이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과도한 익스텐션을 방지하고, 플렉션에 대하여는 어느 정도 융통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제 1 플랜지(31) 및 제 2 플랜지(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시 추궁판(10)에 의한 간섭을 최소한으로 줄이도록 서로 평행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θ3)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각도(θ3)는 도 9의 A부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스페이서(30)는 티타늄 등 인체에 무해하고 견고한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스페이서(30)를 환자의 체내에 삽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7 및 도 8과 같이 스페이서(30)를 삽입할 부분의 극상인대(5)를 들어 올리고, 그 부분의 극간 인대(7a)를 제거한다(도 7참조). 다음, 상기 극간 인대(7a)가 제거된 두 극돌기(3a, 3b) 사이의 공간에 스페이서(30)를 삽입한다(도 8참조).
도 9는 본 스페이서(30)가 환자의 체내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돌기(3)로부터 연장되어 추체(8) 방향으로 추궁판(10)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형상에 스페이서(30)가 적합하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하여 스페이서(30)의 전면부에 전면 돌출부(37)가 형성되어 있다고 전술한 바 있다. 전면 돌출부(37)는 스페이서(30)가 상부 추궁판(10a)과 하부 추궁판(10b) 사이로 알맞게 삽입이 되어, 상부 극돌기(3a)와 하부 극돌기(3b) 사이에 단단하게 고정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람의 요추등뼈는 일자가 아닌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30)의 삽입 기울기 각도(θ4) 또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30)의 제 1 노치(33a)의 굴곡된 곡면은 상부 극돌기(3a) 하부면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여, 스페이서(30)가 체내에 삽입되어 환자의 요추 등뼈가 굴곡운동, 비틀기 운동 등의 움직임에 따라서 스페이서(30)에 접하는 부분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주축(Pivot)이 된다.
따라서, 스페이서(30)는 제 1 노치(33a) 및 제 2 노치(33b)의 곡률로 인해 환자마다 다른 상부 극돌기(3a)와 하부 극돌기(3b)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삽입되고, 체내에 삽입이 되어서도 노치(33a, 33b)의 곡률이 주축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시술자에게는 안정된 시술과 환자에게는 빠른 회복을 제공한다.
또한 도 9의 A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31, 32)가 추궁판(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사다리꼴 형태로 기울어져 소정의 각도(θ3)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랜지(31, 32)가 극돌기(3)의 측면에 최대한 밀착됨으로써 스페이서(30)는 두 극돌기(3a, 3b) 사이에 이격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여기서 플랜지(31, 32) 사이를 이루고 있는 소정의 기울기 각도(θ3)는 20˚ 내지 60˚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삽입체 중에서 스트랩(4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스트랩(40)은 두 개의 극돌기(3a, 3b)와 스페이서(30)를 8자 형태로 묶어주며, 스트랩(40) 재질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페이서(30)를 고정해 주는 밴드(band; 43)와, 상기 밴드(43)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후크(hook; 41, 44)와, 후크(41, 44)와 밴드(43)를 연결해주는 연결부(42, 4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41, 44)는 제 1 후크(41)와 제 2 후크(44)로 나뉜다. 제 1 후크(41)는 상부 극돌기(3a)의 상부 근처의 극간 인대를 관통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형상은 상부 극돌기(3a)의 상부의 형상에 따라서 결정된다. 그리고, 제 2 후크(44)는 하부 극돌기(3b)의 상부 근처의 극간 인대를 관통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형상은 하부 극돌기(3b)의 상부의 형상에 따라서 결정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제 1 후크(41)의 크기 및 곡률 반경이 제 2 후크(44)의 크기 및 곡률 반경에 비하여 더 크게 된다.
상기 밴드(43)는 상대적으로 큰 폭(w)과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t)를 갖는데, 그 말단은 상기 후크(41, 44)와 연결될 수 있도록 폭(w)이 좁아진다. 상기 밴드(43)는 폴리에스터 등의 합성 섬유나 천연 가죽, 인조 가죽 등의 재질 등과 같이, 일정 이상의 마찰력을 가지며 인체에 삽입되었을 때 무해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도 7 및 도 8에서 나타낸 과정을 통하여, 스페이서(30)가 두 극돌기(3a, 3b) 사이에 삽입된 형상을 등 뒤쪽에서 바라 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30)는 두 극돌기(3a, 3b)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두 극돌기(3a, 3b)는 상기 스페이서(30) 내의 각각 대향하는 노치(33a, 33b)에 의하여 유지된다. 그러나, 척주(脊柱)의 다양한 굴곡작용에 의하여, 각 극돌기(3a, 3b)는 좌우측 방향으로 얼마간의 운동량을 가질 수 있으므로, 스트랩(40)에 의하여 스페이서(30)를 고정하여야 한다. 이 후 스트랩(40) 설치 과정은 편의상 도 11의 C 부분만을 분리하여 도시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스트랩(40)에 의하여 스페이서(30)를 상기 두 극돌기(3a, 3b) 사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를 제시한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스트랩(40)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 1 후크(41)가 스페이서(30)의 관통홀(35)을 관통하도록 한다(도 12 참조). 그 다음, 제 1 후크(41)가 위쪽 극간 인대(7b) 중 상부 극돌기(3a)의 상부 근처 부분을 관통하도록 한다(도 13 참조). 상기 제 1 후크(41) 는 다시 한번 스페이서(30)의 관통홀(35)을 관통하고, 제 2 후크(44)가 아래쪽 극간 인대(7c) 중 하부 극돌기(3b)의 하부 근처 부분을 관통하도록 한다(도 14 참조).
그 후, 제 1 후크(41)와 제 2 후크(44)를 제거하고, 밴드(43) 양단을 도 15의 화살표 방향으로 단단히 잡아당긴다. 이와 같이, 밴드(43)를 잡아당기는 경우에, 상기 밴드(43)는 스페이서(30)의 함몰부(34)와 밀착되어 스페이서(30)와 두 극돌기(3a, 3b)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다(도 15참조). 그리고, 제 1 후크가 제거된 밴드의 말단부를 상부 극돌기(3a)를 감싸고 있는 밴드(43)의 부분에 매듭(46)을 짓고, 제 2 후크가 제거된 밴드(43)의 말단부를 하부 극돌기(3b)를 감싸고 있는 밴드의 부분에 매듭(47)을 짓는다(도 16 참조).
이상 도 1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밴드(43) 양단의 매듭(46, 47)에 의하여 스페이서(30)와 두 극돌기(3a, 3b)가 지지 결착되지만, 도 17과 같이 고정부(38)를 사용하여 더욱 견고하고 안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스트랩(40)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30)의 고정부(38)를 이용하여 스트랩(40)을 고정한 척추의 측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B-B'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 1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스트랩(40)에 의하여 스페이서(30)를 상기 두 극돌기(3a, 3b) 사이에 고정하는 방법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스트랩(40)에 의하여 스페이서(30)를 상기 두 극돌기(3a, 3b) 사이에 고정하는 방법과 다음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스페이서(30)와 같이, 스페이서(30)의 후면부에 설치된 고정부(38)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합형태를 취한다.
고정부(38)는 스페이서(30)의 뒷부분 즉, 후면의 중간지점에 고정홀(38a)이 위치하여 형성되고, 몸체 쪽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는 형상이다. 고정홀(38a)의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고, 일측에 다각형의 홈 등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38b)는 고정홀(38a)의 암나사에 체결이 되어 스페이서(30)에 내장되어 설치된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2 내지 도 15에서 설명하는 과정 이후에 연결되는 과정이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2 내지 도 15의 과정을 먼저 수행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먼저, 제 1 후크(41)가 스페이서(30)의 관통홀(35)을 관통하도록 한다(도 12 참조). 그 다음, 제 1 후크(41)가 위쪽 극간 인대(7b) 중 상부 극돌기(3a)의 상부 근처 부분을 관통하도록 한다(도 13 참조). 상기 제 1 후크(41)는 다시 한번 스페이서(30)의 관통홀(35)을 관통하고, 제 2 후크(44)가 아래쪽 극간 인대(7c) 중 하부 극돌기(3b)의 하부 근처 부분을 관통하도록 한다(도 14 참조).
그 후, 제 1 후크(41)와 제 2 후크(44)를 제거하고, 밴드(43) 양단을 도 15 의 화살표 방향으로 단단히 잡아당긴다. 이와 같이, 밴드(43)를 잡아당기는 경우에, 상기 밴드(43)는 스페이서(30)의 함몰부(34)와 밀착되어 스페이서(30)와 극돌기(3a, 3b)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다(도 15참조).
그리고, 고정부(38)를 이용하여 스페이서(30)의 관통홀(35) 내부에 3단으로 겹쳐있는 스트랩(40)이 고정이 된다(도 17참조). 그 후, 스트랩(40)의 밴드(43)의 말단부를 절단하면 매듭부(46, 47)가 생성되지 않아 체내에서 스트랩(40)의 매듭부(46, 47)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도 18참조).
구체적으로 제 2 실시예의 스트랩(40)에 의하여 스페이서(30)를 상기 두 극돌기(3a, 3b) 사이에 고정하는 방법을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페이서(30)에 내장되어 있는 고정부(38)는 스페이서의 후면의 중간지점에 고정홀(38a)이 위치하여 형성되고, 몸체 쪽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는 형상이다. 이 고정홀(38a)은 관통홀(35)과 평행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홀(38a)의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고, 육각형 홈이나 십자형 홈등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38b)는 고정홀(38a)의 암나사에 체결이 되어 스페이서(30)에 내장되어 설치된다. 그 후 렌치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해 힘을 더 가하여 볼트(38b)를 꽉 조이면, 관통홀(35)의 내부를 지나며 겹쳐있던 스트랩(40)의 밴드(43)가 서로 압착 되면서 견고하게 고정이 된다.
따라서, 고정부(38)는 스페이서(30)의 자체에 내장됨으로써 체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 하고, 스페이서(30)의 중심이 고정되어 상하 및 좌우로 치우치지 않으며, 외부에 형성된 고정부 등 분리형에 비해 견고히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관통홀(35)의 기울기 각도는 하부 극돌기(3b)의 상부 부위의 기울기 즉, 상기 하부 극돌기(3b)의 상부 부위를 수용하는 제 2 노치(33b)의 기울기 각도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홀(38a)의 기울기 각도는 스페이서(30)의 가로를 지나는 관통홀(35)의 각도와 평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35)의 기울기 각도는 하부 극돌기(3b)의 상부면의 기울기 각도와 유사하기 때문에 고정홀(38b)의 기울기 각도 또한 하부 극돌기(3b)의 상부면의 기울기 각도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것은 스트랩(40)의 두께(t)보다 폭(w)의 값이 더 크기 때문에 극돌기(3a, 3b)의 기울기 각도에 맞게 스트랩(40)이 극돌기(3a, 3b)에 밀착됨으로써 더욱 더 견고히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이상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를 설명 하였는데,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를 동시에 즉, 더욱더 견고한 결착을 위해 양단에 매듭(46, 47)을 짓고 그 이후에 고정부(38)를 이용해 밴드(43)를 고정하는 방법도 함께 사용 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스페이서(30)-스트랩(40) 복합 형태의 삽입체를 두 극돌기(3a, 3b) 간에 삽입한 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여기서 스페이서(30)는 두 극돌기(3a, 3b) 간을 소정 간격(노치간 간격)만큼 유지하며, 두 극돌기 간(3a, 3b)에 작용하는 압축력(F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밴드(43)는 스페이서(30)와 상하의 두 극돌기(3a, 3b)를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두 극돌기(3a, 3b) 간이 벌어지지 않도록 소정의 지지력 F2를 작용시킨다. 이와 같이 밴드(43)에 의하여 두 극돌기(3a, 3b)가 벌어지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면, 두 극돌 기(3a, 3b)와 반대편에 위치한 추체(8a, 8b)간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발생하는 척추 협착증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삽입체를 이용하면 두 극돌기(3a, 3b) 간의 간격이 좁아져서 발생하는 각종 질환뿐만이 아니라 및 추체(8a, 8b) 간의 간격이 좁아져서 발생하는 각종 질환도 함께 방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삽입체 중 밴드(43)는 상 추간관절(9b) 및 하 추간관절(9a)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는, 즉 추간관절(9a, 9b) 고정 역할도 아울러 수행한다. 도 19를 보면, 인체의 척추는 가위(scissors)와 같은 제 1종 지레(lever)의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척추를 가위에 대비하여 본다면, 두 극돌기(3a, 3b)는 가위의 손잡이 부분에 해당하고, 추체(8a, 8b)는 가위의 날 부분에 해당하며, 추간관절(9a, 9b)는 가위의 회전 축 부분에 해당한다. 따라서, 가위의 회전 축 부분에 해당하는 추간관절(9a, 9b)은 지레 메커니즘의 받침점 역할을 하므로, 이러한 추간관절(9a, 9b)이 손상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은 척추가 제 역할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도 20은 제 1 종 지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척추가 갖는 지레 메커니즘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 1종 지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20을 참조한다. 지레의 힘점 부분에는 밴드(43)가 위치하여 두 극돌기(3a, 3b)를 누르는 힘(F1)을 작용시키는데, 이 힘은 추간관절(9a, 9b)을 받침점으로 하여 추체(8a, 8b)가 누르는 힘(W)과 균형을 이룬다. 간단한 힘의 평형식에 의하면, F1은 W×(b/a)가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는데 이 값(F1)은 추체(8a, 8b)가 누르는 힘이 정해질 때 밴드가 최소한 지지하여야 하는 힘의 크기라고 볼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작용을 비교하여 위한 모식도이다. 이 중에서 도 21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척추와 추간관절의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보면, 추간관절(9a, 9b)이 척추 지레의 받침점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양쪽에 두 극돌기(3a, 3b)와 추체(8a, 8b)가 위치함을 알 수 있다. 도 20에서는 두 극돌기(3a, 3b) 간의 간격 및 추체(8a, 8b)의 간격은 모두 정상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도 2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페이서(2)를 삽입한 후 척추의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종래에 밴드 없이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경우나, 도 2의 기술과 같이 타이를 이용하여 상부 극돌기(3a) 및 하부 극돌기(3b)를 스페이서(2)와 각각 묶는다 하더라도, 상하 두 극돌기(3a, 3b) 및 스페이서(2)를 일체로 고정시키지 못한 경우에는, 두 극돌기(3a, 3b) 간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척추 지레의 받침점 역할을 하는 추간관절(9a, 9b)에 어떤 힘이 작용되면 추간관절(9a, 9b) 간에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상기 받침점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어, 척추 지레가 제 역할을 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두 극돌기(3a, 3b)간의 간격이 다소 벌어지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추체(8a, 8b) 간의 간격은 오히려 좁아지게 되어 시술 이후 척추 협착증이 오히려 심화될 가능성도 상존한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30)를 삽입한 후 척추의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밴드(43)를 이용하여 상하 두 극돌기(3a, 3b) 및 스페이 서(30)를 고정 결착함으로써, 추간관절(9a, 9b)의 상대적인 움직임도 발생되지 않으므로, 시술 후에도 척추 지레의 작용이 그대로 보존된다. 그리고, 추간관절(9a, 9b)이 움직이거나 충격을 받는 등의 원인에 의하여 추간관절(9a, 9b)에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각종 질환을 방비할 수도 있다.
한편, 추체(8a, 8b)간의 간격이 좁아지려는 변형, 즉 척추 협착증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밴드(43)에 의한 지지력으로 추체(8a, 8b) 간의 간격을 일정 이상으로 유지하게 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때로는, 척추 협착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밴드(43)의 묶음 높이(h)를 다소 줄임으로써 다소 간의 로도시스(lordosis)를 유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30)는 경성재질로 이루어져서 받침점(Fulcrum) 역할을 한다. 경성재질로 이루어진 스페이서(30)은 연성 및 탄성재질의 스페이서 보다 더욱 극돌기(3a, 3b)를 견고하게 결박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4a는 본 발명에 따른 크기가 다른 각각의 스페이서(30)를 삽입한 후 척추의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4b는 도 24a의 결과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며, 도 24c는 도 24a 및 도 24b의 결과에 따른 알맞은 형태를 취하는 척추의 모식도이다.
도 24a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30)의 노치간 높이(y)가 달라지는 경우 추간관절(9a, 9b)을 중심으로 상기 두 극돌기(3a, 3b)의 간격과 추체(8a, 8b)의 간격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환자의 수술결과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환자마다 다른 상부 극돌기(3a)와 하부 극돌기(3b)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다양한 제품의 스페이서(30) 즉, 스페이서(30)의 노치간 높이(y)를 다르게 하여 두 극돌기(3a, 3b)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마다 다른 두 극돌기(3a, 3b)사이 간격에 대응하여 스페이서(30)를 삽입하는 것은 수술결과에서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작용을 하는 부분으로서, 이것은 도 24b 및 도 24c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스페이서(30)의 노치간 높이(y)가 가장 작은 것이 y1, 가장 큰 것이 y3, 그리고 y1과 y3높이의 중간 정도를 y2라고 지칭한다.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y1, y2, y3의 로도시스 값은 각각 0.82, 0.146667, -0.836으로서 스페이서(30)의 노치간 간격(y)이 가장 작은 y1의 수술결과가 가장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인체가 이루고 있는 알맞은 각도의 로도시스를 잃어버린 척추전만증 및 척추후만증 환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삽입체 중 스페이서(30)를 삽입함에 있어 스페이서(30)의 노치간 높이(y)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30)의 노치간 높이(y)가 작아질수록 수술결과가 좋고, 디스크 수핵(미도시)에 대한 압박력도 작아지는 효과를 거둔다.
따라서 도 2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의 로도시스를 이루기 위해 환자마다 다를수 있는 두 극돌기(3a, 3b)의 간격에 알맞은 노치간 높이(y)를 갖는 스페이서(30)를 삽입한다. 그리고 스트랩(40)을 사용하여 두 극돌기(3a, 3b)를 고정시키면 스트랩(40)의 힘(F3)이 작용하여 두 극돌기(3a, 3b) 간격이 줄어드게 되고, 두 추체(8a, 8b)의 간격은 스트랩(40)의 힘(F3)에 의해 추체(8a, 8b)간이 서로 벌어지려는 힘(F4)이 작용하게 된다. 이는 시소(seesaw) 및 널뛰기 등의 원리와 같다.
따라서, 상하부 극돌기(3a, 3b)의 말단부에서 상하부 추체(8a, 8b)의 말단부를 이루는 각도가 소정의 각도(θ5)를 형성하여 벌어지기 때문에 로도시스를 유도해 낼 수 있다. 이때,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로도시스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소정의 각도(θ5)는 5˚ 내지 20˚ 사이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도시스와 근육지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a)는 카이포시스(kyphosis) 즉, 척추후만증 환자의 요추(L)이고, (b)는 정상인의 요추(L)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부호 7은 상기 요추(L)를 움직이는 극간인대로서, 요추(L)의 극돌기(3)에 연결되어 인체의 허리를 움츠리거나 펴는 역할을 한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후만증 환자는 정상인(b)의 요추(L)에 비해 수직선상으로 곧게 뻗어 있기 때문에 환자가 극간인대(7)를 사용해 허리를 숙이거나 펴는 움직임이 있을 때 정상인(b)보다 더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30)와 스트랩(40)을 통해 두 극돌기(3a, 3b)를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인체의 척추가 소정 각도를 이루는 로도시스를 이루게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상 도 3 내지 도 25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면 돌출부(37)만 형성된 스페이서(30)를 설명하였으나, 도 26과 같이 후면 돌출부(39)를 형성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30')를 나 타낸 도면이고, 도 27는 도 26에 작용되는 힘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일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스페이서(30')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스페이서(30)와 다음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30')는 전면 돌출부(37)와 대향되도록 후면 돌출부(39)가 형성된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같은 힘이 작용하는 경우 지렛대의 중심점(P)과 멀어질수록 받는 힘이 더 커진다는 원리는 자명한 사실이다.
예컨대 관통홀(35)을 일실시예의 스페이서(30) 측면의 중심부에 형성하여 스트랩(40)을 설치 한 경우는 f1점에 힘이 작용하게 될 것이고, 관통홀(35)을 다른 실시예의 스페이서(30') 측면의 후방부에 형성하여 스트랩(40)을 설치한 경우는 f2점에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관통홀(35)이 상기 두 극돌기(3a, 3b)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중심점(P)과 멀어질수록 상대적으로 작은힘으로도 두 극돌기(3a, 3b)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는 결과를 알 수 있다.
관통홀(35)을 스페이서(30')의 후방부에 형성하는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30)의 후방부에 후면 돌출부(39)를 형성하여 관통홀(35)이 후면 돌출부(39)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한에서 최대한 중심점(P)과 멀도록 위치시키게 되면 상대적으로 보다 적은 힘으로도 스트랩(40)을 이용해 쉽게 두 극돌기(3a, 3b)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40) 고정 후 더욱 견고한 고정을 위해 후면에 고정장 치(미도시)를 외부에서 결합할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사못 고정술이나 fusion 수술 등과 같이 시술을 받는 환자에게 주는 신체적 부담을 감소시키며, 의사의 입장에서도 시술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나이든 환자에게도 적합하며 수혈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극돌기 간의 간격을 소정 이상으로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추체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 추간관절 및 하 추간 관절의 상대적인 움직임도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환자마다 다른 극돌기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고 정확히 끼워 맞추어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가 스페이서에 내장되어 있어 환자의 체내에서 스페이서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 하고,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8)

  1. 척추의 두 극돌기를 수용하는 두 개의 대향 노치를 갖는 스페이서와, 상기 두 극돌기 및 상기 스페이서를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을 포함하는 척추간 삽입체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노치에서 수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상기 극돌기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
    상기 노치에서 전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페이서의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전면 돌출부; 및
    상기 스트랩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스페이서의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척추간 삽입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노치는,
    상기 척추의 두 극돌기 중 상부 극돌기의 하부면을 수용하는 제 1 노치; 및
    상기 척추의 두 극돌기 중 하부 극돌기의 상부면을 수용하는 제 2 노치를 포함하는 척추간 삽입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치는,
    변이가 심한 상기 상부 극돌기의 하부면에 대응하고, 상기 상부 극돌기의 굴곡운동으로 인한 수축 및 확장 운동에 대응하기 위해 소정의 반지름을 갖는 곡률로 이루어지는 척추간 삽입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치는,
    수평에 가까운 상기 하부 극돌기의 상부 부위의 기울기 각도와 대응되도록 완만한 기울기로 이루어지고, 하부 극돌기의 굴곡운동으로 인한 수축 및 확장 운동에 대응하기 위해 소정 반지름을 갖는 곡률로 이루어지는 척추간 삽입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치의 상기 곡률은,
    상기 제 1 노치의 곡률보다 완만한 반지름을 갖는 곡률로 형성되는 척추간 삽입체.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제 1 노치 및 상기 제 2 노치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 두 개의 측벽으로 형성되고, 양측으로 돌출된 상기 두 개의 측벽의 내측 면은 각각 소정의 기울기 각도를 형성하여 상기 전면 돌출부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척추간 삽입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두 개의 측벽의 내측 면이 서로 이루는 각도가 20˚ 내지 60˚ 사이로 이루어지는 척추간 삽입체.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제 1 노치에서 수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상기 상부 극돌기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상기 관통홀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플랜지; 및
    상기 제 2 노치에서 수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상기 하부 극돌기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상기 관통홀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플랜지를 포함하는 척추간 삽입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면 및 상기 제 2 경사면은,
    상기 관통홀을 기준으로 엇각을 이루며, 상기 소정의 각도는 40˚ 내지 70˚ 사이로 이루어지는 척추간 삽입체.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스트랩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지고, 상기 스트랩의 밴드가 세 줄 이상이 겹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갖는 척추간 삽입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기울기가 상기 제 2 노치의 기울기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척추간 삽입체.
  12. 제 1항 내지 1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관통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스페이서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상기 스트랩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척추간 삽입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후면에 형성되는 고정홀;
    상기 고정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암나사; 및
    일측에 소정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척추간 삽입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기울기가 상기 제 2 노치 및 상기 관통홀의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척추간 삽입체.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노치에서 후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페이서의 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후면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척추간 삽입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후면 돌출부의 측면을 관통하는 척추간 삽입체.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두 극돌기 사이에 삽입 되어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두 극돌기 사이의 각도가 변형됨에 따라 상기 두 극돌기와 대향되어 위치된 추체의 각도는 5˚ 내지 20˚ 사이로 형성되는 척추간 삽입체.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결합이 용이 하도록 상기 관통홀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곡률로 내향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척추간 삽입체.
KR1020060043536A 2005-12-27 2006-05-15 척추간 삽입체 KR100850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30289 2005-12-27
KR1020050130289 2005-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986A true KR20070068986A (ko) 2007-07-02
KR100850323B1 KR100850323B1 (ko) 2008-08-18

Family

ID=3850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536A KR100850323B1 (ko) 2005-12-27 2006-05-15 척추간 삽입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3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7101A1 (en) 2009-12-23 2011-06-30 Forbes Butterfield Interspinous implant
JP2019505354A (ja) * 2016-02-15 2019-02-28 バックボーン 動的安定化椎間インプラン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手術用キット
FR3111788A1 (fr) * 2020-06-29 2021-12-31 Michel LOCHARD Kit pour la réalisation d’une prothèse de liaison entre au moins deux processus épineux d’une colonne vertébra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094B1 (ko) 2008-11-07 2011-02-14 신재혁 극돌기간 지지체 및 그 고정방법
KR101121667B1 (ko) 2012-01-17 2012-03-09 김창국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KR101342571B1 (ko) * 2012-03-09 2013-12-17 제이엠티(주)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KR101647457B1 (ko) * 2014-11-25 2016-08-10 주식회사 메드릭스 극돌기간 밴드 결합용 기구
KR101647453B1 (ko) * 2014-12-03 2016-08-10 주식회사 메드릭스 극돌기간 밴드 고정용 스페이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8398B1 (fr) 2001-08-08 2003-09-19 Jean Taylor Ensemble de stabilisation de vertebres
KR100701573B1 (ko) * 2004-05-17 2007-03-30 (주)우리들척추건강 척추간 삽입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7101A1 (en) 2009-12-23 2011-06-30 Forbes Butterfield Interspinous implant
CN102970939A (zh) * 2009-12-23 2013-03-13 奇思兵有限公司 棘突间植入件
US8979897B2 (en) 2009-12-23 2015-03-17 Qspine Limited Interspinous implant
JP2019505354A (ja) * 2016-02-15 2019-02-28 バックボーン 動的安定化椎間インプラン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手術用キット
FR3111788A1 (fr) * 2020-06-29 2021-12-31 Michel LOCHARD Kit pour la réalisation d’une prothèse de liaison entre au moins deux processus épineux d’une colonne vertébra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0323B1 (ko) 2008-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7105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pinal deformity
KR100850323B1 (ko) 척추간 삽입체
JP5260869B2 (ja) 骨または椎骨のための動的安定化装置
US5609592A (en) Spinal Fixation System
JP4563899B2 (ja) 脊柱矯正システム
CN103096820B (zh) 用于脊柱锚定件的延伸件
JP2007537808A (ja) 頸椎間用スペーサ
KR20100087334A (ko) 외과적 고정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JP2008541996A (ja) 脊椎安定化のためのインプラント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6524114A (ja) 骨固定プレート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0506695A (ja) 棘突起の横方向安定化拘束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701574B1 (ko) 척추간 삽입체
US20220409243A1 (en) Lateral spine stabilization devices and methods
US11596447B2 (en) Bone anchor with deployable purchase element
US20140155940A1 (en) Intervertebral dynamic fixation implant
CN114983502A (zh) 具有系绳带的骨植入体
KR100650208B1 (ko) 척추고정장치
KR101121667B1 (ko)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KR100620115B1 (ko) 척추간 삽입체
KR100620114B1 (ko) 척추간 삽입체
KR101342571B1 (ko)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KR100495227B1 (ko) 척추 간격 유지기
KR100791981B1 (ko) 척추간 삽입체
JP2008539969A (ja) 脊柱矯正システム
KR20070022277A (ko) 경추용 추간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