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571B1 -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571B1
KR101342571B1 KR1020120024244A KR20120024244A KR101342571B1 KR 101342571 B1 KR101342571 B1 KR 101342571B1 KR 1020120024244 A KR1020120024244 A KR 1020120024244A KR 20120024244 A KR20120024244 A KR 20120024244A KR 101342571 B1 KR101342571 B1 KR 101342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upport
coupling
main body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2987A (ko
Inventor
장병찬
전상기
Original Assignee
제이엠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엠티(주) filed Critical 제이엠티(주)
Priority to KR1020120024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571B1/ko
Publication of KR2013010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2Intervertebral or spinal disc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대 손상 없이 척추 부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척추의 서로 인접한 극돌기 사이에 제 1 보형부재와 제 2 보형부재가 극돌기 주변의 인대를 피해 상호 끼움 결합 되도록 하여, 척추 주변의 인대를 제거하지 않고 척추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Intervertebral Implant}
본 발명은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대 손상 없이 척추 부위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척추는 인체의 체중을 견디며 골격을 유지하고, 인체 운동을 가능케 할 뿐 아니라, 뇌로부터 신체의 각 부분으로 연결되는 척수를 보호하는 인체의 가장 중요한 골격이다. 일련의 추골들로 구성되는 척추는 위에서부터 7개의 경추, 12개의 흉추, 5개의 요추, 5개의 천추 및 4개의 미추로 이루어진다. 경추, 흉추, 요추는 각각의 추골이 따로 떨어져 움직일 수 있으므로, 가동 척추라 하고, 천추와 미추는 융합되어 하나의 추골과 하나의 미골로 변화하여 고정 척추라 한다.
가동 척추 중에서도 요추는 척추 중에서 인체의 하중을 가장 많이 지지할 뿐 아니라, 높은 운동성으로 인하여 추간판 탈출증 및 퇴행성 질환 등이 많이 발생하는 척추 부위로 알려져 있다. 또한 경추부 동통은 성인의 67%가 한 번씩은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경추는 요추 다음으로 질환이 많이 발생하는 척추 부위이다. 특히, 경추에 있어서는 비교적 높은 하중을 견디는 제5경추에서 제7경추 사이에서 퇴행성 질환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척추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안정,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되지만, 보존적 치료가 효과가 없거나, 질환이 심각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시행된다. 질환이 있는 운동 분절을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완전히 고정시키는 유합술은 퇴행성 척추질환에 사용되는 수술 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수술의 하나이다. 그중 후방 평형 장치(Posterior Stabilization Device, PSD)는 척추뼈의 척추궁(vertebral arch)의 극돌기(spinal process)에 부착되어, 인접 척추뼈 사이의 후방거리가 일정거리 이상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을 막아주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로서, 시술시 인체 허리 부분의 간단한 피부절개만으로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척수(spinal cord)와 멀리 떨어진 위치에 삽입되므로 척수를 자극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척추 주변에는 척추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인대들이 위치되며, 척추의 운동 형태에 따라 각기 다른 인대들에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굽힘에서는 극간인대, 관절낭 인대, 황색인대 등이, 신전에서는 전종인대, 측면 굽힘에서는 횡인대와 황색인대, 관절낭 인대 등에 장력이 가해진다. 후관절은 하관절돌기와 한 단계 아래의 상관절돌기의 윤활관절로 신전에서의 운동범위 제한 등에 기여한다.
그런데 척추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를 극돌기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극돌기 사이의 인대를 제거해준 후,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를 극돌기에 삽입해주어야 했기 때문에,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시키고, 수술 및 회복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척추 주변의 인대를 제거하지 않고 척추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인접한 척추의 극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외측 상부와 하부에서 극돌기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 1 보형부재; 및 상기 제 1 본체와 결합되는 제 2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외측 상부와 하부에서 극돌기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 2 보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는 그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도록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본체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에서 극돌기의 일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본체는 상기 제 1 지지부의 일면을 마주보며 위치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체결부는 상기 제 2 지지부에서 극돌기의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 중 어느 한 지지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 지지부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지지부가 상기 제 1 지지부 내면에 위치될 때,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 중 상기 결합홀이 형성된 지지부의 내측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하여 그 일측과 타측에 제 1 결합안내부와 제 2 결합안내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 1 결합안내부와 상기 제 2 결합안내부 사이를 지나 상기 결합홀에 삽입될 때, 상기 제 1 결합안내부와 상기 제 2 결합안내부의 이격거리가 상기 결합돌기의 가압에 의하여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체결부 또는 상기 제 2 체결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되, 그 단부측으로 갈수록 이격 거리가 벌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되, 그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이격 거리가 좁아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본체의 외면에 하나 이상의 제 1 결합돌출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제 2 본체의 외면에 하나 이상의 제 2 결합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체결부 또는 상기 제 2 체결부의 단부측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는 척추의 서로 인접한 극돌기 사이에 제 1 보형부재와 제 2 보형부재가 극돌기 주변의 인대를 피해 상호 끼움 결합 되도록 하여, 척추 주변의 인대를 제거하지 않고 척추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는 제 1 보형부재와 제 2 보형부재가 결합홀과 결합돌기의 단순 결합에 의하여 용이하게 끼움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는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가 극돌기에 밀착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시술 과정에서,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의 형상에 맞추어 극돌기를 일부 깎아내는 등의 시술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의 제 1 보형부재와 제 2 보형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가 척추의 극돌기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가 척추의 극돌기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가 척추의 극돌기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가 척추의 극돌기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는 상하로 인접한 척추(100: 도 6 도시)의 극돌기(110, 110': 도 6 도시) 사이에 배치되어, 극돌기(110, 110')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것으로, 극돌기(110, 11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보형부재(10), 제 1 보형부재(10)에 결합되는 제 2 보형부재(30) 및 제 1, 2 보형부재(10, 30)를 극돌기(110, 1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제 1 보형부재(10)는 제 1 본체(12)와 제 1 체결부(20, 20')를 포함하는데, 먼저, 제 1 본체(12)는 척추(100)의 극돌기(110, 110') 사이에 배치되도록 'U'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오목부(13)와, 제 1 오목부(13)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연장되어, 극돌기(110, 110')의 하부와 상부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부(14)와, 제 1 오목부(13)의 양 단부 또는 제 1 지지부(14)에서 극돌기(110, 110')에 밀착되도록 그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결합돌출부(1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오목부(13)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부(14)는 서로 인접한 극돌기(110, 110') 각각의 돌출되는 길이에 따라, 그 길이가 서로 같거나 다르도록 구성된다.
제 1 체결부(20, 20')는 한 쌍의 제 1 지지부(14)의 외측, 즉, 제 1 지지부(14)의 길이방향 일측방에서 상하로 인접한 극돌기(110, 110')의 일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극돌기(110, 110')의 일측에 각각 밀착된다. 그리고 제 1 체결부(20, 20')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고정볼트(50)가 관통되도록 제 1 체결공(24)이 형성된다.
제 2 보형부재(30)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보형부재(10)의 내측에 슬라이딩되면서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제 2 본체(32)와, 제 2 체결부(40, 40')를 포함한다. 제 2 본체(32)는 제 1 본체(12)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 오목부(33)와, 제 2 오목부(33)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 1 지지부(14)의 내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부(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본체(32)의 폭은 제 1 본체(12)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제 2 본체(32)가 제 1 본체(12) 내면에 슬라이딩 삽입될 때, 제 1 본체(12)의 내면에 밀착되지 않는 외측 외주연을 따라, 단차 형상의 스토퍼(37)가 돌출 형성되어, 제 2 본체(32)가 제 1 본체(12)에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2 오목부(33)의 양 단부 외면에서 상기 제 1 오목부(13)의 내면에 밀착되지 않는 위치 또는 제 2 지지부(34)의 외면에서 상기 제 1 지지부(14)의 내면에 밀착되지 않는 위치 즉, 제 2 본체(32)에서 제 1 본체(12)에 삽입되지 않는 스토퍼(37)의 외주연에는 하나 이상의 제 2 결합돌출부(36)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결합돌출부(36)는 상기 제 1 결합돌출부(16)와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결합돌출부(16) 및 제 2 결합돌출부(36)는 극돌기(110, 110')의 돌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그 단부는 날카롭게 형성되어, 제 1, 2 보형부재(10, 30)가 극돌기(110, 110') 사이에 배치될 때, 제 1, 2 결합돌출부(16, 36)가 극돌기(110, 110')에 박혀서, 제 1, 2 보형부재(10, 3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 1 보형부재(10)와 제 2 보형부재(30)가 극돌기(110, 110') 사이에 배치될 때, 한 쌍의 제 2 지지부(34) 사이의 공간에 극돌기(110, 110') 부근에 있는 인대, 근육 등이 위치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임플란트를 극돌기에 시술할 때, 극돌기 사이의 인대, 근육 등을 제거해준 후, 종래 임플란트를 극돌기에 삽입하였는데, 본 발명은 제 1, 2 보형부재(10, 30)가 극돌기(110, 110') 주변의 인대, 근육 등 피해 상호 끼움 결합됨과 동시에, 제 1, 2 보형부재(10, 30)가 제 1, 2 오목부(13, 33)에 의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제 1, 2 보형부재(10, 30)의 제 1, 2 지지부(14, 34)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에 극돌기(110, 110') 주변에 있는 인대, 근육 등이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극돌기(110, 110') 주변의 인대, 근육 등을 제거할 필요 없이, 극돌기(110, 110')를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수술 및 회복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제 2 체결부(40, 40')는 한 쌍의 제 2 지지부(34)의 외측 즉, 제 2 지지부(34)의 길이방향 일측방에서 상하로 인접한 극돌기(110, 110')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극돌기(110, 110')의 타측에 각각 밀착된다. 그리고 제 2 체결부(40, 40')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고정볼트(50)가 관통되도록 제 2 체결공(4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체결부(20, 20')와 제 2 체결부(40, 40')가 극돌기(110, 110')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밀착되기 위하여, 제 1 체결부(20, 20')와 제 2 체결부(40, 40')의 마주보는 내측에는 극돌기(110, 110') 방향으로 제 1 체결돌출부(22)와 제 2 체결돌출부(42)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보형부재(10)와 제 2 보형부재(30)가 상호 끼움 결합될 때, 이들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보형부재(10)와 제 2 보형부재(30)에 결합홀(15)과 결합돌기(35)가 각각 형성되며, 이는 하기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홀(15)은 제 1 지지부(14)에 형성되고, 결합돌기(35)는 제 2 지지부(34)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결합돌기(35)가 제 1 지지부(14)에 형성되고, 결합홀(15)이 제 2 지지부(34)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극돌기(110, 110')에 배치된 제 1, 2 보형부재(10, 30)를 극돌기(110, 11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정볼트(50)와 너트(52)로 구성되어, 고정볼트(50)가 제 1 체결부(20, 20')의 제 1 체결공(24), 극돌기(110, 110') 및 제 2 체결부(40, 40')의 제 2 체결공(44)을 일체로 관통하고, 이렇게 관통된 고정볼트(50)의 단부에 너트(52)가 체결되어, 제 1, 2 보형부재(10, 30)가 극돌기(110, 1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의 제 1 보형부재와 제 2 보형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보형부재(10)와 제 2 보형부재(30)는 결합홀(15)과 결합돌기(35)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홀(15)은 제 1 보형부재(10)의 제 1 지지부(14)에 형성되며, 결합홀(15)에서 제 1 지지부(14)의 내측방향 즉, 제 2 보형부재(30)와 마주보는 방향을 따라 절개부(15a)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지지부(14)에서 절개부(15a)를 기준으로 하여, 그 일측에는 제 1 결합안내부(15b)가, 그 타측에는 제 2 결합안내부(15c)가 각각 구비되며, 제 1 결합안내부(15b)와 제 2 결합안내부(15c)는 절개부(15a)의 폭만큼 상호 이격된다.
여기서 제 1 결합안내부(15b)와 제 2 결합안내부(15c)의 이격 거리는 평상시, 결합돌기(35)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되며, 제 1 본체(12)와 제 2 본체(32)가 상호 결합될 때, 결합돌기(35)가 제 1 결합안내부(15b)와 제 2 결합안내부(15c)의 이격 거리를 결합돌기(35)의 폭만큼 억지로 벌린 후, 그 사이로 지나가 결합홀(15)에 위치된다. 그리고 결합돌기(35)가 결합홀(15)에 위치되면, 제 1 결합안내부(15b)와 제 2 결합안내부(15c)는 다시 원위치로 되돌아가, 결합돌기(35)가 결합홀(15)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 1 보형부재(10)와 제 2 보형부재(30)가 결합될 때, 제 2 본체(32)의 제 2 오목부(33)와 제 2 지지부(34)의 내측에는 그 단부로 갈수록 경사지는 경사부(34a)를 구비하여, 제 2 본체(32)의 경사부(34a)가 제 1 본체(12)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용이하게 삽입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 1 보형부재(10)와 제 2 보형부재(30)가 결합될 때, 경사부(34a)에 의하여 제 2 보형부재(30)의 제 2 지지부(34)가 제 1 보형부재(10)의 제 1 지지부(14) 내측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된 후, 제 1 보형부재(10)의 결합홀(15)에 제 2 보형부재(30)의 결합돌기(35)가 끼움 결합되어, 복잡한 시술 환경하에서, 제 1 보형부재(10)와 제 2 보형부재(30)를 쉽고 견고하게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가 척추의 극돌기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가 척추의 극돌기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는 상하로 인접한 척추(100)의 극돌기(110, 110') 사이에 배치되는데, 상기 극돌기(110, 110')는 직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서로 마주보는 하측 단부(115: 도 4 도시)와 상측 단부(116: 도 4 도시)로 갈수록, 그리고 외측 단부(117: 도 5 도시)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극돌기(110, 110')의 일측과 타측에 밀착되는 제 1 체결부(20, 20')와 제 2 체결부(40, 40') 또한, 그 단부가 극돌기(110, 1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밀착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 1 체결부(20)와 제 2 체결부(4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되, 그 상측으로 갈수록 이격거리가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 1 체결부(20')와 제 2 체결부(4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되, 그 하측으로 갈수록 이격거리가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 1 체결부(20)와 제 2 체결부(40)는 그 일측에서 타측방향, 즉 극돌기(110, 110')의 외측 단부(117) 방향으로 갈수록 이격 거리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처럼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체결부(20, 20')와 제 2 체결부(40, 40')는 하측 단부(114), 상측 단부(116) 및 외측 단부(117)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극돌기(110, 110')에 딱 맞도록 밀착되며, 따라서, 시술 과정에서, 제 1 체결부(20, 20')와 제 2 체결부(40, 40')의 각도에 따라, 극돌기(110, 110')를 별도로 경사지게 깎아내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종래에는 제 1 체결부와 제 2 체결부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바, 극돌기를 제 1, 2 체결부의 각도에 맞도록 깎아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제 1, 2 본체(12, 3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2 체결부(20, 40) 간의 이격거리 및 경사지는 각도와, 제 1, 2 본체(12, 3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1, 2 체결부(20', 40') 간의 이격거리 및 경사지는 각도는 극돌기(110, 110')의 형상에 따라 같거나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가 척추에 시술되는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가 척추의 극돌기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가 척추의 극돌기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보형부재(10)가 척추(100)의 서로 인접한 극돌기(110, 110')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보형부재(10)의 제 1 본체(12)가 극돌기(110, 110') 사이에 삽입 위치되고, 제 1 본체(12)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된 제 1 체결부(20, 20')가 극돌기(110, 110')의 일측에 밀착된다. 이때, 제 1 보형부재(10)는 척추(100)의 극돌기(110, 110') 주변 인대, 근육 등을 피해 극돌기(110, 110')의 일측에 배치된다.
이어서, 제 2 보형부재(30)가 척추(100)의 극돌기(110, 110') 주변 인대를 피해 극돌기(110, 110')의 타측에 배치된 후, 제 1 보형부재(10)의 제 1 본체(12)에 제 2 보형부재(30)의 제 2 본체(32)가 끼움 결합되면서, 제 2 본체(32)가 제 1 본체(12)의 내측에 밀착된다. 이때, 제 1 본체(12)의 결합홀(15)에 제 2 본체(32)의 결합돌기(35)가 억지 끼움 결합되어, 제 1 보형부재(10)와 제 2 보형부재(3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 2 본체(32)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된 제 2 체결부(40, 40')는 극돌기(110, 110')의 타측에 밀착된다. 이때, 제 1 체결부(20, 20')와 제 2 체결부(40, 40')의 내측에는 극돌기(110, 110') 방향으로 제 1, 2 체결돌출부(22, 42)가 형성되어, 제 1 체결부(20, 20')와 제 2 체결부(40, 40')가 극돌기(110, 110')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밀착된다.
그 후, 고정볼트(50)가 제 1 체결부(20, 20'), 극돌기(110, 110') 및 제 2 체결부(40, 40')에 일체로 관통되고, 이렇게 관통된 고정볼트(50)의 단부에 너트(52)가 체결되어, 제 1, 2 보형부재(10, 30)가 극돌기(110, 110')에 고정된다. 이렇게 척추(100)의 극돌기(110, 110')에 고정된 본 발명의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는 시간이 지나면서 골융합되어 상하로 인접한 극돌기(110, 1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제 1 보형부재 12: 제 1 본체
13: 제 1 오목부 14: 제 1 지지부
15: 결합홀 15a: 절개부
15b: 제 1 결합안내부 15c: 제 2 결합안내부
16: 제 1 결합돌출부 20, 20': 제 1 체결부
22: 제 1 체결돌출부 24: 제 1 체결공
30: 제 2 보형부재 32: 제 2 본체
33: 제 2 오목부 34: 제 2 지지부
34a: 경사부 35: 결합돌기
36: 제 2 결합돌출부 37: 스토퍼
40, 40': 제 2 체결부 42: 제 2 체결돌출부
44: 제 2 체결공 50: 고정볼트
52: 너트

Claims (10)

  1. 상하로 인접한 척추의 극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외측 상부와 하부에서 극돌기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 1 보형부재; 및
    상기 제 1 본체와 결합되는 제 2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외측 상부와 하부에서 극돌기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 2 보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본체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에서 극돌기의 일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본체는 상기 제 1 지지부의 일면을 마주보며 위치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체결부는 상기 제 2 지지부에서 극돌기의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2. 상하로 인접한 척추의 극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외측 상부와 하부에서 극돌기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 1 보형부재; 및
    상기 제 1 본체와 결합되는 제 2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외측 상부와 하부에서 극돌기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체결부를 구비하는 제 2 보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결부 또는 상기 제 2 체결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되, 그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이격 거리가 좁아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는 그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도록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 중 어느 한 지지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 지지부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지지부가 상기 제 1 지지부 내면에 위치될 때,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 중 상기 결합홀이 형성된 지지부의 내측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하여 그 일측과 타측에 제 1 결합안내부와 제 2 결합안내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 1 결합안내부와 상기 제 2 결합안내부 사이를 지나 상기 결합홀에 삽입될 때, 상기 제 1 결합안내부와 상기 제 2 결합안내부의 이격거리가 상기 결합돌기의 가압에 의하여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 또는 상기 제 2 체결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 또는 상기 제 2 체결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되, 그 단부측으로 갈수록 이격 거리가 벌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의 외면에 하나 이상의 제 1 결합돌출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제 2 본체의 외면에 하나 이상의 제 2 결합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 또는 상기 제 2 체결부의 단부측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KR1020120024244A 2012-03-09 2012-03-09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KR101342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244A KR101342571B1 (ko) 2012-03-09 2012-03-09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244A KR101342571B1 (ko) 2012-03-09 2012-03-09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987A KR20130102987A (ko) 2013-09-23
KR101342571B1 true KR101342571B1 (ko) 2013-12-17

Family

ID=4945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244A KR101342571B1 (ko) 2012-03-09 2012-03-09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446B1 (ko) * 2014-10-20 2016-08-10 주식회사 메드릭스 극돌기간 융합형 임플란트
KR101647450B1 (ko) 2014-10-20 2016-08-10 주식회사 메드릭스 극돌기간 다이나믹 임플란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227B1 (ko) * 2004-06-17 2005-06-14 (주)태연메디칼 척추 간격 유지기
JP2007275685A (ja) 1997-01-02 2007-10-25 Saint Francis Medical Technologies Inc 背骨用伸延インプラント及び方法
KR100850323B1 (ko) * 2005-12-27 2008-08-18 주식회사 엔에이치에스 척추간 삽입체
KR101030462B1 (ko) * 2011-01-11 2011-04-25 (주)비엠코리아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5685A (ja) 1997-01-02 2007-10-25 Saint Francis Medical Technologies Inc 背骨用伸延インプラント及び方法
KR100495227B1 (ko) * 2004-06-17 2005-06-14 (주)태연메디칼 척추 간격 유지기
KR100850323B1 (ko) * 2005-12-27 2008-08-18 주식회사 엔에이치에스 척추간 삽입체
KR101030462B1 (ko) * 2011-01-11 2011-04-25 (주)비엠코리아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987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3736B2 (ja) 拡張式インプラント
CN103096820B (zh) 用于脊柱锚定件的延伸件
US9668783B2 (en) Device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pondylotic disease
US8968365B2 (en) Interspinous spacer
US8118840B2 (en) Vertebral rod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20100286782A1 (en) Expandable bone implant
US20100249842A1 (en) Spinous process cross-link
KR20100100764A (ko) 변형되고 불안정한 척주를 선택적으로 안정화시키고 교정시키기 위한, 유연하며 슬라이딩 가능한 동적 임플란트 시스템
JP2011143253A (ja) 棘突起間の動的デバイス
JP6760953B2 (ja) 椎弓形成術用スペーサ
KR100850323B1 (ko) 척추간 삽입체
US20170333193A1 (en) Ligament reconstruction type artificial knee joint
KR101342571B1 (ko)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Cotrel et al. A new technic for segmental spinal osteosynthesis using the posterior approach
EP3226789B1 (en) Bone implant having tether band
KR20120093841A (ko) 무부하-역학적 추간 장치
US9820863B2 (en) Intervertebral support
US20160022324A1 (en) Interspinous fusion implant
KR101121667B1 (ko)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US20110054533A1 (en) Spinous fusion device
KR101365843B1 (ko) 경추 추간공 확장기
KR101240378B1 (ko) 추체간 골유합술용 메쉬 임플란트의 가이드 장치
KR101397441B1 (ko) 극돌기 안정화 장치
US202002817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al facet fusion
CN108720912B (zh) 一种脊柱经关节螺钉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