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548A -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 - Google Patents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548A
KR20070068548A KR1020050130247A KR20050130247A KR20070068548A KR 20070068548 A KR20070068548 A KR 20070068548A KR 1020050130247 A KR1020050130247 A KR 1020050130247A KR 20050130247 A KR20050130247 A KR 20050130247A KR 20070068548 A KR20070068548 A KR 20070068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rolled
stainless steel
filler wire
laser welding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130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8548A/ko
Publication of KR20070068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4Automatically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e.g. using the back-scattered light
    • B23K26/044Seam tr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 B23K2103/05Stainless ste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의 레이저 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의 레이저 용접방법은 308L 필러 와이어를 사용하고, 레이저 출력을 5.0 kW로 고정하며, 이음부의 갭을 0.1 mm로 형성하며, 용접 속도를 1.6 ~ 2.4 m/min로 형성하며, 상기 필러 와이어의 공급속도를 1.0 ~ 3.0 m/min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의 레이저 용접방법은 309L 필러 와이어를 사용하고, 레이저 출력을 5.0 kW로 고정하며, 이음부의 갭을 0.1 ~ 0.3 mm로 형성하며, 용접 속도를 1.1 ~ 2.0 m/min로 형성하며, 상기 필러 와이어의 공급속도를 4.0 mpm로 형성한다.
레이저, 용접, 스테인리스, 열연코일, 필러와이어

Description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 {LASER WELDING METHOD FOR HOT ROLLED STAINLESS STEEL COIL}
도 1은 필러 와이어의 종류에 따른 STS 304 용접부의 인장강도 및 인장강도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필러 와이어의 종류에 따른 STS 436L 용접부의 에릭슨값의 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2개를 용접하여 2배의 단중을 갖는 합본코일을 형성하는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테인리스강 소재와 관련하여 생산성 및 실수율 향상에 의한 원가 저감을 통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그 일환으로서, 대부분의 스테인리스강 제조업체는 별도의 열연 및 냉연 라인을 통합 및 일체화하는 공정개발을 진행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다. 2배 단중의 열연재 합본코일을 제작하여 직접 냉간 압연하는 공정기술 개발도 그 일례라고 할 수 있다.
즉, 냉간 압연기의 특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2개 코일을 용접하여 하나의 코일로 만든 합본코일(Double coil, 단본코일 단중의 2배)은 단본코일(Single coil)에 비해 냉간 압연시 코일의 선, 후단부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미압연부를 50% 감소시키고, 또한 코일의 교체, 이송시간 절약 등 실수율과 생산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합본코일을 냉간 압연하는 경우, 합본코일 용접부의 압연품질 확보 여부가 중요한 관건이 된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강 합본코일의 소둔 및 산세 공정에서, 합본코일의 용접부에 요구되는 품질은 소둔 및 산세 공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정도의 기계적 성질이면 충분하고, 또 산세 후에는 용접부를 제거하기 때문에 미그(MIG) 용접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본코일을 직접 냉간압연하는 경우에는 미그 용접부가 실질적인 장애가 된다. 즉, 미그 용접부는 비드(Bead) 높이 및 폭 등이 크기 때문에 열연코일을 용접한 후에는 냉연 롤 마크 결함 방지의 측면에서 비드 연마공정이 필수적이다. 또한,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도 모재보다 낮기 때문에 냉간압연 중 판파단이 발생할 가능성도 매우 높다. 따라서 열연재 합본코일의 용접부 압연 품질을 확보하는데는 미그 용접방법보다 용접부의 품질 제어가 상대적으로 유리한 CO2 레이저 용접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이저 용접방법은 미그 용접방법과 달리 106 W 이상의 고밀도 열원을 이용한 키홀(Key hole) 용접으로서, 열전도형의 아크 용접부에 비해 비드가 좁고, 용입이 깊은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냉간압연시 롤 마크 결함 발생 측면뿐만 아니라 적정 용접조건에 따라 비드 연마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측면에서 레이저 용접방법이 미그 용접방법보다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그런데, 스테인리스강은 종류 즉, 오스테나이트계 또는 페라이트계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용접부의 압연 품질을 확보하는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먼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대표적 강종인 18Cr-8Ni의 STS 304 경우, 냉간압연량이 증가할수록, 가공경화로 인하여 강도가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레이저 용접부 압연 후 강도가 모재의 어느 수준까지 만족시킬 수 있는가가 합본코일 레이저 용접부의 품질 확보 여부를 판단하는 전제조건이 된다.
일례로, 소둔 처리된 STS 304 열연코일 모재의 인장강도는 약 65 kg/mm2 지만, 80% 냉간압연한 다음에는 가공경화 현상으로 인하여 약 170 kg/mm2 로 2.5배 이상 증가한다. 이에 반해, 레이저 용접부의 인장강도는 열연 소둔 처리 후에는 모재와 동등한 수준의 인장강도를 보이지만 80% 냉간압연 후에는 130 kg/mm2 (모재의 76 % 수준)로서, 모재에 비해 40 kg/mm2 정도 낮아 용접부에서 우선적으로 판파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모재와 레이저 용접부 간의 인장강도 차이로 인한 판파단 방지를 위해 STS 304 합본코일의 냉간압하율을 최대 70% 로 제한해야 하고, 또 용접부에 대한 냉간압연 속도를 모재의 1/10 수준으로 감소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오히려 생산성 저하 현상도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체심입방격자 구조(BCC: Body Centered Cubic)의 페라이트계는 면심입방격자 구조(FCC: Face Centered Cubic)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비해 가공경화능이 낮지만, 압연후 용접부 강도를 확보하는데는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BCC 금속에서 나타나는 고유 현상으로써, 용접부 연성 또는 인성 저하가 문제가 된다.
즉, 436L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경우, 80%의 냉간 압연조건에서 용접부는 모재 대비 인장강도가 20 kg/mm2 이상으로 냉간압연 도중 강도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연성을 대표하는 에릭슨 값은 용접부가 모재의 70% 이하로서 냉간압연 도중 용접부에서 판파단이 우선적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요컨대, 레이저 용접부의 압연품질은 오스테나이트계는 용접부 강도, 페라이트계는 연성이 중요한 특성이라고 할 수 있으나, 종래 레이저 용접방법으로 코일을 용접하는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강도 및 연성 측면에서 용접부의 압연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스테나이트계와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열연코일을 레이저 용접함에 있어서, 냉간압연 후에도 용접부의 압연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레이저 출력(kW), 용접속 도(m/min), 갭(mm), 필러 와이어 공급속도(m/min), 필러 와이어 종류 등 최적의 용접조건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의 레이저 용접방법은 308L 필러 와이어를 사용하고, 레이저 출력을 5.0 kW로 고정하며, 이음부의 갭을 0.1 mm로 형성하며, 용접 속도를 1.6 ~ 2.4 m/min로 형성하며, 상기 필러 와이어의 공급속도를 1.0 ~ 3.0 m/min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열연코일로는 STS 304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열연코일의 용접부는 중량%로 Cr: 18.0~20.0, Ni: 8.0~8.2,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원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의 레이저 용접방법은 309L 필러 와이어를 사용하고, 레이저 출력을 5.0 kW로 고정하며, 이음부의 갭을 0.1 ~ 0.3 mm로 형성하며, 용접 속도를 1.1 ~ 2.0 m/min로 형성하며, 상기 필러 와이어의 공급속도를 4.0 mpm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페라이트계 열연코일로는 STS 436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라이트계 열연코일의 용접부는 중량%로 Cr: 17.0~19.0, Ni: 3.0~4.0,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원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는 STS 304가 적용되었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는 STS 436L이 적용되었다. 다만, 각 스테인리스강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STS 304와 관련하여 용접의 최적조건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용접조건은 STS 304의 용접부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한 것이다.
통상의 조건으로 소둔 및 산세처리한 후, 냉간압연하는 도중에 코일 용접부가 파단되지 않고 압하율 80% 까지 압연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용접부는 모재의 인장강도에 대한 용접부의 인장강도가 85% 이상을 만족하고, 중량%로 Cr: 18.0~20.0, Ni: 8.0~8.2,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원소로 이루어진다.
STS 304 스테인리스강 레이저 용접금속의 화학조성을 상기와 같이 제한하는 이유는 가공경화 특성이 STS 304 모재와 동등하거나, 적어도 유사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즉 STS 304는 오스테나이트 상의 안정도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냉간압연과 같은 가혹한 가공조건에서는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가 많이 생성하여 강도가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용접금속의 경우도 모재와 동등 수준의 인장강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냉간압연 도중이나 후에도 모재와 유사한 수준의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 량을 확보해야 하며, 이것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연 합본코일의 용접부 냉간압연 품질을 확보하는 핵심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오스테나이트 상의 안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는 Md30, MS, Ni 당량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공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Md30 식(30% 가공조건에서 50%의 마르텐사이트가 생성하는 온도를 측정하여 얻은 실험식, 단위는 ℃)을 많이 사용한다.
Md30 (℃) = 551 - 462(%C+%N) - 9.2(%Si) - 8.1(%Mn) - 13.7(%Cr)
- 29(%Ni+%Cu) - 18.5(%Mo) - 68(%Nb) - 1.42(n - 8), (n : Grain size No.)
스테인리스강 레이저 용접방법에 있어서 용접금속의 품질은 크게 5개의 인자, 즉 레이저 출력(kW), 용접속도(m/min), 맞대기 이음부의 갭(mm), 필러 와이어 공급속도(m/min) 및 필러 와이어의 종류 등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먼저, 용접인자 중, 필러 와이어의 조건은 맞대기 이음부의 갭과 단면형상 불균일에 따라 비드 표면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용착량 부족을 보상함으로써, 용접부 품질에 치명적인 언더 컷(Undercut) 결함을 방지하는 것과 용접금속의 화학성분을 제어하여 기계적 성질을 개선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용접금속의 화학조성 제어를 통한 레이저 용접부의 성능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필러 와이어(Filler wire)에 의한 용접금속의 품질확보 여부는 필러 와이어의 화학조성, 희석량 등의 적정화를 의미하므로, 실제 활용 가능한 최적조건을 도출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필러 와이어의 종류와 공급속도를 활용하고자 한다.
아래 표 1은 STS 304 및 시판의 필러 와이어 308L, 309L 및 Inconel 625 wire 에 대한 GMAW(Gas metal Arc Welding) 전용착시험 후, 화학조성을 분석한 결과를 함께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5076524711-PAT00001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STS 304 및 각 시판 필러 와이어의 Md30 (℃)는 STS 304가 6.1℃, 308L이 -48℃, 309L은 -202℃로서, STS 304 모재의 압연에 의한 가공경화가 상대적으로 가장 현저함을 알 수 있다.
또 Cr, Ni 함량으로 구분할 수 있는 308L과 309L은 Cr과 Ni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309L이 308L에 비해 Md30가 150℃ 정도 낮기 때문에 가공경화에 의한 인장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Ni계의 Inconel 625는 화학조성을 Md30식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으나, Inco Alloys Doc. No. IAI-21(1987) 에 의하면, 40% 이상의 냉간 압연조건에서는 오히려 Inconel 625가 STS 304 인장강도를 상회한다는 결과도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STS 304 와의 적합성을 함께 검토했다.
도 1은 필러 와이어의 종류에 따른 STS 304 용접부의 인장강도 및 인장강도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두께 3.0mm의 STS 304열연재를 레이저 용접(입열량 : 1.1~1.5 kJ/cm)과 소둔 및 산세처리를 실시한 후, 90% 조건으로 냉간 압연한 다음 인장시험한 결과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각 필러 와이어의 인장강도(TS of Welded joint)는 Inconel 625(100 kg/mm2), 309L(140 kg/mm2) 및 308L (160 kg/mm2) 순으로 증가했고, 모재와의 인장강도 비(TS of Weld/BM ratio)도 308L이 약 95% 로서, 309L 및 Inconel 625의 78% 및 56% 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308L과 309L의 인장강도 차이는 화학조성에 따른 Md30 온도 변화로 설명이 가능하다. 그러나 Inconel 625 wire의 용접부 인장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STS 304와의 희석에 의해 용접금속의 Ni 함량이 30% 미만으로서, Wire 자체의 Ni함량 약 62%에도 크게 미달함으로써, 냉간압연 중 가공경화에 의한 가공유기 마르텐사이트 량이 충분하게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TS 304 합본코일의 레이저 용접부를 80% 이상 냉간압연하기 위해서는 모재와 유사한 수준의 용접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308L 필러 와이어로 선정하는 것이 가장 유효함을 알 수 있다.
다음은 레이저 용접조건 중 용접속도, 308L 필러 와이어 공급속도 및 이음부의 갭에 대한 최적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 표 2는 레이저 용접기 출력 5.0 kW로 고정시킨 다음, 용접속도를 1.6, 2.0, 2.4 m/min 범위의 3조건, 필러 와이어의 공급속도를 1.0, 3.0 m/min의 2조건, 갭을 0.1, 0.3 mm의 2조건으로 각각 변화시켰을 때, 용접부 강도특성과 용접결함 발생 여부를 정리한 것이다.
Figure 112005076524711-PAT00002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갭 0.3mm 조건에서는 언더 컷 등 용접결함(표 2에서 □로 표시)이 많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음부의 갭은 용접결함 방지 측면에서 0.1 mm로 고정시켰다.
그리고, 308L 필러 와이어와 갭 0.1mm 조건에서, 용접속도가 1.6 ~ 2.4 m/min, 필러 와이어의 공급속도가 1.0 ~ 3.0 m/min인 경우, 80% 냉간 압하율에서도 용접부가 모재 인장강도의 85% 수준(최소 164 kg/㎟)을 만족시킨다.
한편, 모재 인장강도의 85% 이상을 만족시키는 레이저 용접금속의 화학조성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정량분석을 실시했다.
표 4는 STS 304 레이저 금속의 화학조성에 미치는 필러 와이어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5076524711-PAT00003
표 3을 참고하면, 308L 필러 와이어의 경우, Ni은 8.1~8.7 % 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것을 용접부 인장강도와 비교해 보면, 용접금속의 Ni 함량이 8.0~8.2%(중량)인 경우가 용접부/모재 인장강도 비가 85% 이상으로 우수했다. (갭이 0.1 mm인 경우) 이때, Cr 함량은 18.0~20.0%(중량) 범위 내에 형성되었다.
따라서, 최적의 용접조건으로 용접하는 경우, 용접부/모재 인장강도 비는 0.85이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때의 용접금속 Ni 함량은 8.0~8.2% 범위라 할 수 있다. 한편 308L에 비해 인장강도가 낮았던 309L의 Ni 함량은 9.0%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STS 436L과 관련하여 용접의 최적조건에 대해서 살펴본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436L 열연재 합본코일 용접부는 80% 냉간 압연 후, 코일 용접부 연성이 모재 대비 0.90 이상(에릭슨 값 기준) 확보하고, 용접금속의 화학조성이 중량%로 Cr: 17.0~19.0, Ni: 3.0~4.0,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원소로 이루어지도록 용접조건이 설정된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용접속도, 이음부의 갭, 필러 와이어의 조건(종류 및 속도)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앞서 설명한 STS 304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과 달리 코일용접부 압연 품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용접부 각 부위, 즉 모재, 열영향부 및 용접금속 각각의 강도 편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용접부 부위별 강도 편차가 큰 경우, 저강도 부위에서 우선적으로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파단도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간 압연에 의한 가공경화성이 STS 304보다 현저히 적은 STS 436L은 용접금속에서 발생하는 가공경화 정도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화학조성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필러 와이어의 종류에 따른 STS 436L 용접부의 에릭슨값의 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3종의 시판 필러 와이어를 사용하였을 때, STS 436L 레이저 용접부 연성을 용접부/모재 에릭슨 값의 비로 평가한 결과이다. 에릭슨 값 비는 두께 3.5mm의 STS 436L 열연코일을 레이저 용접, 소둔 및 산세를 실시한 후 90% 냉간 압연한 다음,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각 필러 와이어에 따른 용접부/모재 에릭슨 값 비는 308L이 0.42, 309L은 0.93, Inconel 625는 0.68로서, 용접부 연성은 309L > Inconel 625 > 308L 순으로 우수했다. 이것은 표 1에 나타낸 각 필러 와이어의 Md30(℃)로 설명 가능하다. 즉, Md30(℃)가 308L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309L 필러 와이어가 STS 436L 용접부 연성을 확보하는데 효과적이다.
아래 표 4는 STS 436L 레이저 용접금속의 화학조성에 미치는 필러 와이어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이다.
Figure 112005076524711-PAT00004
표 4를 참고하면, 용접조건에 따라 Ni 함량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용접금속의 Ni 함량이 3~4 %(중량) 조건이 용접부 연성이 가장 우수하다. 이때 용접금속의 Cr량은 17~19%(중량) 범위 내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접금속의 Ni 함량은 3.1~3.7 %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음부의 갭은 0.1 ~ 0.3 mm이고, 용접 속도는 1.1 ~ 2.0 m/min이며, 상기 필러 와이어의 공급속도는 2.0~4.0 mpm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Inconel 625 필러 와이어의 경우는 다른 필러 와이어에 비해 Ni 함량이 높았으나, STS 436L 대비 용접부 강도 편차가 크기 때문에 용접부 에릭슨 값이 상대적으로 저하한 것으로 추정된다.
표 5는 STS 436L 레이저 용접금속의 화학조성을 상기와 같이 제어하고, 또 레이저 용접결함, 즉 균열, 언더 컷, 미용입 및 여성과다에 의한 오버 랩 등이 발생하지 않는 레이저 용접조건을 정리한 것이다.
Figure 112005076524711-PAT00005
상기 표 5를 참고하면, 필러 와이어 속도 4.0 mpm 조건에서 용접속도는 1.1 ~ 2.0 m/min이고, 갭은 0.1 ~ 0.3 mm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용접조건에서는 90% 까지 냉간압연하더라도 판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충분한 용접부 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은 오스테나이트계 및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종류에 따라 레이저의 용접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합본코일의 냉간압연 후에도 용접부의 압연품질 확보할 수 있다.

Claims (6)

  1.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의 레이저 용접방법에 있어서,
    308L 필러 와이어를 사용하고, 레이저 출력을 5.0 kW로 고정하며, 이음부의 갭을 0.1 mm로 형성하며, 용접 속도를 1.6 ~ 2.4 m/min로 형성하며, 상기 필러 와이어의 공급속도를 1.0 ~ 3.0 m/min로 형성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코일은 STS 304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코일의 용접부가 중량%로 Cr: 18.0~20.0, Ni: 8.0~8.2,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원소로 이루어지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
  4.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의 레이저 용접방법에 있어서,
    309L 필러 와이어를 사용하고, 레이저 출력을 5.0 kW로 고정하며, 이음부의 갭을 0.1 ~ 0.3 mm로 형성하며, 용접 속도를 1.1 ~ 2.0 m/min로 형성하며, 상기 필 러 와이어의 공급속도를 4.0 mpm로 형성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코일은 STS 436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코일의 용접부가 중량%로 Cr: 17.0~19.0, Ni: 3.0~4.0,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원소로 이루어지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
KR1020050130247A 2005-12-27 2005-12-27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 KR20070068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247A KR20070068548A (ko) 2005-12-27 2005-12-27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247A KR20070068548A (ko) 2005-12-27 2005-12-27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548A true KR20070068548A (ko) 2007-07-02

Family

ID=3850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247A KR20070068548A (ko) 2005-12-27 2005-12-27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85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9784A1 (de) 2007-07-09 2009-02-05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inkristalline Metallnanostrukturen aus Binärlegier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1230137B1 (ko) * 2010-12-28 2013-02-05 주식회사 포스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9784A1 (de) 2007-07-09 2009-02-05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inkristalline Metallnanostrukturen aus Binärlegier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1230137B1 (ko) * 2010-12-28 2013-02-05 주식회사 포스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3740B1 (en) Automobile member having resistance weld
JP5050863B2 (ja) 温水器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US11572603B2 (en) Hot-rolled steel strip and manufacturing method
EP1693143A1 (en) Weld metal of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SR cracking resistance used for high-strength Cr-Mo steel
JP5509923B2 (ja) レーザ溶接用またはレーザ・アークハイブリッド溶接用の引張強さが1100MPa以上の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US7597841B2 (en) Weld metal excellent in toughness and SR cracking resistance
EP3521458A1 (en) Steel parts,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steel sheet for steel parts
EP3590644B1 (en) Fillet welded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EP3812082A1 (en) Steel plate, tailored blank, hot press-formed product, steel pipe, hollow quenched formed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plate
US20210222804A1 (en) Steel sheet, tailored blank, hot stamped product, steel pipe, hollow hot stamped product, method of manufacturing steel sheet, method of manufacturing tailored blank, method of manufacturing hot stamped product, method of manufacturing steel pi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llow hot stamped product
JP7024798B2 (ja) 鋼板、テーラードブランク、熱間プレス成形品、鋼管、中空状焼入れ成形品、鋼板の製造方法、テーラードブランクの製造方法、熱間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鋼管の製造方法、および中空状焼入れ成形品の製造方法
CN112512742A (zh) 实心焊丝以及焊接接头的制造方法
KR20070068548A (ko)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 레이저 용접방법
JP5042744B2 (ja) 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方法
JP4193308B2 (ja) 耐硫化物応力割れ性に優れた低炭素フェライト−マルテンサイト二相ステンレス溶接鋼管
KR101104998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레이저 용접금속과 그용접방법
JP7099330B2 (ja) 鋼板、テーラードブランク、熱間プレス成形品、鋼管状のテーラードブランク、中空状熱間プレス成形品、及び鋼板の製造方法
KR20190005271A (ko)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4566146B2 (ja) 継手靭性に優れた高張力溶接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05076B2 (ja) 低温靭性に優れた溶接金属が得られる電子ビーム溶接方法
KR20190137300A (ko)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4823441B2 (ja) 熱間耐摩耗性および耐熱亀裂性にすぐれた連続鋳造用および熱間圧延用ロール
JP2011153366A (ja) レーザ溶接用またはレーザ・アークハイブリッド溶接用の引張強さが1100MPa以上の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KR20230094822A (ko) 고강도 용접강관의 제조방법
EP1340831A1 (en) Welding steel for enhancing welded joint streng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