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7470A -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 Google Patents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7470A
KR20070067470A KR1020050128796A KR20050128796A KR20070067470A KR 20070067470 A KR20070067470 A KR 20070067470A KR 1020050128796 A KR1020050128796 A KR 1020050128796A KR 20050128796 A KR20050128796 A KR 20050128796A KR 20070067470 A KR20070067470 A KR 20070067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support
fastening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6401B1 (ko
Inventor
한승희
Original Assignee
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희 filed Critical 한승희
Priority to KR102005012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401B1/ko
Publication of KR20070067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F16L27/06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with special sealing means between the engaging su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각도에서 오수가 유입되는 입수라인과의 연결작업이 용이하도록 곡관형성이 자유로우며, 곡관형성에 따른 슬러지가 농축됨이 방지되는 유입라인을 구비하여 오수 유입/배출 및 시공의 용이한 오수받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원통형 또는 사각함체로 이루어진 본체의 일측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라인과 상기 유입라인의 반대측에 배출구를 구비하는 오수받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라인은 내관부가 굴곡이 없는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입수라인과 체결되는 제 1관부와 상기 제 1관부의 끝단에서 일체로 형성된 항아리 형상의 확장관을 구비한 제 1관과; 상기 제 1관부와 상기 확장관이 접하는 내관부에 부착되는 원통형상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지지대 일단이 삽입되는 내주연을 갖는 연결구 일단을 구비하고 타단에 연결구 타단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연결구와; 상기 확장관의 내주연에 삽입되어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외주연이 상기 확장관의 내주연에 밀착되며, 그 일단의 내주연에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자유결합멤버와; 상기 자유결합멤버의 내주연의 체결돌기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체결홈을 외주연에 구비하고, 그 내주연에 상기 연결구 타단이 삽입되는 체결부 일단를 구비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내관부가 굴곡이 없는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와 관통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 2관부를 구비한 제 2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 유입라인, 인입라인, 제 1관, 확장관, 자유결합멤버, 지지대, 연결구, 제 2관,

Description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APPARATUS FOR DRAIN SEWAGE HAVING VARIABLE CONNECTION PIPE USING MULTI JOINT}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오수받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오수받이 장치에 있어 인입라인이 인입구와 자유결합멤버가 결합하여 곡관을 형성한 구성을 나타내는 절취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의 측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구성요소가 체결되어 직선형을 나타내는 절취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구성요소가 체결되어 곡관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있어서 한 실시예로서 지지대와 체결부 사이에 연결구가 두 개 체결되어 곡관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있어서 한 실 시예로서 제 1관부에 소켓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로서 제 1관부에 이중벽관을 일체형으로 구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배출구를 다관절 자유곡관으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관 110 : 제 1관부
120 : 확장관 200 : 지지대
210 : 지지대 일단 220 : 지지대제어턱
300 : 연결구 310 : 연결구 타단
320 : 연결구제어턱 330 : 연결구 일단
400 : 자유결합멤버 410 : 체결돌기
420 : 패킹홈 430 : 제어홈
500 : 제 2관 510 : 체결부
520 : 제 2관부 600 : 패킹
본 발명은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각도에서 오수가 유입되는 입수라인과의 연결작업이 용이하도록 곡관형성이 자유로우며, 곡관형성에 따른 슬러지가 농축됨이 방지되는 유입라인을 구비하여 오수 유입/배출 및 시공의 용이한 오수받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받이 장치는 오수를 받아 일시 저장하면서 이에 포함된 슬러지 성분을 거른 상태에서 배수관을 통해 다시 내보내는 중간 정화조 역할을 행하는 장치이다.
도 1a는 종래의 오수받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원통형 또는 사각함체로 이루어진 본체(10)의 일측 상부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가 형성되어 여기에 유입관(2)이 끼워지고, 본체(10) 내부의 유입구 반대측 하부에는 배출구(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유입관(2)의 단부에는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소정의 유압이 작용하면 개방되는 개폐문(4)이 설치되어 지며, 이러한 개폐문(4)은 상시 폐쇄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이 게재된 힌지에 덮개가 연결되어 구성되어 진다.
또한, 본체(10)의 중간부위에는 착탈식의 경사유도판(5)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경사유도판(5)의 하부측에는 하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로(6)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경사로(6)의 단부에도 역시 유압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문(7)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유입구(1)는 오수가 유입되는 입수라인의 각도에 따라 연결작업을 별도로 시행해야 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유입구(1)에 입수라인을 연결하면 서 설치할 때 이음관을 이용하여 직선형으로 설치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이음관을 이용하여 관 연결각도를 가변시키면서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관을 연결하면서 연결각도를 가변시키고자 할 때에 종래에는 절곡형으로 형성된 엘보우, T보우와 같은 절곡형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관을 연결시켰으나, 이와 같이 절곡형으로 형성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관을 연결시킬 때에 공장제조 된 연결부재의 각도를 시공여건에 부합되도록 용이하게 가변시키면서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연결각도를 가변시키는 작업의 불편함을 감안하여 고안된 종래 기술은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 제495394호(발명의 명칭 : "트랩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복수의 인입구로 입수 받아서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적어도 복수개의 입수라인이 인입구에 결합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입구와 결합되어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유결합멤버는 항아리 형상의 인입구의 내주연에 대응하여 기밀하게 미끄럼접촉 가능한 규격을 갖되 볼록형상으로 팽출된 외주부와 이런 외주부의 안쪽에서 보조입수라인의 삽입 결합을 위해 평활한 내주연을 갖게 형성된 내주부와 상기 보조입수라인의 삽입 거리를 구속하도록 보조입수라인의 두께에 대응한 높이만큼 상기 내주부의 일측 끝단에서 축심방향쪽으로 돌기된 테두리 정지턱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유결합멤버를 회전하여 곡관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정지턱부 등("A"부분)이 인입구의 관로상에 노출됨에 의해 오수 의 이동과정에서 슬러지가 걸러져 축적됨에 따라 악취역류, 위생상 문제 등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오수받이장치에 있어 상기 자유결합멤버의 회전에 의한 곡관 형성시 곡관각도가 완만히 형성될 수 없음에 의해 그 내부로 이동하는 유체에 마찰저항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 외에도 종래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373388호(고안의 명칭 : "가변형 연결구 및 상기 가변형 연결구를 구비한 배관")에 있어서도, 배관 일측에 확대되는 직경을 갖는 연결관을 일체로 연결한 후 그 내측에 통공을 구비한 볼을 회전가능토록 삽입하고, 상기 볼에 다른 하나의 배관을 삽입하여 상기 볼의 회전을 통해 곡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서 상기 구조에 의하여 곡관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볼이 연결관과 일체로 된 배관의 관로상에 노출됨에 따라 오수의 이동과정에서 슬러지가 걸러져 축적되고, 또한, 곡관각도를 완만히 형성할 수 없음에 의해 유체이동에 많은 마찰저항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유입라인을 구성함에 있어 유입라인의 자유회전이 가능하여 어느 각도에서 입수라인이 연장되어 오더라도 입수라인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유입라인의 곡관형성에 따른 접합부에 슬러지가 축적되지 않고, 곡관각도를 완만하게 형성할 수 있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 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은 원통형 또는 사각함체로 이루어진 본체의 일측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라인과 상기 유입라인의 반대측에 배출구를 구비하는 오수받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라인은 내관부가 굴곡이 없는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입수라인과 체결되는 제 1관부와 상기 제 1관부의 끝단에서 일체로 형성된 항아리 형상의 확장관을 구비한 제 1관과; 상기 제 1관부와 상기 확장관이 접하는 내관부에 부착되는 원통형상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지지대 일단이 삽입되는 내주연을 갖는 연결구 일단을 구비하고 타단에 연결구 타단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연결구와; 상기 확장관의 내주연에 삽입되어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외주연이 상기 확장관의 내주연에 밀착되며, 그 일단의 내주연에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자유결합멤버와; 상기 자유결합멤버의 내주연의 체결돌기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체결홈을 외주연에 구비하고, 그 내주연에 상기 연결구 타단이 삽입되는 체결부 일단를 구비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내관부가 굴곡이 없는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와 관통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 2관부를 구비한 제 2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상기 연결구가 하나이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자유결합멤버의 외주연에는 패킹이 삽입되어 상기 제 1관의 확장관과 상기 자유결합멤버가 수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나이상의 패킹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 일단은 상기 연결구 일단의 내주연에 삽입되는 외주연이 평평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구 일단의 내주연에 삽입이 용이하고, 상기 연결구 일단의 내주연에서 전,후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 일단은 상기 지지대 일단이 삽입되는 내주연이 평평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 일단의 삽입이 용이하고, 상기 지지대 일단의 외주연상에서 상기 연결구 일단의 전,후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 일단에 삽입되는 연결구 타단은 그 외주연이 평평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부 일단으로 삽입이 용이하고, 상기 체결부 일단의 내주연상에서 전,후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 일단은 상기 연결구 타단이 삽입되는 내주연이 평평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구 타단의 삽입이 용이하고, 상기 체결부 일단의 내주연 상에서 상기 연결구 타단의 전, 후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에는 지지대제어턱을 구성하고, 상기 자유결합멤버에는 상기 자유결합멤버의 회전에 의해 곡관을 형성할 시에 상기 지지대제어턱에 의해 상 기 자유결합멤버의 회전이 제어될 수 있도록 일단의 밑면 테두리를 권회하며 상기 지지대제어턱에 걸리도록 제어홈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관부는 상기 확장관의 반대쪽 끝단에 관결합이 가능하도록 제 1소켓부 또는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한 제 1이중벽관 중 어느 하나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구성요소가 체결되어 직선형을 나타내는 절취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구성요소가 체결되어 곡관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있어서 한 실시예로서 지지대와 체결부 사이에 연결구가 두 개 체결되어 곡관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있어서 한 실시예로서 제 1관부에 소켓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 취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로서 제 1관부에 이중벽관을 일체형으로 구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취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배출구를 다관절 자유곡관으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 2 내지 6에 있어서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설시한다.
본 발명의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는 크게 오수가 유입되는 입수라인과 체결되는 유입라인과, 상기 유입라인으로부터 유입된 오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며 슬러지 등을 거르는 중간 정화조 역할을 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저장된 오수를 하수 등으로 유출시키는 배출관으로 구성된다.
먼저, 도 2 등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10)는 사각함체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시공여건 등을 고려하여 원형 등 그 내부에 오수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든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10)는 일측에 유입라인(1′)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입라인(1′)의 타측에는 저장된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관(3)이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a에서 도시된 공지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입라인(1′)의 구성요소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 1관(100)은 내관부가 굴곡이 없는 평평한 면으로 구성된 제 1관부(110)와 상기 제 1관부(110)의 끝단에서 일체로 형성된 항아리 형상의 확장관(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관부(110)의 내관부로서 상기 확장관(120)이 시작되는 부위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지지대(200)가 턱없이 연결될 수 있도록 지지대(200)의 두께만큼의 지지홈(130)을 구성한다.
상기 확장관(120)은 항아리 형상으로서 그 내주연을 평평한 면으로 구성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자유결합멤버(400)의 외주연이 밀착하여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확장관(120)의 끝단(121)에는 자유결합멤버(400)의 반대방향으로 구부림처리(121) 하여 곡관형성시 상기 확장관(120)의 끝단이 상기 제 2관부(520)에 압력을 가하여 관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200)는 상기 지지홈(130)에 부착되는데 이 경우 지지대(200)의 외경과 상기 지지홈(130)의 내경을 동일하게 하여 삽입에 의해 부착할 수 있고, 더욱 강결한 부착을 위해 상기 삽입에 더하여 본드부착 등도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200)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130)에 부착된 쪽의 반대쪽 지지대 일단(210)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연결구(300)에 삽입되는 외주연을 일정길이로 평평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구(300)의 내주연에 상기 지지대 일단(210)의 삽입이 용이함은 물론, 이하에서 설명할 자유결합멤버(400)의 회전에 의해 곡관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결구(300)가 상기 지지대 일단(210)상에서 전,후로 이동을 할 것이므로 상기와 같이 지지대 일단(210)의 외주연이 평평한 경사면으로 구성됨에 따라 그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200)에는 지지대제어턱(220)을 구성하여 상기 자유결합멤 버(400)의 회전에 의해 곡관을 형성할 시에 상기 자유결합멤버(400)의 밑단이 걸리게 하여 회전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턱(220)은 원통형의 관에 단을 두어 지름이 다른 두가지 원통형 관이 연결된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단을 제어턱(22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300)는 연결구 일단(330)이 그 내주연에 상기 지지대 일단(210)이 삽입되고, 연결구 타단(310)이 이하에서 설명할 체결부 일단(512)의 내주연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 일단(330)은 그 내주연을 평평한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상기 지지대 일단(210)의 외주연에 형성된 경사면과 대향하면서 각각의 삽입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 일단(210)의 외주연에서 상기 연결구(300)가 전,후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연결구 타단(310)은 그 외주연을 평평한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체결부 일단(512)에 용이하게 삽입함은 물론, 상기 체결부 일단(512)이 상기 연결구 타단(310)의 외주연 상에서 전,후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결구(300)의 구성에 의해 자유곡관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연결구(300)을 기준으로 지지대(200)와 체결부(510)가 좁혀지는 부분과 지름방향으로 타측에서는 상기 연결구(300)을 기준으로 지지대(200)와 체결부(510)가 넓어지는 부분이 형성되는데, 좁혀지는 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구 일단(330) 상에 지지대 일단(210)과 상기 연결구 타단(310) 상에 체결부 일단(512)이 좁혀지면서 즉 전방 향으로 각각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넓혀지는 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구 일단(330) 상에 지지대 일단(210)과 상기 연결구 타단(310) 상에 체결부 일단(512)이 넓혀지면서 즉 후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전, 후방향으로의 용이한 이동은 연결구 일단(330)의 평평한 경사면으로 구성된 내주연과 연결구 타단(310)의 평평한 경사면으로 구성된 외주연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300)에 있어서도 연결구제어턱(320)을 구성할 수 있으며, 곡관 형성시에 상기 체결부 일단(512)이 상기 연결구 타단(310)의 외주연 상에서 전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체결부 일단(512)의 밑단이 상기 연결구제어턱(320)에 걸리도록 하여 일체형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자유결합멤버(400)는 항아리 형상의 상기 확장관(120)의 내주연에 삽입되는 구조로 상기 자유결합멤버(400)의 형상 또한 상기 확장관(120)의 내주연에 대응하여 밀착되어야 하는 것으로 항아리 형상의 외주연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자유결합멤버(400)는 상기 확장관(120)에 슬라이딩에 의한 탄성체결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확장관(120)과 자유결합멤버(400)의 상기와 같은 탄성체결방식을 위해서는 각각의 재료가 탄성특성이 좋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야만 할 것이다.
상기 자유결합멤버(400)는 그 일단의 내주연에는 체결돌기(410)를 구비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제 2관(500)의 체결부(510)와 체결되어 상기 제 1관부(110), 지지대(200), 연결구(300) 및 제 2관(500)의 각각의 내주연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유결합멤버(400)의 외주연에는 패킹(600a)이 삽입되어 상기 확장관(120)의 내주연과 상기 자유결합멤버(400)의 외주연이 수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패킹홈(42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패킹홈(420)에 안치되는 패킹(600a)은 고무, 연질PVC, 실리콘 등 통상의 패킹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패킹(600)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밀을 유지하는 기능을 함과 더불어 상기 자유결합멤버(400)의 외주연에과 상기 확장관(120)의 내주연의 회전에 의한 곡관 형성시 상기 외주연과 내주연의 접촉면이 미끄러짐에 의해 곡관각도가 뜻하지 않게 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기능도 있다.
또한, 상기 자유결합멤버(400)의 회전에 의해 곡관을 형성할 시에 상기 지지대제어턱(220)에 맞닿는 상기 자유결합멤버(400)의 일단 밑면에 제어홈(430)을 구성하여 상기 제어홈(430)이 상기 지지대제어턱(220)에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관(500)은 체결부(510)와 상기 체결부와 일체로 형성된 내관부가 굴곡이 없는 평평한 면으로 구성된 제 2관부(520)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510)는 상기 자유결합멤버(400) 내주연의 체결돌기(410)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체결홈(511)을 외주연에 구비함으로서 상기 확장관(120)과 탄성체결방식으로 결합된 상기 자유결합멤버(400)에 상기 체결부(510)를 회전에 의해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부 일단(512)은 상기 연결구 타단(310)의 외주연이 삽입되는 내주연을 평평한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300)와 상기 체결부(510)의 삽입 체결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연결구 타단(310) 의 내주연 상에서 상기 체결부 일단(512)이 전,후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510) 외주연에는 패킹(600b)이 안치될 수 있는 체결부패킹홈(513)을 구성하여 상기 체결부(510)의 외주연과 상기 자유결합멤버(400)의 내주연의 접합부에 수밀을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각각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의 체결 작동상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라인(1′) 즉 다관절 자유곡관이 일자형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바, 상기에서 제 1관의 지지홈(130)에 지지대가 부착되고, 상기 지지대 일단(210)에 상기 연결구 일단(330)이 경사면이 대향되도록 삽입 되어지며, 상기 확장관(120)의 내주연에 상기 자유결합멤버(400)가 탄성체결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2관(500)의 체결부는 상기 연결구 타단(310)과 상기 자유결합멤버(400)의 내주연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되는데, 상기 체결상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체결부(510)의 내주연에서는 상기 체결부 일단(512)이 상기 연결구 타단(310)과 경사면이 대향되도록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이고, 상기 체결부(510)의 외주연에서는 상기 체결홈(511)과 상기 자유결합멤버(400)의 체결돌기(420)가 회전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구성의 결합에 의해 제 1관부(110), 지지대(200), 연결구(300) 및 제 2관(500)의 내주연이 연속성을 유지하며 유입라인(1′)이 직선형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관절 자유곡관이 형성된 오수받이 장치에서 유입라인(1′)이 곡관을 형성하는 경우로서 상세히는 자유결합멤버(400)가 확장관(120)의 내주연에서 회전에 의해 곡관이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곡관 형성시에는 확장관(120)의 지름방향으로 한쪽은 연결구(300)을 기준으로 지지대(200)와 체결부(510)가 좁혀지는 부분(B)이 생기게 되며, 지름방향으로 다른쪽은 상기 연결구(300)을 기준으로 지지대(200)와 체결부(510)가 넓어지는 부분(C)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좁혀지는 부분(B)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구 일단(330) 내주연 상에 지지대 일단(210) 외주연이 경사면을 맞대면서 연결구 일단(330) 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연결구 타단(310) 외주연상에 체결부 일단(512) 내주연이 경사면을 맞대면서 연결구 타단(310)쪽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좁혀지는 부분(B)이 형성되는 것이다. 반면, 넓어지는 부분(C)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구 일단(330) 내주연 상에 지지대 일단(210) 외주연이 경사면을 맞대고 연결구 일단(330)의 반대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연결구 타단(310) 외주연상에 체결부 일단(512) 내주연이 경사면을 맞대고 연결구 타단(310)의 반대쪽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넓혀지는 부분(C)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좁혀지는 부분(B)과 넓어지는 부분(C)에서 공히 각각의 구성요소 즉 지지대 일단(210), 연결구 일단(330), 연결구 타단(310) 및 체결부 일단(512)이 맞닿아 다관절을 형성하며 곡관을 형성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의 접합부에 턱이 형성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곡관형성은 상기 지지대제어턱(220)에 상기 자유결합멤버의 제 어홈(430)이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자유결합멤버(400)의 회전이 제어되어 결국 곡관각도가 제어되도록 구성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대(200)와 체결부(510)의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연결구(300)를 체결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도 5에서는 지지대(200)와 체결부(510)의 사이에 두 개의 연결구(300a,b)를 체결하여 곡관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대 일단(210)에 연결구 일단(330a)이 경사면이 대향되도록 삽입 되어지며, 연결구 타단(310a)이 타 연결구(300b)의 연결구 일단(330b)과 경사면이 대향되도록 삽입되어지며, 타 연결구(300b)의 연결구 타단(310b)이 체결부 일단(512)에 삽입되어지는 구성을 하고 있으며, 기타 구성요소의 결합은 상기에서 기 언급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결합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구(300)를 두 개 이상 체결하여 구성하는 경우에는 기타 타 구성요소의 크기가 동일하다면 한 개의 연결구(300)를 구성하는 경우보다 연결구(300)의 길이를 짧게하여 체결하여야 한다. 이렇게 길이가 짧은 연결구(300)를 두 개 이상 체결하여 다관절 자유곡관을 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구성요소의 내주연의 연결로 이루어지는 곡관의 각도가 연결구(300)를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완만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유체가 곡관 내부로 이동할 시 마찰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관부(110)의 상기 확장관(120)의 반대쪽 끝단에 관결합이 가능하도록 제 1소켓부(140)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관부(110)의 상기 확장관 (120)의 반대쪽 끝단에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한 제 1이중벽관(150)을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3)도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유입라인의 구성과 동일한 제 1관(100′), 지지대(200′), 연결구(300′), 자유결합멤버(400′), 제 2관(500′) 및 패킹(600′)으로 구성된 다관절 자유곡관으로 구성하여 본체(10)에 저장된 오수를 하수구 등과 연결된 배수라인과 어떠한 각도에서도 연결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향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장치에 의하면,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라인을 다관절 자유곡관으로 구성함으로서 어느 각도에서도 입수라인의 체결이 가능하여, 인입연결 마감시공 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는 유입라인을 곡 관으로 형성시 접합부가 턱없이 형성됨에 따라 접합부 등에 슬러지가 축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는 유입라인에 하나 이상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곡관각도를 완만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유입라인으로 오수 유입시 마찰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원통형 또는 사각함체로 이루어진 본체의 일측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라인과 본체의 유입라인의 반대측에 배출구를 구비하는 오수받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라인은 내관부가 굴곡이 없는 평평한 면으로 구성된 제 1관부(110)와 상기 제 1관부(110)의 끝단에서 일체로 형성된 항아리 형상의 확장관(120)을 구비한 제 1관(100)과;
    상기 제 1관부(110)와 상기 확장관(120)이 접하는 내관부에 부착되는 원통형상의 지지대(200)와;
    상기 지지대(200)의 지지대 일단(210)이 삽입되는 내주연을 갖는 연결구 일단(330)을 구비하고 타단에 연결구 타단(310)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연결구(300)와;
    상기 확장관(120)의 내주연에 삽입되어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외주연이 상기 확장관(120)의 내주연에 밀착되며, 그 일단의 내주연에는 체결돌기(410)가 구비된 자유결합멤버(400)와;
    상기 자유결합멤버(400)의 내주연의 체결돌기(410)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체결홈(511)을 외주연에 구비하고, 그 내주연에 상기 연결구 타단(310)이 삽입되는 체결부 일단(512)를 구비한 체결부(510)와 상기 체결부(5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내관부가 굴곡이 없는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와 관통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 2관부(520)를 구비한 제 2관(5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0)와 상기 체결부(510) 사이에 상기 연결구(300)가 하나이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결합멤버(400)의 외주연에는 패킹(600a)이 삽입되어 상기 제 1관(100)의 확장관(120)과 상기 자유결합멤버(400)가 수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나이상의 패킹홈(42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일단(210)은 상기 연결구 일단(330)의 내주연에 삽입되는 외주연이 평평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구 일단(330)의 내주연에 삽입이 용이하고, 상기 연결구 일단(330)의 내주연에서 전,후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일단(330)은 상기 지지대 일단(210)이 삽입되는 내주연이 평평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 일단(210)의 삽입이 용이하고, 상기 지지대 일단(210)의 외주연상에서 상기 연결구 일단(330)의 전,후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 일단(512)에 삽입되는 연결구 타단(310)은 그 외주연이 평평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부 일단(512)으로 삽입이 용이하고, 상기 체결부 일단(512)의 내주연상에서 전,후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일단(512)은 상기 연결구 타단(310)이 삽입되는 내주연이 평평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구 타단(310)의 삽입이 용이하고, 상기 체결부 일단(512)의 내주연 상에서 상기 연결구 타단(310)의 전,후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0)에는 지지대제어턱(220)을 구성하고, 상기 자유결합멤버 (400)에는 상기 자유결합멤버(400)의 회전에 의해 곡관을 형성할 시에 상기 지지대제어턱(220)에 의해 상기 자유결합멤버(400)의 회전이 제어될 수 있도록 일단의 밑면 테두리를 권회하며 상기 지지대제어턱(220)에 걸리도록 제어홈(43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부(110)는 상기 확장관(120)의 반대쪽 끝단에 관결합이 가능하도록 제 1소켓부(140) 또는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한 제 1이중벽관(150) 중 어느 하나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KR1020050128796A 2005-12-23 2005-12-23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KR100766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796A KR100766401B1 (ko) 2005-12-23 2005-12-23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796A KR100766401B1 (ko) 2005-12-23 2005-12-23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470A true KR20070067470A (ko) 2007-06-28
KR100766401B1 KR100766401B1 (ko) 2007-10-11

Family

ID=3836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796A KR100766401B1 (ko) 2005-12-23 2005-12-23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4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565B1 (ko) * 2008-03-07 2012-04-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화수소의 열분해 방법
KR101484939B1 (ko) * 2013-12-31 2015-01-22 양병준 부력형 건축물용 오폐수관의 다관절형 절첩전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8669A (ja) * 1994-01-11 1995-08-1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自在管継手
JPH1089571A (ja) 1996-09-10 1998-04-1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自在管継手
JP2002130564A (ja) 2000-10-26 2002-05-09 Kubota Corp 可とう管
JP4434786B2 (ja) * 2004-03-10 2010-03-17 アロン化成株式会社 自在管継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565B1 (ko) * 2008-03-07 2012-04-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화수소의 열분해 방법
KR101484939B1 (ko) * 2013-12-31 2015-01-22 양병준 부력형 건축물용 오폐수관의 다관절형 절첩전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401B1 (ko)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5721C2 (ru) Гибкий сливной сифон
KR100892620B1 (ko) 오수받이
US20150136267A1 (en) Single stream discharge drain hose assembly
KR100766401B1 (ko)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비한 오수받이 장치
US7120948B1 (en) Attachment for a showerhead to redirect water flow
KR100938733B1 (ko) 배수트랩
KR100806547B1 (ko) 가변연결부를 구비한 오수받이
CN209907515U (zh) 一种马桶自动直冲装置
US20180347163A1 (en) Water-aided Plunger Assembly
CN106759703B (zh) 排水栓装置
JP4721267B2 (ja) 合流管継手を用いた合流配管構造
JP4454412B2 (ja) 床下配管の通気構造
KR20120131951A (ko) 다용도 배수트랩장치
KR200398694Y1 (ko) 클램프를 이용한 가변이음관
CA2770474A1 (en) Plumbing siphon
KR20080084223A (ko) 하수용 배수트랩
CN211395862U (zh) 枢转式排水塞连动装置
CN210562508U (zh) 一种集水器
KR20200016156A (ko)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JP2023141741A (ja) 排水設備、および、排水設備の施工方法
KR200451193Y1 (ko) 배수트랩
CN217827779U (zh) 用于洗碗机的排水组件及洗碗机
WO2019211648A1 (en) Waterless waste valve
KR101186960B1 (ko) 멀티트랩 오수받이
CN211646590U (zh) 一种排水塞连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