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515A - 그리스카트리지 및 그 그리스카트리지를 갖는 그리스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그리스카트리지 및 그 그리스카트리지를 갖는 그리스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515A
KR20070065515A KR1020050126038A KR20050126038A KR20070065515A KR 20070065515 A KR20070065515 A KR 20070065515A KR 1020050126038 A KR1020050126038 A KR 1020050126038A KR 20050126038 A KR20050126038 A KR 20050126038A KR 20070065515 A KR20070065515 A KR 20070065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ase
storage container
elastic member
housing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5472B1 (ko
Inventor
장춘상
Original Assignee
아륭기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륭기공(주) filed Critical 아륭기공(주)
Priority to KR1020050126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472B1/ko
Publication of KR20070065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00Devices for supplying lubricant by manual action
    • F16N3/02Devices for supplying lubricant by manual action delivering oil
    • F16N3/04Oil cans; Oil syringes
    • F16N3/08Oil cans; Oil syringes incorporating a piston-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1/0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 F16N11/04Spring-loaded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00Devices for supplying lubricant by manual action
    • F16N3/10Devices for supplying lubricant by manual action delivering gre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리스가 충입된 자바라 관 형태의 그리스저장용기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압압력을 받음으로 일정량의 그리스가 그리스배출수단의 펌프로 균일하게 공급되고 그 공급된 그리스가 펌프에 의해 목적지로 공급되게 한 그리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입구가 개방된 통형의 하우징(10)과 그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20) 및 그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받아 압축 및 복원되는 그리스배출구(31)가 형성된 자바라 관 형태의 그리스저장용기(30)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입구에 결합되어 그리스저장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그리스배출구와 연통되는 연통구(41)가 형성된 캡(40)으로 이루어진 그리스카트리지(C); 상기 그리스카트리지의 캡과 체결되어 그리스저장용기내의 그리스를 목적지로 배출시키는 그리스배출수단(D)으로 이루어진다.
그리스카트리지, 자바라 관, 그리스공급장치, 탄성부재

Description

그리스카트리지 및 그 그리스카트리지를 갖는 그리스공급 장치{Grease cartridge and the Grease supply apparatus have a Grease cartridge thereof}
도1은 종래의 그리스공급장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카트리지 분해 사시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 사시도 및 압축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공급장치의 작동 전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공급장치의 작동 후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공급장치의 수동펌프 적용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공급장치의 반 자동펌프 적용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공급장치의 자동펌프 적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탄성부재
21 : 플레이트 21a : 결합부
21b : 안착부 30 : 그리스저장용기
31 : 그리스배출구 32 : 패킹
40 : 캡 41 : 연통구
42 : 패킹 43 : 체결링
50.60.70 : 펌프 51 : 수동레버
61 : 실린더몸체 71 : 모터
72 : 콘트롤패널 C : 그리스카트리지
D,D',D" : 그리스배출수단
본 발명은 그리스가 충입된 자바라 관 형태의 그리스저장용기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압압력을 받음으로 일정량의 그리스가 그리스배출수단의 펌프로 균일하게 공급되고 그 공급된 그리스가 펌프에 의해 목적지로 공급되게 한 그리스카트리지 및 그 그리스카트리지를 갖는 그리스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그리스카트리지 및 그 그리스카트리지를 갖는 그리스공급장치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이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그리스카트리지(A)는 상하부가 연통된 통형의 하우징(1)이 마련되고 그 하우징(1)의 상부는 뚜껑(2)을 결합하여 밀봉하고 하부는 개방된 상태로 펌프(3)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그리스카트리지(A)는 상기 뚜껑(2)을 열어 그리스를 하우징(1)내부에 충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하여 그리스가 충입된 하우징(1)은 그 하우징(1) 내부에서 그리스를 펌프(3)로 공급해주는 공급수단이 없어 하우징(1)에 충입된 그리스를 일정량 사용하고 하우징(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그 하부에 위치한 그리스가 펌프로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 그리스가 펌프(3)에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면 펌프(3)는 과부하를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펌프의 고장발생 원인이 되었으며, 더욱 중요한 것은 목적하는 곳에 그리스가 공급되지 못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해당 장비의 고장발생 원인이 되었다.
또한, 상기 도1에 표현된 펌프(3)는 수동펌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수동레버(4)를 작동시키면 펌프(3)내부에 구비된 피스톤이 작동하면서 그리스를 펌프의 토출구를 통하여 목적하는 곳으로 공급하게 된다. 단, 상기 펌프는 수동펌프 외에 공압연동펌프 또는 공압작동펌프를 연결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공압연동펌프 또는 공압작동펌프를 연결 설치하여 사용할 때에는 하우징(1) 내에 충입된 그리스가 펌프로 원활하게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그리스카트리지는 펌프로 그리스를 원활하게 공급하지 못해 사용상의 제약이 따랐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첫째, 그리스가 충입된 자바라 관 형태의 그리스저장용기를 탄성부재가 일정 압으로 압력을 가해 상기 그리스저장용기 내의 그리스를 펌프로 용이하고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에 있고, 둘째, 상기 펌프로 공급된 그리스는 수동펌프, 반 자동펌프, 자동펌프를 적용시켜 목적지로 공급함으로서 어떠한 장비 및 어떠한 개소에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리스카트리지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입구가 개방된 통형의 하우징(10)과 그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20) 및 그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받아 압축 및 복원되는 그리스배출구(31)가 형성된 자바라 관 형태의 그리스저장용기(30)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입구에 결합되어 그리스저장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그리스배출구와 연통되는 연통구(41)가 형성된 캡(4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중앙부가 오목하고 그 오목한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하 양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장구형태의 스프링이며, 그 장구형태의 스프링은 압축시 스프링을 형성하는 각각의 링이 상호 중첩되지 않고 링과 링 사이에 상호 끼워지게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그리스저장용기간의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는 패킹(32)과 플레이트(21)를 상호 중첩되게 개재시키되, 상기 패킹은 그리스저장용기의 끝단에 안착시키고 플레이트는 탄성부재의 끝단과 결합되게 한다.
또, 본 발명의 그리스공급장치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입구가 개방된 통형의 하우징(10)과 그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20) 및 그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받아 압축 및 복원되는 그리스배출구(31)가 형성된 자바라 관 형태의 그리스저장용기(30)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입구에 결합되어 그리스저장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그리스배출구와 연통되는 연통구(41)가 형성된 캡(40)으로 이루어진 그리스카트리지(C); 상기 그리스카트리지의 캡과 체결되어 그리스저장용기 내의 그리스를 목적지로 배출시키는 그리스배출수단(D)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중앙부가 오목하고 그 오목한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하 양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장구형태의 스프링이며, 그 장구형태의 스프링은 압축시 스프링을 형성하는 각각의 링이 상호 중첩되지 않고 링과 링 사이에 상호 끼워지게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그리스저장용기간의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는 패킹(32)과 플레이트(21)를 상호 중첩되게 개재시키되, 상기 패킹은 그리스저장용기의 끝단에 안착시키고 플레이트는 탄성부재의 끝단과 결합되게 한다.
또한, 상기 캡과 체결되어 그리스저장용기내의 그리스를 목적지로 배출시키는 그리스배출수단은, 수동레버의 작동에 따라 그와 연결 설치된 피스톤이 전후진하면서 그리스배출 압을 발생시켜 그리스저장용기내의 그리스를 목적지로 공급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다른 형태의 그리스배출수단은, 전기 공급 스위치의 온과 동시에 작동되는 모터와 그 모터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작동과 함께 가동되어 그리스저장용기내의 그리스를 목적지로 배출시키는 펌프로 구성되며, 또, 다른 형태의 그리스배출수단은, 모터를 주기적으로 작동시키는 콘트롤패널이 연결 설치된 모터와 그 모터의 작동과 함께 가동되어 그리스저장용기내의 그리스를 목적지로 배출시키는 펌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그리스카트리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가 개방된 통형의 하우징(10)이 마련되는데 그 하우징(1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하우징(10)의 재질을 유리등으로 할 경우에는 약간의 충격에도 파손되기 쉽기 때문에 충격에 강한 합성수지로 함이 바람직하고, 또,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는 이유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단 본 발명의 하우징(10) 형태는 원통형으로 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 삼각 이상의 다각형으로 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20) 및 그 탄성부재(20)의 탄성력을 받아 압축 및 복원되는 그리스저장용기(30)가 순차적으로 내장되는데, 상기 탄성부재(20)의 역할은 그리스저장용기(30)를 압압하여 그리스배출구(31)로 그리스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고, 그리스저장용기(30)를 자바라 관 형태로 하는 이유는, 상기 탄성부재(20)의 탄성력에 의해 압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압축 후 복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그리스저장용기(30)를 압압하는 탄성부재(20)는 도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가 오목하고 그 오목한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하 양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장구형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장구형태의 스프링은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시 스프링을 형성하는 각각의 링이 상호 중첩되지 않고 링과 링 사이에 상호 끼워지게 구성된다.
그 이유는, 스프링의 압축시 스프링을 형성하는 각각의 링이 상호 중첩되지 않고 링과 링 사이에 상호 끼워지기 때문에 압축 공간을 최소로 할 수 있어 하우징(10)내의 한정된 공간에서 그리스저장용기(30)의 크기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장 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탄성부재(20) 형태는 장구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중앙부가 볼록한 항아리 형태로 하여 사용할 수 도 있으며, 이 역시 압축될 때에는 스프링을 형성하는 각각의 링이 상호 중첩되지 않고 링과 링 사이에 상호 끼워지게 해야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되는 탄성부재(20)와 그리스저장용기(30)간의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는 패킹(32)과 플레이트(21)를 상호 중첩되게 개재시키되, 상기 패킹(32)은 그리스저장용기(30)의 끝단에 안착시키고 플레이트(21)는 탄성부재(20)의 끝단과 결합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패킹(32)과 플레이트(21)가 없이 탄성부재(20)의 끝단이 그리스저장용기(30)의 선단에 직접 접촉되게 해도 되나 이는 탄성부재(20)의 탄성력이 그리스저장용기(30)에 100%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함은 물론, 상기 탄성부재(20)와 그리스저장용기(30)간의 마찰에 의해 그리스저장용기(30)가 훼손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그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재시키는 것이다.
또, 상기 탄성부재(20)의 끝단과 결합되는 플레이트(21)에는 탄성부재(20) 즉 스프링의 하단에 위치한 링이 안착되는 안착부(21b)가 형성되어 있고 그 안착부(21b)의 양측에는 스프링의 하단에 위치한 링을 잡아주는 결합부(21a)가 형성되어 있어 이에 상기 스프링의 하단에 위치한 링이 끼워 결합됨으로서 탄성부재(20)와 플레이트(21)간의 안전하고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1)와 패킹(32)간의 결합은 패킹(32)에 플레이트안착 홈(32a)이 형성되어 있어 그 플레이트안착 홈(32a)에 플레이트(21)가 끼워 맞춤됨 으로 상기 플레이트(21)와 패킹(32)간의 결합이 안전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하우징(10)에 탄성부재(20)와 그리스저장용기(30)가 순차적으로 삽입 안착되면 그 이후에는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입구에 상기 그리스저장용기(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40)을 결합하는데, 그 캡(40)의 결합 방법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40)에 형성된 연통구(41)와 그리스저장용기(30)에 형성된 그리스배출구(31)가 상호 연통되게 결합하되 상기 캡(40)과 그리스저장용기(30)의 끝단 사이에는 기밀성 확보를 위하여 패킹(42)을 개재시킨다.
그리고, 상기 그리스저장용기(30)의 개방된 입구는 캡(40)의 선단 일부를 수용하도록 결합되고 그 결합된 부분은 체결링(43)을 매개로 하여 견고하고 안전하게 결합하되 상기 체결링(43)은 캡(40)으로부터 필요에 따라 분해 결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그리스카트리지(C)는 그리스저장용기(30)에 그리스가 충입되게 되면 탄성부재(20)의 탄성력에 의해 그리스저장용기(30)를 압압하게 되고 그 압압력을 받은 그리스저장용기(30)는 압축되면서 내부에 충입된 그리스가 그리스배출구(31)를 통하여 캡(40)에 형성된 연통구(41)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캡(40)의 연통구(41)를 통하여 배출되는 그리스는 캡(4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된 그리스배출수단(D)에 의해 배출되면서 목적지로 공급되게 되는데, 상기 그리스를 목적지로 공급하는 그리스배출수단(D)은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50)의 상부에 상기 도2 내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그리스카트리지(C)가 설치되고 이와 같이 설치된 그리스카트리지(C) 내부 즉 그리스저장용기(30)에 들어 있는 그리스는 수동레버(51)의 작동에 따라 그와 연결 설치된 피스톤(52)이 전후진하면서 그리스배출 압을 발생시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단, 상기 도6의 그리스배출수단(D)은 사람이 수동레버(51)를 작동할 때만 그리스를 그리스토출구(53)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수동펌프이다.
또한, 본 발명 도7의 그리스배출수단(D')은 도6과 다른 실시예의 그리스배출수단으로서, 이는 상기 그리스카트리지(C)가 설치되는 펌프(60)가 연결부재(64)에 의해 연결 설치된 각각의 피스톤(62,63)이 마련된 실린더몸체(61)와 연결 설치되고 그 실린더몸체(61)에는 에어주입구(66)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주입구(66)로 에어가 공급되면 그 공급되는 에어 압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64)에 의해 연결 설치된 각각의 피스톤(62,63)이 작동되어 그리스카트리지(C) 내부 즉 그리스저장용기(30)에 들어 있는 그리스를 그리스토출구(65)를 통하여 목적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단, 상기 그리스배출수단(D')의 작동은 에어라인에 연결 설치된 온/오프 스위치(도면미도시)의 온/오프에 따라 작동된다. 한편, 상기 도7의 그리스배출수단(D')은 사람이 온/오프 스위치를 온 상태로 했을 때만 작동되는 반 자동펌프이다.
또한, 본 발명 도8의 그리스배출수단(D")은 도6 및 도7과 다른 실시예의 그리스배출수단(D")으로서, 이는 상기 그리스카트리지(C)가 설치되는 펌프(70)가 감속기어부(73)를 매개로 모터(71)와 연결 설치되고 그 모터(71)에는 콘트롤패널(72)이 설치되어 상기 모터(71)를 주기적으로 작동시킴에 따른 펌프(70)를 가동시킴으로 그리스카트리지(C) 내부 즉 그리스저장용기(30)에 들어 있는 그리스를 목적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단, 상기 도8의 그리스배출수단(D")은 상기 콘트롤패널(72)에 모터(71)의 작동시간이 셋팅되고 그 셋팅된 시간 주기에 따라 모터(71)의 작동과 함께 감속기어부(73) 및 펌프(70)를 가동시켜 그리스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자동펌프이다.
또, 상기 감속기어부(73)의 선단에는 캠(74)이 설치되고 그 캠(74)은 펌프(70)내에 구비된 피스톤(75)과 연결 설치되어 모터(71)가 작동되면 이와 함께 감속기어부(73) 및 캠(74)과 피스톤(75)이 작동되어 그리스를 그리스토출구(76))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6 내지 도8에 나타낸 각각의 그리스배출수단(D, D', D")은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고 그 이외의 수동 및 반자동과 자동의 배출수단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그리스가 충입된 자바라 관 형태의 그리스저장용기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압압력을 받음으로 일정량의 그리스가 그리스배출수단의 펌프로 균일하게 공급되어 목적지로 배출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그리스배출수단은 수동펌프, 반 자동펌프, 자동펌프로 이루어지고 이에 본 발명의 그리스카트리지를 연결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서 그리스가 공급되는 어떠한 장비 및 어떠한 개소에도 다양하게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입구가 개방된 통형의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받아 압축 및 복원되는 그리스배출구가 형성된 자바라 관 형태의 그리스저장용기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입구에 결합되어 그리스저장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그리스배출구와 연통되는 연통구가 형성된 캡으로 이루어진 그리스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중앙부가 오목하고 그 오목한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하 양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장구형태의 스프링이며, 그 장구형태의 스프링은 압축시 스프링을 형성하는 각각의 링이 상호 중첩되지 않고 링과 링 사이에 상호 끼워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그리스저장용기간의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는 패킹과 플레이트를 상호 중첩되게 개재시키되, 상기 패킹은 그리스저장용기의 끝단에 안착시키고 플레이트는 탄성부재의 끝단과 결합되게 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카트리지.
  4. 입구가 개방된 통형의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받아 압축 및 복원되는 그리스배출구가 형성된 자바라 관 형태의 그리스저장용기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입구에 결합되어 그리스저장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그리스배출구와 연통되는 연통구가 형성된 캡으로 이루어진 그리스카트리지;
    상기 그리스카트리지의 캡과 체결되어 그리스저장용기내의 그리스를 목적지로 배출시키는 그리스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중앙부가 오목하고 그 오목한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하 양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장구형태의 스프링이며, 그 장구형태의 스프링은 압축시 스프링을 형성하는 각각의 링이 상호 중첩되지 않고 링과 링 사이에 상호 끼워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공급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그리스저장용기간의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는 패킹과 플레이트를 상호 중첩되게 개재시키되, 상기 패킹은 그리스저장용기의 끝단에 안착시키고 플레이트는 탄성부재의 끝단과 결합되게 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공급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과 체결되어 그리스저장용기내의 그리스를 목적지로 배출시키는 그리스배출수단은, 수동레버의 작동에 따라 그와 연결 설치된 펌프내의 피스톤이 전후진하면서 그리스배출 압을 발생시켜 그리스저장용기내의 그리스를 목 적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공급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과 체결되어 그리스저장용기내의 그리스를 목적지로 배출시키는 그리스배출수단은, 실린더몸체의 에어주입구로부터 주입되는 에어 압에 의해 피스톤이 작동되어 그리스저장용기내의 그리스를 목적지로 배출시키는 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공급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과 체결되어 그리스저장용기내의 그리스를 목적지로 배출시키는 그리스배출수단은, 모터를 주기적으로 작동시키는 콘트롤패널이 연결 설치된 모터와 그 모터의 작동과 함께 가동되어 그리스저장용기내의 그리스를 목적지로 배출시키는 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공급장치.
KR1020050126038A 2005-12-20 2005-12-20 그리스카트리지 및 그 그리스카트리지를 갖는 그리스공급장치 KR100765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038A KR100765472B1 (ko) 2005-12-20 2005-12-20 그리스카트리지 및 그 그리스카트리지를 갖는 그리스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038A KR100765472B1 (ko) 2005-12-20 2005-12-20 그리스카트리지 및 그 그리스카트리지를 갖는 그리스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515A true KR20070065515A (ko) 2007-06-25
KR100765472B1 KR100765472B1 (ko) 2007-10-09

Family

ID=38364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038A KR100765472B1 (ko) 2005-12-20 2005-12-20 그리스카트리지 및 그 그리스카트리지를 갖는 그리스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4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83B1 (ko) * 2011-04-06 2011-06-14 김동기 공압식 그리스 주입장치
KR101239434B1 (ko) * 2011-11-24 2013-03-06 손세현 그리스 자동 주입장치
CN106090587A (zh) * 2016-08-25 2016-11-0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润滑油注油设备
CN113494589A (zh) * 2020-03-20 2021-10-12 赖维邦 一种加工机复合头的油脂回填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147B1 (ko) 2019-06-10 2020-11-10 주성현 대용량 유체 주입장치
KR102514292B1 (ko) 2021-04-29 2023-03-27 배휘찬 그리스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9500A (ja) * 1984-01-31 1985-08-20 I D C Kk グリス給油装置
KR970002354U (ko) * 1995-06-07 1997-01-24 김욱진 1회용 그리이스 자바라튜브를 교체사용할수 있는 그리이스 주입기
KR100282128B1 (ko) * 1999-12-02 2001-02-15 양윤종 윤활유 자동 공급 장치
KR20050020989A (ko) * 2002-06-12 2005-03-04 루브리퀴프 아이앤씨 자동 급유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83B1 (ko) * 2011-04-06 2011-06-14 김동기 공압식 그리스 주입장치
KR101239434B1 (ko) * 2011-11-24 2013-03-06 손세현 그리스 자동 주입장치
CN106090587A (zh) * 2016-08-25 2016-11-0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润滑油注油设备
CN113494589A (zh) * 2020-03-20 2021-10-12 赖维邦 一种加工机复合头的油脂回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472B1 (ko) 2007-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472B1 (ko) 그리스카트리지 및 그 그리스카트리지를 갖는 그리스공급장치
KR100777364B1 (ko) 공기 펌프식 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생활용품용 용기
US5312018A (en) Containing and dispensing device for flowable material having relatively rigid and deformable material containment portions
EP1353068B1 (en) Air Pump For Bicycles
MXPA03003556A (es) Distribuidor de fluido que tiene un frasco rigido y camara de aire interna flexible.
US4154401A (en) Spray unit and pressurizing adapter therefor
JP2007210678A (ja) 容器からタイヤシーリング材を送出する装置
KR20160054975A (ko) 압축기체 공급장치
US3936200A (en) Toothbrush with dentifrice attachment
CA2552697A1 (en) Device for the expression and dosed application of a flowable paste-like substance
US20120055956A1 (en) Hydration device
IL148724A (en) Dental apparatus with a fluid reservoir
KR200464876Y1 (ko) 진동수단이 구비된 펌프형 마사지 용기
US8353430B2 (en) Pressurized dispensable container operable in any orientation
AU2003300539A8 (en) Pressurised dispenser for mixing and producing two-component materials
CN113576145A (zh) 化妆粉盒
KR200422424Y1 (ko) 물비누 디스펜서
KR100537082B1 (ko) 플런저 펌프식 가압기를 가진 그리스 자동 주입장치
KR20150025000A (ko) 휴대용 구강세척기
JP2007057007A (ja) カップラー
KR102364955B1 (ko) 미용팩용 수소수기.
CN108105457B (zh) 一种可泄压的气体驱动排水装置
AU2008323018A1 (en) Fitment for connecting a container to a dispensing appliance
EP4006271A1 (en) Dispenser for handle
KR102674492B1 (ko) 듀얼 펌프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