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4434A - 이동 장치들 및 서비스들을 다루기 위한 통합된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장치들 및 서비스들을 다루기 위한 통합된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4434A
KR20070064434A KR1020077008366A KR20077008366A KR20070064434A KR 20070064434 A KR20070064434 A KR 20070064434A KR 1020077008366 A KR1020077008366 A KR 1020077008366A KR 20077008366 A KR20077008366 A KR 20077008366A KR 20070064434 A KR20070064434 A KR 20070064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rotocol
content
markup language
me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6942B1 (ko
Inventor
폴 움멘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64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33Object-oriented techniques, for representation of network management data, e.g.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COR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e-messaging for transporting management information, e.g. email, instant messaging or ch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6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meta-data, objects or commands for formatting management information, e.g. usin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드 투 엔드 IP 프로토콜(end-to-end protocol)을 사용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데이터 프로세서 또는 데이터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방법,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비 IP 엔티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메시지 및 콘텐츠 표현을 위해 마크업(markup) 언어를 사용하는 단계, (마크업 언어 메시지 내에서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는 '메타' 엘리먼트(element)를 사용하여 식별되고, 메타 엘리먼트는 '비 IP 프로토콜 네임'으로 콘텐츠 유형을 묘사함) 그리고 마크업 언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는 단계는 양호하게는 마크업 언어 메시지로, 수신된 콘텐츠를 캡슐화하는 단계 및 마크업 언어 메시지의 수신기가 콘텐츠를 추출하는데 메타 엘리먼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 IP 엔티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는, 비 제한 예로서(non-limiting example), IS-683 메시지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장치들 및 서비스들을 다루기 위한 통합된 방법 및 장치{Integ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mobile devices and services}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및 방법들, 그리고 좀더 구체적으로, 비록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정보를 휴대 전화와 같은 이동 장치로 전달하는 OTA(over-the-air) 장치 관리 절차들에 관련된다.
이동 장치들의 기능이 증가함에 따라, 이동 장치들 상의 서비스들과 특징들을 구성하고 유지하는 것은 복잡하고 시간이 드는 일이 되었다. 예를 들어, 무선 응용 통신 규약(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CDMA, 및 데이터 접속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다수의 세팅들의 구성을 요구한다. 현재 이용할 수 있는 제한된 특징들을 가지고도, 어떤 사용자들은 그들의 이동 장치들을 어떻게 구성할지 모른다.
또 하나의 사용 케이스는 새로운 서비스들의 이동 장치들로의 OTA 프로비져닝과 관리이다. 브라우징, 멀티미디어 메시징, 이동 이메일과 캘린더 동기화와 같은 향상된 이동 서비스들은 정확한 이동 장치 세팅들을 요구한다. 원격으로 장치 세팅들과 애플리케이션들을 다루는 프로세스를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라고 지칭한다.
OTA 관리는 3GPP2 OTASP/OTAPA, OMA(Open Mobile Alliance) 장치 관리(OMA DM), 그리고 3GPP2IOTA-DM 표준들(IOTA-DM은 "IP 기반 OTA(over-the-air) 장치 관리")에 정의되어 있다.
원격으로 이동 장치들을 다루기 위한 현재 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기술들 또한 존재한다. 예를 들어, IS-638 표준(TIA/EIA-683-C, 확산 스팩트럼 시스템들 내에 이동국들의 OTA( Over-the-Air) 서비스 프로비져닝, 2003년 3월)은 원격으로 이동국들을 조종하기 위한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 신호를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비 IP 프로토콜들의 사용의 또 하나의 예는 독점적 단문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의 사용을 포함한다.
장치 관리는 사용자들이 쉽게 새로운 서비스들에 가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메키니즘을 제공하는 것처럼 모바일 서비스들의 광범위한 채택 지원을 의도한다.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이것은 동적으로 변경들에 맞추고 서비스 질의 일정 레벨을 책임지면서, 새로운 서비스들을 소개하고 준비된(provisioned) 서비스들을 다루는 빠르고 쉬운 방법을 가능하게 한다.
2003년 6월에, OMA는 SyncML DM (동기화 마크업 언어 장치 관리, Synchronization markup language device management)에 기초한 OMA DM(OMA 장치 관리) 버전 1.1.2 표준을 발행했다. 이런 관점에서, OMA SyncML HTTP 바인딩(Binding), 버전 1.1.2,0MA, 2003년 12월 6월; OMA SyncML OBEX 바인딩, 버전 1.1.2, OMA, 2003년 6월 12일; OMA SyncML 장치 관리 프로토콜, 버전 1.1.2, OMA,2003년6월12일.http://www.openmobilealliance.org/releasejprogram/enabler_r eleases.html; OMA SyncML 표현(Representation) 프로토콜, 장치 관리 용법(Device Management usage), 버전 1.1.2, OMA, 2003 6월 12일; OMA SyncML 장치 관리 붓스트랩( Bootstrap), 버전 1.1.2, OMA, 2003 6월 12일; OMA SyncML DM DDF DTD (SyncML_dm_ddf_vl 11_20021 OO2.dtd), 버전 1.1.2, OMA, 2003 6월 12일; OMA SyncML 장치 관리 트리 및 기술들(Tree and Descriptions), 버전 1.1.2, OMA, 2003 6월 12일; OMA SyncML 장치 관리 통지 개시 세션(Notification Initiated Session), 버전 1.1.2, OMA, 2003 6월 12일; OMA SyncML 장치 관리 시큐러티(Device Management Security), 버전 1.1.2, OMA, 2003 6월 12일; 그리고 OMA SyncML WSP 바인딩, 버전 1.1.1, OMA, 2003 6월 12일들이 참조 되어야 할 것이다.
OMA DM은 3G 이동 장치 및 그외의 OTA 관리 필요들을 위해 통합되고 확장될 수 있는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공한다. 표준은 SyncML DM 프로토콜에 기초를 둔 OMA DM 프로토콜 명세를 포함한다. 프로토콜은 OTA 관리를 위해 최적화됐고, 이때 기초적인 고려 대상은 이동 장치들의 자원 및 대역폭 제한들에 관련된다.
OMA DM은 메커니즘으로서, 매우 용도가 넓고 데이터 오브젝트들의 상이한 유형들을 다루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오브젝트들 중 얼마는, 나머지들은 사실상 이진수인 반면, 단순한 숫자 또는 텍스처 파라미터들이다. 숫자 오브젝트들은 액세스 포인트 주소들 및 프록시 구성과 같은 접속성(connectivity)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진수의 오브젝트들은 보안(security) 키들, 데이터의 블록들,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은 초기 프로비져닝을 위한 WAP 2.0 붓스트랩과 초기 프로비져닝 후에 계속적인 관리를 위한 DM 프로토콜 명세 의 세트들을 레버리지(leverage)한다.
현재, 이동 서비스들 OTA(over-the-air)를 다루기 위한 통합된 방법이 없다. 필요하지만 종래 기술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았던 것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들이 하나의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이동 장치들 및 서비스들을 다루는 통합된 방법이다. OMA DM, IOTA-HCM, IS-683, 독점적(proprietary) OTA, OTA 텔레서비스들(Teleservices), 등과 같은 OTA 관리를 위해 현재 이용가능한 상이한 표준들은 이런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한다.
현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술한 그리고 다른 문제들이 극복되고, 다른 이점들이 실현된다.
본 발명은 엔드 투 엔드 IP 프로토콜(end-to-end protocol)을 사용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non-IP OTA protocol)을 수용하여 데이터 프로세서 또는 데이터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방법,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비 IP 엔티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메시지 및 콘텐츠 표현을 위해 마크업(markup) 언어를 사용하는 단계, (마크업 언어 메시지 내에서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는 '메타' 엘리먼트(element)를 사용하여 식별되고, 메타 엘리먼트는 '비 IP 프로토콜 네임'으로 콘텐츠 유형을 묘사함) 그리고 마크업 언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는 단계는 양호하게는 마크업 언어 메시지로 수신된 콘텐츠를 캡슐화하는 단계 및 마크업 언어 메시지의 수신기가 콘텐츠를 추출하는데 메타 엘리먼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 IP 엔티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는, 비 제한적 예로서(non-limiting example), IS-683 메시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상은 엔드 투 엔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네트워크 노드이다. 네트워크 노드는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그리고 XML '메타'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XML 메시지의 잠재적 수신기에 식별된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를 XML 메시지로 캡슐화하는 메시지와 콘텐츠 표현을 위한, XML과 같은 마트업 언어로 동작 가능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메타 엘리먼트는 메타 콘텐츠 유형을 '비 IP 프로토콜 네임'으로 묘사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를 포함하는 XML 메시지를 수신기(recipient)에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양상은 비 IP 클라이언트를 갖는 이동국과 엔드 투 엔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 메시지를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이다. 이동국은 또한 메타 콘텐츠 유형을 "비 IP 프로토콜 네임"으로 묘사하는 "메타" 엘리먼트의 존재에 응답하여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비 IP 기반 콘텐츠 메시지를 추출하는 메시지 및 콘텐츠 표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로 동작 가능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상은 엔드 투 엔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비 IP OTA(Over-the-Air) 프로토콜을 수용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네트워크 노드이다. 네트워크 노드는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때 수신 수단은 이런 XML '메타' 엘리먼트를 사용함으로써 XML 메시지의 잠재적 수신기에 의해 식별되는 IP 프로토콜 콘텐츠를 XML 메시지로 캡슐화하기 위한 메시지 및 콘텐츠 표현을 위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과 같은 마크업 언어로 동작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서 수단과 연결된다. 메타 엘리먼트는 메타 콘텐츠 유형을 '비 IP 프로토콜 네임'으로 묘사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를 포함하는 XML 메시지를 수신기(recipient)에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프로세서 수단에 연결된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하나의 양상은 엔드 투 엔드 포로토콜을 사용하는 비 IP OTA(Over-the-Air) 프로토콜을 수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비 IP 엔티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메시지 및 콘텐츠 표현을 위해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는 단계(메시지 내에서,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는 "메타'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식별되는데, 이때 메타 엘리먼트는 콘텐츠 유형을 '비 IP 프로토콜 네임'으로 묘사함); 메시지를 '메타'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들에 관련하여 읽을 때, 하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확실해진다.
도 1은 CDMA 기반의 DM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단순화된 블록도.
도 2는 IOTA-DM의 엔드 투 엔츠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이 비 제한적 케이스 내에 IS-683 DM 메시지인 대표적인 비 IP DM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예에 따라 엔드 투 엔드 메시지의 표현을 도시하는 도면.
서언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이한 OTA 프로토콜들을 통합하여 이동 장치들 및 서비스들을 다루는 통일된 방법이 생기는데 사용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IP 기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비 인터넷 프로토콜(non-IP) 관리 프로토콜들을 취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이한 네트워크들 내에서 그리고 이런 네트워크들 내에 이종의 이동 장치들을 가지고 OTA 관리를 위한 통합된 접근을 가능토록 하는 IP 기반 프로토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사용은 무선 서비스 제공자들이 그들의 뜻대로 이동 장치들 및 그들의 네트워크(들) 또는 서비스 도메인에 제공된 서비스들을 다루는 통합된 메커니즘을 가지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레거시(legacy) 시스템들 내에서 사용되는 비 IP 프로토콜들을 대하여 역방향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달성하기 위해 DM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특정 방법뿐 아니라 특별한 메타 타입을 사용한다. 이것은 마크업 언어 기반(즉, XML 기반) DM 프로토콜이 다양한 특징들을 가진 이동 장치들을 다루기 위해 상이한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사용은 레거시 이동 시스템들의 기존 구성 요소들의 재사용을 통하여 비용 절약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사용은 또한 서비스 제공자들이 서비스 도메인 내에 제공된 이동 서비스들을 다루는 통합된 방법과 제3 세대(3G, third generation) 특징들과 미래 세대 특징들뿐만 아니라 레거시 특징들을 통합하는데 도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이동 장치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현존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레거시 특징들을 지원하는 이동 장치들 내에 통합된 엔티티의 개발에 재사용될 수 있다. 3G 및 미래 세대들의 새로운 특징들은 이때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레거시 특징들 및 새로운 특징들 모두를 지원하고, 이들 모두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CDMA 이동 장치들을 위해, OTASP/OTAPA 구성요소들이 재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적당한 기술적 맥락(context)에 두기 위해, 예시적인 CDMA 네트워크 내에 DM을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도 1을 참조한다. 비록 CDMA 인터페이스만이 도시되었지만, OMA DM 명세들은 저전력 RF(즉, 불루투스(Bluetooth™)), 그리고 적외선(즉, IrDA)과 같은 로컬 액세스 기술들을 상에 DM 또한 지원한다. IOTA-DM을 위한 엔드 투 엔드 아키텍처를 도시하고, 이동 장치(ME)로 또한 지칭되는 휴대 전화와 같은 이동국(MS)(1), MS(1)에 셀룰러(즉, CDMA)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22)를 통하여 MS(1)에 연결된 DM 서버(2)를 포함하는 도 2를 참조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MS(1)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비록 제한되지는 않지 만, 휴대전화들,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개인용 휴대 전화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들,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들,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캡쳐 장치들,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게임 장치들,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음악 저장장치 그리고 녹음 재생장치, 무선 인터넷 액세스와 브라우징을 허용하는 인터넷 기기(appliance)들, 이런 기능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휴대용 유닛들 또는 단말기들뿐만 아니라, 을 포함할 수 있다. 비휴대용 장치들 또한 이런 교시들의 범위 내에 있다.
이런 도면들 내에서, MS(1)는 DM 메시지들과 커맨드(command)들을 처리하고, 권한 검증(authorization)을 수행하고, DM 관리 트리(DM management tree)로의 접근(access)을 취급하는 DM 클라이언트(10)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관리 오브젝트들(12)은 애플리케이션들과 서비스들에 관련된 파라미터들, 소프트웨어 오브젝트들, 구성(configuration) 데이터 블록 등을 포함한다. 관리 오브젝트들(12)은 논리적으로 계층 트리 내에서 논리적으로 관련된 그룹들(서브트리들)로 구성된다. MS(1)은 또한 애플리케이션들(14)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DM 서버(2)는 MS(1) 내의 서비스들과 애플리케이션들을 다루기 위한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이다. DM 서버(2)는 DM 커맨드들을 발하고(issue) DM 클라이언트(10)로부터의 응답들을 바르게 해석한다. DM 서버(2)는 그 안에 장치 서술 프레임워크 (Device Description Framework, DDF)(16) 문서들이 저장된 DM 데이터베이스(2A)를 포함한다. DDF(16) 문서는, 선호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제한되지는 않는, 장치 내에 관리 오브젝트들의 프로퍼티(property)를 설명하는 XML 문 서(XML(Extensible Markup Language),1.0 (2판), W3C 추천(Recommendation), 버전 2000년 10월 6일, 월드 와이드 웹 협회)이다. OMA DM 프로토콜(OMA SyncML 장치 관리 프로토콜, 버전 1.1.2, OMA, 2003년 6월 12일)은 관리 프레임워크와 MS(1)와 DM 서버(2)로 지칭된 네트워크 엔티티 사이에서 교환된 메시지들의 세트들을 정의한다.
도1에는 또한 예를 들어, ANSI-41 네트워크(30)와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32)를 포함하는 다양한 네트워크들(NAV)이 도시되어 있다. ANSI-41 네트워크(30)에 메시지 센터(MC)(34),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36), over-the-air 기능부(OATF)(38), 그리고 이동 스위칭 센터/ 비지터 로케이션 레지스터 페어(MSC/VLR)(40)가 연결되어 있다. IP 네트워크(32)와 연관된 패킷 데이터 지원 노드(PDSN)(44)처럼, MSC/VLR(40)이 기지국 제어기/ 패킷 제어 기능(BSC/PCF)(42)에 연결된 반면, MC(34)는 DM 서버(2)에 연결된다. 또한 IP 네트워크(32)는 다양한 인증(authentication), 권한 검증(authorization), 과금(accounting) (AAA) 기능부들(46, 48)과 홈 에이전트(HA)(50)에 결합된다. HA(5)은 IP 네트워크(32)를 DM 서버(2)에 연결한다. DM 서버(2) 위에 구성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60A), 서비스 관리(60B), CDMA OTA 서비스 프로비저닝(CDMA OTA Service Provisioning)(OTASP) 그리고 OTA 파라미터 어드미니스트레이션(OTA Parameter Administration)(OTAPA) 관리(6OC), 기업 관리(Enterprise Management)(6OD), 그리고 소프트웨어 관리(Software Management)(6OE) 기능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대표적인 관리 기능부들(60)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또한 도시된 것처럼 적합한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오브젝트 교환 프로토콜(OBEX) 그리고 단문 서비스(SMS) 인터페이스(70A,70B)가 MS(1)과 무선 네트워크(22) 사이에, DM 서버(2)와 무선 네트워크(22)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상은 IP 기반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비 IP 관리 프로토콜을 다루는 것에 관련된다. 비 제한적 예에서, 비 IP 관리 프로토콜들은 IS-684 메시지들의 콘텐츠 내에 설명되어 있다(IS-683는 OTA 프로비저닝과 3GPP에서 C.S0016로 또한 주지된, cdma2000 시스템들 내에 OTA 파라미터 어드미니스트레이션을 위한 TIA/EIA 와 3GPP 프로토콜이다).
도 3은 전형적인 IS-683 메시지를 다룰 때, 최소한 하나의 비 IP 클라이언트(20), DM 클라이언트(10), 무선 네트워크(22)(즉, CDMA 네트워크 또는 불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IP 기반 서버(24), 그리고 최소한 하나의 비 IP 네트워크 엔티티(26) 사이의 메시지 흐름을 도시한다.
좀더 자세히 IP 기반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비 IP 관리 프로토콜들을 취급하는 것을 설명하면, 현재 IP 기반 관리 프로토콜들이 광범위한 비 IP 프로토콜들과의 역방향 호환성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통합된 프레임워크는 IP 프로토콜들뿐만 아니라 비 IP 프로토콜들을 취급하는 것도 요구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라, 비 IP OTA 프로토콜들은 XML을 메시지 및 콘텐츠 표현을 위해 사용하는 엔드 투 엔드 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취급될 수 있다. XML 메시지 내에서,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는 이런 XML의 메타 엘리먼트를 사용함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 예는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도 3에서 메타 엘리먼트는 콘텐츠 유형을 '비 IP 프로토콜 네임'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된 XML 프로토콜이 SyncML에 기초를 둔 것이고, 비 IP 프로토콜이 IS-683이라면, 콘텐츠 유형은 'syncml-dm:cdma-is683'로 표현될 수 있다. 독점적(proprietary) 프로토콜의 경우, 비록 제한되지는 않지만, 노키아 에릭슨 OTA(Nokia-EricssonOTA)(예를들어,http://www.forum.nokis.com/main/1,6566,1_47_50,00.html를 보라)로 알려진 프로토콜의 경우 'syncml-dm:nokia-ota'일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논리 흐름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하기와 같다.
단계A. IP 기반 서버(24)는 S-683 요청 메시지와 같은, 비 IP 프로토콜 메시지를 인터셉트하고, 비 IP 프로토콜 메시지를 설명된 '메타'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XML 메시지로 캡슐화한다.
단계 B. 캡슐화된 비 IP 메시지를 갖는 XML 메시지는 DM 메시지로서 DM 클라이언트(10)로 무선 네트워크(22)를 경유하여 보내진다.
단계 C. XML 사용가능 DM 클라이언트(10)는 DM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타 유형을 비 IP 메시지 콘텐츠로써 식별하고, 메타 콘텐츠를 추출한다. 콘텐츠 부호화는 포맷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메타' 엘리먼트 내에 명시될 수 있다.
단계 D. XML 사용가능 DM 클라이언트(10)는 MS(1) 내에 비 IP 클라이언트(20)를 호출하고 비 IP 프로토콜 포맷인 메타 콘텐츠를 비 IP 클라이언트(20)로 보낸다. 전형적인 케이스에서 MS(1)는 다수의 비 IP 클라이언트들(20)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DM 클라이언트(10)는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목적지 비 IP 클라이언트(2)의 아이덴터티(identity)를 결정할 수 있고, 메타 데이터를 메시지를 올바른 목적지 비 IP 클라이언트로 보낼 수 있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전형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IP 기반 서버(24)에 의해 인터셉트되고 처리되는 메시지들(IS-683과 다른 유형의 메시지들)을 보내는 다수의 비 IP 네트워크 엔티티들(26)이 있을 수 있음을 또한 알아야 한다.
단계E. 비 IP 클라이언트(20)는 메타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처리하고 응답을 보낼 수 있다. 응답 시퀀스는 단계들 A, B, C, 및 D와 같은 시퀀스를 따른다. 즉, 단계 F에서, DM 클라이언트(10)는 설명된 '메타'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XML 메시지 내에 비 IP 응답을 캡슐화한다. 단계 G에서, DM 메시지는 메타 콘텐츠를 추출하고(단계 H) 적합한 IS-683 응답 메시지를 포맷에 넣고 비 IP 네트워크 엔티티(26)로 전송하는 (단계I) IP 기반 서버(24)로 보내진다.
단계 C에서, SyncML DM을 XML 표현을 위해 사용할 때, 비 IP 클라이언트(20)는 XML 메시지 내에 'Exec' 커맨드를 특정해서 그리고 비 IP 프로토콜을 위한 관리 트리 내에서 노드로서 Exec 커맨드의 타겟을 특정함으로써 호출될 수 있다.
비 IP 프로토콜이 3GPP2 IS-683라면, 노드 네임은 IS-683로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노드의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은 './root/...cdma/is-683'일 수 있다.
도 4는 설명된 방법과 시스템에 따라 예시적인 엔드 투 엔드 메시지의 표현 이다.
도 3의 다양한 방법 단계들은 MS(1), IP 기반 서버(24), 및 DM 클라이언트(20)처럼 도 3 내에 중요 노드들에 위치한 적절하게 프로그램할 수 있는 데이터 프로세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비 IP 엔티티(26)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는 IS-683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고, IS-683 프로토콜의 상이한 버전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XML 메시지는 URI 및/ 또는 메타 콘텐츠를 취급하기 위해 XML 메시지의 수신기 내에 프로세스를 불러내기 위한 1개 이상의 "커맨드들" 과 같은 메타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추가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타 데이터는 부호화되거나 또는 '포맷' 엘리먼트에 의해 특정된 다른 포맷으로 부호화된 베이스 64b (b64),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비 IP 엔티티(26)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는, 예를 들어, 노키아-에릭슨 OTA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위를 보라)
또한, XML 메시지는 SyncML DM, 또는 OMA DM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고, XML 프로토콜은 3GPP2 IOTA-DM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사용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의 재사용을 통해 중요한 비용 절약을 제공할 수 있음이 예상될 수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를 위해, 전형적으로 수천의 장치들이 있고, 존재하는 기능들을 위해 코드를 재 기록(re- writing)하는 것 대신에, 개발자들은 그 대신 향상된 서비스들 및 기능들에 초점을 둘 수 있고, 그리고 캐리어(carrier)들은 그때 이 향상된 기능들과 서비스들을 일반적인 통합된 프로비져닝 메키니즘을 사용하여 이동 사용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들은 예시적이고 비 제한적인 예들에 의해, 발명자들이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 고려되는 현재 최선의 방법 및 장치들에 대한 충분한 그리고 유익한 설명을 제공한다. 그러나 다양한 변경들 및 적용들이 첨부된 도면들과 첨부된 청구항들을 참조하여 읽을 때, 전술한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다만 어떤 예들에 따라서는, 당업자들에 의해 다른 유사한 또는 동등한 메시지 포맷들, 콘텐츠 표현들 및 그와 같은 다른 것들의 사용이 시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교시들의 모든 이런 그리고 유사한 변경들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범위 내에 머무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소정의 특징들은 다른 특징들의 사용에 대응함이 없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입장으로,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 교시들 및 실시 예들의 단순한 예시로서, 제한으로서가 아니라,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46)

  1. 엔드 투 엔드 IP 프로토콜(end-to-end protocol)을 사용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non-IP OTA protocol)을 수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비 IP 엔티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메시지 및 콘텐츠 표현을 위해 마크업(markup) 언어를 사용하는 단계(이때 마크업 언어 메시지 내에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는 '메타' 엘리먼트(element)를 사용하여 식별되고, 상기 메타 엘리먼트는 상기 콘텐츠 유형을 '비 IP 프로토콜 네임'으로 묘사함); 및
    "메타" 엘리먼트로 상기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마크업 언어 메시지로 수신된 콘텐츠를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비 IP 엔티티로부터 수신된 상기 메시지는 IS-683 메시지는 IS-683 프로토콜의 상이한 버전들을 포함하는, 비 IP OTA프로토콜을 수용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는 URI 중 최소한 하나와 1개 이상의 커맨드들로 구성된 메타 콘텐츠의 처리를 위해 추가의 정보를 포함하고, 이때 최소한 하나의 커맨드는 마크업 언어 메시지의 수신기 내에 메타 콘테츠를 취급하는 프로세스를 호출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포맷 엘리먼트에 의해 특정된 포맷으로 부호화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은 부호화된 베이스 64(b64)인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 IP 엔티티로부터 수신된 상기 메시지는 노키아 에릭슨 OTA 메시지를 포함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는 SyncML DM 메시지를 포함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는 OMA DM 메시지를 포함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 프로토콜은 3GPP2 IOTA-DM 메시지인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방법.
  11. 엔드 투 엔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비 IP OTA(Over-the-Air)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마크업 언어 '메타'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마크업 언어 메시지의 잠재적 수신기에 식별된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를 XML 메시지로 캡슐화하는 메시지와 콘텐츠 표현을 위한 마트업 언어로 동작 가능한 프로세서(메타 엘리먼트는 메타 콘텐츠 유형을 '비 IP 프로토콜 네임'으로 묘사함); 및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를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 메시지를 수신기(recipient)에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를 포함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IS-683 프로토콜 메시지를 포함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는 상기 메타 콘테츠의 처리와 관련된 추가의 정보를 포함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정보는 URI를 포함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정보는 상기 메타 콘텐츠를 취급하는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의 상기 수신기 내에 프로세스를 호출하기 위한 커맨드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콘텐츠는 부호화된 베이스 64(b64)인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콘텐츠의 부호화는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의 부분을 포함하는 '포맷' 엘리먼트에 의해 특정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노키아 에릭슨 OTA(Nokia- Ericsson OTA) 메시지를 포함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는 SyncML DM 메시지를 포함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는 OMA DM 메시지를 포함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21. 제11항에 있어서, 마크업 언어 프로토콜은 3GPP2 IOTA-DM 메시지를 포함하는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22. 비 IP 클라언트와 엔드 투 엔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비 IP 프로토콜 OTA 콘텐츠 메시지를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와 메타 콘텐츠 유형을 "비 IP 프로토콜 네임"으로 묘사하는 마크업 언어 "메타" 엘리먼트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마크업 언어 메시지로부터 상기 비 IP 기반 콘텐츠 메시지를 추출하는 메시지 및 콘텐츠 표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로 동작 가능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이동국.
  23. 제22항에 있어서,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 메시지를 상기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 메시지의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프로세서에 연결된 송신기를 또한 포함하는 이동국.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추출된 비 IP 기반 콘텐츠 메시지를 상기 비 IP 클라이언트로 보내도록 동작 가능하고, 이때 상기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 응답 메시지는 상기 비 IP 클라이언트에서 발생하는 이동국.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 메시지는 IS-683 프로토콜 메시지인 이동국.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는 상기 메타 콘텐츠에 관련된 추가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국.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정보는 URI를 포함하는 이동국.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정보는 상기 메타 콘텐츠를 취급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호출하는 커맨드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국.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콘텐츠는 부호화된 베이스 64(b64)인 이동국.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콘텐츠의 부호화는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의 부분을 포함하는 '포맷' 엘리먼트에 의해 특정되는 이동국.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 메시지는 노키아 에릭슨 OTA 메시지를 포함하는 이동국.
  3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는 SyncML DM 메시지를 포함하는 이동국.
  3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는 OMA DM 메시지를 포함하는 이동국.
  34. 제22항에 있어서, 마크업 언어 프로토콜은 3GPP2 IOTA-DM 메시지를 포함하는 이동국.
  35. 네트워크 노드의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어,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
    마크업 언어 '메타'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마크업 언어 메시지의 잠재적 수신기에 식별된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를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로 캡슐화하는 동작(상기 메타 엘리먼트는 메타 콘텐츠 유형을 '비 IP 프로토콜 네임'으로 묘사함); 및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를 수신기(recipient)로 전송하는 동작들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로 하여금 엔드 투 엔드 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 그램 명령(instruction)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데이터 저장 매체.
  36. 비 IP 클라이언트를 갖는 이동국의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가,
    엔드 투 엔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비 IP 프로토콜 OTA 콘텐츠 메시지를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 메세지를 수신하는 동작; 및
    메타 콘텐츠 유형을 '비 IP 프로토콜 네임'으로 묘사하는 마크업 언어 '메타' 엘리먼트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마크업 언어 메시지로부터 상기 비 IP 기반 콘텐츠 메시지를 추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데이터 저장 매체.
  37. 제36항에 있어서, 추가로 캡슐화된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 메시지를 상기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 메시지의 발생기로 전송하는 동작을 또한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데이터 저장 매체.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비 IP 기반 콘텐츠 메시지를 상기 비 IP 클라이언트로 보내는 동작을 또한 포함하는, 이때 상기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 응답 메시지는 상기 비 IP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생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데이터 저장 매체.
  39. 엔드 투 엔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도록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는,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마크업 언어 '메타'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마크업 언어 메시지의 잠재적 수신기에 의해 식별되는 IP 프로토콜 콘텐츠를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로 캡슐화하기 위한 메시지 및 콘텐츠 표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로 동작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서 수단과 연결됨(메타 엘리먼트는 메타 콘텐츠 유형을 '비 IP 프로토콜 네임'으로 묘사함);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를 수신기(recipient)에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 수단에 연결된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엔드 투 엔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동작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IS-683 프로토콜 메시지를 포함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동작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는 상기 메타 콘텐츠의 처리와 관련된 추가의 정보를 포함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동작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정보는 마크업 언어 메시지의 수신기 내에 상기 메타 콘텐츠를 취급하는 프로세스를 호출하기 위한 URI 중 최소한 하나와 커맨드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동작가능한 네트 워크 노드.
  43. 비 IP 엔티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메시지 및 콘텐츠 표현을 위한 마크업(markup) 언어를 사용하는 단계(마크업 언어 메시지 내에서 비 IP 프로토콜 콘텐츠는 '메타' 엘리먼트(element)를 사용하여 식별되고, 상기 메타 엘리먼트는 '비 IP 프로토콜 네임'으로 콘텐츠 유형을 묘사함); 및
    '메타' 엘리먼트로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엔드 투 엔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기 위한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IS-684 프로토콜 메시지를 수신하는 엔드 투 엔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기 위한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 콘텐츠의 처리에 관련된 상기 메시지로부터 추가의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엔드 투 엔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기 위한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 콘텐츠를 취급하는 상기 마크업 언어 메시지의 상기 수신기 내에 프로세스를 호출하는 URI 중 최소한 하나와 커맨드 중 최소한 하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엔드 투 엔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비 IP OTA 프로토콜을 수용하기 위한 방법.
KR1020077008366A 2004-09-16 2005-05-31 이동 장치들 및 서비스들을 다루기 위한 통합된 방법 및장치 KR100896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073004P 2004-09-16 2004-09-16
US60/610,730 2004-09-16
US11/062,180 2005-02-18
US11/062,180 US8065359B2 (en) 2004-09-16 2005-02-18 Integ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mobile devices and ser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434A true KR20070064434A (ko) 2007-06-20
KR100896942B1 KR100896942B1 (ko) 2009-05-14

Family

ID=36059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366A KR100896942B1 (ko) 2004-09-16 2005-05-31 이동 장치들 및 서비스들을 다루기 위한 통합된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065359B2 (ko)
EP (1) EP1792466B1 (ko)
JP (1) JP4541411B2 (ko)
KR (1) KR100896942B1 (ko)
AT (1) ATE505932T1 (ko)
AU (1) AU2005283874B2 (ko)
BR (1) BRPI0515377A (ko)
CA (1) CA2580340C (ko)
DE (1) DE602005027473D1 (ko)
MX (1) MX2007003074A (ko)
RU (1) RU2376729C2 (ko)
TW (1) TWI315641B (ko)
WO (1) WO2006030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5359B2 (en) 2004-09-16 2011-11-22 Nokia Corporation Integ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mobile devices and services
US8626128B2 (en) 2011-04-07 2014-01-07 Microsoft Corporation Enforcing device settings for mobile devices
US8010997B2 (en) * 2005-06-30 2011-08-30 Microsoft Corporation Enforcing device settings for mobile devices
KR101401799B1 (ko) * 2007-07-19 2014-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를 브로드밴드 통신 모듈이 없는전자기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2188734A4 (en) * 2007-08-08 2014-09-24 Innopath Software Inc HANDLING OF PRESSURE AND CLONE CONFIGURATION FOR MOBILE DEVICES
CN101437071B (zh) * 2007-11-15 2011-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管理树管理对象实例化的方法及设备
US8204528B2 (en) * 2008-04-24 2012-06-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access to a home, or other public network
US8509096B2 (en) * 2009-08-06 2013-08-1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220054B2 (en) * 2009-12-22 2015-12-22 Intel Corporation Enhanced service discovery mechanis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341809B2 (ja) * 2010-03-29 2013-11-13 Kddi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10044522B1 (en) * 2012-08-21 2018-08-07 Amazon Technologies Inc. Tree-oriented configuration management service
CN105766004B (zh) 2013-10-21 2019-12-03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M2m设备的爬取
CN105306233B (zh) 2014-06-19 2021-01-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管理方法及系统、服务器、终端
WO2020109908A1 (en) * 2018-11-27 2020-06-04 nChain Holding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and secure processing, accessing and transmission of data via a blockchai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4849A (en) * 1998-02-23 2000-11-07 Adc Newne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the-air service provisioning of a mobile telephone
US6691281B1 (en) * 1999-06-15 2004-02-10 Microsoft Corporation Publishing/republishing data tables in HTML documents while maintaining formatting and functionality for restoring back the data tables
US7003571B1 (en) * 2000-01-31 2006-02-21 Telecommunication Systems Corporation Of Maryland System and method for re-directing requests from browsers for communication over non-IP based networks
US6725056B1 (en) * 2000-02-09 2004-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over-the-air provisioning of a mobile station from a provisioning server via a traffic channel
US7111079B2 (en) * 2000-02-23 2006-09-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rchitecture of a bridge between a non-IP network and the web
ATE327540T1 (de) * 2000-05-25 2006-06-15 Manyworlds Inc Netzwerkverwaltungs- und zugriffssystem für unscharfe inhalte
JP2002163143A (ja) * 2000-07-28 2002-06-07 Any One Wireless Co Ltd 無線サイトのコンテンツ・リフォーマッティ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7013289B2 (en) * 2001-02-21 2006-03-14 Michel Horn Global electronic commerce system
CA2339320C (en) 2001-03-02 2006-12-05 Mitel Knowledge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telephone connections for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s
US7328271B2 (en) * 2001-03-05 2008-02-05 Mitel Networks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telephone connections for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s
JP2003076719A (ja) * 2001-06-22 2003-03-1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情報閲覧プログラム、情報閲覧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情報閲覧装置及び方法、情報生成プログラム、情報生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情報生成装置及び方法、情報生成閲覧システム
US20030012177A1 (en) * 2001-07-13 2003-01-16 Dan Vassilovski Efficient CDMA one-to-many service
US6845092B2 (en) * 2001-07-13 2005-01-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station authentication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JP2003111035A (ja) 2001-09-28 2003-04-11 Nippon Hoso Kyokai <Nhk> コンテンツ送信制御方法、受信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送信制御装置、受信制御装置ならびにコンテンツ送信制御プログラム、受信制御プログラム
JP2005512403A (ja) * 2001-12-03 2005-04-28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移動ノードの論理ツリー情報を取得する装置及びそれに伴う方法
ATE383701T1 (de) * 2002-03-14 2008-01-15 Utstarcom Inc Paketbasiertes mobiles netzwerk
AU2003239916A1 (en) * 2002-06-03 2003-12-19 Sevenspace System and method for reliable delivery of event information
US20030227939A1 (en) * 2002-06-05 2003-12-11 Satoru Yukie Establishing a connection using a hybrid receiver
KR100447399B1 (ko) 2002-07-16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티에이에 의한 휴대전화기 폰북 다운로드 방법
CA2497525A1 (en) 2002-09-03 2004-03-18 Nokia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of data providing for the handling of an interrupted synchronization process
JP3776866B2 (ja) * 2002-10-18 2006-05-17 富士通株式会社 電子ドキュメント印刷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ドキュメント印刷システム
KR20040036771A (ko) 2002-10-24 2004-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Ota를 이용한 바이너리 데이타 업그레이드 방법
EP1627281A4 (en) * 2003-05-12 2010-05-05 Tekelec Us METHOD AND SYSTEMS FOR PRODUCING, DISTRIBUTING AND VERIFYING COMMERCIAL CONTENT
US7710905B2 (en) * 2003-05-16 2010-05-04 Qualcomm Incorporated Link latency determination for optimal mobile IP re-registration
US6684121B1 (en) * 2003-05-16 2004-01-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Real time work-in-process (WIP) system
US20050071423A1 (en) * 2003-09-26 2005-03-31 Jaakko Rajaniemi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services on mobile devices
US7292855B2 (en) * 2003-11-25 2007-11-0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formation of multiple mobile IP data sessions at a mobile node
US7773550B2 (en) * 2004-04-05 2010-08-10 Daniel J. LIN Peer-to-peer mobile data transfer method and device
US7574512B2 (en) * 2004-04-15 2009-08-11 Schneider Automation Sas MODBUS encapsulated transport interface
EP1767010B1 (en) * 2004-06-15 2015-11-11 Tekelec Global,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tent-based screening of MMS messages
US8065359B2 (en) 2004-09-16 2011-11-22 Nokia Corporation Integ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manage mobile devices and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69743A1 (en) 2006-03-30
DE602005027473D1 (de) 2011-05-26
JP2008514079A (ja) 2008-05-01
EP1792466A1 (en) 2007-06-06
MX2007003074A (es) 2007-05-21
TW200614841A (en) 2006-05-01
ATE505932T1 (de) 2011-04-15
EP1792466B1 (en) 2011-04-13
KR100896942B1 (ko) 2009-05-14
BRPI0515377A (pt) 2008-07-22
TWI315641B (en) 2009-10-01
CA2580340A1 (en) 2006-03-23
AU2005283874B2 (en) 2009-10-29
JP4541411B2 (ja) 2010-09-08
CA2580340C (en) 2012-07-31
US8065359B2 (en) 2011-11-22
AU2005283874A1 (en) 2006-03-23
WO2006030261A1 (en) 2006-03-23
RU2376729C2 (ru) 2009-12-20
RU2007113614A (ru) 2008-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942B1 (ko) 이동 장치들 및 서비스들을 다루기 위한 통합된 방법 및장치
EP1964375B1 (en) Provisioning content formatting in a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CN107211232B (zh) 轻量级机器对机器协议与装置管理协议的互工作
US8051186B2 (en) Method for device capability negoti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ynchronization
US7349990B2 (en) System and method to query settings on a mobile device
US72698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ement of tree data exchange
EP2357860B1 (en) Device management server, client and method for locating target operation object
EP2738672A1 (en) Communications network, computer arcitecture,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femtocell-based applications
US200802440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Management
EP1644842B1 (en) Method; system; data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specifying nodes in device management system
KR20050074335A (ko) 플래그 파라미터를 구비한 클라이언트 프로비저닝
US81850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sioning content in a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US20070100968A1 (en) Proprietary configuration setting for server to add custom client identity
Chu et al. OMA DM v1. x compliant Lightweight Device Management for Constrained M2M devices
US20060161839A1 (en) Method for obtaining communication settings using an application descriptor
CN113079029A (zh) 配置信息订阅方法及装置
CN101044740B (zh) 管理移动设备和服务的集成方法和设备
KR20100067332A (ko) 의존성 통지
KR20060057542A (ko) 애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를 사용하여 통신 설정 정보를획득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