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735A -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735A
KR20070061735A KR1020060037753A KR20060037753A KR20070061735A KR 20070061735 A KR20070061735 A KR 20070061735A KR 1020060037753 A KR1020060037753 A KR 1020060037753A KR 20060037753 A KR20060037753 A KR 20060037753A KR 20070061735 A KR20070061735 A KR 20070061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rce
cursor
screen
signal
po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9026B1 (ko
Inventor
양우진
김태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70061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08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tinctive and separately oriented light emitters or reflectors associated to the pointing device, e.g. remote cursor controller with distinct and separately oriented LEDs at the tip whose radiations are captured by a photo-detector associated to the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가 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수신 배열센서와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을 포함하여 신호수신 배열센서로부터 계산된 위치표시 신호소스의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위치표시 신호소스 사이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무선 포인팅 장치가 포인팅하는 화면 상의 정확한 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한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상의 커서를 무선으로 포인팅하여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3차원적으로 포인팅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수단; 및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수단에서 송신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의 3차원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신호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cursor on display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상의 커서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 및 방법에서 커서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실시예의 도면.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 및 방법에서 커서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디스플레이 장치 120...화면
121...객체 122...커서(cursor)
130...신호수신 배열센서 140...무선 포인팅 장치
150a,150b,150c...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
본 발명은 화면 상의 커서를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 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위치가 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수신 배열센서와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을 포함하여 신호수신 배열센서로부터 계산된 위치표시 신호소스의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위치표시 신호소스 사이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무선 포인팅 장치가 포인팅하는 화면 상의 정확한 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한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무선 포인팅 디바이스는 자이로스코픽(gyroscopic) 효과를 이용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무선 포인팅 디바이스는,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매우 객관적이지 않게 만들고 이러한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능을 방해하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회전에 의존한다. 추가적으로, 각 모멘텀의 보존을 이용하기 위해 많은 질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는 기본적으로 무겁다. 따라서, 현재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무선 포인팅 디바이스의 상기 언급된 단점을 제거하는 무선 포인팅 디바이스에 대한 필요가 요구되었고, 이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기술로서 출원번호 10-2004-7015982로 출원된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를 제어하기 위한, 예컨대 컴퓨터마우스와 같은 무선 음향 기반 포인팅 디바이스"가 있다.
상기 출원 공개된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를 제어하기 위한, 예컨대 컴퓨터마우스와 같은 무선 음향 기반 포인팅 디바이스(이하, "무선 음향 기반 포인팅 디바이스"라 약칭한다)"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네 개의 마이크로폰(M1, M2, M3, M4)에 의해 감지되고 대응하는 정기적인 전기 신호(S1, S2, S3, S4)로 변환되는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전파하는 음향 소스를 포함한다. 상기 음향 신호의 위치 벡터는 S1과 Sj(여기서 j= 1, 2, 3) 사이의 위상-편이 시간 지연에 의존하는 삼각 측량 등식을 풀음으로서 계산된다. 위치 벡터(PC)는 커서의 위치의 변화를 음향 소스의 위치의 변화에 관계시키는 스케일 벡터를 사용해 P0로부터 계산된다. 그런 후 상기 커서는 위치 벡터(PC)와 연관된 위치로 움직인다.
그런데, 상기한 무선 음향 기반 포인팅 디바이스는 앞서 설명한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무선 포인팅 디바이스의 무거운 단점을 해결하지만, 음향을 이용하여 위치를 판별하기 때문에 제어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위치 판별을 위한 계산이 매우 복잡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치가 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수신 배열센서와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을 포함하여 신호수신 배열센서로부터 계산된 위치표시 신호소스의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위치표시 신호소스 사이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무선 포인팅 장치가 포인팅하는 화면 상의 정확한 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한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위치가 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수신 배열센서와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을 포함하여 신호수신 배열센서로부터 계산된 위치표시 신호소스의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위치표시 신호소스 사이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무선 포인팅 장치가 포인팅하는 화면 상의 정확한 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한 화면 상의 커서 제어 방법을 제공하 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상의 커서를 무선으로 포인팅하여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3차원적으로 포인팅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수단; 및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수단에서 송신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의 3차원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신호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상의 커서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의 커서를 무선으로 포인팅하기 위한 무선 포인팅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수신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상의 커서 제어장치는,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상기 신호 수신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수단은 광신호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수신수단은 디지털 카메라의 CCD 또는 CMOS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상의 커서를 무선으로 포인팅하여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3차원적으로 포인팅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 을 무선 포인팅 장치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신호소스 송신수단에서 송신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의 3차원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신호수신 배열센서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신호소스 송신모듈에서 상기 신호수신 배열센서로 신호소스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신호수신 배열센서를 통해 상기 신호소스 송신모듈의 신호소스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포인팅 장치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상의 커서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상의 커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에서 커서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에서 커서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는, 화면(120) 상의 커서(122)를 3차원적으로 포인팅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과;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에서 송신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의 3차원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신호수신 배열센서(130)(130'; 도 4);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2); 상기 신호수신 배열센서(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은 바람직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화면(120) 상의 커서(122)를 무선으로 포인팅하기 위한 무선 포인팅 장치(140)에 설치되고, 신호수신 배열센서(130)는 바람직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설치된다.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은 바람직하게 광신호를 송신하고, 신호수신 배열센서는 디지털 카메라의 CCD 또는 CMOS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121은 화면(120) 상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120) 상의 커서(122)를 3차원적으로 포인팅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을 무선 포인팅 장치(140)에 설치하는 단계(S10)와; 상기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에서 송신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의 3차원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신호수신 배열센서(130)를 디스플레이 장 치(110)에 설치하는 단계(S20);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에서 신호수신 배열센서(130)로 신호소스를 송신하는 단계(S30); 및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신호수신 배열센서(130)를 통해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의 신호소스를 수신하여 무선포인팅 장치(140)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상기 무선포인팅 장치(140)의 위치 계산은 제어부(132)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방법 알고리즘은 프로그램화되어 제어부(132)에 의해 구현될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예를 들어 TV나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프로젝터 스크린과 같은 것들이다. 신호수신 배열센서(130)(130'; 도 4)는 다수의 센서를 한 곳에 집적하여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CCD나 CMOS와 같은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은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신호수신 배열센서(130)가 디지털 카메라의 CCD인 경우 특정 파장의 빛을 송신한다.
상기와 같은 예를 사용하면 신호수신 배열센서(130)로서 디지털 카메라로 무선 포인팅 장치(140)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그 중 특정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무선 포인팅 장치(140)가 포인팅 하는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S30)(S40). 이 경우에 신호수신 배열센서(130)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CCD 상에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의 위치가 (x, y) 좌표로 각각 표시되고,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 3개와 신호수신 배열센서(130)를 잇는 직선 식을 계산할 수 있다.
도 3은 1개의 신호수신 배열센서(130)와 3개의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를 사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포인팅 장치(140)가 가리키는 지시선(240)을 계산하기 위해서, 무선 포인팅 장치(140)의 지시선(240) 시작점과 지시선(240)의 기울기를 계산해야 하며, 여기에 필요한 좌표는 지시선 좌표(x, y, z)와 기울기 벡터(1, a, b)이다. 이때, 기울기 벡터의 첫 번째를 1로 한 것은 화면(120)에 수직인 선을 x 좌표계로 하면 무선 포인팅 장치(140)의 지시선(240)이 화면(120) 쪽으로 향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x 좌표계 쪽의 기울기가 0이 될 수 없으며, 따라서 기울기 벡터의 특성상 x 좌표로 나눌 수 있기 때문이다.
나머지 다섯 좌표를 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식은 신호수신 배열센서(130)와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을 잇는 세 직선(La, Lb, Lc)의 관계식, 그리고 세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들 사이의 거리에 대한 세 개의 관계식이고, 이들을 이용하여 x, y, z, a, b의 다섯 미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계식들은 널리 공지된 수학적 이론과 공식 및 기타 관련기술에 의해 구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다섯 미지수를 용이하게 구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4는 두개의 신호수신 배열센서(130, 130')와 3개의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을 사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이 경우에는 하나의 신호소스 송신모듈에 대해 두개의 신호수신 배열센서(130, 130')로부터의 직선 관계식이 주어지므로, 두 직선의 교점으로부터 신호소스 송신모듈의 3차원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신호소스 송신모듈의 3차원 위치가 결정되면, 3개의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의 위치로부터 지시선(240)의 시작점(x, y, z)을 계산할 수 있고, 3개의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이 이루는 평면의 기울기와 (x, y, z) 점에서의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과의 기울기로부터 지시선(240)의 기울기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경우 3개의 신호소스 송신모듈(150a, 150b, 150c)이 구성하는 평면의 기울기를 지시선(240)의 기울기로 일치시키도록 무선 포인팅 장치(140)를 설계하면 더욱 쉽게 지시선(240)의 기울기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는 직선 만을 이용하므로 선형 방정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원 선형 방정식을 역산할 수 있는 행렬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커서(122) 위치를 (x, y)라고 하고, 신호수신 배열센서(130, 130') 상의 신호소스 송신모듈 좌표를 각각 (x1, y1)...(x6, y6) 라고 하면(2개의 배열센서에서 3개의 신호소스 송신모듈에 대한 좌표이므로 좌표는 모두 6개이다), x = (특정 행렬X)(x1, ..., x6, y1, ..., y6), y = (특정 행렬Y)(x1, ..., x6, y1, ..., y6)으로 계산 가능하다. 이때 특정 행렬은 장치의 특정 신호수신 배열센서의 위치,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들 사이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위치가 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수신 배열센서와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을 포함하여 신호수신 배열센서로부터 계산된 위치표시 신호소스의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위치표시 신호소스 사이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무선 포인팅 장치가 포인팅하는 화면 상의 정확한 위치를 계산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무선 포인팅 장치의 무거운 단점을 제거하고, 특히 무선 포인팅 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손가락에 끼는 포인터로 구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의 신호소스와 신호수신 배열센서를 사용하여 커서 제어의 정확성을 높이고, 복잡한 계산을 줄여 구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7)

  1.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상의 커서를 무선으로 포인팅하여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3차원적으로 포인팅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수단; 및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수단에서 송신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의 3차원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신호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상의 커서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의 커서를 무선으로 포인팅하기 위한 무선 포인팅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수신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상의 커서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상기 신호 수신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상의 커서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수단은 광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상의 커서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수단은 디지털 카메라의 CCD 또는 CMO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상의 커서 제어장치.
  6.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상의 커서를 무선으로 포인팅하여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3차원적으로 포인팅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표시 신호소스 송신모듈을 무선 포인팅 장치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신호소스 송신모듈에서 송신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표시 신호소스의 3차원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신호수신 배열센서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신호소스 송신모듈에서 상기 신호수신 배열센서로 신호소스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신호수신 배열센서를 통해 상기 신호소스 송신모듈의 신호소스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포인팅 장치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상의 커서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포인팅 장치의 위치 계산은, 상기 신호소스 송신모듈과 상기 신호수신 배열센서를 잇는 직선 선형 방정식과 직선 기울기 벡터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상의 커서 제어 방법.
KR1020060037753A 2005-12-10 2006-04-26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19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238 2005-12-10
KR20050121238 2005-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735A true KR20070061735A (ko) 2007-06-14
KR100819026B1 KR100819026B1 (ko) 2008-04-02

Family

ID=3835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753A KR100819026B1 (ko) 2005-12-10 2006-04-26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273B1 (ko) * 2012-10-31 2014-12-10 정용비 다기능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251B1 (ko) 2008-11-27 2010-04-02 삼성전기주식회사 포인팅 장치
KR101103058B1 (ko) 2009-08-25 2012-01-05 김근섭 컴퓨터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546B1 (ko) * 1996-01-17 1999-06-15 구자홍 3차원 무선포인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273B1 (ko) * 2012-10-31 2014-12-10 정용비 다기능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026B1 (ko)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72137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US20200401240A1 (en) Method for remote-controlling target apparatu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mote control system thereof
US20090259432A1 (en) Tracking determination based on intensity angular gradient of a wave
US201201694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Device for Remote Control Based on Determined Navigational State of a Remote Control Device
KR20180063263A (ko) 3차원 공간 검출 시스템, 측위 방법 및 시스템
JP5561092B2 (ja) 入力装置、入力制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43616B2 (en) Input device
US20210089142A1 (en) Electronic device for use in motion detection and method for obtaining resultant deviation thereof
US20110320165A1 (en) Electronic pen system, positional variation measuring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20050073497A1 (en)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sensing motion
US20120154132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sensory information and sense
KR100819026B1 (ko) 화면 상의 커서 제어 장치 및 방법
GB2471534A (en) Optical positioning apparatus and positioning method thereof
US10830875B2 (en) Auxiliary apparatus for a lighthouse positioning system
JP2008107886A (ja) 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ポインティング制御方法
JP2008065511A (ja) 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ポインティング制御方法
CN112835021B (zh) 定位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0079458A (ja) 筆跡表示システム
KR20090010356A (ko) 발광 및 수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포인팅 시스템
JP2019178886A (ja) 距離測定装置
US20130155211A1 (en) Interactive system and interactive device thereof
KR100601001B1 (ko) 자이로와 초음파를 이용한 컴퓨터 입력장치
KR100632184B1 (ko)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공간 포인팅 장치 및 그 방법
WO2020087041A1 (en) Mixed reality device tracking
JP2012202702A (ja) 位置情報提供装置および位置情報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