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0937A -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0937A
KR20070060937A KR1020050121168A KR20050121168A KR20070060937A KR 20070060937 A KR20070060937 A KR 20070060937A KR 1020050121168 A KR1020050121168 A KR 1020050121168A KR 20050121168 A KR20050121168 A KR 20050121168A KR 20070060937 A KR20070060937 A KR 20070060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ospital
patient
personal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진
김내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1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0937A/ko
Priority to US11/634,048 priority patent/US20070136103A1/en
Publication of KR2007006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9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16H10/65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stored on portable record carriers, e.g. on smartcards, RFID tags or C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개인 식별정보(ID)가 기록된 RFID 태그 형태의 환자용 의료카드를 이용하여 병원 곳곳(예 : 로비, 통로)에 설치된 RFID 리더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센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수집된 자신의 개인 의료정보(신상정보, 진료기록, 예약사항 등) 및 병원 안내사항(예 : 조제실 위치)을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병원 내에서 각종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데이터가 수집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 단계; 일정 지역 내로 진입한 RFID 태그로부터 RFID 리더가 개인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개인 식별정보 추출 단계;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 사항을 입력받는 요청 사항 접수 단계; 상기 추출한 개인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 중, 상기 요청받은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 및 상기 검색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병원 의료 서비스 시스템 등에 이용됨.
RFID, 관리센터, 진료실 컴퓨터 시스템, 환자용 컴퓨터 시스템, 개인 의료정보, 병원 안내사항, 병원 의료 서비스

Description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 in hospital using RFID}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진료실 컴퓨터 시스템 20 : 관리센터
30 : 환자용 컴퓨터 시스템 40 : RFID 태그
50 : RFID 리더
본 발명은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 식별정보(ID)가 기록된 RFID 태그 형태의 환자용 의료카드를 이용하여 병원 곳곳(예 : 로비, 통로)에 설치된 RFID 리더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센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수집된 자신의 개인 의료정보(신상정보, 진료기록, 예약사항 등) 및 병원 안내사항(예 : 조제실 위치)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병원 내에서 각종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주파수인식(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무선인식이라 함)이란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고유의 식별정보가 부여된 전자태그로부터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추출하거나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전자태그가 부착된 물건, 동물, 사람 등을 인식, 추적,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무선인식 시스템은 물건, 동물 등에 부착되는 다수의 RFID 태그(전자태그, Transponder)와,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거나 쓰기 위한 RFID 리더(Interrogator)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인식 시스템은 RFID 태그와 RFID 리더 간의 통신 방식에 따라 상호 유도 방식과 전자기파 방식으로 나뉠 수 있고, RFID 태그의 자체 전력 사용 여부에 따라 능동형과 수동형으로 나뉠 수도 있다. 또한, 상호 간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에 따라 장파, 중파, 단파, 초단파, 극초단파형으로 구분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규격이 제정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병원 의료 서비스에 대하여 살펴보면, 환자가 처음으로 내원한 경우 병원에서는 환자의 이름, 성별, 나이, 주민번호와 같은 신상정보를 문서를 통 해 넘겨받아 컴퓨터에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그리고, 환자에게 본인의 신상정보가 기록된 마그네틱 형태의 의료카드를 제공한다. 이후,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면 마그네틱 의료카드에 기록된 개인의 신상정보를 카드리더기를 통해 읽어와 환자의 과거 진료기록 등을 참조하게 된다. 각 병원에는 다양한 진료과목(외과, 내과 등)이 존재하고 환자별로 여러 진료과목에서 진료를 받은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효율적/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통합관리 프로그램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존의 병원 의료 서비스는 의료카드가 마그네틱 형태이므로 카드리더기를 통한 직접 접촉에 의해 개인의 신상정보를 읽어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의료카드를 읽을 수 있는 카드리더기로의 접근이 병원 관리자로 제한되므로, 개인에게 의료카드가 지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병원 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본인의 진료기록 등을 개인의 의료카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활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인식(RFID)을 이용한 병원 관련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메리카 합중국 공개특허"radio frequency patient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system(공개번호 US 20020058110, 2003.3.27 공개)"에 대하여 살펴보면, 환자의 손목이나 발목에 채워지거나 혹은 끈에 의해 환자의 목에 매달리거나 혹은 환자의 지갑 등에 카드/라벨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거나 혹은 환자의 피부 하에 이식될 수 있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를 이용하여 상기 트랜스폰더에 저장된 환자의 개인 신상정보, 병력 등을 위급 상황 발생시 확인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의식이 불투명하더라도 개인 병력에 따라 치명적이지 않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종래 기술은 RFID 태그 형태로 된 트랜스폰더에 환자의 집주소, 직장주소, 가까운 친척 정보, 현재 주치의, 병력, 알레르기 및 과거/현재 처방 약품 등을 모두 기록하여 위급 상황 발생시 환자의 상태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의 종래 기술은 각종 신상정보, 의료 이력 등이 모두 트랜스폰더 내에 기록되어야 하므로, 적어도 2천 비트 정보의 읽기/쓰기 가능한 메모리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위급 상황 하에서 요긴하게 사용되지만, 평상시에 환자 입장에서 자신과 관련된 의료정보에 효과적으로 접근하는 방안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개인 식별정보(ID)가 기록된 RFID 태그 형태의 환자용 의료카드를 이용하여 병원 곳곳(예 : 로비, 통로)에 설치된 RFID 리더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센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수집된 자신의 개인 의료정보(신상정보, 진료기록, 예약사항 등) 및 병원 안내사항(예 : 조제실 위치)을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병원 내에서 각종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병원 곳곳에 설치된 RFID 리더가 일정 지역(범위) 내로 진입한 환자의 고유 RFID 태그로부터 개인 식별정보(ID)를 읽음에 따라 그에 해당되는 개인 의료정보, 병원 안내사항을 관리센터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소정 인터페이스(예 : 모니터)를 통해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각종 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데이터가 수집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 단계; 일정 지역 내로 진입한 RFID 태그로부터 RFID 리더가 개인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개인 식별정보 추출 단계;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 사항을 입력받는 요청 사항 접수 단계; 상기 추출한 개인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 중, 상기 요청받은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 및 상기 검색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인의 보안정보를 입력받는 보안정보 획득 단계; 상기 추출한 개인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보안정보와, 상기 입력받은 보안정보가 일치함을 확인하는 신원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환자에게 RFID 형태의 의료카드를 발급하고 이를 이용하여 병원 곳곳에 설치된 RFID 리더를 통해 개인 식별 과정을 통과한 후 소정 인터페이스(예 : 모니터)를 통해 병원 내 데이터베이스에 수집된 자신의 의료정보를 열람(확인)하고, 필요한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 템은, 진료기록(진단결과, 처방/투약), 검사/진료 예약사항 등과 같은 각종 개인 의료정보를 관리센터(20)의 데이터베이스(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수집된 개인 의료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진료실 컴퓨터 시스템(10), 각 진료실 컴퓨터 시스템(10)을 통해 입력된 의료정보를 랜(LAN)을 통해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진료실 컴퓨터 시스템(10)으로부터 요청받은 의료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 후 회신하여 환자별 의료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관리센터(20), RFID 리더(50)를 통해 입력받은 외부 요청(환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센터(20)의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개인 의료정보(신상정보, 진료기록, 예약사항 등) 및 병원 안내사항(예 : 조제실 위치)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자용 컴퓨터 시스템(30)을 포함한다. 이때, 관리센터(2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병원 안내사항과 같은 일반적인 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여기서, 각 진료실 컴퓨터 시스템(10)은 외과, 내과, 소아과 등과 같은 다양한 진료실에 각각 위치하고 있고, RFID 리더(50)를 입력장치로서 구비한 환자용 컴퓨터 시스템(30)은 통로, 로비와 같은 병원 내 적소에 위치하고 있다. 그에 따라, 병원 내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개인 의료정보 및 병원 안내사항을 편리하게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 진료실 컴퓨터 시스템(10)과 각 환자용 컴퓨터 시스템(30)은 랜(LAN)을 통해 관리센터(20)와 연결되어 있고, 진료실 컴퓨터 시스템(10)에는 통합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환자에게 의료카드로서 제공되는 RFID 태그(40)에 대하여 살펴보면, 병원 곳곳에 위치한 RFID 리더(50)에 의해 읽혀 환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환자의 개인 식별정보(ID)를 저장하고 있다. 물론, 개인 식별정보(ID) 외에 이름, 나이, 성별, 주민번호 등과 같은 다른 신상정보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RFID 리더(50)에 대하여 설명하면, RFID 리더(50)는 병원 곳곳(예 : 통로, 로비)에 위치한 환자용 컴퓨터 시스템(30)의 입력장치로서 동작한다. 즉, RFID 리더(50)는 일정 지역(범위) 내로 진입한 개별 RFID 태그(40)로부터 그에 기록된 개인 식별정보(ID)를 읽어와 현재 연결된 환자용 컴퓨터 시스템(30)으로 전달한다. 그리하여, 환자용 컴퓨터 시스템(30)이 환자를 식별하고, 이후의 동작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환자용 컴퓨터 시스템(30)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연결된 RFID 리더(50)로부터 임의의 개인 식별정보(ID)를 전달받음에 따라 개인별로 기 설정(등록)된 보안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키보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소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개인별 보안정보란 패스워드, 지문 등과 같이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정보를 말한다.
상기 환자용 컴퓨터 시스템(30)은 RFID 리더(50)를 통해 기 입력받은 개인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보안정보를 관리센터(20)로 요청하여 전달받고, 이를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개인의 보안정보(예 : 패스워드, 지문)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일치 여부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개인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을 차단한다. 물론, 병원 안내사항(예를 들면, 조제실 위치와 같이 병원 내 각 장소에 대한 안내도)과 같은 일반적인 정보에는 접근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반면에, 상기 일치 여부 판단 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소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 및 확인을 원하는 사항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그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관리센터(20)로 요청하고, 그 결과로 전달받음에 따라 외부로 출력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현재, 관리센터(20)의 데이터베이스(도시되지 않음)에는 각 환자에 대한 개인 의료정보과 병원 안내사항이 저장되어 있다. 즉, 관리센터(20)는 진료실 컴퓨터 시스템(10)을 통해 입력받은 각종 정보(진료기록 등)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물론, 접수실(도시되지 않음) 등을 통해 입력받는 정보(예를 들면, 최초 내원시 환자에게 부여된 개인 식별정보) 역시 저장한다.
먼저, 환자용 컴퓨터 시스템(30)의 RFID 리더(50)는 일정 지역(범위) 내에 RFID 태그(40)가 진입함에 따라(201) 상기 RFID 태그(40)와 통신하여 환자의 개인 식별정보(ID)를 추출한다(202).
즉, RFID 리더(50)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일정 반경 영역 내에 존재하는 RFID 태그(40)를 탐색하는데, RFID 태그(4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RFID 태그(40)로부터 개인 식별정보(ID)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환자용 컴퓨터 시스템(30)은 소정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환자)로부터 개인의 보안정보를 입력받는다(203). 즉, 환자로부터 키보드,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패스워드를 입력받는다. 이때, 보안정보로서 지문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환자용 컴퓨터 시스템(30)은 관리센터(20)로 요청한 결과로 상기 추출한 개인 식별정보(ID)에 대응되는 보안정보를 전달받고(204), 상기 전달받은 보안정보와 상기 입력받은 개인의 보안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205). 즉, 데이터베이스에 기 등록된 패스워드와, 환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은 패스워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환자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신원 확인 과정이다.
상기 일치 여부 판단 결과(205),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개인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을 차단한다(206). 물론, 병원 안내사항(예 : 안내도)과 같은 일반적인 정보에는 접근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보안정보를 입력하는 과정(203)으로 다시 진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반면에, 상기 일치 여부 판단 결과(205),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 및 확인을 원하는 사항을 입력받는다(207). 그리고, 그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관리센터(20)로 요청하고, 그 결과로 전달받음에 따라 모니터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208).
즉, 관리센터(20)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검색)하여 요청받은 해당 환자의 진료기록(진단결과, 처방/투약), 검사/진료 예약사항, 및 병원 안내사항(예 : 안내도)을 환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환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처방전 항목을 선택하면 조제실 위치(약도)를 디스플레이하여 환자가 조제실을 용이하게 찾아가도록 안내해줄 수 있다. 이때, 현재 위치 및 각 적소(여기서는, 조제실)의 위치는 RFID 리더에 식별코드를 부여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즉, 안내도에 포함되는 병원 내 각 장소에 고유의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서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내/외부 기관과 연결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선택할 수도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의 약국에서 조제하는 경우, 환자로부터 해당 서비스 항목을 선택받음에 따라 기 등록된 지정 약국으로 처방전이 자동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환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검사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환자가 받아야할 검사를 진행하는 검사실 위치(약도), 검사 가능 시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또 다른 예로, 환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예약 항목을 선택하면 예약 접수 일자, 진료과목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RFID 태그 형태의 의료카드를 병원의 곳곳에 위치한 RFID 리더에 근접시키는 것으로 소정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인의 개인 의료정보 및 병원 안내사항을 손쉽게 확인해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병원 내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데이터가 수집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 단계;
    일정 지역 내로 진입한 RFID 태그로부터 RFID 리더가 개인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개인 식별정보 추출 단계;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 사항을 입력받는 요청 사항 접수 단계;
    상기 추출한 개인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 중, 상기 요청받은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 및
    상기 검색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인의 보안정보를 입력받는 보안정보 획득 단계;
    상기 추출한 개인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보안정보와, 상기 입력받은 보안정보가 일치함을 확인하는 신원 확인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정보는,
    패스워드, 지문 중 한 가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검색한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단계는,
    내/외부 기관과 연결된 서비스 중 임의의 서비스를 요청받았을 경우, 상기 검색한 데이터를 해당 기관으로 자동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단계는,
    처방전을 검색하여 지정 약국으로 자동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개인 의료정보 및 병원 안내사항 중, 상기 요청받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신상정보, 진료기록, 예약사항, 안내도 중 상기 요청받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터치스크린, 키보드, 모니터, 지문인식장치 중 한 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50121168A 2005-12-09 2005-12-09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70060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168A KR20070060937A (ko) 2005-12-09 2005-12-09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US11/634,048 US20070136103A1 (en) 2005-12-09 2006-12-05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 in hospital based on RF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168A KR20070060937A (ko) 2005-12-09 2005-12-09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937A true KR20070060937A (ko) 2007-06-13

Family

ID=3814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168A KR20070060937A (ko) 2005-12-09 2005-12-09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136103A1 (ko)
KR (1) KR200700609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571B1 (ko) * 2008-12-24 2011-06-20 유중열 위치 추적을 이용하는 예약 영접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1067326B1 (ko) * 2009-05-14 2011-09-23 이원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22114B1 (ko) * 2011-01-05 2014-02-27 주식회사 에페스 Rfid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4876B2 (en) * 2008-08-28 2014-06-03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atient identification beacon for patient worn sensors
US8279063B2 (en) * 2008-11-12 2012-10-02 Xhale, Inc. Personnel location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enclosed facilities
KR101056510B1 (ko) * 2010-02-24 2011-08-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생동성 시험을 위한 피시험자 호출 시스템 및 방법
US9032512B2 (en) 2010-11-11 2015-05-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 access to healthcare information
CN103544667B (zh) * 2013-10-10 2016-06-01 孙炜一 基于医疗信息平台的电子标签集成系统
WO2019071321A1 (en) * 2017-10-12 2019-04-18 Somark Group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INFORMATION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4074A (en) * 1996-09-27 1999-07-13 Azron Incorporat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US20020082865A1 (en) * 2000-06-20 2002-06-27 Bianco Peter T. Electronic patient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US20030058110A1 (en) * 2001-09-27 2003-03-27 Rich Michael John Radio frequency patient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system
US20050060188A1 (en) * 2003-09-03 2005-03-17 Electronic Data System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health care patient and service management
US8185411B2 (en) * 2004-02-17 2012-05-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atient controlled access of medical recor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571B1 (ko) * 2008-12-24 2011-06-20 유중열 위치 추적을 이용하는 예약 영접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1067326B1 (ko) * 2009-05-14 2011-09-23 이원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22114B1 (ko) * 2011-01-05 2014-02-27 주식회사 에페스 Rfid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36103A1 (en)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0937A (ko) 무선인식을 이용한 병원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AU2004250970B2 (en) Electronic security system for monitoring and recording activity and data relating to institutions and clients thereof
US20090057399A1 (en) Electronic security system for monitoring and recording activity and data relating to institutions and clients thereof
US8284024B2 (en) System and method of issuing patient identification devices
US20130218599A1 (en) Dual-access security system for medical records
NZ544088A (en) Electronic security system for monitoring and recording activity and data relating to institutions and clients thereof
US20060218626A1 (en) Patient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070156707A1 (en) Device and method for access to information which relates to at least one medicament
US9058411B2 (en) Medical informa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use
Aguilar et al. Positive patient identification using RFID and wireless networks
KR100996721B1 (ko) 알 에프 아이디 태그와 휴대용 정보 수신장치를 이용한건강 검진 운영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방법
US20100071044A1 (en) Method for tracking location of patients and doctors in a medical office or hospital practice
Al-Hashedi et al. RFID applications in Hajj management system
JP2003108676A (ja) 診療情報検索用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2351997A (ja) 携帯電話を用いたicカード保険証システム
JP2002073807A (ja) 医療情報システム、医療情報サーバ装置、医療情報端末装置および医療情報管理方法
KR101701214B1 (ko)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JP2013238971A (ja) 処方薬提供システム及び処方薬提供方法
WO2002041237A9 (en) A system for non-contact identification and retrieval of an individuals personal information
KR102347545B1 (ko) 애완동물 인식 서비스 시스템
JP6864280B1 (ja) 医療施設における非接触入退館管理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入退館管理装置
Joshi et al. RFID SYSTEM-used for monitoring and tracking patient (MTP)
Safdari et al. RFID technology in health environment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modern cancer care
JP2002366650A (ja) 病院総合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Banafa Microchips in humans: Consumer-friendly app, or new frontier in surveill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