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0203A - 표시장치용 보호커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용 보호커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0203A
KR20070060203A KR1020050119242A KR20050119242A KR20070060203A KR 20070060203 A KR20070060203 A KR 20070060203A KR 1020050119242 A KR1020050119242 A KR 1020050119242A KR 20050119242 A KR20050119242 A KR 20050119242A KR 20070060203 A KR20070060203 A KR 20070060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region
adhesive
display device
reg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506B1 (ko
Inventor
김세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506B1/ko
Priority to JP2006329681A priority patent/JP4866219B2/ja
Priority to US11/567,816 priority patent/US7570316B2/en
Priority to CN2006100647676A priority patent/CN1983458B/zh
Publication of KR20070060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신호전송용 필름의 손상을 방지하는 표시장치용 보호커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표시장치용 보호커버는 표시패널에 연결된 신호전송용 필름들을 수납 용기의 측벽을 향해 절곡시킨다. 보호커버에는 프론트 케이스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1 접착영역, 수납 용기의 바닥판에 접착되는 제2 접착영역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영역이 정의된다. 가이드영역과 제2 접착영역간의 경계선은 신호전송용 필름들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제2 접착영역의 에지로부터 제1 간격만큼 이격되고, 신호전송용 필름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제1 간격보다 큰 제2 간격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이 상기 가이드영역에서 슬라이딩되며 절곡되어 외력에 의한 신호전송용 필름에 형성된 도전패턴의 손상이 방지된다.
신호전송, 게이트, 보호커버, 접착, 필름

Description

표시장치용 보호커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PROTECTING COVER USED IN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보호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용 보호커버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보호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보호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I-I'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0 : 보호커버 91 : 접착필름
92 : 제1 접착영역 93 : 제2 접착영역
94 : 가이드영역 97 : 베이스필름
98 : 경계선 400 : 표시장치
410 : 수납 용기 440 : 표시패널
450 : 패널 어셈블리 451, 453 :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
455 : 통합인쇄회로기판 457, 459 : 구동칩
470 : 프론트 케이스 471 : 제1 면
477 : 제2 면 490 : 보호커버
491 : 접착필름 497 : 베이스필름
본 발명은 표시장치용 보호커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전송용 필름에 불필요한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을 가이드 하는 표시장치용 보호커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평판표시장치의 하나로써,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에 비해 두께가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전압에서 작동하고 소비전력량이 낮은 장점에 의해 다양한 정보처리장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표시장치는 부품수, 무게 및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 많은 연구 및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본원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9-13650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 그를 포함한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 그를 채용한 액정 표시장치 및 이들의 조립 방법"에는 게이트 구동신호 및 데이터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통합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데이터 구동신호는 통합인쇄회로기판-데이터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데이터 라인의 경로를 거쳐 데이터 라인에 입력되도록 하고, 게이트 구동신호는 통합인쇄회로기판-데이터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TFT 기판에 형성된 신호 전송 패턴-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게이트 라인의 경로를 따라서 게이트 라인에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액정 표시패널의 두께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는 게이트 인쇄회로기판을 제거한 액정 표시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지 않는 표시패널에서,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의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표시장치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불필요한 외력이 가해져,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납 용기와 체결되어 표시패널을 고정하는 탑샤시 등과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간섭을 일으켜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지 않고,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형 성된 도전 패턴에 크렉이 발생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정상적 작동이 불가능해지는 불량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표시장치의 조립과정에서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체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보호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게이트 캐리어 패키지의 일부분과 접착되어 상기 게이트 캐리어 패키지를 상기 수납 용기의 측벽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그러나, 보호커버와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상호 접착되어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수납 용기의 바닥판 또는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수납 용기에 고정시키는 탑샤시에 상기 보호커버를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외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여전히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영역 및 신호전송용 필름을 절곡시키는 가이드영역이 정의되어, 조립과정에서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에 바람직하지 않은 외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 표시장치용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장치용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보 호커버(이하, '보호커버'로 칭함)는 표시패널에 연결된 신호전송용 필름들을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의 측벽을 향해 절곡시킨다. 상기 보호커버에는 제1 접착영역, 제2 접착영역 및 가이드영역이 정의된다. 상기 제1 접착영역은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며 상기 수납 용기에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의 측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2 접착영역은 상기 수납 용기의 바닥판의 배면에 접착된다. 상기 가이드영역은 상기 제1 접착영역과 제2 접착영역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을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영역과 제2 접착영역간의 경계선은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들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2 접착영역의 에지로부터 제1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1 간격보다 큰 제2 간격만큼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커버는 접착필름 및 베이스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필름에는 상기 제1 접착영역, 제2 접착영역 및 가이드영역이 정의된다. 상기 베이스필름은 상기 가이드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의 단부를 상기 측벽을 향해 절곡시키며, 상기 경계선은 상기 베이스필름의 프로파일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의 상기 단부는 상기 가이드영역 내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커버는 베이스필름 및 접착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필름에는 상기 제1 접착영역, 제2 접착영역 및 가이드영역이 정의된다. 상기 접착필름은 상기 제1 및 제2 접착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경계선을 정의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수납 용기, 패널 어셈블리, 프론트 케이스 및 보호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 용기는 바닥판 및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판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표시패널 및 신호전송용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은 상기 표시패널의 에지에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면은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커버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측벽을 커버한다. 상기 보호커버에는 제1 접착영역, 제2 접착영역 및 가이드영역이 정의된다. 상기 제1 접착영역은 상기 제2 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2 접착영역은 상기 바닥판의 배면에 접착된다. 상기 가이드영역은 상기 제1 접착영역과 제2 접착영역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을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영역과 제2 접착영역간의 경계선은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들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2 접착영역의 에지로부터 제1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1 간격보다 큰 제2 간격만큼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커버는 접착필름 및 베이스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필름에는 상기 제1 접착영역, 제2 접착영역 및 가이드영역이 정의된다. 상기 베이스필름은 상기 가이드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경계선을 정의하며,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의 단부를 상기 측벽을 향해 절곡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의 상기 단부는 상기 제2 접착영역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1 간격보다 크고 상기 제2 간격보다 작은 제3 간격만큼 이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커버는 베이스필름 및 접착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필름에는 상기 제1 접착영역, 제2 접착영역 및 가이드영역이 정의된다, 상기 접착필름은 상기 제1 및 제2 접착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경계선을 정의하며, 상기 제2면 및 배면에 각각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면에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의 폭은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의 폭 이상이다. 상기 절개부는 절곡된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의 일부를 상기 제1 접착영역 또는 상기 가이드영역에 노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벽에는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에 실장된 구동칩이 배치되는 챔퍼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커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장치의 조립시 신호전송용 필름이 보호커버의 접착영역에 접착되어 외력을 받음에 따라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보호커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커버의 결합 사시도이다.
보호커버(90)는, 인쇄회로기판이 생략되고 표시패널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패널의 외측으로 돌출된 신호전송용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서,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을 절곡시켜 지정된 위치로 가이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패널은 하부 기판, 상부 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과 상 부 기판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기판에는 데이터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과 교차하는 게이트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기판은 상기 하부 기판과 대향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게이트 구동신호 및 데이터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통합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구동신호 및 데이터 구동신호를 인가 받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합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구동신호는 통합인쇄회로기판-데이터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데이터 라인의 경로를 거쳐 상기 하부기판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에 입력된다. 한편, 상기 게이트 구동신호는 상기 통합인쇄회로기판-데이터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하부 기판에 형성된 신호 전송 패턴-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게이트 라인의 경로를 따라서 상기 게이트 라인에 입력된다.
상기 표시패널은 수납 용기에 수납되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표시패널의 유효 표시영역을 노출시키며 상기 수납 용기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상기 표시패널의 아래로 절곡시킨다.
상기 보호커버(9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로부터 노출된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단부를 상기 수납 용기의 측벽을 향하여 절곡시킨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커버(90)에는 제1 접착영역(92), 제2 접착영역(93) 및 가이드영역(94)이 정의된다. 상기 제1 접착영역(92)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측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2 접착영역(93)은 상기 수납 용기의 바닥판의 배면에 접착된다. 상기 가이드영역(94)은 상기 제1 접착영역(92)과 제2 접착영역(93)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접착영역(92) 및 제2 접착영역(93)과 각각 경계 선들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영역(94)에는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의 단부가 배치되어 상기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접착영역(92, 93)들에는 접착성을 갖는 재질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영역(94)에는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접착성을 갖지 않는 재질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1 접착영역(92), 제2 접착영역(93) 및 가이드영역(94)을 정의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커버(90)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필름(91) 및 베이스필름(97)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필름(91)은 예를 들어, 접착태이프이다. 상기 접착필름(91)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접착필름(91)의 장변은 상기 수납 용기의 측벽의 길이 방향에 대응한다.
상기 베이스필름(97)은 상기 장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접착필름(91)보다 작은 평면적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필름(97)의 단변의 길이는 상기 접착필름(91)의 단변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베이스필름(97)의 장변의 길이는 상기 접착필름(91)의 장변의 길이보다 작다. 상기 베이스필름(97)은 플렉시블하며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필름(97)은 상기 접착필름(91)의 에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접착필름(91)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접착영역(92), 제2 접착영역(93) 및 가이드영역(94)이 각각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필름(97)은 상기 가이드영역(94)을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접착필름(91)의 일측 장변으로부터 상기 베이스필름(97)의 일측 장변 사이에 대응하는 제1 접착영역(92)이 정의되고, 상기 일측 장변에 대응하는 상기 접착필름(91)의 타측 장변으로부터 상기 베이스필름(97)의 타측 장변 사이에 대응하는 제2 접착영역(93)이 정의된다. 즉, 상기 베이스필름(97)의 프로파일은 상기 베이스필름(97)과 제1 및 제2 접착영역(92, 93)들의 경계선들을 각각 정의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필름(97)의 상기 타측 장변의 프로파일은 상기 베이스필름(97)이 형성하는 평면 상에서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나머지가 내측으로 들어간 요철 형상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영역(94)과 제1 접착영역(92)간의 경계선(98)은 상기 베이스필름(97)의 상기 타측 장변의 프로파일을 따라 상기 접착필름(91)이 형성하는 평면 상에서 요철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영역(94)과 제2 접착영역(93)간의 경계선(98)은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들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2 접착영역(93)의 에지로부터 제1 간격(98a)만큼 이격되고,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1 간격(98a)보다 큰 제2 간격(98b)만큼 이격된다.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영역(94) 내에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호커버(190)는 접착필름(191) 및 베이스필름(197)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커버(190)는 상기 접착필름(191)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보호커버(9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접착필름(191)의 타측 장변, 즉 상기 제2 접착 영역의 에지 중,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들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필름(197)은 상기 절개부의 기저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접착필름(191)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절개부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필름(197)의 타측 장변의 프로파일은 가이드영역(194)과 제2 접착영역(193)간의 경계선(198)을 형성한다. 상기 경계선(19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경계선(98)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호커버(290)는 베이스필름(291), 제1 접착필름(296) 및 제2 접착필름(297)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필름(291)은 수납 용기의 측벽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장변 방향으로 신장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필름(291)에는 제1 접착영역(292), 제2 접착영역(293) 및 가이드영역(294)이 정의된다.
상기 제1 접착영역(292)은 상기 베이스필름(291)의 일측 장변으로부터 소정의 폭을 갖고 상기 일측 장변을 따라 정의된다. 상기 제2 접착영역(293)은 상기 일측 장변에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필름(291)의 타측 장변으로부터 불균일한 폭을 갖고 상기 타측 장변을 따라 정의된다.
상기 가이드영역(294)은 상기 제1 및 제2 접착영역(292, 293)들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접착영역(292)과 가이드영역(294)의 제1 경계선, 상기 제2 접착영역(293)과 가이드영역(294)의 제2 경계선(298), 상기 베이스필름(291)의 양측 단변은 상기 가이드영역(294)을 정의한다.
상기 제2 경계선(298)은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제2 접착영역(293)의 에지, 즉 상기 베이스필름(291)의 상기 타측 장변으로부터 제1 간격(298a)만큼 이격되고,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들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제1 간격(298a)보다 큰 제2 간격(298b)만큼 이격된다.
상기 제1 접착필름(296)은 상기 제1 접착영역(292)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갖고, 상기 제2 접착필름(297)은 상기 제2 접착영역(293)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갖는다.
표시장치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표시장치(400)는 수납 용기(410), 패널 어셈블리(450), 프론트 케이스(470) 및 보호커버(490)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 용기(410)는 바닥판(411) 및 제1 내지 제4 측벽들(413, 415, 417, 419)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벽(413) 및 제2 측벽(415)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바닥판(411)의 주변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3 측벽(417) 및 제4 측벽(419)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바닥판(411)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측벽(413)과 제2 측벽(415)을 각각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판(411) 및 제1 내지 제4 측벽들(413, 415, 417, 419)은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3 측벽(417)의 외측면과 바닥판(411)의 배면이 만나서 형성하 는 모서리에는 챔퍼부(418)가 형성된다. 상기 챔퍼부(418)는 상기 외측면 및 배면과 대략 45도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제3 측벽(41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제3 측벽(417)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챔퍼부(418)의 길이는 후술될 상기 보호커버(490)의 상기 제3 측벽(417)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I-I'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장치(400)는 광원(420) 및 광학 부재(4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광원(420)은 램프 및 램프 리플렉터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는 상기 제1 측벽(413)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램프 리플렉터는 상기 램프의 주위를 감싸 램프를 보호 및 램프로부터 발생된 광을 집광하여 상기 수납공간으로 반사한다.
상기 광학 부재(430)는 상기 광원(420)으로부터 제공된 광의 광학적 특성, 예를 들어, 휘도 및 휘도 균일성 등을 향상시킨다. 상기 광학 부재(430)는 상기 광원(42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도광판(431), 상기 도광판(431)의 상부에 배치되는 확산 시트(433) 및 집광 시트들(435, 437) 및 상기 도광판(431)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439)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431)은 일 측면에 제공된 광을 가이드하여 휘도 분포가 보다 향상된 광을 출사한다. 상기 확산 시트(433)는 상기 도광판(431) 위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43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킨다. 상기 집광 시트들(435, 437)은 확산 시트(433)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정면 휘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반사 시트(439) 는 상기 도광판(431)으로부터 상기 바닥판(411)을 통해 누설되는 광을 반사 시켜 다시 상기 도광판(431)의 내부로 입사시킨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450)는 상기 광학 부재(430)로부터 제공된 광을 기초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450)는 표시패널(440), 데이터 신호전송용 필름(451) 및 게이트 신호전송용 필름(453)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450)은 상기 광학 부재(430)로부터 출사된 광을 받아 영상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광으로 변경시킨다. 상기 표시패널(450)은 광학 부재(430) 위에 배치되며, 수납 용기(410)에 수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패널(450)은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413, 415, 417, 419)에 형성된 단턱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450)은 제1 기판(441), 제2 기판(445) 및 액정층(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441)은 하부 기판 및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기판은 투명한 유리기판이며, 상기 하부 기판 위에는 가로 방향으로 게이트 라인들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라인과 절연되어 세로 방향으로 데이터 라인들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은 화소 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화소 영역은 메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도시되지 않음)로서, 상기 화소 영역들에 배치된다.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소오스 단자에는 상기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단자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 단자에는 투명한 도 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이 연결된다.
제2 기판(445)은 제1 기판(441)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 배치된다. 제2 기판(445)은 상부 기판 및 색화소를 포함한다. 상기 색화소는 상기 화소 영역에 배치된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기판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색화소는 광이 통과하면 소정의 색으로 발현되는 RGB 색화소를 포함한다. 상기 색화소가 배치된 상기 상부 기판의 전면적에는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여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이 형성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온(turn on)되면, 상기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기장에 의해 상기 제1 기판(441)과 제2 기판(445)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구성하는 액정의 배열이 변화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광원(420)으로부터 상기 광학 부재(430)를 통해 상기 표시패널(440)에 제공되는 광의 투과도가 변경되어 상기 표시패널(440)은 원하는 계조의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데이터 신호전송용 필름(451)은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 신호전송용 필름(453)은 상기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데이터 신호전송용 필름(451) 및 게이트 신호전송용 필름(453)은 각각 데이터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1) 및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1) 및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는 상기 표시패널(44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450)는 상기 표시패널(440)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 동신호 및 게이트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통합인쇄회로기판(455)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통합인쇄회로기판(455)은 상기 데이터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1)를 통해 상기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다.
통합인쇄회로기판(455)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데이터 구동신호는 통합인쇄회로기판-데이터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데이터 라인의 경로를 거쳐 상기 데이터 라인에 입력되고, 상기 게이트 구동신호는 통합인쇄회로기판-데이터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제1 기판에 형성된 신호 전송 패턴-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게이트 라인의 경로를 따라서 상기 게이트 라인에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1) 및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1, 453)는 각각 데이터 구동칩(451) 및 게이트 구동칩(459)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칩(451) 및 게이트 구동칩(459)은 각각 상기 통합인쇄회로기판(455)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데이터 구동신호 및 게이트 구동신호가 상기 표시패널(440)에 인가되는 타이밍을 제어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470)는 상기 표시패널(440)을 상기 수납 용기(410)에 고정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470)는 상기 수납 용기(410)에 체결되어 상기 표시패널(440)의 유효 표시영역을 노출시키는 샤시(470)일 수 있다. 상기 샤시(47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시(470)는 제1 면(471) 및 제2 면(477)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면(471)은 상기 표시패널(440)의 가장자리 즉,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유효 디스플레이영역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수납 용기(410)로부터 표시패널 (4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면(471)에 의해 비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감싸여진 상기 표시패널(440)의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은 노출된다.
상기 제2 면(477)은 상기 제1 면(471)의 에지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410)의 제1 내지 제4 측벽들(413, 415, 417, 419)과 마주보도록 연장된다. 상기 샤시(470)가 상기 수납 용기(410)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2 면(477) 중 상기 제3 측벽(417)에 대응하는 부분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를 상기 제3 측벽(417)을 향하여 절곡시킨다. 한편, 상기 제2 면(477) 중 상기 제1 측벽(413)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데이터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1)를 상기 제1 측벽(413)을 향하여 절곡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통합인쇄회로기판(455)은 상기 바닥판(411)의 배면에 배치된다.
제2 면(477)에는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에 대응하여 절개부(478)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478)는 상기 제2 면(477)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면(471)을 향해 소정 깊이로 형성된 절개홈(478)이다. 상기 절개홈(478)의 개수는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와 상기 보호커버(49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절개홈(478)의 폭은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면(477)에 의해 상기 제3 측벽(417)과 마주보도록 절곡된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의 일부는 상기 절개홈(478)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보호커버(49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보호커버(9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보호커버(490)는 상기 샤시(470)의 상기 제2 면(477)과 상기 수납 용기(410)의 상기 바닥판(411)을 연결한다. 상기 보호커버(490)는 접착필름(491) 및 베이스필름(497)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필름(491)은 상기 제3 측벽(41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베이스필름(497)은 상기 접착필름(491)보다 작은 폭과 길이를 갖고 상기 접착필름(491)의 에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접착필름(491)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론트 케이스(470)의 제2 면(477)에 부착되는 제1 접착영역(492), 상기 바닥판(411)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2 접착영역(493) 및 상기 제1 접착영역(492)과 제2 접착영역(493)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영역(494)이 각각 정의된다. 상기 가이드영역(494)은 상기 베이스필름(497)의 프로파일과 동일하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490)는 상기 제2 면(477)에 의해 절곡되어 상기 절개홈(478)을 통해 노출된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를 상기 제3 측벽(417)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보호한다.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에 실장된 상기 게이트 구동칩(459)은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가 절곡됨에 따라 상기 제3 측벽(417)에 형성된 챔퍼부(418)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가 상기 보호커버(490)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 상기 보호커버(490)를 상기 제2 면(477)과 상기 바닥판(411)의 배면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에 인장력이 가해지거나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가 뒤틀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490)에 접촉하는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의 단부는 상기 보호커버(490)에 접착되지 않고, 상기 보호커버(490) 위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접착영역(493)과 가이드영역(494)간의 경계선(49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2 접착영역(493)의 에지로부터 제1 간격(498a)만큼 이격되고,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2 접착영역(493)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1 간격(498a)보다 큰 제2 간격(498b)만큼 이격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필름(497)에 의해 절곡되는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의 단부가 상기 제2 접착영역(493)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베이스필름(497)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400)에서는,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의 단부는 상기 제2 접착영역(493)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2 간격(498b)보다 더 크게 이격된다. 상기 보호커버(490)를 상기 제2 면(477)과 상기 바닥판(411)의 배면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의 단부가 상기 제2 접착영역(493)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2 간격(498b)보다 작게 이격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베이스필름(497)의 프로파일로 인해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의 단부는 상기 제2 접착영역(493)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1 간격(498a)보다는 큰 제3 간격만큼 이격된다.
그 결과,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의 단부가 상기 제2 접착영역(493)에 부착되어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453)에 형성된 도전 패턴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빈도가 크게 감소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표시장치(500)는 수납 용기(510), 광원(520), 광학 부재(530), 패널 어셈블리(550), 프론트 케이스(570) 및 보호커버(59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장치(500)는 상기 수납 용기(510) 및 보호커버(590)를 제외하고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표시장치(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수납 용기(510)는 제3 측벽(517)에 형성된 챔퍼부(518)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수납 용기(4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3 측벽(517)의 외측면과 바닥판(511)의 배면이 만나서 형성하는 모서리에는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553)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챔퍼부(518)들이 형성된다. 상기 챔퍼부(518)는 상기 외측면 및 배면과 대략 45도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제3 측벽(51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제3 측벽(517)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챔퍼부(518)의 길이는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553)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커버(590)는 도 3에 도시된 보호커버(19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필름(591)에는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553)들의 사이에 대응하여 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측벽(517) 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챔퍼부(518)의 길이는 상기 홈에 의해 분할된 상기 접착필름(591)의 단부들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590)와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553)의 접촉 면적이 증가한다. 그 결과, 상기 보호커버(590)는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553)를 보다 작은 곡률로 절곡시켜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553)가 절곡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도전 패턴의 손상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590)는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553)를 상기 제3 측벽(517) 방향으로 보다 가깝게 가이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600)는 수납 용기(610), 광원(620), 광학 부재(630), 패널 어셈블리(650), 프론트 케이스(670) 및 보호커버(69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장치(60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670) 및 보호커버(690)를 제외하고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표시장치(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670)는 제2 면(677)에 형성된 절개홈(678)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프론트 케이스(47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670)의 제2 면(677)에는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653)들 모두를 수용하는 절개홈(678)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678)은 상기 제2 면(677)의 단부로부터 상기 프론트 케이스(670)의 제1 면(671)을 향하여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653)와 상기 보호커버(69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절개홈(678)의 깊이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면(677)에 의해 상기 제3 측벽(617)과 마주보도록 절곡된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653)의 일부는 상기 절개홈(678)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보호커버(690)는 도 4에 도시된 보호커버(29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커버(690)는 베이스필름(691), 제1 접착필름(696) 및 제2 접착필름(697)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필름(691)은 상기 제3 측벽(61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접착필름(696)은 상기 베이스필름(691)의 일측 장변의 주변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접착필름(697)은 상기 일측 장변에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필름(691)의 타측 장변의 주변부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접착필름(696)의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1 접착영역(692), 상기 제2 접착필름(697)의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2 접착영역(693)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착필름(696, 697)들의 사이의 베이스필름(691)의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가이드영역(694)이 각각 정의된다. 상기 제1 접착필름(696)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670)의 제2 면(677)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접착필름은 상기 바닥판(611)의 배면에 부착된다.
상기 가이드영역(694)과 제2 접착영역(693)의 경계선(698)은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653)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제2 접착영역(693)의 에지, 즉 상기 베이스필름(691)의 에지로부터 제1 간격(698a)만큼 이격되고,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653)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제1 간격(698a)보다 큰 제2 간격(698b)만큼 이격된다.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653)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영역(694)의 베이스필름(691)에 의해 절곡되며,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653)의 단부는 상기 제2 접착영역(693)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1 간격(698a) 이상 및 상기 제2 간격(698b) 이하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필름과 제2 접착영역의 경계선은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제2 접착영역으로부터 제1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1 간격보다 큰 제2 간격만큼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단부는 접착필름에 부착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필름 위에서 슬라이딩되며 가이드된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조립과정 또는 표시장치의 사용 중,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가해지는 인장력 및 뒤틀림 응력 등의 외력에 의해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형성된 도전 패턴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빈도가 크게 감소된다.
또한, 프론트 케이스의 제2 면에는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 일부를 노출시키는 절개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호커버와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수납 용기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오조립으로 인한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손상이 크게 감소된다.
또한,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실장된 게이트 구동칩이 상기 수납 용기의 제3 측벽에 형성된 챔퍼부(518)에 수용되어 아래로 쳐지므로, 프론트 케이스와 수납 용기의 조립시 상기 게이트 태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상기 표시패널 위로 절곡되는 오조립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통합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표시패널에 구동신호의 전달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표시패널에 연결된 신호전송용 필름들을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의 측벽을 향해 절곡시키는 표시장치용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며 상기 수납 용기에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의 측면에 접착되는 제1 접착영역;
    상기 수납 용기의 바닥판의 배면에 접착되는 제2 접착영역; 및
    상기 제1 접착영역과 제2 접착영역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가이드영역과 제2 접착영역간의 경계선은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들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2 접착영역의 에지로부터 제1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1 간격보다 큰 제2 간격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보호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용 보호커버는
    상기 제1 접착영역, 제2 접착영역 및 가이드영역이 정의된 접착필름; 및
    상기 가이드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의 단부를 상기 측벽을 향해 절곡시키는 베이스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보호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선은 상기 베이스필름의 프로파일에 의해 정의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보호커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의 상기 단부는 상기 가이드영역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보호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용 보호커버는
    상기 제1 접착영역, 제2 접착영역 및 가이드영역이 정의된 베이스필름;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착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경계선을 정의하는 접착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보호커버.
  6.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수납 용기;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에지에 연결된 신호전송용 필름들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제1 면 및 상기 측벽을 커버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제2 면에 접착되는 제1 접착영역과, 상기 바닥판의 배면에 접착되는 제2 접착영역과, 상기 제1 접착영역과 제2 접착영역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영역이 정의된 표시장치용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영역과 제2 접착영역간의 경계선은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들에 대 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2 접착영역의 에지로부터 제1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1 간격보다 큰 제2 간격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용 보호커버는
    상기 제1 접착영역, 제2 접착영역 및 가이드영역이 정의된 접착필름; 및
    상기 가이드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경계선을 정의하며,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의 단부를 상기 측벽을 향해 절곡시키는 베이스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의 상기 단부는 상기 제2 접착영역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1 간격보다 크고 상기 제2 간격보다 작은 제3 간격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용 보호커버는
    상기 제1 접착영역, 제2 접착영역 및 가이드영역이 정의된 베이스필름; 및
    상기 제1 및 제2 접착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경계선을 정의하며, 상기 제2면 및 배면에 부착되는 접착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에는 절곡된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폭은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의 폭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은 상기 제1 접착영역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은 상기 가이드영역에 의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상기 신호전송용 필름에 실장된 구동칩이 배치되는 챔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50119242A 2005-12-08 2005-12-08 표시장치용 보호커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266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242A KR101266506B1 (ko) 2005-12-08 2005-12-08 표시장치용 보호커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06329681A JP4866219B2 (ja) 2005-12-08 2006-12-06 信号伝送用フィルムの保護カバー、及び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
US11/567,816 US7570316B2 (en) 2005-12-08 2006-12-07 Protecting cover for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006100647676A CN1983458B (zh) 2005-12-08 2006-12-08 用于显示装置的保护罩以及具有该保护罩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242A KR101266506B1 (ko) 2005-12-08 2005-12-08 표시장치용 보호커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203A true KR20070060203A (ko) 2007-06-13
KR101266506B1 KR101266506B1 (ko) 2013-05-23

Family

ID=3813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242A KR101266506B1 (ko) 2005-12-08 2005-12-08 표시장치용 보호커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70316B2 (ko)
JP (1) JP4866219B2 (ko)
KR (1) KR101266506B1 (ko)
CN (1) CN198345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189B1 (ko) * 2007-06-25 2008-06-04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인슐레이션 어태치 머신의 프레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1500B2 (ja) * 2007-02-20 2012-12-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KR101348247B1 (ko) * 2007-06-07 2014-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328783B1 (ko) * 2009-05-26 201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TWI440930B (zh) * 2009-07-24 2014-06-11 Au Optronics Corp 平面顯示模組
KR20120005713A (ko) * 2010-07-09 2012-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세트
US8872997B2 (en) * 2010-08-31 2014-10-28 Apple Inc. Display assembly
KR20120050821A (ko) * 2010-11-11 2012-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이에 사용되는 접합 필름 및 접합 필름의 제조 방법
TWI411843B (zh) * 2010-12-30 2013-10-11 Au Optronics Corp 顯示器
US20140132879A1 (en) * 2012-11-14 2014-05-1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tsal module and liquid crytsal display with the same
KR102104029B1 (ko) * 2013-05-07 2020-04-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모듈
KR102077525B1 (ko) * 2013-07-30 2020-0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6189655A1 (ja) * 2015-05-26 2016-12-01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装置
JP6867205B2 (ja) * 2017-03-22 2021-04-28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バー取付け構造及び表示装置
CN109994149A (zh) * 2017-12-29 2019-07-09 天津百家科技有限公司 一种便捷式防撞防压防震电子产品屏幕保护装置
KR20200145929A (ko) * 2019-06-20 2020-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64684B1 (ko) * 2020-04-17 2020-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모듈
KR20230102080A (ko) * 2021-12-30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2199A (en) * 1993-01-27 1997-01-07 Sharp Kabushiki Kaisha Assembly structure of a flat type device including a panel having electrode terminals disposed on a peripheral portion thereof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H10133219A (ja) * 1996-10-30 1998-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KR100304261B1 (ko) * 1999-04-16 2001-09-26 윤종용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그를 포함한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그를 채용한 액정표시장치 및 이들의 조립 방법
TWI228616B (en) 1999-11-30 2005-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3167230A (ja) 2001-11-29 2003-06-13 Sharp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50035970A (ko) * 2003-10-14 2005-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N100346200C (zh) * 2003-11-05 2007-10-3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器组件及其组装方法
KR100665184B1 (ko) * 2003-11-26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칩, 상기 칩이 실장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189B1 (ko) * 2007-06-25 2008-06-04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인슐레이션 어태치 머신의 프레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32907A1 (en) 2007-06-14
JP4866219B2 (ja) 2012-02-01
US7570316B2 (en) 2009-08-04
CN1983458B (zh) 2010-08-11
JP2007156492A (ja) 2007-06-21
KR101266506B1 (ko) 2013-05-23
CN1983458A (zh)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506B1 (ko) 표시장치용 보호커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5582677B2 (ja) 液晶表示装置
US8665389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43594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9069207B2 (en) Display device
US8807820B2 (en) Display apparatuses
KR10162153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0580551B1 (ko) 액정표시모듈
KR20150033154A (ko) 표시 장치
KR100961074B1 (ko) 액정표시장치
JP3719362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98916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81102A (ko) 표시 장치
US9207474B2 (en) Display apparatus
KR2007005198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KR20060082131A (ko) 표시장치
KR20060070189A (ko) 표시 장치용 고정 부재 및 이를 가지는 표시 장치
KR100531479B1 (ko) 액정표시장치
CN117970689A (zh) 液晶显示装置
KR20070119786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50517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45892A (ko) 서포트 메인
KR20030095908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70000073A (ko) 표시 장치
KR20060136043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