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9552A - 차량의 연료탱크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연료탱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9552A
KR20070059552A KR1020050118526A KR20050118526A KR20070059552A KR 20070059552 A KR20070059552 A KR 20070059552A KR 1020050118526 A KR1020050118526 A KR 1020050118526A KR 20050118526 A KR20050118526 A KR 20050118526A KR 20070059552 A KR20070059552 A KR 20070059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tanks
engin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충섭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8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9552A/ko
Publication of KR20070059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18Multiple tanks, i.e. two or more separate tanks
    • B60K2015/03138Pumping means between th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18Multiple tanks, i.e. two or more separate tanks
    • B60K2015/03144Fluid connections between the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탱크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탱크를 다단의 저장공간이 마련되도록 구성하여, 차량의 후방 충돌시 리어측 서브프레임에 의해 연료탱크가 파손되더라도 연료의 누출로 인한 2차적인 화재 사고를 방지하면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연료탱크 구조를 제공한다.
연료탱크, 유량측정기, 솔레노이드밸브, 엔진

Description

차량의 연료탱크 구조{Fuel tank structure of a ca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연료탱크의 연료공급 흐름에 대한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을 위한 제어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차량의 후방 충돌에 따른 연료탱크의 파손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엔진
2.......연료탱크
10......제어부
11,12...제 1,2 파이프
20......메모리
A,B,C...제 1,2,3 탱크
M1,M2,M3....제 1,2,3 유량측정기
S1,S2,S3,S4,S5,S6......제 1,2,3,4,5,6 솔레노이드밸브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탱크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차량의 후방 충돌시 연료의 누출로 인한 2차적인 화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연료탱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 적용되는 연료탱크는 하나의 저장공간만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따라 종래의 연료탱크는 차량의 후방 충돌과 동시에 리어측 서브프레임이 프론트측 방향으로 밀려 들어올 때 파손되면서 연료가 누출되는 단점이 있고, 이는 곧 화재로 인한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구조적인 단점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연료탱크를 다단의 저장공간이 마련되도록 구성하여, 차량의 후방 충돌시 리어측 서브프레임에 의해 연료탱크가 파손되더라도 연료의 누출로 인한 2차적인 화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연료탱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연료탱크의 연료공급 흐름에 대한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을 위한 제어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차량의 후방 충돌에 따른 연료탱크의 파손 상태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의 연료탱크는,
엔진(1)으로 연료탱크(2)의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연료필터(3)와 연료펌프(4) 및 모터(5), 그리고 연료주입을 위한 제 1,2 유량측정기(M1)(M2)와 엔진(1)으로의 연료공급을 위한 제 3 유량측정기(M3)를 포함하는 차량의 연료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2)는 다단의 제 1,2,3 탱크(A)(B)(C)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다단의 제 1,2,3 탱크(A)(B)(C)는 제 1,2 유량측정기(M1)(M2)와 연결되는 제 1,2,3 솔레노이드밸브(S1)(S2)(S3)의 개폐동작을 통해 연료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연료는 제 3 유량측정기(M3)와 연결되는 제 4,5,6 솔레노이드밸브(S4)(S5)(S6)의 개폐동작을 통해 엔진(1)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6 솔레노이드밸브(S1,S2,S3,S4,S5,S6)는 제어부(10)에 그 개폐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2,3 탱크(A)(B)(C)는,
연료 주입시 제 1 탱크(A)→제 2 탱크(B)→제 3 탱크(C)의 수순으로 채워지고, 엔진(1)으로의 연료소비는 제 3 탱크(C)→제 2 탱크(B)→제 1 탱크(A)의 수순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2,3 탱크(A)(B)(C)와 제 1 내지 제 6 솔레 노이드밸브(S1,S2,S3,S4,S5,S6)는 각각 연료주입을 위한 제 1 파이프(11)와, 엔진(1)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파이프(12)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2,3 탱크(A)(B)(C)의 저장용량은 메모리(20)에 저장하여 관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는, 제 1,2 유량측정기(M1)(M2)에서 측정된 탱크로 유입되는 연료량과,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되는 연료 용량 정보의 비교를 통해 제 1,2,3 탱크(A)(B)(C)의 용량을 판단하여 제 1 내지 제 6 솔레노이드밸브(S1,S2,S3,S4,S5,S6)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로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Fuel Filler Neck을 통해 연료의 주입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주입이 이루어지는 연료량은 제 1 유량측정기(M1)를 통해 측정되고, 그 측정결과는 제어부(10)로 전송되어,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카운트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 1 유량측정기(M1)를 통해 측정이 이루어지는 연료량의 카운트시 제 1,2,3 솔레노이드밸브(S1)(S2)(S3)의 개방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아래의 표1에서와 같이 먼저 제 1 파이프(11)를 통해 제 1 탱크(A)에 연료를 채우고, 상기 제 1 탱크(A)에서 연료가 다 채워지면 다음으로 제 2 탱크(B), 그리고 제 3 탱크(C)의 수순으로 연료를 채우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0)는 제 1,2,3 탱크(A)(B)(C)의 연료 저장용량이 메모리 (2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 1,2 유량측정기(M1)(M2)에서 측정된 탱크로 유입되는 연료량이 상기 메모리(20)의 연료 용량 데이터와 비교하여 같다고 판단될 때, 제 1,2,3 솔레노이드밸브(S1)(S2)(S3)의 개폐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제 1,2,3 탱크(A)(B)(C)로의 연료 주입을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S1 S2 S3
A(empty) B(empty) C(empty) ON OFF OFF
A(full) B(empty) C(empty) OFF ON OFF
A(full) B(full) C(empty) OFF OFF ON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2,3 탱크(A)(B)(C)로 연료가 다 채워진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으로부터 엔진(1)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순서는 아래의 표2에서와 같이 제 3 탱크(C)→제 2 탱크(B)→제 1 탱크(A)의 수순으로 진행되고, 이를 위해 상기 제 1,2,3 탱크(A)(B)(C)와 제 2 파이프(12)를 통해 연결되는 제 4,5,6 솔레노이드밸브(S4)(S5)(S6)는 제어부(10)에 의해 그 개폐순서가 결정된다.
이때, 상기 엔진(1)으로부터 소비되고 남은 연료는 제 2 유량측정기(M2)를 통해 측정이 이루어진 후 제어부(10)의 제어를 받는 제 1,2,3 솔레노이드밸브(S1)(S2)(S3) 및 제 1 파이프(11)에 의해 다시 제 1 또는 제 2 또는 제 3 탱크(A)(B)(C)로 채워진다.
S4 S5 S6
A(full) B(empty) C(empty) ON OFF OFF
A(full) B(full) C(empty) OFF ON OFF
A(full) B(full) C(full) OFF OFF ON
따라서, 상기 제 1,2,3 탱크(A)(B)(C) 중에서, 상기 제 3 탱크(C)의 연료 소모가 최우선적으로 이루어지는 바, 도 3에서와 같이 차량의 후방충돌로부터 리어측 서브프레임이 프론트 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리어측 서브프레임에 의해 상대적으로 연료 잔량이 적은 탱크 즉, 상기 제 3 탱크(C)가 충격흡수 역할을 하게 됨은 물론, 최소한의 연료량만이 누출됨으로써, 본 발명은 연료 누출에 의한 2차적인 화재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탱크를 다단의 저장공간이 마련되도록 구성하여, 차량의 후방 충돌시 리어측 서브프레임에 의해 연료탱크가 파손되더라도 연료의 누출로 인한 2차적인 화재 사고를 방지하면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엔진으로 연료탱크의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연료필터와 연료펌프 및 모터, 그리고 연료주입을 위한 제 1,2 유량측정기와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을 위한 제 3 유량측정기를 포함하는 차량의 연료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다단의 제 1,2,3 탱크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다단의 제 1,2,3 탱크는 제 1,2 유량측정기와 연결되는 제 1,2,3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동작을 통해 연료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연료는 제 3 유량측정기와 연결되는 제 4,5,6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동작을 통해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6 솔레노이드밸브는 제어부에 그 개폐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탱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 탱크는, 연료 주입시 제 1 탱크→제 2 탱크→제 3 탱크의 수순으로 채워지고, 엔진으로의 연료소비는 제 3 탱크→제 2 탱크→제 1 탱크의 수순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탱크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 탱크와 제 1 내지 제 6 솔레노이드밸브는 각각 연료주입을 위한 제 1 파이프와,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파이프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탱크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 탱크의 저장용량은 메모리에 저장하여 관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탱크 구조.
  5. 제 1 항 또는 도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2 유량측정기에서 측정된 탱크로 유입되는 연료량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연료 용량 정보의 비교를 통해 제 1,2,3 탱크의 용량을 판단하여 제 1 내지 제 6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로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탱크 구조.
KR1020050118526A 2005-12-07 2005-12-07 차량의 연료탱크 구조 KR20070059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526A KR20070059552A (ko) 2005-12-07 2005-12-07 차량의 연료탱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526A KR20070059552A (ko) 2005-12-07 2005-12-07 차량의 연료탱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552A true KR20070059552A (ko) 2007-06-12

Family

ID=38355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526A KR20070059552A (ko) 2005-12-07 2005-12-07 차량의 연료탱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95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20034A1 (en) * 2021-07-16 2023-01-19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Fuel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freely performing transfer of fuel among a plurality of fuel tank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20034A1 (en) * 2021-07-16 2023-01-19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Fuel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freely performing transfer of fuel among a plurality of fuel tanks
US11939033B2 (en) * 2021-07-16 2024-03-26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Fuel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freely performing transfer of fuel among a plurality of fuel tan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9032A (ko) 액상 분사식 암모니아/가솔린 혼소 듀얼 연료공급시스템
US10461345B2 (en) Fuel gas storage and supply system
US9581093B2 (en) Bi-fuel system and a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ystem
US20070051423A1 (en) Pressure Differential System for Controlling High Pressure Refill Gas Flow Into On Board Vehicle Fuel Tanks
US20190127208A1 (en) Mobile distribution station with additive injector
JP2007170443A (ja) 水素自動車のガスの使用及び補給システム
KR20220051127A (ko) 가압 가스 탱크를 충전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JP2008024541A (ja) 車載水素貯蔵装置
US10954117B2 (en) Mobile distribution station having pneumatic valves
US8887771B2 (en) System for supplying a consumer with gaseous fuel and associated method
KR100722232B1 (ko) 차량용 엘피엘아이 연료시스템
KR20070059552A (ko) 차량의 연료탱크 구조
CN110382944B (zh) 氢气存储系统
JP2006269330A (ja) 水素供給装置
US20200062577A1 (en) Mobile distribution station having onboard fluid storage tank
KR20080005859A (ko) 액화 가스 연료용 저장 장치
JP691948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N105065123B (zh) 一种燃气轮机辅助油封方法及装置
JP4219236B2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CN220948389U (zh) 子母油舱结构、油料供给装置及船体
KR20100005415A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오버 플로우 방지장치
CA3044234A1 (en) Mobile distribution station having adjustable feed network
KR100489107B1 (ko) 차량의 연료 차단장치
JP2021187187A (ja) 貯蔵容器システム及び貯蔵容器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0683159B1 (ko) 액체혼합 주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