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107B1 - 차량의 연료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연료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107B1
KR100489107B1 KR10-2002-0011327A KR20020011327A KR100489107B1 KR 100489107 B1 KR100489107 B1 KR 100489107B1 KR 20020011327 A KR20020011327 A KR 20020011327A KR 100489107 B1 KR100489107 B1 KR 100489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vehicle
auxiliary tank
tank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467A (ko
Inventor
박용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1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107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381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preventing explo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16Position of fuel or air injector
    • B60W2710/0627Fuel flow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 발생시에 연료의 누출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상시의 차량 연료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사고시에 자동적으로 연료탱크로부터 엔진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료용 배관으로부터 외부로 연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폭발사고의 위험성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연료 차단장치{A FUEL CUT DEVICE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사고 발생시에 연료의 누출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상시의 차량 연료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전자제어 분사식 자동차의 연료장치가 도시된 바, 연료탱크(50)와, 상기 연료탱크(50)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주유파이프(51)와, 연료탱크(50)의 연료를 엔진에 전달하는 공급파이프(52)와, 상기 공급파이프에 연료를 압송하는 연료펌프(53)와, 상기 공급파이프(52)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압력 레귤레이터(54)와, 상기 압력 레귤레이터(54)를 통해 잉여의 연료를 연료탱크(50)로 복귀시키는 리턴 파이프(5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도 1에는 생략되었지만, 연료탱크(50) 내에서 증발하는 가스를 포집하여 연소실로 공급하기 위한 베이퍼튜브(57)가 상기 연료탱크(50)로부터 엔진(58)을 연결하고 있다.
도 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연료의 공급 장치와 리턴 장치 및 증발가스 처리장치를 함께 개념화하여 도시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59)가 설치된 베이퍼튜브(57)와, 이를 통해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적절히 엔진의 연소실로 유입시키기 위한 퍼지컨트롤솔레노이드밸브(61)가 서지탱크(63)에 설치된 상태가 아울러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도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차량의 엔진(58)과 연료탱크(50)는 안전성과 하중분배 및 공간상의 제약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서로 상당한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데, 이는 엔진(58)과 연료탱크(50)의 사이에 상기와 같이 인화성 높은 연료가 필연적으로 긴 배관을 통해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차량의 주행중에는 다른 문제가 없겠으나,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긴 배관으로부터 연료가 누출될 가능성이 높아 차량의 폭발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더욱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사고시에는 연료용 배관 등을 통한 연료의 외부 누출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차량의 연료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연료 차단장치는 연료의 공급파이프와 리턴파이프 및 베이퍼튜브에 연결되는 보조탱크와, 상기 보조탱크와 공급파이프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파이프에서 보조탱크로의 유로만을 형성하는 제1체크밸브와, 상기 보조탱크와 리턴파이프 사이에 설치되어 리턴파이프에서 보조탱크로의 유로만을 형성하는 제2체크밸브와, 상기 베이퍼튜브의 액상 연료가 보조탱크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3체크밸브와, 상기 제1체크밸브 및 제2체크밸브를 통과하는 연료를 보조탱크로 펌핑할 수 있도록 설치된 비상펌프와, 상기 보조탱크와 연료탱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면서 그 중간에 드레인밸브가 구비되는 드레인파이프와, 상기 리턴파이프의 연료탱크측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차단밸브와, 차량의 사고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수단과, 상기 센서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상기 비상펌프 및 차단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종래 기술의 설명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부품의 명칭 및 부호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차단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조탱크(1)가 구비되어 있는바, 상기 보조탱크(1)는 연료의 공급파이프(52)와 리턴파이프(55) 및 베이퍼튜브(57)에 연결되어 있으며, 각 연결 관로상에는 별도의 밸브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탱크(1)와 공급파이프(52)의 사이에는 제1체크밸브(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조탱크(1)와 리턴파이프(55)의 사이에는 제2체크밸브(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제1체크밸브(3)와 제2체크밸브(5)는 비상펌프(7)를 통해 상기 보조탱크(1)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퍼튜브(57)와 보조탱크(1)의 사이에는 제3체크밸브(9)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베이퍼튜브(57)에서 액상으로 변화된 연료가 상기 보조탱크(1)쪽으로 이동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보조탱크(1)에 보관된 액상의 연료는 연료탱크(50)로 다시 드레인시킬 수 있도록 드레인파이프(11)가 보조탱크(1)와 연료탱크(50)를 연결하고 그 연통상태를 드레인밸브(13)가 전환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비상펌프(7)는 차량의 사고 발생시에 소정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제어되기 위하여 컨트롤수단인 전자제어유닛(15)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전자제어유닛(15)은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수단인 충돌감지센서(17)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상기 비상펌프(7)의 구동여부를 결정하게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전자제어유닛(15)은 리턴파이프(55)의 연료탱크측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 차단밸브(19)를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드레인밸브(13)를 소정의 시간마다 자동적으로 개방하여 액상으로 모여진 연료를 연료탱크(50)로 드레인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보통 주행시에는 연료펌프(53)는 상기 공급파이프(52)를 통해 엔진(58)에 연료를 공급하고, 남는 연료는 리턴파이프(55)를 통해 연료탱크(50)로 리턴되는 순환과정을 거치며, 한편, 연료탱크(50)내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는 캐니스터(59)를 통해 포집되었다가 상기 베이퍼튜브(57)를 통해 퍼지컨트롤솔레노이드밸브(61)의 작동에 의해 엔진의 연소실로 유입되어 연소되며, 이때 상기 베이퍼튜브(57)내에서 발생되는 액상의 연료는 상기 제3체크밸브(9)를 통하여 보조탱크(1)로 보내어진다.
차량이 사고가 발생되면, 상기 충돌감지센서(17)로부터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닛(15)은 이 신호에 따라 상기 비상펌프(7)를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차단밸브(19)를 차단시킨다.
따라서, 상기 비상펌프(7)는 공급파이프(52)와 리턴파이프(55)로부터 연료를 펌핑하여 보조탱크(1)로 보내는데, 이때 상기 공급파이프(52)는 연료탱크측이 연료펌프(53)에 의해 연료탱크(50)의 내부와 차단되는 효과가 있고, 상기 리턴파이프(55)는 차단밸브(19)에 의해 연료탱크(50)로부터의 역류가 방지되므로, 상기 공급파이프(52)와 리턴파이프(55)에 잔류하는 연료를 비상펌프(7)가 펌핑해내면, 이들 공급파이프(52)와 리턴파이프(55)로부터는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베이퍼튜브(57)에 발생할 수 있는 연료의 액상은 모두 평상시에 상기 보조탱크(1)로 보내어진 상태이고, 베이퍼튜브(57)의 연료탱크측에는 캐니스터(59)가 설치되어 있고 엔진측에는 퍼지컨트롤솔레노이드밸브(61)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베어퍼튜브(57)로부터도 외부로 액상의 연료가 누출되는 경우는 없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사고시에 자동적으로 연료탱크로부터 엔진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료용 배관으로부터 외부로 연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폭발사고의 위험성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의 연료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연료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 차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보조탱크 3; 제1체크밸브
5; 제2체크밸브 7; 비상펌프
9; 제3체크밸브 11; 드레인파이프
13; 드레인밸브 15; 전자제어유닛
17; 충돌감지센서 19; 차단밸브

Claims (3)

  1. 연료의 공급파이프(52)와 리턴파이프(55) 및 베이퍼튜브(57)에 연결되는 보조탱크(1)와;
    상기 보조탱크(1)와 공급파이프(52)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파이프(52)에서 보조탱크(1)로의 유로만을 형성하는 제1체크밸브(3)와;
    상기 보조탱크(1)와 리턴파이프(55) 사이에 설치되어 리턴파이프(55)에서 보조탱크(1)로의 유로만을 형성하는 제2체크밸브(5)와;
    상기 베이퍼튜브(57)의 액상 연료가 보조탱크(1)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3체크밸브(9)와;
    상기 제1체크밸브(3) 및 제2체크밸브(5)를 통과하는 연료를 보조탱크(1)로 펌핑할 수 있도록 설치된 비상펌프(7)와;
    상기 보조탱크(1)와 연료탱크(5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면서 그 중간에 드레인밸브(13)가 구비되는 드레인파이프(11)와;
    상기 리턴파이프(55)의 연료탱크측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차단밸브(19)와;
    차량의 사고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수단과;
    상기 센서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상기 비상펌프(7) 및 차단밸브(19)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1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차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단은
    차량의 충돌여부를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1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차단장치.
  3. 삭제
KR10-2002-0011327A 2002-03-04 2002-03-04 차량의 연료 차단장치 KR10048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327A KR100489107B1 (ko) 2002-03-04 2002-03-04 차량의 연료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327A KR100489107B1 (ko) 2002-03-04 2002-03-04 차량의 연료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467A KR20030072467A (ko) 2003-09-15
KR100489107B1 true KR100489107B1 (ko) 2005-05-12

Family

ID=3222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327A KR100489107B1 (ko) 2002-03-04 2002-03-04 차량의 연료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1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464B1 (ko) 2008-08-25 2014-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누출방지장치가 구비된 연료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9045A (ja) * 1996-03-15 1997-09-22 Denso Corp 自動復帰式衝突時燃料カットシステム
KR0138544B1 (ko) * 1995-12-29 1998-04-30 김태구 연료계통의 잔류연료 흡입장치
KR19990034496A (ko) * 1997-10-30 1999-05-15 류정열 Lng 차량의 연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544B1 (ko) * 1995-12-29 1998-04-30 김태구 연료계통의 잔류연료 흡입장치
JPH09249045A (ja) * 1996-03-15 1997-09-22 Denso Corp 自動復帰式衝突時燃料カットシステム
KR19990034496A (ko) * 1997-10-30 1999-05-15 류정열 Lng 차량의 연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464B1 (ko) 2008-08-25 2014-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누출방지장치가 구비된 연료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467A (ko) 200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9349B1 (en) Fuel supply system and high-pressure pump for combustion engine
JP6848784B2 (ja) タンク搭載装置
US10461345B2 (en) Fuel gas storage and supply system
JPH08270480A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KR20040054881A (ko) 엘피아이 엔진의 연료공급시스템
KR100297294B1 (ko) Lng차량의연료장치
KR20100049936A (ko) 압축천연가스 엔진의 연료 공급 제어장치
KR100489107B1 (ko) 차량의 연료 차단장치
JP2007120423A (ja) 低沸点燃料用の燃料供給装置
JP691948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467857B1 (ko) 가스연료 차량용 연료유출 방지장치
KR100494589B1 (ko) Lpg차량용 자동 연료누출 감지 및 차단시스템과 그제어방법
JP2003328858A (ja) エンジンのlpg噴射供給装置
KR102563585B1 (ko) Lpg 차량의 연료 공급 시스템
KR100405108B1 (ko) 가스연료 차량용 연료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1382A (ko) 액화천연가스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누액차단방법
KR20060102342A (ko) 저장 탱크로부터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및압력 측정 방법
KR100263995B1 (ko) 연료탱크의 손상시 연료 손실 방지 장치
KR100292891B1 (ko) 압축천연가스엔진의안전장치
KR20030092281A (ko) 차량의 이중 자동 연료 차단 장치
KR100897095B1 (ko) 엘피아이 시스템에서의 연료 누설 감지 및 차단 방법
JPH08324266A (ja) 車両用燃料蒸気排出防止タンク
US6601568B1 (en) Diesel fuel re-priming device for fuel burning apparatus
KR20060031212A (ko)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오프시 연료라인의 연료회수장치 및그 제어방법
KR100411805B1 (ko) 연료 손실 및 누설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