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907A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907A
KR20070058907A KR1020050117753A KR20050117753A KR20070058907A KR 20070058907 A KR20070058907 A KR 20070058907A KR 1020050117753 A KR1020050117753 A KR 1020050117753A KR 20050117753 A KR20050117753 A KR 20050117753A KR 20070058907 A KR20070058907 A KR 20070058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user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8907A/ko
Publication of KR20070058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 주소리스트를 사용자별로 두어 해당 사용자만이 자신의 주소리스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주소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주소로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에 주소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주소를 주소 리스트에 포함시키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차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차트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표시부 104 : 제어부
106 : 저장부 108 : 송수신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는 크게 소위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정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와 미세한 잉크 액적(droplet)을 인쇄 매체에 분사하여 의도한 형태의 인쇄물을 얻는 잉크젯프린터로 구별해 볼 수 있다.
정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레이저 빔 등의 빛을 감광 드럼에 조사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이후, 정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토너 등의 현상제를 공급 롤러 및 현상 롤러에 의해 감광 드럼의 표면에 도포하여 현상한 후 인쇄 매체로 전사하고 이를 정착함으로써 인쇄물을 출력한다. 잉크젯프린터 역시 잉크 카트리지 내에 저장된 잉크를 인쇄 매체의 표면에 분사하여 인쇄물을 출력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기능 뿐만 아니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스캐닝된 문서 등)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데이터가 전송된 상대방 주소정보(예를 들어, 팩시밀리 번호, 이메일 주소 등)를 저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상대방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데이터를 상대방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화상형성장치는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상대방 주소정보가 노출되지 않아야 사용자(권한 없는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주소를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별로 관리함으로써, 주소리스트가 권한 없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주소를 포함한 주소리스트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저장부; 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후에 인증된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에 이용한 주소리스트 중 선택된 주소로의 임의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주소로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주소를 포함한 주소리스트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저장부; 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후에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주소로 임의의 데이터 전송요청에 따라 상기 입력된 주소로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입력된 주소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된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에 이용한 주소리스트에 추가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주소를 상기 주소리스트에 추가하기 전에 상기 주소리스트에 포함된 주소의 개수가 설정된 수를 넘는가를 검사하고, 설정된 수를 넘은 경우에 상기 주소리스트중 기간이 가장 많이 경과한 주소를 삭제하여 상기 주소리스트에 상기 입력된 주소를 추가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주소를 포함한 주소리스트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후에 인증된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에 이용한 주소리스트 중 선택된 주소로의 임의의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단계; 와 상기 선택된 주소로의 임의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주소로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주소를 포함한 주소리스트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후에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주소로 임의의 데이터 전송요청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단계; 와 상기 입력된 주소로 임의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입력된 주소로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입력된 주소를 상기 인증된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에 이용한 주소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비록 다른 도면에 속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표시부(102), 제어부(104), 저장부(106) 및 송수신부(108)를 포함한다.
저장부(106)는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주소를 사용자별로 저장한다.
즉, 저장부(106)는 사용자별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주소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다.
제어부(104)는 임의의 사용자로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위한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설정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일치한 경우에 화상형성장치 인터 페이스를 표시부(102)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에는 인쇄를 위한 인쇄 아이콘, 데이터를 임의의 상대방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아이콘, 문서의 스캐닝을 위한 스캐닝 아이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데이터가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주소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주소 디스플레이 아이콘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04)는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의 주소 디스플레이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에 이용한 주소리스트를 저장부(106)에서 읽어와서 표시부(102)에 디스플레이 한다.
제어부(104)는 표시부(102)에 디스플레이 된 주소리스트 중 임의의 주소의 선택이 이루어진 후에 선택된 주소로의 임의의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임의의 데이터는 스캐닝된 문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제어부(104)는 임의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선택된 주소로 해당 데이터를 송수신부(108)를 통해 전송한다.
이때, 임의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선택된 주소는 팩스번호, 이메일 주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은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을 위한 인증이 이루어진 후, 화상형성장치의 인증이 이루어진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에 이용한 주소리스트 중 선택된 주소로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었다.
이와 다른 실시예로, 화상형성장치의 인증이 이루어진 후에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 주소리스트의 디스플레이 과정을 거치지 않고,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주소를 입력받아 해당 데이터를 입력받은 주소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04)는 임의의 사용자로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위한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설정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일치한 경우에 데이터를 상대방으로 전송하기 위한 요청이 있는가를 검사한다.
제어부(104)는 데이터를 상대방으로 전송하기 위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표시부(102)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및 데이터가 전송될 주소를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입력된 주소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104)는 데이터가 전송된 주소를 저장부(106)에 저장된 해당 주소리스트에 추가시킨다.
여기서, 제어부(104)는 데이터가 전송된 주소를 저장된 해당 주소리스트에 추가하기 전에 저장부(106)에 저장된 해당 주소리스트의 주소개수가 설정된 수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부(104)는 해당 주소리스트의 주소개수가 설정된 수를 초과한 경우에 해당 주소리스트중 기간이 가장 많이 경과한 주소를 삭제하고, 상기 데이터가 전송된 주소를 해당 주소리스트에 추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임의의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위한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설정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일치한 경우에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를 표시부(102)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S200).
이때,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에는 인쇄를 위한 인쇄 아이콘, 데이터를 임의의 상대방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아이콘, 문서의 스캐닝을 위한 스캐닝 아이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데이터가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주소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주소 디스플레이 아이콘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인터페이스의 주소 디스플레이 아이콘이 선택여부를 검사한다(S202).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주소 디스플레이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에 이용한 주소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한다(S204).
화상형성장치는 디스플레이 된 주소리스트 중 임의의 주소의 선택이 이루어진 후에 선택된 주소로의 임의의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는지를 검사한다(S206, S208).
여기서, 임의의 데이터는 스캐닝된 문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임의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선택된 주소로 해당 데이터 를 전송한다(S210).
이때, 임의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선택된 주소는 팩스번호, 이메일 주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임의의 사용자로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위한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설정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일치한 경우에 데이터를 상대방으로 전송하기 위한 요청이 있는가를 검사한다(S300, S302).
화상형성장치는 데이터를 상대방으로 전송하기 위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및 데이터가 전송될 주소를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입력된 주소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S304, S306).
이후, 화상형성장치는 데이터가 전송된 주소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데이터의 전송에 이용한 주소리스트에 추가시킨다(S308).
이때,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에 이용한 주소리스트 이외에 다른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에 이용한 주소리스트들을 저장하고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별로 각각의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에 이용한 주소 리스트들을 저장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따르면, 데이터의 전송에 필요한 주소를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별로 관리함으로써, 주소리스트가 권한 없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은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주소를 포함한 주소리스트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저장부; 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후에 인증된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에 이용한 주소리스트 중 선택된 주소로의 임의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주소로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주소를 포함한 주소리스트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저장부; 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후에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주소로 임의의 데이터 전송요청에 따라 상기 입력된 주소로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입력된 주소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된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에 이용한 주소리스트에 추가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주소를 상기 주소리스트에 추가하기 전에 상기 주소리스트에 포함된 주소의 개수가 설정된 수를 넘는가를 검사하고, 설정된 수를 넘은 경우에 상기 주소리스트 중 기간이 가장 많이 경과한 주소를 삭제하여 상기 주소리스트에 상기 입력된 주소를 추가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주소를 포함한 주소리스트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후에 인증된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에 이용한 주소리스트 중 선택된 주소로의 임의의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단계; 와
    상기 선택된 주소로의 임의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주소로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
  5.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주소를 포함한 주소리스트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후에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주소로 임의의 데이터 전송요청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단계; 와
    상기 입력된 주소로 임의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입력된 주소로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입력된 주소를 상기 인증된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에 이용한 주소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
KR1020050117753A 2005-12-05 2005-12-05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 KR20070058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753A KR20070058907A (ko) 2005-12-05 2005-12-05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753A KR20070058907A (ko) 2005-12-05 2005-12-05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907A true KR20070058907A (ko) 2007-06-11

Family

ID=3835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753A KR20070058907A (ko) 2005-12-05 2005-12-05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89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762A1 (en) * 2012-11-06 2014-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and method of displaying menu in image form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762A1 (en) * 2012-11-06 2014-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and method of displaying menu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8976393B2 (en) 2012-11-06 201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and method of displaying menu in image form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4215B2 (ja)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画像形成方法
JP2010224785A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及びデータ転送方法
JP7094789B2 (ja) サーバシステム、印刷装置、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4287822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5122274A1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認証サーバー
JP2006224550A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01494707B (zh) 图像形成装置及其控制方法
KR100664308B1 (ko)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JP645781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070058907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
CN105049666A (zh) 图像形成系统及用户间协作方法
JP4882915B2 (ja) 画像処理装置、データの送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04908B2 (ja) 印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印刷システム並びに印刷方法
JP6182518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4059873B2 (ja) 画像処理装置
JP5033205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マネージャサーバ装置
JP6314486B2 (ja) システム、機器、情報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6072538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装置
KR101324190B1 (ko) 프린팅 시스템 및 출력 문서의 과금방법
KR20060115414A (ko)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 및 그 인쇄방법
KR20070063103A (ko) 문서관리방법
JP6635083B2 (ja) ログ管理システム及びログ管理方法
JP2021136530A (ja) 報知装置、文書管理システム、報知方法
JP2016212768A (ja) 注文認証方法及びサーバ
JP2006068959A (ja) データ提供システム及びデータ提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